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예인의 참여가 Special Event 행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

        송호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Due to the five-day work week system stepwise implemented from July 1, 2004, as both family tourists and festivals creating brand names regarding something representative specific local areas such as principle products and figures have been increased, accordingly special events also have been increased. In keeping with the increasing trend in family tourists due to the five day work week system, the increase in these special events have been employed various kinds of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attract visitors, and especially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utilizing famous entertainers who can gather visitors' attention have tended to show steep increase. This study has interest in the effects of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employed in rapidly increasing local festivals on increase in invitation and participation by tourists, and lays its purpose on identify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n festivals with entertainers' participation and providing materials to which one can refer for vitalizing the special events. In order to do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study focusing on events in local festivals for theoretical reviews on research related to special events and entertainers, reviewed th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effects of entertainers' participation on local festivals and vitalization of festivals. Regarding the effects of entertainers' participation on local festivals,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thought that entertainers' participation can cause increase in visitors in local festivals, accordingly demands for tourist products, and create good images and recognition of specific local areas as tourist sites, possibly resulting in more increased visitors and established brand names of specific festivals.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ourists, traffic, and convenient facilities are expanded and improved, capital investment is increased, and various types of entertainers participate in the festivals due to increase in visitors in the local areas. However, one should not ignore negative aspect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 for making contracts with entertainers with higher levels of popularity and increase in event budgets and the numbers of staffs due to higher contract fees for famous entertainers. Also one should prepare for worse situations where the entertainers fail to fulfill the contracts. In addition, one should try to find strategies for gather every tourist's attention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s by taking visitors' age and taste into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entertainers. 2004년 7월 1일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주 5일제 근무로 가족단위 관광객들의 증가와 각 지역 고유의 특산품 및 인물 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것들을 브랜드화 한 축제가 증가함에 따라 그에 따른 Special Event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Special Event의 증가는 주5일제 근무로 인한 가족단위의 관광객들의 증가 추세와 맞물려 방문객 유치를 위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 방법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방문객들의 이목을 집중 시킬 수 있는 유명 연예인들을 이용한 홍보 및 마케팅 전략들이 대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최근 몇 년 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각 지역축제들이 연예인을 이용한 홍보와 마케팅으로 늘어난 관광객들의 방문 및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역축제 중 연예인의 참여가 있는 축제의 방문객 수 및 방문객 수 증가를 확인하고 앞으로 Special Event 활성화에 참고 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Special Event 관련 연구와 연예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지역축제 이벤트 중심으로 연구하고, 문헌 조사 및 연예인의 참여가 지역축제에 미치는 경제적 이익과 축제의 활성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예인의 참여가 지역축제의 미치는 영향은 지역축제의 방문객 수의 증가에 따른 관광 상품의 수요증가와 그에 따른 수익의 증가 및 지역의 홍보효과와 관광지로서의 좋은 이미지와 인지도를 각인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이후 더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여 축제를 확고한 브랜드로서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 된다. 또한 지역 내 방문객의 증가로 인한 관광시설 확충, 교통 및 편의 시설 확충, 자본투자의 증가, 그리고 다양한 연예인의 참여까지도 기대해 본다. 그러나 인지도 높은 연예인을 섭외하기 위한 과열 경쟁과 유명연예인의 몸값에 따른 행사예산의 상승과 많은 인력확충 등 부정적인 측면도 간과하지 않아야 하고 섭외한 연예인의 갑작스런 계약 불이행시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법도 세워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방문객의 취향이나 연령대 등을 고려한 연예인 섭외로 축제에 참여하는 모든 관광객들을 집중 시킬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지역축제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박철홍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정부의 장소마케팅 도입으로 고유문화의 '상품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문화의 상품화를 통하여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한 목적은 해양도시, 녹색도시, 영화의 도시, 만화의 도시를 선언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지역문화 활성화 과정에는 여러 가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첫째, 이벤트나 축제 중심의 일회성 문화행사로 인해 시간, 인력, 예산의 낭비가 적지 않다. 둘째, 재정자립능력이 있는 대부분의 도시가 영상문화 투자에 적극성을 띠고 있으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경쟁력 창출이 불투명하다. 셋째, 우발적이고 유행에 편승하는 정책의 추진으로 특히 소도시간 출혈경쟁이 심각하다. 넷째, 문화를 공유하기보다는 지역차원에서 머물다보니 전문가들 또한 한계가 있다. 다섯째, 자치단체 담당자들의 전문성부족이다. 여섯째, 자치단체의 중심은 대개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데 반하여 형태는 도시와 농어촌 복합도시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도 문화의 축은 도시문화를 지향하고 있다. 한국의 장소마케팅은 자치단체의 기획 및 재정력 부족, 민간자본의 취약성, 전문인력의 부족 등으로 지역의 개성을 살리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장소마케팅의 전략의 정착과 한계는 지방정부의 지역경제활성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장소마케팅의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지방정부의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그 지역만의 차별화 된 장소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구성한다. 둘째, 제2장은 지역축제와 장소마케팅에 대하여 살펴보며, 장소마케팅의 의의, 지역의 축제와 마케팅, 지역축제를 위한 장소마케팅을 논의한다. 셋째, 제3장은 지역축제를 통한 장소마케팅 사례연구로서 지역축제의 일반현황, 축제를 통한 마케팅 사례연구를 논의한다. 넷째, 제4장은 지역축제를 통한 장소마케팅전략으로서 장소마케팅의 기본방향, 지역축제의 마케팅전략, 축제를 통한 장소마케팅 세부집행전략으로 구성한다. 다섯째, 제5장은 결론으로 구성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장소마케팅 전략 유형 문화행사 즉 이벤트 · 축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장소마케팅 전략 유형 중 한 유형인 문화행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즉 지방자치단체의 이벤트 · 축제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성공사례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그 지역에 맞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은 4가지 차원에서 논의되어지고 있다. 첫째, 전략목표설정이다. 무엇보다도 성공적인 장소마케팅에서 중요한 것은 목표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단기적인 이익을 넘어선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목표를 공유하는 최선의 방법은 목표선정에 있어서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지방정부가 이끌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지방정부는 자신들의 지역발전을 위해 경제적 효과, 지역이미지제고, 관광활성화 등의 전략 중에서 어떤 방향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목표 세분시장별 시장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대한 고유 문화이미지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형성물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표적시장의 선정이다. 각 세분시장은 요구와 고객집단의 측면 외에 경쟁자, 판매자 역량과의 적합도, 수익성 등에서 차이를 갖도록 구분되어야 한다. 시장의 세분화 정도는 특정요구별 · 개인별로 세분화하는 분자화로부터 전체시장을 동일한 하나의 세분시장으로 간주하는 평균화까지 다양하다. 세분화된 시장들 가운데 판매자가 사업의 주요대상으로 삼을 세분시장을 선정하는 과정을 표적시장선정이라 한다. 표적시장선정 전략은 표적대상으로 선정한 세분시장의 수에 따라 집중화와 포괄화로 대별할 수 있다. 집중화의 극단에는 틈새시장전략이 있으며, 포괄화를 위해서는 표적화 된 세분시장별 시너지의 극대화를 고려한 시장포트폴리오의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상품개발이다. 경쟁자와 차별화할 때는 사용자집단의 특성을 보호하고 이미지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험적 상품은 자아실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자아실현이란 정신적 · 육체적 만족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험적 상품은 쾌락을 중심으로 도입하고, 지속적인 쾌락요인의 추가를 통해 경쟁자와 차별화해야 한다. 핵심기능 · 상표 · 디자인 · 포장 · 부대서비스 등 상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상호간에 일관성과 보완성을 가져야한다. 특히 상품개발과 상품개념을 구성하는 요인들 가운데 정위화의 주체로 선정된 개념을 중심으로 시너지 극대화를 추구해야 하는 것이다. 넷째, 마케팅믹스 즉 경쟁우위전략이다. 경제적 분리를 해소하는 기능들로 커뮤니케이션, 가격협상, 구색화, 운송, 보관 등이 있으며, 이 기능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가능한한 적은 비용으로 최대하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경제적 분리를 해소하는 기능들의 최적결합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마케팅믹스전략이 경쟁우위 확보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지역축제의 4가지 차원의 마케팅 전략을 담양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나무 축제에 관한 장소마케팅 전략차원에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목표 전략차원에서는 전략목표 선정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략목표 선정위원회는 9명으로 구성하며, 군민 3명, 지방정부 3명, 지역기업 3명으로 구성하되, 군수를 위원장으로 하여 위원들이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략목표선정위원회는 마케팅의 심의기관이 아니고 의결기관으로써 강력한 힘을 부여하여 특정기관이나 단체에 기울이지 않는 위원회가 되어야 할 것이며, 이 위원회는 축제를 위하여 장기간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장소마케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표간의 우선순위가 반드시 선정되어야 한다. 즉 지역 경제적 효과, 지역이미지 제고, 관광활성화의 전략목표가 선정되었다면, 목표간의 우선순위를 반드시 선정하여 핵심목표, 차기목표로 나누어야 한다. 담양의 경우 관광활성화 전략이 최우선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담양 대나무축제의 주 고객을 선정하는 일은 담양군민, 광주광역시민, 담양인근자치단체주민, 원거리 고객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각각의 고객집단에 대한 고객요구분석이 이루어져야만 고객집단에 대한 마케팅전략이 구상될 수 있다. 특히 광주광역시민을 상대로 고객집단설문조사 및 담양군민 요구조사 등을 시행하여 정확한 고객집단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표적고객집단간의 우선순위를 두어서 표적고객시장을 선정하는 것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담양 대나무 축제의 경우 광주광역시민에 대한 각별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담양 대나무축제를 찾는 관광객을 세분화하여 세분화된 표적고객(남녀별,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 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일을 하여야 한다. 다섯째, 담양의 경우 대나무에 대한 상표, 디자인, 포장, 부대서비스의 일관성있는 상품이 개발되어야 하며, 인근 자치단체의 경쟁상품과 경쟁성에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차별화 된 상품개발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근 자치단체와의 연계된 경쟁상품개발도 고려해 볼 만하다. 담양의 경우, 장성, 곡성, 화순과 연계된 상품개발을 고려해 볼 만하다. 궁극적으로 담양 대나무의 브랜드를 통하여 담양에 대한 이미지 제고를 통한 타 산업에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략목표를 세우기 위하여 대나무의 축제상품에 대한 연구 · 개발, 학술회의 등을 개최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 하다. 여섯째, 경쟁상품과 차별화 된 우위를 점하고 있어야 한다. 즉 상품, 가격, 장소, 촉진, 운송, 보관 등에서 타 자치단체의 경쟁상품과의 우위를 점하는 마케팅이 필요하다. 즉 고급화를 지향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담양 대나무 축제가 문광부 축제에 선정되어 전국적인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고정된 축제 시설물을 완벽하게 갖추고, 충분한 예산지원이 있어야 하며, 축제만을 위한 전문적인 축제조직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축제를 통해서 장소 마케팅에 대해서만 살펴보았지만 어떤 분야에서도 장소마켓팅은 필요하다. 담양은 예전부터 '문화의 本鄕' 이라 일컬어왔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으로는 이러한 말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이와 같이 담양이 문화의 본향으로서 지위를 잃어 가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의 상품화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상품화는 자연스럽게 대중화와 이어지는데 그런 면에서 담양은 이 문제에 아주 소홀히 대한 것은 사실이다. 문화란 그 시대를 살고있는 인간과 관련한 사고, 행동양식, 생활 등 모든 총화를 의미한다. 외지에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홍보하는 일이 문화적 지위를 지켜 가는 첩경이다. 또 외지에 문화를 외지에 알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관광과 연계하는 방법이다. 관광은 외지인을 끌어들이는 일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문화 또한 장소마케팅과 연관이 지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축제를 통해서만 장소마케팅을 연구했지만 이와 같이 장소마케팅은 어떤 분야와도 연관성이 있다. 21세기는 세계화와 더불어 지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세기이다. 세계화와 지방화는 문화를 통해서 그 꽃을 피울 수 있고, 문화는 관광진흥을 통해서 외부로 알릴 수 있다. 관광을 진흥시키고 외부에서 우리 고장을 많은 사람이 찾아오게 하기 위해서는 장소마케팅에 의한 세부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앞으로는 장소마케팅이 가장 큰 화두가 되어 21세기를 이끌어 가리라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를 시작했고 지역 축제를 통해서나마 그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앞으로 세계의 모든 나라, 모든 시도, 시군이 "관광만이 살길이다."를 외치면서 장소마케팅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하리라 본다.

      • 지역축제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음악축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역자치단체에서 지역의 특성을 살려 지역이미지 개발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에서 개최하는 각종 행사가 많이 개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중에는 축제의 본질 속에서 개최되는 축제가 있다. 그러한 본질을 알고 개최되는 지역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앞세우며 개최된다. 지역경제의 활성화, 즉 개최되는 지역축제를 통해 지역을 알리고 지역의 특성과 지역홍보를 위해 노력하는 축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축제를 진행할 때 각종매체를 통해 시행되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도출과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차후에 개최되는 지역축제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 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음악이라는 공통의 주제를 가지고 개최되는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통영국제음악제”,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전주소리축제”, “광명밸리음악축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았다. 축제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해 축제 대행사와 축제기획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인이 축제대행에 참여 할 때 수집 되어진 각종자료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문가들이 음악축제를 접하게 된 커뮤니케이션 매체는 신문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고, 지역축제를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매체로 역시 전파 매체인 TV를 추천하고 있었다. 이외에 신문과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높은 접촉률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전체적으로 자라섬재즈페스티벌과 통영국제음악제의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광명밸리음악축제와 의정부음악극축제의 커뮤니케이션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명과 의정부가 수도권 도시로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만 이루어진다면 서울의 거대한 수요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음악축제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유료광고보다는 무료로 하는 언론 보도자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축제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아직은 정부예산에 의존하고 있어 예산상의 제약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산의 제약 하에서 선택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저비용수단에 한정되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비효율성을 초래해 지역축제의 홍보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하여 지역축제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넷째, 인터넷광고가 아직은 효과적인 것으로 정착되지 못하였지만 향후에 발전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터넷을 통한 홍보는 대부분 홈페이지를 이용하고 있고, 광고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고, 비용이 소요되는 배너광고를 통한 홍보는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자라섬재즈페스티벌과 통영국제음악제의 경우 상대적으로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축제에서 구전의 활용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ocal governments in the region to live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mage for each region to be held in a number of various events will be held in reality. Among those being held amid celebration of the essence of the festival. The festival is held to know the nature of those areas that activate the local economy.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which is being held to inform local festivals through regional efforts to promo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In this research to proceed when local festivals are planned through various mediums of communication due to the effect of media and communication problems derive want to find out. As a result, through local festivals held later in the communications strategy and help becoming. The music is a common theme that has held that "World Music Theater festival, Uijeongbu",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Jeonju Sori Festival" "Gwangmyeong Music Valley Festival" in the selection of targets communication strategy in the show. Festival communications and research agency for the festival to festival planning representative telephone survey conducted on behalf of you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when I was collecting material through various identify problems and seek solutions to them. Results of the first analysis, the experts were to encounter a music festival communications medium is a lot of this newspaper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medium to advertise local festivals, also referred to propagate Medium TV. In addition the newspaper and communications over the Internet show that there is a high rate of contact. Second, the whole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grew up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nd the communication is very effective, "Gwangmyeong Music Valley Festival" and the "World Music Theater festival, Uijeongbu" eumakgeuk communication is slight. These results are Gwangmyeong City, and the Uijeongbu City metropolitan area an effective communication is a big increase in demand for Seoul-based people. It can develop a successful music festival magazine. Thirdly, a free, rather than paid advertising that appears in the press release is preferred. These results are driven by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where the festival is still dependent on the government budget and the budget constraints that show. Budget constraints under which you can select a low-cost means of communication which has limited means of communication inefficiencies ultimately undermines local festivals to promote communication problems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local festivals give. Fourth, Internet advertising is still effective, but it did not settle possible future development, and we recognize that most of the publicity over the Internet homepage is helpful. Advertising effectiveness is relatively high, the cost of promotion through advertising banners will be lacking in judgment. Fifth, if you grew up in relatively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d the mouth to mouth communication has an important effect on local festivals. This appearsto indicate the need to increase verbal communications.

      • 지역축제의 관광동기 측정과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이천도자기축제를 중심으로

        이재성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이천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이천도자기축제"에 참가하는 관광객들의 관광동기 및 동 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우리 나라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동 축제에 참가하는지를 파악하고 둘째, 축제에 참가한 관광객의 행동유형을 심층적·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과학적 관광마케팅 기법 도입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셋째, 축제에 참가한 관광객의 소비지출을 통해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광동기의 측정은 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총 19개의 축제방문동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신체적동기, 관광활동동기, 전통경험동기, 가족활동동기, 행사참여동기, 지식동기 등 6개의 기본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관광동기와 인구통계학적 변수(나이, 성별 등)들과의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이들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축제 방문동기와 축제참가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결과, 신체적동기, 관광활동동기, 전통경험동기 등이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통경험동기가 축제참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의 경제적 효과는 발생단계별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유발효과로 세분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자료를 기초로 이천도자기축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직접효과를 분석하였고, 산업연관표에 의한 관광산업 업종별 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간접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동 축제가 지역경제에 미친 직접적인 총경제효과는 100억 5천만원, 간접적 파급효과는 130억 9천만원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90년대 이후 본격적 지방화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진흥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지역축제 및 이벤트 개발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480건이 넘는 각종 지역축제와 이벤트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 정부와 한국관광공사에서도 유망한 "문화관광축제"를 선별, 정책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국내외 관광객 유치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이제는 다양한 지역축제들이 각 지역의 차별성과 고유성을 최대한 반영한성공적 축제로 기획·연출됨으로써 지역교류 증진, 지역주민 소득증대 및 경제구조 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때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관광마케팅적 관점에서 "지역축제 및 이벤트 활성화 방안"과 "지방관광의 해외홍보 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축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t motivation for the Ichon Ceramic Festival held in Ichon, Kyonggi-do Province, and the economic impact of local festivals. Through a deep and objective survey of the purpose and behavior pattern of tourists at local festivals, this study applied a scientific marke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and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spending patterns of tourists at this local festival, a scheme is suggested to activate local festivals. In order to estimate tourism motivation,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9 attributes of tourism motivation taken by questionnaire. The six main motivations this analysis found are physical, tourism participation, traditional experience, family- oriented, event participation, and knowledge-seeking. The T-test on tourism motivation and population statistics variables (experience, age, gender etc.) proved that differences in a significant level exist between the two.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whole satisfactory level showed that physical, tourism-participation and traditional-experience motivations influence a tourist's level of satisfaction. Among all the above-mentioned tourism motivations, the one with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as found to be traditional-experience motivations. The economic impact of tourism can be categorized into direct, indirect and inductive effect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is study measured direct effect through the result of questions presented before in the article, measured indirect effect by means of the multiplier, which is one of analyzing tools of tourism, generally used in Korea Tourism Research Institute. In brief, the total direct economic impact on local provincial economies was estimated at 10.05 billion won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at 13.09 billion won. In addition, along with the opening of localization era in 1990s, municipalities are competing among each other to hold local festivals and events, reaching recently to 480 every year for local activation and tourism promotion. Both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strive to attract foreign tourists through providing policies such as financial support for 'culture tourism festivals', and enhancing overseas promo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schemes to activate local festivals and events and to promote local tourism abroad, with a view of marketing such that well-planned and well-conducted local festivals which reflect the character and originality of each provincial locality can contribute in developing local culture and increasing the level of personal exchanges among regions as well as their incomes.

      • 지방정부의 지역축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현주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전국에서 매일 축제가 열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6년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 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살펴보면, 연간 총726개의 지역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각 지역의 축제가 하루 동안 개최되기 보다는 보통 2-3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 축제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술적으로는 매일 6개 가량의 지역축제가 매일 개최․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축제에 대해 예산낭비라는 비판이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경제적 관점이외의 이점이 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과 옹호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접근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된 논란이 있음에 따라 학자들도 다양한 관점에서 축제의 성공과 실패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가 축제성공 요인의 일반화에는 실패하고 있지 않은가 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지역축제에 관련된 연구들의 대부분이 특정한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요인을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일반적인 성공요인을 탐색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축제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실증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축제를 일정기준에 일반화시켜 서로 비교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것은 이전의 관련 연구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기에 의의가 있다 할 수 있겠다. 분석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 축제성공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요인로 예측되는 7개의 요인을 추론하였다. 축제의 주제, 예산규모, 축제의 역사, 축제기간, 축제가 열리는 계절, 접근성, 축제의 추진주체가 그것이다. 다만, 접근성은 수도권에서의 거리, 인접도시의 인구규모 두가지 변수로 분류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42개 문화체육관광부의 2008년 문화관광축제를 선정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런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독립변수 8종, 종속변수 2종에 대한 총 16개의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중 4개의 분석결과만이 신뢰수준 80%에서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크게 두 가지 부분의 정책적 함의를 구할 수 있는데, 첫째 문화체육관광부에 대한 정책적 함의로서 만족 측정주체의 일원화, 고객만족도 측정방법의 정교화, 축제에 따른 자료축적 등이 요청된다. 둘째,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정책적 함의로서 특산음식과 관련되어 있는 축제, 계절적으로는 여름철에 열리는 축제가 1인당 지출액이 가장 많아 성공적이었다는 것이며, 이와 함께 축제의 추진주체가 민간일 경우 만족도가 제고된다는 것이다. 즉, 축제를 기획함에 있어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고려하는 것도 성공하는 축제를 만드는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주제어 : 지역축제, 축제의 성공, 성공요인, 문화관광축제, 축제 만족도 Local festivals are one way which is improving local economics, so man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king festivals in Korea. According to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ocal festivals is taken place total 726 in every year. Some researchers criticize that the local festivals are consume factors of local finance, however, others assert that local festivals have many advantages that are not economics function but social function. In spite of this arguments, I think that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s is economic success, because most of local festivals' purposes are related to achieve local development. In other word, if some governments take place local festivals, they want to economic succes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is point that the Success Factors of Festivals in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precedence studies of local festivals, the general factors of local festivals' success is not correct, because most of precedence studies is not concerned general success factors of local festivals but concerned special success factors of some local festivals. The characteristics of precedence studies are case study, so they do not draw the general success factors. I want to overcome limitation of precedence studies, so this study uses empirical study methods by one-way ANOVA . Therefor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2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which are selec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success festivals. To explain the process of analysis, I presume seven independence variables which are main theme, term, tradition, seasons, accessibility, manager, and, finance of festivals. This independence variables have influence on dependence variables which are expenditure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Sum up the result of analysis,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is influenced by the main theme and season of local festivals and the expenditure of visitors is influenced by the finance and manager of local festivals. This study have some advantages which are attempt of empirical study, but have some flaw that is insufficient research of general success factors of local festivals.

      •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역축제 주요구성 요소의 평가에 관한 연구 : 공주시 축제를 중심으로

        김현오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한민국의 지역축제는 지방자치제 출범 이후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면서 지역의 활성화 및 지역문화의 보전과 지역경제 등에 기여하였다. 축제 수의 증가요인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지역주민의 문화에 대한 관심, 일반인들의 축제에 대한 욕구 증대,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관광의 수요와 모아지면서 지역축제는 더욱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축제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축제들은 지방자체 주도의 즉흥적, 일회성 행사의 성격으로 치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축제의 내용들이 독창성과 차별성도 없어 예상보다 지역문화육성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참여도 미흡한 상태이다. 대부분의 축제들은 지자체로부터 부여받은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어, 재정의 변동사항에 따라 보조금이 줄어들고, 중앙정부의 차원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어 축제 자체의 자생력을 강화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제 지역축제도 양적 성장만이 아니라 질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축제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축제의 주요구성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주시 축제들(백제문화제, 석장리 구석기축제, 겨울공주 군밤축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32개의 항목을 통해 축제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를 파악하고, 항목을 요인으로 그룹으로 설정하고, 그룹별로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주시 지역 축제 관계자들은 축제 평가시스템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공주시 축제가 지역경제에 큰 효과를 주고 있으며 축제를 통한 고용효과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하지만 축제 전문인력에 대한 인력 부족, 축제참가자들에 대한 교육 시스템 부재, 전용 축제장 부재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축제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축제를 전문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조직의 필요성과 축제전문 운영조직의 설립 방안 둘째, 종합예술의 성격이 짙은 축제를 기획, 홍보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확보 방안 셋째, 축제를 통해 도시이미지와 축제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테마에 맞는 전용축제장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e regional festival in Korea has developed rapid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local autonom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e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and the local econom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estivals is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he interest of local residents in the culture, the increase in the public's desire for festivals, and the enhancement and promotion of the image of the region. As these factors are combined with the demand for tourism, regional festivals are growing more quantitatively.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festivals, most festivals are being held as local one-time improvised one-off events. The contents of the festival do not contribute to fostering local culture 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more than expected due to the lack of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Most festivals are run on budgets from local governments, and subsidies are decreasing due to financial changes, and the level of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s decreasing, which means that the festival itself must be strengthened. At this point, regional festivals should be prepared not only for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for qual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ways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regional festiv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local festivals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components of festivals.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Gongju-si festivals (Baekje Cultural Festival, Seokjang-ri Paleolithic Festival, Winter Gongju Gun-Bam Festival), the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festivals are identified through 32 items, and the items are grouped as factors,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ficials of Gongju-si regional festivals showed good recognition of the festival evaluation system, and it was highly recognized that Gongju-si festivals had a great effect on the local economy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effect through the festivals. However, the necessity of lack of manpower for festival professionals, lack of education system for festival participants, and absence of dedicated festival venues have emerged. To sum up these results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festival, In this study, first, the necessity of an organization capable of operating festivals professionally and the establishment of festival specialized operation organization, Second,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plan and promote festivals with a strong characteristic of comprehensive art, Third, the festival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festival venue suitable for the theme that can show the city image and the festival image. Recent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tried to improve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support system, and it is meaningful to study how to increase the regional festival's expertise through the major components of the festival. However, since this study is a study in a limited region, not a study of national regional festivals, it may be too difficult to apply it to national regional festivals.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how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festivals and develop a sustainable festival by studying way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national festivals.

      •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교육 방안 : 고령대가야체험축제를 중심으로

        노지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여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1년 문화관광축제 현황 목록’을 토대로 하여 대구․경북 지역 내에서 개최되는 축제에 한정하였으며, 일부 대학교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문화 강좌와 문화 교육 교재를 검토하여 문화 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문화통합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통한 문화 교육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기에 문화중심의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따랐다.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문화 강좌와 교재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 한국의 전통문화 수업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이 실생활과 연계가 되어야 하기에 생활문화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체험을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였다. 프로젝트를 활용한 수업이란 학습자가 수업의 주체가 되어 목표 과제를 계획하고 완성해나가는 과정 중에 한국어를 습득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소그룹별 상호작용을 통해 한국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향상시킴으로써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수업에 적용한 프로젝트의 유형으로 통제된 프로젝트 작업을 선택하였는데, 이것은 자율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정도의 한국어 실력을 갖춘 학습자의 수가 많지 않은 한국어교육기관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업의 실시 단계는 계획 및 준비단계, 수행단계, 발표 및 평가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 학습자의 요구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의 지식 습득에만 머물지 않고 경험을 통하여 실생활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접 경험을 통해 앎을 실천하는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방법과 프로젝트 수업의 진행 방식이 잘 접목된다는 점에서 수업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고령대가야체험축제의 경우는 기존의 역사 축제가 공연, 전시 위주인 점에 비해서 대가야의 문화를 발굴 현장과 무덤 탐방 등 고령에서만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기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구성은 계획 및 준비단계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지역문화축제에 관한 학습을 실시한 후, 고령대가야체험축제에 참가하여 교실 내에서 이론적으로만 배운 것을 실생활에 적용한 다음, 이를 토대로 발표 및 평가단계에서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역할극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수업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지식을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안이 수업에 실제적으로 적용되어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와 우리의 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좋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eaching plan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utilization of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as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Based on the “List of Current Cultural Tourism Festivals in 2011”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n examination of festivals being held in the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region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culture lecture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ffiliated to universities. In this way the current state of culture education was assessed,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a combin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esson was devised. A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ltural education through ‘regional cultural festivals’, it deals with combined language/culture education with a focus on culture.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culture lectures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found that in lessons traditional Korean culture tends to be emphasized. Nevertheless, there needs to be a connection between Korean language study and daily lif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Therefore, a lesson based on providing students with personal experience of Korean culture was design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aily life culture needs to be increased in Korean language lessons. The project was designed with students as the subject and with the goal that they would acquire Korean language as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and completing the pro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is that through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small groups, the students’ fluency and accuracy is improved while at the same tim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is increased. Furthermor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adapted to Korean language lessons were chosen. This decision was made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re are not many learners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with 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to engage in autonomous projects. The lesson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ages: a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an implementation stage, and a presentation and assessment stage. The reason for applying this method wa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analyzed students’ demands and their tendency to prefer classes that do not just teach language but also help them to adapt to daily life in Korea through direct experience. It was therefore anticipated that a lesson that combined a class project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a regional culture experience festival would be highly effective. Compared to the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of other existing history festivals, the Goryeong Daegaya Experience Festival, whi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lore Daegaya archaeological sites and examine Daegaya tombs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Goryeong,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is purpose, a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various programs and apply them to Korean language classes.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theoretical background a plan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presented based on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The structure of the lesson is such that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is conducted as a brainstorming session. After studying about the regional cultural festival in class, students then attend the Goryeo Daegaya Experience Festival and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ory to a real-life practical situation. Then on the foundation of this experience, the students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in the presentation and assessment stage of the project. An actual example of such a class is then presented. By conducting a class project utilizing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a study was made of a class plan that enables knowledge to be applied to a real-life situation. It is hoped that this type of educational plan will provide a useful found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romotes the mutually enriching, harmonious interaction between the cultur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culture of Korea.

      • 지역축제 거버넌스 구조의 특성과 평가에 관한 비교연구 : 안동탈춤과 문경찻사발축제를 사례로

        황화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A number of issues were recently pointed out, due to recent recognition of local festivals as a policy means to enhance local competitiveness, concerning a few local governments competitively opening local festivals. With necessity for research on causes and resolutions of these issues being emphasized, research on governance has come to the spotlight as an alternative analysis tool. Thereupon,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representative local festivals -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and Munkyung Tea Bowl Festival - as the research case for comparative analysis wher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is analysed.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this analysis is also presented. Majority of data utilized in this research are results from questionnaire studies. For the rest, existing references, statistical data and results from interview investigations were used.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xisting research trends of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s of local festival governance structure are analysed to present an analysis framework, utilized in this research, to compensate for limitations of these researches. The most noticeable issue of existing researches concerning governance of local festivals was that analysis frameworks including scope and topic of researches were not properly suggeste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previous issues where ‘related subjects of governance’ were limited to constitution subjects of festival organization (promotion) committee, target of ‘related subjects of governance’ was expanded to include subjects directly involved in promotion of actual festivals. In other words, extended scope for subjects of governance was presented. Moreover, network among subjects of governance was analysed in steps of planning, execution and assessment of festivals. Four components including social legitimacy,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transparency were drawn for assessments of governance. Concerning these components, cross-assessments among governance subjects were performed. Lastly, by comparison between Andong and Munkyung, commonness and distinctiveness were analysed as regards regionalities. Secondly, development process of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and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was discussed.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passed through foundation period (1997~1999) and growth period (2000~2005) to develop into current settlement period (past 2006). During its development process, the festival successfully settled itself as a world class local festival concerning overall festival including opening period, location, contents of the festival and furthermore the governance structure. The Andong Masked Dance Festival is now established to be Korean Honored Festival, the most significant level of Korean local festivals which is determin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is developed into one of the best festivals determin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hich passed through foundation period(1999~2004) and reached growth period(past 2005). During its development process, the festival grew into one of the representative local festivals and was established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in terms of opening period and location. Especially, as opposed to most local festivals in Korea, by charging admission fee for the whole festival area, a novel model to enhance fiscal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estivals was presented. Nevertheless, a number of issues were yet to be resolved; lack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dwellers, international level amenities for switching into residential local festival including lodging, expansion of liaison programs with local tourism attractions and improvements in festival governance structure for invigoration of voluntary and cooperative partnership of festival related subjects. Thirdly, governance structure is discussed. Organizer of governance structur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is a private organization, Andong Festival Tourism Organizing Committee, while organizer of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is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network between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or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and other subjects should be analysed in steps since role of each subject varies with each step. During planning, execution and assessment process of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professionals’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m a strong and official network with the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Other organizations, despite their importance not being relatively great, form cooperative relationships through official network with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nd through inofficial network with subjects other than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while the local government maintains the most passive relation. A typical privately led governanc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forms the strongest network. The subject which is related under a rather strong network is the professionals’ organization focused on traditional potters. Other organizations form a rather weak network that they evaluate themselves to be passive. It is a local government oriented, governmental structure. This type of governance structure tends to reflect regionalities of the location where festival is held rather well. In other words, culture of ‘mutual control and cooperation’ is tra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society in Andong concerning local pending issues whereas in Munkyung local community spirit is low due to influx population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during the industry restructuralization. As a result, local pending issues are closely related with lo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and responses.’ The fourth part deals with governance assessments.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was evaluated to be affirmative in every component except transparency. This affirmative assessment is a result of cooperative partnership among the related subjects which was established by active opinion collection and participation of governance related subjects. The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was determined to be the core subject in this achievement. Relatively passive subjects were local government and local business organizations. In the case of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ratio of affirmative assessments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e cas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for all assessment components. Mutu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mong governance subjects were relatively limited. The local government was determined to be the subject who actively endeavored the most despite the limitations, The causes to this assessment result may be derived from private led and government led governance structures. The fifth part is about issues and resolutions concerning the governance. Main issues of Andong International Masked Dance Festival are related with complementary issues concerning governance management rather than the governance structure. On the contrary, major issues of Munkyung Traditional Tea Bowl Festival are the fundamental ones arising from the local government led, vertical and exclusive governance structure. Common issues concerning these two festivals are festival decision-making related and transparency issues where information is not shared or not opened.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 most urgent task for the Munkyung case is to reorganize the governance structure from a government led one into a government-private cooperative one. Transparency must be enhanced by expanding participation of governance related subjects. The system where sharing and opening of information related with planning and execution of festivals is done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information will be available not only for the related subject but also for the ordinary people, both for Munkyung and Andong. Moreover, official and inofficial network between leading and not leading subjects should be enhanced to arrange improvement plans for mutual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for governance subjects and moreover among these subjects plus local dweller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f a local festival is to properly function its role and establish itself as a local cultural industry which may contribute to securing local identity,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dwellers is a prerequisite. It is stated that the core component for this achievement is establishment of governance structure where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are able to cooperative spontaneously. Still, a particular governance structure does not guarantee a successful local festival. It is due to the fact that structure and management of local festival governance are products of local context which are path dependent to the local regionalities where the festival is held. Therefore, benchmark of governance structure of an already successful festival may hindrance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festival if sufficient analysis concerning regionalities is not on the premise. In conclusion, if a local festival is to be continuously competitive, a more cooperative and open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governance structure through participation of festival related subjects should be guaranteed and the governance itself should be dynamically reformed along with evolution of the festival. Majo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as presented before in detail, analysis frame of governance research of local festival was presented. Moreover, two festivals which were distinctive in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s as well as governance structur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o reveal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structure and regionalities to present an important direction towards further search of issues and resolutions of local festival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nclude insufficient argument grounds of generalization of local festival governance by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types of local festival governance – generally government led, government-private cooperative and private led – due to the fact that case analysis on government-private cooperative governance was not performed. It is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the next research topic.

      • 지역 문화축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 부천 지역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

        서선교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the cultural industry is the power of Culture Industry as well as paying a ripple effect on the various industries. To do the same location visit or concert tickets as a tourist items, take advantage of the Korean Wave, enhance effectiveness and the country's culture and products for the image accordingly. To have a big impact in the overseas advancement of Korean businesses and improved. Cultural Industry economic high value-added industries, high value-added industries : economic (osmu, one sourse multi use) value added and job creation capacity is a big industry. Considered and cultural cont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s borderless considered to be added value and is useful to switch into foreign markets according to the future.The importance of 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be more emphasis. In the case of a cultural event in 1995, elected by popular vote since the time the number of explosive and for investment is growing. In the case of local festivals local culture as a means of a Regional Economy Activation in their economy makes every effort to cultivate as a means of a local cultural festival the area.The notification that can create high value added at the same time continually need to evolve as the most logical alternative. Nationally, big and small, local culture festival is held and the ingenuity of the region was called but the case for lack of a local festival and similar festivals in flooded and qualitative competitiveness. The festival is a lot of situations of a government-initiated for lack of formal operation. The experience-building by the event was based on populism also be used as a political tool often will stop the festival is a one-off cases, not less. As such local cultural festival is institutional side, operational side, interacting with regional aspects and other factors. Accordingly, the local cultural festival,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is study alone without access to institutional, operational and regional approach in terms of local culture festival successes. Relative importance for several factors and analyze the cultural festival is I wish to present the future that can succeed. To that end, various theories about the festival and soup and success factors to be derived by analyzing examples of cases and, Bucheon-si, cultural festival. Success Factors that was presented in a number of research and leading high level through the case of the festival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And the high level and three sub back to the level of classification, respectively. This study uses a class analysis (ahp) way to a higher level of the three and nine structured and based on surveys of its structure with lower levels of the proceedings.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civic experts and civic as survey conducted among the 34 and survey analysis is microsoft excel in using the 2010 program. The survey results for each key success factors to think among groups through the reclassification and about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reviewed. The conclusions drawn in through the process on final as follows : First, the top levels of relative importanc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Second, lower level of importance overall outcome is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topics’ and ‘budgets’, ‘accessibility’, ‘diversity of the program components,’, ‘dedicated system organization’,.‘Citizen Participation,’,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ttractions’, ‘convenience’ and ‘Assessment and feedback system construction’ in that order. Third, whil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part of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on expert group of subject matter expert group vice versa if the low importance. For the three groups are overwhelmingly high importance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topics’ was chose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clusion, a local carnival in this study :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would like to come up. The first topic, the festival program should strengthen the brand through other parts of the differences with the festival. In the case of a local festival similar festival is flooded and purpose and theme are not clear. Not a brand in order to be a one-off in accordance with the festival, he should be deployed. Second, effective budget should be a festival. Multiple redundant with the United States in a strong personality integrated to cut budgets by looking for hosting of the festival can be used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required. Third, appropriat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proposer's necessary.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introduced in other areas where tourists can come easy as place of the festival is also important. With additional digital content sharing festival promotion is required. Highly scalable advertising content created offline, not just continuous publicity should be in the Internet. This study to analyze the success of the local culture festival abroad as well as inter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estival. Analysis of various festivals, not only a local festival success stories, Subject Matter Expert groups, with comparative analysis and that the administration expert groups. Classified as ordinary citizens with meaningful in that they analyzed. Leading research findings based on the success of a variety of study, although it led us to conclude the regional constraints of research, generalizations about the restraints.That directly with festival at the scene of the working group of local culture, but the limits of this study is not reflecting the success to one.The direction that relevant. 오늘날 문화산업의 힘은 비단 문화산업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에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 한류를 활용한 관광 상품으로 촬영지 방문이나 공연 관람 같은 연관 효과가 증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그 나라의 문화나 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문화산업은 경제적 고부가가치 산업(OSMU, One Sourse Multi Use) 경제적 고부가가치 산업 :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능력이 큰 산업 으로 평가 받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문화 콘텐츠는 국경 없는 부가가치로 평가되고 있고 그에 따라 해외시장으로의 진입이 유용하여 앞으로도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문화축제의 경우 1995년 민선 단체장 시기 이후부터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투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자체의 경우 자신들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지역 문화축제를 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육성에 힘쓰고 있으며 지역문화 축제는 지역을 알림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므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지역 문화축제가 개최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지역의 독착성 부재로 타 지역 축제와 비슷한 축제가 난립하고 질적인 경쟁력의 부재로 관 주도적인 형식적 운영의 축제가 많은 상황이다. 또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어 포퓰리즘에 입각한 선심성 행사가 되는 경우가 많아 축제가 일회성에 그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처럼 지역 문화축제는 제도적 측면, 운영적 측면, 지역적 측면 등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문화축제를 제도적 측면에서만 접근하지 않고 제도적, 운영적, 지역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지역 문화축제 성공에 관한 여러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 지역 문화축제가 성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축제에 관한 여러 이론과 국·내외 사례 및 부천시 문화축제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성공요인 및 축제의 선행 사례를 통해 상위수준을 ‘제도적 특성’, ‘운영적 특성’, ‘지역적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상위 수준은 각각 3개의 하위 수준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계층분석방법(AHP)를 활용하여 3개의 상위수준과 9개의 하위수준으로 구조화 하였고 그 구조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행정전문가, 실문 전문가, 시민으로 분류하여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조사 분석은 Microsoft Excel 2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각 집단 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공요인에 대해서 재분류하고 조사 결과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수준의 상대적 중요도는 ‘운영적 특성’, ‘지역적 특성’, ‘제도적 특성’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하위수준 중요도 종합결과는 ‘프로그램 주제의 차별성’, ‘예산확보’, ‘접근성’, ‘프로그램 구성의 다양성’, ‘전담 조직체계 구성’, ‘주민참여도’, ‘주변 관광지 연계성’, ‘편의성’, ‘평가 및 환류시스템 구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정 전문가 집단의 경우 ‘예산확보’의 부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실무전문가 집단의 경우 반대로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주제의 차별성’ 의 경우 세 집단이 모두 압도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여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축제 프로그램 주제의 브랜드화를 통한 타 지역 축제와의 차별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국내 축제의 경우 목적과 주제가 명확하지 않고 비슷한 축제가 난립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일회성 축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하나의 브랜드를 구축해야한다. 둘째, 효율적인 축제예산 편성이 되어야 한다. 다발성으로 진행되는 중복적 성격이 강한 축제의 경우 통합개최 등을 모색하여 예산을 절감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적절한 지리적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등 타 지역에서 유입되는 관광객들이 쉽게 올 수 있는 곳을 축제의 장소로 지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공유를 통한 축제 홍보가 필요하다. 확장성이 높은 홍보 콘텐츠를 생성하여 오프라인만이 아니라 인터넷 매체에 지속적인 홍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축제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축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 지역의 축제만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축제의 성공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과 더불어 행정전문가 집단, 실무전문가 집단, 일반시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지만 지역적인 제약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제약을 가지고 있는 점과 직접 축제 현장에서 근무하는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지만 지역문화 축제를 성공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한국 지역축제의 현대성 연구 : 강릉단오축제를 중심으로

        김남일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전통사회가 현대사회로 이어 오면서 축제가 수용하고 표출해내던 성격은 전통성에서 현대성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지역축제가 지니는 현대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 및 강릉지역사회가 지니는 전통성은 중앙집권 중심의 국가통치형태, 농업 중심의 1차 산업 경제기반, 신분계급 중심의 사회였다. 따라서 전통사회의 강릉단오축제가 지니고 있던 전통성은 공동체 유지 중심의 향토축제였다. 또한 종교 즉, 신성성을 기반으로 생산적 풍농기원의 농경의례였고, 전통사회의 명절이자 절기축제였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지니는 현대성은 전통성과 차이를 보인다. 현대성은 권력집중의 통치형태에서 주민참여 및 분권과 협치의 추구로, 산업화와 탈산업화 및 세계화 추구, 그리고 집단성·획일성에서 개별성·유연성·자율성과 탈권위성 추구의 특징을 지닌다. 현대의 강릉단오축제 역시 현대성을 수용하고 표출하는 양상으로 변화되어왔다. 강릉단오축제는 민간중심의 축제, 세계화 추구의 축제, 자율과 평등 및 창의성 실현의 축제를 추구하고 있다. 강릉단오축제는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한 분권과 협치의 민간축제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강릉단오축제는 문화산업화 및 세계교류 증대를 통해 지역문화와 강릉단오축제의 세계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의 강릉단오축제는 자율·평등·개성·창의성의 탈근대성 실천공간으로 작용한다. 키워드: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축제, 전통성, 현대성, 탈근대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