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군위안부』에 나타난 역사적 기억의 ‘소거’로서의 글쓰기

        이명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is a novel that deals provocatively with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conscripted for the Japanese war project, whose purpose was to comfort the sexual desire of the Japanese soldiers. Keller's narrative about the transformations of Soon-Hyo/Akiko41/Mrs. Bradley does not merely record her psychological trauma, but also tries to exorcise the collective memory of those women who were sacrificed for the male-oriented war ideology. Keller's writing about the life of a comfort woman "interpellated" as Akiko 41 engages in a war against the oppression of female voices, just like those of Akiko 41, whose strategy of survival in the military camps is to keep silent. Akiko's psychological trauma is still present even after she gets married to a missionary, who reinforces, or at least functions as a reminder of, her experience as a comfort woman. Akiko's survival strategy is to become a shaman, by identifying herself with Induk, her predecessor, Akiko 40, who was killed by the Japanese soldiers, and whose body was penetrated by a pole, a phallic symbol. By adopting shamanism, she lives up against his husband's Christian doctrines. Her transformations of identity by adopting the names all given by the patriarchal authority avoids being "interpellated" as a solid subject. As a shaman, she embraces and "comforts" all the dead souls of those women whom she encounters in her life. Her exorcism of what her husband regulates as a sin is another survival strategy. As an obituary writer, her daughter, Beccah, the name her mother herself has chosen, means "a white lily" as well as Rebeccah with its Christian meaning. When she listens to the tape that her mother has recorded before, she realizes her mother's stories full of traumatic experience. Beccah's writing an obituary of her own mother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functions as a thrust into the patriarchal prevalence of the text over the voice, owing to her recorded tape. Keller's Comfort Woman is a kind of unwritten history about a female who experiences a traumatic life and who lives up with its excoriating scar. She seems to pass on the duty to write more stories about those comfort women who are still living in our boundary. 본 논문의 제목인『종군위안부』에 나타난 역사적 기억의 ‘소거’로서의 글쓰기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노라 옥자 켈러(Nora Okja Keller)의 소설인『종군위안부』를 바탕으로 아픈 우리의 과거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고 그 과거 속에서 버려지고 상처 받은 타자의 이야기를 소설의 형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살아가기 위한 선택으로써 지나온 트라우마의 시간을 숨기고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고통의 시간을 어깨위에 짊어지고 한평생을 살아온 종군위안부의 생활을 다루고 있으며 현재도 국가 간의 문제로 남아있음을 생각하게 만든다.『종군위안부』라는 이 책은 위안부의 삶을 살아온 아키코의 인생을 묘사하고 고통을 간직한 채 세상을 살다가 떠나게 된 여인의 운명적 삶을 모녀 관계의 시선을 통하여 그려져 있다. 고통의 희생자였던 종군위안부의 목소리와 그리고 그녀들만의 정체성의 표현방식과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두 가지의 방향성을 두고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보기로 한다. 첫 번째는 고통-정신적, 육체적-의 세월이다. 아픔의 시간을 다시금 생각나게 하면서 경험했던 트라우마의 기억에 대한 자기의 존재를 느끼고 생각한다. 고통스런 과거의 정체성 때문에 현실에서는 풀어 나가기 힘든 삶의 연결이 보인다. 탈출구의 역할을 ‘무당’이라는 형태로 표현하게 되며 현재의 삶과 정체성에서 과거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자신의 구체적인 삶의 방식으로 표현한다. 아키코의 고통의 ‘소거’의 방식과 베카의 ‘소거’의 방식이 교차되면서 서로의 공통된 부분을 보여주게 된다. 그것은 샤머니즘을 통한 두 모녀의 ‘소거’의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역사적 특수성에서 문학적 자료가 된 종군위안부의 삶을 재조명하고 기억하고 싶지 않은 상처지만 현재도 담론화 되고 있으며 그해결책이 없다는 것에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고 종군위안부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더 생각해 보고자 한다. 두 번째는 모녀간의 사랑의 이야기이다. 아키코의 어린 딸 베카가 성장하면서 엄마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 당시 이해 할 수 없는 샤머니즘의 세계와 언어들을 엄마의 죽음을 통하여 하나씩 풀어 나가게 된다. 엄마의 목소리를 통하여 베카는 위안부의 삶을 살아온 엄마의 고통을 이해하게 되고 그러한 삶이 엄마가 살아온 유일한 방법이었음을 알게 된다. 위안부의 삶을 다룬 소설로 여러 가지의 상징물-강, 피, 꽃-이 표현되고 있다. 샤먼의 세계 속에서 살아온 엄마의 모습을 다시 상상 해보며 엄마가 느꼈을 고통과 상실의 시간을 베카만의 독특한 사랑의 표현으로 극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엄마의 지나온 시간을 피할 수 없는 생존의 시간으로 이해하고 사랑이란 의미로 아픔의 시간을 다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모녀간의 엇갈린 생각 이었지만 남겨진 유품을 통하여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가 전달되고 새로운 진실의 세계가 열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 아키코와 베카가 서로를 이해하는 방식은 달랐지만 ‘소거’의 방법이 바라보는 시선은 서로간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는 공통점이 보이는 소설이었다. 이와 같이 이글에서는 두 가지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역사의 희생자였던 ‘종군위안부’를 통해서 살펴보고자한다.

      • 일본군 종군위안부 연구경향 검토 및 평가, 2007-2016

        구본웅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4

        This article will examine and evaluate the Research Trends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Wianbu) through reviewing the article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Wianbu) among 2007-2016. Through this work, This article wants to achie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derive attainment and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result. Since 1990, There are only two studies about the trends. However, there are some shortcoming. One was only to analyze history sector and the other was published long a time ago. So, This study seeks to supplement insufficiency what previous study have. Second, Recently, the research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conducted based on political science. So, Need to prove how and why does it. Actually,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treated as current issue of diplomacy. At 2011,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p was adjudged tha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was not contained in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n, Either Japan and Korea government, until academic world, handle this issue as a political issue. So,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at is really is it. Third, Have to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Recent studies were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 and were based on various sector. But, there are no one things which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So, This study seeks classify and systematize sector and theme. Through this work, expected to suggest standard point about classification. Finally, To derive attainment and limitations, through tendency analysis. Tendency analysis have an advantage to suggest what is Direction and task. So, Through this work, expected to suggest what is our Direction and task. As a result, this article concluded it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 can classify them into 5 Main categories and 17 Middle categories. This classification will help for new researchers. Second, In the past decad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examine this issue through view of actor-centered. This means that this issue be dealt with political issue. Third, Various research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Especially, There are many advanced in history awareness sector. Many Researchers explore actors inner side who civil campaigner, politician, etc, through interview and reviewing documents. Finally, We have to do new attempts in responsibility sector. For a long time, In these sector, there are a little advanced. Just, We repeated a similar argument that this issue should have been handled with humanism.

      • 일본군 '성노예' 제도에서의 폭력에 관한 기독교 윤리학적 비판

        김윤호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588

        일본군 '성노예제' 에서 일어난 실상과 피해, 해결방안을 페미니스트 윤리의 관점에서 해석, 분석, 비판.

      • Locating the Agency of Comfort Women in Three Korean American Novels: A Study of Comfort Woman, A Gift of the Emperor, and A Gesture Life

        ElDakhakhny, Dina Magdy Mohamed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280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ree Korean American novels which deal with the Korean comfort woman issue, namely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1997), Therese Park’s A Gift of the Emperor (1997), and Chang-rae Lee’s A Gesture Life (1999). While different discussions on the novels generally position comfort women as helpless victims, this study aims to deconstruct that narrative which completely strips them of agency, and attributes it to their victimizers. Focusing on the literary comfort woman figures in the three novels not merely as victims but as agents, the dissertation mainly explores how they manage to overcome the power imbalance which allows the Japanese to monitor, censor, and control them. To that end, the dissertation introduces the issue of Korean comfort women, and comments on the official silence that surrounded it till the early nineties. Addressing the question of voice and self-representation, the dissertation uses Keller’s Comfort Woman to examine the subversive means that comfort women resorted to in order to break the silence imposed upon them.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 that allowed the silencing of women for so long meant that their bodies were also controlled and monitored. Locating the struggle for agency within the female Korean body, the dissertation discusses the theoretical context that framed and validated the abuse of the Korean female body,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nationalism and imperialism in Lee’s A Gesture Life. While issues of voice and narr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lived material experience of colonized subjects, on the other, are oft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omfort woman issue, the experience is rarely examined from an affective angle. To bridge that perceived gap, the dissertation examines, through Park’s A Gift of the Emperor, how affects and emotions are an integral part of politics and how comfort women had to resist not just the abuse of the body but also of their emotions. All three chapters thus explore the issue of agency from a different viewpoint in each of the novels; they locate the characters’ agency in their ability to express the ineffable when silenced, to challenge restrictive socio-political fetters through deliberate action, and to heal emotional wounds, resisting the breaking of their spirit. 본 논문은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세 개의 재미 한인 작가의 소설을 다루고 있다: 노라 옥자 켈러의 『종군 위안부(Comfort Woman)』(1997), 테리스 박의 『황제의 선물(A Gift of the Emperor)[ 본 소설의 한국번역 본이 없는 관계로 소설 제목을 필자가 번역함]』(1997), 그리고 이창래의 『제스쳐 라이프(A Gesture Life)』(1999). 세 작품에 대한 기존 담론은 위안부를 힘 없는 피해자의 위치에 놓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에이전시를 박탈하여 가해자에 부여하는 서사 구조를 해체하고자 한다. 작품 속 위안부를 단순히 피해자가 아닌, 그들의 주체성에 대해 초점을 맞춤으로써 위안부가 그들을 감시하고 검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일본과의 권력의 불균형을 극복하는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배경을 소개하고 있으며, 1990년대 초반까지도 이를 둘러싼 공식적인 침묵에 대해 언급한다. 목소리와 자기 표현(재현)의 문제에 대해 본 논문은 켈러의 『종군 위안부(Comfort Woman)』을 통해 위안부들이 그들에게 강제된 침묵을 깨기 위해 활용한 전복적인 장치를 살핀다. 여성의 침묵을 강제한 권력의 불균형 때문에 그들의 신체마저도 통제와 감시의 대상이 되었었다. 한국 여성의 신체를 에어전시를 위한 투쟁의 장으로 이해하고, 본 논문은 한국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의 이론적인 기반과 정당화에 대해 특히 이창래의 제스쳐 라이프(A Gesture Life)』에서 제시하는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의 맥락에서 살펴 본다. 위안부 문제를 다룸에 있어 한 편으로 목소리와 서사, 또 다른 각도에서는 식민 주체의 실제 경험의 사료를 언급하고 있으나 실제 경험에 대한 정서적인(affective) 분석은 부족하다. 이러한 인지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본 논문은 테리스 박의 『황제의 선물(A Gift of the Emperor)』를 통해 정서와 감정이 정치의 핵심에서 위안부 여성은 몸에 대한 폭력뿐만 아니라 그들 정서에 대한 폭력을 이겨내야 했던 점을 살핀다. 따라서, 논문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개의 챕터는 에이전시의 문제를 각 소설 특유의 관점에서 살핌으로써 형언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고, 의도된 행위로서 억압적인 사회정치적인 제약에 항거하고 정서적인 상처를 치유하여 정신의 파괴에 저항하는 위안부의 힘에 나타난 그들의 에이전시를 확인하고 있다.

      • Remembering the forgotten :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and Chang-rae Lee's a gesture life

        박주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RANK : 232268

        노라 옥자 켈러와 이창래는 그들의 소설을 통해 공적 역사를 재조명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그들은 단 하나의 역사 서술 방식을 거부하며, 그 동안 역사책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재조명한다. 노라 옥자 켈러는 종군 위안부였던 주인공 아키코를 통해 위안소에서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위안부들은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으며, 성적인 억압을 견디어내야만 했다. 아키코는 자신의 경험을 테이프에 녹음하여 역사를 구전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자신과 같은 경험을 했던 수 많은 여성들을 위무한다. 이렇게 구술로 기록된 역사는 아키코의 딸인 베카에게로 전승된다. 그녀는 사실이란 눈으로 보는 표면의 것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비정상적인 여자라고 생각했던 자신의 어머니는 사실 위안부로서 엄청난 고통을 받고 그것을 극복한 무당이었다. 아키코의 과거 회상을 통해 작가는 위안부들의 역사를 기억하며, 이 기억은 다음 세대로 전승되어야 하는 것임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켈러는 아키코를 미국 이민지로 설정함으로써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조망한다. 아키코는 위안소에서는 일본군들에게, 결혼 후에는 미국인 남편에게 억압 당한다. 아키코가 감내해야만 하는 이러한 상황은 대한민국이 일본 식민주의에 의해서, 그리고 해방 후에는 미국의 신식민주의에 의해 지배당했던 역사를 그대로 보여준다.이창래는 위안부 역사를 기술하는 데 있어서 다른 시각을 취한다. 제스쳐 라이프의 주인공은 일본군이다. 하타는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자라다가 일본 가정으로 입양된 남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는 전후에 미국으로 이민해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게 되는데, 소설은 그의 현재 미국에서의 삶과 과거 일본에서의 경험을 병치시키며 진행된다. 하타는 켈러의 주인공인 아키코와는 달리 과거를 기억하는 데에 수동적이다. 하타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타인과의 솔직한 대화를 거부한다. 참전 군인의 과거 이야기는 그의 회상을 통해서 독자에게만 전달된다. 한국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주해가는 하타는 이동할 때마다 새로운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으로 변모하며 그 사회의 관습과 문화를 받아들인다. 일본에서 그는 일본 사회의 식민주의적 사고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는 일본 사회의 일원으로 살고자 하는 염원을 지니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민족성을 부정하게 된다. 미국으로 건너가서도 하타는 변하지 않는다. 그는 바람직한 시민으로 보이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 때문에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못한다. 베들리 런이라는 백인 동네에서 하타는 백인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인종 차별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가 내면화한 흑인에 대한 인종 차별은 그의 입양아 써니와 그의 관계에 영향을 끼친다. 흑인 피가 섞인 한국 여자 아이 써니에게 하타는 부성애를 느끼지 못한다. 도리어 그는 자신과는 확연하게 다른 그녀의 외모에 불편함을 느낀다. 결국 아슬아슬하게 지속되던 부녀의 관계는 써니가 흑인 남성과의 연애를 통해 아이를 갖게 되었을 때에 끝난다. 하타는 만삭에 가까운 써니를 유산시키고, 결국 써니는 유산 후 하타를 떠나버린다. 하타 자신의 백인 여성과의 연애 또한 하타의 인종 차별적인 시각 때문에 실패하게 된다. 그는 백인 사회에서 동양인과 백인의 관계는 부적절하게 여겨진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고 있다. 그의 조심스러운 처신은 상대를 지치게 만들 뿐이다. 지속적으로 한 사회에 소속되고자 하는 하타의 모습을 통해 이창래는 이민자의 문제를 드러낸다. 그는 종군 위안부라는 소재를 통해 잊혀진 역사를 드러내는 것뿐 아니라, 현재 미국 사회의 문제를 지적한다켈러와 이창래는 한국의 과거사를 미국의 현대사와 연결시켜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소설 쓰기를 통해 잊혀졌던 위안부 역사를 드러내어 독자들로 하여금 현실과 과거를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위안부와 일본 군인의 상반된 입장에서 쓰여진 두 소설은, 상충된다기 보다는 서로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 가지 입장으로 역사를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나의’ 절대적인 역사 서술을 거부한다면 이 두 소설의 우열을 가리는 것 또한 불필요하게 된다. 독자는 두 작품을 읽음으로써 위안부 역사에 대한, 한미 관계에 대한 자신의 역사 의식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잊혀진 이야기를 재구성한다는 것, 그 과정에서 과거를 현재와 연결시켜 독자의 현실과 역사를 잇는다는 것이 두 작가의 공통적인 성과라고 생각한다. Stories of the subaltern are usually omitted from national history. Historical facts do not speak for themselves; documents and facts that collide with national interests are elided in national history textbooks. Nora Okja Keller and Chang-rae Lee both re-examine the official history and oppose the one narrative represented to be the official history. Through their works Comfort Woman and A Gesture Life, the writers evoke the forgotten issue of comfort women.By depicting a former comfort woman, Akiko, Keller vividly illustrates life in the comfort camps. The sexual violence and dehumanization of the comfort women are depicted through Akiko’s narration. The remembered history of a former comfort woman is recorded as an oral testimony and a consolation to the deceased women. The cassette tape that bears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is passed on to Beccah, Akiko’s daughter. By listening to the tape the second generation, Beccah, is able to comprehend history and also to take on the role of a mourner. She is enlightened with the fact that the truth may differ from what meets the eye. Her mother, whom she regarded as a mad woman, reemerges as a shaman who survived through much hardship in her life. In her portrayal of Akiko’s life in the United States, Kell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kiko’s husband, Bradley, symbolizes the U.S. posing as a liberator of Korea, concealing its desire to dominate the peninsula. Akiko is continuously violated by Japanese soldiers, and later by her American husband. The violence Akiko has to endure throughout her life represents how the Korean peninsula was first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later by American neo-colonialism.Chang-rae Lee takes a different vantage point in retell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His protagonist is a former medic of the Japanese Army. Hata is an ethnic Korean adopted into a Japanese family. He later immigrates to the United States to start a new life, and the novel juxtaposes his past with his present life in the States. Through the life of Franklin Hata, Chang-rae Lee explicates the life of an Asian immigrant. Moving from Korean to Japan to the United States, Hata has to adapt to the new locations and accept the moral values of each community. He used to adhere to the colonial ideas of the Japanese Empire while he was serving in the military. He desired to assimilate to Japanese society, which keeps him from identifying himself as Korean. His life in the United State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in Japan. He fails to develop intimate relationships because of his yearning to be seen as a model citizen. Residing in Bedley Run, a white dominated town, he adjusts to the values of the white community. By portraying Hata’s continuous suffering to assimilate into his adopted/immigrated society, Chang-rae Lee depicts the problem of immigration and uncovers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comfort women.Hata is different from Keller’s protagonist, Akiko, in dealing with the traumatic experiences in World War II. He constantly denies his past, and is not willing to reflect on it. Hata’s reluctance to remember and share his pain also hinders him from having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He presents himself as good Doc Hata, but does not allow anyone to enter into his emotional sphere. Lack of communication hampers his familial bonding, and he never reveals his past to his daughter. The history of a war participant is told only in his own reflections and memories. Thus, although the readers are able to acknowledge his past stories, the information is not passed down to the second generation.Scholars of Asian American studies often express their concern with Asian American writers’ interest in the Asian past, explaining that it is dangerous to linger on the past and to avoid societies’ present and imminent difficulties. However, Keller and Lee connect Korea’s history with the present lives of Asian Americans. Their novels reveal the forgotten history of the comfort women, encouraging their readers to contemplate history in the light of the present. Despite each novel’s merits and demerits,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their authors’ works by comparing one to the other. Comfort Woman and A Gesture Life do not oppose each other; rather, the two works supplement each other by taking different vantage points in remember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By reading the two works, readers would be able to comprehend that there is no “ultimate truth”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