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대학생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평가기준, 의복평가기준 및 캐쥬얼 의류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옥금희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캐쥬얼 시장의 주 소비자인 중국 대학생 을 대상으로 하여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기준으로 소비자 행동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변인인 의류쇼핑성향을 파악하며, 이를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각각의 세분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 의복평가기준, 점포평가기준, 캐쥬얼 의류의 구매행동의 차이를 밝혀 중국대학생 소비자의 캐쥬얼 웨어의 구매행동을 예측하며, 효과적인 마케팅 계획수립 및 마케팅 전략의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북경에 위치한 북경대학교와 청화대학교의 남녀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44부를 최종적으로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분석법은 요인 분석(VARIMAX 회전),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빈도분석, 분산분석(ANOVA)와 Duncan 사후검증, 빈도분석, 다중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대학생의 의복쇼핑성향은 유행추구 쇼핑성향, 즐거움추구 쇼핑성향, 개성추구 쇼핑성향, 합리적 쇼핑성향, 상표신뢰 및 점포충성 쇼핑성향의 다섯 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 합리성추구형, 무관심형의 네 유형으로 소비자를 분류하였다. 2. 의복쇼핑성향 유형별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유행추구형은 최신유행을 좇고 쇼핑을 즐기며 유명상표를 신뢰하고 단골점포를 이용하는 특성을 가지며, 합리성추구형은 최신유행을 좇지는 않지만 의복구매에 있어 신중하며 계획구매하고 할인기간 중에 쇼핑하는 합리적인 쇼핑을 즐기는 특성이 있다. 개성추구형은 자아이미지를 반영하는 개성적인 스타일의 의복을 구매하며 쇼핑을 즐기고 유명상표를 신뢰하고 단골점포를 이용하지만 유행에는 별 관심이 없는 특성을 갖는다. 무관심형은 유행과 쇼핑에 거의 관심이 없으며 합리적인 구매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는 특성을 갖는다. 3. 의복쇼핑성향 별 인구통계적 특징을 살펴보면, 유행추구형과 개성추구형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으며, 합리성추구형과 무관심형보다 의복비 지출이 많았다. 반면에 합리성추구형과 무관심형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으며, 의복비 지출이 적었다. 4. 점포평가기준은 점포입지 및 서비스, 상품속성 및 유행성, 친분 및 편의시설의 세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점포입지 및 서비스가 가장 중시하고 삼품다양성 및 유행성, 친분 및 편의시설의 순으로 중시하였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상품구색의 다양성과 서비스 속성을 가장 중시하였고 샵메니저 와의 친분이나 자체편의시설 속성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중국대학생은 점포관련속성과 함께 제품관련속성을 기준으로 점포를 평가하였으며, 의복쇼핑성향 유형별 점포평가기준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추구형과 개성추구형은 점포입지 및 서비스, 상품속성 및 유행성 기준에 대해 다른 두 집단보다 높게 평가하여 점포평가시 매우 비슷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5. 의복평가기준은 심미적 기준과 상징적 기준의 두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의류제품을 평가할 때 심미적 기준을 상징적 기준보다 좀더 고려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사이즈와 어울림을 가장 중요시하였고, 디자인, 색상, 다른 옷과의 조화, 소재의 순으로 중요시하였다. 의복쇼핑성향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유행추구형은 상징적 평가기준을 가장 중요시하여 상표의 유명도와 유행과 같은 비본질적 특성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으며, 합리성추구형는 상징적 평가기준을 가장 중요시하지 않은 집단으로 유행이나 상표에 대해 무관심하였다. 개성추구형은 심미적 평가기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 의복의 맞음새나 디자인 등의 본질적 특성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지만, 유행이나 상표에는 관심이 없었다. 또한 무관심형은 심미적 평가기준과 상징적 평가기준에 대해 다른 집단에 비해 덜 중요하게 고려하여 의복의 본질적, 비본질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가장 적은 집단이었다. 6. 선호하는 쇼핑장소는 네 집단 모두 대형백화점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메이커 매장, 중소백화점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쇼핑장소로 재래시장, 도매시장,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한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특히 모든 집단에서 선호하는 쇼핑장소로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가장 비선호하는 쇼핑장소로는 네 집단 모두 재래시장을 선택하였으며, 유행추구형은 도매시장, 인터넷 쇼핑몰의 순서로, 개성추구형과 무관심형은 도매시장, 인터넷 쇼핑몰, 대형백화점의 순서로, 합리성추구형은 인터넷 쇼핑몰, 도매시장, 대형백화점의 순으로 선호하지 않았다. 중국대학생이 캐쥬얼 웨어를 구매할 때 가장 선호하는 쇼핑장소는 대형백화점이며, 가장 선호하지 않는 쇼핑장소는 재래시장인 것으로 나타나, 중국대학생을 목표시장으로 설정한 업체는 유통채널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7. 유행추구형과 개성추구형이 합리성추구형과 무관심형보다 캐쥬얼 웨어를 월평균 구매횟수가 많았으며, 구매를 위해 좀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였다. 중국대학생들은 주로 티셔츠, 청바지, 캐쥬얼 정장을 구매하였으며, 네 집단 중 유행추구형, 합리성추구형, 무관심형은 티셔츠를, 개성추구형은 청바지를 가장 많이 구매하였다. 8. 중국대학생은 소비자주도적 정보원을 주요 정보원으로 활용한 반면, 마케터주도적 정보원과 대중매체를 소비자주도적 정보원만큼 활용하지 않았다. 유행추구형, 합리성추구형, 개성추구형은 과거의 구매경험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무관심형은 친구 및 가족의 조언을 더 활용하였다. 유행추구형과 개성추구형은 합리성추구형이나 무관심형보다는 신문 잡지의 패션광고를 좀더 활용한 반면 판매원의 조언은 활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대학생 소비자 특성에 맞는 제품 및 점포의 차별화를 꾀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그들의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기업에는 선정된 목표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게 할 것이다.

      • 시안의 80후, 90후 세대 여성의 미의식에 따른 화장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연구

        우정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generation by looking at make-up behavior and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ost-80s generation and the Post-90s generation female consumers who are the main consumers in Xi’an, China.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female consumers living in Xi’an China from April 16, 2017 to May 23, 2017. Except 71 questions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is study or those who did not respond properly to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a total of 4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e analysis was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rossov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using SPS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make - up attitud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s, and the lower dimension was derived. As a result, aesthetic consciousness appeared in three dimensions of 'social aesthetic consciousness', 'internal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ter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make-up attitude appeared in four dimensions of 'psychological pleasure', 'self - satisfaction', 'consciousness of others', 'tool of transformation'. Th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were three levels of 'aesthetic standard', 'symbolic standard' and 'practical standard'. Second,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consumers according to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ubdivided groups: 'internal aesthetic pursuit group', 'others oriented aesthetic pursuit group' and 'low aesthetic pursuit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aesthetic sen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e-up attitude and make-up behavior. The inner internal aesthetic pursuit group regarded 'self - satisfaction' 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others oriented aesthetic pursuit group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keup as 'psychological pleasure', 'self satisfaction', 'consciousness of others', 'transformation tool'. On the other hand, the low aesthetic pursuit group appeared to be indifferent to all makeup attitude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cosmetics spending expense was higher in the others oriented aesthetic pursuit group than in other groups. The internal aesthetic pursuit group showed that the 'aesthetic standard' of clothing was important for the purchase of clothing. Not only ‘the aesthetic standard’,’ the symbolic standard’, and ‘the practical standard’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others oriented aesthetic pursuit group, but the media information source and the empirical information source are important both in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source. On the other hand, low aesthetic pursuit group showed neglect of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s compated to other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aesthetic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oup, occupatio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alysis of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aesthetic sens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occup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the Post-80s generation and the Post-90 generation, independent t-test and crossove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esthetics consciousness, cosmetics expenditur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and clothing expenditure according to generation. The Post-80s generations were more affected by Chinese traditional thinking than the Post-90s generation, and the internal aesthetic consciousness was higher. The Post-90s generations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of cosmetics and clothing expenditures than the Post-80s generations. In addition, the Post-90s generation, which is highly sensitive to trends and highly motivated to comply with global trends, is more sensitive to symbolic clothing evaluation standard than the Post-80 genera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Xian, the new 1-tier city poised to become a blue ocean, as a resul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umption ability improvement thanks to the recent national policy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business strategies to cosmetics and clothing brands to expand into China. 본 연구의 목적은 신(新) 1선도시로 주목받는 중국 시안의 주요 소비층인 80후 세대와 90후 세대 여성 소비자들의 미의식에 따라 화장행동과 의복구매행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의식과 세대에 따른 차이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시안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16일부터 5월 23일 까지 온라인서베이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71부를 제외한 후 총 434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 분석에 앞서 미의식, 화장태도, 의복평가기준, 의복정보원의 4개의 변인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하위 차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미의식은 ‘사회적 미의식’, ‘내적 미의식’, ‘외적 미의식’의 3개 차원으로 나타났다. 화장태도는 ‘심리적 즐거움’, ‘자기만족감’, ‘타인에 대한 의식’, ‘변화의 추구’의 4개 차원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은 ‘심미적 기준’, ‘상징적 기준’, ‘실용적 기준’의 3개 차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을 미의식에 따라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미의식에 따라 ‘내적 미의식 추구 집단’, ‘타인지향적 미의식 추구 집단’, ‘낮은 미의식 집단’의 3개의 세분화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미의식 집단에 따라 화장태도와 화장구매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적 미의식 추구 집단은 ‘자기 만족’을 가장 중요시 여겼고, 타인지향적 미의식 추구 집단은 ‘심리적 즐거움’, ‘자기 만족’, ‘타인에 대한 의식’, ‘변화의 추구’로 화장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에 미의식이 낮은 집단은 ‘심리적 즐거움’, ‘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의 지출비에 대하여 타인지향적 미의식 추구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화장품 구매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비율이 높았다. 내적 미의식 추구 집단은 의복 구매에 있어서 의복의 ‘심미적 기준’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지향적 미의식 추구 집단이 의복 평가에 있어서 ‘심미적 기준’, ‘상징적 기준’, ‘실용적 기준’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할 뿐 아니라, 의복 정보원을 활용하는 데에서도 매체 정보원과 비매체적 정보원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낮은 미의식 집단은 의복 평가기준에서 ‘실용적 기준’과 의복 정보원에서 ‘비매체적 정보원’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의식 집단 간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 직업, 월평균 가계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80후와 90후의 세대에 따른 연구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t-test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대에 따라 미의식, 화장품 지출비용, 의복 평가기준, 의복 지출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80후 세대는 90후 세대보다 비교적 중국 전통적 사고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내적 미의식이 높게 나타났고, 물질주의가 높은 90후 세대가 80후 세대에 비해 높은 화장품 및 의복 지출비용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유행에 민감하고 글로벌 트렌드에 동조하는 성향이 높은 90후 세대가 80후 세대에 비해 의복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 상징적 기준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국가의 정책 전략에 힘입어 경제 발전 및 소비능력 향상으로 소비 시장으로 주목 받으며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신 1선도시인 시안의 소비자 의식과 소비 특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를 둔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여성을 대상으로 중국 지역 확장 및 진출하려는 화장품, 의류 브랜드에게 사업 전략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 소비자들의 의류제품 구매 시 옴니채널 선택 유형과 혜택지각에 관한 연구

        유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15935

        지속적인 중국 경제발전은 중국을 세계최대의 신흥시장으로 성장시켰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패션소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 IT산업 발전으로 인한 스마트 폰의 사용은 소비자와의 접점을 증대시키는 유통채널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중국 소비자들로 하여금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여러 유통채널에 대한 사용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현재 전 세계의 주요 국가들 중 미국, 영국, 일본 등은 ICT의 발전으로 인해 유통채널에 대한 서비스 및 운영방식이 개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채널에서 소비자들에게 일관성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옴니채널(Omni-Channel) 환경 구축이 화두가 되고 있고 이미 성공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중국은 경제성장에 따라 거대한 패션시장을 이루고 있어 많은 패션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옴니채널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단계별로 어떠한 채널을 주로 사용하는지 알아보고 소비자 개인의 쇼핑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의복쇼핑성향과 새로운 기술과 접목된 옴니채널 환경에서 소비자들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수 있는 기술준비도에 따라 옴니채널의 혜택지각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의 패션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각 구매의사결정단계에서 어떠한 채널을 주로 이용하였는지 알아봄으로써 옴니채널 선택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의복쇼핑성향과 기술준비도가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산업의 최대 경제도시이며 대표적 1선 도시인 상해지역을 중심으로 1980년∼1990년대에 태어나 현재 19세∼38세로 새로운 소비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신소비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중국의 온라인 설문업체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분산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소비자들은 구매의사결정단계(정보탐색, 대안평가, 구매)에서 정보탐색, 대안평가 시 온라인을 주로 사용하였고 구매(결제) 시에는 모바일을 주로 이용하였다. 또한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구매결제를 했을 경우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는 주로 온라인을 사용하였고 온라인 결제방식을 이용하여 구매결제를 했을 경우 역시 정보탐색과 대안평가 시 온라인을 사용하였으며 모바일을 이용하여 구매결제를 했을 경우에는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를 위해 모바일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실물 확인이 가능한 오프라인 채널의 사용 비율 또한 낮지 않았다. 그리고 구매의사결정 과정 중 정보탐색과 대안평가 단계에서 소비자들은 여러 채널을 사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대안을 평가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채널과 모바일 채널을 주로 함께 사용하였다. 또한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대해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포인트와 쿠폰을 현금처럼 사용하거나 적립할 수 있다는 것에 많은 유용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은 유행추구성향, 쾌락추구성향, 상표추구성향, 합리추구성향 네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기술준비도는 낙관성, 혁신성, 불편감, 불안감 네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옴니채널 혜택지각은 단일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의복쇼핑성향과 기술준비도가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의복쇼핑성향 중 쾌락추구성향과 상표추구성향, 기술준비도는 낙관성이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 유형은 합리추구집단, 의복쇼핑관심집단, 유행추구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별로 기술준비도가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합리추구집단과 의복쇼핑관심집단에서는 기술준비도 요인 중 낙관성이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행추구집단에서는 불안감과 낙관성이 옴니채널 혜택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월 평균 소득이 높은 소비자들이 소득이 낮은 소비자들에 비하여 옴니채널 혜택지각이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관리/사무직과 전문직이 다른 직업에 비하여 옴니채널 혜택지각이 높은 편이었다. 의복쇼핑 특성에 따라서는, 월 평균 의복쇼핑금액이 높을수록, 쇼핑시간이 길수록 옴니채널의 혜택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을 이해하고 옴니채널에 대한 선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으로 중국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국 패션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패션기업에 마케팅 전략을 전개할 수 있는 구체적이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중국 직장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 연구 : 북경, 상해, 심천, 장춘의 20, 30대를 중심으로

        장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15935

        세계 경제의 불투명성이 증대하고 성장력이 약화된 가운데서도 지난 '02년, 중국 경제는 8%에 가까운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정치에 있어서도 쟝쩌민(江澤民)체제에서 후진토우(胡□□)체제로 순조롭게 이행하여, 국내외에 안정성을 확인시켰다 WTO의 가입, 2008년 북경 올림픽유치성공, 2010년 상해국제박람회개최 등 세계적인 대이슈와 더불어 중국은 세인이 주목하는 하나의 별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중국의 소비시장이 성숙하고 시장 개방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의류업체의 중국 진출이 계속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시장으로 주목되는 중국의 20·30대 직장 여성들의 전반적인 의복구매행동 특성을 알아보고 또한 중국의 북경, 상해, 심천, 장춘 4개 도시 직장 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며 나아가서 중국 여성들의 한국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의류 업체들의 향후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의복구매행동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의복 구매동기, 구매 정보원, 의복선택기준, 점포선택기준, 구매장소, 품목별 구매 가격대, 구매시점, 구매빈도, 대금지불수단, 구매 동행인, 구매 후 만족도 등 11개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이를 토대로 한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수행되었다. 표본추출은 중국에서 중, 상류층에 상응하는 월 평균 임금이 2000위엔(RMB)을 넘은 외국계 회사 혹은 외국계 회사와 비슷한 수준의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중국국내회사 일부를 선정하여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중국의 북경, 상해, 심천, 장춘 등 네 도시에서 동시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회수된 설문지 66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평균,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직장 여성들의 전반적인 의복구매행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의복구매동기에 있어서 중국 20·30대 직장 여성들은 '계절이 바뀌므로',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의복과의 조화를 위하여' 의복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원은 '매장이나 쇼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친구나 동료의 조언',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의복선택기준은 '자신의 체형과의 적합성', '디자인', '자신의 이미지와의 어울림' 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복 구매 시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상품의 가격, 판매원의 서비스태도를 고려해 점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직장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매장소로는 최고급 백화점과 유명 브랜드 전문 매장이었으며 의복 품목별 구매 가격대를 살펴본 결과는 털 코트와 정장의 경우는 고가의 상품을 선호하였으며 청바지와 블라우스와 같은 단품목은 저가격대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시점에서는 중국 직장 여성들은 브랜드 할인판매기간이나 백화점 행사기간 때에 의복을 구매하는 비중이 정상판매 때 구매하는 비중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여성은 할인가격에 아주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주로 주말에 의복을 구매하고 경우가 많았고 그 밖에도 평일에, 주로 퇴근시간 후에 쇼핑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의복구매빈도는 정장을 구매함에 있어서는 2~3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캐주얼의류는 1~2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의복 구매 시 대금지불수단에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카드보다는 현금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여성의 70%정도가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중국 직장 여성들은 의복 구매 시 남편, 남자친구와 가장 많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특한 특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여자친구, 회사 동료와 동행한다고 하였다. 중국 직장 여성들의 의복을 구매한 후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자인이나 색상, 체형과의 적합성 등에 가장 만족하고 있었으며 반면에 대중교통시설의 이용과 점포의 주차시설 등 편의 시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별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복 구매동기에서는 북경, 상해, 장춘에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소유하고 있는 옷과의 조화를 위해서' 가 가장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으며 심천에서는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가 가장 중요한 구매동기로 나타났다. 정보원 이용에 있어서는 북경과 심천의 직장 여성들은 매장이나 쇼윈도우의 디스플레이를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상해와 장춘은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선택기준은 남방에 위치한 상해와 심천이 북방에 위치한 북경과 장춘보다 전반적 선택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상해와 심천 여성들이 북경, 장춘 여성들보다 의복선택에 있어서 좀 더 까다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경은 상표명(브랜드의 명성), '자신의 이미지와의 적합성'을, 상해는 품질, 디자인, 체형과의 적합성을, 심천과 장춘은 자신의 체형과의 적합성, 디자인, 자신의 이미지와의 적합성 등을 가장 중요한 의복선택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의복 구매시 점포선택기준은 북경은 상품의 품질과 판매원의 서비스를, 상해에서는 상품의 다양성, 상품의 가격, 상품의 유행성을, 심천 여성들은 판매원의 서비스태도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장춘 여성들은 상품의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 점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직장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매장소를 비교해본 결과 북경과 심천, 상해 여성들은 최고급백화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춘은 브랜드 전문매장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별 의복 품목에 따른 구매 가격대는 전반적으로 볼 때 털 코트와 같이 부의 상징으로 간주되는 고가품목은 북경이 다른 세 도시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품목에서는 심천이 다른 도시들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장춘이 비교적 낮은 가격대를 나타냈다. 도시별 의복 구매시점의 차이는 상해의 직장 여성들이 정상판매 때, 할인행사 때, 백화점행사 때 다른 세 도시에 비해 의복을 더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북경, 상해, 장춘 여성들은 주로 주말에 의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주로 주중에, 그것도 주로 퇴근시간 후에 의복을 구매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심천과 상해가 북경과 장춘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구매빈도는 캐주얼 의류에서는 네 도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장의 경우 북경은 3 ~ 4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상해, 심천, 장춘은 2 ~ 3개월에 1벌이상을 구매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구매 시 대금지불수단은 북경과 심천은 절반이상이 현금과 카드의 사용이 반반, 현금을 카드보다 더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금을 지불하고 있었으며 상해는 모든 지불수단을 골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춘은 아직까지 현금만 사용하는 고객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의복 구매 시 동행인에서는 북경, 상해, 장춘은 남편, 남자친구와 가장 많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천은 여자친구와 가장 많이 쇼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복을 구매 한 후 만족도는 상해와 심천 즉 남쪽지방 직장 여성들이 북경과 장춘 즉 북쪽지방의 직장 여성들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의복을 구매한 후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인지여부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상의 조사대상자가 한국 의류상품브랜드를 한가지라도 알고 있었으며 이번 연구에서 중국 여성들이 알고 있는 한국 브랜드는 모두 36가지로 조사되었다.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는 한국 브랜드로는 온앤온, 데코, TB2, 이랜드, ys'b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의류상품의 구매경험여부에 있어서는 중국 직장 여성의 반수이상이 구매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가장 많이 구매한 한국 브랜드는 온앤온, 데코, TB2, 이랜드, ys'b, KARA, UGIZ 등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GIA','maru','cride','ONG', 'UGIZ','FUBU','D-DAY' 등 캐주얼의류 브랜드들도 중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직장 여성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의류의 디자인, 스타일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색상, 소재의 순으로 한국 상품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지만 아직까지 한국 상품의 가격에 대하여서는 대부분이 가격이 너무 높다는 불만족을 표시하였다. 중국의 20·30대 직장 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은 각 지역에 따라 다양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각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보인 결과에 따라 이에 적절한 시장 세분화 전략이나 마케팅전략을 실시한다면 향후 의류업체의 중국 시장 진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Chinese career women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Changchun, and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clothing manufactures for China market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career women in China. Second, to compar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career women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Third, to examine the estimation in Korean Apparel products among Chinese women consumer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For empirical study, it was through experiments by the subjects among 20·30's career women who live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made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eceding study. A total of 6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PSS package bas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ackage, Frequencies, mean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x^(2) - 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Chinese career women are: with regards to clothing purchasing motive, Chinese career women think very important about 'because the season changed' and 'to express one's own individuality'. In using informants, they were usually influenced by 'the display of shop or show window,' 'an advice of friends or colleague,' and 'the past purchasing experience.' Chinese career women give much importance on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uch as 'the fitness with one's own figure' and 'design.' For store selection, they consider 'product quality', 'price' and 'salesman's service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With regards to the purchasing place, they like much to go to the first class department stores, with the famous brand shops for shopping. For purchasing price of in each clothing item, like mink coat and suit, they would like to buy luxury product at high price, but like jeans, sweater and blouse, they still like to buy the low price products. Most of Chinese career women like to go shopping during weekend and periods of brand sales. For paying method, they still like to use cash more than credit cards, because credit card is not popular in China yet. They most like to go shopping with their boyfriend or husband. After they have purchased clothing,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othing products, especially with regards to its design, color, and fitness. But dissatisfied with the parking system of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they've used. Second, the difference among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were as follows: for purchasing motive, career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Changchun purchase clothing because of 'the season changed,' and 'to match with the already owned clothing.' But career women in Shenzhen purchase clothing in order 'to express one's own individuality'. For using informants, in Beijing and Shenzhen, they mainly like to consider' the display of shop or show window,' but in Shanghai and Changchun, they mainly like to consider 'the past purchasing experience.'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career women in Beijing considers brand name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in Shanghai, they consider 'design' at first, while in Shenzhen and Changchun considers 'the fitness with one's own figure' as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choice of store, Beijing's career women thinks 'product quality' and 'salesman's service attitude 'at first; Shanghai's career women thinks 'product variety,' 'fashion,' and 'price' at first, and then Shenzhen's career women regards 'salesman's service attitude 'at first, while Changchun's regards 'price' as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purchasing place,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most like to go to the top level department store for shopping, and women in Changchun most to like to go to the famous brand load shop to purchase clothing. With regards to purchasing price, for fur overcoat, Beijing was shown as the most expensive, and in the others, Shenzhen was shown as more expensive, while Changchun was shown with low price. Fo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in casual, there are no difference among the 4 cities, but in suit, Beijing's career women buy more than 1piece within 3-4months; while others buy more than 1piece within 2-3months. For paying method,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use credit card more than Changchun. For a shopping companion, career women in Beijing, Shanghai, and Changchun most like to go shopping with their boyfriend or husband, while career women in Shenzhen most likes to go shopping with their female friends. Finally, for satisfication after purchasing clothes, in southern cities like Shanghai and Shenzhen, women were satisfied with purchasing clothes more than northern cities like Beijing and Changchun women. Third, Chinese women consumers pays high estimation to Korean apparel products More than 50% of subjects have known about Korean apparel brand and have purchased Korean brand clothing. The order of Korean apparel brand that Chinese women have known or purchased are ON & ON, DECO, TB2, E-LAND, ys'b, KARA, UGIZ‥‥. Most of them have good image in Korean apparel product, especially satisfied in design, color and fabric,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oo high price of Korean apparel.

      • 中國 舞踊 服飾을 통해 본 異國的 취향의 移入 현상에 관한 연구 : 漢代부터 隋唐代를 중심으로

        윤지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15871

        서로 다른 문화가 교류되는 과정에서 도입된 이국 문물은 새로운 형태와 가치로 수용되고 변용된다. 복식을 비롯하여 미술·건축·음악·무용 등에서 접하게 되는 이러한 현상은 시대·역사·지리·문화 등의 배경과 맞물려 이입되는 과정이나 결과는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결과물을 고찰·분석함으로써, 그 사회의 역사적 상황이라든가 문물 교류 관계, 지리·기후적 조건, 종교·사상적 배경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문화는 한 시대의 성격을 대변하는 것으로,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종교·민족성·사상·가치관 등의 정신적 요소가 사회 제도·계급 제도·음악·무용 등의 무형적 요소와 미술·문학·건축·복식 등의 유형적 요소로 표현되어 하나의 집결체를 이루게 된다. 정신적 요소는 모든 문화현상을 받아들이고 표현하는데 중심점으로서 큰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종교는 문화의 일부분으로서, 인간 삶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불가결한 것이며, 인생관이나 우주관·생활관의 상징체계이다. 이는 민족의 형성과 발전에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그 문화와 구조 속에 잠재하게 된다. 또한 원시 제사와 종교 포교에는 반드시 무용과 음악이 수반되어 무용은 한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이에 수반되는 무용복식은 그 무용의 특성·성격을 가늠할 수 있다. 특히 종교 포교에 수반된 무용과 음악에는 종교적인 색채를 띠고 있기 마련인데, 이는 일반 무용의 복식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무용복식은 일반복식에 비해 문화적 수용과 변용의 과정을 민감하게 나타냄으로써 이국적 취향의 수용태도와 이입 방법, 시대적 상황과 가치관 등을 읽어내기에 좋은 대상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무용 복식에 나타난 외국 문화, 즉 이국적 취향이 이입되는 과정을 시대별로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범위는 잡기, 나희 등을 제외한 일반 무용복식과 종교적 성격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비천복식으로 제한하였다. 시대는 漢代로부터 唐代까지로 잡았다. 이는 문물 교류가 활발해져 본격적으로 서역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 漢代 이후이며, 唐代에 이르러 더욱 활발해지면서 성격이 달라지기 시작하고, 또한 무용도 漢代 이후 그 꽃을 피우기 시작하였으며 唐代에는 전성기를 이루고 그 이후 쇠퇴의 길을 걷게 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중국의 무용복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래문화는 불교였다. 이에 맞서는 중국인의 토착 종교는 도교로서, 도교는 모든 시대에 걸쳐 무용복식에 깊이 내재되어 있었다. 도교적 전통 위에 불교와 호풍이라는 이국적 취향이 이입되어 중국의 무용복식은 많은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 도교적 성격은 飛를 특징으로 한다. 飛는 長袖衣와 巾, 羽衣로 표현이 되는데, 외국과의 교류를 통해 불교와 호풍이라는 이국적 취향이 이입되면서 표현방식의 변화를 겪게 된다. 漢代의 무용은 도교적 성향이 강했기에, 飛의 성격을 나타내주는 긴소매옷인 長袖衣를 이용한 무용이 대부분이었으며, 여기에 巾, 羽衣 등의 복식을 착용하였고, 하늘로 날기 위한 도약, 몸을 가볍게 하기 위한 수련과 노력으로 가벼운 몸놀림과 함께 얇은 소재의 옷을 사용하였다. 그것은 飛·輕과 유연한 실루엣의 柔 성격을 띠고 있다. 서역 여러 나라에서 들어온 무용은 통틀어 胡舞라는 이름으로 추어졌으나, 단순한 호기심 정도로 극히 일부에서 나타날 뿐이었다. 한대는 후대에 비해, 보수적이고, 타문화에 대해서는 배타적이므로 새로운 문물에 대해서 호기심을 보이는 정도에 그쳤기에 도교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위진남북조대에는 무용복식에 이국의 종교인 불교가 이입되기 시작하면서, 불교와 도교가 어우러져 나타나게 된다. 아직은 이입상태가 완전히 융화되지 않은 과도기적 상태였다. 따라서 불교와 도교가 대등한 입장으로 대결양상을 보이며, 무용복식에서도 호복과 중국의 무용복식이 같이 입혀지는 등, 서로 약간의 영향을 주며 각자 병렬적으로 존립하였다. 漢代에 유행하던 장수무도 추어지면서, 도교적 성격을 강화시키는 섬 장식 등이 보이고, 羽衣는 간다라의 영향을 받아 몸에 밀착되며 육체미를 드러내는 등의 형태를 보이게 된다. 무용복식에서 불교적이라는 것은 인도적·간다라적인 것으로, 이는 나체 혹은 얇은 옷 밑으로 투명하게 육체를 드러내는 표현기법, 얇은 옷이 육체에 밀착하고 주름의 미세한 선이 흐르는 물 모양으로 유동감 넘치게 흘러내리는 장식효과를 보이면서 전신을 감싸는 표현형식을 말한다. 여기에 天衣, 영락장식, 寶冠 등도 함께 한다. 즉, 불교적인 天衣, 영락장식, 半裸, 드레이프되는 도티 등이 불교 벽화의 비천상 등에서 보인다. 수당대에는 이국적 취향이 성행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도교적인 측면이 강화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심의나 곧은깃의 포의 長袖衣는 거의 사라지고, 羽衣는 예상우의로 정착되어 성행하게 된다. 여기에 사용된 음악은 불교적인 것과 도교적인 것을 모두 포함하였다. 복식은 도교적 특징과 불교·서역적 특징을 모두 띠고 있다. 밀착되어 좁아지기는 하였지만, 飛를 상징하는 장수의를 입은 위에 羽衣를 입었으며, 霓裳이라고 하는 옷도 신선사상이 가미된 도교적 복식이었다. 羽衣는 수구부분이 확대·과장되어 새의 날개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머리에는 步搖冠을 써서 女道士 분장을 하였다. 그러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영락장식과 서역의 영향을 받은 胡粧을 하여 문화적 종합체·집합체적 성격을 띠고 있다. 당대는 개방적·적극적으로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였다. 이국적 취향이 강하게 나타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의 토착문화(도교)에 이국적 문화(불교·서역 문화)를 수용하여 완전히 융합을 시킨다. 자지무·호등무·혼탈무·호선무 등의 무용이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성행하였으며, 처음에는 胡人에 의해서 추어졌으나, 점차로 漢人들에 의해서도 추어지면서, 무용복식은 胡·漢이 완전히 융합되게 된다. 이들 복식은 어느 한 지역의 문화가 독자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여러 지역의 문화, 즉 간다라(불교), 동·서투르키스탄, 넓게는 페르시아와 헬레니즘 문화까지 모두 어우러져 습합된 형태를 보인다. 唐代의 사람들은 자신의 토착 문화를 기본으로 하여, 새롭고 신기한 이국 문물을 중국화하였다. 즉 단령이나 번령 등의 호복이 소매가 길어져 장수의가 되었다. 이로써, 각 시대별로 사회적·역사적·문화적 상황에 따라, 이국적 취향의 이입과정이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reign culture, introduced by cultural exchange, was modified and accepted into a new form and value system. This phenomenon has appeared in costumes as well as arts, architecture, music, and dance, and was associated with many influences such as history, geography or culture. Hence, the results or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se influences. Therefore, if these results are analyzed backwards, we can understand the historical states of the society, the connection of the cultural exchange, the geographical or climatic conditions, and the religious or philosophical influences. Culture speaks for the characters of the period, so it is presented by the mutual actions of many factors affecting culture. The spiritual factors such as religion, racial characteristics, ideology, and values are express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The former includes arts, literature, architecture, and costume, while the latter includes social systems, class systems, music, and dance. All of these factors form the whole body of the culture. In particular, the spiritual factors play a big role. Religion is the essence of human life and the source of ideas about life, the universe and existence. It also plays a role of the axi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race, so they become hidden inside of the structure of culture. Moreover, since primitive religions or propagandism always accompanied music and dance, danc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cultural factor reflecting the culture and religion of the period. Also, the dancing costumes express the specific characters of the dance. In particular, the dance and music related with religion showed religious style, which also affected general dancing costumes. Dancing costumes present the process of cultural modification and acceptance more vividly than general costumes, so they are a very good object for studying the historical context, the sense of value, and the accepting attitudes and importing method of the exotic style. Hereupon, in this research, the foreign cultures that appeared in Chinese dancing costumes are examined, and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and the aspect of the exotic style in different periods are studied. The research scope of this paper is the costume of the flying-angels(飛天服飾) that reflects the change of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the costumes for general dances excluding the miscellaneous performance(雜伎) and the mask dance(儺戱). The periods are from the Han dynasty to the Tang dynasty. This is because, after the Han dynasty, China had a more active cultural exchange and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Western cultures, and in the Tang dynasty, the foreign influences began to change phase as the cultural exchange became much more active. Also, dance started to blossom in Han dynasty, was flourishing in Tang dynasty, and declined since then. This research shows that, among foreign cultures, it is Buddhism that most influenced Chinese dancing costume. Taoism was the Chinese native religion that played an oppositional role against Buddhism. Taoism was hidden in Chinese dancing costume in every age. Chinese dancing costume changed many times due to the import of exotic styles such as Buddhism that partially replaced the Taoistic tra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aoism was 'flight(飛)'. Flight was expressed as the long sleeve costume(長袖衣), long ribbons(巾) and the plume garment(羽衣). As Buddhism and the exotic style streamed in through the exchange with foreign counties, the method of expression changed. In the Han dynasty, dance had a strong Taoistic character, so most dances used the long sleeve costume that expressed flight. Ribbons and the plume garment were also used, and light materials were employed in order to practice light action such as jumping to the sky. They showed flight(飛), lightness(輕), and the flexibility(柔) of the smooth silhouette. The exotic dances from Western countries(西域) appeared in small parts, but this was just because of curiosity. The Han dynasty was more conservative and more exclusive to other cultures than later ages. Thus, Chinese just showed their curiosity for new cultures, so the Taoistic character appeared strongly. There was no import phenomenon in dancing costume at this time. In the Three Kingdoms, China began to import Buddhism, a foreign religion. Thus, in the Three Kingdoms, and in the Dynasties of the North and South, Buddhism and Taoism appeared mixed. However, it was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had begun but not yet completed. Therefore, Buddhism and Taoism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they were treated equally. In dancing costume, both foreign and traditional costumes were worn together. They affected each other a little, but they mostly existed independently. The long-sleeve-dance that was popular in the Han dynasty also existed, and se ̄n ornament(섬장식) that strengthen Taoistic characteristic also could be seen. But, the plume garment(羽衣) became tighter to the body and showed more of the body outline due to the influence of Gandhara. In dancing costume, Buddhistic style means Indian or Gandhara style. The characteristic of the style is the technique that presents naked body or body outlines under light weight sheer cloth, and the effect that drapes a whole body like flowing river. The tia ̄nyi ̄(天衣), the decorative necklace(瓔珞裝飾), and the diadem(寶冠) were also used. Hence, the Buddhistic tianyi, the decorative necklace, semi naked, and draping dhoti can be seen in the images of mural paintings. Although there are little visible data about dancing costume that is presented now,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as similar trend.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exotic style was very popular, but Taoistic style intensified in some areas. For example, the long sleeve costume that was worn with she ̄nyi ̄(深衣) almost disappeared, and the plume garment became popular in the form of ni´chang´yuˇyi ̄(霓裳羽衣). The music used with dance also included both Buddhistic and Taoistic styles. Dance costume also showed Taoistic, Buddhistic and exotic styles. Although it became tight, the plume garment was worn over the long sleeve costume symbolizing flight. The moonlight skirt was also a Taoistic costume with hermetism. In the plume garment, part of the hand opening was enlarged and exaggerated to present a bird’s wing more actively, and buyaoguan(步搖冠) was worn to dress up as a female Taoist. However, they used a decorative necklace influenced by Buddhism and foreign make-up. Thu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was cultural synthesis. In the Tang dynasty, Chinese accepted foreign culture very actively and with open hearts. This is the period in which exotic style appeared most strongly. They accepted foreign culture based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fused them completely. Foreign dances such as Zhezhiwu(자기무), Hutengwu(胡騰舞), Huntuowu(渾脫舞), and Huxuanwu(胡旋舞) were very popular. In the beginning, only foreigners danced these dances, but Chinese started to dance them gradually. Thus, the dancing costume showed the complete fusion of Chinese and exotic styles. In these costumes, not one culture was prominent, but many cultures from Gandhara to East and West Turkistan and even to Persian and Hellenism were synthesized together. Chinese, in the Tang dynasty, retained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modified new foreign culture into Chinese style. For example, the foreign costumes such as the round neckline coat(團領) and the revere collar coat(飜領袍) had long·sleev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of exotic styl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China during the period from the Han to the Sui and Tang dynasties.

      •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물질주의 성향과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단징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9535

        본 연구는 중국에서 공유경제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패션 렌탈서비스를 중심으로 중국 여성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에 대한 이용태도인 호의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물질주의 성향과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패션 렌탈서비스를 잘 알고 있는 중국 1·2선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여성 3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중 27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5.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20-30대 여성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사회적 가치, 유행적 가치, 진귀적 가치, 표현적 가치, 감정적 가치, 상황적 가치로 총 6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이용태도인 호의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와 이용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치는 유행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질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물질주의 성향은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패션 렌탈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감정적 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질주의 성향은 긍정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감시성은 의복 소비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패션 렌탈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은 진귀적 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인 조절역할을 하고, 감정적 가치가 패션 렌탈서비스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ence of Chinese female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usage attitude such as preference and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which is growing with the sharing economy in China.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elf-monito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fashion rental service usage attitude was also verifi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10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China's first-tier city and second-tier city who are familiar with fashion rental service. A total of 274 survey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six sub-dimension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such as social value, fashion value, epistemic value, expressive value, emotional value, and conditional value were derived from Chinese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the preference and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both the preference and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are social value, fashion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ditional valu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ialism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the preference and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As a result, the materialism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rental service,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Specific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materialism plays a positive role in moderating the effect of emotional value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rental service.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the preference and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As a result, self-monitoring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rental service,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Specifically, it was verified that self-monitoring plays a negative role in moderating the effect of epistemic value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rental service and a positive role in moderating the effect of emotional value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rental service.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자기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Lian, Jing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99519

        유학생은 자신의 조국을 떠나 타국에서 새로운 시작을 해야 하므로 모든 것이 긴장되고 적응 대상이 되며, 실제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사회적 관계형성의 어려움, 심리적 부적응 등의 어려움을 대학생활에서 겪게 된다. 외국인유학생들의 사회적응과 관련한 가장 중요한 변인 중에 하나가 자아존중감이며, 의복은 신체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의복구매행동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은 이미지라는 감정적, 주관적인 요소를 매개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에서 새로운 의복 틈새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자기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대전에 있는 대학교(충남대학교, 배제대학교, 한밭대학교, 한남대학교, 우송대학교)에서 유학중인 중국인 여자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하는 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47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가치나 능력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쉽게 타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인의 개성추구나 기분전환 등에 의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유행을 쉽게 따르지 않는 반면 실용적인 기준을 가지고 구매하는 경향이 높을 뿐 아니라 다른 정보원 비해 연예인을 정보원으로 참고하는 경향이 더 많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 상관관계분석 결과 섹시한 자기이미지, 지적인 자기이미지, 적극적인 자기이미지, 세련된 자기이미지를 가진 학생은 품위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인 자기이미지, 적극적인 자기이미지, 세련된 자기이미지를 가진 학생은 단정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섹시한 자기이미지, 적극적인 자기이미지, 세련된 자기이미지를 가진 학생은 매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섹시한, 지적인, 캐쥬얼한, 적극적인, 세련된 자기이미지와 모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품위성, 단정함, 매력성, 개성추구와도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이들의 관계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적인 자기이미지는 품위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사회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섹시한 자기이미지는 개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사회적동기와 개인적 동기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주얼한 자기이미지는 개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심미성 선택기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섹시한 자기이미지는 매력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연예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섹시한 자기이미지는 개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도 연예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인 자기이미지는 품위성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매장디스플레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지적인 자기이미지는 단정함 추구와 관련이 높으며 이들은 친구 가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이미지를 가지고 있든 간에 모두 개성을 추구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류브랜드들은 광고나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타 브랜드와 차별화 된 개성적인 이미지를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둘째, 매력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연예인이나 주위 사람들의 의식을 많이 하는 사회적 의복구매동기와 유의한 관계가 있고 정보원의 영향력에 있어서도 연예인이나 유명인사의 영향이 큰 만큼 매력성과 개성 있는 스타일의 의복에는 셀레브리티를 활용한 스타마케팅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단정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의복 선택 시 실용성을 중시하는 만큼 단정한 스타일의 의복에는 소재나 패턴을 편안하고 실용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oreign students who leave their mother countries and go to foreign countries for new beginnings go through many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 building and university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related to foreign students’ social adjustment is self esteem. Since clothes play important roles in physical self concept forma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self-esteem.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is connected with emotional and subjective image factors because of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In korea,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s increasing and forming a new niche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self-esteem makes an influence on self-image, pursuing -image,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y handing out questionnaires to Chinese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aichai University, Hanbat National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Woosong University). 24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resulted from the study. First, The people of high self-esteem take a positive view of their value and capabilities, so not easy to accept the influences from others and purchase produc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ursue or the changes of surroundings. In additional, if the self-esteem is high, they will not easily follow the popularity but do the purchase with a practical standard and also more like referring to sources of the entertainers than the other sources during the process of purchase.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image and pursuing-image shows that the students who have sexy self-image, intellectual self-image, positive self-image, and polished self-image like pursuing the dignity. In addition, those who have intellectual-image, positive self-image, and polished self-image seek neatness but the people with sexy self-image, positive self-image, and polished self-image pursue attractiveness. Third, Self-esteem not only influence the sexy, intellectual, casual, positive, polished self-images but also has regardful relation to the pursuit of the dignity, neatness, and individuality. Forth, the results from arranging the effect to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which caused by all relationships of those self-image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image and pursuing-image are as bellow. Those things will have a bad effect on the social motive with the high connection between Intellectual self-image and the pursuit of dignity. Also have a static effect on the social and individual motive with the high connection between Sexy self-image and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It will have a static effect on the standard of aesthetic choose with the high connection between casual self-image and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it will also have a static effect on the entertainers if the connection between sexy self-image and the pursuit of attractiveness is high. Then, With the high connection between sexy self-image and the individual pursuit the entertainers will get a static effect from it. The high connection between intellectual self-image and dignity will have a static effect on point-of -purchase displays, also with the high connection between intellectual self-image and the pursuit of neatness the friends and family will have a static effect from it.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compared to other brands. Second, star marketing is very effective because the consumers who pursue individuality and attractiveness are greatly influenced by celebrities and those around them. Third, neat style clothes should be of practical use on materials and patterns, since consumers who desire for neatness consider practicality a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