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五四時期 東西文化論 硏究

        문선영 延世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focuses in its objective on elucidating the thoughts of Chinese who are accepting diversified Western modern Culture, by reviewing the theory of East-West culture based on 'The New Generation' and 'The Oriental Magazine' in the May Fourth era. The present study concentrates on the theories of Liang Su-Ming and Du Ya-Chuan, orthodox theorists in the May Fourth era rather than on that of 'The New Generation' that was prone to the whole westernization, in an attempt to find out the active subjectivity of the accepters. Through this inquiry, this study aims at manifesting the potential of Chinese modernization that reproduces its own unique culture in its own way even under the Western influence. For that purpose, an approach was prosecuted by five subjects consisting of the theory of East-West culture, i. e. culture, the new, science, economic ethics, and democracy.The first is a review of culture. This chapter tries to elucidate the phase of the culture movement which was driven in the course of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state, by reviewing the theory of culture in the May Fourth era.Furthermore, it trie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ories of culture in those days by inquiring into that by Liang Su-Ming. The culture he shows in his theory is characterized by succee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n that has been kept by Chinese tradition, being related to the symbolization of a culture as an integrated constituent which harmonizes society with varied factors such as politics, economy, history, etc.The second is an inquiry into a collision between the new and the old. The value of the new was unprecedently emphasized in the new culture movement in the May Fourth era when the pursuit of the new was at its peak. The meaning of the new included in it is characteristic of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changes in China, with the involvement of modern factors. As an implication of the new exists on one side which symbolizes the view of time in the May Fourth era and the values in the Western civilization, so another one on the other which succeeds Chinese values.The third is an argument on science. Science is a characteristic of the trait of the Western culture that was best praised along with democracy in the May Fourth era.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nature scientism which extends its scope even to the methodology of the conception of life beyond objective methods and natural laws. 'The New Generation' interprets and accepts science as scientism, while orthodox theorists understand it as a moral category. With a scientistic understanding of science, thinking science and morals as one category represents an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monistic way of thinking notwithstanding it is very likely to show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The fourth is an argument on economic ethics. This chapter aims to clarify how the introduction of Western utilitarianism in the May Fourth era affected the traditional idea of emphasis on justice and negligence of profit and how new economic ethics was formed. And added to it are the problems as to how views of wealth and human desires were shown and shifted by the May Fourth intelligentsia. Furthermore, it scrutinizes immoral ideas of Chinese reprimands against money and the pursuit of personal profit, which were built in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ose of the Western utilitarianism.The fifth is an argument on democracy, aiming at manifestation of Chinese thinking on the basis of Confucianistic thought and sense of self rather than that of democracy. Also included in it 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as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lessness, contradictions between those of the Chinese traditional large family system and the modern state.As stated above, this study conducted on inquiries into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being fused with Western modern culture, by a subject-oriented approach, with emphasis upon the way of Chinese modernization. The theory of Liang Su-Ming may be said to have served as a base of East-West culture and philosophy amidst the intricacies in which traditions and modernization occur simultaneously. 본 논문은 오사시기 新靑年과 東方雜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서문화론의 고찰을 통하여, 서구 근대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받아들이는 중국인의 사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수용자의 능동적인 주체성’을 찾고자 하는 의도에서 당시 전반서화론의 입장에 있었던 新靑年의 논의보다는 오사시기 전통론자인 ‘東方文化派’의 梁漱溟과 杜亞泉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폈으며, 이들 논의를 통하여 서구 근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또한 본래의 문화토양위에서 고유한 방식으로 재창조해내는 중국적 현대화의 한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동서문화론을 구성하는 다섯 주제를 통한 접근법을 시도하였는데, 그것은 文化, 新, 科學, 경제윤리, 民主에 관한 논의이다.첫 번째는 文化에 대한 고찰이다. 본 장에서는 오사시기 문화론을 살핌으로써, 신문화운동의 ‘문화’안에 담겨있는 근대국가 건립과정 중에 도출되는 문화운동의 위상을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이와 일정하게 대비되는 양수명의 문화론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문화론이 가지는 상이한 층차를 대비해보고자 한다. 양수명의 문화론에서 보여지는 문화는 중국전통안에서 지녀왔던 文의 위치를 계승하는 면모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사회를 이루는 정치, 경제, 역사 등의 제반요소를 아우르고 그것을 조화롭게 얼개지우는 어떠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구성요소로서의 문화를 상정하는 것과 관련되어 진다. 양수명의 문화론에서는 문화의 민족성과 다원성이 중시되는데, 그는 세계문화를 中印西 文化三路向說로 분류하였으며 서양문화는 意欲向前要求, 중국문화는 意欲自爲調和持中, 인도문화는 意欲反身向後要求를 특징으로 지적하고 있다. 여기서 중국문화의 나아갈 방향은 서양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긴 하되 그 중심정신에 있어서는 중국문화의 근본정신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것으로 큰 틀에서는 中体西用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겠다.두 번째는 ‘新舊之爭’에 관한 고찰이다. 새로움의 추구가 최고조를 이루었던 오사시기 신문화운동에서 新의 가치는 전에 없이 강조되었으며, 그 안에 담겨있는 새로움의 의미는 중국의 전통적인 변화 속에서의 새로움과는 상이한 성격의 것으로, 근대적 요소가 개입되는 특성을 지닌다. 오사시기 직선적 시간관과 서양문명의 가치를 상징하는 新의 의미가 한편에 존재한다면, 그 다른 한편에는 중국전통적 가치를 잇고 있는 新의 의미가 그와는 다른 내용을 가지고 자리한다. 전통적인 철학범주에서 설명되는 新은 旧와의 연속성을 전제로 한 것이며 그 안에서 新旧의 이행은 물의 흐름과도 같이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것이다. 이러한 新旧관계는 동서문화론에서 調和論으로 이어지게 된다. 반면에 新靑年에서 주장하는 新은 旧와의 철저한 단절과 급진적인 이행방식이 전제되므로 이는 동서문화론에서 旧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反傳統의 전반서화론이 제출된다.세 번째는 과학에 관한 논의이다. 과학은 오사시기 신문화운동에서 민주와 함께 최고의 가치로 추앙되던 서양문화의 특성이며, 이는 과학의 객관적 방법과 자연법칙의 영역을 넘어서 가장 이상적인 인생관의 방법론으로까지 확대 해석되는 과학주의의 특성을 띈다. 新靑年에서 과학을 과학주의로 해석하여 받아들이는 반면, 전통론자의 논의에서 과학은 從善服義의 도덕적 범주로 이해되고 있다. 과학에 대한 과학주의적 이해와 과학과 도덕을 하나의 범주안에서 사고하는 것은 서로 상반된 이해방식임에도 불구하고 공히 전통적인 一元論的 사유방식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중국인에게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은 그것이 곧 인간의 수양과 도덕적 고양을 전제로 한 修身의 한 방편이며, 그 안에서 과학은 格物致知가 뜻하는 外物에 대한 탐구과정과 그리 다르지 않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중국인의 과학에 대한 이해에서 전통적 사유의 영향력은 뚜렷이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다음 주제인 경제윤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네 번째는 경제윤리에 관한 내용이다. 본 장에서는 오사시기 서구의 功利主義가 유입되면서 그것이 전통적인 重義輕利 관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경제윤리를 형성해 가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그것은 전통적인 경제윤리, 富財에 대한 관념과 인간욕망의 문제가 오사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변모되는가에 관한 내용이며, 이를 통하여 서구의 공리주의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적극적인 행복추구, 富財의 가치부여와는 다르게 형성된 중국인의 금전에 대한 견책심리, 개인의 이익을 취하는 것에 대한 부도덕의 관념 등을 살피게 될 것이다. 그것은 일정하게 重義輕利, 公私, 理欲등의 범주와 관련된다. 중국의 전통유교가 담고있는 均과 平値의 가치를 중시하는 것, 公的 영역에 대한 존중 등은 중국의 사회주의 지향과 맥이 닿는 내용들로서, 이는 유교사회주의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중국현대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교전통의 내용은 다음의 民主에서도 이어진다.다섯 번째 주제는 民主에 대한 논의이다. 본 장에서 시도하려는 바는 민주주의에 대한 제도적 고찰이라기보다는 서구 민주주의를 받아들이는 중국인의 사유형태를 유가전통사상과 自我觀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그 과정에서 有我와 毋我의 관념차이, 전통과 근대사이의 自我觀의 대비가 진행될 것이며, 중국전통적인 대가족제도와 근대국가 사이의 모순관계가 살펴지겠다. 이것은 넓은 범위에서 인간에 대한 성찰과도 맞닿은 것으로, 사회 공동체 구성과 역사의 변화가 인간의 내면에서 自我를 형성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도 염두에 두어졌다.본 고에서는 이러한 다섯 가지의 주제별 접근을 통하여 서구 근대문화와 만나는 중국의 전통적 사유를 고찰하고 그들이 서구 근대를 수용하면서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일구어내는 중국적 현대화의 방식에 주목하려 한다. 양수명의 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적용될 수 있는 사유로서 전통과 근대가 함께 함으로써 일어나는 다양한 境界들과 그러한 속에서도 진행되는 東西調和論의 모색은 東西文化及其哲學의 기조를 이룬다 할 수 있겠다.

      • 『玄怪錄』 試論 및 譯註

        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07

        《玄怪錄》은 中·晩唐시기 대표적인 傳奇集으로, 당시의 사상과 현실을 반영하여 풍부한 내용을 담지하고 있으면서도 그 이야기가 황당하고 기이하다고 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아오지 못했다. 그래서 본고는 《현괴록》의 내면적 가치들을 밝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우선 2부에서 《현괴록》에 대한 역주를 시행하여 원전을 면밀히 살펴본 다음, 1부의 논의를 진행시켰다. 제 1부 Ⅱ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사항인 牛僧孺의 생애와 版本, 저작시기와 行卷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승유는 정치적으로도 유명한 인물이기 때문에 여러 문헌들을 통하여 그의 생애를 간략하게나마 고찰하여, 그가 문학적, 정치적 재능을 겸비한 사람이었음을 알아보았다. 판본은 《현괴록》의 원본이 전해지지 않아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제대로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데, 필자는 《陳應翔刻本》, 《太平廣記》, 《類說》 등의 원전 자료를 근거로 하고, 程毅中, 王夢鷗, 徐志平, 李劍國 등 현대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현괴록》을 45작품으로 考定하였다. 또한 저작시기와 행권과의 관계 부분에서는 《현괴록》이 우승유가 진사가 되기 전부터 된 이후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어진 작품임을 밝혀, 행권 작품이 아님을 논증하였는데, 《운록만초》에 기재되어 있는 詩筆, 史才, 議論 세 가지 행권의 요소와 《郡齋讀書志》, 《唐語林》, 《당척언》등의 문헌에서 보이는 기록들, 작품 안의 시대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주장을 더욱 확고히 하였다. Ⅲ장에서는 우선 당대의 종교사상이 당 전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고 나서, 《현괴록》 속에 나타나는 종교사상적 제재들을 밝혀 보았다. 《현괴록》은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환상적이고 기이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유교적 색채보다는 도·불교적 색채가 더 많이 드러나므로, 여기에서는 이 두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도교사상의 모태인 신선사상은 《현괴록》에 丹藥, 人神戀愛, 仙境 등의 제재를 제공하였고, 《현괴록》은 이러한 제재를 수용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서사 공간을 확대하였다. 불교사상 또한 再生說話, 즉 죽었다 다시 살아나는 이야기들 속에 침투하여 地獄觀念과 來世觀, 因果應報, 宿命論 등의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현괴록》의 더욱 중요한 특징은 이러한 제재들을 사용하여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당대 관리의 부패상이나 모순이 신선이나 저승관리의 모습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Ⅳ장에서는 《현괴록》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여, 크게 환상수법, 의인화, 장르혼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승유라는 문학적 재능을 갖춘 문인이 환상이란 형식을 빌어 어떻게 복잡한 현실을 반영하였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느냐에 중점을 맞추어 서술하였는데, 그가 의식적으로 설정해 놓고 있는 시·공간 배경, 특정 副詞語의 사용 등은 환상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일조를 하고 있었다. 또한 《현괴록》에서의 의인화 수법은 우승유가 사물, 생물들을 인격화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그가 자각적으로 허구를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르의 혼합 부분에서는 詩歌가 자연스럽게 전기소설에 녹아들어가 서정성을 발휘하고 이야기의 전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고, 의론문이나 상소문 등의 다른 장르들도 문장 속 내용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아 작가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Ⅴ, Ⅵ장에서는 《현괴록》이 후대 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노신이 말한 당대의 가장 빛나는 전기집인 《현괴록》의 소설사적 가치를 재고해 보았다. 그리고 제 2부에서는 필자가 考定한 《현괴록》 45작품을 程毅中이 點校한 《玄怪錄·續玄怪錄》(北京: 中華書局, 1982)을 底本으로 삼고, 姜云·宋平의 《玄怪錄·續玄怪錄》(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5), 蘇道明이 選譯한 《玄怪錄·續玄怪錄》(浙江: 浙江古籍出版社, 1989), 朴敏雄의 <Niu Seng-ju(780-848) and His Hsu¨an-Kuai Lu>(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3), 前野直彬의 《六朝·唐·宋小說選》(東京: 平凡社, 1981), 王汝濤의 《唐代志怪小說遷譯》(濟南: 齋魯書社, 1985) 등의 자료를 참고로 하여, 完譯을 시행하였다. Xuan-Guai-Lu(玄恪錄), a collection of novels, or chuan-qi-ji(傳奇集), is highly Although it reflects the representative of Middle to Late Tang Dynasty novels. reality and the imagination of this era, and is rich in meaning, its strange and bizarre nature has caused it to be overlooked by scholars. Therefore, the chief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true worth of this literature.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wo parts: 1) a critique of the collection and 2)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works. The critique was written after carefully translating and annotating the work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first section I present basic information about the life of the author, Niu Seng-Ru(牛憎孺), the various editions of the colle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collection and the presentation of scrolls in the Tang Dynasty. Niu Seng-Ru(牛憎孺) was a famous government official who als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s of poetry, and fictional novels. Through the examination of ancient texts such as, Jiu-Dung-Shu <舊唐書>, Xin-Dung-Shu (新唐書), etc., it was easy to find details about of his life. The original version of the text cannot be found but stories of the collection have been found mainly scattered among several differnt editions and as of yet, scholars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which of theses stories are genuine, and which are fake. Using several editions of the text including, Chen-Ying-Xiung-Ke-Ben<陳應翔刻本>, Tui-Ping-Kuang-Chi <太平廣記>, Lei-Shuo <類設> and research accomplished by modern scholars, such as Cheng Yi-Zhong(程?中), Wang Meng-Ou(王夢鷗), Xu Zhi-ping(徐志平), Li Jian-Guo(李劍國), I have concluded that 45 out of 58 works attriubuted to the collection Xuan-Guai-Lu(玄恪錄) are authentic. I discovered also that since this work was comple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not written for presentation as a scroll. In Chapter 3, after considering what influence religion had upon Tang dynasty collections of novels in general, I analyzed the influence of religion upon Xuan-Guai-Lu(玄恪錄). As the title reveals, Xuan-Guai-Lu(玄恪錄) is filled with stones of the supernatural. Rather than a Confucian influence, the supernatural emphasis indicates more a Taoist, or Buddhist influence. Therefore, I chose to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se two religions upon the text. Also the idea of Immortality, which is the foundation for the Taoist religion, provided Xuun-Gua-Lu (玄恪錄) with themes such as medicine for eternal life or dan-yuo(丹f藥), love between immortals and human beings or ren-shen-lian-ai(人神變愛), and the world of the Immortals or xiun-jing(仙境). Through the use of these themes, this text displays a greater level of imaginative power. From stories about the dead returning to life, it is evident that Xuan-Guai-Lu(玄恪錄) has also received a great deal of influence from such Buddhist themes such as returning from the dead, hell, reincarnation, karma, destiny. However, a mor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Xuan-Guai-Lu(玄恪錄) is its presentation of the Tang Dynasty everyday reality through these fantastic subjects. For instance, the corruption of Tang Dynasty government officials is expressed through the actions of the Immortals, or the Guardians of Hell. In the fourth chapter, I analyze the styles used in Xuan-Guui-Lu(玄恪錄). I found Niu Seng-Ru(牛憎孺) used primarily three styles: fantasy, fables, or a mixture of styles. How Niu Seng-Ru(牛憎孺) was able, through his presentation of fantasy as reality, to express the complexity of real life, and his own emotions is the focus of this chapter. The first style, fantasy, is characterized by the author's interruption of the space-time background that he selected. Phrases such as, "suddenly(忽)" or "just as if" precede sudden appearances that help to create an even richer feeling of fantasy. In giving consciousness to animals and inanimate objects in Xuan-Guai-Lu (玄恪錄), one can see that Niu Seng-Ru(牛憎孺) made deliberate use of fiction to express his own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fable style. The author was also able to mix styles to great literary effect. Poems melted within the stories gave deeper expression to emotions, and foreshadowed elements of the plot. Also, essays, and debates are woven into the stories to express the author's opinion. In Chapters five and six, I discuss the influence upon later literature of Xuan-Guai-Lu(牛憎孺). Later scholars such as Lu Xun(魯迅), revealed the importance of Xuan-Guai-Lu(玄恪錄) in literary history, and called it the brightest example of Tang Dynasty chum-qi collections(傳奇集). The second section is the translation of the 45 stories of Xuan-Guai-Lu(玄恪錄) that I determined to be authentic. I annotated the 45 stories that I chose for translation using the following texts as references: Cheng Yi-Zhong, Xuan-Guai-Lu·Xu-Xuan-Guai-Lu <玄恪錄·續玄恪錄>(Beijing: Zhong hua shu ju, 1982). Jiang Yun·Song Ping, Xuan-Guai-Lu·Xu-Xuan-Guai-Lu <玄恪錄·續玄恪錄>(Shanghai: Shanghai Guji Press, 1985). Su Dao-Ming, Xuan-Guai-Lu·Xu-Xuan-Guai-Lu <玄恪錄·續玄恪錄>(Zejiang: Zejiang Guji Press, 1989). Park Min Woong, Niu Seng-ju (780-848) and his Hsiktn-Kuai Lu(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ress, 1993) Wang Ru-Tao, Danghi Zhiquai Xiaoshuo xuanyi

      • 『漢武內傳』 試論 및 譯註

        김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07

        《漢武內傳》은 魏晉南北朝 時期 志怪 小說의 하나로서 道敎思想을 내용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中國 敍事文學에 있어서 道敎가 담당했던 중요한 역할에 대한 국내 학계의 인식결여로 말미암아, 그에 대한 연구가 全無한 실정이었다. 本稿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漢武內傳》을 試論하여 그 小說史的 意義를 찾고, 아울러 문학적 성취를 자리매김 하고자 했다. 本稿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第 1部는 《漢武內傳》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試論부분으로 구성되고 第 2部는 《漢武內傳》 全篇을 國譯하고 譯註한 부분에 해당된다. 제 1부 Ⅰ장의 緖論에서는 중국에서의 지괴 소설과 도교와의 상관성을 개괄하였고, 이어 Ⅱ장의 成立 및 版本에서는 기존의 作者未詳說, 班固·葛洪說, 上淸派說을 간략히 서술한 뒤에 《漢武內傳》의 구성을 도교 上淸派의 經典인 《茅山君內傳》과 관련지어 작자가 王靈期나 그와 비슷한 상청파 교도 중의 한 사람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Ⅲ장인 《漢武內傳》의 도교사상에서는 우선 상청파를 중심으로 위진남북조까지의 도교사를 一瞥하여 작품의 사상적 배경을 밝힘과 동시에, 不死追求, 樂園思想, 人神戀愛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도교적 제재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漢武內傳》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漢武內傳》 의 小說的 特徵을 규명해 보았는데, 1절 敍事構造에서는 도교의 齋醮儀禮와 관련한 분석으로 이 작품이 하나의 完整한 의례적 敍事構造이며 그에 따라 그 속에 담겨진 내용들이 제의적 상징을 나타냄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2절 登場人物의 性格에서는 《漢武內傳》의 주요 인물인 漢武帝, 西王母, 上元夫人에 대해 각각의 設定意味와 그 性格을 探討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 結論에서는 이제까지의 내용을 정리하고, 덧붙여 《漢武內傳》 이 後代에 미친 影響을 논하였는데, 소설, 詩歌와 戱曲 등 여러 장르에 걸쳐 中國 文學史上 전체에서의 위상을 점검하였다. 제 2부 譯註에서는 《漢武內傳》을 完譯하였는데 먼저 역주의 원칙을 간단히 제시했으며, 錢熙?이 校證한 《守山閣叢書》 本을 底本으로 하고 Kristofer Schipper의 《L'Empereur Wou des Han dans la Legende Taoiste》(Paris: Ecole Francaise Dextreme-Orient, 1965), Thomas E. Smith의 《Ritual and Shaping of Narrative : The Legend of the Han Emperor Wu》(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2), 葉桂剛, 王貴元의 《中國古代十代志怪小說賞析》(北京: 北京廣播學院出版社, 1992) 등을 참조하여 역주를 시도하였다. Han-Wu-Nei-Zhuan(漢武內傳), one of Zhi-Guai(志恪) novels of Wei Jin Nan Bei Chao era's(魏晉南北朝), is a Shen-Xian(神仙) legend characterristic of Daoist thinking.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t role Daoism played in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n academic circle, there were few studies done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thesis B to find ou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as well as to evaluate its literary achievement.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two-part. The first part an essay, an overall analysis of Han-Wu-Nei-Zhuan(漢武內傳) the second part is the Korean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 the intrduction, I surveyed the relationship between Zhi-Guai(志怪) novel and Daoism. In Chapter Ⅱ which deals with the problems of establishment and version, after briefly stating the various kinds of existing hypothesis on author such as anonymous author theory, Ban-Gu(班固) · Ge-Hong(葛洪) theory, and Shang-Qing-Pai(上淸派) theory, I assumed the author would be Wang-Ling-Qi(王靈期), or one of the followers of Shang-Qing-Pai(上淸派) on the basis of the similiarity of structure between Han-Wu-Nei-Zhuan(漢武內傳) and Mao-Shan- Jun-Nei-Zhuan(茅山君內傳), the Daoist Shang-Qing-Pai(上淸派) Bible. In Chapter Ⅲ, I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reviewing the Daoist history till Wei Jin Nan Bei Chao era's(魏晉南北朝) laying stress on Shang-Qing-Pai(上淸派), and analyzed the way the Daoist sources such as pursuit of immortality, utopian thought, and affection between man and God form the contents of Han-Wu-Nei-Zhuan(漢武內傳) in their own respects. In Chapter Ⅳ, I elucidated the novelistic characteristics of Han-Wu-Nei-Zhuan(漢武內傳) : in section I, narrative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Daoist rirual, I concluded that the novel has a perfect ritual narrative and its content reveals ritualistic symbols ; in section 2, personality of characters, I examined the meaning and personality of main characters such as Emperor Wu(漢武帝), Xi-Wang-Mu(西王母) and Shang-Yuan-Fu-Ren(上元夫人). Finally in the conclusive Chapter V, in addition to the summary of the thesis, I discussed the mfluence of Han-Wu-Nei-Zhuan(漢武內傳) on the later generation. In an attempt to examine its influence on poetry and drama as well as nevel, I emphasized its significance in the whole literary history. In part two, after briefly presenting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annotation, I made, a completed translation of Han-Wu-Nei-Zhuan(漢武內傳) with Shou-Shan-Ge-Cong-Shu(守山閣叢書) edited byQian Xi Zuo(錢熙 ?) as basic version, I used <L'Empereur Wou des Han dans la Legende Taoiste> written by Kristofer Schipper, <Ritual and Shaping of Narrative : The Legend of the Han Emperor Wu> written by Thomas E. Smith, Zhong-Guo-Gu-Dai-Shi-Dai-Zhi-Guai-Xiao-Shuo-Shang-Xi(<中國古代十代志恪小說賞析>)edited by Ye Gui Gang(葉桂剛), Wang Gui Yuan(王貴元) as references.

      • 郭沫若의 1940年代 歷史劇 硏究

        손희주 高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07

        衆所周知,郭沫若是個詩人、戱劇作家、歷史學家和社會主義革命家。郭沫若在中國文壇上的突出地位表現在:他是二十世紀二十年代浪漫主義的中心人物,後來他在二十世紀四十年代戰亂時期發表歷史劇而開闢了中國現代歷史劇的新局面。 &amp;#36804;今爲止,關於郭沫若普遍的觀點是:他是爲中國共産黨領導的中國革命的要求而&amp;#21584;喊和鬪爭的代表作家。具體地講,在二十世紀二十年代後期他提倡‘革命文學論’而主張打倒個人主義;在抗戰時期他在國統區把民族革命以文學體裁來形象化;在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成了“黨的司令員”。因而,在中國大陸對他的評價一直偏高。但這往往起了消極的作用。 目前, 文學界對郭沫若的歷史劇給予了消極的評價,這都源於他的過度政治傾向。將郭沫若的《屈原》與莎士比亞的《厘雅王》作比較,闡明了《屈原》在某種程度上有莎士比亞的悲劇風格,但郭沫若筆下的屈原是一個高度政治化的人物,而且不完全同於屈原自己的作品《離騷》&amp;#8228;《天問》&amp;#8228;《九章》&amp;#8228;《九歌》裏所塑造的自我形象。換而言之,郭沫若所創造的屈原形象固然痛快淋&amp;#28757;,但缺乏更深刻更耐人尋味的思想與藝術力量。 郭沫若歷史劇的功利性固然要承認,但&amp;#20540;得肯定的是他不束縛於歷史事實而把握住了歷史所內含的眞實,獨特地表現了具有時代性的悲劇意識。 二十世紀四十年代郭沫若歷史劇的特點歸納爲如下; 第一,現實與與時代息息相關的歷史意識;從反封建主義與女性解放的角度出發,主張女權主義;以人民爲中心的社會主義思想;現實批判的民族意識。 第二,以社會功能爲中心的藝術技法的運用。中國傳統戱劇的社會功能性影響到在一九四零年代爲中國共産黨的理念所領導的民族形式論。當時作爲左翼文壇領袖的郭沫若的見解在這個方面可以說是個代表性的。郭沫若從現實生活&amp;#8228;外來形式&amp;#8228;舊形式(民間形式的通俗性和士大夫形式的藝術性)中探索出民族形式的新樣式,幷在內在因素和外部形式兩方面實踐歷史劇的創作。 第三,在創作方面上運用了浪漫主義文藝思潮及其藝術形式。這點有著&amp;#36319;戱劇的開演性密不可分的關係。郭沫若之所以選擇浪漫主義是因爲歷史現實&amp;#8228;時代思潮和個人氣質的緣故。但他接受馬克思主義之後,就放棄了浪漫主義文學,而&amp;#24375;調現實主義藝術形式與以社會主義爲中心內容的文藝之必要性。不過,二十世紀四十年代他的歷史劇裏面仍然有著濃厚的浪漫主義色彩。具體來講就是;歷史劇所體現出來的理想化;作爲劇作家盡情發揮的創作自由;個性和主觀意識的充分發揮;濃厚的抒情性和劇作的詩化。 總而言之,二十世紀四十年代郭沫若的歷史劇蘊含著郭沫若作爲歷史家的客觀性、作爲詩人的浪漫性、作爲革命家的理想性以及作爲政治家的現實性。所有這些使得郭沫若區別於同時代其他歷史劇作家,以致他所創作的歷史劇帶有獨特的個性。 &quot;郭沫若은 시인이자 극작가이며, 사학자이자 사회주의 혁명가이다. 그는 일반적으로 1920년대 중국 문단을 풍미한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1940년대 전쟁 시기에 역사극을 발표함으로써 중국 현대 역사극의 새로운 한 장을 개척한 인물이기도 하다. 郭沫若에 대해 가장 넓게 받아들여지는 공통된 평가는 郭沫若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이끌어진 중국혁명사와 현대사를 대표하는 작가라는 견해다. 그가 1920년대 후반 ‘革命文學論’을 제창하며 개인주의 타도를 내세우고, 항전 시기에는 ‘國統區’에서 민족혁명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을 창작했다는 점, 그리고 ‘中華人民共和國’ 성립 이후부터는 이른바 ‘당의 나팔수’가 되었다는 점 등에서 볼 때 그렇다. 이 때문에 중국 대륙의 연구 성과는 편파성을 띨 정도로 郭沫若을 한결 같이 높이 평가해 왔지만, 또한 이것이 한계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郭沫若의 지나친 정치적인 성향으로 인해 그의 역사극이 문학사에서 소극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대세이다. 郭沫若의 ≪屈原≫과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을 비교하면서 ≪屈原≫에는 셰익스피어와 같은 비극의식이 드러난다고 하는 평가도 있었지만, 궁극적으로 郭沫若의 屈原은 고도의 정치성을 띤 인물 형상 일뿐만 아니라 屈原 본인의 작품인 ≪離騷≫&amp;#8228;≪天問≫&amp;#8228;≪九章≫&amp;#8228;≪九歌≫에서 나타나는 自我形象과도 다르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郭沫若이 창조한 屈原의 형상은 거칠 것 없이 시원스럽지만, 이를 통해 오래도록 곱씹을 만한 심오한 사상적 깊이와 예술 역량을 느끼기에는 사실 부족하다는 것이다. 郭沫若의 역사극이 지나치게 공리성에 치중된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외적인 역사적 사실에 국한되지 않고, 내적인 역사정신의 진실을 파악하고 시대성을 띤 비극의식을 개성적으로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가볍게 볼 수 없었다. 본론에서 살펴 본 郭沫若의 1940년대 역사극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실과 시대에 밀착된 역사의식으로 아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反봉건의식과 여성해방의 차원에서 추구한 여성 주의적 관점이다. 둘째, 민중 중심적 사회주의 사상이다. 셋째, 현실 비판적 민족의식이다. 다음은 郭沫若 역사극에 나타난 다양한 예술적 기법을 연극의 사회적 기능과 연계시켜 살펴보았다. 중국의 오랜 전통인 연극의 사회적 기능은, 1940년대 중국 공산당의 이념적 차원에서 시작된 ‘민족형식론’과 연결된다. 당시 좌익 문단의 지도자였던 郭沫若의 견해는 이 문제에 대해서 어느 정도 대표성을 가진다 할 수 있다. 郭沫若은 민족형식의 중심원천을 현실&amp;#8228;외래형식&amp;#8228;옛 형식(민간형식에서 통속성과 사대부형식에서 예술성)의 결합에서 찾았고, 이것을 역사극 창작의 내적 요소와 외적 형식에서 실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주의자 郭沫若이 역사극 창작에서 선택한 낭만주의적 문예사조의 창작경향과 예술적 형식을 연극의 공연성과 연결시켜 살펴보았다. 郭沫若이 낭만주의를 선택한 이유는 역사현실&amp;#8228;시대&amp;#8228;개인적 기질에 있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한 이후, 그는 낭만주의 문학을 포기하고 현실주의 예술형식과 사회주의를 내용으로 한 문예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1940년대 창작된 그의 역사극에서는 현실주의보다 낭만주의 색채를 더 강하게 느낄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근거로는 아래의 4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역사극에 나타난 理想化이다. 둘째, 극작가로서 창작의 자유를 최대한 누린 점이다. 셋째, 郭沫若 자신의 개성과 주관을 마음껏 발휘한 점이다. 넷째, 농후한 서정성과 극의 詩化를 꼽을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1940년대 郭沫若의 역사극에서는 역사학자로서의 객관성, 시인으로서의 낭만성, 혁명가로서의 이상성, 정치가로서의 현실성을 찾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郭沫若의 역사극이 동시기의 다른 역사극과 구분되는 특징이며, 동시에 郭沫若이라는 인물의 개성임을 알 수 있었다.&quot;

      • 關于《扭曲的英雄》的飜譯問題硏究 : A Study of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of 《Our Twisted Hero》

        장곤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the effective ways of comparative analysis in translating《Our twisted hero》 Korean into the Chinese. This paper show the way how to translate 《Our twisted hero》 for translator to help them acculturate into Chinese society. The work of art translated to Chinese language is meaningful. In that, readers have a great opportunity to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 social, history and cultural factors. This study have been arrived at the three conclusions that is 'the major contents', 'art charactristics' and 'the thought of the motif'. 1. Main contents : This novella which reveals the attributes of the authority and the related people before and after the 4.19 Revolution through what occurred in a class of a primary school in the countryside. Eum seok-tae man was portrayed as 'twised hero'. he is the leading character. Myself of that novel was portrayed as Han, beong-tae. 2. Art charactristics : Lee, Mun-yeol strongly criticized on the deteriorated conformism toward the absolute power through his book 《Our Twisted Hero》. This novel can be found in that it introduced satirical allegory form accusing the virtual images and contradictions of authority structure from the views of a third party's space and time, which are the primary school classroom and the Crusader war. 3. Thought of the motif : He clarified his stand on the issue in his a literary work. The major thought of motif is the contradictions, conflicts of thought, process of growth between 'myself' and 'Eum seok-tae'. He doesn't discard the skeptical view of mankind; he is always perceiving problems In conclusion, translations are not only second-hand, but also generally second-rate. Any attempt to tamper with a literary text by rendering it into another language must be condemned as foolhardy and barely permissible undertaking, doomed from he start and to be judged, at best, in terms of relative fidelity, and at worst as outright sacrilege. Translation is a complex and dynamic system.

      • 현대중국어 '給'의 용법에 따른 활용 연구

        마오하이옌 延世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07

        현대중국어에서 ‘給’는 수여동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대상을 유도하는 개사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給’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고 ‘給’로 구성되는 문장의 형태도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給’를 ‘동사, 개사, 조사’와 같이 3가지 품사로 분류하여 의미적, 화용적으로 ‘給’의 용법을 자세히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그 분석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동기를 밝히고, 기존 ‘給’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기존연구와 예문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給’의 품사분류를 논하였다. 수여의미와 사역의미를 가지고 있는 ‘給’는 동사로 보고, ‘給+NP+V’, ‘V給’와 ‘V+NP+給’ 구문의 ‘給’는 모두 개사로 보았다. 그리고 ‘把被+NP+給+V’ 중의 ‘給’는 조사로 보았다. 그러나 ‘給’가 아직 문법화 되는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給’의 품사를 분명하게 나누기는 어렵다. 제 3장에서는 동사 ‘給’가 사용되는 이중빈어문과 겸어문의 통사 및 의미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수여라는 의미는 수령자에게 어떤 물건을 갖게 하는 것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령자가 이 물건을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된다는 것도 의미한다. 이를 통해 ‘給’가 수여의미에서 허락의미로 파생되어 겸어문을 구성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給’를 비롯한 이중빈어동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학습자들이 오류를 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給’류 동사로 구성된 중국어의 이중빈어문을 한국어의 이중타동문과 비교해 보았다. 제 4장에서는 개사 ‘給’의 위치에 따라 ‘給+NP+V’와 ‘V給’,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給’가 동사 앞에 위치할 때는 ‘수령자, 수혜자, 피해자, 동작이 지향하는 대상, 행위자, 동작의 지배대상’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중국어의 개사 ‘給’와 한국어의 격조사 ‘에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밖에도 ‘給’와 비슷한 용법을 가지고 있는 다른 개사들, 즉 ‘對, 向, 跟’과의 차이점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給’가 동사 뒤에 위치할 때는 모두 수여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 때 선행 동사 ‘V’는 수여하는 방식과 경로를 나타내고, ‘給’는 수여의 종점을 나타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給’구문의 의미 차이를 분석하였고, ‘V+給’형식에 쓰이는 동사의 의미자질을 분석하고 <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 중 ‘給’와 결합 가능한 동사들을 열거하였다. 마지막에서는 ‘V給’와 한국어 ‘동사-어 주다’ 구문을 비교하고 서로간의 대응형식을 찾아보았다. 제 5장에서는 ‘把’자문과 ‘被’자문에 사용되는 조사 ‘給’의 용법을 논하였다. 우선 조사 ‘給’의 발생과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把被+NP+給+V’에서 ‘給’는 ‘결과, 의외, 뜻밖의’의미를 더욱 심화시키는 화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給’가 ‘把’자문과 ‘被’자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건도 검토해 보았다. 제 6장에서는 각 장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