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축제 방문동기와 만족도에 관한연구 : 함백산 야생화축제를 중심으로

        김태연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Currently Korea introduced more than 1,000 of local festivals nationwide, while some became popular, some were missing and the rest were changed their contents and even names. This study aimed to Hambaeksan Wild Flowers Festival differentiate from others and further develop into more progressive festivals, therefore boost local economy and become efficient method of local image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empirical research were carried out.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questioning participants visiting motivation and reviewing influence of a variet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visitors behavior on motivation. This study tested hypothesi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mong totally distributed 500 questionnaires, except 22 copies that are judged to be invalid because of insufficient contents and lacking of reliability, 478 copies were made to be the effective samples during the period of August 8th - 17th, 2008. Following analytic technique were applied to the materials by using SPSS WIN 14.0 program.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sitors of Hambaeksan Wild Flowers Festival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visit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the effect of the visitors satisfaction,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reconfirm visit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were shown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isitors demographic variables were gender, age, occupation and the average mean of monthly salary. The table Ⅳ-1 was deriv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regarding the visitors behavior variables, form of companion, number of companion members, lodging preference, duration of stay, number of visit, visitors residence, prior acknowledge of festival, source of information and method of transportation. The table Ⅳ-2 was derived as a result. Second, 6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itors motivation. Factor 1(4 items) was family members reunion, factor 2(3 items) was escape from daily life, factor 3(3 items) was curiosity and adventure, factor 4(4 items) was interest and concern, factor 5(2 items) was enjoy of natural scenary, and factor 6(4 items) was social gathering. Thir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visitors motiv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uriosity and adventure, interest and concern, enjoy of natural scenary was differed by the gender. Also the test showed that visitors motivation was differed by age groups. The test also found that different occupation and the average mean of monthly salary affected the variables. Therefore all the theories were found valid for the analysis. For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visitors motivation by participants behavior, the variables were found among family members reunion, interest and concern, and social gathering. The variables of prior acknowledge of festival were relevant to the visitors motivation, visitors residence and lodging preference were relevant except for the fact of escape from daily life. The source of information affected interest and concern, enjoy of natural scenary and social gathering. In the meantime method of transportation affected escape from daily life and enjoy of natural scenary. Finally, as a result on verifying visitors motivation related to satisfaction(especially on program contents, quality of tourism, tourist attraction and convenient facilities), the visitors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have greater impact on visitors motivation. Particularly the satisfaction on program contents and tourist attraction were indicated to have most powerful impact upon motivation. Aa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motivation of revisit related significantly to the visitors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ll of the pre-introduced theories were found valid and as a result, visitors behavior as well as motivation were found as a most valuable fact of maximizing festivals fascination. Therefore the organizer of local festivals should utilize the utmost benefit of visitors motivation, reflect on these tactics comprehensibly. Even so, this study reveals several repletion to be adapted as a common to all other local festivals, therefore the iterative performance of the same research were needed to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 본 연구는 함백산 야생화축제를 차별화시키고 보다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지역이미지 개선 및 지역 경제 활성화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방문객을 대상으로 축제방문동기를 조사하고 방문객의 인구 통계적특성 및 활동특성에 따라 방문동기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방문동기가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함백산 야생화축제에 참여하는 방문객의 인구 통계적특성 및 활동특성, 방문동기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8월 8일부터 17일까지 함백산 야생화축제에 참가하는 방문자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또는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22부의 자료를 제외한 4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기술통계적특성과 요인의 축소, 주어진 가설의 검증을 위해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 통계적특성과 활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방문동기를 개념화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 통계적특성과 활동특성에 따른 방문동기의 차이검증을 위해 각각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백산 야생화축제에 참여하는 방문객의 인구 통계적특성과 연구 변수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적용한 인구 통계적특성 변수는 각각 성별, 연령, 직업, 월 평균소득수준 변수였으며 변수의 기술통계적특성은 <표Ⅳ-1>과 같은 결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방문객의 활동특성과 연구 변수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적용한 변수는 각각 동반형태, 동반자 수, 숙박형태, 체재일 수, 방문횟수, 거주지, 축제에 사전정보 인지수준, 정보원천, 교통수단 등이었으며 각 변수의 기술통계적 특성은 <표Ⅳ-2>과 같이 나타났다. 둘째,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야생화축제에 참여하는 동기는 6개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1(4개 문항)은 “가족과 친목도모”로 명명하였다. 요인 2(3개 문항)는 “일상탈출”로 요인 3(3개 문항)은 “호기심과 모험”, 요인 4(4개 문항)는 “흥미와 관심”, 요인5(2개 문항)는 “자연감상”, 요인 6(4개 문항)은 “사교”로 각각 명명하였다. 셋째, 인구 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방문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집단에서는 각각 호기심과 모험, 흥미와 관심, 자연감상 요인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집단은 전체 방문동기요인에 대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과 마찬가지로 직업집단과 월평균 소득수준집단도 전체요인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기되었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넷째, 방문객의 활동특성에 따른 방문동기의 차이여부를 검증한 결과 동반형태 변수는 가족 간 친목도모, 호기심과 모험, 흥미와 관심, 사교성 요인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동반자 수는 가족 간 친목도모, 일상탈출, 흥미와 관심, 자연감상, 사교성 요인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제기간과 축제에 대한 사전지식인지 수준 집단변수는 전체 방문동기요인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과 숙박형태 변수에서는 일상탈출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그리고 정보원천 변수에 대해서는 흥미와 관심, 자연감상, 사교성 요인이, 이용교통수단 변수에서는 일상탈출과 자연감상 요인에 대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방문동기가 만족도(프로그램, 관광상품의 질, 시설환경, 안내체계 만족도)간 영향관계 검증결과 방문동기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히 행사프로그램,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의 영향계수와 모델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추가분석을 통해 재방문 의사에 대한 방문동기요인과 만족도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해본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당초제기 된 가설에서 기각된 경우는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축제행사에 있어서 참가자의 활동특성이나 방문동기는, 축제의 매력을 증대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축제주최자들은 축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관광객들의 궁극적 방문목적이 되는 동기요인과 같은 흡인요인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축제전반에 반영하여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야생화를 소재로 하는 특정 이벤트로 전체 축제의 방문객 특성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같은 내용의 축제행사라 하더라도 조사시기와 장소적특성 등 여러 가지 제약사항이 존재하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향후 동일한 연구내용의 반복적 수행이 필요하다.

      • 지역축제의 효과에 관한 인식 연구 : 산청한방약초축제를 중심으로

        김종완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Local Festival is growing up in terms of quantity. 758 Local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in Korea. As of January 2010, the budget for festival is about 1,399billion won. There is negative view because of unproductive festival. So, we ne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 and suggester the ways to reduce adverse effect.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For the study,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festival and the effect of festival by literature research. For empirical verification, as for the target population, those who live in SanCheong-Gun Gyeongsannam-do were targeted; a postal survey was performed; with rescet to the measurement of study variable, Likert 5point scale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critieria for classification was applied by using nominal scale.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liablility of a variable was tested by using SPSS18.0. Frequency analysis by point was performed.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perception was performed. The corelation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Finally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nt's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tudy results, first, Sancheong Oriental Medicinal Herb Festival has economic effect. This festival contribute to increase region's sales and local specialities. Second, Regional image is improved by the festival. Local government expand infrastructure such as road for holding the festival. Third, Local government input budget to make cultural space and support the institution of culture and art. There for Local festival contribute to local culture growth.

      • 지역축제를 활용한 현장체험학습활동의 유아교육효과에 관한 교사인식 연구 : 대전.충청권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김인자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많은 유ㆍ초ㆍ중등학교에서 현장체험 학습활동이 교육과정에 의해 실시되고 있고 지역축제 현장을 체험활동교육의 장소로 선택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안타깝게도 대부분 많은 지역축제들이 유아들을 비롯한 청소년들에게 지역사회의 전통문화와 정서를 경험하여 세계관을 육성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적 요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한 중에 몇몇의 지역축제들이 친환경ㆍ생태를 주제로 한 곤충, 꽃 , 자연물 등과 지역의 풍습, 역사, 인물들을 통해 재조명하면서 교육적이고 전문화된 축제운영을 시도하여 좋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축제현장들은 유ㆍ초ㆍ중 청소년들에게 좋은 지역사회ㆍ문화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바람직한 교육요소들과 유아교육ㆍ보육과정의 건강ㆍ신체ㆍ기본 생활영역, 사회관계 및 사회 생활영역, 예술경험 및 표현생활영역, 의사소통 및 언어생활 영역, 탐구 및 자연탐구생활 영역에서의 교사인식을 통한 교육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축제를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체험활동 교육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위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제시하게 되었다. 지역축제를 활용한 유아들의 현장체험학습활동의 교육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5점 척도에서 그렇다,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의 긍정적 응답이 94.9%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응답자의 60% 가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여 지역축제현장체험학습이 유아들에게 교육적으로 많은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교사들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축제 현장체험학습이 연관이 되어 유아와 부모가 가족단위 로 축제 현장을 방문한다고 인식하는 ‘그렇다, 매우 그렇다’는 45.1%로 ‘그렇지 않다’ 12.9%에 비해 약 4배에 달하고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 거의 가까운 수치가 유아들의 지역축제현장체험학습이 가족단위 지역축제관광과 많이 연관 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지역축제의 유아체험학습활동을 통해 지역축제가 가지는 교육적 효과가 유아의 부모들에게도 크게 부각이 되어 이미 가족단위 여가 산업으로서의 큰 부분을 차지하여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성과를 위한 중간매체로서 대다수의 많은 유아들을 부모를 대신하여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있는 교사들이 지역축제를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지역축제는 지방화 시대의 경쟁력있는 좋은 문화 자원으로서 교육, 경제, 사회문화의 동반향상을 통한 가족 여가산업으로서의 높은 저투자 고효율의 투자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축제는 오감을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교육 제공 장소로서 유아, 청소년들의 미래교육에 더 많은 활용방법을 위해 시설ㆍ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한다. 둘째, 유아들의 지역축제체험학습은 가족여가활동으로 연결이 되므로 축제장을 방문하는 유아들을 배려한 시설서비스와 안전에 힘쓰고 적극적인 축제홍보로 더 많은 유아들이 축제를 통한 문화적 교육적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국가적 차원에서 위의 제언을 위한 평가ㆍ지원 매뉴얼 개발을 통한 교육활동도가 높은 축제의 개발에 힘써야 한다. In these days,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are took effect by teaching curriculum in most schools which are kinder garden, elementary, and middle and preference that schools choose local festival s for students’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is increasing. Unfortunately, however, most of all local festival doesn’t provide chances that students can having experiences about traditional culture for improving their outlooks on the world actually and only several local festivals try to renew many natural sources and local culture to be educational materials and do professionally so that they gradually have accomplishments which provide local society and unique culture to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below. There is first research about teachers reorganization that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 to children shows that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gives children many positive effects since among very effective, effective, normally effective, not effective, and very not effective; they responded positive about 94.9 percents and especially 60 percents of them responded ‘Very effective and Effective’ The other research about relation between families’ local festival visiting and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shows that local festival is commonly related to families’ local festival visiting as a resul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 about 45.1 percents. This rate is almost more than the quadruple of negative, 12.9 percents. In other word, these researches show that teachers of education institution of children play very important roles to advertise instead of parents fo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Furthermore, through field experiencing leaning activities for children, the educational effect from local festival has been growing and becoming a big part of factor for family leisure industrial Therefore, local festival is a very good cultural source, which has competitive power in local society and a valuable investment that by improvement with education, economy, and social culture. Finally, here are suggestions, which are based on the research. First, in the view of investment, educational value for future, local festival is a good educational place, which is experienced by all of senses and it should be studied and improved to help children’s education for future and understanding their own tradition. Second, in the view of cultural industrial, since children’s field experiencing learning activities form local festival relate to families’ leisure, local festival should be invested for children’s safety, many services, and expending opportunity of cultural education. Third, in the view of a nation, festival improvement plans should try to develop supporting and evaluation manual for above proposals and promote developing festival, which is highly profitable for education.

      • 직지축제를 통한 청주시 지역 정체성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吳賢愛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1995, when local autonomy policies were enacted in Korea, many local governments has adopted place marketing strategies focused on local festival. These strategies could develop their regional economies by attracting tourists and provide the general public with information about local comparative advantage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regional identity of Cheongju is going to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place properties of Jikji by the survey of tourists of Jikji Festival. There has been many Confucian scholars in Cheongju and thus Cheongju has been called as 'the district of yangban'. And it has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relative to its population size so that the city is called as 'the city of education'. These two have been the traditional reginal images and symbols of Cheongju. Now, the value of Jikji, the oldest documents of the world printed by metal types, is informed to the world and Heungdeoksa(temple) in Cheongiu is famed as the birthplace of Jikji. By these, Cheongju is reconstructing Jikji as new regional symbol and intends to use Jikji Festival as the means of regional vitalization. Since 2003, there has been five times of Jikji Festival which is settled to be the representative localfestival of Cheongju. Through the successful embeddedment of the festival, Cheongju undergoes reconstructing its regional image from 'the district of yangban' and 'the city of education' to 'the place of Jikji'. The number of tourists increased every year. The majority of visitors are local people and overall the rate of revisiting is high. Many visitors, especially foreign visitors, is coming to know Cheongju as 'the place of Jikji by the festival and are satisfied to the various programs of that. So, they highly consider to visit Cheongju and Jikji Festival again. In this way, Jikji Festival plays important role in re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of Cheongju as 'the place of Jikji'. In fact, however, there are some considerations such as fitting placeness where anyone can realize the image of Jikji, leading foreign tourists to visit by merchandisng of Jikji and improving programs and services for more motivation to visit. Howe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merit of the birthplace of Jikji, Jikji Festival is used as the means of the cultivation of the identity and pride of local residents. Ans also, the featival is considered as new regional symbol and identity of Cheongju. Now, through the creation of new regional image as 'Cheongju as the place of Jikji', it has to explore ceaseless efforts for the regional vit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Cheongju City.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된 지방자치제의 영향으로 각 지방자치 단체들은 지역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대내적으로 홍보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지역이미지 및 새로운 지역문화의 창출 유도로 많은 관광객의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축제 중심의 장소마케팅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주직지축제를 사례로, 직지가 가지는 장소자산의 의미와 청주의 지역상징에 기초하여, 직지축제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직지축제로 인해 청주의 지역정체성이 잘 재구성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청주는 조선시대 통치의 수단이 되었던 성리학의 학문적 전통을 계승한 사림이 많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이러한 배경으로 오랜 세월 '양반의 고장「이라 불리었으며, 이와 함께 인구대비 교육기관이 많아 '교육도지'라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최근 직지의 가치가 세계에 소개되고, 직지의 탄생지가 청주 흥덕사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청주시에서는 직지를 지역상징으로 재구성하여 지역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직지축제'가 있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직지축제는 청주시를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자리 매김 하면서, 오랫동안 이 지역의 정체성의 중심에 있었던 '양반의 고장', '교육의 도시'로서의 청주에서, 직지의 역사·문화적이며,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화시킨 축제와 결합하여 '직지의 고장, 청주'라는 지역이미지로의 재구성을 경험하고 있다. 직지축제 방문객은 매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재방문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지축제를 통해 청주의 이미지가 '직지의 고장'이라 연상된다는 비율이 높았다. 청주시 외 거주 방문객들의 경우 직지축제를 통해 직지의 고장이 철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직지축제의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청주시 외 거주 방문객들의 재방문 여부 또한 긍정적이었다. 이처럼 직지축제는 직지의 고장이라는 청주의 지역정체성의 재구성에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내외적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직지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장소성의 확보 직지의 상품화를 통한 다른 지역 주민 유인 방법, 축제 방문의 동기화를 위한 수준 높은 프로그램과 운영서비스 등 개선해야 할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직지가 가지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고유성과 직지의 고장이라는 장소의 매력성을 바탕으로 하는 직지축제는 청주시 지역주민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함양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축제개최로 인해 파급되는 지역홍보와 지역 활성화의 근거를 지역민들에게 제시하면서 긍정적인 지역여론을 이끌어 내고 있다. 아울러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이 미약했던 기존의 청주시의 지역상징 대신 새로운 청주의 지역상징 및 지역정체성으로 거듭나고 있다. 앞으로, '직지의 고장, 청주'라는 새로운 지역전통의 창출을 통해 진정한 지역활성화 기능과 함께 청주시의 세계화를 위한 끊임없는 검토와 발전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地域祝祭 成功要因에 關한 硏究 : 河東君地域祝祭를 中心으로

        김영범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자치단체 마다 지역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하여 갖은 애를 다하고 있다. 지방자치의 목적 중에 하나가 지역민의 힘으로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을 추구하는 것이라 볼 때, 지역의 경쟁력을 키워 주민의 소득을 향상시키고 복리증진에 기여케 하는 것이 진정한 지방자치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중에 하나가 아닌가 한다. 지방자치의 경쟁력은 우리가 세계화를 부르짖을 때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는 말에서 보듯이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인 특성이나 고유한 문화 그리고 특산물이 가장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대내외에 표출하여 지역주민의 화합과 단결로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역축제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추진함으로써 축제공화국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지역축제가 생성되었고 지금도 지방자치마다 명목만 있으면 축제를 만들려는 시도가 감지되고 있다. 하동군도 예외가 아니어서 13개에 이르는 크고 작은 축제가 있으며, 2008년에도 남해안 대도섬에서 ”봄 도다리와 유채꽃의 만남“이라는 축제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하동지역의 축제는 기초자치단체단위로 전국에서 서귀포 다음으로 그 수가 많은 편으로 파악되고 있어, 하동지역에서는 축제가 지역산업의 일부로써 중요한 사회활동이라 아니 할 수없다. 본 연구는 각 지역마다 본격적인 지방자치를 계기로 봇물처럼 일시에 생성되어 개최되는 지역축제에 대해 과연 지역축제는 무엇이며, 지방자치와 어떤 연관이 있고, 축제의 본질은 어디에 있으며, 축제의 가치 즉 기능은 무엇인가를 선험자들의 연구를 통해 구분지어 보았다. 한꺼번에 쏟아지는 지역축제들이 지역의 고유한 테마도 없고, 목표하는 바도, 축제의 색깔도 없이 하다보니 오히려 지역의 자원만 낭비하여 주민상호간의 불신을 조장함으로써 축제의 제 목적 중에 하나인 주민의 화합을 저해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연유에 따라 선행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지역축제의 성공적인 관점은 무엇이며 성공요인은 어디에 있는가를 살펴보고 함의한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은 먼저 축제의 테마(주제)이고, 둘째가 주민참여, 셋째 조직 및 전문성, 넷째 평가, 다섯째 축제인프라, 여섯째 관광객유치전략이었다. 2007년을 기준년도로 하동군에서 개최되고 있는 축제 전체에 대해서는 본 성공적 요인을 기초하여 분석하기엔 축제자체의 규모나 내용을 볼 때 필요성이 적거나 어려운 점이 있어 군소축제에 대해서는 축제의 개요만 살펴보고, 선험연구에서 함의한 축제의 성공적 요인을 바탕으로 하동군의 축제 중 주제가 분명하면서도 축제의 개성이 서로 다른 “하동야생차 문화축제”와 “토지문학제”를 비롯하여 앞으로 성공가능성이 무한하다고 판단되는 “Cool summer 섬진강축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서 함의를 이끌어 내어 앞으로 하동지역 축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하동지역사회의 산업 중에 중요한 부문 중에 하나인 지역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소득창출로 이어지는 경제적인 목표달성과 축제로 얻어지는 문화의 창달로 삶의 질을 높여 지방자치가 구현하고자 하는 이념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Since local governance was effectively implemented, every local government has been doing its utmost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purposes of local governance is to promote residents' welfare for themselve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contributing to the increment of regional income as well as welfare might be the ultimate goal of local governance. As the saying,“what is most regional is most worldwide", local culture and products that are aboriginal to each region are most competitive items. Therefore,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lanning and carrying out regional festivals expressing their regions indigenous cultures in order to enhance regional residents' identities as the members of their towns by promoting harmony and solidarity. Unfortunately, however, there have been too many local festivals, which gives South Korea the stigma as 'The republic of festivals'; even now, a host of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create new festivals upon some pretext or other. Hadong gun is not an exception because it has 13 festivals and in 2008, a new festival, "The meeting of spring flounders and rape flowers" launched in Daedo island. Now that Hadong gun has the second most festivals following Seoguipo, Jeju, we can not deny that festivals take an important portion in Hadong's regional industry. Based upon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local festivals are, their relation with local governance, the nature of festivals, and the value and functions of festivals. Because many of the overflowing festivals have not had their peculiar theme, goal, and color, they would have wasted regional resources; furthermore, they even hampered harmony among residents by creating distrust amongst them. With regard to these phenomena, successful aspects of regional festivals and factors leading to the success have been contemplated. The factors ushering into success are as follows: peculiar themes of festivals,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ism, evaluations and feedbacks, infrastructures of festivals, strategies to fascinate tourists. Among Hadong's festivals held in 2007, two conspicuous festivals with clear them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Hadong wild tea culture festival" and "Toji literature festival" as well as a festival of indefinite success potential, "Cool summer Seomjin river festival"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upon the factors of success. Other festivals were just briefly reviewed. From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 consensus was come up with to propose lasting strategies for Hadong's successful festivals, one of the cardinal industries of Hadong area. These tactics were regarded to help hold successful festivals that would accomplish economic goals by creating regional inco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romoting culture. Eventually, the ideals of local governance could be realized by means of these efforts.

      • 地域祝祭 參與動機에 關한 比較硏究 : 곡성심청축제와 무안백련대축제를 中心으로

        김병원 木浦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사회에 있어서 축제는 지역에 생기를 불어넣는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가장 가시적이며 공중 지향적인(public-oriented)활동이다. 이러한 축제는 주차문제, 도로혼잡, 주민의 저항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공중의 인지(public-awareness), 경제적 이익, 이미지형성, 교육, 그리고 공동체 참여 등의 주최지역의 편익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국내에 수많은 지역축제가 개최되고 있지만 아직 지역축제는 새롭게 정립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로는 지자체의 예산낭비를 일삼는 주체가 되기도 하지만 축제가 인간에게 주는 매력과 효과는 관광 그 자체를 훨씬 초월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관광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축제의 관광객 참여동기 요인 모형을 비교 분석하는 것에 연구방향을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축제 참여동기요인을 중심으로 곡성심청축제와 무안백련축제의 방문객들에게 21개 질문항목과 함께 참여동기의 6개요인(화합성, 유희성, 탈일상성, 친교성, 신기성, 문화성)을 구성하였는데 그중 분석결과 부적합한 항목 4개를 제외한 17개 항목과, 6개 구성요인을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연계시켜 두 축제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 과정을 거치기 위해 대상지역인 곡성심청축제와 무안백련축제에서 총 510부의 설문을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자료를 대상으로 SPSS/PC10.0과 AMOS 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빈도분석, 1,2차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17개 항목과 6개의 구성요인들간의 적합지수 및 설명력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두 축제의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개선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결과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타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사용하거나 참여동기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며, 두 축제에 대해 낮은 설명력에 대해서는 개선되어야한다고 본다. In modern times a festival is a visible, public-oriented activity which can play the major role of giving life to a district. In spite of car parking problem, crowdedness on the street and residents' resistance, the festival brings about benefits such as public awareness, economic advantage, image forming,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to the host district. Although there are many district festivals across the country, they are not correctly established yet. Sometimes they become major cause to waste budget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However, the attraction and effects to the human caused by a festival can be regarded to surpass tourism itself. According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of tourists' participation motive ! models in the district festival which plays a pivotal part as culture tourism. At an antecedent study the 21 questionnaires as well as 6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s (the nature of unity, sportiveness, escape from every day life, intimacy, novelty and culture) were given to the visitors of Simcheong Festival at Gogseong and Baegryeon Festival at Muan. The two festiv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17 items (excluding 4 improper ones as analysis result) and 6 composition factors in connection with characters of socio-demography and behavior of tourism. In the antecedent study the practical adaptability of participation motive factors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as not been carried out. However, in this study 17 items excluding 4 improper ones (because of improvement of my family's quality in life, to enjoy the programs and performance of the festival, to meet the opposite sex and to obtain thrill and encouragement) among 21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district ! festivals which extracted from Lee Jang Joo(2003) study were carried out for the verification of adaptability,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by elements pursuant to the first and the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visitors' participation motive to the two festivals. For such comparison analyses the total 510 copies of Simcheong Festival at Gogseong and Baegryeon Festival at Muan were used for the valid model.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PC10.0 and the basis of the antecedent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the first and the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contributed to bring the goodness-of-fit index and descriptions of the 17 items and the six composition factor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model validity of the two festivals did not have to be improved and that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was proper. Rather a low description for the two festivals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 지역축제 장소마케팅 전략에서 나타난 로컬거버넌스 조직요소 연구 : - 함평나비대축제를 사례로

        조안나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tate have been reduced or decentralized by informat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roughout the world. With the advanc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local governance policies are attempted as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place marketing strategies as economic means for solving local problems and promoting local development. As many local self&#8208;governing bodies are developing local festivals as an effort of strategic marketing for enhancing the total competitiveness of localities, this study purposed to discuss local governance involved in the place marketing of local festival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for deriving governance factors for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s in the dimension of festival or tourism, but few of them discussed local governance by connecting cultural tourism or festival strategies to place marketing. In this sense, it is meaningful to approach organizational network in connection to place marketing strategies and local governance, which are discussed as new management methods these d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place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discussing relations between local governance factors and place marketing organization mix strategies. The theoretical study reviewed place marketing strategies and local governance and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we derived local governance factors from place marketing organization mix strategies, and built an analysis frame. The case study used the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s the case. Place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mix strategies were examined based on local governance factors. Derived local governance factors were organiz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organization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network operation strategies. Organiz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ed the composition and roles of the festival organization, resourc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included criteria for partnership participation, partnership type, and network manager, and organization network operation strategies included network path and interaction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stage, growth stage, maturity stage, and settlement stage, according to festival scale and major marketing strategy. Through these stages, it consolidated partnership and developed from building up festival hardware to reinforcing software. The key organization of the festival was the public sector of the locality consisting of the magistrate of Hampyeong County and the civil servants of the county office, and the organization was involved in all the stages of the festival and supervised the network as the network manager. On the contrary, the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and private sectors participated partially in the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he festival, and thus, their influence was not high and their network was not solid either. Through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Butterfly Festival, local governance factors were applied differently to organization mix strategies. Organiz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trengthened in the introduction stage, organization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in the growth stage, and organiz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organization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in the maturity stage. In addition, necessities for organization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network operation strategies were raised in the settlement stage. The results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re as follows. Place marketing strategies were flexible works by stages through feedback and local governance factors were applied discriminatively in organizations mix strategies. In addition, derived problems were when we ignored local governance factors in organization strategies by chance. The implicat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f place marketing strategies should apply on organization by stages and discriminatively which is main agent to reflect propulsion, planning and practice, then organization mix strategies are carried out, when propel place marketing strategies of local festival, stable and sustainable place marketing strategies are guaranteed and we can prospect effective results as a who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policies are as follows. First, for place marketing, we need to establish organization mix strategies that reflect local governance factors appropriately for each development stage of festivals. Seco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activating network. Third, network structur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missions and goals of place marketing should be shared in order to induce private sectors’ involvement from the stage of festival planning. Fourth, an organization specialized in place marketing (tentatively called ‘Place Marketing Bureau’) should be organized with members from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s to festival marketing. 지구화·지방화가 촉진되면서 지역문제해결과 지역발전을 위해 행정적 절차로는 로컬거버넌스 정책과정이, 경제적 수단으로는 장소마케팅 전략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총체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전략적인 마케팅 방안의 하나로 지역축제를 개발하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축제나 관광 차원에서 지역축제의 성공을 위한 거버넌스 요인을 도출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문화관광 또는 축제전략을 장소마케팅과 연계하여 로컬거버넌스를 다룬 논의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경영방식으로서 논의되고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과 로컬거버넌스를 연계한 조직네트워크의 접근은 유의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장소마케팅 전략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컬거버넌스 요소와 장소마케팅 조직믹스 전략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장소마케팅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론연구에서는 장소마케팅 전략과 로컬거버넌스에 대해 살펴보고 둘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마케팅 조직믹스 전략의 로컬거버넌스 요소를 도출하고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사례연구는 함평나비대축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기별 장소마케팅 전략과 조직믹스 전략을 로컬거버넌스 요소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로컬거버넌스 요소는 조직 환경적 조건, 조직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 조직 네트워크 운영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조직 환경적 조건에는 축제조직의 구성과 역할, 자원, 지역사회 특성이 포함된다. 조직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은 파트너십 참여기준과 파트너십 유형, 네트워크 관리주체가 포함되며, 조직 네트워크 운영 전략에는 네트워크 통로 및 상호작용의 조절이 해당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함평나비대축제는 축제규모 및 주요 마케팅 전략별로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정착기의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점차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면서 축제 하드웨어 구축에서 소프트웨어 강화의 단계로 나아가는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또한 축제의 핵심조직은 함평군수와 군 공무원으로 구성된 지역 내 공공부문이 축제 전 단계에 참여하고 네트워크 관리주체로서 네트워크를 총괄 주도하고 있었다. 반면 축제추진위원회 및 민간부문은 축제 집행 및 평가단계에 부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영향력이 크지 않고 네트워크 또한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나비대축제는 축제 단계별로 로컬거버넌스 요소가 조직믹스 전략에 각기 다르게 적용되었다. 도입기에는 조직 환경적 조건, 성장기는 조직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 성숙기는 조직 환경적 조건 및 조직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이 강화되었다. 정착기에는 조직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 및 조직 네트워크 운영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함평나비대축제의 장소마케팅 전략은 피드백을 통해 시기별로 탄력적으로 추진되며, 조직에 있어서는 로컬거버넌스 세부요소들이 차별적으로 조직 믹스 전략에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조직 전략에 로컬거버넌스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생기는 문제점 또한 관찰·유추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질 수 있다.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때 장소마케팅 전략을 추진·기획·실행하는 주체인 조직에 로컬거버넌스 요소를 단계적·차별적으로 도입하여 조직 믹스 전략을 실행한다면, 안정적·지속적인 장소마케팅 전략의 추진이 보장되며 총체적인 전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위해 축제의 단계별로 로컬거버넌스 요소가 적절히 적용된 조직믹스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축제 기획단계에서부터 민간부문의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화 전략을 수립하고 장소마케팅의 사명과 목표를 공유하여야 한다. 넷째, 총체적 축제지원을 위한 전담팀으로 민관파트너십의 장소마케팅 전문조직(가칭 장소마케팅뷰로)을 조직해야 한다.

      •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여수거북선대축제를 중심으로

        문장곤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지역축제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면서 지역의 활성화 및 지역문화의 보전과 재가치화 등에 기여하였다. 축제 수의 증가를 가져온 요인으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며, 이 외에도 문화에 대한 관심, 일반인들의 욕구 증대,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 등 관광의 수요와 공급들이 지역축제라는 연희형태로 모아지면서 축제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축제들은 관주도의 즉흥적, 일회성 행사의 성격으로 치러지고 있는 실정이며 내용들이 독창성과 차별성도 없이 대동소이하게 치러지고 있기 때문에 당초 기대했던 것만큼 지역문화육성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참여도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제 지역축제도 양적 팽창만이 아니라 질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여수거북선대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통해 축제의 현 실태를 진단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의 절차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축제의 의의와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지역축제의 현황과 유형 그리고 지역축제의 가치와 지역축제가 갖고 있는 공통적 문제점에 대해 알아 보고, ‘여수거북선대축제’와 유사한 국내축제 및 국외 우수한 축제를 살펴보았다. 또한 2009년 축제 평가결과, 2010년 축제 현장 참관평가 등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조사하고 ‘여수거북선대축제’와 유사한 관련성이 있는 호국문화성 축제를 중심으로 국내의 호국문화 축제 2개를 집중 분석하여 그 성격과 특징을 규명한 후 ‘여수거북선대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토대로 삼았다. 연구결과 활성화 방안으로 우선 축제 발전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지역주민의 문화적 공감대 마련과, 지역민의 자율성·창조성을 반영하고 지역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의 축제 표현, 관 주도적인 이미지를 탈피하여 지역민들이 스스로 축제를 기획하고 참여하는 방식으로의 전환, 축제를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의 수립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조직 및 운영체계의 합리화이다. 둘째, 축제 운영자의 전문성 확보이다. 셋째, 특색 있는 프로그램 발굴과 매너리즘(Mannerism)의 타개이다. 넷째, 주민참여와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활성화이다. 다섯째, 체계적인 홍보계획의 마련이다. 여섯째, 지역축제의 컨설팅 시스템 구축이다. 일곱째, 축제 평가 및 평가결과의 환류이다. 성공적인 지역축제의 개최는 지역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지역주민의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 확보를 통해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담보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축제 활성화에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며 더 나아가 지역축제 활성화에 지역발전에 보탬이 되길 희망한다. In Korea, local festivals have shown a rapid growth in numbers over the past 10 years. Such a development has greatly contributed to boosting local economies, and preserving and revaluing regional cultures. There are many factors behind this; activ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d interest in regional culture, people's growing demand, improved local images and promotional efforts. As such, the demand and supply of tourism gave birth to a form of entertainment such as local festivals, resulting in their quantitative increase. However, despite such a quantitative growth, most of the festivals eventually become one-time events mainly driven by local governments, without reflecting unique local features. For such a reason, the local festivals have failed to play their roles in nurturing local cultures, activating economies, and attracting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s as initially expected. At this juncture, more effort is needed to develop local festivals not just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This study diagnoses problems of the current local festivals and presents the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 festivals to take by analyzing methods on making popular 'Yeosu Geobuksun Festival'. To develop a theory,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and previous studies of local festivals, and looks into the current situation, types, values and common problems of the local festivals. Besides, this study finds domestic festivals similar to Yeosu Geobuksun Festivals and best festival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of Yeosu Geobuksun Festival based on the evaluations of the festival in 2009 and 2010, and analyzes two local festivals which are similar to the Geobuksun Festival both in nature and feature. By doing so, methods on activating the Festival are presented. In order to make local festivals popular, the correct direction should be set. To be specific, a general consensus on culture should be formed among local citizens. Also, autonomy and creativity of local people should be reflected in order that local identity and community spirit can be found in the festivals. Besides, rather than local governments, local members of the communities should be encouraged to play an active role in organizing and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s, contributing to boosting local economies. To this end, first, regional festivals should be organized and managed in a reasonable way. Second, experts in festival management need to be secured. Third, programs featu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while eliminating complacency. Fourth,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nd volunteer programs should be promoted. Fifth, promotional activities need to be systemized. Sixth, consulting systems for local festivals should be established. Last but not least, evaluation and results on the festivals should be reflected or utilized in order to learn a lesson from the failure or success. Successful local festivals create a positive change in all areas of communities. In particular, people can take pride in their local cultures and therefore feel bonded with their commun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local communities and activate their festivals by presenting the desirable way to go.

      • 지역축제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 경남 함양군을 중심으로

        임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Festivals at local level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Local governments tried to use festivals as a strategy for boosting local economy by commercializing festivals. Regional festivals solidify local identity based on local history and traditions. They contribute to continuing and furthering local culture, because festivals are produced by local residents with their own will and idea. Local festivals have proliferated since mayors and governors were elected directly by the people.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festivals as if they do races. The proliferation has at the same time caused problems. The most critical problem would be too much spending with little return. This study is looking at realities,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it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Next, the study does survey local residents in relation with six festivals done for the last three years. It also analyzes cases of each festivals. Finally, the study comes up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estivals in Hamyang County should be much more customized and differentiated with their own theme, variety, unique experience opportunity. Second, festivals should be able to meet economic requirements and accessibility to the region. Third, Hamyang festivals should be able to satisfy various needs of participants. Festivals should be themselves educational and interesting in nature. Fourth, local festivals need to commercialize festivals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of festivals. Fifth, Festivals should provide festivities and enjoyment. Six, Hamynag County needs to create an administrative unit to exclusively deal with festivals and to strengthen program evaluation. Seven, public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relation with festivals. Eight, local residents should play more active role in producing festivals. Finally,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o make festivals better. (초록)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지역축제도 증가되기 시작했다. 즉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특성개발과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으로서 지역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즉 축제를 관광상품화 하거나 각종 이벤트들을 기획・개발하여 활성화하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연출하는 지역의 자존과 화합의 행사이기 때문에 지역문화의 계승,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축제는 1995년 민선자치단체장이 출범한 이후 급격히 늘어났다. 특히 한 개의 지역에서 여러 가지 축제를 경쟁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축제 본래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리하여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과 유희성 보다는 유흥오락성만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국내의 많은 연구들은 지역축제의 효율적인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가 경쟁적으로 발표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지역축제가 안고 있는 실태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지역축제가 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 검토를 통해 기존의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기능과 역할 및 한계와 문제점들을 재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창조적 전략수단으로서 가치와 필요성을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의 바탕위에서 지난 3년간에 걸쳐 개최된 경상남도 함양군의 6개 축제를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지역주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다음은 개별 축제별로 그 동안 지적되어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함양군의 지역문화축제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대상에 선정한 축제는 함양군의 여섯 가지의 축제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함양물레방아축제, 지리산천왕축제, 용추국제자연예술제, 함양산삼축제, 함양군 예총제, 함양고사리채취축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 함양군의 축제가 지역축제로서의 가치와 지역발전의 견인차로서의 기능수행을 이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테마가 있는 다양화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색다른 경험이 가능해야 하며, 나아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둘째 함양군 축제는 앞으로 함양지역으로의 접근성과 함양군발전을 위한 경제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축제의 참여자 및 외래방문객이 원하는 각종의 수요에 부응하고 혜택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지역축제는 그 자체가 흥미롭고 교육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앞으로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다양한 소재(컨텐츠)의 발굴을 통한 축제 자체의 상품화와 다양한 연계상품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제(祭)가 있어야 하고 신명나는 한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祭儀性)과 유희성(遊戱性)을 동시에 갖춰나가야 할 필요성이 높다. 여섯째 앞으로 지방정부 내외를 막론하고 지역축제를 전담하는 부서설치와 주체 측의 축제운영방식에 대한 분석과 개선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일곱째 축제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대외홍보가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함양군의 모든 축제는 축제기획과 추진 못지않게 국내외적 홍보전략도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축제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주민들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지역주민들의 축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함양군의 축제가 보다 발전된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에 대한 함양군 당국의 행정적 지원을 전향적으로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

      • 지역축제의 활성화 발전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 서구 갑천문화제를 중심으로

        김충회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축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축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검토와 국내외 성공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역축제의 활성화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개최하고 있는 “갑천문화제”를 대상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갑천문화제”의 활성화 발전방안을 모색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갑천문화제의 운영상 문제점으로는 첫째, 지역축제로서의 정체성이 부족하여 상품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둘째, 운영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고 의례적인 행사로 치우쳐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축제 관련 인프라 구축이 미흡하고, 셋째, 개최시기와 장소의 잦은 변경으로 외지관광객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조차도 혼란을 초래하고 있고, 넷째, 기초지방자치단체인 관주도의 행사로 인해 재정과 인적 역량의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연구자의 참여관찰 방법과 선행연구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 제안하였다. 첫째, 갑천문화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를 행사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종합문화예술로 승화 발전시켜야 하며, 지역의 경제적 활성화의 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국립중앙과학관, 엑스포 과학공원, 대덕연구단지 등 주변 인프라 시설과 연계한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주민참여형 축제로 활성화하고 셋째, 개최시기와 장소를 고정하여 정례축제로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넷째, 갑천문화제는 규모도 클 뿐만 아니라 앞으로 발전 잠재력이 충분하므로 서구의 축제에서 대전시 차원의 축제로 확대 격상할 필요가 있다. 서구와 대전시가 공동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갑천문화제와 같이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축제에 대하여는 중앙정부와 대전광역시에서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te some constructive proposals activating regional festivals by analyzing various successful cases, reviewing some relevant literatures and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and challenges of regional festival organized by local governments. In this paper, I specially focus on the cases of Gapcheon Festival of Daejeon to draw some ideas and solutions can be useful to consistently develop and stimulate it by means of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difficulties of the Seo-gu county office responsible for carrying out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is study, as one of the challenges rega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we firstly found out the lack of identity representing Seo-gu, Daejeon in Gapcheon Festival in which the name value and productivity can not be guaranteed. Secondly, there are no specific differences from other regional festivals in terms the variety of the program due to considering it as a ritual of the local government and lack of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festival. Thirdly, the frequent change of the venue and date brings about the discredit on the organizer for many tourists and resi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e festival. Carrying out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 finally draw some useful suggestions to improve the Gapcheon Festival of Daejeon. Firstly, in order to find out the identity of Gapcheon Festival, we must upgrade Gapcheon Festival to the level of combined Culture and Arts by applying the historical facts and cultures representing Seo-gu itself. Secondly, we have to develop new programs can be experienced by tourists and residents as a result of linking the Gapcheon Festival with the surroundings infra-structure such as National Central Science Museum, Expo Science Park and Daeduk Research Complex, etc. Thirdly, we must fix the venue and date for the festival to make it be considered as a conventional festival of Daejeon. Fourthly, Since the Gapcheon Festival is not only a big festival but also it has full potentialities of future growth, the status of the festival can be reviewed to be graded up by enlarging a current Seo-gu festival into the Daejeon festival. Lastly, As the Gapcheon Festival is generally regarded as a promising festival representing the culture and arts of Daejeon, National Government and Daejeon local government have to be responsible for financial suppor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