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지리학에 있어서 신문화지리 관점의 경관 독해 : 『달콤한 나의 도시』를 사례로

        오동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학지리학은 다양한 문학 작품 속에 내재해 있는 지리적 지식을 추출하고 그 의미를 철학적 관점을 통하여 구체화하는 문화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그러나 문학지리학은 여러 내·외적 요인으로 인하여 지리학에서 확고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였으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여러 선행 연구도 주로 ‘장소성과 장소상실’, ‘공간의 이미지’ 등의 주제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학지리학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리학의 핵심 개념인 ‘경관’에 주목하고 국내 칙릿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는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를 신문화지리의 관점에서 맥락적 이해에 근거하여 독해하였다. 지역지리의 지식, 실증적이고 구조적인 지리적 변화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 전통적 관점은 인간주의 지리학, 포스트모던 지리학 등을 아우르는 신문화지리 관점의 도입으로 문학지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다. 신문화지리 관점의 도입은 ‘경관’의 독해를 통하여 지리적 가치의 의미를 적절히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문학 작품의 맥락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경관’에 내재해 있는 ‘인간-사회-문화’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독해하는 신문화지리의 관점은 활발한 학제 간 연구를 근거로 학문적 토양을 더욱 풍부하게 다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문학지리학이 추구해야 할 복합적이고 다양한 ‘경관’의 독해의 과정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신문화지리의 경관 연구는 인문경관의 실체를 이론적으로 정립한 문화경관론과 인간주의 지리학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계승 발전시켰다. 경관을 문화적 이미지로 인식하고 환경을 재현하고 구성하며 상징화하는 회화적 방식으로 경관 독해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러한 독해 방법론은 문학·회화·사진·영화 등 재현된 매체에 폭 넓게 적용되어 경관의 내면에 숨어 있는 의미를 밝혀내는 ‘보는 방법’으로 이론화되었다. 신문화지리의 경관 독해 방법은 ‘베일로서의 경관’, ‘텍스트로서의 경관’, ‘응시로서의 경관’의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달콤한 나의 도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시경관을 여성의 관점에서 독해할 수 있다. 서울이라는 공간적 배경과 2005년부터 2006년 6월 5일까지의 시간적 배경을 따라 전개되는 『달콤한 나의 도시』는 ‘결혼’, ‘계급’, ‘개인사’, ‘소비’라는 주요 경관이 주인공의 시점(시선)에서 자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도시의 다양한 경관은 여성에게 ‘인간-사회-문화’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형식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인식은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변화가 내재해 있는 지리적 가치에 근거하며, 작품 속에서 사물화된 형태와 행동화된 양식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기존의 사회질서에 대한 자연스러운 순응과 활용이 드러나는 ‘포스트페미니즘의 경관’, 대도시라면 어디에서나 나타날 수 있는 ‘무장소성의 경관’, 자신을 위로하고 만족하게 하는 ‘보상의 경관’을 두드러진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학지리학의 정체성 확보와 풍부한 연구 결과의 도출은 신문화지리 관점의 도입으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신문화지리 관점의 도입은 문학지리학의 다양한 주제를 ‘인간-사회-문화’의 총체적 관점을 통하여 연구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학의 핵심 개념인 ‘경관’에 주목하여 문학지리학의 지평을 넓혀 보려 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새로운 출발점이 되어 문학지리학 연구가 더욱 본격화되고 다양화하기를 기대한다.

      • 地形의 變化原理와 現象에 對한 風水地理學的 硏究 : 自然地理學과 風水地理學의 解釋上 類似性을 中心으로

        장정환 동국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지리학은 역사와 정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 인간의 삶 속에서 출발하여 형이상학적인 우주관과 환경관을 형성하였다. 인간의 공동체적 삶이 전개되면서 지리학은 실용성을 겸비한 학문으로서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문명이 발달한 후부터 자연과의 관계정립을 어떻게 하느냐가 늘 관심의 대상이었다. 인류역사와 함께 지리학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오랜 세월 동안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지표면의 자연환경과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활동과 인간에 의해서 구성되는 지역의 형태 및 변화과정에 대한 이론적이며, 기술적인 설명이 지리학문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현대사회에 와서는 고대사회에서의 수학적 연구방법에서 철학적인 기반을 둔 이론적 접근이 새로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지리학은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지표를 대상으로 지표상의 자연환경의 영향과 이에 대한 적응, 그리고 이를 극복하여 생활을 영위하면서 이룩하여온 삶의 터전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 있어 현대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개념에 대한 사용은 이미 지리학계에서 시대적 구분으로 설정되어진 개념으로, 광복을 전후해서 광복이전 동양적 지리학을 전통지리학으로, 이후 서구적 관점의 지리학을 현대지리학으로 하여, 현 지리학계에 이미 정립되어진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고에서는 연구주제의 특성과 연구영역 및 범주에 따라 현대지리학에서는 자연지리학 영역에 속하는 일반론을, 전통지리학에서는 한국 자생적 풍수지리론인 도학풍수지리(道學風水地理)와 유자(儒者)들의 산수기행문(山水紀行文: 山水遊覽文)을 대상으로 문헌적 연구영역을 설정하였다. 주제(主題)와 소제(小題)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고의 목적은 자연지형(自然地形)의 변화에 대한 동양적 철학원리와 변화현상(變化現象)에 대한 풍수지리학적(風水地理學的) 해석(解釋)에 관한 것으로 현대지리학(現代地理學)과 전통지리학(傳統風水地理學)의 자연지형변화에 대한 유사성 내지는 동일적(同一的) 관점(觀點)을 찾아 동서신구(東西新舊) 지리학(地理學)의 상호보완으로 지사학(地史學)의 새 지평(地平)을 열어 국학(國學)으로 서의 지리학 위상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 위해 현대지리학과 전통지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지형의 변화현상에 대하여 현대지리학인 자연지리학에서 바라보는 변화현상에 대한 관점은 무엇이고, 한국의 전통지리학인 풍수지리학에서 바라보는 지형변화에 대한 관점은 무엇인지를 고찰할 것이다. 그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동일적(同一的) 관점(觀點)을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정량화와 수학적 원리로써 과학화를 추구하는 일련의 현대자연지리학적 관점과, 정성적 표현으로 철학적 사유체계(思惟體系)를 기저(基底)에 깔고 있는 전통지리학은 상당부분 이견의 폭을 좁히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 또한 주지(主旨)의 현실이다. 이는 현대지리학에서 연구방법과 목적에 따라 분류방법을 달리한다는 이중적 이원성과 같이 자연지리학과 풍수지리학의 관계 또한 연구방법에서 과거와 현대, 정성과 정량 또는 철학적 지리와 과학적 지리라는 관점상의 차이일 뿐이므로 이 양자간(兩者間)은 이중적 일원성내지 일원적 다원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지리학은 원래 종합과학으로써 앞으로 자연지리-인문지리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통합적인 연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지난 세기에 지리학은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을 마치 협력할 수 없는 것처럼 갈라놓았던 것이 현실이며, 공간분석지리학과 사회문화지리학의 접근을 분리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해왔다. 이제 지리학자들은 자연-인문, 공간분석-사회분석, 정량-정성, 신-구, 전통-현대 등의 이분법적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모두를 포괄하는 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통합적 연구를 위해서는 자연과 인문의 이분법적 사고를 탈피하여야 한다. 인문지리학자와 자연지리학자의 지속적인 협력과 상호교류를 통한 학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아울러 전통과 현대로 구분되는 이분법적 틀에서 서로가 벗어나려는 다원적 일원성이라는 통시적(通時的) 사고를 가져야 한다. 한국지리학연구가 서구의 계량적 현대지리학 이론에만 의존할 경우 우리는 학문선진국이 될 수 없다. 전통시대의 사상과 이론을 현대사회에 접목시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통시대의 한국지리학연구에 대한 이해와 분석 및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난 수 백 년 유교시대의 경서(經書)의 지위나 권위가 아닌 위서(緯書)로써의 풍수지리학은 환경과 인간, 지리와 인간, 천문과 인간이라는 관계설정에서 상생적 관계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려했던 실학적 자연지리학 내지 생활지리학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와서 철저히 외면되고 배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풍수론의 논리로 현대자연지리학에서 말하는 지형변화에 대한 이론에 있어 해석상(解釋上)의 유사성내지는 동일성(同一性)이 있는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고 어떠한 측면에서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필요성에 의해 연구방법으로써 현대 자연지리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지형변화현상의 하위개념으로 지각(地殼)과 지형의 운동 및 변화, 산지지형, 하천지형, 해안지형과 기타 자연과 인문지리영역에서 자연환경의 변화요소와 관련한 내용까지 포함하여 연구되었다. 그 범위에 있어서는 현재 지리학분야에서 일반론으로 통용되고 있는 자연지리서와 지형관련 서적의 주요 내용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한 서지학 연구를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통 자연지리 영역에서의 연구범위로는 지리지나 고지도 등은 제외하고 풍수지리와 자연지리관에 대한 연구로서 선인(先人)들의 산수기행문(山水紀行文)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지형의 변화에 대한 표현과 기록 및 자연철학을 대상으로 전통과 현대 지리학적으로 학술적인 자료적 가치가 있는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의 전통지리인 풍수지리학에서는 이기풍수론과 형기풍수론의 논리체계로서 자연의 변화원리를 다루고 있는데, 본 연구는 풍수지리학의 원리적 논리체계에서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대한 형상(形象)과 형질(形質: 形相)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자연의 변화현상에 대한 함축된 의미를 활용하여 지형의 다양한 변화현상에 대한 관점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내용에 있어 자연지리학의 경우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학회지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논문에서 자연지형의 변화현상과 관련된 연구논문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다음으로 주요 자연지리서에서 계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요내용 가운데 일반론으로 정립된 지형변화의 성인적(成因的) 측면, 과거지형과 현재지형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들을 유출하여 고찰하고 활용하였다. 그 과정에 대한 정성적(定性的) 혹은 동양적 사유체계(思惟體系)라 할 수 있는 지리철학적 대상으로써 지형의 변화현상을 서지학적(書誌學的) 측면에서 연구 분석하였다. 주요 서지적 고찰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에서 지구와 기후, 지각과 지형, 산지와 하천 지형, 빙하와 해안지형, 식생과 토양 및 해양의 변화와 현상에 대한 일반론에 대하여 지리적 사유체계로 분석 연구되었다. 그러나 때로는 지역지리적 측면과 도시⋅식물⋅환경⋅역사문화 지리학에 대하여도 일부 다루었는데, 이는 전통지리와의 상호 관련성을 외면할 수 없다는 현실성 때문에 병행하면서 연구되었다. 다음으로 전통지리학에 대한 연구내용에 있어서도 자연지리학의 경우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자연지리적 변화현상에 대해 가장 정확한 기록문서인 산수유록(山水遊錄)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는바, 우리는 그동안 자연지리적 변화현상에 대해 전통지리에서는 지식체계가 전부(全無)하고 지형에 대한 지리적 인식이 없는 정성적 지리관만이 우리 선조들의 지리사상이라고 간주해 왔다. 그러나 한국의 자연과 지형에서부터 역사와 문화 및 자연식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리정보를 산수유록(山水遊錄)이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측면의 분석대상인 풍수지리학의 경우에 있어서는 음양의 형이상하적 정의에 따라 이미 풍수론으로 정립되어진 주요 이론에 근거하여 그 원리를 도출하여 지형지세(地形地勢)에 따른 함의(含意)로써 지형의 변화원리와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에는 동양의 철학사상 즉 우주관에서 태극론 에 , (太極論) 이르기까지 지리철학과 관련한 문헌적 고찰도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현재의 지리학계에서 전통지리에 대한 관심도가 비교적 낮고 계량적 논리실증에 입각한 인문・사회지리학이 우선시되는 경향에서 향후 전통지리학이 걸어 나가야 할 길이 형극(荊棘)의 길이기 때문이다. 모든 만물(萬物)이 그렇듯이 풍수학도 일반화되고 객관성 있는 학문으로 현대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인접학문과의 다학적(多學的) 연대를 통해 모두가 공인하는 실학적 이론과 논리체계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에 논자도 동의한다. 따라서 풍수학의 특성상 일정부분에 대한 통계적이고 수리적인 정량화와 함께 논리실증적 사고의 유연성도 가져야 한다. 논자는 한국적 풍수관으로 이 시대에 자연과 함께하는 미래지향적 풍수학의 나아갈 방향으로 학문적 외연과 교류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다학적 네트워크를 통해 풍수학이 타학문과 공생하면서 과학적이고 객관화된 학문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전통지리학을 외면하거나 편향된 학문적 자세에 대한 모두의 성찰(省察)이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논자는 몇 편의 기행산문을 전통적 풍수지리와 현대적 자연지리와 접목하면서 유자(儒者)들의 사상과 철학 및 지리학의 기저에 풍수학에서 다루고 있는 상당부분의 지식체계가 깔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보편적 타당성으로 일반화된 현대지리학의 내용에 대하여 상당부분에 훨씬 앞선 시기에 지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자연지형의 변화현상에 대한 성인적 관찰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동양의 지리적 관점은 자연과의 공존과 공생(共生)이라는 소통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사신사론(四神砂論)과 규봉론(窺峰論) 및 산형론(山形論) 등에서 조응(照應)관계로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지구라는 행성의 변화는 음양오기운동(陰陽五氣運動)의 변화이며, 지구는 결코 정적(靜的)이지 않고 끊임없이 음(陰)의 우선운동성(右旋運動性)을 가진다. 지구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하위 폐쇄계에서 다양한 변화를 야기 시킨다. 인간이 거주하는 지구환경 속의 지표면은 자연한 법칙에 의해 역동적으로 끊임없이 새롭게 변하는 대상이지만, 자연환경 그 자체는 아주 연약한 대상으로 인간의 간섭에 쉽게 상처를 받는다. 우리는 자연 그 자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환경적인 구성요소와 자연경관을 구성하는 모든 자연지리적 요소들의 특징 및 음양오기(陰陽五氣)에 대해 살펴보아야 하고, 각종 자연환경과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지표상의 공간적 분포, 그리고 이들 하위 시스템간의 기본적인 상호관련성에 대하여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현대지리학의 외연을 넓히고 지리학자들에게 자연변화현상의 지리적 해석에 대한 다양한 식견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인 자연지형의 변화원리와 현상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에 있어 현대 자연지리학과 전통 풍수지리학의 해석상 유사성(類似性)과 동일적(同一的) 관점이 상당하고 이는 풍수지리학이 사장(死藏)되는 지리학이 아니라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한국의 전통지리학으로서의 학문적 가치가 충분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현대지리학의 주요 이론으로 정립된 이론 가운데 자연과 지형의 변화현상에 대해 상당부분에서 정성적 표현으로 기술되고 있는 점은 풍수지리학에서 표현되는 정성적 표현과 유사성을 같이 한다. 둘째, 유자(儒者)들의 산수기행문 등 전통지리학의 범주에 속하는 많은 지리적 정보에서 한국의 선유자(先儒者)들도 해박한 지리정보와 지식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풍수지리학과 유자들의 산수기행문에서 다루고 있는 지형변화에 대한 성인적 분석, 용어상의 표현에 있어 관점상의 차이가 있으나 현대 자연지리학의 학문적 영역으로 수용하여 연구되어야 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넷째, 서해 굴업도의 해안지형 변화에 대한 사신사론적 연구결과 지형변화에 대한 자연지리적 연구방법에 있어서 일정부분 풍수이론과 같은 전통 지리적 해석으로 연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 '여성친화도시' 정책의 비판적 검토 : 페미니스트 지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이민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연구의 목적은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한국 ‘여성친화도시(Women Friendly City)’ 정책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페미니스트 지리학과 여성친화도시 정책의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여성친화도시 정책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론적 개념에 비추어 재해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이론적 대안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한국의 ‘여성친화도시’ 정책이 지닌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의 내용이 ‘돌봄, 가족, 일 · 가정 양립’으로 수렴되어 여성성을 ‘모성’과 ‘약자’로 축약하고 있다. 둘째, 공간 개념에 대한 편협한 이해로 인해 정책의 내용이 물리적 공간의 변화에 치중되어 있다. 셋째, 정책의 기반을 이루는 이론적 논의의 결핍이 정책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정책이 지닌 문제점은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공간의 덫(spatial entrapment)’ 개념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공간의 덫이란 여성이 마주하는 공간적 차별이 다시금 사회의 차별로 연계되어 고착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이론적 전략으로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역설적 공간(paradoxical space)’ 개념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역설적 공간은 공(public)/사(private)와 같은 이분법으로 구분되는 공간이 아닌 기하학의 공간처럼 상호 중첩적이고 안과 밖이 교차하며 연결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다소 복잡한 역설적 공간의 개념을 정책에 도입한다는 것은 여성들이 지닌 공간과 관련한 경험을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는 경험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뜻한다. 다음으로 ‘여성친화도시’라는 장소성(placeness)을 유연하게 상상하는 ‘유연한 장소성(flexible placeness)’ 개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지역의 여성들이 공간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하여 다양한 여성친화도시의 모습을 상상하고 시민과 지역(공간) 그리고 지역과 지역 간의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여성친화도시의 개념과 정책을 다음과 같이 재정의하고자 한다. 여성친화도시는 “여성들이 공간에 소속감을 느끼며 각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성평등 공간 정책을 운영하는 지역”이다. 여성친화도시 정책은 지역 내 구성원들과 공간의 관계 맺기와 끊임없는 논쟁으로 구성되는 ‘과정의 정책’이다.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억압의 양상이 재현되는 차별적 공간을 해체하기 위한 과정의 정책의 선두에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공간 정책의 모델이 되는 것이 여성친화도시 정책이 나아가야할 길이자 정책이 지닌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ands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Women Friendly City’ policy in Korea through concepts of Feminist Geography. This study reviews and analyses literature of feminist geography and the ‘Women Friendly city’ policy. It analyses the problems that the policy has based on feminist geographical concepts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alleviate the problems. Problems found with the policy were summarized by three essential aspects: (1) Parts of the policy are fortifying patriarchal femininity by misconstruing femininity with maternalism. (2) The policies focus on changes in the physical space were caused by a lack of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the space. (3) The policy lacked theoretical foundation making it ambiguous. The study suggests the problems can be alleviated by integrating the feminist geographical concepts of ‘spatial entrapment’ and ‘paradoxical space’ into the policy. Spatial entrapment is a phenomenon where the spatial discriminations that women face throughout their lives gets combined with the social discriminations of women and therefore solidifies both discriminations. ‘Paradoxical space’ is a space where the top, bottom,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are overlapped, intersected and connected with each other like a geometric space. Integrating this complicated concept into the policy means reconstructing the spatial experiences that women have and changing them to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new places. The study suggests broadening the theoretical base of the policy by using the feminist geographic concept of ‘flexible placeness’. This will build strong networks between women and the spaces they share as well as the governing provi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cept of the ‘Women Friendly City’ can be redefined as “A region where women are able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pace by conducting gender equality spatial policies”. The ‘Women Friendly City’ policy is a processual policy that is continually assessed and reconstructed by citizens, spaces and never-ending debate. It should stand at the frontier of ‘processual policy’ and become a model for other spatial policies for social minorities. It is a possibility it already has.

      • 중국도서관분류법의 패싯 기반 지역구분표 구조 구성

        장유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3

        문헌분류표에서의 ‘지역구분표’란 문헌이나 자료가 특정 지역, 국가, 대륙에 한정하여 본표상에서 이와 관련된 분류번호와 조합하고 보조적, 부차적 기능을 하는 표이다. 즉, 지역구분표는 분석합성의 의미를 갖춘 표로서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 문헌을 쉽게 합성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그러나 CLC의 지역구분표는 열거식 체계로, 측면분류표로서의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지역구분표에 패싯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CLC의 지역구분표가 가지는 문제점을 DDC, KDC, UDC, BC2의 지역구분표의 지역구분 구조를 참고함으로써 ‘중국도서관분류법(CLC)의 패싯 기반 지역구분표 구조’를 설계하였고,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LC 지역구분표는 비논리적 지역구분 및 지역기호의 설정으로 인해 지역구분의 범위가 협소하고 지역 세목이 누락되는 등의 문제에 대해 지역구분 범주를 논리적, 의미적으로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패싯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리학은 지역성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지역구분의 조기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 모든 분류표에서의 지역구분표가 적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UDC가 자연지리학 기반 지역구분의 성격을 가지고 BC2가 자연지리학과 인류 활동과 관련된 인문환경에서의 지역구분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었다. DDC와 KDC는 지리학을 기본패싯으로 삼지 않지만 지리학의 구성요소도 고려하고 의미적인 지역구분 범위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CLC 지역구분표는 지역, 대륙, 국가를 단순히 나열하는 데에 그치고 있으며, 체계적인 지역구분 범주를 부여하지 않아서 CLC의 지역구분표 또한 지리학을 접근점으로 삼아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의 차원에서 지역구분의 범주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상대위치와 같은 공간적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지역구분은 지리학의 기본적 개념이고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을 결합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CLC의 공간적 지역은 지리학적 성격의 지역구분표를 구축하기 위해 다른 보조표에 설치되지 않아야 하며 지역구분표 내에 구현해야 한다. 넷째, 중국과 관련된 지역은 기존에는 세계지역표 중 비논리적인 지역기호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지역표와 세계지역표를 결합하여, ‘지역구분표’라는 명칭으로 전환하고 중국의 상관 지역 세목을 아시아 아래에 직접적 전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리적 성격의 지역 요목과 행정적 지역 또는 국가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 자료의 구분에서 지리학 성격의 지역구분을 우선으로 하며, 다음으로 행정적인 지역구분을 반영하는 순서를 제시하였다. 각 패싯 사이를 연결할 때 ( ’ )로 사용하는 방안을 설정하였다. “The Area Subdivisions” in the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refers to a table where literature or information is limited to specific regions, countries, and continents, and is combined with relevant classification numbers in this table to serve as an auxiliary and secondary function. That is to say, the area classification table is a table with analytical and synthetic significance, with the final purpose of conveniently synthesizing various complex data and literature. However,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CLC is an enumerative system that does not support its function as a side classification table, which brings limitations (problems). 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apply the Facet structure in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In response to the problems in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CLC, by referring to the region classification structure of DDC, KDC, UDC, and BC2, an aspect based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structure of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Table based on Facets for the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 (CLC)’ was designe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acet structure in the CLC geographical subdivisions that can logically and meaningfully propose area categories, to address issues such as the narrow range of area components and omission of area subclasses due to the setting of non-logical area classifications and area symbols. Second, geography is a discipline that explores locality and can help mnemonics area division, so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are applied to all classification tables. Among them, UDC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ea classification based on natural geography, and BC2 was considering area classification in the humanities environment related to natural geography and huma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DDC and KDC do not take geography as their basic facet but consider the components of geography and use a meaningful range of area classifications. The CLC geographical subdivisions only lists regions, continents, and countries, and does not give a systematic area classification category, so the CLC's geographical subdivisions also takes geography as an access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geography as an access point to clarify the categories of regional class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natur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Third, area classification based on spatial areas such as relative locations are a fundamental concept of geography and is the result of combining natural and human geography. Therefore, to construct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the spatial area of CLC should not be installed on other auxiliary tables and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Fourth, China-related regions previously had a problem of applying illogical area symbols among the geographic area subdivision, but to solve this problem, the China area subdivision and the geographic area subdivision were combined and converted to the name of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and suggested a plan to directly develop China's related area subclasses under Asia. Fifth, when it comes to data classification that requires consideration of both the area classes of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dministrative regions o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reflecting administrative area classification of geographical nature, then reflecting area classification of administrative nature. A method of using (') when connecting between each facet was set.

      •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경찰활동 : 서울 남대문경찰서 관내 절도범죄를 중심으로

        신재헌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91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information revolution on the Geographic Profiling in Korea. Crime happens in the modern society, unlike in the past, shows several features. More sophisticated than in the past. more serious and, moreover, appears in a variety of forms. Changes in the society is changing and crime, science has evolved more of these features are going to be accelerated. Recent aspects of the crime that occurs fairly rapidly, according to the police so that he could respond to the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Criminal Procedure" that are highlighted in the remarks of the trial, the evidenc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uspect's confession and guilty proven wrong practices of the past are gradually decreasing, and that, through scientific and objective evidence to prove the crimes being highlighted this effort. Therefore, the methodology or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s, the Korean investigation procedures in general tend to be settled. These criminal investigation in the theft of crime prevention, and to facilitate the investigation of the crime scene for a variety of profiling techniques, and the radius of the activities of the killer profiling techniques to utilize history and geography into account the floating population in many areas that belong to the police station Namdaemun jurisdictions around the crime-theft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of the study will look for correlation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use of geographic profiling based on the history theft crimes and the need for responsiveness to offer.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oncept of profiling, and the kind of profiling, history and geography features criminal profiling in the histor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review and the related theor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rime, theft, theft and crimin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review . And the last chapter, the second theft in the history of the geography of research abou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profiling.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data provided by the police Namdaemun theft and the crime statistics for 2006 overall theft crime that occurred in the case occurred in the jurisdiction of the police station Namdaemun 100 cases randomly picked for crimes related to theft features about geography Correlation analysis and focused on the neighborhood. The fourth chapter, the third chapter dealing with the police action was based on the analysis used in a variety of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research. A fifth chapter summary of the study and cleanup with the use of geographic profiling, history, once again emphasized. The theft is a crime in a paper to take advantage of their geographical profiling,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social science research in general, it collects and analyzes the data to help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at there Based on technical methods, materials and the official unofficial tonggyebeop to take advantage of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o, criminal profiling, the killer's crime scene analysis to a criminal act of the nature, behaviour patterns, occupation, education, relevant to the settlement of certain populations, including the shooter, and sociological (Demographic) to extract certain elements, the investigation agencies by providing a dragon The suspect, and the target selection and investigation techniques, or you can take advantage of one of their own as evidence, the defendant's personal equality and identify the killer (personal identification evidence), the same crime committed by killers proved distinc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for being used as evidence. Geographic profiling by analyzing history of the Korean must help build Rigel. Canada's geographical profiling Rigel history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am, this program, the type of crime for criminals to create a scenario that is capable of this investigation, investigators can easily do so.

      • 프랑스 제3공화국 초 지리학계와 '문명화 사명' : 초기 트랜스사하라 철도 계획을 중심으로

        전장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1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olonial movement of early geographic societies of the French Third Republic through the concept of a civilization mission.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the Trans-Saharan railway plan, which was initially discussed in French geographical societies in 1875, was used to justify various colonial expansion motives such as diplomacy, military, and commerce, and how these motives and their implementation changed over time. To prove this, the study examined records from the French mainland, colonial geographical journals, geographic magazine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French government’s Trans-Saharan standing committee in 1879 and 1890. Three observations were made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First, in the 1870s, when commercial expansion into the Sudan region was a priority, the commercial motive was predominate. However, after the Flatters expedition massacre in the 1880s, the strategic and political value of railroads were stressed much more. Secondly, when the motives for colonial expansion changed as a result of violent clashes with the indigenous Saharan people and the growing scramble for Africa by Western powers, the Trans-Saharan railway’s main method of conduct became more conservative. Lastly, the Saharan civilization mission was utilized to legitimize the exclusive interests of each Trans-Saharan railway line proponent. Nonetheless, it was a one-sided goal that did not take the opposi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to the Trans-Saharan railway into account. By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societies that led the early colonialist movement of the Third Republic of Franc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complex changes in French colonialism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f academia of history examines this topic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they can better comprehend the context in which French colonists gradually shifted their focus away from economic motives and toward political and military motives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Furthermore, recognizing that the colonial movement in the early days of the Third Republic was founded on the knowledge network of geographical societies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expansion of the colonial movement into public culture at the turn of the century. 본 논문은 프랑스 제3공화국 초 프랑스 지리학회들의 식민주의 운동에서 나타난 변화를 ‘문명화 사명’ 개념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특히, 1875년부터 프랑스 지리학계에서 공론화되기 시작한 트랜스사하라 철도 계획이 외교, 군사, 상업과 같은 다양한 식민 팽창 동인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 측면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트랜스사하라 철도를 매개로 한 식민 팽창 동인과 그 수행방식이 시대에 따라 달라진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증명하고자 1875년에서 1890년 사이 프랑스 본토와 식민지 지리학회보와 지리 잡지, 지리학회원들이 참여한 대규모 학술대회 속기록과 함께 1879년과 1890년 두 차례 정부의 트랜스사하라 상임위원회 행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단 지역으로의 상업 진출이 우선시된 1870년대에는 상업적 동인이 우세했으나, 플라테르스 원정대 참사가 일어난 1880년대부터 철도의 전략적, 정치적 가치가 더 강조되었다. 둘째, 사하라 선주민과의 물리적 충돌과 서구 열강의 아프리카 쟁탈 심화로 주된 식민 팽창 동인이 변화하며 트랜스사하라 철도의 주된 수행방식이 보수화되었다. 셋째, 사하라 ‘문명화 사명’은 트랜스사하라 철도 각 노선 지지자의 배타적 이익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정작 트랜스사하라 철도에 반대하는 선주민의 목소리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목표였다. 본 논문은 프랑스 제3공화국 초 식민주의 운동을 주도한 지리학계를 통해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주의의 변화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자 했다. 식민사학계에서도 이 주제에 주목한다면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이 점차 경제적 동인에서 정치·군사적 동인을 더 중시하게 된 맥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공화국 초 식민주의 운동이 지리학계의 지식 연결망 속에서 형성된 점을 파악하면 세기 전환기에 식민주의 운동이 대중적 문화로 확대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17·18세기 서양 지리학에 대한 朝鮮·中國 學人들의 해석

        임종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727

        이 연구의 목적은 17·18세기 조선과 중국의 지식인들이 在中國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한 서양의 지리학설을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마테오 리치 이래 예수회 선교사들은 세계 지도와 地志를 제작하여 르네상스 유럽의 지리학적 성과를 중국 사대부 계층에 소개하였다. "지리상의 발견"의 성과를 담은 유럽의 지리학은 수학, 천문학 등과 함께 기독교 유럽이 야만족이 아니라 고아한 학술을 지닌 문명이라는 점을 중국 사대부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소재였다. 다른 한편 선교사들은 地球와 五大州의 학설을 통해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며 유일의 보편 문명이라는 사대부 계층의 中華主義를 비판하고 기독교 유럽을 유교 문명의 대안으로 제시하려 하였다. 문명 비판과 기독교 선교의 메시지가 담긴 선교사들의 지리 학설은 중국과 이웃 조선의 지식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을까? 17·18세기 중국과 조선의 학인들은 지구와 오대주의 관념에 대해서는 대체로 승인하였으나 그에 담긴 선교사들의 종교적·문명론적 메시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외래의 지리학설을 수천년간 누적된 중국 고전 지리학·우주론의 유산을 이용하여 재해석함으로써, 그에 담긴 이질성을 제거하고 중국 고전 전통의 요소로 귀화시켰다. 이러한 작업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明末淸初 중국과 18세기 조선의 우주론자들은 선교사들의 학설을 성리학적 자연철학과 종합하려 하였다. 지구설의 여러 이론적 쟁점이 氣의 운행이라는 고전 우주론의 기제를 통해 해결되었으며, 지구와 오대주의 관념을 陰陽·周易의 상관 체계에 포괄하는 상수학적 구도가 고안되었다. 특히 이들 우주론자들은 지구와 오대주 위에 음양의 질적 구획을 도입함으로써 중국 지역이 지구 위에서 가장 상서로운 "우주적 중심"임을 보여주려 하였다. 명말 우주론자들의 자유분방한 사색에 비판적이었던 淸代의 고증학자들은 그 대신 문헌학적·역사학적 작업을 통해 외래의 학설을 재해석하였다. 그들은 중국의 고전 문헌을 탐색하여 선교사들의 학설과 유사한 전거를 찾아낸 뒤, 이를 근거로 서양의 학설이 본래 중국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였다. 18세기 초 梅文鼎이 지구설과 {주비산경}의 유사성을 근거로 중국기원론을 주장한 이래, 청대의 학자들은 선교사들의 모든 학설에 대해 문헌학적 탐색을 진행하여 중국기원론의 사례를 확장하였다. 결국 지리학설을 통해 중화주의적 세계상을 비판하려던 선교사들의 의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중국과 조선의 學人들은 선교사들의 이질적인 지리학설을 우주론적 사색과 문헌학적 탐색을 통해 재해석함으로써, 고전적 세계상의 근본적인 수정 없이 외래의 학설을 그 속에 포괄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Korean and Chinese literati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understood the geographical knowledge introduced by Jesuit missionaries. Jesuits presented their world maps with a clear missionary agenda: to undermine the Sinocentric belief entrenched in Confucian tradition. As long as Chinese literati considered Europe as a barbarian country, they would never accept European religion. If they knew the roundness of the earth, Jesuits thought, they could no longer insist that China was the center of the earth; If they were informed of other countries, especially of Christian Europe, they would admit Europe to be another noble civilization. How did indigenous intellectuals respond to these messages? They accepted Jesuit geographical knowledge while rejecting its ideological and religious implication. They interpreted Jesuit knowledge with rich Chinese classical resources and assimilated it into Chinese tradition. I discern two approaches to assimilating the foreign knowledge. First, cosmologists of the late Ming China and the 18th century Korea incorporated Jesuit geographical learning into neo-Confucian natural philosophy; they relied on the doctrine of qi 氣 when solving theoretical problems caused by the roundness of the earth; they deviced various cosmographical schema in which the foreign geography was mixed with the yin-yang cosmology. The cosmologists often used these schema to show the cosmological uniqueness of Chinese civilization on the ''global'' earth. The kaozheng 考證 scholars of the Qing China, who criticized the "groundless" speculation of the Ming cosmologists, launched philological enterprise. They researched Chinese classical texts and found many passages that were similar to Jesuit geographical doctrines. With these classical ''evidences,'' they argued that the Western learning had originated in ancient China. After Mei Wending 梅文鼎 formulated ''the Chinese origin theory''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round earth theory and the several passages of the Zhou bi suanjing 周비算經, the Qing scholars tried to demonstrate the Chinese origin of the every piece of the Western learning. With these two approaches Chinese and Korean literati could accept the foreign geographical learning without causing any fundamental rearrangement in the Chinese classical worldview.

      • 교육지리학 관점에 기반한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 :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수준 모형의 활용

        이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27

        This study aims to explore neighborhood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ography of education as today more emphasis is put on spatial approach to educational problems. The spatial variation of educational outcomes and opportunities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field of the geography of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s well as social milieu and context,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such spatial variation. This also relates to the concept of neighborhood effects, which can be described as “structural factors that determine an individual’s decisions or outcomes depending on the neighborhood to which he or she belongs.” There is much research being undertaken on neighborhood effects in relation to educational outcomes. Two methodological issues arise from this field of research. First, there is the issue of whether the “spatial unit of a neighborhood” has been appropriately determined in the research of neighborhood effects. This issue relates to the definition of a neighborhood, how neighborhoods were determined as such, the spatial extent of a neighborhood, and the definition of the spatial unit of a neighborhood. Second, differentiating between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effect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of neighborhood effects, and this can be done effectively through multi-level modeling. However, neighborhood effects can be strictly categorized into intra-local neighborhood effects and inter-local neighborhood effects. Traditional multi-level modeling can only address the former.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atter in order to consider the interactions and spill-overs between neighborhoods.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to deal with this matter, this study focuses on spatial autocorrelation mechanisms. This study assumes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occurs because of the mismatch between spatial units in analysis and the spatial extent in which specific problems occur. This can be resolved by matching the measurement scale, which is the spatial unit, and the operational scale, which is the spatial extent, thereby partially reducing spatial autocorrelation. Given thi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patial unit for research on neighborhood effects by exploring operational scales, and propose a multi-level model that takes inter-local neighborhood effects into account. For the this objective, this study used spatial correlograms and variograms to compare the values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measurement scale. The second objective is to investigate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proposed above. For the second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a three-level multi-level model involving the individual, school, and neighborhood levels, and applied the operational scale results from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to the neighborhood level. The third objective is to investigate neighborhood effects on school dropouts by applying the same methodology. For the third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a two-level multi-level model involving the school and neighborhood levels. The operational scale results from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e first objective were also applied to the neighborhood leve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after analyzing the spatial correlograms and variograms, the operational scales were found to be 3,791 meters and 3,346 to 3,676 meters each.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four measurement scales that could b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operational scales were most similar to the average diameter of the middle-school catchment areas of Seoul. Second, after analyzing the neighborhood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dividual level had the most influence on school performance, followed by school and neighborhood level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neighborhood effects on school subjects, and the research found them to be 3.6% for Korean language section and 5.6% for English section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Generally, if the ICC (intra-class correlation), which represents neighborhood effects, is between 5 to 6%, the neighborhood effects are considered to be large. If the sample size is large enough, cases in which the ICC is just 1% are also considered to demonstrate neighborhood effects. Given this, the neighborhood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can be said to be very large. Third, after analyzing the neighborhood effects on school dropouts, it was found that neighborhood effects on the dropout rate of students who were aiming to study abroad (including language training) were large. Because the multi-level model for school dropouts was a two-level model unlike the previous analysis, the variance of the individual level was integrated into the school or neighborhood levels, leading to a possibility of underestimation or overestimation of the variance of the two levels. But even setting that issue aside, the neighborhood effects on the school dropout rate of students going abroad were still high. This can be seen as demonstrating the spatial inequ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three following ways. First, the nee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patial unit in the research of neighborhood effects has been consistently brought 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way of exploring operational scales that can determine spatial units in the research of neighborhood effects. Second, traditional multi-level modeling has the methodological problem of being unable to take inter-local neighborhood effects into account. The methodology that this study proposed can serve as a guideline that overcomes the limits of traditional multi-level modeling. Third, figures like the ICC that represent neighborhood effec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als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tility of research on neighborhood effects lies in evidence-based policy. Thus, research on neighborhood effects can help identify the presence and extent of neighborhood effects, and provide direction on whether it is better to implement individual- or neighborhood-based policies. 본 연구는 교육현상에 대한 공간적 접근이 강조됨에 따라 교육지리학 관점에서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교육결과 혹은 교육기회의 공간적 변이는 교육지리학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그와 같은 공간적 변이에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의 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 혹은 맥락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는 “개인이 어떤 네이버후드에 속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선택이나 결과가 달라지게 만드는 구조적 요인”인 네이버후드 효과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교육결과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두 가지 방법론적 이슈를 가진다. 첫 번째,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에서 ‘네이버후드의 공간 단위’가 적절하게 규정되었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두 번째,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 시 구성효과와 맥락효과의 구분은 주요 이슈 중 하나인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느냐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네이버후드 효과는 엄밀하게 공간 단위 내 네이버후드 효과와 공간 단위 간 네이버후드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인 다수준 모형은 전자에 대해서만 다룰 수 있다. 그러나 네이버후드간의 상호작용과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후자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자기상관 발생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춘다. 즉, 공간적 자기상관은 분석에서의 공간 단위와 특정 현상이 발생하는 공간적 범위가 불일치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공간 단위인 측정스케일과 현상 발생의 공간적 범위인 작동스케일을 일치시켜 공간적 자기상관을 일정 부분 통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작동스케일 탐색을 통해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에 적절한 공간 단위를 규정하고, ‘공간 단위 간 네이버후드 효과’를 고려한 다수준 모형을 제안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측정스케일별로 공간적 자기상관의 수치 및 기술통계량을 비교하고, 공간적 코렐로그램, 베리오그램을 활용하였다. 둘째, 앞서 제안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육결과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를 규명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학교-네이버후드 3수준 다수준 모형 분석을 수행하는데, 네이버후드 수준에는 첫 번째 연구에서 도출된 작동스케일 결과를 적용하였다. 셋째, 앞서 제안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업중단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를 규명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네이버후드 2수준 다수준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역시 네이버후드 수준에는 첫 번째 연구에서 도출된 작동스케일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공간적 코렐로그램과 베리오그램 분석 결과 작동스케일의 범위는 3,346 ~ 3,676m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결과를 분석에 활용 가능한 세 가지 측정스케일의 평균지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학구의 평균 지름이 작동스케일의 범위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구가 네이버후드 효과 분석을 위한 가장 적절한 공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학업성과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 분석 결과, 개인 간 수능점수 차에 대해 개인, 학교, 네이버후드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후드 효과의 정도는 과목별로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국어는 3.6%, 영어는 5.6%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성과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는 상당하나, 과목별로 영향력의 정도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함축한다. 셋째, 학업중단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 분석 결과, 해외유학이나 어학연수 등 해외출국을 목적으로 하는 학업중단율에 대한 네이버후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육기회의 공간적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에서 적절한 공간 단위 규정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 시 공간 단위를 결정할 수 있는 작동스케일 탐색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전통적인 다수준 모형은 공간 단위 간 네이버후드 효과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방법론적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전통적 다수준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셋째, 분석을 통해 도출된 네이버후드 효과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수치(예: ICC)는 교육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의 효용성은 증거기반정책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즉,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는 네이버후드 효과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개인기반의 정책을 투입하는 것이 좋을지 혹은 지역기반의 정책을 투입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