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전명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who I took in charge of the Creative Stud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does the career program affect the attitude of the career maturity? Second, does the career program affect the ability of career maturity? Third, does the career program affect the behavior of career maturity?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modified with supplement and reconstruction on the basis of Group Career Counselling Program(Kim Chung-Gi, 2001), the Career selection program(ChungChungBuk-Do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 2002; Taegu Education and Science Institute, 2002).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result wa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1).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4 times, once a week for a 10 week period. The program was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s of independence, planning, and attitude of job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 in attitude compon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s of self-appraisal(appraisement), rational goal selection, and knowledge of the various and popular occup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pre-post test in ability component.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ost test in behavior compon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and ready-action. This result suggests a tendenc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program.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career investigation program for the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ir career maturity. The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n the program is administrated to student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ways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and diverse measurement instruments.

      • 농촌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김경애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농촌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도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비교해보고, 농촌 중학생들의 개인적, 가정적 특성 변인에 따라 진로성숙도가 같은 단계에 있는 중학생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여 농촌중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에 관련된 이론 연구 및 선행연구에 대한 연구동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연구로써 대표집단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농촌 중학생과 도시 중학생 각각 90명으로 하였다. 사용된 질문지는 개인적 특성 변인으로 학년, 학교성적, 동아리 활동여부, 성별을 설정하였으며, 가정환경적 변인으로 사회경제적 지위,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보호자의 직업을 설정하였다.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1992년 표준화한 진로성숙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진로성숙도 검사도구는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 영역과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 영역의 크게 두 가지 영역을 갖는다.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 영역은 다시 계획성, 독립성, 결정성으로 나뉘고,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 영역은 직업세계 이해능력, 직업선택능력,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으로 나뉜다. 질문지는 도시와 농촌의 학년별, 성별 각각 30명씩 총 180매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WIN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LSD를 이용하였다. 모든 검증의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농촌과 도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을 비교해보면,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에서 농촌 중학생이 도시 중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농촌과 도시 중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계획성, 독립성, 결정성)을 비교한 결과 계획성 영역에서 농촌중학생이 도시 중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독립성과 결정성 그리고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는 농촌과 도시 중학생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못했다. 나. 개인적 특성변인 중 성별에 따른 농촌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와 능력 모두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또한,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인인 계획성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나머지 독립성과 결정성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못했다. 한편,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의 하위변인에서 직업세계이해와 합리적 의사결정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점수가 높았고, 직업선택능력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다. 개인적 특성변인 중 동아리 참여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검증결과 전 하위영역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라. 개인적 특성변인 중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검증결과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와 그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못했고,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 평균 점수가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높았다. 또한, 그 하위영역에 있어서 직업세계이해 영역에서는 3학년, 2학년, 1학년 순이었고, 합리적 의사결정 영역에서는 3학년, 1학년, 2학년 순이었다. 마. 개인적 특성변인 중 성적에 따른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검증결과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와 그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못했고,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은 상위권일수록 평균점수가 높았고, 그 하위영역 중 직업세계 이해 부분에 있어서는 하위권 학생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바. 가정적 특성변인에 따른 농촌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버지의 학력, 보호자의 직업은 차이가 없었다. 다만, 어머니의 학력에 있어서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와 그 하위영역인 결정성에서 대학이상 학력의 어머니를 가진 중학생에게서 가장 높았다. 한편 진로선택에 대한 능력에 있어서는 그 하위영역인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있어서 고졸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 to measure the career maturity levels of rural middle-school students; (b) to compare the career maturity levels of rural middle-school students with urban; (c) to identify relationships with associated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school achievement, circle activity, socio-economical status, parents' education degree and job. The instrument employed wa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containing 36 items of an attitude scale(planning, independence, decisiveness) and 60 items of a competence scale(understanding of work world, choosing a job, decision making).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80 middle-school students and all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PSSWIN7.5 software program and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s), and LSD test for post-hoc interpret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ural students were more mature than urban students in attitude domain of career maturity. But in competence domai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ural and urban students. 2. Among rural students, the female were more mature than the male in both attitude and competence domain of career maturity. This result meant that career maturity of middle-school students was very related to their gender. 3. In relation of the grade and career maturity, 3rd grade students of rural middle-school, got statistically higher score than other grades in competence domain. 4.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school students had an effects on their career maturity. It was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who had high level in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mature than other students in competence domain of career maturity. 5.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lso had an effects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pecially, mother's education degree was meaningfully related to career attitude of rural students.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이승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진로장벽,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은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성적과 학벌을 중시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입시위주의 진로상담이 이루어져 실질적인 자기이해가 어려운 교육현실에서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일관되고 현실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진로성숙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함으로써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상담의 다른 경로를 찾고자했다. 이를 통해 중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지도에 있어 진로성숙 수준을 높이기 위해 부모자녀의사소통과 같은 가정 환경적 변인보다는 개인내적변인인 진로 장벽을 활용하여 보다 성공적인 진로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중학생들의 진로장벽을 매개로 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 중학교 1~3학년 279명에게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 진로성숙척도, 진로장벽척도로 설문조사를 한 후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는 정적 상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장벽은 부적 상관,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는 강한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이 진로장벽에 의해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도 중요하지만 개인 내적변인인 진로장벽의 중요성을 보다 부각시켰다. 따라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학생의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한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中學生의 樂觀性과 進路成熟度와의 關係

        崔英順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rer maturit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relationship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have and what about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sub-dimensions. From the result, the basic materials could be provided for the future counseling by developing student's career counseling program and furthermore it can give an educational suggestion for effective career guide. To carry out purpose of this study, I selected several subjects. firstly, Had optimism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secondly, Ha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thirdly, which relationship had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For this, in the study subjects were 484 junior and senior in D middle school and S middle school in Seoul.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LOT-R developed by Scheier, Carver and Bridges(1994) was us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career maturity. For measuring career maturity, 70 items in 5 sub-dimensions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2001) were used. Result of study was analyzed SPSS WIN 12.0 program. To search the difference of maturity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it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OVA. Aim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grad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it conducted T-test.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both in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re were fe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ade. optimism was indicated that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Career maturity wa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high social economic status groups were higher than low social economic status group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groups were higher than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s. In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grade senior was higher than Junior. But th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it was identified that if optimism was higher, career maturity was also higher. In sub-measurement of career maturity, attitude factor had more something to do with optimism than ability factor. In sub-measurement of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there was closely related ability of plan. Attitude and independence had related to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In sub-measurement of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self-understanding was more something to do with than ability of information and decision of career. Given summing up results that were clarified in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economic status and gender had close relationship in optimism. Thus, optimistic estimation about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economic status was important in effective self-express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social economic status were had close relationship in career maturity. Those were showed that optimistic estimation is very important in adaptation in school and student's career. In relatio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this relationship was direct proposition. Attitude and ability of plan were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expla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maturity, it was indicated that optimism had an important effect on not only the decrease of depressi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tress, the increase of happiness, the efficiency of human relationship but also ability of plan, attitude, independence, self-understanding,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and decision of career. Therefore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optimistic self-esteem is base. For this, teachers should offer careful and constant guidance about student.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신에 대해 갖는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성숙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진로성숙의 하위척도와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진로지도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학생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낙관성은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D중학교와 S중학교 학생 484명을 대상으로 Scheier, Carver와 Bridges(1994)의 생활지향검사 개정판(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LOT-R)을 조하나(2003)가 번안한 낙관성 척도를 사용하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낙관성을 측정하였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 5개 하위척도의 70문항을 사용하여 진로성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학생의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낙관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변량분석을 하였고, 중학생의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도 t-검증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낙관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낙관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학업성취도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사회경제적 지위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이 낙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성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은 3학년이 2학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의 하위척도 중에서는 태도 영역이 능력 영역보다 낙관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의 태도영역 하위척도에서는 계획성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고,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에서도 상관이 있었다.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 하위척도에서는 자기이해와의 상관이 정보 활용 및 진로결정능력과의 상관보다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회경제적 지위와 성별은 낙관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학업성취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학생의 성별,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는 진로성숙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 에서의 적응과 개인의 진로에 있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는 정적상관이 있으며 진로성숙을 설명하는 데 있어 태도 영역의 계획성이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관성은 우울의 감소,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대처, 행복감의 증가, 대인관계의 증진과 같은 심리적 건강의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진로성숙에 있어서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자기이해, 정보 활용 및 진로결정능력을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근간이 되어야 하므로 교사들의 학생들에 대한 세심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요구된다.

      • 성격 5 요인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길명숙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2

        중학교 시기의 진로선택이 고등학교 진학과 미래의 직업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중학교에서의 진로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정신인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성격 5 요인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창업가정신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5 요인(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지적 개방성)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창업가정신 교육과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창업가정신(혁신․진취성, 위험감수성)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진로태도, 진로탐색능력,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격 5 요인은 창업가정신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진로태도, 진로탐색능력,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조절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대전에 있는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창업가정신은 강병오(2011)가 제시한 3가지 차원을 사용하였고,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임언 외, 2012)’를 사용하였다. 또한 성격 5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태규, 윤혜현(2008)의 측정 항목을 사용하였다. 선정된 연구모형을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연구결과 창업가정신(혁신․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진로태도 및 진로탐색능력는 높아지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창업가정신의 하위요소 중 혁신․진취성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가설 2 ‘성격 5 요인은 창업가정신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진로태도, 진로탐색능력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조절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격 5 요인은 창업가정신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진로태도에만 유의한 조절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성격의 5요인의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중학생들에게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고, 진로를 탐색 및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21세기를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moderating the effects of 5 personality factors. For that purpose, we have conducted a survey for 500 middle school students. We measured three aspects suggested by Kang Byung Ho (2011) for the entrepreneurship. The career maturity 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Yim un and so on, 2012) to test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measure items suggested by Lee Tae Gyu and Yun Hye Hyun(2008) to test the five-factor model as a tool. The results were acquired using an SPSS 22.0 program to analyze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Hypothesis 1. ‘How much entrepreneurship has an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has shown that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is, the higher the career attitude and career probing ability is. At the same time, the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action. Hypothesis 2. ‘The five-factor model will affect the controll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the career maturity (career attitude, career probing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five-factor model has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and career attitude, the sub-area of career maturity. However, it has not affected the career probing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 another sub-area of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is useful because we have probe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control-effect of the five-factor model. We suggest that this study will give a chance to middle school students to realize their career, to probe and design their career and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live a active life in 21th century.

      •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은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2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비교를 통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진로성숙도 척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북 문경에 위치한 H 대안학교(비인가 학교)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에 참여하고자 하는 희망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만 총 12회기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김봉환, 임인재(2008)가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연구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진로정보 처리능력’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확신성’, ‘관여성’, ‘독립성’, ‘현실조화성’ 영역에서의 변화는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이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중도탈락 중학생 특성에 맞는 진로성숙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로 중도탈락 중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를 갖도록 돕고,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이해를 위한 심리검사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거나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이해에 갈등이 생겼을 때는 개인상담을 병행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는데, 중도탈락 중학생의 복합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자아성장 프로그램, 정서적 문제와 관련된 프로그램 등을 병행한다면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 進路探索 集團相談이 男子中學生의 進路成熟度와 進路決定 自己效能感에 미치는 影響

        김경모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직업에 대한 지식과 진로 결정 기술을 확립하는 진로탐색단계 시기의 남자 중학생에게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적용함으로써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과 진로의식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또한 미래의 직업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여 남자 중학생의 진로지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진로성숙도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3)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진로성숙도의 평균 점수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경기도 부천시 소재 남자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로 구성하였다. 연구자의 수업을 받는 학생들 125명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희망하는 학생 63명 중 기저선이 비슷한 학생을 12명씩 무선 표집하여 3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실험집단으로 주 1회 내지 2회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특별교실에서 상담을 실시하고 온라인으로 탐색을 할 때에는 컴퓨터실을 이용하였으며 통제집단 1은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하는 동안 컴퓨터실과 시청각실에서 교사가 제시해 준 진로에 관한 인터넷 사이트를 탐색하고 진로 자료를 참고로 독립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잠정적으로 계획하도록 하였으며 통제집단 2의 경우는 어떠한 조처도 취하지 않고 사전 사후 검사에만 참여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임언·정윤경·상경아(2001)의 진로성숙도 검사, 이은경(2001)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절하게 수정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이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은 SPSS Ver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으며 t 검증을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검사의 총점 및 하위영역들의 사전-사후 검사 평균 점수에 대한 차이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문제의 통계치는 유의수준 .05 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1, 2에 비해 진로성숙도 수준이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 요인별로 보면 태도영역에서 태도 총점이 p<.01 수준에서, 능력영역의 능력총점이 p<.001, 행동영역의 행동총점이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1, 2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각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진로성숙도의 각 하위영역의 평균 점수에 있어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넷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사전-사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비교검증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영역의 하위영역들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여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중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서 제공해야 될 것 같다. This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vail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the students can be helped to find their own ways and have self-confidence in their future career.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ill show a positive change of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2.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3.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 of career matur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4.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To testify hypotheses above, I sampled second grade male students of Bucheon middle school and consisted three of 12 students at random. First group of the stude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unseling in the comfortable mood. Second group of the students as the control group 1 was allowed to surf the internet based on career data and to decide their future careers for themselves. The last group of the students as the control group 2 was not treated by any management except pre and post test of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eer matur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The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10.0 program and the data from post-test and pre-test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ll statistic values were tested in the significant level of .05 There are some brief explanations about verification of this study. Firstly, the group of students, involved in the group counseling of course searching, re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1 and control group 2 in that showing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By factor, total attitude made the progress at the p<.01 level of significance, total competence at the p<.00l level of significance, and total behavior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Secondly, the group of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group counseling of course searching, represented the significant increase at low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more than control group1 and control group 2. Thirdl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mean score of career maturity at low level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ing of career exploration. Finally, there was the outstanding increase in the result of pre and post test of career decision-making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of career exploration. 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tudents has great effects on self-efficiency for deciding their future ways and motivating their career maturity. On that account, there should be enough considerations of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programs for Career Exploration.

      •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나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교과와 연계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연계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연계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 A중학교 3학년 학생들 중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6명과 통제집단 37명으로 구성하였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3회기로 구안하여 2011년 9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1주 2회씩 기술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임인재, 김봉환(2008)의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CMT)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관여성과 진로정보처리능력 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확신성, 독립성, 현실조화성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중학생의 진로발달 특성에 맞는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생들이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배우게 되는 기술교과와 연계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유용성이 높은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과정에서 내적 갈등을 하는 집단원에게 개인상담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집단 구성에서 진로결정자와 미결정자를 적절한 비율로 구성한다면 집단원들이 진로선택에 대해 보다 폭넓게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배우게 되는 교과와 연계된 진로지도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개인ㆍ가족ㆍ학교관련 변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 individual-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ere gender difference, academic yea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The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parents, parental support, sibling's support,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The school-related variables included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friends,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0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ffected all sub-factors of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most.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decisiveness and preparati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Gender difference and academic year affected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More specifically, All sub-factors of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were higher with students who had higher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had higher decisiveness and preparation.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year had higher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Girls had higher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than boy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elf-efficacy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family-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parents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sibling'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affected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More specifically, students who had more frequent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parents showed high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sibling's support had higher confidence. Students with lower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had higher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gives suggestion that at home, parents should have frequent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and give advice and information on career. And at school, teachers should run a program of career guidance for parents to give their children reliable information. Third, among the schoo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friends affected preparati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Teacher's support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Friend'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independence. More specifically, students had more frequent communication on career with friends showed higher preparation. Students who perceived teacher's support more had high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Students who perceived friend's support more had higher confidence and independ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gives suggestion that at school, teachers should have students disscus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sharing career information among students. Fourth,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mo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were affected the most by individual variables. And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were affected the most by family-related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related overall when they guide students'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