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존·공간:지아장커(賈樟柯)와 봉준호의 영화 미학 비교 연구

        조위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1960년대 이후 사회 이론에 등장하는 공간 개념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양한 예술 시류의 시공간 체험이 풍부하게 이루어져 공간 체험의 변화와 인문사회과학 이론의 과거 장기간 지속된 시간의 편중, 공간성 소홀로 인한 반등 등이 20세기 후반의 공간 전환을 촉발했다. 기존의 영화 이론에서, 영화는 일반적으로 시간의 예술로 불렸지만, 영화 공간 이론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등한시된 상태였다. 영화는 시간의 예술인 동시에 공간의 예술이다. 영화는 언제나 영상의 공간적 언어와 인간의 이야기를 다루어야 하며, 영화 공간의 미학을 연구의 핵심 시각으로 삼는 것은 중요한 이론과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 중한 영화는 기존 사회적 시간을 사회적 공간과 공존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감독과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연구하여 한중 영화이론 연구의 새로운 길을 열어갈 수 있다. 중국의 지아장커 감독과 한국의 봉준호 감독은 한중 영화예술의 대표주자로, 영화예술 언어는 같은 시대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의 판이한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두 사람의 영화는 사회 현실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의 최하 계층에 집중하며, 공간의 미학적 언어가 풍부하다. 지아장커는 중국 6세대 감독 중에서 가장 뛰어난 감독으로 역사를 기록하는 이의 자세로 영화를 찍으며, 그는 특정한 시공간에 도둑, 광부, 창녀, 이주노동자 등 특성이 뚜렷한 최하층 인물의 이미지에서 강렬한 변방과 저변의 의식을 보여준다. 봉준호 감독은 한국 영화인들이 세계 영화 무대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입지적인 인물로 아시아 영화계에서 드물게 예술성과 비즈니스를 조화롭게 결합한 감독이다. 그의 작품에는 원초적인 충동과 인간성이 강하게 배어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는 인간성이 무정하게 밀려나고 자의적으로 방출된다. <설국열차>부터 <기생충>까지 봉준호는 시종일관 자신의 공간적 극한주의라는 이상을 고집하며 특정한 공간의 환경에서 인간성을 표현하는 데 렌즈를 고정시켜 봉준호식 매력적 공간 미학의 언어가 형성된다. 현재 한중 양국에서 지아장커와 봉준호 영화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 두 감독의 영화 예술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흔히 찾아보기 어렵다. 지아장커와 봉준호의 영화 공간 미학 언어를 다차원적으로 비교 탐구하고 이를 대조하여 전형적인 공간 미학 언어가 있는 영화작품, 특히 그 배후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사회 현실과 민족 문화의 동기와 원인을 발굴하여 두 감독의 영화 창작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영화 공간 미학을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공간 전향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의 공간적 미학에 대한 개념을 공간적 시각에서 정의한다. 지아장커와 봉준호 영화 작품의 공간 미학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비교를 통해 양자의 공간미학에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찾아내며, 그 배후에 있는 원인과 예술적 가치를 분석하여 한중 영화예술의 발전에 귀중한 이론적 경험을 쌓고자 한다. Since the 1960s, the concept of space has been emerging in critical social theory. The space-time experiences of various art categories have been enriched,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experience and the rebirth of the humanistic and social science theories over the past long-term emphasis on time and neglect of space have led to the space shift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n previous film theories, films were generally called the art of time, while the study of the theory of film space was long neglected. Movies are the art of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Films should always use the spatial language of the images and tell the story of the human race. It is important to take the space aesthetics of the film as the core perspective of research.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Chinese and Korean films increasingly shift their original social time-evolution dimensions to those that coexist with social space. Starting with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of China and Korea and their works, the research of comprehensive comparison can open a new path for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Chinese and Korean films. Both Chinese director Jia Zhangke and Korean director Bong Joon-ho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hinese and Korean film art, both of which have the same age and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Both films focus on social reality and focus on the bottom layer of society with rich spatial aesthetics. Jia Zhangke is the most prominent representative of the sixth generation of Chinese directors. He insists on making films as a historical documentaryist. In a particular space-time environment, he creates a series of distinctive spatial fringe characters, such as thieves, miners, prostitutes, immigrants and laid-off workers, with a strong sense of marginalization and a sense of the bottom. Bong Joon-ho is a iconic figure of a Korean movie who moves to the center of the worlds film scene is one of the rare directors in Asian cinema who mixes art and business perfectly. His works contain strong primitive impulses and human beings. In a narrow space, human nature is relentlessly squeezed and released. From Snow Country Train to Parasite, Bong Joon-ho sticks to his ideal of space limitism and focuses his lens on humanism in a particular space environment, thus forming a space aesthetics language that is characterized by Jun-hos unique charm. Currently, research on Jia Zhangke and Bong Joon-ho and his films is on the rise in China and South Korea, but deep and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art of the two directors is rare.A multi-dimensional comparison and exploration between Jia Zhangke and Bong Joon-ho’s space esthetics language and their works with typical space esthetics, especially those with deep social and national cultural motivations, systematically combing out and summarizing the two directors films. The creation of film space is conduciv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aesthetics of film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shift in this study, the relevant concepts of space aesthetics are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ia Zhangke and Bong Joon-ho and his films, the comparison is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pace aesthetics are found, and the reasons and artistic values behind them are summarized. The development of film art in both countries has accumulated valuable theoretical experience.

      • 지아장커(贾樟柯)와 봉준호의 하층계급 서사 미학 연구

        동루잉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775

        중국의 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와 한국의 봉준호 감독은 모두 사회 하층민에 초점을 맞춘 영화 작품으로 유명하며, 주로 현실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사회 하층민과 소외 계층의 실존적 상황을 조명하고 현대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두 감독은 각각 중국과 한국 영화계에서 독특한 스타일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국제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작품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지아장커와 봉준호에 관한 개별 연구는 두 감독의 창작 스타일, 주제, 영향력에 초점을 맞춘 수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두 감독의 작품을 직접 비교하고 두 감독이 영화에서 하층민의 사회적 서사를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 연구를 통해 두 감독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들이 하층민을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표현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분석을 결합한 방식을 채택했다. 먼저 지아장커와 봉준호의 개인적 성장 경험, 창작 이력, 그들이 살았던 사회적 시대를 살펴봄으로써 두 감독의 창작 배경과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가지 측면에서 출발하는데, 첫째는 하층민 적 삶의 주제 표현으로 두 감독의 작품을 분석하여 빈곤, 상실, 딜레마, 욕망의 표상 등 하층민 적 삶의 주제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는 하층민 캐릭터의 묘사로, 두 감독이 여행자, 취약한 여성, 농민공, 청소년, 범죄자, 사회 소외 계층 등 하층민 캐릭터를 어떻게 창조하여 그들의 내면과 사회성을 탐구하는지 살펴본다. 셋째, 시각적 언어에 담긴 사회 비판 의식. 두 감독의 촬영 기법, 사진 스타일, 색채 구성 등 시각적 언어를 심층 분석하여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를 밝힌다. 넷째, 현실 사회를 조명하는 공간적 표현 두 감독이 모바일 공간, 유흥 공간, 자연 공간, 현실 공간, 이질적 공간 등 하층민 공간의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공간을 통해 사회의 진정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밝힌다. 다섯째, 하층 이미지의 가치 창출에서는 지아장커와 봉준호 감독의 영화 작품이 사회 현실과 문화, 관객의 정서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하층 이미지의 가치와 의의를 밝힐 것이다. 지아장커와 봉준호 작품에 나타난 하층민의 사회성과 서사 미학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하층민 서사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두 감독 작품의 배경과 방식,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두 감독의 영화가 관객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하층민 이미지가 현대 영화에서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사실주의 영화, 사회적 하층민 이미지, 중국과 한국 영화 연구에 새로운 이론과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Sixth-generation Chinese director Jia Zhangke and Korean director Bong Joon-ho are both famous for their film works focusing on the underclass social groups, which are often based on realistic themes, highlighting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the little people at the bottom of the ladder and the marginalised in the society while critically examin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Both directors represent unique styles in the Chinese and Korean film fields, respectively, and their works have been recognised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on numerous occasions. There have been numerous individual studies on Jia Zhangke and Bong Joon-ho that focus on the creative styles, themes and influences of the two directors.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directly compared their works and delved into how the two directors represent underclass social narratives in their films. This is one of the motivations for this study, which hope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rectors and how they present the underclass in different way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is study adopt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nalysis. Firstly, it examines Jia Zhangke's and Bong Joon-ho's personal growth experience, creative history and the social era in which they lived in order to reveal the creative backgrounds and influences of the two directors. Then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five aspects: firstly, the presentation of the theme of underclass life, by analysing the works of the two directors, we explore how they present the theme of underclass life, including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loss, dilemma, and desire. The second is the portrayal of underclass characters.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two directors create underclass characters, including travellers, vulnerable women, migrant workers, youth, criminals, and the marginalised in society, in order to explore their inner world and sociality. Thirdly, social critical consciousness in visual language. This study analyses in depth the visual language of the two directors, including filming techniques, photographic styles, and colour compositions, in order to reveal how they communicate their critique and reflection on social issues through their images. Fourthly, the spatial presentation that illuminates the real society. This study reveals how the two directors present the authenticity and diversity of the society through space by examining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class space, including the mobile space, the entertainment space, the natural space, the real space, and the heterogeneous space. Fifthly, the value generation of the underlying image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mpact of Jia Zhangke's and Bong Joon-ho's film works on social reality, culture, and audience's emotions, in order to reveal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se underlying images. Taken together, the study of the sociality and narrative aesthetics of the underclass in the works of Jia Zhangke and Bong Joon-ho will reveal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underclass narratives. By analysing the backgrounds, methods, and connotations of the works of the two directors, a better understanding will be gained of how the films of the two directors affect the audience and the society, and how these images of the underclass generate value in contemporary cinema.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new theories and methods for the study of realist cinema, social underclass images, and Chinese and Korean cinema.

      • 지아장커 영화의 미학과 사회적 의미 연구 : <소무>를 중심으로

        이두약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51

        Director Jia Zhangke has drawn extensive attention from the film industry at home and abroad with his unique realistic image style. Taking the changes of the times as the background, his films show the individual fate of the ordinary people under the tide of the times, and also record and reflect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inese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lives of marginal groups. Director Jia's realistic films present China's unique cultural landscape in the process of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unique narrative methods, visual symbols and auditory symbols. Xiao Wu, the first feature film directed by Jia, was filmed in Fenyang County, Shanxi Province in 1997. The film takes Liang Xiaowu, a pickpocket in Fenyang County, as the main character and tells the story of the loss of his friendship, love and affection. Xiao Wu marks Jia's first complete work with a high degree of completion, as well as the first work of the formation of his work style. It is this film that makes him famous in the international film circle. Taking Xiao Wu as an example, narrative characteristics, visual symbols and auditory symbols of the work are analyzed in this paper to explore Jia's excellent use of film symbols and aesthetic style in realistic movies, as well as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nd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significance of his works in caring for the lower-class people, recording and reflecting on social changes, and remembering national cultur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Xiao Wu. In terms of plot structure, Xiao Wu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ree-act play structure, anti-routine plot design, open ending and no heroic elements. He recorded the individual experience in contemporary Chinese history in a documentary style and with civilian images, so that it showed prominent philological value. A unique small town space landscape is constructed in Xiao Wu, and marginal status and anxiety of the lower-class characters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are discussed in different spaces such as county streets, "Greater Shanghai" singing hall, buses, Xiaowu' home, and Gengsheng's shop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in Xiao Wu are mainly reflected in the slow time flow under a full-length shot, the shaping of psychological time, and the contemporary historical memory, showing the mapping and the conflict between personal fate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visual symbols of Xiao Wu, that is, the image symbols, are broken down in the third chapter to interpret the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of each character image symbols, physical image symbols and text image symbols in turn. Xiao Wu depicts the characters truly and delicately in a realistic way, and describes the emotional state and unconscious emotional fluctuation of Chinese society through the images of thieves, singers, policemen and children. The design in Xiao Wu presents profound physical image symbols such as Chairman Mao's portrait, ID card, pager, cigarette, paper currency, etc. Each physical image is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at era, and to the identity and feelings of the characters. The characters and image symbols, such as the lettering on the wall of Xiaoyong's house, the tattoos of Xiaoyong and Xiaowu, the ubiquitous word "demolish" in the streets of the county town and the place names appearing three times, are endowed with original significance in the special context of the film text. The auditory symbols, namely sound symbols, of the film Xiao Wu, are dissected in the fourth chapter to explain the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of each musical symbol, voice symbol and acoustic symbol in turn. Due to his preference for popular music, Jia selected some popular music of China's mainland in the 1990s for his film Xiao Wu, which not only properly matched with the plot and characters' psychology, but also created the atmosphere of that time, giving the film some documentary features in the audio-visual aspect. The dialects and Mandarin, the media as the official representative, the Northeast Er ren zhuan, Hong Kong films and other voice symbols in the film Pickpocket are highly pioneering and self-introspective. In Jia's films,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sound is similar to that of The French New Wave films, and in the film Xiao Wu, the rough sound was used to show the realism of the film. What opposes to and coexists with the noisy environmental sound is silence, which is of intended meaning. Being good at using silence symbols is also a noteworthy feature of Jia's films. In his films, Jia always focuses on the individuals influenced by the time background, faithfully records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China, which is developing rapidl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observes the ordinary people to show their existing situation. The analysis and research on Jia's films are of great reference significances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s and the realistic film art in the whole world. Selecting the film Xiao Wu as a research case to make a close reading of the text in narratology and image semiology can summarize the aesthetic styles of Jia's films: focus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society, showing the survival condition of people during the transition from rural civilization to urban civilizatio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bottom and marginal groups, and injecting new vitality into Chinese films with new film thinking and original spirit. Jia's works are deeply involved in the reality of contemporary China, reflect the reality and spirit of China in great changes, record the changes of the time, and give deep humanistic concern to the marginal characters. Possessing the long-standing cultural value and social significance is a key factor that builds the unique style and charm of Jia's films. 지아장커 감독은 독특한 현실주의 영화 스타일로 시대의 변천을 배경으로 하여 거대한 시대의 흐름에서 작은 인물의 개인의 삶을 보여주며, 소외된 집단의 생활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사회의 발전과 변천을 기록하고 반성의 내용을 담았다. 지아장커 감독의 현실주의 영화는 독특한 서사 방식과 시각 및 청각적 기호의 사용을 통해 사회가 전환되는 과정의 독특한 중국 문화를 보여주었다. 영화 <소무>는 펀양의 도둑 소무를 주인공으로 하며, 그가 자신의 우정, 사랑과 가족애를 잃어가는 내용이다. 이 영화는 지아장커 감독을 가장 빛나게 만든 출세작이라 할 수 있고 지아장커 감독 작품 스타일을 형성한 최초의 작품이다. 지아장커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국제 영화계에서 단번에 성공을 거두어 명성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는 영화 <소무>를 중심으로 해당 작품의 서사 특징, 이미지 기호 그리고 사운드 기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아장커 감독 현실주의 영화의 영화 기호에 대한 뛰어난 사용과 미학 스타일, 그리고 밑바닥 인물에 대한 그의 배려, 사회 변천에 대한 기록과 반성, 민족 문화 기억 등의 문화 예술 가치와 사회학적 의미를 탐구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방법에 관해 설명하고 관련 선행 연구를 전체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에 대해 개략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 제작 일대기와 작품을 정리하고,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에 깊은 관심을 갖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제 2장은 영화 <소무>의 서사 특징을 분석하았다. 영화<소무>의 플롯 구조 측면의 3막극 구조, 비일상적 플롯, 열린 결말, 영웅적 요소의 부재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영화 <소무>에서 지아장커는 작은 도시를 자연적 공간일 뿐만 아니라 독특한 문화 공간으로 묘사한다. 예를 들어, 현도의 길거리, 대상하이 노래방, 시외버스, 소무의 집, 경승의 점포 등 다양한 공간을 통해 밑바닥 인물의 사회 변화에 따라 주변화된 위치와 초조한 심리 상태를 탐구하였다. 또한 영화 <소무>는 서사의 시간성의 특징과 관련하여 대체로 롱 테이크를 통해 천천히 흐르는 시간 과정, 심리 시간의 구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당대의 역사 기록의 측면에서 개인 운명과 시대 발전의 투영과 충돌을 구현하였다. 제 3장은 영화 <소무>의 시각적 기호인 이미지 기호를 분석했다. 순서대로 모든 인물 이미지 기호, 실물 이미지 기호와 문자 이미지 기호의 표상체, 대상체와 해석체를 고찰하는 것이다. 사실적인 기법을 통해 현실적이고 섬세하게 인물을 묘사하고 소매치기 이미지, 도우미 이미지, 경찰 이미지, 아이 이미지 등의 구축을 통해 중국 사회의 정서 상태와 사회의 무의식적인 정서 변화를 묘사하였다. 또한 모택동 초상 기호, 신분증 기호, 호출기 기호, 담배 기호, 지폐 기호 등 깊은 의미를 지닌 사물 이미지 기호를 디자인하여 보여준다. 그리고 소용의 집 벽에 새겨진 글자, 소용과 소무의 문신, 작은 도시 길거리 여기저기에서 보이는 철거라는 글자, 세 차례 등장하는 지명 등의 문자 이미지 기호는 영화 텍스트의 독특한 컨텍스트로 독창적인 의미를 지니게 만들었다. 제 4장은 영화 <소무>의 청각적 기호인 사운드 기호를 분석했다. 순서대로 모든 음악 기호, 음성 기호와 음향 기호의 표상체, 대상체와 해석체를 고찰한다. 영화 <소무>에서 지아장커는 1990년대 중국 지역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선정했다. 그 음악들은 모두 플롯, 인물의 심리와 교묘하게 결합되어있으며, 교묘한 아이러니와 유머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음악들은 시대 분위기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시청 측면에서도 영화 작품에 일부 문헌성을 지니게 만든다. 영화 <소무>의 사투리와 표준어, 정부를 대표하는 미디어 소리, 동북 이인전(东北二人转)과 홍콩 영화 등의 음성 기호는 매우 선구적이고 자아반성적 표현이다. 영화 <소무>에서 길거리 소음이 매우 시끄럽게 묘사되고, 거친 음향 효과로 영화의 사실성을 추구한다. 또한 시끄러운 환경 음향과 대응하며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침묵이며, 각종 침묵 형식이 영화 <소무>에 등장한다. 침묵 기호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 역시 지아장커 영화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이다. 제 5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에 대해 총체적으로 설명하며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화 <소무>의 연구를 통해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의 미학 스타일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현실주의의 서사 방식과 시청각 기호의 활용이다.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의 사회적 의미는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하나는 시대변천을 기록하는 의미로의 영상이라는 것이고, 또 하나는 소외 계층에 대한 인문적 배려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영화는 영원한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이는 지아장커 영화의 독특한 스타일과 매력을 드러내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지아장커의 영상은 항상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는 개인의 삶에 주목하였다. 또한 당대 중국의 빠른 현대화 과정에서 벌어지는 사실 그대로의 실제 모습과 이 땅에 살고 있는 일반인의 상황을 기록하였으며, 영상으로 해당 개체들의 존재를 관찰하고 표현하였다. 지아장커의 영화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은 중국 영화의 미래와 전체 세계 영화의 현실주의 영화 스타일 발전에 중요한 참고가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화두를 제시하는 의미도 있다. 영화 <소무>는 지아장커 영화 작품의 기본 스타일과 창작 기법을 개척한 첫 드라마 장편 영화이다. 본 연구는 지아장커 영화에 대한 기존 연구를 정리하고, 영화 <소무>를 연구 사례로 영화 기호학을 통해 해당 영화의 텍스트를 세밀히 고찰하며, 이를 통해 지아장커 영화에 선명하게 나타난 독특한 예술 특징과 문화적 가치 그리고 사회적 의미를 연구했다.

      • 유리 로트만(Juri Lotman) 영화 기호학 관점의 지아장커(賈樟柯) 감독 영화미학 연구

        왕치옹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51

        지아장커(賈樟柯)는 중국 본토 6세대 감독을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으로 실사화 영상 스타일로 국내외 영화계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그의 영화는 변화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거대한 시대적 변천 속 소시민의 운명과 사회적 위치를 심도 있게 보여준다. 초기 실사화 촬영에서부터 재치 있는 줄거리 통합에 이르기까지, 지아장커의 작품은 점점 더 많은 관객의 인기를 받으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의 영화는 종종 소외 인물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삶 속에서 느끼는 외로움, 혼란, 불안 등 감정을 반영한다. 지아장커의 영화에 대한 수많은 학술 연구와 연구자 논문은 주로 실사 미학 스타일의 연구, 영화 속 소외된 소시민 영상에 관한 심층 분석, 서사 스타일에 관한 연구, 영화 주제 탐구 등에 집중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기존 연구는 주로 전통 영화 연구의 틀 속에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아장커의 영향력이 국내외로 크게 확장되면서 학계에서는 지아장커 영화의 사실주의 스타일, 향수 정서 및 시청각 특징 등 새로운 분야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아장커 영화에 등장하는 기호에 관한 해석과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로트만의 영화 기호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지아장커 영화 연구의 새로운 관점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화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주제 선정 목적과 의의, 연구 현황과 혁신을 소개한다. 제2장은 주로 영화 기호학 이론에 관해 서술하며, 그중 영화 기호학의 발전을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의 창작 과정과 그가 창작한 영화를 통합하여 미적 분석을 진행한다. 제4장에서는 지아장커 영화의 서사 기호를 분석하여 영화 속 인물, 사건, 주제적 상징에 초점을 맞추고 지아장커 영화의 서사에서 기호가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밝혔다. 제5장에서는 지아장커 영화에 등장하는 이미지의 미학에 대한 기호 분석으로, 지아장커 영화에 등장하는 그림, 소리, 사진 기호를 분석하고 이들이 영화의 주제와 감정을 어떻게 전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제6장에서는 주로 지아장커 영화의 문화 기호를 소개하며, 사회 기호, 정치 기호와 역사 기호에 대해 분석하여 작품 이면의 문화적 함의와 현실적 의미를 탐구한다. 제7장은 결론 부분이다. 본 논문은 로트만의 영화 기호학 관련 이론을 기반으로 지아장커의 영화를 해석하고, 그의 영화에 등장하는 기호의 독창성과 가치를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Jia Zhangke (賈樟柯) is one of the leading directors of the sixth generation of mainland Chinese directors, whose live-action style has captured the attention of the film industry at home and abroad. His films are set against the backdrop of changing times and explore the fate and social position of ordinary people in the midst of great epochal changes. From his early live-action filming to his witty plot integration, Jia Zhangke's work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nd recognized by audiences. His films often show the lives of marginalized characters, reflecting the emotions of loneliness, confusion, and anxiety that humans feel in their lives. Numerous academic studies and researchers' papers on Jia Zhangke's films mainly focus on the study of live-action aesthetic style, in-depth analysis of the images of marginalized minorities in his films, research on narrative style, and exploration of film themes. To summarize, existing research is mainly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film studies. However, as Jia Zhangke's influence has greatly expanded at home and abroad, scholars have begun to explore new areas such as the realist style, nostalgic sentiment, and audiovisual features of Jia Zhangke's films. Nevertheless, the interpretation and study of symbols in Jia Zhangke's films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in the study of Jia Zhangke's films by taking Rothman's film semiotic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This study explores Jia Zhangke's film using Rothman's semiotic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ymbols in Jia Zhangke's film from various perspectives using Rothman's semiotic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or the study of Jia Zhangke's film. Chapter 1 is the introductory part, which introduc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topic,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and innovations. The study begins with Jia Zhangke's debut film, The Return of Xiaoshan. Through semiotic theory, the content representation of Jia Zhangke's film is examined and fully analyzed, and combined with related analyses to accurately grasp the implementation of semiotic theory in Jia Zhangke's film in an all-round way. Chapters 2 through 6 are the main body of the thesis. Chapter 2 is a description of film semiotics, focusing on the origins and definitions of semiotics and its applications in film. It is mainly about the theory of film semiotics, summarizing the development of film semiotics. Chapter 3 is a summary of Jia Zhangke and his films, including the formation of his creative thinking and the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his cinematography. It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using Rothman's film semiotics to study Jia Zhangke's work. Chapter 4 is a semiotic analysis of the aesthetics of images in Jia Zhangke's films, analyzing the pictorial, sound, and photographic symbols in Jia Zhangke's films and how they convey the themes and emotions of the films. Chapter 5 analyzes the narrative symbols in Jia Zhangke's films, focusing on the characters, events, and thematic symbols in the films and revealing the important role that symbols play in the narrative of Jia Zhangke's films. Chapter 6 discussed the cultural, national, and brand values of the symbols in Jia Zhangke's film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 filmography. The final chapter, Chapter 7, summarizes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thesis focuses on interpreting Jia Zhangke's films through Rothman's theory of film semiotics and exploring the uniqueness of the symbols in his films and the symbolic values they form.

      • 중국 지아장커(賈樟柯) 감독의 작가주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류강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51

        현재 영화학 연구에 있어 지아장커(贾樟柯) 감독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지아장커 감독의 “작가주의”에 대한 이론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주의”를 중심으로 지아장커 감독의 <소무(小武)>, <세계(世界)>, <스틸 라이프(三峡好人)>, <천주정(天注定)> 이렇게 네 편의 영화에 대한 내용을 결합하여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 스타일을 분석, 비교적 선명하게 나타나는 지아장커 감독의 “작가주의” 이미지를 묘사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작가주의”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 “작가주의”의 발전 추세를 귀납, 종결했다. 초창기부터 “작가주의” 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3세대(第三代), 4세대(第四代) 감독들부터 5세대(第五代) 감독들까지, 중국의 영화감독들은 점차 선명한 특징을 가진 작품을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 영화시장의 구조 전환과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의 영향으로 인해 5세대 감독들은 상업과 예술 사이에서 배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 영화시장에서의 “작가주의” 스타일은 점차적으로 사라져가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6세대 감독의 경우 사회적 환경의 영향으로 처음부터 강렬한 “작가주의”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각 감독의 선명한 개성이 담긴 독특한 영화 작품들이 탄생했다. 이러한 6세대(第六代) 감독들 중 지아장커 감독의 “작가주의” 스타일은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중국영화에서의 ‘작가주의’ 스타일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근 중국 영화에서 나타나는 현황에 대해 간단하게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중국 영화계가 끊임없이 발전해나가는 동시에 우려의 소지가 있는 문제점들도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시장의 격렬한 경쟁과 방대한 자금 투자로 인해 맹목적으로 흥행 수익과 상업적 이윤만을 목표로 삼는 실태가 만연하면서 업계 내부의 영화에 대한 평가 기준이 점차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결과 현재 중국 영화시장에는 로맨스 영화, 판타지 영화, 액션 영화가 과도하게 출현하면서 상업적 측면만을 내세운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영화의 심미적 속성의 하나인 예술은 시장에서 유통되는 영화의 상품적 속성에 의해 가려지게 되었으며, 흥행 여부가 영화의 우열을 가리는 주된 조건이 되었다. 팬들에게 호소력이 있는가에 대한 여부, 유명 스타들을 섭외한 화려한 캐스팅의 여부, 대중들의 입맛에 맞는 세속적인 주제와 플롯을 활용하였는지에 대한 여부, 유행하는 시청각적인 자극 수단을 활용하였는지에 대한 여부 등은 모두 흥행 수익을 확실히 끌어 올릴 수 있는 결정적인 요소이자 영화의 우열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 이처럼 오직 흥행 성적만을 논하는 주된 시장의 메커니즘 속에서 전통적인 의미의 예술 영화는 다른 상업 영화에 비해 영화 배급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다. 대부분의 예술영화는 분산 투자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배우 캐스팅 측면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예술영화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지아장커 감독의 첫 작품부터 지금까지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지아장커 감독이 지속적으로 “리얼리즘” 영화 스타일을 고수해 왔으며, 선명한 “작가주의”적 특징을 보여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항상 사회적으로 소외된 소시민들의 삶과 사회적 변천, 시대의 발전에 관심을 가져왔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의 영화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고정불변의 주제들이다. 영화에 쓰이는 비정상적인 서사 전략 또한 전통 영화의 서사전략 모델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사구조와 방식 측면에서는 방대한 사회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적 소외계층에게 카메라의 시선을 돌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과 사회의 변두리에서 살아가는 소외계층들의 삶을 중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외에도 그는 리얼리즘을 반영하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인물, 환경, 생존에 대한 사고와 평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대중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일부러 연출하지 않은 듯한 자연스러운 생활의 잔상을 담은 서사장면은 지아장커 감독만이 지닌 시적인 정취와 미학을 불어넣어주고 있다. 지아장커는 “리얼리즘”을 통해 서민의 일상생활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였으며, 사회적 소외계층의 생존 상황에 대한 관심과 우려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이 외에도 독립 제작 방식을 통해 중국의 영화 제작업계에 큰 깨우침의 메시지를 전달해 주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영화로 하여금 감독의 창작스타일을 재현해내는 역할을 하며, 창작 원칙을 고수해 주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처럼 지아장커 영화는 매우 선명한 “작가주의” 정신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실속 없이 겉만 화려한 연예계에서 상업적 이윤의 적나라한 속임수에 넘어간 수많은 감독들은 자신이 처음에 지녔던 창작사상과 초심을 잃은 채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지아장커 감독은 이러한 감독들과는 달리 자신의 신념을 고수한 채 소비주의와 상업성만을 추구하는 영화계의 변화 속에서도 중국 영화 산업의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한편, 그가 영화 속에서 재현하고 있는 사상과 신념은 중국 영화산업의 자존심이자 가치로서 높은 평가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는 사회와 개인에 대한 깊은 관심과 영화예술 자체에 대한 고집스런 탐색과 노력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에서는 사회적 책임감과 예술적 책임감의 통일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실적 미학 스타일에 대한 그의 고집과 그의 영화가 거둔 성공은 중국 영화의 제작 분야에 큰 깨달음을 시사하고 있다. At present, the academia has done many researches on Zhangke Jia’s films, but not on Jia’s autuerism. This paper is designated to analyze features of Jia’s films through discussing autuerism in four of Jia’s work, “The Pickpocket”, “The World”, “Still Life” and “A Touch of Sin”, and to portrait unique features of Jia’s autuerism. By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utuerism, this paper summarizes the development of autuerism of Chinese directors, from the germinal of autuerism of the third- and fourth-generation directors, to the lingering between being commercial and being artistic of fifth-generation directors, and to the mature sense of autuerism of the sixth-generation directors. Among the six-generation directors, who express unique features from their films thanks to the social environment, Jia is the most renowned. To analyze the autuerism of Chinese directors, this paper briefl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dom and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with development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several worrisome situations emerged. As the competition becomes more and more dramatic as well as more and more investment gets injected into the industry, insiders’ comments on the films are more and more negative even though the box office brings tremendous revenues. Romance films, fantasy films and action films occupy almost all the cinemas and the box office becomes now the only matter to judge a movie’s quality. Actors and actresses that are attractive enough for the public, themes that cater for the public and special effects that are exciting enough for the public become methods to increase the box office and make a movie highly raked. Under this circumstance, traditional art films will definitely be neglected comparing to popular commercial films when it comes to the distribution in cinemas. This, on the other hand, worsens the situation of art movies as fewer actors would like to be enrolled and less money would be invested. Ever sicne Jia’s first film, Jia has deveopled a continuous feature of realism and a unique autuerism. Focusing on the changing lives of ordinary people under social development has been an immortal theme of Jia’s films. He also breaks the tradition method of narrative by using unlinear narrative. He abandons the macro structure and method of narrative; instead, he turns the camera to the lower class of the society and portraits those ordinary people who live just along us but are easily to be neglected. Jia’s realistic feature leaves more room for audience to comprehend and judge characters, environments and subsistence in the films. Casual and lively method of narrative endows Jia’s films with poetic esthetics. Being realistic, Jia has filmed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expressed his converns towards the weak ones in the society. In addition, Jia also inspired the film production in China through his independent production where creative features and principles can be comprehensively illustrated and defended. All these give Jia’s work a strong sense of auteurism. Attracted by commercial benefits, many of Chinese directors deviate from beliefs; however, Jia stands out by defending what he believes at the very beginning and therefore shows more possibilities in the industry, making Jia one of the proud in the Chines film industry. In his film, Jia injects both his care about the society and the individual and his cling expedition into the art of film itself. Jia successfully unites these two elements in this film. His belief in the realistic esthetics and his success in the box office are very inspiring to the Chinese film industry.

      •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 <천주정>작품 연구

        주설함 청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51

        본 논문은 중국의 6세대 감독 지아장커(贾樟柯)의 영화 <천주정>(2013)을 연구하고자 한다. 지아장커의 여러 편의 영화들 중 <천주정>을 연구하게 된 것은 이전의 작품들과 달리 강한 시각적 충격을 주고 작품 완성도와 중국의 현대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는 영화이고,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연구된 사례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아장커가 이 영화를 찍게 된 계기가 무엇이고, 이 영화를 통해 무엇을 반영했는지 고찰하고자 했다. <천주정>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러티브 분석, 캐릭터 분석, 인물 간의 대립관계 분석 및 시각적 스타일(공간, 소도구, 동물)에 대해 주로 분석을 하였다. 이 논문은 지아장커 감독의 뉴스개편 영화 작품 <천주정>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을 확정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정하였다. 제2장 지아장커 감독의 작품에 대한 개론 및 작품 평가. 제3장은 <천주당>의 창작 원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4장 신문 사건의 영화화 발전에 대한 논술 뉴스 사건과 영화 텍스트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해독을 통해 실기미학 이론을 결합함으로써 신문 개편은 시대 발전의 필연적 산물이다. 2013년 제작된 《천주정》은 이전 영화에서는 자본화의 흐름과 그것이 유발하는 사회 구조적 모순의 틀에서 방황하거나 혹은 순응하는 형식으로 하층민의 삶을 묘사하였지만, 《천주정》에서는 이전 영화에서는 보이지 않던 선혈로 스크린을 물들이는 폭력의 잔혹함이다. 지아장커 영화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복수가 사적인 원한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사회적인 시스템에 대한 저항인지는 차후 다시 논의하겠지만, 기존 그의 영화들을 살펴보면 《천주정》에서 나타나는 폭력의 잔혹함은 급작스럽게 돌출된 것이 아니라 그 이전의 영화에서 잉태되어 있던 폭력의 씨앗의 발현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폭력과 폭력의 진화에 대해 주목한다면, 이는 지아장커 영화의 현대 중국의 재현에 대한 동선을 따라갈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천주정》은 이러한 실마리를 풀어나갈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 또한, 뉴스를 각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뉴스 개편 영화의 발전 방향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뉴스 사건의 선정에서부터 뉴스 사건의 짜 맞추기, 조합 및 전파 의의에 이르기까지, 모두 빈틈없는 창작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은 신문 개편 영화 발전의 필연적인 의의와 영화산업 발전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As representive of “the sixth 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 has consistently adhered to the documentary image style and humanistic care for real life. He has formed its own unique artistic style and made a difference in contemporary movies. With the change of the film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film market,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growth of his own experience, the artistic style of Jia Zhangke's films has also changed. From "forbidden to shoot" to famous both at home and abroad, the persistence of Jia Zhangke's artistic style shows his deep humanistic concern, and changes show that he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film market. This paper takes Jia Zhangke and his movie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summarizes his creative background and theoretical sources. According to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film, his creative stage is combed and divided.The exploration stage provided experience and direction·for Jia Zhangke's future creation, the mature stage was a relatively stable stage. The metamorphosis stage is a period of change.The changes of Jia Zhangke's style are mainly manifested in the change of narrative structure from fragmentation to plate, the narrative space from the hometown to the world, the creation of the discourse from the individual to the mainstream, the theme from the edge to the public. Though the use of symbols to show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fate of the characters and the culture of thinking. At the same time, he began to integrate commercial elements into the film,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art and business of films.This paper mainly uses text analysis method and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persistence and change contents of Jia Zhangke film's artistic style.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film market, this paper analyzes the marketing strategies of Jia Zhangke's films and the influence on contemporary film.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how to balance the artistic and commercial nature of the film is not only the problem of the film market, but also the problem that the director needs to think in the creation.

      • 지아장커(賈樟柯)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인물 서사에 대한 연구

        리우위시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51

        지아장커의 영화 속에서 모든 인물들이 보여주는 이미지는 단순히 사회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인물의 이미지에 다양한 서사를 부여함으로써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대표적인 특징을 갖게 되어 작품에 예술적 통일성을 담아낸다. 이에 관객들은 관심과 공감, 동정심과 사랑, 미움과 같이, 일상생활 속에서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경험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미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지아장커 영화 속 인물 서사 연구를 통해 사람들의 생활과 경험의 범위를 보다 확장하고 영화 속 인물들이 영화 속에서 대표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지아장커의 영화는 주로 서사 연구가 필요한 사회 소외계층과 실의에 빠진 무력한 도시의 퇴직 노동자, 타향에서 돈을 버는 노동자, 사회에서 소외된 서민, 창백하고 우울한 소년 등을 담아낸다. 이는 중국에서 개혁·개방이 이루어지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사람들의 모습을 현실 그대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아장커의 영화 서사를 통해 중국의 시대와 역사를 구현하였고 관객들은 방대하면서도 정교한 중국의 현대 사실주의를 볼 수 있었다. 지아장커의 영화 속 인물들은 시대적 진실과 내면의 위기 속에서 크게 요동쳤고 사회 현실을 폭로하고 시대적 배경을 보여주면서 인성의 다양성과 현실의 잔혹함을 몸소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지아장커 영화의 서사는 현재 거대한 제작 스케일과 중국의 전통 가치관을 찬양하는 중국 영화에 독특한 영상 미학의 가치관을 더하며 영화 제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아장커 영화의 인물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문헌연구 방법과 텍스트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지아장커 영화 속 서사의 텍스트에 대해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분은 서론으로,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연구 필요성,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선행연구 분석에 대해 논하였다. 제2부분은 인물 서사 표현, 인물 서사 공간과 윤리·도덕, 인물 서사의 캐릭터 특징, 인물 서사 속 경관의 역할 및 인물 서사의 영상 미학 연구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3부분은 결론으로, 지아장커 영화 속 인물의 근원은 이탈리아의 신사실주의 영화와 중국 현실주의 영화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지아장커의 실제 성장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대표적인 인물로 볼 수 있다. 이에 지아장커는 중국 사회 현실과 소외계층의 생활, 그리고 정신적 위기를 심도 있데 보여주면서 동시에 인간에 대한 배려와 사회에 대한 관심을 전달한다. 그러나 동시에 인물의 서사에 중국 영화 검열 시스템과 중국 전통의 도덕관, 가치관으로 인해 아직까지도 한계가 존재한다. In Jia Zhangke's films, any typical characters, is not just a single social experience of the reshaping, only through rich narrative characters, make the movie characters representative, can make the film with artistic unity, and then make the audience has not yet grasp the understanding of other possible experience, such as interest and resonance, empathy and love and hate, this is necessary for human life.It is based on such an aesthetic standard that the study of the character narrative in Jia Zhangke's film has greatly expanded people's experience in real life, so that the characters in the film themselves have become indispensable classic images in the film world. Jia Zhangke's films present for us such a group of social fringe groups with narrative research value, down and helpless, laid-off urban workers, workers in a foreign land, "common people" on the social edge, pale and melancholy teenagers, and so on.These figures in the context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re attached to the real world through Jia Zhangke's films and complement each other.Through Jia Zhangke's film narrative, he writes the history of The Times, weaving a huge and exquisite real history book of modern Chinese realism for the audience.Jia Zhangke characters in the film between the real and the inner dilemma, in the social life and show time background at the same time, witnessed the cruelty of human diversity and reality, also to already accustomed to grand production and praise of Chinese film added a unique image aesthetic value and film creation. This paper takes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s in Jia Zhangke's film as the main line throughout the full text, and is committed to carefully examining the narrative text in Jia Zhangke's film wit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and specific text analysis.The full text is divided into three parts.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Summarize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necessity, research method, research scope and advance research of this topic; The second part is the main part of the paper, Including the character narrative language, character narrative space and ethics, character narrative role characteristics, the role of landscape in character narrative and the image aesthetics of character narrative research; The third part is the conclusion: the characters of Jia Zhangke's film are not water without a source, It can be traced back to the predecessor of Italian new realism film and Chinese realism film, It is a typical character image created by Jia Zhangke's real growth experience, While profoundly exposing the reality of Chinese society and the life and spiritual difficulties of marginalized people, Jia Zhangke also conveys his concern for people and his concern for society.At the same time, due to the Chinese film censorship mechanism and the traditional Chinese moral values and values, the narrative of such characters still has certain limitations.

      • 장이모우(張藝謀)와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의 지역문화적 특성 연구

        진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32

        본 연구는 장이모우와 지아장커 영화의 지역문화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배경, 목적, 국내외 연구현황, 의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서술했다. 제2장에서는 지역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역사의 발전 과정을 서술했으며 중국에서의 지역문화 발전 현황과 중국 영화 속의 지역 문화적 특징을 서술했다. 동시에 두 감독의 생애와 지역문화의 관계를 묘사했다. 제3장에서는 지역 문화가 장이모우와 지아장커 영화에 미친 영향과 영화 실례를 분석했으며, 삼진(三秦)문화와 삼진(三晉)문화의 주요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두 감독의 영화적 영감의 주요 원천을 설명했다. 제4장에서는 두 감독의 민속적 인본주의와 지역문화적 인본주의상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감독은 지역문화의 특징에 차이가 있지만 서로 다른 서사와 주제를 통해 깊은 사회적 의미와 인간적 배려를 보여줬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Zhang Yimou and Jia Zhangke’s film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status, purpose, significance, content and methods of this topic. The second chapter clarifies the concept of regional culture, briefly describes its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expounds its development in China and speciall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in Chinese films. At the same time, it also introduces the life experiences of the two directo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regional culture. The third chapter introduces the influence of regional culture on the two directors and the examples of the films. It also explains the inspiration for the two directors' films. Finally, The fourth chapter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two directors in folk humanism and regional cultural humanism.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although the two directors have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reation of their films, they both show profound social significance and humanistic concern through different narratives and themes.

      •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의 노동자 이미지 연구

        설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03

        지아장커는 차분하고 객관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사용하여, 사회 변화와 함께 지위 변화를 겪는 노동자들의 모습을 담은 많은 작품을 만들었다. 본 논문은 지아장커의 영화 중에서 <샤오산의 귀가>, <임소요>, <플랫폼>, <세계>, <스틸라이프>, <24시티>, <해상전기>, <천주정>에 등장한 노동자 형상을 분석하면서 지아장커의 독특한 영화 스타일을 탐구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장은 선행 연구 검토와 함께 본 논문의 연구 대상,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을 서술했다. 제2장은 지아장커 영화의 창작 과정을 시간순으로 진행하는 연구했다. 제3장은 지아장커가 특유의 절제된 내러티브와 영화기법으로 구노동자의 지위 변화를 그려내었음을 설명했다. 제4장에서는 지아장커 영화가 노동 계급 중에서도 ‘농민공’ 집단을 재현하는 다양한 양상들을 분석하였고 제5장은 결론으로 마무리 지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리얼리즘의 측면에서 지아장커는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의 중간 지점을 지향하고 있다. 극영화에서는 라디오 소리, 텔레비전 소리, 현장소리 등의 사운드를 사용하였고, 카메라 기법 면에서 롱 테이크와 고정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효과를 만들었다. 또한 다큐멘터리 작품에서는 전문 배우가 연기하는 허구적 인물을 추가함으로써 극적인 요소를 추가하였다. 지아장커는 <임소요>, <플랫폼>, <24시티>, <해상전기>에서 사회주의 시기의 구노동자들이 옛날의 영광스러웠던 지위에서 현재 저층으로 몰락하는 모습을 그려내었고, <샤오산의 귀가>, <세계>, <스틸라이프>, <천주정>에서는 농민공들의 도덕성이 약화된 모습과 선량한 본성을 유지하는 모습, 생존을 위해 타협하는 모습, 그리고 존엄성을 상실하는 모습을 각각 보여주었다. Jia Zhangke has created many works depicting the changing status of workers in society using a calm and objective documentary style. This paper explores Jia's unique film style by analyzing the images of workers in his films such as "The World," "Platform," "Still Life," "24 City," "A Touch of Sin," "Mountains May Depart," "Ash Is Purest White," and "Swimming Out Till the Sea Turns Blue." The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1 outlines the research subject, objectives, methods, and contents, as well a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Chapter 2 examines Jia Zhangke's creative process in chronological order. Chapter 3 explains how Jia uses his distinctive restrained narrative and film techniques to depict the changing status of workers. Chapter 4 analyzes the various aspects in which Jia represents the "peasant-worker" group within the working class. Finally, Chapter 5 concludes the paper. The study finds that Jia Zhangke aim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drama and documentary in terms of realism. He uses sound effects such as radio, television, and on-site sounds in his dramas, and employs techniques such as long takes and stationary cameras to create a more documentary-like effect. Additionally, he adds dramatic elements by including fictitious characters played by professional actors in his documentary works. Jia Zhangke's films such as "Platform," "24 City," "Mountains May Depart," and "Ash Is Purest White" portray the decline of workers' status from their former glory during the socialist era to their current lower class status. Meanwhile, "The World," "Still Life," "Swimming Out Till the Sea Turns Blue," and "A Touch of Sin" depict the weakening morality and maintained dignity, as well as the compromises and loss of dignity, of the peasant-worker group.

      • 소외의 전령: 지아장커(賈樟柯) <천주정>(天註定)의 아웃사이더

        조자명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03

        Whether in the sixth generation of directors or in China's more than 100 years of film history, whether in the Chinese film or the world film industry , Jia Zhangke is the most unique existence. Jia Zhangke, who claims to be a film migrant worker, starts from his own life experience and aims at the outsiders in the period of social transformation. He communicates with the people at the bottom of the society with a sincere and equal attitude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which makes up for the lack of China's bottom marginal films and rewrites the evasive and cowardly attitude of China's film in the face of a series of social problems in the period of social transformation. It has a very profound social literature value and significance. In this thesis, the marginal people are defined as the vulnerable groups in the special transition period in which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national history.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peasants and workers who left their hometown, the homeless without occupation, and the vulnerable women oppressed by men. They are in the dilemma of survival and spirit. Either forced by helplessness or taking the initiative to choose to become a neglected existence in the period of great changes in the country. A Touch of Sin is an artistic rewriting of the violence in the hot news. Through the fate of the bottom characters, it reveals many contradictions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China. The four seemingly unrelated stories are connected with the same core, reflecting Jia Zhangke's social concern and the bottom perspective with full human care. This thesis consists of eight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explains the background, necessity,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Jia Zhangke is a member of the sixth generation of directors in China. It i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Jia Zhangke's film creation to shift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o real lif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tudies Jia Zhangke's works and movies based on the outsiders.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the life and film creation of director Jia Zhangke. Jia Zhangke was born in a small county in Shanxi Province, China. His film learning and creation experience are also different from that of his contemporaries. This is also an important reason for the formation of his realistic style. The third chapter is about the study of Jia Zhangke's film A Touch of Sin. Although A Touch of Sin adapted from news event has not been officially released in China, it had a good response abroad. The re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re regional and epochal and of humanistic concern. The fourth chapter makes an overall analysis of the outsiders in the film. Through careful study of the image data, this paper sums up the common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ginal characters in the film, summarizes three types of marginal characters in the film, and analyzes their living conditions from the material life and spiritual life. The fifth chapter analyz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marginal characters in Jia Zhangke's film A Touch of Sin. Among them, the space objects such as the hometown of the county seat, the strange city, the entertainment places, the post station and so on show the survival dilemma of the outsiders. Through time modeling, carving the history of marginal characters and showing the daily life of marginal people, it shows the powerlessness of marginal people to survive. The sixth chapter analyzes the image language features of the outsiders in A Touch of Sin. Among them, Jia Zhangke used to restore the daily life of marginal people by means of sound and image, such as long shot, broken narration, simple dialect, pop songs, etc., and brought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life and time to the viewers in a real way. The seventh chapter analyzes the social value of Jia Zhangke's films about outsiders. Jia Zhangke's film has very valuable social value. It is like a mirror of the times, recording the daily life of the marginalized groups in the period of social transformation in China. It criticizes the social problems exposed in the period of national transformation to a certain extent, and shows respect for the huge cost paid by the social bottom groups. It is full of humanitarian care and intellectual moral conscience. The eighth chapter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methods of outsiders in Jia Zhangke's film A Touch of Sin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inspiration of this thesis. 지아장커는 중국 제 6세대 감독들 중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 영화 100여 년의 역사 중에서도 중요하며 세계 영화계에서도 독특한 존재다. 영화의 민생노동이라 자칭하는 지아장커는 자신의 생활경험에서 출발하여 그 시야를 사회변혁기의 아웃사이더 인물 군에 집중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객관적 시각으로, 진지하고 평등한 태도로 사회의 아웃사이더 인물들을 영화화함으로써 중국의 아웃사이더 소재 영화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중국영화가 사회변혁시기에 일련의 사회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보였던 도피성과 나약한 태도를, 지아장커는 정면으로 맞섰기에 그의 영화는 사회 문헌적 가치와 의의가 매우 깊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아웃사이더 인물들은, 중국의 대변혁이 이루어지는 특수 전환기에 생겨난 소외계층으로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향을 떠난 농민 노동자, 직업 없이 떠도는 유랑자, 남성에게 억압된 여성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생존과 정신적 이중고에 시달리거나, 어쩔 수 없이 혹은 스스로 자처하여 중국 격변기의 소외된 존재가 된다. 본 논문은 모두 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본문의 연구 배경, 연구의 필요성, 연구 범위,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의 생애와 영화 창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3장은 지아장커의 작품 <천주정>에 관한 연구이다. 제4장은 영화 속 아웃사이더 인물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을 담고 있다. 제5장에서는 지아장커 영화 <천주정>에 나오는 주변 인물들의 서사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낙후된 현성의 고향, 쉽지 않은 타향살이, 여성들의 유흥장소에서의 타락, 역전에서 일자리를 찾는 빈곤층 인물 등의 묘사는 아웃사이더 인물들이 처한 생존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제6장에서는 <천주정>에서 아웃사이더 인물의 영상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아장커는 롱테이크 기법과 투박한 사투리, 유행가 등의 시청각적 요소로 아웃사이더 인물들의 일상을 묘사하는 데 익숙하다. 제7장에서는 지아장커의 아웃사이더 인물을 소재로 한 영화의 사회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제8장은 본 논문의 결론 부분이다. 지아장커의 작품 <천주정>에 나오는 주변 인물의 특성과 창작방법을 요약해 본 논문의 한계와 그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영화 <천주정>은 뉴스에 등장하는 폭력사태를 재구성하였다. 사회 변화 속에서 당대 중국이 안고 있었던 수많은 모순을, 아웃사이더 인물의 운명을 통해 보여 주고 있다. 무관해 보이는 네 가지 이야기를 하나의 핵심으로 연결한 것은, 사회에 대한 그리고 하층민들에 대한 지아장커의 깊은 관심과 인간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