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홍 글자』에 나타난 호손의 모호한 청교도관 연구

        주상욱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나사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의『주홍 글자』(The Scarlet Letter)는 17세기 초 엄격한 청교도 사회에서 간음죄를 범한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에 가해지는 당시 청교도 사회의 가혹한 박해와 처벌을 다룬 작품이다. 신대륙에 새 예루살렘을 건설하기 위해 이주해온 초기 청교도의 순수한 신앙의 목적과는 달리 헤스터에게 가하는 그들의 가혹한 박해와 위선적 행위가 이 작품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청교도의 후예인 호손은『주홍 글자』에서 자신의 선조들의 청교도관에 대해 긍정적·부정적 견해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으며 호손의 모호한 청교도관은 “세관”(The Custom House)에 나타난 그의 로맨스 이론과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 호손이 주장한 로맨스 이론을 연구하고 『주홍 글자』의 중심인물들의 당시 청교도 사회에서의 역할과 관계를 고찰하여 호손의 모호한 청교도관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라 하겠다. 서론에서는 19세기 로맨스 작가인 호손의 개인적인 종교적 성장배경과 『주홍 글자』의 배경이 되는 17세기 시대 상황을 살펴본다. 호손의 초기 선조들이 인디언들과 퀘이커교도에게 가한 처벌행위로 인해 조상들에 대한 죄의식이 작가에게 미친 영향력을 고찰한다. 본론에서는 청교도 사회를 대변하는 인물들을 통해 호손의 청교도인들에 대한 양면적 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룬다. 벨링험 지사(Governor Bellingham), 존 윌슨(John Wilson), 아서 딤즈데일(Arthur Dimmesdale)은 당시 청교도 사회를 대표하는 주요인물들이다. 이들은 위선과 자기 기만에 사로잡혀 있는 청교도 사회의 정치적, 종교적 지도자들이다. 호손은 특히 딤즈데일의 고행(penance)이 수없이 많을지라도 그의 진정한 마음의 돌이킴(penitence)없는 행동을 지적함으로써 당시 청교도 사회의 위선과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헤스터가 감옥에서 3개월된 사생아 펄(Pearl)을 안고 나오는 장면에서, 그녀가 간음을 범한 여인이지만 이를 두고 아기 예수 그리스도를 품에 안고있는 성모 마리아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은 호손의 비판적 청교도관이 반영된 장면이라 하겠다. 반면 딤즈데일과 헤스터가 7년만에 숲속에서 다시 만나는 대목에서, 헤스터가 머리에 묶은 자신의 머리단을 풀 때 묘사되는 밝은 대자연의 정경은 자유분방한 개인의지를 가진 헤스터에 대한 호손의 긍정적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헤스터가 숲속에서 일시적으로 자신의 가슴에 매단 주홍 글자 A가 수놓인 천을 내던졌을 때 악마처럼 반응하는 펄은 헤스터가 주홍 글자 A를 다시 가슴에 매달았을 때에야 비로소 이전의 펄처럼 헤스터에게 달려간다. 이같은 장면을 통해 호손은 한 개인이 공동체 사회 규율을 위반했을 때 범법행위에 가해지는 청교도 사회의 가혹한 형벌로부터 한시도 자유로울 수 없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청교도 사회의 강철과도 같은 구속력을 비판하고 있다. 뉴 잉글랜드(New England)를 떠났던 헤스터가 자신의 오두막으로 돌아와 가슴에 주홍글자 A를 달고서 고통받는 마을사람들을 위로해주는 행동은 자유로운 사상을 지닌 헤스터가 자신의 죄의 뿌리를 두고 있는 청교도 사회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음을 호손은 보여준다. 청교도 사회의 가혹하고 냉혹한 율법주의 공동체 안으로 다시 돌아온 헤스터의 모습은 호손이 청교도주의 공동체 사회와 헤스터라는 자유로운 사상을 지닌 한 개인의 관계를 뗄래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로 공동체 속에 개인을 순응시킴으로써 초기 청교도 사회에서 철저히 고립되지 않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규율에 순응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아울러 개인의 사상적 자유가 청교도 사회 내에서 얼마나 지탱하기 어려운 것인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호손은 헤스터를 청교도 사회 속으로 긴밀히 연계시킴으로써 청교도주의 교리중 하나인 피할 수 없는 영향력(predestination)이 개인에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호손의 긍정적 청교도관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호손의 관점에서 용서할 수 없는 범죄(unpardonable sin)를 저지르는 인물로 인간 내면의 신성한 영역을 파헤치는 로저 칠링워즈(Roger Chillingworth)의 행동은 이같은 행위가 얼마나 사악한 것이며 이는 필연적으로 비극적 결말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론에서는 헤스터의 주홍글자 A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호손이 주홍 글자 A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내용은 무엇인가를 정리하고, 헤스터 개인에 대한 호손의 견해와 청교도 사회에 대한 호손의 청교도관을 밝힘으로써 청교도 사회에서 발생하는 한 개인의 자유사상이 공동체의 신념에 위협이 되었을 때 여기에 가해지는 청교도 사회의 준엄한 심판과 가혹한 박해를 살핌으로써 궁극적으로 호손이 바라본 청교도주의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정리하여『주홍 글자』에 반영된 호손의 청교도관을 규명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athaniel Hawthorne's ambiguous Puritanism in The Scarlet Letter. As a starting point of American history he examines the Puritan origin of the American republic, so that he may reveal the process in which the Puritan idealistic vision of America has changed throughout the American history. Hawthorne effectively deals with the fatal effects of anti-social deeds of an individual within the oppressively strict and stern Puritan society. I attempt to show Hawthorne's ambivalent attitudes on American Puritanis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ain characters: Hester Prynne, Arthur Dimmesdale, Roger Chillingworth and the despotic crowd. Hester Prynne commits the sin of adultery with the minister Arthur Dimmesdale, who represents the religious leader of the Puritan society. As a result of her transgression, she is forced to wear an 'A' on her breast as a sign of an adulteress. She tries to overcome her tribulations and rebels against the Puritan society's law with her free will. Hawthorne shows how rigid and harsh are the Puritan people when Hester Prynne committed a crime against the law of the Puritan society and strongly points out the hypocrisy of Arthur Dimmesdale, their religious leader. While Hawthorne criticizes the unrelentingly dark societ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Utopia of human virtues and happiness, he sympathizes with Hester's human fraility and sorrow. Chillingworth, who is "initially a kind but cold man," takes on the godlike role of avenger and becomes a fiend "by his evil principle." By violating the sanctity of a human heart, he commits the so-called unpardonable sin, which Hawthorne defines in "Ethan Brand." The despotic crowd of the Puritan society are fickle and unmerciful to the adulterous Hester. By whimsically interpretating the 'A' letter whimsically from Adulteress to Angel, they turn out to be unreliable and capricious people. Hawthorne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Puritan society. He approves the laws of Puritan community but does not assent to the harsh and stern aspects of Puritan society. On the other hand, although Hawthorne to some degree sympathizes with Hester's rebellious natures, he represents her not as "a free spirit liberated in a moral wilderness," but as a human derelict who "wandered, without rule or guidance, in a moral wilderness." Hawthorne deliberately takes his ambiguous attitudes on Puritanism to make possible the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Scarlet Letter.

      • 주홍글자」에 나타난 상징과 청교도주의 연구

        송민선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나다니엘 호손(1804~1864)은 전형적인 청교도 가문의 후손으로 그의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가짐과 동시에 그의 선조에 의해 자행된 마녀 재판으로 인해 청교도 사회의 냉혹함과 잔인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19세기의 작가이다. 그는 그의 작품 『주홍글자』에서 당시 청교도 사회의 비정함과 형식에 치우친 신앙을 비판하면서 이를 상징적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주홍글자』는 미국문학사상 최초의 상징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손과 청교도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주홍글자』에 나타나는 청교도 사회의 시점에서 본 주요 등장인물들의 죄의 성질, 종류, 영향 또는 죄의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인간의 참 모습을 다룸과 동시에 호손이 즐겨 사용하는 중요한 상징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청교도주의는 16세기 중반 영국에서 일어난 교파로서 영국국교회의 개혁과 정화를 목표로 한 신교중 하나이다. 이후 종교와 자유를 얻기 위해 미 대륙으로 이주해 온 그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특별히 선택했다는 굳은 믿음을 가지고 그 교리는 법과 동일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주홍글자』에서 호손은 이러한 청교도주의에 대해 선대로부터 종교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지 못하고 청교도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으며 동시에 선조들의 과오에 대한 죄의식을 가지고 청교도주의를 강하게 비판하고자 했다. 또한 청교도 교리에 기초를 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헤스터 프린의 죄가 용서받는 과정을 통해 진실한 하나님의 사랑을 정의하고자 노력함과 동시에 예수가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였듯이 본 작품을 통해 관용과 사랑을 실천하는 진정한 기독교 정신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주홍글자』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큰 특징은 상징의 사용이며 이러한 독특한 기술을 사용하여 비극적인 내용과 작품 속에서 인물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전체 작품의 조화를 이루게 함으로써 미국소설에 뚜렷한 공헌을 남기게 되었다. 호손은 『주홍글자』에서 A자에 다양한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순간순간 등장인물들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해석되고 점점 긍정적으로 의미가 변해가는 A자를 통해 청교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암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독교의 한 교파인 청교도가 추구했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에게 그들만의 성격과 상징성을 부여하여 그가 생각하는 죄악관에 대해 간접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는데, 사악한 악마인 칠링워스는 이성적 캐릭터, 어두운 골짜기인 딤즈데일은 감성적 캐릭터, 구약성서의 헤스터를 모델로 한 헤스터에게는 복합적인 캐릭터, 마지막으로 진주인 펄에게는 깨끗하고 순수한 캐릭터를 부여한다. 그리고 이들은 작품속에서 한 사회내에서 인간관계를 맺고 서로 부딪히고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결국 적을 용서하고(칠링워스), 고뇌에서 벋어나며(딤즈데일), 죄를 구원받고(헤스터), 더욱 성숙해지는(펄) 결과를 이끌어 내게 된다. 호손은 『주홍글자』에서 그의 예리한 통찰력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징적 수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의 인간관계와 청교도에 대한 관심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징적 기법은 작품 속의 인물들과 사물 혹은 자연물들이 다양한 상징으로 드러나 전체 작품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독자들의 흥미를 한 층 더 끌어 올렸다는 평을 받고 있다. Nathaniel Hawthorne(1804~1864), a writer in 19th century and a descendant of typical puritan family, had pride about his family and, at the same time, had critical sight about the cruelty and brutality of puritan society due to witch hunt conducted by his ancient. In his work『The Scarlet Letter』, by expressing the cold-heartedness of a puritan society and criticism of biased faith as a symbolic technique, 『The Scarlet Letter』 is recognized as first symbolic novel in American literature history. Puritanism, which occurred in middle of 16th century in England, is one of the Protestants that set the goal as revolution and purific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Since then, people who moved to America to acquire a religion and freedom strongly believed that God specially chose them and that doctrine displayed same power with the law. In『The Scarlet Letter』, Hawthorne was not able to deny the existence of God but saw Puritanism with positive sight, since he is affected by ancient. Moreover, he tried to strongly criticize the Puritanism by having a feeling of guilt because of mistake from his ancient. Furthermore,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 that is based on the doctrine of Puritan and through the process of forgiving Hester Prynne’s sin; he tried to define the true love of God. Simultaneously, like Jesus forgave the adulteress, he tried to awaken the true Christian spirit that practices love and tolerance through this work. Another key feature in 『The Scarlet Letter』 is the usage of symbols. By giving various symbolisms to letter A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used it as a tool to express characters’ delicate feeling in each moment. Moreover, through the letter A that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the situation and becomes positive meaning, it ultimately proposes the way that Puritan, one denomination of Christian, should have sought by imply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 with the criticism about Puritan. Furthermore, in his work, he symbolized to each character and indirectly expressed the concept of sin that he thinks. He characterized Chillingworth, the evil demon, as rational character, Dimmesdale, the dark valley, as emotional character, Hester, modeled Hester on the Old Testament, complex character, and Pearl as clear and innocent character. In this work, by relating each other in a society and redeeming the lack point of each person, they finally derive a result as forgiving the enemy(Chillingworth), breaking away from anguish(Dimmesdale), getting salvation(Hester), and maturing (Pearl).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used a symbolic technique to express the interest toward human by his keen insight. And through this, it is the work that shows the interest toward his relationship and Puritan well. Moreover, since the symbolic technique appears the human, object, or nature harmoniously in the work, it increased the reader’s interest and got positive evaluation.

      • 나다니엘 호손의『주홍글자』에 나타난 반여성적 사회와 급진적 여성주의 연구

        김다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논문의 목적은『주홍글자』에 드러난 호손의 페미니스트적 면모를 반여성적 사회와 급진적 여성주의 연구를 통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호손의 페미니즘’은 최근까지 학계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호손은 자신의 여성관을 주로 작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드러내어 왔지만 그 평가는 비평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갈리고 있다. 호손을 페미니스트로 보는 시각과 그와 상반된 시각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주홍글자』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호손은 ‘반 페미니스트’나 ‘비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작품 속에서 페미니즘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음이 밝혀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비평이론 관점에서『주홍글자』에 나타난 호손의 페미니스트적 면모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여성주의에 관한 호손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가부장제 사회와 여성의 갈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17세기는 반여성적 청교도 사회로서 남성중심주의와 이성 중심주의가 극대화 된 세계였다. 호손은 청교도 사회가 그들만의 교리로 인간, 특히 여성의 본성을 억압하고 자연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했던 이기심에 주목한다. 호손은 청교도 사회의 불합리하고 모순된 면을 비판하면서, 여성을 억압한 청교도들의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고 여성을 옹호하는 입장을 드러낸다. 호손이 주로 작품 활동을 하던 19세기 중엽의 미국사회는 노예제 폐지운동, 여성해방운동, 사회개선운동 등 개혁의 의지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즉, 미국에서 여성운동이 등장했던 1800년대는 영토 확장, 산업발달, 사회개혁운동의 성장 시기였고 개인 자유와 평등한 교육기회에 대한 주장이 팽배했던 시기였다. 여성의 기회확대와 관련된 여성운동은 여성들이 최초로 정치적 분야에서 그들의 권리를 시험하였던 여권운동이었다. 호손의 작품 속 여성인물들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등장하였기 때문에 호손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19세기 여성운동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호손의 여성주의 관점에 관한 다양한 논의에 관해서, 호손이『주홍글자』에서 페미니스트들이 경탄할만한 여주인공 헤스터 프린을 그려내면서 기존의 비평가들의 견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근거를 마련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급진적 여성주의의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여성의 권리 추구와 사회적 자아실현의 모습을 표현한다. 보수적 사회에서 헤스터의 갈등을 묘사하면서, 헤스터가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호손은 이 작품 속에서 가부장 질서에서 여성이 놓여 있는 열악한 위치를 첨예하게 깨닫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위치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것을 주장한다. 무엇보다도 호손이 이 소설에서 사회 규범이나 인습에 반항하는 주인공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을 내세운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헤스터는 가부장제 인습에 순응하기보다는 스스로의 권리를 주장하며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17세기의 남성중심주의적 청교도 사회의 희생양이 된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추구해 나가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헤스터는 바느질을 통해 생활하고 스스로 자립하는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나아가 미래에 대한 전망을 예견하기도 하며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인다. 호손은 헤스터가 남성 중심적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성숙한 페미니스트의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헤스터의 신여성으로서의 변화는 호손의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겠다. 당시 사회개혁에 대한 강한 바람과 실현되지 못한 한계를 헤스터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호손은 헤스터가 스스로 청교도 사회로의 회귀를 결정하면서 실천적 의지를 보여주는 자발적인 여성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헤스터는 기존의 가부장제 사회의 전형적인 여성을 이탈해서 진취적이고 파격적인 여성으로서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페미니스트임에 분명하다. 위와 같이 호손은 헤스터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의 자아실현 및 사회의 전반적인 개혁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비평적 입장들이 존재하는 『주홍글자』속 호손의 여성관에 대하여 호손은 급진적 여성주의에 바탕을 둔 페미니스트로서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자 함이다.

      • 주홍글자』에 나타난 양성론적 여성관

        김성희 대진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세기 미국 소설가 호손(Nathaniel Hawthorne 1804-1864)의 중심 작품인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는 주인공 헤스터(Hester Prynne)가 17세기 청교도주의의 억압적인 사회체제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인 상황과 결부시켜 서술하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청교도주의에 내재된 가부장제적인 지배구조를 페미니즘에 입각하여 논의하면서 헤스터의 청교도주의(Puritanism)에 대한 저항의식이 양성론적 관점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 사회에 흐르고 있는 여성에 대한 불평등의 차별구조를 단순히 지배와 저항이라는 도식화된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나, 헤스터가 대립하면서도, 동시에 조화를 이끌어 내는 모습은 요즘 논의되고 있는 양성론적인 페미니즘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서론에서는『주홍글자』에 대한 양성론적 접근의 타당성이 청교도주의와 연관시켜 설명되고 있다. 이 장은 헤스터의 자유로운 진보적인 사고가 남성 중심의 권력구조에 입각한 가부장적 사회체제에 대한 회의와 저항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헤스터의 이러한 개방적인 인식이 상호 관계성을 수용하는 양성론적 페미니즘의 시각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다양한 차이를 이해하는 데 바람직한 자세임을 설명하고 있다. Ⅱ장은 청교도주의와 『주홍글자』에 나타난 가부장제적 요소를 종교적인 측면과 사회, 정치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아울러, 이러한 청교도 사회의 편협성과 경직성으로 인해 헤스터가 겪는 고난과 역경을 중점 부각시키고 있다. Ⅲ장에서는 가부장제 사회의 불평등한 억압구조에 자신의 분명한 입장과 의사를 밝히고 여성적 가치와 미덕을 묵묵히 실천하는 개척자적 역할을 수행하는 헤스터의 탈 가부장제적 시선과 양성론적 여성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 장은 페미니즘의 양성론적인 시각이 편협한 성의식에 사로잡히지 않고 남성성과 여성성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 모든 인간이 존중받는 사회를 이루어 가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대립에서 벗어나 바람직한 공동체의 삶을 모색하고 있는 헤스터의 자유정신이 시대를 앞선 예지력임을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arlet Letter written by Nathaniel Hawthorne, an American Novelist in the 19th century, from the viewpoint of androgyny. Based in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of puritanical 17th century America, Hawthorne's heroin, Hester struggles to cope within a rigid and deeply repressive society for women. Hester exemplifies an androgynous will and nature that conflicts with the religious, social, and political doctrines of the time period. The desirable feminine life that Hester longs for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androgyny, i.e. taking up the position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harmony and unity between man and woman, freed from the dichotomy of discrimination and unfairness that women have received. The introduction in Chapter Ⅰ suggests the validity of an androgynous approach to The Scarlet Letter in that the various activities of feminism help us to understand and admit the differences of the world that we belong to. The various activities of feminism have started to secure more room for women's activities, had doubt and dissolved patriarchal social system based on male-dominated power structure, and led androgyny which accept the correlation. Chapter Ⅱ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hardship and adversity that Hester undergoes in the intolerance and rigidity of puritan society,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rough analyzing the patriarchal traits from religious,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Chapter Ⅲ examines Hester's defiance of patriarchal viewpoints. Here it focuses on aspects of the society Hester shows her pioneering standpoints and ideas by protesting against unfair oppressions of the society and by practicing love towards her neighbors, advocates feminine values and merits, and acts according to her conviction. Chapter Ⅳ concludes that we as human beings today should pursue and realize the world Hester aspired to where individuals accept both masculine and feminine in their own nature and make it harmonious without a distinctive sexual divide. Where everyone is respected and lives harmoniously, which is depicted in Hester's androgyny.

      • 주홍글자』에서의 구원과 펄의 역할

        허귀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나사니엘 호손의『주홍글자』에서 죄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주요 인물들에 대한 펄의 구원자적 역할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구원은 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종교적인 차원의 구원이 아니라 도덕적 죄를 저지른 인물들이 그로 인한 고통과 죄의식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펄은 이러한 인간적인 차원의 구원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적인 인물로 논의된다. 그녀의 구원자적 역할의 대상 인물들은 헤스터, 딤즈데일 그리고 칠링워스를 포함한다. 펄은 헤스터와 딤즈데일이 저지른 불륜의 증거로서 이 세 인물들에게 고통을 줌과 동시에 그들이 사회적, 도덕적 책임을 지닌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거나 자신들의 악행에 진정한 참회를 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펄의 구원자적인 역할을 논의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에서는 펄이 헤스터, 딤즈데일, 그리고 칠링워스를 위한 구원자적인 인물로 다루는 이 논문의 주제를 소개한다. 또한, 여기서 호손이 『주홍글자』의 첫 장에서 펄을 “인간의 나약함과 음울한 결말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미덕의 꽃”으로 부르는 것에 대하여 밝혀본다. 2장에서는 헤스터에 대한 펄의 구원자적인 역할을 논한다. 이 장에서는 헤스터와의 관계에서, 펄이 헤스터에게 죄를 상기하게 함과 동시에 모성애를 불러일으켜 그녀로 하여금 또 다른 일탈의 행위를 자제하게하고 마침내 청교도 사회에서 존경 받고 책임 있는 구성원이 되도록 동의하게 하는 과정을 논한다. 제 3장은 딤즈데일에 대한 펄의 역할에 중심적으로 논의한다. 장에서는 딤즈데일이 자신의 위선적 행위로 인하여 겪게 되는 고통과 죄의식에서 벗어나 참된 회개를 할 수 있게 되기까지 죄의 고통스런 징표로서,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 고백할 수 있는 힘을 주는 존재로서 펄이 그에게 미친 구원적인 역할을 논의한다. 제 4장의 논의는 칠링워스에 대한 펄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칠링워스에 대한 펄의 구원자적인 역할은 딤즈데일과 헤스터에게와는 달리 직접적이고 능동적이지 않다. 펄은 칠링워스가 베푸는 자선적 행위와 인간애를 베풀 수 있는 대상이 됨으로써, 복수심으로 인하여 악마의 모습으로 변한 그 역시 악인이 아니라 따뜻한 마음을 가진 동료인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인 5장에서는 본론에서 논의한 펄이 수행하는 위의 주요 세 인물들에 대한 구원자적인 역할이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또한 주홍글자에서 수행하는 펄의 구원자적 역할을 인간이 가진 사랑과 미움의 감정은 결국 동일한 것으로 본 작가 호손의 인간 심리에 대한 통찰력과 연결 시켜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edemptive role of Pearl for the main characters in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The word “redemption” in this paper does not refer to religious salvation by God. It means an act of freeing those individuals from their pangs and guilty feelings. It also denotes an act of making the sinful figures recognize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themselves morally. Pearl plays a pivotal role in making such redemption possible in this novel. The characters that Pearl redeems include Hester, Dimmesdale and Chillingworth. As a living sign of the adultery that Haster and Dimmesdale have committed, Pearl helps these characters repent their sins and malign acts, and recover the peace of their minds. This paper discusses the redemptive role of Pearl in The Scarlet Letter in five parts. Part Ⅰ introduces the thesis statement that Pearl is a redemptive character for Hester, Dimmesdale and Chillingworth. This part also identifies Pearl with, what Hawthorne calls in opening chapter of The Scarlet Letter, “the sweet moral blossom” that “may serve to relieve the darkening close of human frailty and sorrow.” Part Ⅱ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pearl's role in redeeming Hester Prynne. As a reminder of Hester's sin and the only source of her happiness, Pearl helps her mother to refrain herself from relapsing into another sin and finally to consent to the rules of the puritan community as its respectable member. Part Ⅲ examines the redemptive role Pearl plays for Dimmesdale. This part discusses Pearl's double function as a torturous reminder of Dimmesdale's sin and an empowering agent of his final confession. She also gives him the opportunity to briefly experience the warmth of a human bond at the last pillory scene of the novel. Part Ⅳ argues that Pearl's role for Chillingworth is less active and direct compared with her role for the other two characters. Pearl stripped Chillingworth of the diabolic image he had shown early in the fiction by becoming the object of his charitable acts. This shows that he is also like one of our fellow human beings who are capable of loving other people. Part Ⅴ concludes the discussion of the redemptive role of Pearl in the novel. This part also connects what is discovered from the redemptive role of Pearl in The Scarlet Letter with Hawthorne's insights into human psychology that love and hatred are not unlike in the human heart.

      • 주홍글자에 나타난 죄의 양상과 구원의 길

        김정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주홍글자』에 나타난 주요등장인물들의 죄의 양상과 그로 인한 내면적 갈등과 심리변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고통과 회개를 통해 구원에 이르는 모습을 청교도주의 및 호손의 도덕관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호손은 전통적인 청교도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항상 청교도주의가 엄격하고 냉혹하며 제한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엄격한 청교도 사회의 비정함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그의 작품 배경은 뉴잉글랜드이며, 그는 캘빈주의를 신봉하는 뉴잉글랜드 조상에 대해 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대부분의 작품 주제는 신학적 문제로서의 죄라기보다는 죄의식이 초기 식민지 사람들에게 미친 심리적 영향에 관한 것이다. 주홍글자』에서 그는 세 명의 주요인물, 즉 헤스터, 딤즈데일, 칠링워스가 저지르는 각기 다른 죄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충동적이고 정열적인 헤스터는 정열의 욕구로 인해 간음의 죄를 범한다. 그로 인해 그녀는 치욕의 상징으로써 가슴에 주홍글자 “A"를 달고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살게 된다. 고행의 짐을 짊어지고서도 그녀는 사회에 봉사하고 약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고 도와줌으로써 사회로부터 존경을 받는다. 그녀의 이타적인 삶과 선행은 그녀의 죄를 순화시켜 도덕적 성장을 이루게 하고 위선으로 가득찬 청교도 사회를 정화시킨다. 목사인 딤즈데일은 비겁함 때문에 죄를 고백하지 못하는데, 그의 명성과 권위는 이를 더욱 어렵게 한다. 자신의 위선적인 모습으로 인해 그는 고통 속에 빠지고, 사회적 존경과 명성이 더해갈수록 그의 죄의식과 고통은 더욱 깊어져 자기학대로까지 이어진다. 마침내 그는 대중 앞에서 숨겨진 죄를 고백하고 신의 은총 속에서 구원을 믿으며 죽음을 맞는다. 불쌍한 영혼의 칠링워스는 헤스터의 남편임을 감춘 채 헤스터의 간부에 대한 복수심에 불타오른다. 그는 목사의 영혼을 파헤쳐 딤즈데일의 영혼을 고문하면서 인간영혼의 신성함을 파괴한다. 냉철하고 교양있고 지성적인 이 남자는 지적 오만으로 인해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저지른다. 호손은 칠링워스를 검은 청교도인으로 그리고 있으나 용서받을 수 없는 죄인인 그에게도 자비를 베풀어 구원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에서 호손은 인간의 마음에 작용하는 죄의식의 영향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그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용서, 진실한 회개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aspects of sin and the way to salvation in The Scarlet Letter. Nathaniel Hawthorne was brought up in the tradition of Puritanism, but he was critical the rigidity of the strict puritan society. He always felt that the religious system of puritanism was hard, cold, and confined. The spatial setting of his works is mainly New England, but he took shame his calvinistic ancestors of New England. The central theme of most of his stories is not sin as a theological problem, but rather the psychological effect of sin on the lives of the early colonists.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showed some different aspects of sin by the use of three main characters, Hester Prynne, Arthur Dimmesdale, Roger Chillingworth. Hester commits adultery, a sin of passion. Her revealed sin makes her wear a scarlet letter "A" on her bosom and isolate herself from puritan society. But she is kind to the poor, helps the sick, and comforts the afflicted. Her unselfish life and good qualities purify her sins. She gets to moral growth and purifies a hypocritical puritan society. Dimmesdale, the minister, couldn't confess his sins because of cowardice. His social reputation and authority prevent him from confessing his sin in public. Dimmesdale, the hypocrite, is filled with remorse, as he keeps reliving in his mind his guilt. He suffers from remorse and hypocrisy. He has had penance enough but has never had penitence. Finally, he makes a public confession and dies, believing he has paid the price for his sin through his own suffering. Roger Chillingworth, a miserable soul, conceals his own identity as Hester's husband and devotes himself to revenge. He becomes a "fiend" as he pursues his psychological revenge on Dimmesdale. He tortures Dimmesdale's soul and violates the sanctity of a human heart. This cold, speculative, intellectual man commits unpardonable sins which eventually destroy himself. Hawthorne describes Chillingworth as black puritan, but he may be merciful even to the unpardonable sinner, Chillingworth. In conclusion, Hawthorne tri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guilt upon human beings. Hawthorne seems to tell us that humans can be saved from sin through true repentance, forgiveness and love.

      •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에 나타난 상징주의에 관한 연구

        이해인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Nathaniel Hawthorne, a representative 19th century American writer of New England, has studied on the truth concerning the human heart. He regarded the depths of human nature as his literary entity, and in The Scarlet Letter he used his artistic talent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guilt upon human beings. Romance was the genre he used to grasp the truth of human psychology, and symbolism was the major vehicle to depict the deeper inside of the human psychology in the Puritan Age. The Scarlet Letter, is one of his masterpiece that conveys his profound and penetrating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 number of symbols found in this literary work were used effectively to communicate the depth of the human spirit. Color symbolism, symbolism of light and darkness, the symbol of the scarlet letter 'A', the symbol of nature, and the chiaroscuro effect are found almost everywhere in this work and they show Hawthorne's culmination of his romance genre. This novel, a tale of human fragility and sorrow, is a tale which begins with the contrast between the tone of the red rose, a sweet moral blossom, and the gloomy tone of the cell, the black flower of a civilized society, and which ends up with the contrast between the tones of Sables and Gules in the last chapter of the novel.

      • 처형대와 주홍글자 ‘A’ 의 정치학

        설갑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Nathaniel Hawthorne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writer who was immersed in seeking after inner life of humanity and its sinfulness but indifferent to real matters of life. However, contrary to being a writer loving in retire, Hawthorne was very sensitive to current political and social issues. Not only did Hawthorne take part in Brook Farm--an ideal movement of communal life experimented by New England transcendentalists--he also had such careers as a custom office official and a consul as well as a writer. In addition, he wrote a campaign biography for his friend Franklin Pierce who was then a presidential candidate. Such experiences may have led Hawthorne to reflections of contemporary social issues represented in his literary works. This thesis examines his political viewpoints by analyzing the three scaffold scenes in The Scarlet Letter and the role of the scarlet letter ‘A’ in the novel. The first scaffold scene in which Hester appears on the scaffold holding the baby Pearl reinforces the importance and the existing order of the puritan community, through the exhibition of public punishment. And the third scaffold scene in the later part of the novel in which Dimmesdale makes the public confession of his sin and dies in Hester's arms also shows his acceptance of the rule of the New England puritan community. Hester, through her good works done for poor people for several years since the first scaffold scene, seems to have been contrite enough to have expiated her sin of adultery. However, the narrator reveals that she still secretly embraces revolutionary thoughts on the status of women and social institutions. Besides, she tears off the scarlet letter ‘A’ which has been attached on her bosom since the beginning of this novel, when she thinks she is alone with Pearl in the forest. Furthermore, she even plots to run away with Dimmesdale to an unknown place in the Old Continent in vain. Thus, even though she seemed to be repentant for her sins, she was actually hiding them from people's eyes. Therefore, it seems clear that the office of the scarlet letter A has not been fulfilled yet. However, Dimmesdale's dying confession of his sin in front of people on the scaffold gives her another chance to be contained by the puritan community. That is, when she returns from Europe to her old cottage alone a few years after Dimmesdale's death, Hester conforms to the puritan community order, severing poor women in trouble and giving her duty to work for women's liberation over to women of next generations. Conclusion like this seems to proceed from Hawthorne's conservative political stance. The failed attempt of escape planned by Hester and Dimmesdales and Hester's ultimate return to New England at the end of the novel demonstrate the author's uneasiness to adopt subversive and innovative attitudes of his main characters on society.

      • 주홍글자』에 대한 페미니즘적 읽기 : 헤스터의 자아 정체성의 회복

        심의영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attempts to draw out the positive meaning and value of female identity in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It is true that the prevalent study of the American classic of Hawthorne has been mostly done from the male viewpoint. So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ow complicated the desire of the heroine, Hester Prynne, stands in opposition to the male-oriented simplification of female identity. This study intends to have a delicate reading of the parts which are easy to overlook or difficult to understand by the conventional male perspective. Thus, this study helps to get rid of the predominant images of Hester as the adulteress, the sensual woman, the enticer, or the prototype of repentance in a moral fable. Based on such demythification, this work focuses on Hester's own self-independent and liberal, revelational identity. The misogyny rooted in Christian culture has constructed around the women the dualist myth of the "dark lady" and the "fair lady". Chapter 2 points out the weak basis of identifying Hester Prynne with the "dark lady" by examining how such mythifying process has been imposed on female identity. This study argues that Hawthorne depicts Hester not so much as a simple stereotype of black and white but as a complicated and self-existent character refusing to be fixed by the male viewpoint. Such a dualist myth of women has rationalized and consolidated the sex-discriminating aspect of patriarchism. Patriarchism has supported and naturalized the legitimacy of the suppression and differentiation of women by men for a long time. Chapter 3 of the study analyzes the harmful effects which the patriarchal logic has had on both women and men. For example, Arthur Dimmsdale is a character who inherits his power from patriarchism, has strong ties with it and goes through sacrifices due to it. Because of his social status of a pastor, he avoids his responsibility for Hester and Pearl and follows the identity and power given to him by patriarchism. He selects a self-deceptive and self-intoxicated victory, namely death, instead of Hester's constant and noble love. Meanwhile, Chillingworth suppresses and insults Hester with resort to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his patriarchical position. He recognizes even love as a struggle of power in a male- dominant world of patriarchy and devotes himself to that struggle. Thus the patriarchal view of society is sexually discriminative: it is cruel and harsh to Hester while friendly to men such as Chillingworth and Dimmsedale. Chapter 4 examines how Hester suffers from the identity that the Puritan patriarchy gave to her and how she registered it. Futhermore this chapter traces Hester's initial self-recognition along with her status and role in Puritan society and the process that she recovers a self-identity after her life-shattering experiences. Hester's ultimate area of self- existence is needlework. An act of embroider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medy of her suppressed internal self. Hester recognizes herself in her handicraft and maintains her liberal and artistic nature. Hester develops from a bride of noble birth to an independent woman. In this process she keeps her love with indomitable will, courage, and patience, and she is finally accepted and respected by the society that branded and despised her as "Adultress". Hester necessarily comes to perceive a means of survival in the cruel society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herself. Being realistically wise and bold, Hester very flexibly faces the biases of the patriarchal society. Not caring about the thoughtless antagonism of its members, she gives a self-submitting service to them and endures the worst abuses of the society. In this way, Hester not only survives but also becomes the prophet of a new era when the patriarchal dominance shall be weakened. One of the major duties of the scarlet letter was to make Hester submit to the will of the patriarchal society. But she transforms the meaning of the "A". Internally resisting, Hester leads the Puritans to believe that she yields to their values. Then she makes the society accept her own meaning of the scarlet letter that she creates. The scarlet letter, a sign of Hester's noble love, finally becomes a symbol, one that people lament together for and see it with fear and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