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 구원론에 있어서 믿음개념 비교 연구

        이종철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일반적으로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 믿음개념과 신학사상이 각각 상반된다고 말한다. 즉 칼빈은 칭의론을 강조하고, 웨슬리는 성화론을 강조한 것으로 오해한다. 하지만 그들이 추구한 믿음의 개념과 신학사상은 동일 한 것이다. 그 핵심은 구원에 이르게 하는 것은 오직 믿음이며 믿음은 말씀으로 시작된다는 사상이다. 그리고 이 믿음으로 거듭나서 거룩한 삶을 살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이 두 신학자의 동일한 사상이다.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 믿음개념에 있어서 상호 차이점은 설명 방법에 있어서의 차이일 뿐, 본질적인 차이는 아니다. 이 두 신학자는 공히 믿음이라는 것을 전적으로 하나님이 인간의 영혼에게 행하시는 일로서 이해하고 있다. 믿음은 인간의 이성의 결과물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칼빈과 웨슬리는 공히 믿음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행동이라고 설명한다. 칼빈과 웨슬리의 신학사상에 있어서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구원에 이르는 믿음개념에 있어서는 상호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칼빈은 칭의론을 웨슬리는 성화론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너무 피상적인 이해다. 칼빈과 웨슬리는 공히 믿음에 의한 칭의와 믿음에 의한 성화를 가르쳤다. 칼빈은 칭의에 기초한 성화론을 주장한다. 우리가 의롭다함을 받은 것은 오직 믿음에 의한 것이다. 우리의 행위는 죄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님 앞에 의의 기초로 내세울 수 없다. 그러나 칼빈은 칭의와 성화를 구분하되 분리하지는 않는다. 칼빈이 선행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논지는 우리가 의롭다고 인정을 받는 것도,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듯이 우리의 선행도 똑같이 하나님으로 말미암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선행도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행위의 의를 내세울 수 없다는 것이 그 요점이다. 모든 선행은 하나님의 선물로서, 하나님께서 그것을 마치 우리의 것으로 여겨서 우리에게 상주시는 것이라고 한다. 이신칭의 교리는 결코 선행에 대한 열성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거룩한 생활을 통해서 우리의 믿음은 확인을 받게 되는 것이다. 웨슬리 역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칭의에 기초한 성화를 말한다. 웨슬리도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을 죄인인 우리가 의롭다함 받을 수 있는 유일의 근거로 삼았다. 하나님으로 하여금 죄인인 우리를 받아들이게 할 수 있는 유일의 원인은 하나님의 율법을 완전하게 성취하시고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하신 속죄사역이다. 그러므로 칭의가 인간 자신에게 속한 어떤 의에 근거하였다고 할 수 없으며 외적인 행위의 의나 내적인 성품의 의도 그 근거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웨슬리에게 있어서 성화는 칭의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웨슬리의 주요관심사는 그리스도의 피에 대한 산 믿음이었다. 웨슬리는 칼빈과 같이 죄가 신자에게도 있다고 말한다. 즉 죄로부터는 깨끗하나, 죄의 세력(power of sin)은 남아있다. 그러므로 죄가 안에 있으나 주장하지(dominion) 못한다. 그러므로 웨슬리는 완전함 즉, ‘죄짓지 않는 상태’를 강조한다. 즉, 웨슬리는 선과 악을 구별하면서도 의롭다함 받고 산 신앙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계속 죄짓는 자리에 있지 아니하며 죄가 있으나 죄를 이겨야한다. 그들은 모두 삶에 가장 기초된 믿음은 성경에서 시작하는 믿음을 추구 하는 복음주의적 신학자요, 종교개혁자며, 설교가다. 그들은 동일한 믿음의 개념과 신학 그리고 신앙을 추구하였다. 웨슬리의 완전성화이해의 유익은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구원의 완성을 향하여 좇아가는 과정을 이야기 한다. 칼빈은 16세기에 칭의에 기초한 성화론 내지는 이중 은혜를 주장한다. 본 연구자는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 믿음의 개념을 연구함으로 그들이 추구한 삶과 그들이 하나님의 거룩한 진리를 위해서 의롭지 못한 것과 싸우며, 구도자의 삶을 통하여 하나님 말씀을 대변한 것을 연구했다. 후대에는 그들의 사상을 가지고 많이 논쟁을 하지만 그들은 말씀을 통한 믿음이 구원의 길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이 정신을 한국교회가 받아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적어도 칼빈과 웨슬리가 밝혀낸 기독교의 진리로부터 점점 더 떠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인간의 노력이나 감성을 자극하는 것과 인간이성의 지식으로 구원에 이루수 있다고 오해할 만한 잘못된 믿음개념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잘못된 믿음개념에 따라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인간적 노력의 하나인 명상, 요과 등 수도사의 생활과 같은 영성훈련을 통하여 구원을 이루며 교회를 성장시킬 수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이런 혼동과 혼란 속에서 한국 개신교는 더욱 칼빈과 웨슬리가 밝힌 진정한 성경적 믿음개념과 구원의 길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 존 웨슬리의 성화론에 대한 이해

        신현수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논문은 존 웨슬리의 구원론 중 성화론에 대해 논한다. 그가 주장한 성화론을 살펴보면서 성화적 삶의 본질인 그리스도인의 완전으로 논의를 확대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서 2장에서는 성화론의 형성 배경과 특성을 다루고, 3장에서는 성화의 개념의 구성요소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4장을 통해서는 성화의 단계에 있어서 초기부터 점진적인 그리고 온전한 성화와 영화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5장에서는 성화론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해 다룬다. 존 웨슬리의 성화론은 ‘구원’자체이기 보다는 ‘구원을 이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구원의 이룸’에 있어서의 목표는 ‘하나님의 형상’이다. ‘하나님의 형상’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실 때의 변질되지 않고 오염되지 않은 처음의 상태이다. 웨슬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을 회복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으로 보고 있다. 다른 신학자들, 특히 루터와 칼빈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웨슬리의 성화론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웨슬리의 성화론 형성 배경이 초대 교부와 종교개혁자들로부터, 또 웨슬리가 존경했던 아르미니우스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은 것인지, 또 존웨슬리의 성화론은 구원론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이며 통전적 성화론, 개인적 성화와 사회적 성화의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말이다. 성도들이 힘을 잃고 교회를 다니는 것이 진부함으로 여겨지는 요즘의 세상에 18세기 영국을 둘러보던 웨슬리의 시선을 공유할 수는 없겠지만, 존 웨슬리의 성화론의 이해를 통하여서 보다 나은 신앙과 신학적인 공부를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This treatise argues about John wesley's sanctification of soteriology. Wish to expand discussion by Greece Taoist's perfection which is essence of sanctified life examining sanctification that he insists. Handle sanctification's formation backing and special quality in 2 chapter to solve target of research, and wish to discuss about gradual and intact worry and movie since early in step of worry through 4 chapter wishing to handle about component of concept of worry in 3 chapter. And handle about sanctification and Christ's perfection in 5 chapter.Focus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is set to 'Accomplish relief' rather than is 'Eternity' itself. In 'Eternity of accomplish' because target 'God's shape' be . 'God's shape' is undistorted and uncontaminated inceptive state of when God creates the world. It is seeing as 'Greece Taoist's perfection' (Christian Perfection) that Weseulri recovers this 'God's shape (Imago dei)'. May know about other theologians, especially Wesley's sanctifi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Luther and Calvin. Wesley's sanctification formation background from first Catholic father and religion reformers, and it is speech about whether Weseulri is influenced how from Areuminiuse that respected, and John wesley's sanctification is that it are soteriology and some relation and whether sanctification, private worry and characteristic of social worry are what conducting enemy. Can not share Weseulri's gaze that attainment of perfections dissolve and look around the 18th century Britain in the world of these day that it is thought that is stale that go to church, but hope to get into good time that can study that is more than faith and new school register through comprehension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eagerly.

      • 존 웨슬리이 소그룹을 통해 바라본 한국교회의 소그룹 진단 : 우리들교회를 중심으로

        박상수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67

        Many churches look forward to reviving church spirituality and more people through a small community in church movement. But, Korean Christians are decreasing constantly.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missoinal model through an upright small community in church mov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d Wesley’s small community and the small community of Wooridle Church System, Accountability, Discipleship training, and missoinary works. Moreover, this study explored Class Meeting, Band, Select society, and Penitents’s special feature. Also, the next section studied the mall community, deepened group, and discipline. 많은 교회가 소그룹 운동을 통해 교회의 양적·질적 성장과 부흥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교회의 현실은 지속적으로 성도수가 감소하 고 있다. 존 웨슬리의 소그룹을 통해 현재 한국 교회의 소그룹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우리들교회를 중심으로 진단하여 한국 교회에 올 바른 소그룹 운동을 통한 선교적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 이 논문의 목 적이다. 존 웨슬리의 소그룹의 형성 배경을 다루고 존 웨슬리의 초기 공동체의 특징과 형성을 살펴보고 감리교 운동의 핵심이었던 감리교 공동체인 속회(Class Meeting), 반회(Band), 선발 신도회(Select Society), 참회자반(Penitents)의 각각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소그룹 운동의 롤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들교 회의 소그룹인 목장, 목자모임, 사역자 목장, 치리에 대해 다루었다. 이 를 통해 웨슬리의 소그룹과 우리들교회의 소그룹의 구조를 비교·분석 하였다. 그리고 두 공동체의 죄고백과 평신도 훈련 그리고 사회 참여 활동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 존 웨슬리의 성화론 연구 : 웨슬리 표준 설교집을 중심으로

        김주향 협성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51

        지금까지 필자는 웨슬리의 성화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존 웨슬리의 성화론은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참 된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고,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삶을 위해 올바른 길을 제시한다. 이제 결론 부분에서 필자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 해 보고 웨슬리의 성화론을 간단히 평가하고 전망해 보면서 본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1. 종합 필자는 Ⅱ장에서 웨슬리의 성화론을 위한 신학적 배경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웨슬리의 성화론은 그 신학적 배경을 동방교회의 마카리우스를 통한 복음적 신인 협조설에서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리소스톰과 니사의 그레고리의 영향을 받아 점진적 성화와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교리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어거스틴의 영향으로 웨슬리는 선재적 은총을 발전시켰으며, 알미니우스 주의의 영향으로 복음적 신인 협조설과 은총의 낙관주의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웨슬리는 그의 성화론을 발전시켰다. Ⅲ부 에서는 웨슬리의 개인적 성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웨슬리의 개인적 성화는 크게 내적, 외적성화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특별히 이러한 개인적 성화는 은총의 수단들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은총의 수단들을 통해 우리는 내적, 외적 성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현대를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개인적 성화를 위해 은총의 수단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Ⅳ부 에서는 웨슬리의 사회적 성화에 대하여 웨슬리의 표준 설교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웨슬리의 사회적 성화는 특별히 당시 웨슬리가 처해있는 영국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국 사회에서 사회적 변혁과 성화를 위해 웨슬리는 힘쓰면서 특별히 희년 사상에 관심하게 되었다. 웨슬리의 사회적 성화는 단순히 이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에 더 큰 의미를 두었다. 웨슬리는 특별히 사회적 성화의 실천에 있어 사회 봉사적 차원과 사회 변혁적 차원에서 노력할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웨슬리의 사회적 성화를 되살려 현대 기독교인들이 사회를 변혁하는 것이 바로 오늘을 사는 현대 기독교인들의 몫인 것이다. Ⅴ부 에서는 마지막으로 웨슬리의 우주적 성화에 대해 다루었다. 웨슬리의 우주적 성화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우주적 성화의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웨슬리의 우주적 성화는 인간 개인과 사회의 성화를 넘어 전 피조세계의 성화를 이루는 우주적 성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또한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심각하게 겪고 있는 생태문제와 핵 확산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우주적 성화를 위한 실천적 방법들을 다루었다. 이제 마지막 본 논문의 결론부분으로 이제까지 고찰한 웨슬리의 성화론에 대해 종합해 보고 이에 대한 평가 및 전망을 하게 된다.

      • 존 웨슬리의 성서관에 대한 연구

        이기범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대두되는 성경의 해석을 어떻게 하는가에 있다. 성경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문자적으로, 역사적으로, 신학적으로, 영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경해석사에 있어서 신앙적으로 나 업적적으로 우리에게 귀감이 되는 신앙인이 누구일까 궁리하다. 웨슬리라는 인물을 TH.M에서 3학기에 걸쳐 학업하면서 이 인물에 대한 성경해석학에 궁긍함을 느껴 논문의 제목으로 잡게 되었다. 나는 본 논문에서 어떻게 웨슬리가 성서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배경이 되었던 3가지 요소와 그의 성경해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해석의 사변형, 그리고 성경해석의 결정판인 신약성서주해, 표준설교, 24개 교리신조에 대해. 결론에서 웨슬리성서해석에 대한 특이한 점과 평가, 현대적 적용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 존 웨슬리의 구원론 비판 : 칼빈 신학적 관점에서

        장기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35

        나는 감리교단의 평신도 영성훈련 교재인 “구원의 완성을 향한 순례”라는 책(김홍기 저술)을 통해 존 웨슬리의 구원론을 알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는 장로교와 감리교라는 두 개의 큰 줄기로 이어져오고 있으며 장로교는 칼빈 신학을 통해, 감리교는 웨슬리 신학을 통해 발전되어왔다. 나는 이 두 교파의 신학의 차이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기독교 신학에서 핵심이 되고 있는 구원론에 대하여 두 교파가 어떻게 차이가 나며 이 차이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며 또 이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회의 일반 성도 들에게는 어떻게 설명하고 이해 시켜야하는지의 문제가 신학도 에게는 하나의 중요한 과제가 된다고 생각한다. 웨슬리 구원신학은 “선행 은총론”에 토대를 둔 행위구원론이며 칼빈의 구원신학은 예정론으로서 이신칭의 구원론인바 어느 신학이 더 성경적이며 성도들에게 구원의 확신을 심어줄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한다. 특히 칼빈의 이신칭의론의 관점에서 웨슬리 구원론에 대한 비판과 평가를 하고자 한다. 이 논문 연구를 통해 구원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확실한 구원관을 확립하고자하며 이는 우리의 목회사역과 교회차원에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감리교단의 영성훈련 교재는 구원을 위한 성화의 행동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 100%와 인간의 노력 100%가 되어야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구원의 출발은 믿음으로 되지만, 구원의 완성은 믿음과 행함으로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리믿음이 성숙해지고 완전해지기 위해서 행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풍성한 영성, 보다 성숙한 영성, 보다 완성된 영성을 위해서는 행함이 있는 믿음이 요청된다며 김홍기, 「구원의 완성을 향한 순례(존 웨슬리의 구원론)」(서울:기독교대한감리회 출판국,2011), 113-114 행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오직 믿음과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구원을 강조하는 칼빈의 구원론과 차이를 드러낸다. 따라서 양구원론에 대한 차이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칼빈신학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평가하려한다. 칼빈과 웨슬리는 2백년이라는 차이를 가진 시대적 배경이 다른 신학자들이다. 16세기 종교개혁자인 칼빈의 하나님 중심의 구원관과 18세기 영국국교회의 개혁에 노력한 웨슬리의 알미니안적 구원관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님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진리는 교회의 역사를 통해 진리로 지켜져 왔다. 어거스틴도 펠라기우스의 주장에 반박하여 이 진리를 주장하였으며 루터도 카톨릭 교회의 교리적 부패에 대항하였고 칼빈과 그 계승자들도 알미니안 주의로부터 이 믿음을 지켜왔다. 김명규,“칼빈과 웨슬리의 구원론에대한 이해,” (신학석사학위 논문, 총신대 신학대학원, 2006), 2 그러면 16세기의 칼빈과 18세기의 웨슬리의 구원관이 오늘의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구원관에 입각하여 복음을 전파하여야할지를 새롭게 점검하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 존 웨슬리의 영성이해와 오늘의 영성연구

        이학신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한국교회의 영성은 개인적이고 내면적 영성, 혹은 개인 구원과 기복적 신앙에 치중하여 사회적 영성을 외면한 절름발이의 상태를 노출하고 있다. 참된 복음주의적 신앙은 개인적 영성과 사회적 영성이 조화를 이루며 신앙과 실천이 균형을 이루는 신앙이다. 웨슬리는 기독교인의 성화는 선행의 열매를 맺어야 하고, 그것은 사랑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Ibid., 58. 변화된 개인에게는 즐거움과 행복을 나타내고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생활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는 개 교회 중심의 교회 성장에만 주력하여 교회들이 대형화되고 물량주의와 배금주의의 우상에 빠져 사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성장한 것만큼 이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종교적 열정, 성령에 대한 갈구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웨슬리에 따르면 교회변혁의 또 다른 모습은 성서적 성결( the Scriptural holiness)을 온 땅에 확산시키는 복음주의 운동이다. 한국 감리교회는 교회성장에 커다란 결실을 맺었다. 그리하여 복음주의적 선교열은 100만 신도와 4000교회를 가능케 하였고, 여러 나라에 선교사를 파송하여 복음을 전하게 했다. 이러한 교회의 양적성장은 감리교회의 부흥의 증거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 양적으로 물질적으로 성장하기는 하였으나 사회에서 소외당하는 하층민과 같이하는 민중의 교회가 되지 못하고, 가진 자의 교회가 되어 버렸다. 오늘의 감리교회는 신앙적 열정과 성령에 대한 간구는 강력하나 교세의 확대에 비례하여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 그리고 사회개혁에 대한 열정과 애정은 식어가고 있다. 18세기 영국사회를 변화시킨 웨슬리의 영성을 이어 받은 우리 한국 감리교인들은 이 사회의 그늘진 곳에 가려져 있는 빈곤한 자들에게 그리고, 소외된 자들에게 웨슬리의 개인적 영성을 심어줘야 하겠고, 실천적 삶을 통해 사회적 성결을 목표하였던 그의 모습을 본 받아 사회의 성결과 변화를 추구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