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를 활용한 중학교 기악 합주 지도안 연구 : 오르프의 오스티나토 이론을 바탕으로

        유예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과 기악 합주에서 오르프의 오스티나토를 활용한 단계적 기악 합주 교수·학습방안을 개발하여 그 내용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적 흥미와 창의성을 발전시키고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지도안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오르프 교수법과 오스티나토에 관련된 교재를 분석하여 설계하였고 학습 영역은 리듬학습, 선율학습, 기악학습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활동은 악곡의 리듬과 선율을 언어와 신체로 표현하고, 선율창작, 즉흥연주를 학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각 과정이 기악 합주로 발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총 8차시 수업지도안과 활동지, 악기연주에 사용한 오르프 악기, 모둠별 평가와 자기평가를 반영한 평가지와 학습 결과를 확인하는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한다. 제재곡은 라벨의 <볼레로>로, 이를 활용하여 악곡의 학습할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오르프의 활동학습과 연계하여 반복하는 오스티나토 이론을 따라 음악을 이해하고 즉흥 연주가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모둠별 학습 활동을 통해 스스로 음악 활동에 참여하며 음악을 탐색할 수 있고, 각기 다른 소리가 모여 화성과 조화를 이루는 기악 합주 활동은 창의성과 책임감, 사회성을 발달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악곡을 직접 체험하고 표현할 기회를 주어 학생들이 악기연주에 대한 흥미와 음악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악 합주 수업지도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p-by-step instrumental ensemble teaching method using Carl Orff's Ostinato for an instrumental ensemble in middle school music classes. Moreover, it looks to develop students' musical interests and creativity and to increase the positive learning effect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The lesson plan was designed by analyzing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textbooks related to Orff teaching method and Ostinato. The learning domain consists of three areas: rhythm learning, melody learning, and instrumental learning. Each activity consists of expressing the rhythm and melody of the music in language and body, learning melody creation, improvisation, and each process develops into an instrumental ensemble. Instructions and activity sheets were constructed for eight classes. Also, the Orff instrument was used to evaluate for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sheets for group-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and a questionnaire to check the learning outcomes. The music selected was Maurice Ravel’s “Bolero”, which is used to systematize the contents of learning music. I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music and perform improvisation, followed by Ostinato theory, which is repeated in connection with Orff's activity learning. Furthermore, through group-specific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can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and explore music by themselves. Accordingly, instrumental ensemble activities, where different sounds come together and harmonize, develop creativity, responsibility and soci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strumental ensemble instruction plan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in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musical understanding by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express music through voluntary student participation.

      •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 감상수업에 대한 학생인식도 분석 : 경기지역 중학교 2,3학년을 중심으로

        김미록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수업 및 음악 감상의 전반적인 실태와 학생들의 흥미도 및 개편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등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차후 음악과 교육과정 개편에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첫째, 음악 감상의 정의와 중학교 음악 감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과, 음악 감상영역을 고찰한다. 셋째,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실제학습자인 학생들의 음악 수업 중 감상부분의 교과과정에 관한 질문 및 그 밖의 음악 수업의 일반적인 취향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다. 넷째, 음악 감상수업에 대한 제안 점을 제시해 본다. 연구시기와 연구대상은 조사시점이 1학기 중에 이루어져 중학교 1학년은 중학교 음악교과의 이해가 매우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 2학년(105명), 3학년(104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지역은 경기 지역이었다. 연구에 이용한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학년(2학년, 3학년)과 성별(남자, 여자)에 따른 응답빈도(N)와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x2 test)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음악 감상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를 알아보았다. 조사결과에 대한 결론은 첫째, 중학생들은 음악영역 중 감상영역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음악교사는 전체 음악과정 수업 시간 중 감상영역의 비중을 조정할 수 있는 재량이 요구된다. 음악교사의 재량으로 감상영역의 수업시수를 늘림으로써 결국은 학생들의 음악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방법인 것이다. 둘째, 중학생들은 다양한 장르의 흥미로운 곡을 감상하고 싶어 한다. 따라서 음악교사는 음악 감상수업 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곡을 중심으로 선별하여 학생들이 지루하지 않고 보다 흥미롭게 들을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셋째, 중학생들의 음악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 수준이므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현재의 이론수업 중심의 수업보다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중 음악적 요소와 각 시대, 각 장르와 연계성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gener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music class in the 7th curriculum and students' interes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with a view to suggesting ways to the more effective ways of music appreciation and offering reference materials capable of reflecting the reality on the music curriculum.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search. First,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definit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Second, this research explores the 7th curriculum and the area of music appreciation. Third, this study covers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appreciation for the second and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general tastes linked with music class. Fourth,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of class for music appreciation. This research was done in the course of the first term with the exception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the researcher believed were lacking in the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music; The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l05 subjects) and the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104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 area of research was K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relies on SPSS 10.0 for Windows for the analysis, calculating response frequency(N) and percentage(%) by grade and gender and determining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music appreciation class in the 7th curriculum. The researche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irst, the subjects showed a strong preference of appreciation among music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music teachers should be given discretion so that they can adjust the proportion of appreciation in the music sessions. Thi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satisfaction of the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s of appreciation with the help of music teachers' discretion and in their musicality and creativity.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appreciate pieces of interesting music in various genres. Therefore music teachers should select pieces of music which can give students interest in music class and the structure of textures should be selected in this light. Third, the subjects were not much impressed by music class. So it is important that the students should be helped to feel highly satisfied with music class by developing programs which link popular music preferred by the students with genres of each age instead of theory-centered class.

      •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조인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3

        음악은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해주며 음악교육을 통하여 심미적 경험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선택으로 피아노 교육이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음악수업에서도 직,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기 피아노 교육이 중학교 음악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중학교 음악수업의 만족도와 아동기 피아노 교육 실태 및 인식,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음악수업의 만족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감상영역에 많은 흥미를 느끼고 있었지만 평소에 접해 보지 못한데다 음악 기초지식을 요하는 창작학습은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 시수가 주당 1회에 그치고 있어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둘째, 아동기 피아노 교육 실태 조사에서, 87%의 많은 학생들이 아동기에 피아노 교육을 받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오랜 기간 피아노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아노를 배우게 된 동기는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시작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체로 체르니 30번 과정을 전후로 해서 마쳐졌다. 이렇듯 많은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피아노는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 조사에서, 기악 영역과 이론 영역에서는 도움을 받았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그저 그렇다는 결과가 높게 나와 피아노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고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피아노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피아노 교육의 시작 시기로 7세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교육 기간은 5년 이상 배워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배운 기간이 길수록 중학교 음악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결과에 따라 피아노 교육은 장기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피아노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 모두 기회가 되면 피아노를 다시 배우고 싶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아동기에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피아노 교육이 음악수업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음악수업과 연계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수법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음악수업에서 교사는 피아노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들을 배려한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중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기악 학습 실태 조사 연구 : 부산 지역 중학교를 대상으로

        이미란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27

        음악과목은 다양한 음악 활동과 여러 가지 악곡들로 음악이라는 예술을 체험케 하는 것이며, 그러한 체험을 통해서 음악적인 능력을 습득하고 음악적인 심성을 계발케 함으로써 음악적 성장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교과이다. 기악학습은 이러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일 뿐 아니라 악기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이 많은 청소년 시기에 악기를 가르침으로써 음악적인 흥미와 의욕을 심어주고 그에 따른 성취감도 맛보게 할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음악수업은 가창과 이론 영역 중심의 편중된 학습 형태를 취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적 체험의 기회를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해서 오늘날 중학교 음악 교육현장에서의 학습이 편중된 학습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기악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16개의 구별로 각각 한 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악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음악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악 학습 활동의 내용, 기악 수업의 비중과 평가, 평가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에 관한 것을 설문조사 하였고, 현재 중학교에 재직중인 음악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기악 학습 내용에 대한 의견, 교사의 기악지도 능력과 기악지도 현황, 그에 따른 문제점 등에 관한 것을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음악에 대해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입시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음악적인 취미생활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학생들은 학교에서 만이라도 부족한 자신들의 음악적인 생활을 즐기고자 음악 수업의 시간을 더 늘였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많이 하였다. 예로부터 인성교육으로서 음악을 중요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입시를 준비하기 위해 방과후의 보충수업 등은 청소년 정서 교육의 저해 요소가 되며 문제점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 진행을 하고 있는데, 모든 교과서에는 기악의 영역이 낮은 수록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아직도 가창과 이론에 중점을 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교육의 현실을 말해준다. 교과서 내용에 있어 기악 영역이 다른 학습 영역과 더 많은 연계성을 갖고, 악기의 배열이 진도별, 학년별로 단계적이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는 자기 전공에 관계없이 부단한 자기 노력을 통해 내실 있는 기악 지도를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전통악기 지도에 대해 부족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는데, 더 많은 교사 연수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 연수 교육 내용을 더 보충해야 할 것이다. 넷째, 기악 합주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면서도 악기부족과 시간부족, 적당하지 않는 장소의 문제로 지도하지 못하는 교사가 많았는데, 우선 학교별로 학교 설비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악기를 비치하여야 하겠고 교사는 그 악기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올바른 음악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악 수업 평가는 실제로 가르친 악기로 시험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지며 지필 고사나 가창시험으로 대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인 것 같다. The subject of music is a means which helps experience music as an art through various relevant activities. Through such experience, students raise their own ability of music, develop musical emotions and accomplish their own musical growth. Learning how to perform musical instruments becomes an opportunity of having the experience mentioned above. Instructing the performance lead students, who are very interested in and curious about such instruments, to feel attractive and motivated about music itself and to enjoy a certain sense of accomplishment. Nevertheless, conventional music classes have been inclined to instruct songs and musical theories, providing few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music in various way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asons why today's mu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are forcedly inclined only to one direction and clarify what effects those reasons have on classes of instrumental music. For the purpose, the study first randomly sampled one middle school out of each of the 16 school districts in Busan. Then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2nd grade students of those schools in regard to the degree of interest by the students in classes of musical instruments, current status of such classes in the actual field of music education, the proportion and evaluation of the classes and opinions by the students about the evalu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made another questionnaire survey of 126 music teachers of middle school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instrumental music classes, their ability and status of managing such classes and problems with such manage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no time to enjoy musical activities due to pressures by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despite they are much interested in music. Most of them hoped the number of music classes would increase at least in school to meet some of their needs for music. Despite music has been considered a very important part of character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supplementary lessons after school are invested to preparations for advanced school entrance, rather interfering with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youth. Second, teachers instruct music mainly by using textbooks that contain few instrumental parts. This indicates that musical education still focuses on songs and musical theories. Instrumental parts should be associated with other musical parts and provided on step-by-step ba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grade of students. Third, teachers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for faithfully instructing how to use instruments, whether they are specialized or not. A majority of them found themselves having many difficulties in educating our traditional instruments. Thus more opportunities of related training should be given to those teachers. Of course, such training need to be more strengthened in quantity and quality. Fourth, many teachers feel the necessity of instrumental concerts, but cannot realize them due to lacks in instruments, time and place. At each school, instruments meeting requirements of its establishment should be procured and kept, and then teachers would use them to instruct students properly. Fifth, evaluation of classes of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made in the form of the test of instrumental performance not of a written examination or singing test.

      • 중학교 음악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 서울시 5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설문조사 중심으로

        김현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27

        오늘날 학교교육은 인성보다 학력을 중시하는 입시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다. 음악교육이 지닌 중요성과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음악수업을 축소하고 있고 음악교육을 등한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의 대상이자 주체인 학생들의 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봄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5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음악수업에 대한 참여, 음악수업 내용․방법․환경, 수업 시수, 음악수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음악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55.9%) 학교교육에서 음악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부담이 없기 때문에’(53.3%) 음악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수업 중 재미있고 흥미로운 영역에는 '감상'(59.2%), 중요하고 필요한 영역에도 ‘감상’(40.0%)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44.6%가 가창영역의 비중이 작아져야 한다고 응답하여 현재 음악수업이 가창에 집중되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수업 방법에 대해 ‘각 영역을 균형 있게 배울 수 있어서’(42.0%) 수업 방법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지만 ‘교과서에 있는 곡만 다루는 것‘(45.9%)에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나타났다. 음악수업 환경에 대해 ’기자재(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등)를 잘 활용하기 때문에’(42.0%) 수업 환경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지만 ’다양한 악기를 접할 수 없는 것‘(79.5%)에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음악수업 시수에 대해 학생들의 66.5%가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수업이 음악을 이해하는데 주는 영향에는 ‘음악의 기본적인 지식을 배우게 한다’가 41.2%,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다른 교과목에 도움을 준다’가 36.9%, 실생활에 나타난 영향에는 ‘음악을 좋아하게 되었다’가 34.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교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이 생각하는 음악수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요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음악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른 교과에 비해 적은 시수로 배정되는 음악수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학교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학생들의 쉽고 명확한 이해를 도울 방안을 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음악수업은 하나의 음악 영역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음악과 다양한 악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Schools these days tend to focus their curriculums on preparing students for college entrance exams and teaching them how to get “better” academic titles. The real meaning of education or an appreciation of the process of building upright character seems to have no place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how students perceive music classes and music education in general.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ninth grade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think music classes are necessary in schools listed the reason as “to learn music,” while students who think music classes are unnecessary listed the reason as “lack of necessity to learn music.” Moreover,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listed the reason as “no pressure or burden in class,” while students who do not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listed the reason as “music class being not important.” Second, the most interesting area of music classes was “appreciation,”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area was “appreciation,” and the least important area that could be reduced in music classes was “singing.” Students who said the methodology of music classes is appropriate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of “a chance to learn each area proportionately,” whil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 methodology is inappropriate listed the reason as “classes only covering the songs in the textbook.” Students who think the class atmosphere is appropriate listed the reason as “good use of tools and materials,” while students who think the class atmosphere is inappropriate listed the reason as “lack of chances to play various instruments.” Third, most students thought the current number of class hours is appropriate. Fourth, the effects of music classes were listed as educating the basic knowledge about music, helping students focus on other subjects by relieving the stress in school, and leading students to enjoy the music in everyday life.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music classes based on students' various opinions about the current school music education. Teachers should use the limited class hours more effectively and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urse work more easily. Moreover,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courses on more diverse and balanced areas of music. Also, school should offer students more chance to learn various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 중학교 음악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 강원도 고성군 인제군을 중심으로

        심연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수업의 교육방법과 수업내용 그리고 교육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현재 중학교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윈도 고성군과 인제군 소재 ○○중학교 중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문제와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고, 중학교 음악교육과정 목표, 음악교육의 내용과 교수방법, 환경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 조사도구, 자료분석에 대해 언급하였다. IV장에서는 교사의 교육방법, 음악수업의 내용, 음악교육환경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통해 중학교 음악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성찰해 보면서 앞으로의 방향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improve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by examining student's awareness of teaching method, learning cont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music instruction, and by finding out the problems of current music education. For attaining the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gainst the 300 students at middle schools in Kosung-kun and Injae-kun, Kangwon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Chapter I discussed the need, purpose, problem and limits of this study. Chapter II describe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viewed the objective, content and teaching method of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Chapter III mentioned the subjects, test instrument, and data analysis. Chapter IV interpreted the outcome of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ree areas: teacher's educational method, music instruc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usic. Finally, Chapter V briefly expla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de a conclusion about the reality and problem of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and made a suggestion about in which direction music education should move forward in the future.

      • 켈러(Keller)의 ARCS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기초이론 수업 지도방안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심

        채유정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27

        음악기초이론은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가장 근본적인 뼈대를 보여주는 요소이다. 현 교육현장에서의 대부분 음악기초이론 수업 은 제재곡 안에 수록된 기본개념에 대한 이론들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제재곡을 위한 이론으로만 이해하며 음악기초이론 전체에 대한 흐름을 쉽 게 이해하지 못하고 노래만 따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제재곡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음악기초이론 위주로 진행하는 수업도 필요하다. 학생들이 제재곡을 통하여 음악기초이론을 배우기 전에 교사가 음악기초이론 부분 의 내용을 독립적으로 수업 설계하여 학습을 하고 난 후 제재곡을 통해 이론을 배 울 시 학생들은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력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제재곡 수업 에 대한 이론의 관련성을 스스로 찾고 자신이 이해했다는 만족감을 이끌어 줄 수 있다. 음악기초이론 수업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는 무엇보다 교사가 학생들이 수업의 호기심을 느낄 수 있도록 유발하는 주의집중, 주제 목표와 관련된 수업 내용이 필 요하며 학생들의 이해력과 스스로가 이해했다는 만족감을 이끌어 주는 수업이 필요 하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음악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사와 학 습자에게 자신감을 주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켈러(Keller)의 ARCS 이론을 적용한 음악기초이론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음악 학습요소와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바탕으로 단원개관 부터 시작하여 교수·학습 자료까지 상세하게 연구하는 것이다. 켈러(Keller)는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 유지시키기 위한 전략에 관심을 가졌다. 학습 동기 요인으로 주의력(Attention) · 관련성(Relevance) · 자신 감(Confidence) · 만족감(Satisfaction)을 주장하며 이 요인들의 앞 글자를 따서 ARCS 이론이라고 한다. 그의 ARCS 이론은 학습 동기의 중요성을 체계적으로 제 시하는 종합적인 이론적 시도이다. 따라서 음악기초이론을 켈러(Keller)의 ARCS 이론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찾고 수업을 지도한다면 교수·학습의 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 이 학습내용에 대한 자신감과 그 자신감을 통해 주의 집중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학 습자들이 음악기초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asic theory of music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for understanding various music and is the element showing the most basic framework. In educational fields, most basic music theory classes mainly deal with theories about the basic concepts recorded in subject musical pieces. So, students have no choice but to learn subject musical pieces theoretically. Students can’t understand the entire basic theory of music and they only sing along in clas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lesson that does not depend on subject musical pieces and proceeds with the basic theory of music independently. If teachers design and learn the contents of the basic theory of music independently, and then teach the theory through the subject musical pieces, the students can not only increas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but also find the relevance of the theory to the sanction song class and lead to satisfaction that they understood it. In addition to the basic music theory class, most of all, teachers need attention-focused, subject-oriented contents that cause students to feel curious and lead to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in detail Keller's basic theory of music applying the ARCS theory to help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give confidence to teachers and learners, and to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detail, starting with the opening of the unit, based on the music learning elements presented by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Keller was interested in strategies to motivate and maintain learners in a learning environment. This is called the ARCS theory after the first letters of the motivation factor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ARCS theory i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ttempt to systematically present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if the basic theory of music is found and taught based on Keller's ARCS theory, it will not only improve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help learners focus their attention through confidence and confidence in the contents of learning, helping learners understand the basic theory of music more easily.

      • 중학교 음악수업에서의 현대음악지도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최미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3327

        현대음악은 여러 세기에 걸쳐 이룩된 음악적 성장의 산물이며 앞으로 미래 음악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것임을 미루어 볼 때 현대 음악을 교육의 현장에 어떻게 도입하고 접근시켜야 하는 문제는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20세기 음악 어법으로 표현된 우리 시대의 작품은 학교 교육에서 외면당하고 있고 고전, 낭만주의 음악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현대음악이 갖고 있는 창조성과 혁신적인 내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음악에 대한 심미적 안목과 창조적 표현 능력을 발달시켜 주기 위하여 중학교 음악수업에 현대 음악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안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현대음악을 접근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현대음악 학습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으로 현대음악학습의 기본이 되는 현대음악의 개념과 흐름, 여러 경향, 그리고 현대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통하여 현대 음악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학교 8종 현 교과에 수록되어 있는 음악을 시대별로 분석하였다. 현대음악에 대한 지도 방안으로 본 연구자가 실험했던 학교의 연간계획표에 5-7분 사이에 현대음악을 접근해 가도록 제시하였다. 현대음악의 특징을 이루고 있는 리듬, 가락, 음색에 대한 수업지도안을 개념, 학습활동, 감상 등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깨닫고 토의하는 방식으로 개념이해는 물론 나아가서 창조의욕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해남 여자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고 현대수업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 및 효율적인 현대음악수업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흥미도가 높으며 학교 수업에 현대음악의 도입이 이루어지기를 원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나라 음악교육은 그 동안 많은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어느 한정된 시대의 교육보다는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시기의 현대음악교육을 통해 더 나은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내용에 다른 시대의 음악과 더불어 현대음악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 시켜야 하며, 음악교사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이해도와 지도력 향상을 위한 폭 넓은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족한 현대음악에 관한 학습자료의 개발을 위해 작곡가와 음악교육간의 협력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현대음악의 대중화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Since it is considered that modern music is the product of musical growth through many centuries and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future music, how the modern music is introduced and approached to education is the important task. But, the works of our age expressed in musical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are neglected in school education and the current music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centering around the classical and romantic music. This study aims at making students approach the modern music by developing the guidance plan to teach them modern music in music class of middle school in order to develop their original expression and cultivate the aesthetic vision of the music through the originality and innovative nature of modern music. The research examines the general concept and necessity of modern music through the concept, current and trends of modern music which are the bases of learning modern music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dern music. Also it suggests teaching methods of rhythm, harmony, melody and tone of modern music with learning and listenting to the modern music as the guidance of modern music. Then students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and the will to create with the method that the student becomes the subject of usic class.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the lrd graders of Haenam Girls' Middle School, examines the problem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questionnaire of modern music class and seeks the improvement methods and effective teaching devices of modern music class.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the students have high interest in modernmusic and need the introduction of modern music to music class. Korean music education has achieved a great growth and development continuously. But, better education through the modern music education rather than the education of a period in the past is required. For this, the modern music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music subject with the music of other times and reeducation program for music teachers is require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the modern education. And the cooperation between composers and music educ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modern music using mass media should be achieved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of modern music.

      •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중학교 음악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이다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lan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use of digital media,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diverse roles of music. By presenting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goal is to broaden the scope of music creation that students can apply in real life and, furthermore, enable them to actively utilize music. To achieve this, teaching guid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their content validity and practical suit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validation from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To develop the curriculum guide, the revised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and education guidelines were examined, and digital media included in the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suitable digital media for music creation classes were selected, and a curriculum guide, alo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popular music genres, was developed. The content of the instructional plan, revised and enhanced through validation by four curr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s as follows. The curriculum guide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9 sessions, each offering various activities to actively engage students in music creation using different music genres and digital media. Specifically, in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sessions 1-2>, Students select a ‘POP’ genre song and use the coding program ‘Scratch to play a melody. Subsequently, class activities are introduced for creating complementary harmony.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sessions 3-5>, the 'Hip-Hop' genre is chose to create 'Rap' according to given conditions. Class activities are designed for recording and editing using the sound editing program 'GarageBand.' Additionally, students compose a suitable 'Beat' to complement their created 'Rap.'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sessions 6-7>, the 'Blues' genre is selected for spontaneous melody creation. Students utilizes the instrument-playing using the 'Blues Scale.' Subsequent activities are designed to showcase improvisational playing based on the spontaneously created melody using the score program 'MuseScore.' In the final < sessions 8-9>, the 'K-Pop' genre is selected, and students are tasked with creating a short introduction video (1 minute or less) for their favorite singer. After learning about the importance of copyright, Students utilize the AI program 'Chat GPT' to collect information and create a video production plan. Using the AI program 'VREW', students produce an introduction video for the singer, add subtitles, and incorporat AI voices. Subsequently, they use the AI program 'Soundraw' to create background music, and the created video will be shared using the 'Instagram Reels' platform. The results of the survey validating the content and field appropriateness of this instructional plan showed an average score of 4.3 on a Likert scale of 5. This indicates tha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plan is effective in utilizing various digital media to enhance students' music learning outcomes and provide a creative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activity duration was the lowest. Teachers expressed th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lass hours to provide sufficient time for mastering the program and fostering creativity, as indicated in the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revision and improvement of the instructional plan. In conclusion, this study's curriculum guide can serve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enabling students to actively and autonomously utilize music through digital-based education. The introduced curriculum guide has only undergone expert validation and has not been implemented in real classroom settings, posing certain limitations. The aspiration is for the educational materials crafted in this study to find active implementation in classrooms. Furthermore, this endeavor aims to stimulate additional research on curriculum guides leveraging digital media for creative music education, with a specific emphasis on popular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음악의 다양한 역할을 경험하도록 수업방안을 기획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창작의 범위를 넓히고, 더 나아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 지도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중학교 현장 교사들에게 내용 타당도 및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지도안 개발을 위해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디지털매체를 분석하였으며, 음악창작수업에 적합한 디지털매체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대중음악 장르를 선정하여 수업 지도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현직 중학교 음악 교사 4인의 검증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한 지도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수업 지도안은 총 9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각 차시에서는 다양한 음악 장르와 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창작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2차시>에서는 ‘POP(팝)’ 장르의 제재곡을 선정하고, 코딩 프로그램 ‘Scratch(스크래치)’를 이용하여 멜로디 선율을 연주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어서 멜로디 선율에 어울리는 반주 선율을 창작하는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3-5차시>에서는 ‘Hip-Hop(힙합)’ 장르를 선택하여 주어진 조건에 따라 ‘Rap(랩)’을 창작하고,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 ‘GarageBand(개러지밴드)’를 활용하여 녹음 및 편집하는 활동을 설계하였다. 창작한 ‘Rap’에 어울리는 ‘Beat(비트)’를 창작하여 표현하도록 구성하였다. <6-7차시>에서는 ‘Blues(블루스)’ 장르를 선정하여 즉흥적으로 멜로디를 창작하고, 악기연주 프로그램 ‘GarageBand’로 ‘Blues’ 장르의 곡을 연주하며 ‘Blues Scale(블루스 스케일)’을 활용한 즉흥연주를 수행하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다음 활동은 창작한 멜로디를 사보 프로그램 ‘MuseScore(뮤즈스코어)’로 사보 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8-9차시>에서는 ‘K-Pop(케이팝)’ 장르를 선택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소개영상(1분 이내의 짧은 쇼츠영상)을 만드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영상 제작 전에는 저작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AI 프로그램 ‘Chat GPT(챗지피티)’로 정보를 수집하여 영상 제작 계획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AI 프로그램 ‘VREW(브루)’를 활용하여 가수 소개 영상을 제작하고, 자막을 만든 후 AI 목소리를 입히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이후 AI 프로그램 ‘Soundraw(사운드로)’로 배경음악을 제작하고, 창작한 영상을 공유 프로그램 ‘Instagram Reels(인스타그램 릴스)’로 소통하는 활동을 지도안에 포함시켰다. 본 수업 지도안의 내용 타당도 및 현장 적합성을 검증한 설문조사 결과는 Likert 척도 5점 만점에서 평균 점수가 4.3으로 나타나 개발된 수업 지도안이 다양한 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음악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수업 경험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활동 시간에 대한 평균 점수가 비교적 낮게 나왔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들은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숙련하고 창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위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수업 지도안은 디지털 기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음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전문가 검증만을 통해 수업 지도안의 효과를 확인했으며,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 자료가 학교 수업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대중음악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수업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