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20년대 조선인 지식인과 여학생의 여성 중등교육 인식

        정금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여성 중등교육에 대한 조선인 지식인과 중등학교 여학생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을 받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밝히는데 있다. 3⋅1운동을 계기로 여성의 사회 진출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여성은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여성의 사회적 자각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계몽을 목적으로 한 단체의 설립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여성교육단체의 활동은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높여주었다. 이에 따라 조선인 여학생이 다니는 인문계 중등교육기관인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다수 세워졌고, 여학생은 가정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면서 자아의식을 갖춘 주체적인 인격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같은 사회변화는 여성 중등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과 교육을 받는 여학생들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을 높여주었다. 여성 중등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받은 여성에게 바라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조선인 지식인과 여학생의 인식은 3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자아의식과 주체성을 함양한 여성이다. 여성은 중등교육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고 인격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렇기에 교육을 받은 여성은 학교에서 쌓은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로 나아가 능동적인 사회활동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곧 사회문화의 향상과 국가의 발전으로 이어진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신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여성이다. 여성이 일정한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으려면 현실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신지식이 필요하였으며, 이같은 지식은 중등교육을 통해 쌓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인 지식인들보다 여학생 자신에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학업을 유지해야 한다고 여겼다. 셋째, 현모양처로 가정을 유지하고 남편과 자녀를 뒷바라지하는 여성이다. 일부 조선인 지식인과 딸을 가진 부모들은 여전히 여성과 남성의 전통적인 사회적 역할 구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렇기에 여성이 교육을 받았다 하더라도 사회에 진출하기보다는 가정으로 돌아가 자신의 직분을 다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여학생들 자신은 단순히 가정 내에서 남성이나 자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들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직접 활용하여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라 가정으로 주도적으로 운영하려고 하였다. 조선인 지식인과 중등학교 여학생들은 여성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인격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는 중등교육을 통해 확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성 중등교육에 대한 이같은 인식은 당시 사회변화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여성 자신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대처의 결과이기도 하였다. 일제 하 여성 자신의 주체성 함양과 발전은 여성 중등교육의 결과이자 여성 중등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인 것이다.

      • 중국과 한국의 중등직업교육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리우위통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과 한국의 중등직업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정책의 목표와 내용, 정책의 효과, 정책 실효 여부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중국과 한국의 중등직업교육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비교법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중국과 한국의 중등직업교육 정책의 목표는 모두 국가 경제 발전과 산업화 추진을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의 정치체계의 차이로 인해 교육정책의 추진과정에서 중국은 비법률적인 방법을, 한국은 법률화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과 한국은 국가 건설과 경제 발전에 있어 기술 인력의 중요성을 강조해 오면서 중등직업교육 정책에 대한 노력을 하였지만, 그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직업교육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사회적 수용도를 꼽았으며, 한국 역시 졸업생들이 취업보다는 진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 중등직업교육 정책이 실효된 원인으로는 유교문화의 영향과 명문학교를 향한 높은 교육열을 들 수 있다. 직업교육 정책의 효과가 미비한 원인으로 중국과 한국은 사회적으로 여전히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등직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에 대한 차별과 낮은 경쟁력 등의 문제는 중국과 한국이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명문학교에 대한 교육열로 이어져 중등직업교육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중등직업교육 발전을 이해하기 위해 양국 정책 목표와 정책 내용의 특징에 주목하였고, 정책 효과를 확인하고 정책 실효 여부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과 한국은 중등직업교육에 대한 정부의 투자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과 한국은 중등직업교육 정책을 개혁할 때 교육과정의 설정과 교육 방향이 학생과 사회의 실제 수요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중등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교육제도의 개혁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직업교육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점진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높은 교육열로 인해 학생과 학부모는 일반고 진학을 선호하며, 중등직업교육의 진로에 대한 불안감이 높다. 따라서 중등직업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고 사고방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교육 학생들에게 더 많은 존중과 지원을 제공하여 사회 발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정하고 함께 노력하여, 직업교육을 보다 포용하고 지원하는 사회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모든 학생이 자신 있게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 몽골의 교육제도 및 초·중등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김민수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몽골의 교육법 및 교육행정조직, 학제 및 교육제도,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분석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몽골 교육제도 및 초·중등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개선 및 발전방안 제안을 통해 몽골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문헌인 몽골의 교육법 및 교육행정조직, 몽골의 교육제도 및 학제,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등을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첫째, 몽골의 교육법 및 교육행정조직을 분석하는 것이며, 둘째, 몽골의 학제 및 교육제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고, 셋째,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은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면담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 및 방법을 통해 분석한 연구의 결론 및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교육법 및 다른 법규들은 체계적으로 제정하여 잘 시행하고 있지만, 계속적인 학교교육 현장의 요구 반영과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관련 법규를 개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몽골의 교육행정조직은 중앙교육행정조직과 지방교육행정조직이며, 몽골의 교육과학부 중심으로 교육제도 및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중앙교육행정조직인 몽골의 교육과학부는 한국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발전적인 측면에서 몽골 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교육과학부의 직무분석을 통한 각 부서를 재조직할 필요가 있으며, 각 부서별 역할에 대해 재정립이 요구된다. 셋째, 몽골의 학제는 한국의 학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초등 및 중등교육을 12학년제로 한다는 측면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학제로 개편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실제 교육수요자인 학부모나 학생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학제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넷째, 취학 전 교육은 ‘지속 가능 발전 비전 2030’에 제시된 성장 전망과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교사당 학생 수를 20명으로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목축업 종사 가정, 취약계층 가정 및 장애 유아 등에는 공적 차원의 유아교육이 실시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향후, 몽골 교육과학부에서는 농촌 및 목축 가정 자녀들의 유아교육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재정적 확보 및 지원이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또한, 초·중등교육은 2020학년도 현재 학교 수가 839개교이며, 그중 초등학교는 72개교, 중학교는 109개교, 고등학교는 658개교이다. 앞으로 학교 수는 점차 증가하지만, 학생들의 등록률이 상당히 낮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향후, 몽골 정부는 초등 및 중등교육의 질을 향상시켜야 하며, 학교 교육의 효과성 및 효율성 차원에서 초등 및 중등교육을 관리하기 위한 행정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몽골의 교사 양성 측면에서 볼 때 타 직종에 비해 교사의 임금이 낮고, 남교사의 비율도 낮으며, 교사들은 전문성 차원에서 석?박사 학위 소지자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향후, 몽골 교육과학부에서는 교사 양성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 수립 및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 입학전형 제도는 지역할당전형, 대학 자율전형, 특기자전형, 벽지 지역전형의 네가지 형태의 제도로 병행되어 운영되고 있다. 사립대학교들이 설립되면서 고등교육의 기회는 확대되었으며, 국립대학교에 대한 정부 지원의 감소로 인하여 국립대학들이 자체 경영에 의한 책임경영제 운영 및 학사운영의 자율권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몽골의 대학입학시험은 수험생들에게 과도한 시험기간(4일)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점과 대학입학시험 커트라인을 잘 지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입시에 대한 명확한 규정 및 지침을 마련하여 각 대학에서 준수하도록 관리?감독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여섯째,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 중 하나인 2014년 시간 배당 기준에는 교과군과 교과지원 활동으로 편성되었던 것이 2020년에는 교과지원 활동이 삭제 되었고, 주요 내용과 활동을 결합하여 교과로 확대 편성하거나 신규 교과로 편성하였다. 또한, 연간 수업기간을 초등학교 Ⅲ-Ⅴ학년은 33주에서 32주로, 중등학교는 35주에서 33주로 축소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에서는 교과목군의 조정 및 교과목 명칭을 교과의 성격에 부합하게 조정하였으며, 학생들의 시민의식과 윤리성 함양을 위해 ‘시민윤리교육’을 신규 편성하였다. 향후, 발전적인 측면에서 여러 교육 선진국들의 초·중등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몽골의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일곱째,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편성에서 ‘교사조정시간’을 시간표에 편성하여 학생들의 학습 부진 및 결석 예방을 위해 동아리 안내,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시민윤리 교육 및 진로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과의 운영에 있어서 중등학교에서는 한 단위 수업 시간은 40분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운영에 있어서는 80분까지 연속 운영하도록 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향후, 발전적인 측면에서 한국에서 시행하는 자유학기제나 자유학년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여덟째, 심층면담 분석 결과에서 몽골과 한국의 초등 및 중등교육과정의 교과목별 시간 배당 기준에 있어서 한국과는 조금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몽골 교육과학부에서는 여러 선진국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몽골의 실정에 적합한 교과목 군 및 시간 배당 기준, 총 시수 등을 설정 및 편성·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홉째,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육과정 개발의 원칙에 나타난 개선의 내용은 교과의 상호 연결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습방법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법 적용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지식, 기술 및 태도로 구체화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서 참여의 주체와 역할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몽골 교육과학부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시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적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열번째,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능력의 측면에서 ‘정보 및 기술 작업’ 내용이 추가되었으며, 학생들의 보다 넓은 세계와 소통, 건강한 위생적 습관의 형성, 그리고 학생들이 길러야 할 능력을 5대 범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몽골의 초·중등교육과정의 운영에서 기술교육, 외국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발전적인 측면에서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컴퓨터 및 정보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초·중등교육과정의 개편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몽골의 교육제도 및 국가교육과정에 포함된 하위내용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는 공간적 범위 안에 허용될 수 있는 직접 관찰이나 현장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양적 연구도 병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몽골을 직접 방문하거나 몽골에 거주하는 전문가 활용을 통해 교육과학부 및 일선 학교 현장 다양한 실천 사례와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몽골 교육의 실천 양상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Mongolian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chool system, education system, and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improve and develop the present Mongolian education system and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in a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manner for the general educational advancement of Mongolia. To this end, the following specific study subjects were set up: First, the condition of the Mongolian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econd, the condition of the Mongolian school system and education system; and thir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Mongolian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Mongolian education method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education system, school system, and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were also investigated and analyzed. Specific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Mongolian education methods,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methods, Mongolian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nd reg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Mongolian school system and preschool education,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Mongolian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etc. As to study methods,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utilized. In use of above-stated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have been derived: First, while Mongolian education methods and other legislations have been well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laws continually in order to reflect demands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and to address problems. Second, the Mongolian gene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consists of the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nd reg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Such education systems and curriculum are operated mainly b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s the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ountr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plays a similar role with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For further advancement, based on a job analysi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Mongolian na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departments concerned and to restructure roles of each department. Third, the Mongolian school system is similar to that of Korea in that it operates the 12-grade system for its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although the general school system itself is somewhat different.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put forth efforts to reorganize the school system to become more flexible in reflection of opinions from actual education service recipients including parents and students. Fourth, as to the preschool education system, efforts are put forth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down to 20 based on the growth prospect and educational objectives stated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Vision 2030.’ However, childhood education services are not applicable to farming households, vulnerable class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disabled children in general. Currently, education services for these are insufficient in realit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need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children in agricultural and farming households to childhood education service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more support including financial grants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disabled childre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assistant teachers including technology teachers. In addition, there are 839 elementary·secondary schools in total as of the school year of 2020: including 72 elementary schools, 109 middle schools, and 658 high schools.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fact that while the general number of schools increases gradually, the registration rates of students are quite low. The Mongolian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and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ervices for its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in terms of school educa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ifth, in view of the current condition of Mongolian teacher training, the percentage of male teachers is low due to the relatively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elatively low income of the teaching profession. As to professionalism, the percentage of teachers with a master or doctor’s degree is low.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courses of Mongolia is quite inefficient and not systematic either. Accordingl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needs to establish systematic plans for its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o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eacher professionalism enhancement. Since it was transformed into an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free-market system and democratic principles,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has been operated in four different types: regional allocation, college autonomous selection,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specialty, and selection of students from isolated regions. Opportunities of higher education have increased since private universities started to be established. As the governmental support for national universities decreased, these universities now operate their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independently and exercise the right for autonomous educational operation. However, the current Mongolia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requires examinees to take the test for an excessively long period (4 days) and the cut-off point requirement in the entrance examination is often neglected. 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s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lear regulations and guidelines concerning college entrance and to guide or promote the compliance among colleges. Sixth, as part of the Mongolian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system, the time allotment criteria were revised: While the criteria focused on subject grouping and subject supporting activity as of 2014, the existing subject supporting activity was removed in 2020. Instead, major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combined into an expanded version of the subject or into a new subject. In addition, the yearly class period was adjusted from 33 weeks to 32 weeks for elementary school Ⅲ-Ⅴ grades and from 35 weeks to 33 weeks for secondary school grades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among students. As to course organization of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the subject categorization and subject titles were adjusted in line with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ultivate civic-mindedness and ethics among students, the new subject ‘Civic Ethics Education’ was included. Fur continued advancement, it is required to comparatively analyze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of various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reflect them in Mongolian curriculum. Seventh, the ‘teacher’s coordination session’ was included in the Mongolian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system so that such services as guideline on club activity, civic ethics education for students and parents, and career counseling are provided in order to address learning difficulties among students and prevent absence. In addition, it is specified secondary schools that each class is as long as 40 minutes, but it is allowed that each school may decide to extend the class up to 80 minutes in order to strengthen schools’ autonomy in curriculum operation. For continued develop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adopting such systems as free-semester system or free-year system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Korea so that the curriculum are improved in direction of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dreams and talents. Eighth, In-depth interview results show that the Mongolian criteria of time allotment for each subject in its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needs to comparatively analyze current conditions of various advanced countries and to establish or organize subject groups, time allotment criteria, and total instructional hours appropriate for the Mongolian settings. Ninth, in the operation of the Mongolian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improved with the emphasis on the interconnectivity among subjects. In terms of learning methods, it is emphasized to apply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students. Additionally, learning contents were classified to more specific sub domains such as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e. Participant subjects of school curriculum operation and their roles were also specified. In this regard,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needs to put forth efforts to plan and apply various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when developing curriculum. Tenth, as to abilities that students need to develop in relation to operation of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in Mongolia, contents of ‘information and technical tasks’ were added to suggest communication with a broader world, completion of healthy and hygienic habits, and 5 major abilities for students need to cultivate. As the education contents of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were analyzed, it turned out that the main focus was on technology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continued development in the futu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elementary·secondary curriculum in a way that expands contents regarding computers and informatio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above-stated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oundary of sub domains of education system and national curriculum analysi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ies, the future study needs to include direct observation allowable in the spatial range or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perception in the field. In view of analysis subjects of literature review, the future study needs to put forth efforts to collect a variety of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s well as school settings by visiting Mongolia in person or utilizing local experts residing in Mongolia.

      •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중등교육실습 운영 분석 :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김판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education is performed through specific meeting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 education is started, processed and further completed. In training such an important teacher, teaching practicum has so much special meaning that it is called the flower of the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scholars say that the current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is not sufficiently meaningful in terms of the opera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value. This research, therefore, was intende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exposing the percep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among practicum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l related. The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practicum in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desirable structure and the actual implement of teaching practicum?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framework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from Engeström's third-generation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each subject in relation to the teaching practicum.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practical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officials of education colleges, supervisors and researchers at the education office from May to September 2019,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typ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med the activity systems of the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um, and revealed the comm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adictions within and among each subject, including the tertiary and quaternary contradictions for some of them.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ommonly had a "know-you" attitude and unsubstantial collaboration as primary contradiction. In this regard, the rules concerning teaching practicum were unclear, and division of labor was abnormally conducted, causing secondary contradictions. There were subsequent contradictions such as ‘a wide variety of guidance’ at schools, ‘the neglect of teaching practicum’ at colleges, ‘limits of indirect and documentary support’ 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of each subject toward other subjects were aggregat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such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um, organizing and operating a transcendent consultative body, establishing a system of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colleges and practical schools, and improving the teaching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um requires more concrete effort from not just a single institution, but overall systemic cooper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leading role of the administrative body in improving the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and furthermore, we can see the requirements for need analysis to be conducted in colleges of education. 교육은 교사와 학생과의 교사와 학생과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사는 교육이 시작되고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중요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에서는 교생실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모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Engeström의 제3세대 문화역사 활동이론의 틀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를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전형적 분석 방법인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활동체제를 구성하였으며, 종합적인 교육실습 활동체제와 이들을 비교하여 공통 1차, 2차 모순 및 각 주체별로 가지는 모순점들을 드러냈다.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은 공통적으로 ‘알아서 하세요’식의 방임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허울뿐인 협력 관계를 지니는 공통 1차 모순을 갖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교육실습과 관련한 규칙은 불명확했고, 분업은 비정상적으로 실시되어 2차 모순을 발생하고 있었다. 실습지도학교에서는 ‘천차만별의 지도’, 사범대에서는 ‘교육실습 방임’, 행정기관에서는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등의 모순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후 각 주체별로 서로에게 가지는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모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실습의 중요성 인식,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및 운영, 사범대-실습학교 간 ‘공동 협력’ 체계 구축,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등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한 기관이 아닌 전체적인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실습의 개선에 있어서 행정기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사범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地方中等敎育財政에 관한 硏究 : 忠淸北道를 中心으로

        임종국 淸州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paper, under the title of " a study on the finance of local secondary educa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case of Chung-Buk Province ", the writher suggests the reform-measures in terms of the system and the management through analysis the situations of the finance of existing local secondary education. In the first chapter suggests purpose. The second chapter discriptiv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nature, system, distribution-proce-dure of the finance of local secondary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rescent situations of the finance of exsisting local secondary education, and finds out the problems in terms of the system and the management of it. In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reform-measures conquesting the problems referred. Since the 1945, the scale of the finance of secondary education has increased in Korea. Especially, as Korean economy has continuosly advanced since the 1960, so the educational fund has been enlarged each year the educational finance shortages a great deal of money to be desired. When localization age begins, educational self-government inevitably appears with local self-government. Therefore, it is clear that local self-government body should be endowed with self-government ability and financial independence. And self-government body should be given the priority on local education-finance. An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mutualsupporting relation between local fund and local education fund. The mutual supporting relation means that local education-financial resources is mostly obtained from local self-government body. To support local educational fund, local self-government body should collect not only an income tax but also local education tax which is like exsisting additional taxes, and local education self-government body should devise many sided careful measures. The enforcement ordiance of the existing local education finance subsidy law should be immediately established, and much efforts should be made in finding out the items of he new-tax-resources. The style of local education-finance-administration ought to be reformed to put out the maximum efficiency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with the limited educational fund resources. And toreform the style of educational fund management, the self-regula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fund-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many measures for the fund-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many measures for management should be settled e. g. the reformation of local education budget-plan-system, the distribution-procedures of local education fund, and the system of fund management. The style of the system and management of local education-finance ought to cope rapidly with the changeable times and environment. Finally, as this study emphasized the supporting-sides of local education-finance of Chung-Buk province, the repetition on each factor of the object of analysis can not be evaded. This fact is a weak point of this study.

      • 스웨덴 후기중등교육체제의 형성

        장신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and the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reform in Sweden that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comprehensive upper secondary school. The main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are the features of educational reform of secondary school in Sweden? Why did integration become the main agenda of the reform? What are the conditions that enable the reform to make the comprehensive system? What are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wedish case regarding the discussion about upper secondary education? The framework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applied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ing' based on historical sociolog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eature of educational reform of Swedish secondary school is that the problem of vocational education had the central position of the reform. The reform was consistently intended to make the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equivalent to that of academic education. Second, the integration of vocational and academic education became main agenda of the reform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needs of vocational education originated from industrial change and the political feature of corporatism. Third, the reform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comprehensive upper secondary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contents of reform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The contents of the reform maximized political supports for it by embracing various class interes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mbedded context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previous reforms imposed constraints on differentiation, and induced integration. Fourth, the analysis on Swedish case implies that institutions regulate the process of educational formation, and therefor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to educational system is necessary. The analysis of institutions that intermediate the dynamics of politics and economy can explain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system.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analysis will lead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ducational system in a more accurate manner. 본 연구는 스웨덴의 통합형 후기중등교육체제 형성 과정의 특징과 조건을 분석한다. 뿌리 깊은 복선제의 전통에도 불구하고 통합형 체제로의 제도변화를 사회적 합의 속에서 이루어낸 스웨덴의 역사적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등교육 팽창의 압력이 한 사회의 다층적 맥락 속에 특정의 경로를 구성하도록 작용하는 조건들을 해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육개혁에서 제기되는 현재적 쟁점인 고등학교교육 문제에 대한 이론적, 현실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의 후기중등교육 개혁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왜 통합이 개혁의 중심문제가 되었는가? 셋째, 통합형 체제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조건은 무엇인가? 넷째, 스웨덴의 사례가 후기중등교육체제에 대한 논의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제도변화를 구조와 행위가 제도를 매개로 하여 상호작용하 는 시간 속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역사사회학과 역사적 제도주의의 틀로 스웨덴의 통합형 체제 형성과정의 경제적, 이념적, 정치적, 제도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 중등교육 개혁의 특징은 직업교육 중심성이다. 두 차례에 걸친 개혁은 모두 직업교육 문제로 촉발되었으며 그 방향성 또한 일관되게 학문-직업교육의 연계와 공통성 확대를 통한 직업교육의 강화 및 위상 제고를 추진하였다. 둘째, 학문-직업교육 간의 동등화를 그 내용으로 하는 통합이 개혁의 중심 문제가 된 것은 산업의 요구에 의한 직업교육 개편의 필요성이 계급타협체제로서의 조합주의 국가라는 정치체제의 특성과 결합되었기 때문이다. 스웨덴 경제의 특성과 노동계급의 정치적 우위에 기인하는 직업교육 문제의 중시, 계급 노조주의에 기반한 스웨덴 노동 진영의 직업교육동등화 전략, 학문교육의 전통적 우위 약화, 직업교육 문제의 해결 방향에 대한 계급타협이라는 조건들의 결합을 통해 통합은 개혁의 중심 의제가 되었다. 셋째, 정치적 지지를 극대화시키는 개혁의 내용과 선행 개혁에 의해 구조화된 제도적 조건은 후기중등교육의 개편이 통합형 체제로 귀결되도록한 조건이었다. 교육기회의 양적 확대와 질적 동등화를 병행한 개혁의 내용은 제 계급의 요구를 모두 포괄하면서 개혁에 대한 기대이익을 최대화하여 변화된 권력분포에서도 정치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직업교육의 학교교육화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분리를 제약하고 통합으로 유인하는 조건으로 작용하였고 종합학교 개혁과 고등교육 개혁과 같은 연계된 교육개혁의 결과로 확보된 제도적 동형성은 개혁이 초래할 변화의 폭과 깊이를 단순화함으로써 제도변화를 용이하게 하였다. 넷째, 스웨덴 사례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은 역사적 분석에 따라 시간성이 개입될 때 교육체제에 대한 정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는 점, 후기중등교육체제의 형성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체제의 성격은 정치와 경제의 동학을 매개하고 규율하는 제도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국 고등학교교육에 대한 논의 역시 민주주의와 노동시장이라는, 정치와 경제의 양 측면 모두에 대한 천착과 함께 이들의 동학을 매개하고 규율하는 교육체제 내?외부의 제도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다섯째, 스웨덴의 교육개혁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이념적 공통성과 정치적 대표성, 제도적 동형성이 확보되었기 때문이다. 공공성과 통합의 우선성이라는 교육에서의 공통의 준거틀의 존재, 사회적 대표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의사결정 및 정책형성구조, 이해분포를 단순화하고 공통이해의 창출 가능성을 높인 제도적 동형성의 확보는 개혁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가능하게 한 조건들이다. 이러한 스웨덴의 조건은 우연성과 특수성에 힘입은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창출된 것인 동시에 지속적인 제도 개혁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스웨덴의 사례는 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의도적 행위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구조적 조건들에 제약받지만 그러한 조건 자체가 의도적 행위의 산물이라는 점, 그리고 의도적 행위의 누적이 결국 구조의 결합을 이완·변형시킴으로써 새로운 구조를 창출하기도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하겠다.

      • 중등미술교과서 분석 및 참교육을 위한 미학적 탐구와 학습지도 방안

        장소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주체인 학생이 삶의 의미를 창출하고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육 방안을 미학적 탐구를 통해 그 의의와 방향을 고찰한다. 미술과 교육과정 속에 미학이 내재 되어 있지만, 실제 학교 현장의 미 술교육 풍토와 사회적 인식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 한정적인 수업 환경,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입시 위주의 실기교육 편중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학적 탐구 의 미술교육은 전인적 인간성장을 도모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 해 먼저 중등교육의 목표와 역할을 재조명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학적 탐구는 학생들이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면서 미적 경험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나아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의 자신의 위치를 재인식하게 한다. 또한, 미술교육이 단순히 기술 습득 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를 확장하고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함을 논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의 자 율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며, 다양한 예술적 접근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스 스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활동 사례를 제시하며,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협동 학습의 필요성을 부각한다. 참교육을 위한 미학적 탐구의 미술 학습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방법을 설정하였다. 첫째, 중등미술교육의 개념, 미술교육의 흐름 그리고 중등미술교육의 문제점과 실태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현재 중등 미술 교육이 직면한 문제와 향후 개선 방향을 명확히 파악한다. 둘째, 미학교육의 필요성과 미술교육에서 중시하는 역량을 3가지로 구 분하여 ‘창의·체험·인성’에 관해 정의하고, 미학적으로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창의성 개발, 체험 학습의 중요성, 인성 함양이라는 세 가지 핵 심역량이 미술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교육부 지침에 따른 미술 교육과정과 중등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미학적 교육을 범주화하며, 그에 따른 교수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 해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미학적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 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미학적 교수법을 기초로 하여 ‘체험’, ‘표현’, ‘감상’영역 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한다. 각 영역별로 구체적인 학습 목표와 활 동 계획을 수립하여 학생들이 미술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정서적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참교육을 위한 미학적 탐구의 중등미술교 육의 학습지도 방안을 위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첫째, 중등미술교육에서 미학적 탐구는 삶 속에서 존재하는 대상을 다 양한 방식으로 경험하고 사유함으로써 삶을 재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를 시각적 언어와 이미지로 함축하고 변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체득하 는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참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은 학생들이 단순히 미술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창의적 인 사고와 깊이 있는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인지 탐구에 근간을 둔 교육학을 바탕으로 미학적 탐구과정에서‘창의’‘체험’‘인성’영 역별 지도 방법의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는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 을 통해 창의력을 발휘하고, 체험을 통해 감각을 확장하며, 인성 교육을 통해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 미술교육에 내재 되어 있는 미학은 미술교육의 지 각과 인지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와 가치를 형성하며, 이는 시각적, 문화 적, 비평적 문해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미학적 탐구를 통한 미술교육은 미적 감수성과 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며,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사유함으로써 인간의 삶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자기 존재에 대 한 내적 성찰, 그리고 세상에 대한 상호 조화력을 길러 스스로 행복한 삶 을 영위할 수 있는 존재로 성숙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중등미술교육에서 인지 탐구에 근간을 둔 교육학을 바탕으 로, 인간 근본에 대한 이해를 돕고 미학적 탐구과정을 통한 전인적 인간 성장을 위해 미술교육의 발전과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 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