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조달행정의 제도화과정에 관한 연구

        강병태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조직은 환경과의 교호작용을 통하여 생존하고 발전한다. 군사정부에 의하여 경제재건의 기치아래 설립된 조달청도 50년이 넘는 세월 속에서 여러 역경을 이겨내고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다. 업무의 특성 상 조직의 존립에 대한 타당성이 늘 제기되어 왔지만 그 때마다 조달청은 나름대로의 노력과 사회의 여론에 힘입어 생존을 유지하여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조달행정에 대한 연구는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 등의 미시적 분야에만 한정되어 왔지 거시적 분야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제도화 이론에 입각하여 그 문제를 다루고자한다. 제도화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효율성에 관계없이 매우 정교화 된 제도적 환경에 존재하면서 이러한 환경에 동형화 함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정당성을 획득한다고 한다. 이러한 함의에서 조직은 제도화된 환경을 조직의 구조, 기능, 과정에 의례적으로 반영하면서 정당성을 극대화 시키고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제도화를 가져오는 기제(mechanism)에는 억압적(coercive) 기제, 모방적(mimetic) 기제, 규범적(normative) 기제가 있다. 특정의 환경 아래서 이들 기제가 작용하여 입법이나 기술의 변화 또는 시장의 힘에 근거한 '혁신‘이 '습관화’되고 그 습관이 이론화를 거처 ‘객관화’되며, 이익집단의 저항과 지지를 거치면서 제도로 ‘정착화’ 된다. 위와 같은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조달행정의 제도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조달행정에 대한 내외적 압력인 사회경제적 상황, 제도활동, 기제의 작용, 제도의 정착이라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조달행정의 환경에 자리하고 있는 제도활동을 분석하고, 다음에 그 활동을 통하여 산출된 여러 제도와 제도를 부과시키는 기제들에 관하여 분석하며, 세 번째는 어느 제도가 조달행정에 부과되거나 조달청이 스스로 어느 제도를 채택하였을 때 조달청의 기능이 분화되고 그 결과로 조달청의 주요 고객인 정부기관과 기업 그리고 조달청 자신에게 편익을 가져오는 과정과 그에 대한 분석이며, 끝으로 제도의 형성, 확산, 변경, 해체에 대하여 제도활동과 제도에 대하여 나타나는 조달청의 반응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조달청의 창설, 조달업무내용의 체제적 변환, 국내외 조달시장의 변화, 전자정부의 등장이라는 큰 제도적 충격을 전환점으로 하여 조달행정의 시대적 발전을 4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단계는 조달관계법령 등의 제정을 통한 강력한 강압적 기제가 작용하여 중앙조달제도의 확립을 가져왔고, 제2단계는 내자와 외자의 비중 변화에 조달청이 외국의 규범적 사례를 따라 중앙조달을 확대시켰고, 제3단계는 정부투자기관 경영의 자율화, 조달시장의 해외업체에 대한 개방, 지방자치의 실시, 정부구조개혁의 시작이라는 ‘혼란의 시대’로 이의 극복을 위해 모방적 기제가 작용하였고, 제4단계는 초일류 국가건설을 위한 전자정부의 탄생과 더불어 디지털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지원적 강압기제와 규범적 기제가 동시에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또 다른 사실은 제도화의 결과 조직의 효율성 증대가 동반된다는 것이다. 제도화논자들이 비록 사회적 정당성에 주목하고 조직의 효율성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더라도 제도화의 결과 조직의 효율성도 동시에 향상됨이 밝혀졌다. 한편, 최근 들어 행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고객 제1주의는 조달행정에 대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 사회에는 행정은 낭비적이고 비경쟁적인 것의 대명사가 되어 버렸다.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스템도 계속적인 변화를 추구하여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으며, 이러한 압력들은 조달행정에 대하여도 그 존재의 정당성 여부를 현시점에서 다시 묻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조달청은 다시 한번 조직의 내면적 혁신이 필요하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에너지와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엔트로피의 불균형에 따른 요동을 통해 새로운 질서의 소산구조(dissipative structure)를 창출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구성원의 상호조정과 자기규제를 통한 창발성(emergence)과 각 구성원의 고도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An organization survives and prosper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Public Procurement Service (PPS) is the government procurement agency of South Korea and established in 1961 by the then military government under the banner of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n, it has survived various difficulties for nearly fifty years. The necessity of PPS has come under question because of its nature. However PPS has fulfilled its responsibilities and attracted enough public opinion in favor of its existence. So far, studies on procurement administration have focused on microscopic issues such as efficiency improvement, not on macroscopic issues such as overcoming difficulties for survival. Therefore, this paper's thesis is the survival issue on the basis of institutionalization theory. An organization could exist in a highly sophisticated and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regardless of its production efficiency. And it acquires legitimacy and resources required for survival by synchronizing with such environment. Under the circumstances, an organization applies institutional environment model to its structure, function, and process to maximize legitimacy and improve organizational survival chances. There are three mechanisms which bring about such institutionalization: coercive mechanism, mimetic mechanism and normative mechanism. As these mechanisms take into effect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an 'innovation' initiated by law enactment, technology change and market force becomes a 'practice.' The 'practice' becomes a 'norm' when it is equipped with theories and the 'norm' becomes an 'institution' through consultations with interest groups in favor of or against the 'norm.'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theory, this paper sets up an analysis model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This model consists of four analyses on each factor which has prompted changes in procurement administr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activities of institutional actors, operation of mechanisms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The first analysis is about the interaction among institutional actors conducted under the environment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The second one is about the various institutions made by the interaction among institutional actors and the mechanisms which make such institutions exist. The third one is the process in which PPS becomes specialized and gives more benefits to its main contractors -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and PPS itself when an institution is imposed on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PS or PPS adopts the institution. The fourth one is the response of PPS to the institution and institutional actors when the institution is established, spread, changed and dismantled. For such analyses,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SS into four stages chronically: the establishment of PPS, systematic change of services and roles of PPS, changes in local and overseas procurement market and the beginning of e-government. Each development has the institutional impact on PPS. During the first stage, coercive mechanism such as the enactment of public procurement law made the government to establishthe central procurement system. During the second stage, PPS referred to foreign cases of normative mechanismto expand central procurement servic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local and foreign capital. During the third stage, or during 'the age of confusion', PPS underwent various changes: government-invested institutions acquired autonomy, procurement market was open to overseas businesses, the local governments were given autonomy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went through restructuring. To deal with such changes, mimetic mechanism was in force. During the fourth stage, the government adopted e-government system as a part of its efforts to be a world-class country. Therefore, coercive and normative mechanisms were in effect simultaneously to support PPS to be a leader in the digital age. Recently, however,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PS faces another paradigm shift as the concept of administration changes to focus more on a customer-centered approach.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administration is referred to as the symbol of being wasteful and uncompetitive in the society. That means there should be continuous systematic changes for the government to survive ever-changing environment, which poses a question again whether PPS is worth to exist under such circumstances. To answer yes to the question, PPS should undergo internal restructuring. What PPS ought to do is creating a dissipative structure through fluctuation caused by the imbalance between incoming energy and outgoing entropy. And the dissipative system absolutely requires emergence via coordination and self-restriction and intensive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PPS.

      • 영화운동의 제도화와 갈등적 협력 : - 한국독립영화협회 설립 이후 영화운동의 변화

        이미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onflicting views about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film movement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film movement was institutionalized by the mutual demands and needs of the government and the movement and their unique relationship emerges as conflictual cooperation rather than unilateral inclusion or exclusion. With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classified the film movement that entere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s second generation film movement and reveal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dichotomous perspective ab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by discovering actions to achieve the autonomy of the movemen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took pl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effort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embrace the film movement camp in order to establish legitimacy and differentiation of their authority and the internal needs of the film movement camp who needed joint actions for the activation of independent films and the expans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changed environment. During the period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Roh Mu-Hyun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mp achieved many results by building a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around the support systems. The government could obtain the legitimacy of their authority by actively approaching the civil society and building progressive cultural images, while the film movement camp prepared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production, showing, distribution, and education of independent films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independent films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Media Center and Independent Film Theater.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were in conflict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s such as the controversy about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relation to the suspension of classification for independent films and limited showing and the disputes over the Vitality Institute and the Gangseo Media Center. However, their relationship began to change in the Lee Myoung-Bak Administration. After the candlelight rallies, the government adopted exclusion strategies for the film movement camp and reduced or abolished various support policies. The government exercised pressure by changing the Media Center and the Independent Film Theater to public contest. Such exclusion strategies were very contradictory. While the government unfolded support policies for independent films under the principle of choice and concentration, they tried to replace the people comprising the film movement camp with conservative people who were suitable to the needs of the government. Against such moves by the government, the film movement camp reconstructed their film festival based on their accumulated capabilities and autonomy, and turned the Media Center and the Independent Film Theater into private organizations, and built social solidarity through films. Such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nflictual cooperation, and shows the coexistence of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e cause of the repetition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n be found in the setting of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democratizatio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must form the relationship of check and solidarity, and the social movement which is the core element of a civil society undergoes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utilizes various embrac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movement in their effort to take exclusive possession of the knowledge that the civil society has, in order to attain legitimacy of governance. Furthermore, the social movement makes strategic selections to partner or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so as to achieve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the movement. The leaders of the film movement succeeded in expanding the territory of the movement by reflecting the issues of independent films in policie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exercising influence such as elicit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Even when the government exercised institutional selectivity and the pressure of exclusion and inclusion, the strategic selections of the film movement camp did not lead to compromise to the simple issue of the survival of independent films or complete exclusion from the institution. At least in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the film movement did not lose its identity nor changed their strategies in contradiction to its identity and has made steady and persistent effort to keep the mobility of the movement. The argument that institutionalization reduces the autonomy or mobility of the movement is valid to some degree, but it has limitation in inquir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unless the overall process of practicing the movement and the capabilities of the movemen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film movement is keeping its autonomy and mobility in its own way even in its relationship of conflictual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 한국 정당의 제도화 수준에 관한 비교 연구 : S. Huntington의 정당의 제도화 이론을 중심으로

        최충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6

        It is unquestionable that political party is an essential institution in democratic system. Along with the growing civil society after the June Resistance in 1987, politics in Korea has significantly matured democracy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ach party. Generally, when parties fail to fulfill their function as political representatives, realization of democracy becomes impossible. Party politics in Korea has been lead by power struggles among political powers until recently. Due to such reason,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is thought to have been delayed. Especially, political instability in Korea along with the parties’own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political experience made the political growth impossible. Therefore, party development and party institutionalization is essential in Korea. When powerful parties become institutionalized, private interests can be institutionalized as public relations. When parties promote political growth and fulfill their original function and role, party politics can be run stably and healthily. In other words, party politics can be institutionalized on a firm foundation as parties’ function and role are fulfilled smoothly. In our country, countless parties were founded and disappeared after our country’s independence. Until now, no party is thought to have reached a stable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Even though our economy has grown so much to support political growth, many people still think that political growth is a long way to go. Democracy means party politics, and modern countries are appearing as party countries. In this aspect, it is an important matter in Korea how political growth has been achieved and being achieved in the aspect of party institutionalization. Apart from much interest and desire about growth, Korean party politics has not brought visible growth until now. While parties do not fulfill their role by neglecting people, making factions according to mere interest, creating divisions,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 with business circle and so forth, most scholars think that party institutionalization is at a very low level. In this aspect, the research introduced S. Huntington’s party institutionalization theory, studied and compared the adaptability, complexity, autonomy and cohesion of parti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s from Park Jung Hee government to Noh Moo Hyun government and tried to find the way to institutionalize Korean parties. It can be summaries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party adaptability, our country’s parties were dismantled or reorganized whenever there was regime change and thus could not exist for a long time. Because of such reason, political legitimacy by election could not be formed or politics by rationality could not be conducted. Especially, the divisions and integrations before and after each election reinforced the instability of party institution and the abnormal aspect of party politics and made people distrust parties even more.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 and improve the adaptability, Korean political idea that fits people’s emotion and environment must be established first. Each party must come up with ideals and theories that can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Korean society in order to improve their adaptability. They must remember that it is the way towards party institutionalization. Second, popularization of party organization is necessary in the aspect of party complexity. Since most parties do not have enough voluntary party members at the momen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lay stable foundations by securing real members. In order to secure real members, each party needs to give them certain rights. First of all, each party can give its members the voting right and eligibility for election for central and local party staffs and delegations who can attend city and province delegations meeting as well as the right to summon them. Korean parties both ruling parties and opposition parties in history have shown centralism. The organization between central party and local party must change to independent (parallel) relation rather than horizontal rela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and role of central party and local party must be readjusted. Furthermore, a few elite members and reinforcement of member education are necessary. It is efficient that a party trains its members and runs the party through a few elite members while letting previously educated party members work during election. Building substructures will contribute to relieve social conflicts by building a sense of belonging among voters. Currently, most parties both the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ies did not institutionalize participation from below but are being run by central parties. However,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control system of party organiz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expand participation. In order to escape from downward and one-way communication, practical campaign system should come first in all areas. Third, for the issue of nomination right in the aspect of party autonomy, it wa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end of 3 Kims politics in the 18th general election was the turning point for Korean politics to move from boss-centered local competition to practical paradigm. In such improvement of nomination system, the shift from the downward nomination method to the upward nomination method played an important role. Apartment from the nomination problems of other parties in history, the upward nomination system introduced in the 16thgeneral election allowed candidates survive without spending too much money. Assemblymen who are elected depending on internet or various media can draft or decide policies autonomously without being controlled by central parties because their nominations were not downward nominations by central parties, closed room nominations or fraction nominations. Each party should establish such upward nomination system or revise currently operating party laws or regulations. In spite of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gradual development of such nomination system, extensive change is necessary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nomination system that is still lurking in each party. In order to mak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nomination transparen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nomination must be conducted before district nomination for enough examination so that voters can punish parties during actual election if problems are found i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nomination after examining candidates. In addition, parties need to revise their party laws and regulations so that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finish nomination process 1 month before proportional representative registration and party members or delegations confirm the nomination through voting. Fourth, for the party fractions in the aspect of party cohesion, it is undeniable that they have had negative effects by creating divisions in parties and focusing on the interest of fractions rather than the interest of the country, people and parties. However, it should be evaluated as positive that fractions in opposition parties resisted against authoritative regime, conducted democratic movement, created civil government and so forth. Of course, divisions caused by fraction bosses’endless political ambitions have worked as negative function that retreats Korean politics. As a method of escaping from such division and improving cohesion, each party’s laws and regulations must be revised first so that fraction leaders or related people can be restricted. In addition, rather than exclusive attitude towards fraction, studies must be conducted about fractions in a positive and functional way in order to predict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and future political direction.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정당은 필수불가결한 정치제도임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정치는 성숙해져 가는 시민사회의 발전과 함께 일천하지만 각 정당들의 제도화에 편승해 이전보다는 괄목할 정도의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왔다. 일반적으로 정당이 정치적 대표체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민주주의의 실현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까지 한국의 정당정치는 정치세력들 간의 권력투쟁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며, 이 같은 이유들로 인해 한국정당의 제도화는 저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일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의 정치적 불안정은 정당의 정치적 경험 미숙 등 정당자체가 지니고 있는 각종 병리현상들로 인해 더 이상 정치발전을 이룩할 수 없었으며, 이 같은 이유들로 인해 한국에서의 정당발전 즉, 정당의 제도화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강력한 정당이 제도화되면 산재해 있는 사적인 이해관계를 공적인 관계로 제도화할 수 있게 된다. 정당이 정치발전을 촉진시키고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게 될 때 정당정치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건실하게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정당의 역할과 기능 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짐으로 인해 정당정치가 보다 확고한 기반위에서 제도화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해방이후 수많은 정당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해 왔으며, 현재까지 어느 정당도 안정적인 제도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정치발전을 뒷받침 할 수 있을 정도로 경제가 성장하고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발전은 아직까지 요원한 상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민주정치는 정당정치를 의미하며 현대국가는 정당국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측면에서 한국에서는 정당제도화 측면에서 정치발전이 어떻게 수행되어 왔으며, 또한 수행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 관심사가 될 수 밖에 없다. 아직까지 한국의 정당정치는 발전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요청과는 달리 가시적인 발전을 가져오지 못했으며, 특히 국민을 도외시하고, 당리당략에 따른 파벌현상, 정당의 이합집산, 정경유착 등으로 인해 정당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정당의 제도화는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대다수 학자들의 평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S. Huntington의 정당제도화 이론을 도입하여 과거 박정희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 까지 한국정치사에 나타난 정당의 적응성과 복합성, 자율성과 응집성 등 정당제도화 측면을 고찰하고, 비교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 정당의 제도화 방안들을 모색해 보았는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당의 적응성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정당은 정권이 교체될 때 마다 해체되거나 개편되어 오랜 기간동안 존속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선거에 의한 정치적 정통성이 형성되기가 어려웠고, 합리성에 입각한 정치를 행할 수가 없었다. 특히, 선거를 전후하여 빈발하는 분열과 통합과정은 정당제도의 불안정성과 정당정치의 비정상적인 측면을 강화시켜 국민들에게 정당에 대한 불신감을 가중시켜온 점, 즉 경직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경직성에서 탈피해 적응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적 정서와 환경에 맞는 한국적 정치이념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각 정당들은 한국사회가 당면해 있는 각종 난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이상과 이론을 정립하는 것이 정당의 적응성을 제고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정당제도화의 첩경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둘째, 정당의 복합성 측면에서 정당조직의 대중화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정당의 경우 자발적인 진성당원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진성당원 확보를 통한 정당의 안정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진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보다 많은 진성당원을 확보하기 위해 이들에게 일정한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우선 정당의 당원들에게는 중앙당과 지방당의 선출직 당직자와 전국 또는 시·도 대의원 대회에 참석하게 될 대의원에 대한 선거권과 피선거권 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소환권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역대 한국 정당들은 여야를 불문하고 중앙집권체제를 보여주고 있다. 중앙당과 지방조직 간의 계선조직은 상의하달 관계가 아닌 상호 독립적(병렬적)인 관계로 변모되어야 한다. 또한 중앙당과 지방조직간의 기능과 역할배분 역시 재조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당원의 소수정예화와 함께 당원교육의 강화도 필요하다. 정당이 당원을 교육하고 평상시에는 소수정예화된 당원들로 당을 운영하면서 선거시에는 미리 교육을 받은 당원들로 하여금 활동을 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인 당 운영이 될 수 있겠다. 정당의 하부기관 구축은 유권자들이 소속감을 통해 사회갈등을 완화시키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현재 각 정당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아래로부터의 참여를 제도화하지 못한 채 소수의 지도부에 의해 중앙집중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참여의 확대를 위해서는 당 조직의 민주적 통제장치의 제도화가 필수적이다. 하향적이고 일방통행식인 의사소통의 관행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당직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실질적인 경선제도의 도입이 선결조건이다. 셋째, 정당의 자율성 측면에서 살펴 본 공천권 문제에 있어서는 제18대 총선에서는 3김 정치의 종언은 한국 정치가 보스 중심의 지역구도 대결에서 실용으로 패러다임이 이동하는 전환점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이러한 공천제도의 향상에는 기존의 하향식 공천방식에서 상향식 공천방식으로의 전환이 커다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역대 정당의 공천문제와는 달리 제16대 총선에서부터 도입된 상향식 공천제도는 돈이 많이 들지 않는 경선에서 독자적으로 생존하고 특히 인터넷과 각종 미디어에 의존하여 당선된 국회의원들은 중앙당에 의한 하향식 공천이거나 밀실공천, 계파공천이 아니기 때문에 의정활동에 있어서도 중앙당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율적으로 소신있는 정책입안과 정책결정을 할 수 있는 정치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각 정당들은 이러한 상향식 공천제도를 상설화시키거나 또는 현재 운영중인 당헌·당규를 개정해 이를 보완해 나가야 하겠다. 이 같은 공천제도의 점진적인 발전에 대한 호평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각 정당에 잠복하고 있는 비례대표 공천제도에 대한 대대적인 손질이 필요하다. 비례대표의 공천제도 투명화를 위해서는 비례대표 공천을 지역구 공천보다 우선 실시하여 충분한 검증을 마친 뒤, 후보검증 결과 비례대표 공천에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이를 유권자들이 선거시에 정당투표를 통해 해당 당을 응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비례대표자에 대해서는 비례대표 등록 1개월 전 까지는 공천절차를 마무리한 뒤 이를 당원이나 대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공천을 확정하도록 하는 정당들의 당헌·당규의 개정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정당의 응집성 측면에서 고찰한 정당 내 파벌은 정당 내 분파성을 조장하고, 국가나 민족 그리고 정당의 이익에 우선을 두고 자기가 속한 파벌의 이익에 초점을 맞추어 커다란 역기능으로 작용해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현실이다. 하지만, 야당의 파벌은 결과적으로 권위주의 정권에 대항하여 민주화 투쟁을 전개하고 문민정권을 탄생시킨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물론 파벌 보스들의 끝없는 정치적인 야망으로 인해 야기된 파벌들의 이합집산 등은 한국 정치를 한 단계 후퇴시키는 역기능으로 작용해 왔다. 이 같은 정당의 분열성에서 탈피해 응집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파벌주동자 또는 해당자를 규제할 수 있는 각 정당의 당헌·당규의 제정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아울러 파벌에 대한 배타적인 자세 보다는 현재의 정치상황과 미래의 정치적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긍정적이고 순기능적인 측면에서 파벌에 대한 연구와 활동이 전개되어야 하겠다.

      • 간병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김철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사회구조의 변화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증가, 노령화의 급속한 진전 등으로 인하여 가족 중 환자의 발생시 간병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가족문제를 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간병인의 사적고용으로 인한 간병비의 부담은 결국 개인의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0년 5월부터 간병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병서비스 제도화를 통한 보호자 없는 병원에 대하여 일반 병원에서 현실적으로 사적 고용을 통해 간병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간병인의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정책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4월 5일부터 2010년 5월 17일 사이에 서울과 경기지역 11개병원에서 362명(설문조사 355명, 면담조사 7명)의 병원간병인(노인요양병원, 무료봉사 간병인제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조사대상 간병인 중 60.8%가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화에 반대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대이유로는 병원이나 건강보험공단의 간섭(38.9%), 보수의 감소(37.0%)를 이유로 들었다. 제도화시 실직에 대한 우려로 반대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간병인들의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 자체에 대한 의견은 제도화 찬성자의 56.2%와 반대자의 34.4%가 좋은 제도로서 현실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셋째, 보호자 없는 병원시 적정한 근무시간으로 8~12시간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시 적정한 간병인 근무형태는 과반수 이상이 8시간 교대근무를 원하고 있었다. 다만 교대 근무시 출퇴근 시간소요 및 교통비 발생으로 인하여 오히려 교대근무를 선호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다섯째, 적정한 간병비용으로는 5만원에서 7만원 사이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화를 위해서는 간병인을 8시간 교대근무형태로 하되 보수는 중증도에 따라 일당 5만~7만 사이로 세분화하고, 간병인 1인당 1~2명의 환자를 담당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의 실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수가의 현실화를 통한 간호사의 확보로 보호자 없는 병원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간호조무사나 의료기사, 사회복지사 등을 이용하여 간병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셋째, 간병인을 제도화하는 방법이다. 간병비용에 대한 수가체계를 만들고 간병인을 병원에서 직접고용하거나 도급계약을 통해 공급하고 비용을 병원비에 포함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며, 중장년이상 고령자의 실업률 감소에도 크게 기여 할 것이다. 넷째, 전국단위의 간병인협회를 조직하고 협회를 통하여 교육과 자격관리, 간병인의 질 향상, 사회인식 및 처우개선, 산재보험적용 등의 문제를 해결하며, 독일처럼 거주지 중심의 간병인 공급체계를 구축하여 교대근무로 인한 교통비 및 출퇴근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다섯째, 간병인 업무영역을 명확히 하여 다툼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호자 없는 병원제도화는 환자중심에서 가장 좋은 대안과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제도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 인권의 제도화로서 정책 확산 및 역확산에 관한 연구 : 고독사 예방 법률 및 조례를 중심으로

        박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As the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economic polarization, poverty and unemployment intensified, the phenomenon of Lonely deaths, which has been previously regarded as an exclusive property of Japanese society, has emerged as an critical social problem in Korea. Institutions and policies on lonely deaths and public funeral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both life and death, and this study takes a perspective that diffusion of policy is regarded as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One ordinance on public funerals adopted by a single government in 2007 spread to several local government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irteen years later as a national standard the Law[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s] was enacted, then regional diffusion of the remainder appeared again. This study defined such a process of diffusing from lower to higher levels of governments and re-diffusing to lower levels as ‘Reverse-Diffusion of Policy', and analyzed in various ways not only the determinants and mechanisms of reverse-diffusion, but also the patterns of diffusion and the flow of institutionalization level over time. First,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reverse-diffusion of policy is Berry and Berry’s (1990) unified model, which includes internal determinants and external factors for explaining the diffusion, and EHA(Event History Analysis) was used as a methodology including Panel Logit Model,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Cumulative frequency graphs, Kaplan-Meier analysis, and Diffusion Maps were also used to visualize the pattern of adoption or diffusion over time. The scope of the targets is the entire local governments of Korea, including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226 basic local governments, and the period of analysis is from 2007 to 2021. In addition, considering the nature of survival data, both balanced and unbalanced panel data were construct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Panel Logit Model showed that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s, poverty rat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nfluence significantly adoption of policies on lonely deaths regardless of time factor, whereas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drew on the effect of community identity, election period, and external factors. To sum up the overall results, the determinants to influence adoption of the lonely death ordinances are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s, ratio of elderly people, inter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ratio and poverty rates in substantial dimension, the political capacity of leaders of local governments in human dimension, and community identity in cultural dimension. Second,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patterns of adoption(/diffusion) vary depending on time and type of ordinances. Namely, early in the diffusion process adoptions occur relatively infrequently, then the rate of adoption increases rapidly af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ccepted the ordinances,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different patterns of adoption were observed: acceleration(type1), convergence(type2), and maintenance(type3). The survival curves conducted at the level of region supported the phenomena of upward diffusion from basic local governments to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horizontal diffusion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ed the diffusion mech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rationality and normative legitimacy, analyzed it with ‘timing’ and ‘speed’, and drew a comprehensive conclusion wit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concerning the flow of institutionalization level. Mechanisms of diffusion such as learning, imitation(/emulation), competition, and coercion appeared simultaneously at each stage of diffusion process, and especially, learning worked in the entire stages of the process.  Through these multilayered analyses, the phenomena, mechanisms, patterns of ‘Reverse-Diffusion of Policy' wer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adoption of policy may depend on the level of regions and the type of ordinances, and also the pattern of diffusion may vary by the scope of target groups, the timing of the diffusion,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Second, it seems to be appropriate to use unbalanced (panel) data rather than balanced one for Logit analysis of survival data. Third, as a method of analysis for adoption of policies, Logit and Cox model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but each of them can not be completely irreplaceable, thus be conceived of as a ‘partial' tool for analysis.  Also, as a catalyst for reverse-diffusion of policy,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 as an incentive for ideas of basic local governments. In turn, using the concept of vertical diffusion pressure it should be allowed to have a right to request guideline for such policies against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one belongs to. Also, the institution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 national standards need to be more stricter than those of local governments in specificity and clarity as leader’s exampl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a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leaders of local governments for an exchange of ideas on adoption of polic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orientation for lonely deaths should be human dignity and universal protection for both life and death. Also, considering that community identity was deriv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adoption of policies on lonely deaths, it should be developed as social capital based on civic participation and trust. Given that the occurrence of lonely deaths is essentially related to the family disintegration and social isolation, it is suggested for governments support family stability, guarantee community care, and take ultimate responsibility. Above all, it is much important to classify the target group of policies on lonely deaths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criteria. Finally, as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iffusion and reverse-diffusion of policies has become more important, build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governmen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s or policies on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조례와 국가의 법률의 확산 현상이 제도화의 과정이라고 보는 관점에서 고독사 예방에 관한 조례와 법률의 역확산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사회에서 1인가구의 증가와 경제적 양극화, 빈곤과 실업 등의 상황 속에서 가족해체와 사회적 고립이 심화되면서, 종래 일본 사회의 문제로만 치부되던 고독사 현상이 한국에서도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예방하고 보호하기 위한 고독사 예방 조례들은 삶과 죽음에 대한 근원적인 인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삶뿐만 아니라 죽음에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관계로부터 단절된 채 홀로 사망한 후에야 발견된 외로운 죽음(lonely deaths)에 대해서는 국가와 사회가 보호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2007년 최초로 제정된 공영장례 조례는 기초 및 광역자치단체들에 확산되어 서울시의 조례 제정 이후, 국가 차원에서는 2020년에야 「고독사예방법」이 제정되었다. 이후 법률과 유사한 조례들이 지방수준에서 재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기초자치단체와 같은 하위정부에서부터 광역자치단체 및 국가와 같은 상위수준으로 확산되어 이를 기점으로 지방수준으로 재확산된 현상을 ‘정책 역확산(Reverse-Diffusion of Policy)’이라 정의하고,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산기제, 시간 흐름에 따른 확산의 양상과 제도화 수준의 변화에 대하여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정책 역확산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확산요인을 포함하는 Berry & Berry(1990)의 통합모형(unified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방법론으로는 사건사 분석(EHA)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례채택여부라는 이항변수(binary variable)를 종속변수로 한 패널로짓모형, 이항변수 및 결정시간(time)까지 고려한 Cox비례위험모형, 도입결정시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시간 흐름에 따라 확산의 양태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누적빈도 그래프와 Kaplan-Meier 생존곡선 및 확산지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의 범위는 17개 광역자치단체와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포함한 전체 지방자치단체이며, 공영장례 조례가 처음 제정된 2007년부터 2021년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한다. 또한 생존자료에 대한 분석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균형패널 데이터와 불균형패널 데이터를 모두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자치단체들이 조례를 유형별로 채택하여 발생하는 분석상의 오류를 방지하고 전체 제정조례의 사례를 분석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각 자치단체에 조례의 유형수를 곱하는 방식으로 전체 분석대상(총 729개)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자료가 연도별 패널데이터에 해당하므로 분석모형의 설정을 위해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을 시행하였으며, 그에 따라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분석모형으로 삼았다. 이산시간 사건사 분석에 있어서 시간의존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로짓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LOWESS 방법을 통해 시간변수를 모형에 포함하였으며, Cox비례위험모형에서는 시간의존 공변량을 포함한 Cox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도입결정기간에 대한 선형회귀모형에는 강건성(robust) 표준오차를 적용하여 분석상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모형들을 통한 분석결과, 먼저 패널로짓모형에서는 균형패널과 불균형패널 모두에서 1인가구비율 및 1인가구율과 빈곤율의 상호작용항이 시간변수와 관계없이 조례채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비율은 시간변수를 고려할 경우 불균형패널에서만 유의하였다. Cox비례위험모형을 통한 분석결과에서는 로짓모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외부적 확산 요인과 단체장의 정치적 역량, 공동체성, 선거시기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노인비율은 채택률을 오히려 감소시킨 점에서 로짓분석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지역수준별 분석에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수평적, 수직적 확산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과 달리, 광역자치단체는 1인가구비율, 자살률, 빈곤율 등의 실질적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재정적 여력이 생길 때 조례채택을 증가시키는 반면, 광역의 경우에는 다른 부분에 할애한다는 차이도 나타났다. 조례유형에 따라서는 확산이 가속화되거나 수렴이 나타나거나 일정한 속도가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입결정기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에서는 1인가구비율이 빈곤율과 결합할 경우(상호작용항)와 단체장의 정치적 역량, 진보적 성향, 공동체성 요인이 조례도입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법률영향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한하였다. 시간변수를 고려할 경우에는 단체장 성향과 재정자립도가 도입결정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모형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독사 조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질적 문제 측면에서 1인가구비율, 노인비율, 1인가구율과 빈곤율의 결합, 인적 측면에서 단체장의 정치적 역량, 문화적 측면에서 공동체성으로 압축된다. 분석모형으로서 패널로짓모형과 콕스모형은 실질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도출에 각각 장점이 있지만, 시간변수와 구분여건에 따른 취약성도 나타냈다. 한편, 시간에 따른 확산의 양상은 초기에는 완만한 속도로 확산되다가 서울시 조례 후 급격히 확산되었고, 법률 제정(2020) 후에는 조례 유형에 따라 가속화, 수렴, 일정한 속도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역수준별 생존곡선을 통해서는 확산의 양태와 함께 기초자치단체에서 광역자치단체로의 상향확산과 광역간 수평확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정부간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제를 합리성 차원과 규범적 정당성 차원에서 설명하면서, 확산 과정(단계)에 따라 ‘시기’와 ‘속도’를 구별하여 확산기제를 분석하고, 이를 제도화 분석의 결과와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 모방과 경쟁, 강압 등의 확산기제는 초기, 후기, 법률제정 이후의 각 단계에서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학습 기제는 확산의 전 과정에서 작용하였다. 이러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고독사 조례의 확산이 기초자치단체로부터 기초 및 광역자치단체로 이루어지고 국가 수준의 고독사예방법 제정 후 이를 기점으로 나머지 지역들의 조례 채택을 촉진하는 ‘정책 역확산’ 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확산 과정에 있어서 제도화 수준의 변화를 복지제도의 규범적 기준에 따른 질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초기와 후기, 서울시 조례 및 법률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고독사예방법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서울시 공영장례 및 고독사 예방 조례 역시 다른 초기와 후기 조례들에 비해 규범적 제도화 수준이 높았다. 초기와 후기 조례 간에는 모방과 경쟁이, 이들과 서울시 조례 및 법률 간에는 학습 기제가, 법률 이후의 조례에서는 모방 및 강압 기제가 나타난 반면, 미채택지역은 내부적 제약요인에 의해 경쟁과 모방의 장(field)에 진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도화 분석을 통해서도 모방과 경쟁-학습-모방 및 강압이라는 역확산 기제가 설명되었다. 이와 같은 역확산 과정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발견과 함의가 도출되었다. 지역수준과 조례유형에 따라 확산의 영향 요인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제도의 대상범위, 확산시점, 내·외부적 특성에 따라 확산 양태도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생존자료에 대한 로짓분석에는 균형자료보다 불균형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확산연구의 분석모형으로서 로짓모형과 콕스모형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면서 완전히 대체될 수 없는 ‘부분적인’ 분석도구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역확산의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는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재정적 여력만 확보된다면 인권·복지적 조례 제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크므로 중앙정부가 학습할만한 제도적 사례를 기초자치단체에서 발굴한 경우에는 그 아이디어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초자치단체가 이러한 조례를 제정할 경우에는 관할 광역자치단체에게 가이드라인을 요구할 권리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광역자치단체가 상향적 압력에 의해 제도를 마련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시나 국가적 수준의 제도는 타 지역에게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므로 다른 지방정부보다 법령상의 구체성과 명확성을 더욱 엄격히 담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간 확산에 있어서 단체장간 네트워크나 학습의 장을 마련하여 아이디어의 교류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고독사에 대한 정책적 지향은 인간의 존엄성 실현과 보편적 보호여야 하며, 이는 삶과 죽음 모두에 대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고독사 위험에 처한 자를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정책과 심리적·정서적 지원이 이루어지는 한편, 존엄한 죽음을 위해 장례 지원에 추모의식을 갖추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독사와 관련한 인권 보호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법령상 명확성과 구체성을 갖추어야 하고, 대상범위의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취약성 차원의 결합에 따른 고독사 정책대상의 구분을 제시하였다. 한편, 고독사에 대한 제도 형성에 공동체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된 바, 시민의식과 참여 및 신뢰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의 제고로 나아갈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독사가 본질적으로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단절로부터 나온 문제라는 점에서 국가는 가족의 안정성 확보를 지원하되, 가족에 의한 돌봄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공동체의 돌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방정부와 국가가 제도와 복지서비스를 통해 최종적 책임을 지도록 하는 중층적 보호체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권보호 분야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은 보다 중요해진 바 중앙정부와의 순환적 관계를 통해 정책적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보편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의 확산에 관한 연구로서, 고독사 예방 조례와 법률의 역확산 과정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화 과정이라고 보는 관점에 있다.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서의 인권을 보호할 국가의 의무는 국민의 천부적 인권과 사회계약적 관점에 근거하고 있다고 할 때, 고독사라는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개인의 존엄한 삶(生)과 죽음(死)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복지국가의 원리에 기반한 사회적 보호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 현상 : 승진에 대한 교원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신범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research aims to discover how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which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50 years, is being de-institutionalized and discover its meaning. Also,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various factors that are currently promoting the de-recogni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by reconstructing the "Empirical predictors of deinstitutionalization" presented by Oliver (1992)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itable for the school organization. To this end, it was based on the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and deinstitutionalization theory, which put emphasis on ‘culture, symbol, meaning’ of the system, and conducted qualitative case studies on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eacher promotion system’ with a focus on the perception in the promotion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institutionalizing of teacher promotion system has been emerging at the level of actor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nd contained various meanings and symbols. To be specific, du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represented by ‘work-life balance’ for an example, actors are trying to interpret the meaning of promotion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ast. This means that the promotion itself, not the promotion system, is being de-institutionalized. In school organizations, restructuring of power was initiated due to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which changed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led to the polarization of work. This symbolizes that organizational practices are being re-institutionalized in a different way than in the past. At the system level, a re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fairness of the system was being made, but contradictory perceptions were found simultaneously that teachers want a change strongly but at the same time they resist it. Such teachers’ perception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ontains both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system's change. Seco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was being promoted in combin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Inside the school, the increased diversity of school faculty members, the crisis of reduced performance, changes in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he decline of teachers’ authority has been facilitat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Outside the school, the pressure on innovation, changes in government regulations, changes in social values and unpredictable external events were the factors. They were not acting as independent factors for a particular phenomenon, but as a combination of mutual influ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hanges in teachers’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hanges are increasing the possible spread of de-institutionalization. The system which is currently operating was established in 1964 and has continued without a change in a big picture. This may be part of the stability or resilience of the system, but it has a gap with Korean society, which aims to transform itself into a future school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fore, there are growing calls from all parts of society, including teachers, to reform the system of appointing principals as a fundamental way of school innovation. That is,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claiming a breakthrough in teacher promotion system. Moreover, as researchers reveal, signs that the current system could be replaced or switched are being presented everywhere. The controversy over the introduction of the principal academy by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attempt to introduce an elective appointment system by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are a case in point. These changes are related to political pressure factors, which are affected by changes in an interest and influential forces that supported the existing system. In the end, teachers may consider a new means of promotion to survive or protect their interests. Also, systemic uncertainty in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which transcends ideological debate over the legitimacy of the system, i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the spread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ith the number of School-Age falling by 38 percent (3.2 million people) within 30 years, 54 percent of local government area would have entered the process of disappearance – 34% is a danger area and 29% is a special alert area. Accordingly, if merging of schools is carried out, the chances to raise position become slender. As the red flag for teachers' promotion is linked to the merging of school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people, the instrumental value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can b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nd, the reduction in opportunities will result in deinstitutionalization. However, changed social perception on teachers seen as a fall of authority can act as an inertial force that delays or prevents de-institutionalization. Teachers might seek promotion as a way of pursuing job security in society that teachers devalue themselves as emotional labor. This could serve as a major factor in delaying and obstructing the deregul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Seco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is being promoted in a complex and simultaneous manner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among other things,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re the main factor. Oliver (199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factors that promote deinstitutionalization, saying that certain organizations have a decisive influence in abandoning or rejecting institutionalized traditions. The study also confirmed this. As early mentioned, pursuit of work-life balance was a critical factor in promot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In fact, the de-institutionalization caused by the Work and Life Balance phenomenon was not limited to schools, but to the current society as a whole. In addition, in the past, teachers’ status were not as high as today and standards of welfare were inferior to other jobs, so they wanted to realize their desire for promotion and further self-realization. In recent years, however, teachers tend to b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s, not only because teachers' compensation exceeds the OECD average, but also because of better job conditions, such as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lso, over the past decade, teachers have consistently ranked at the top of popular professions, raising social awareness on teaching. This indicates that the perspective or motivation of seeing promotions can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context than in the past. As research suggests,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take promotion as merely a matter of individual choice, not as a structure that a person would challenge or give up depending on one’s ability or effort any longer. This is also the result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teaching jobs, and low-skilled teachers, who accept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fastest, showed a more radical form of de-institutionalization. Thir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is likely to be changed in a gradual manner in the future because an entropy pressures and an inertial pressures counteract. The inertia pressure to keep the system and the unpredictable pressure to change the system both stem from the teacher's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actors of the system, is a fundamental force to maintain and change the system.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emphasizes, among other things, the importance of super-personal units of analysi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simple sum of individual actions (DiMaggio & Powell, 1991: 8). The teacher's perception on institutional changes in this study was clearly at odds. The sides seeking to change the system and those wanting to maintain it were in a tight race, and the two sides differed from the basic point of view of the system. The perspectives were clearly shown that teachers’ promotion system is a "growth tool" to help teachers grow, that teacher promotion system allows teachers to receive a kind of compensation by means of promotions instead of solving problems that inevitably occur in the management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eachers’ societies, and finally that it’s a "control measure" to control and standardize teachers at the national level. As Offe(1996:208) put it, once formed institution and the view of recognizing it strongly influences people’s values and norms, restricting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members themselves. After all, the way members interpret the system is also a force to solidify the system and, on the other hand, can act as a fundamental factor in de-institutionalizing of the system. Such a confrontation of perception and power is likely to lead to internal and gradual changes in the system, rather than a cut-off and radical change in the future. Fourth, the more widespread deinstitutionalization in school organizations could create disparate organizational order and climate among school organizations. A typical example of this study, A Elementary School, had difficulties in school management due to job avoidance and problems with job assignment. The majority of the members did not give much meaning to the various additional points afforded by the promotion system and thus did not properly trigger motivation for their duties. On the other hand, the competition to take on jobs that can be appointed or given extra points at B Elementary School has been intense every year. In the process, we could confirm the continuing power of the principal, who has traditionally shown the face of the powerful. Meanwhile, B Elementary School has seen a change in the tradition of caring for senior citizens and giving up to senior citizens, which has been largely attributed to school organizations since the past, apparently triggered by low-skilled teachers' differing interests in the practice of giving extra points for promotion. For example, discord has begun to arise in the interests of actors (teachers) in school organizations. Analysts say that the "winner-take-all" structure of the current promotion system, in which the person who accumulates as many extra points as possible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omes the winner, and the lingering accumulation of promotion TO are combined, thus reevaluating the value of the practice of "give-and-take" to senior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above research,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현재까지 50년 이상 지속되어 온 교원승진제도가 현 시점에 이르러서 어떻게 탈제도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발견하고 그러한 현상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Oliver(1992)가 제시한 ‘탈제도화를 촉진하는 경험적 변수(Empirical predictors of deinstitutionalization)’를 학교 조직에 적합하게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재구성하여 현재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를 촉진하고 있는 요인들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도의 ‘문화, 상징, 의미’ 등을 중요시 하는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관점 및 탈제도화 이론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교원의 승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 현상’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 현상은 행위자, 조직, 제도 수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내포하고 있었다. 워라밸 등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서 행위자들은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승진의 의미를 해석하려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승진제도’의 탈제도화라고 하기보다는 ‘승진’이라는 사회적 행위에 대한 탈제도화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학교 조직에서는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로 인해 조직 내 권력지형의 재구조화가 시작되었으며, 그로 인해서 조직풍토가 달라지고 업무의 양극화 현상 등이 나타났다. 이는 조직의 관행들이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재제도화 되고 있음을 상징한다. 제도 수준에서는 제도의 취지와 공정성에 대한 재해석이 나타나고 있었으나, 교원들은 변화를 강력히 원하면서도 이를 막으려는 모순된 인식이 발견되었다. 이런 교원의 인식은 제도변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는 학교 조직 내부적‧외부적 요인들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촉진되고 있었다. 학교 조직 내부적으로는 학교 교직원 구성의 다양성 증가, 실적 감소의 위기, 기능적 요구의 변화, 교권추락, 제도 운영의 공정성 논란 등이 배경이 되어 탈제도화를 촉진하고 있었다. 학교 조직 외부적으로는 혁신 압력의 증가, 정부 규제의 변화,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 예측불허의 외부적 사건 발생 등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특정 현상에 대해 독립적인 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간 영향을 미치면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의 인식 변화 및 환경적 변화는 향후 탈제도화의 확산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행 제도는 앞서 밝힌 것처럼 1964년에 제정되어 큰 틀에서 변화 없이 지속되어 왔다. 이는 현 제도의 안정성이나 탄력성을 보여주는 부분일 수도 있겠으나,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를 통해 미래학교로 전환을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지향점과는 간극이 크다. 학교를 바꾸기 위한 근본적 혁신 작업으로써 교장 임용 제도를 개혁하자는 목소리가 나날이 확산되고 있다. 즉 교원승진제도를 바꾸려는 혁신 압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연구 참여자들이 밝히고 있듯이 현행 제도가 대체되거나 전환될 수 있다는 시그널이 곳곳에 나타나고 있는 요즘이다. 경기도교육청의 교장아카데미 도입 논란이나 전라북도교육청의 선출보직제 도입 시도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들은 탈제도화를 유발하는 정치적 압력 요인에 해당하는데 이는 기존의 제도를 지탱하던 이해관계나 근본 세력이 변화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결국 교원들은 자신의 이익보호나 생존을 위하여 기존의 방식이 아닌 다른 형태의 수단을 통해 승진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제도의 정당성에 대한 이념적 논쟁을 초월하는 교원승진제도의 제도적 불확실성은 탈제도화의 확산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학령인구는 30년 내에 38%(320만명) 감소하면서, 우리나라 전체 기초지자체 중 소멸위험지역은 34%, 주의 단계지역 29% 도합 53%가 소멸화 과정에 진입하게 된다. 이런 추계에 따라 학교 간 통폐합이 진행된다면 향후 교장 직위에 오를 수 있는 확률은 더욱 희박해진다. 지금도 한계치에 다다른 교원승진 발령의 적체현상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연계되면서 교원승진제도의 도구적 가치는 현격하게 저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제도가 부여하는 기회의 감소는 탈제도화로 귀결될 것이다. 다만 교권의 추락으로 대변되는 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는 탈제도화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는 관성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교원들이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인식을 일종의 감정 노동자로 치부하는 교직사회의 현실에서 ‘직업정 안정성’을 추구하는 행위로써 승진을 추구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를 지연‧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는 학교 조직 내부적‧외부적 요인들에 의해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으로 촉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Oliver(1992)는 탈제도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요인은 특정 조직이 제도화된 전통을 버리거나 거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이른 바 ‘워라밸’ 현상이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를 촉진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었다. 사실 워라밸 현상으로 인해 벌어지는 탈제도화는 학교 조직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 전반에서 고르게 나타나는 양상이었다. 이와 더불어 과거에는 교원들의 보수나 복지 수준이 여타 직종에 비해 열악하고 사회적 지위 역시 높은 편이 아니었기 때문에 교장으로의 승진을 통해 사회적 욕구, 더 나아가 자아실현의 욕구 등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교원의 보수가 OECD 평균을 상회할 뿐만 아니라, 교사 1인당 학생 수 ‧ 학급당 학생 수 등 직무환경도 개선되어 교사를 직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실정이다. 또한 지난 10년 간 꾸준히 교사가 인기 직종 상위권에 등극하는 등 교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높아진 편이다. 이는 승진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동기부여가 과거와는 다른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승진을 더 이상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 여하에 따라 도전하거나 포기하는 구조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개인의 선택 문제로 삼는 경향 이 커지고 있다. 이 역시도 교직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 변화가 만들어낸 결과이며, 특히 사회적 환경 변화를 가장 빠르게 받아들이는 저경력 교사들은 더 급진적인 형태의 탈제도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제도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변형압력(entropy pressures)과 관성압력(inertial pressures)으로 작용하여 대립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점진적인 방식으로 제도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제도를 유지하려고 하는 관성 압력과 제도를 변화시키려는 예측불허의 압력은 양자 모두가 교원의 인식으로부터 비롯된다. 즉 제도의 행위자인 교원의 인식이 곧 제도를 유지하기도 하고 바꾸기도 하는 원천적 힘이다.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무엇보다도 개인행위의 단순한 합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개인적 분석단위(supraindividual units of analysis)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DiMaggio & Powell, 1991: 8). 본 연구에 나타난 제도변화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분명하게 대립했다. 제도변화를 추구하는 측과 제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측이 팽팽하게 맞섰으며, 양측은 제도를 바라보는 기본적인 관점에서부터 차이가 있었다. 교원승진제도가 교원의 성장을 돕는 ‘성장수단’이라고 바라보는 관점, 교직사회의 인사행정의 운영상 부득이하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교원승진제도를 통해 해결하는 대신 승진이라는 일종의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거래수단’이라고 보는 관점, 끝으로 교원을 국가 수준에서 통제하고 규격화되게 만드는 ‘통제수단’으로 바라보는 관점 등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인간이 제도를 만들 뿐만 아니라, 인간 또한 제도에 의해 만들어진다”라는 Offe(1996: 208)의 표현처럼, 일단 형성된 제도와 그것을 인식하는 관점은 사람들의 가치와 규범에 영향을 강력하게 미침으로써 구성원들의 인식과 선호 그 자체를 제약하기도 한다. 결국 구성원들이 제도를 해석하는 방식은 해당 제도를 공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힘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해당 제도가 탈제도화 되는데 근본적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상징한다. 이런 인식의 대립과 힘의 대결로 인해 교원승진제도는 향후 교원승진제도는 단절적이고 급진적인 변화보다는 내부적이고 점진적인 제도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교 조직에서 탈제도화가 보다 확산될 경우 학교 조직간 이질적인 조직 질서와 풍토가 조성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형적인 사례인 A초등학교에서는 보직 기피현상과 업무 분장의 문제로 인해 학교 경영상에 어려움이 발생했다. 구성원들 대다수는 승진제도가 부여하는 각종 가산점에 대해 크게 의미부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절히 직무동기가 유발되지 못했다. 반면에 B초등학교에서는 보직이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업무를 맡기 위한 경쟁이 매년마다 치열하게 벌어졌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으로 권력자의 면모를 보였던 교장의 권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B초등학교에서는 과거부터 대체로 학교조직에서 이어져 오던 경력 중심의 ‘선배부터 챙겨주고’, ‘선배에게 양보하는’ 풍토에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는 저경력 교사들이 승진 가산점 부여 관행에 대한 이해관계를 달리함에 따라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학교 조직 내 행위자(교원) 사이의 이해관계에 불협화음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빠른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가산점을 축적하는 자가 승자가 되는 현행 승진제도의 ‘승자독식’ 구조와 계속되는 승진 TO의 적체현상이 맞물리면서 선배에게 ‘양보’하는 관행의 가치가 재평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교원들의 인식도 다수 존재했다.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로 인해 학교 조직에서 나타나고 있는 업무 양극화 현상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원성과급제도, 다면평가 제도 등 각종 인사제도와 연계되면서 더욱 고착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요 승진 가산점의 부여되는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 승진을 바라보는 관점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음을 두 학교 교원들 모두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사회적,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거부할 수 없는 수준의 제도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인식한 점 등은 제도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교원승진제도의 탈제도화 현상과 관련된 정책적 제언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탈제도화(Deinstitutionalization), 교원승진제도, 제도 변화, 교원정책, 사회학적 제도주의

      • 사회운동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 독일 녹색당을 중심으로

        이병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사회운동의 제도화 과정을 운동세력의 의회진입 여부가 아닌 가치의 제도적 착근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입장에서 사회운동을 이해하여야만이 비로소 시민사회가 정부를 비롯한 제도정치권에 미치는 민주적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70년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던 독일의 생태운동과 녹색당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운동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운동세력의 제도화 과정을 분석하였고 왜 제도화될 수 있었는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태운동의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특히 제도적 과정에서 생태가치가 독일 사회일반과 제도정치권에 얼마나 확산되었는지를 통해 추적하였고 제도화 과정에서 생태운동세력의 전략 변화가 제도화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 사회운동조직은 제도화 이후에도 운동성을 유지하는가? : 민관협력 노동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이병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비정규직 문제는 주요한 사회문제다. 정규직 고용관계 중심으로 설계되어 왔던 제도들은 고용관계가 다변화되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오롯이 포괄하지 못하며, 노동조합으로 대표되는 노동운동도 전 세계적으로 위기에 직면해있다. 제도와 노동조합 모두에 있어 이중적으로 포괄되지 않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규직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사회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본 작업은 최근 비정규직 노동자 이해대변에 있어 유의미한 성과들을 거두고 있는 민관협력 노동센터가 노동운동이 제도화된 사례라는 점에 주목하고, 민관협력 노동센터들이 제도화 이후 겪는 제약과, 제도화에도 불구하고 운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점들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려는 시도이다. 연구 질문은 두 가지다. 먼저, 민관협력 노동센터가 제도화 이후 저항을 추구하는지, 추구한다면 이들의 저항 양상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했다. 다음으로, 민관협력 노동센터가 제도화 이후 조직화를 추구하는지, 추구한다면 이들의 조직화는 어떠한 양태들로 이뤄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했다. 위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민관협력 노동센터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검토하고, 노동센터 센터장 및 실무자 20명을 심층 면접하여 핵심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민관협력 노동센터의 저항 양상을 ‘포획된 저항’, ‘전략적 저항’, ‘하부정치’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민관협력 노동센터의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 추진 양상을 ‘조직화 방법’, ‘조직화 과정’, ‘조직화 그 이후, 교섭의 장’ 세 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동센터 운동이 제도화를 통해 본디 이루려고 했던 목표인 ‘비정규직 고용‧노동 조건 개선, 비정규직 노동인권보호와 이해대변, 사회복지 확충’ 등을 달성하기에는 ‘민간위탁 형태’, ‘지방정부의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 사업 공식화 도모’,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부합하도록 기존 노동조합의 활동방식 변환 추동’, ‘조직화 이후 노동환경 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적 교섭의 장 마련’ 등 여러 제도적‧구조적 난관이 엄존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가 포착한 민관협력 노동센터의 저항과 조직화 양상들은 선행연구들이 ‘가능성’의 영역으로 남겨두었던, 사회운동조직이 제도와의 접합 이후에도 운동성을 견지할 수 있는 지점들을 실증하고, 사회운동조직의 제도화가 단순한 포섭이나 온건화로 귀결된다고 접근하는 일련의 비판들이 낡은 문제제기일 수 있음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본 연구가 추적한 민관협력 노동센터의 비가시적 저항과 조직화 양상은, 민관협력 노동센터가 임금체불이나 부당해고 시정 등 개인적 이해대변뿐만 아니라 노동자 조직화나 제도 개선 등 비정규직 노동자의 집단적 이해대변에 있어서도 유효한 행위자가 될 수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셋째, 본 연구는 평등 및 민주주의에 초점을 둔 사회정책 변화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사회정책 그 자체뿐만 아니라 사회운동을 비롯한 행위자에 보다 주목함으로써 사회정책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사회정책 입안자, 민관협력 노동센터 상근자, 노동조합 활동가, 세 청중에게 말을 걸며 보내는 초대장이기도 하다. 첫째, 사회정책 입안자에게는 정부 일변도의 제도 설계 및 집행을 넘어 시민사회와 시장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 상호 협력하며 문제를 규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네트워크적 접근이 유효할 수 있음을 조명하고자 했다. 둘째, 민관협력 노동센터 상근자에게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겪는 경험들을 언어로서 이음으로써 더 나은 변화를 모색하는 데 출발점이 되고자 했다. 셋째, 노동조합 활동가들에게는 노동운동의 자원과 역량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민관협력 노동센터와의 전략적 협업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The problem of non-standard workers is a major social problem. The institutions that have been designed around full-time employment relationships are fissured and do not cover non-standard workers, and the labor movement represented by trade unions is also facing a crisis around the worl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on-standard workers who are not double-inclusive in both institutions and trade unions, the problem of non-standard workers has becom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need urgent resolution in modern society. This work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worker center, which has recently mad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non-standard workers, is an exampl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abor movement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both the subversive aspects of the worker center despite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subsequent limitations that also resulted for the worker center.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whether worker centers seek resistance after institutionalization and what their resistance patterns in the event that they resist. Next, this study also tries to clarify whether worker centers pursue organizing after institutionalization, and in what ways.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data on the worker center, and collected key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0 worker center leaders and practition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istance of the worker center through three aspects: 'captured resistance', 'strategic resistance', and 'infrapolitics'. This study examined the organizing of non-standard workers in the worker center into three processes: 'organizing method', 'organizing process', and ‘local collective bargaining after organizing'. This study recognizes the aim of worker centers, which was to achieve an improvement in non-standard employment and labor conditions, whilst protecting non-regular workers' human rights and expanding social welfare.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e existence of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restrictions such as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malizing local governments' non-standard workers organizing policy', and 'converting trade unions activities to meet the non-standard labor environment’ to achieve worker centers’ aim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e resistance and organizing aspects of the worker center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a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can be subversive even after institutionalization, which previous studies have left as areas of 'possibility'. Second, the invisible resistance and organizing of worker centers tracked by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worker centers can be effective actors in the collective interest representation of non-standard workers, such as organizing workers or improving institutions.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researchers who study social policy changes focusing on equality and democracy can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social policy continuity and adapt by paying more attention to social policy itself as well as actors including social movements. Simultaneously, this study is also an invitation to policymakers, worker center activists, trade union activists. First, it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the effectiveness of a network approach for policymakers to work together with various actors, including civil society and the market, to define problems and seek solutions beyond the design and execution of the government's one-sided approach. Second, for worker center activi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in seeking greater change, by connecting experiences from different regions as 'languages', to facilitate a discussion. Third, for trade union activists, the study was intended to highlight one of the ways in which trade unions can expand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the labor movement. Namely, implementing strategic collaboration within the worker centers.

      • 공직자윤리법의 제도화 과정 비교연구 :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의 공직자 재산등록 및 공개를 중심으로

        김덕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에서는 공직자의 부패를 방지하고 청렴성을 고취하며, 정부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4개국의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신제도론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첫째는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의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의 수준 및 내용은 어떻게 다른가?’ 이고, 둘째는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가 이른 시기에 제도화된 국가가 있고 오랜 기간에 걸쳐 제도화된 국가가 있는데, 무엇이 그러한 차이를 가져왔는가?’ 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의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의 내용 및 수준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는 등록·공개·심사·처벌의 틀을 갖추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제도화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각국의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의 촉발기제와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민주화, 정권의 변화, 부패 사건이 재산등록 및 공개의 제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였고, 제도화 과정에서 의회-행정부 관계, 의회 구조, 선거제도의 유형, 그리고 정당체제의 차이에 따라 행정부 수반 및 행정부와 입법부가 어떻게 행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이 가장 높은 수준의 제도를 가지고 있었고, 일본과 프랑스는 제한된 수준의 제도화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재산등록 및 공개의 대상자로 본인 이외에도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징역 및 벌금형에 처할 수 있도록 처벌 조항을 마련해 두었다. 미국 또한 재산공개 의무자의 범위에 대상이 되는 공직자의 배우자 및 피부양자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부별로 정부윤리청, 사법회의, 윤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벌금형 및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정부구성원 본인만을 재산등록의무자로 규정하였으며 등록된 재산은 원칙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일본의 재산등록 및 공개 또한 국회의원 본인에 한정되었고, 재산상태의 보고가 지연되거나 허위로 보고하였을 경우에도 처벌받지 않았다. 민주화 수준은 한국, 미국, 일본에서 재산등록 및 공개 제도의 제도화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권위주의 정부의 부패에 대한 국민적 비판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시민의 참여 의식이 확대되면서 정치인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미국에서는 이해충돌의 방지라는 목적 아래에서 재산등록 및 공개가 제도화 되었다. 대형 부패 사건은 4개국 모두에서 재산등록 및 공개제도의 촉발기제로 작용했다. 한국에서는 ‘수서비리’ 사건이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의 촉매로 작용했고 미국에서는 ‘워터게이트 사건’, 프랑스에서는 ‘뤼셀 사건’, 일본에서는 ‘리쿠르트 사건’으로 말미암아 재산등록 및 공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대통령제를 택하고 있는 한국과 미국에서는 대통령의 의지가 재산등록 및 공개의 제도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국민들의 높은 지지율이라는 권력자원을 가지고 재산공개를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 존슨 대통령과 카터 대통령이 당시의 시대적 과제인 공직자의 부패척결을 위한 윤리강령과 재산공개의 제도화를 이루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원집정부제를 택하고 있는 프랑스에서는 여당인 미테랑 대통령과 야당인 쉬락 수상이 동거정부를 구성하였으나, 당시의 정치적 부패 척결이 시급한 과제였기 때문에 제도화가 지연되지는 않았다. 권력의 집중을 기본으로 하는 의원내각제를 택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자민당의 ‘55년 체제’라는 독주체제 속에서 재산등록 및 공개의 제도화가 지연되었다. 양원제는 한국의 제2공화국과 미국에서는 재산등록의 제도화가 지연되도록 하였으나, 프랑스와 일본에서는 제도화의 지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면 내각에서는 민의원과 참의원에서 각각 통과가 지연됨에 따라 회기가 종료되면서 관련 법안이 자동 폐기 되었으며, 미국에서도 정당성과 이념적 투쟁의 성격을 가진 하원에서 법안의 통과가 미루어졌다. 선거제도는 한국과 일본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서는 3공화국 당시에 제1당이 전국구 의원의 3분의 2를 할당받도록 되어 있었는데, 이는 재산등록제도의 입법을 반대하는 여당이 제도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본에서는 당시의 선거제도에 의해 자민당 정권이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었고 이는 당내 파벌정치를 부추겨 제도화를 지연시켰다. 공직자의 재산등록을 지연시키는 프랑스만의 특징도 발견할 수 있었다. 프랑스의 정당들은 1988년 이전에는 독립적인 법적인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고 정치자금의 통제에도 관심이 적었다. 그리고 프랑스의 사법권은 대통령의 지휘 아래에 있기 때문에 독립성이 적었고 따라서 공무원의 처벌을 어렵게 하여 재산등록제도의 실효성 확보에 장애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그동안 소홀히 연구되어 왔던 재산등록 및 공개의 제도화 과정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2011년 현재까지의 개정된 사항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 행위자 간의 연결망 분석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 신생중소기업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제도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순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외생변수인 기업의 전략체계, 경영자의 전략마인드, 기업규모, 그리고 근로환경이 내생변수인 인적자원관리 제도화에, 그리고 이어서 HRM 제도화가 조직성과인 이직률과 인당매출액, 매출액 성장률에 어떠한 행태(behavior)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기술 기반의 신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수행되어온 연구들을 보면 조직성과를 재무적 관점에서 측정하는 지표의 하나로 공헌이익이나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과 같은 이익 중심으로 보는 연구가 적지 않다. 본 연구와 같이 신생 중소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경우, 이들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이익을 실현하는 것이 쉽지 않고 이익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재무적 성과 지표와 함께 조직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비재무적 지표가 필요한데 그러한 변수 중의 하나로 연구자들은 매출액, 또는 이직률을 채택해 왔다. 조직성과가 중요한 논제가 되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는데 관리의 주요 기능(function) 중의 하나인 인적자원관리(HRM) 분야도 그중의 하나이다. 이들 연구에서 여러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보편적 관점의 인적자원관리 관행(HRM practices)은 크게 충원, 교육 훈련, 성과평가, 보상 및 유지, 경력개발의 관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관행의 제도화(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ization)는 기업경영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특히 신생중소기업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체계적인 경영을 추구하는 기업에 있어서 인적자원관리 분야는 상대적으로 제도화가 필요한 분야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총합적인 HRM 또는 각 관행이 성과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특성 등과 같은 다른 변수와는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낼 연구모형이 필요한 것이다. 더욱이 신생 중소기업은 경영의 노하우나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업 운영을 위한 제도 구비가 완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HRM의 제도화와 각 외생변수들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면, 신생중소기업에서는 그들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기업은 정부지원을 대행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협조로 신생중소기업 414개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적식 모형을 활용하여, AMOS 18과 PASW Statistics 18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전략체계를 갖춘 기업일수록, 전략마인드를 더 많이 갖춘 기업일수록, 그리고 회사 설립연도가 오래된 기업일수록 인적자원관리 제도화가 잘되어 있으며, 다만 임직원수로 대변되는 회사규모는 인적자원관리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적자원관리 제도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 제도를 갖춤으로써 종업원의 이직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인력의 유지 관리가 중요한 신생 중소기업에서는 이 점에 관리의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인적자원관리 제도화가 잘 된 기업은 인당매출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HRM제도화에 의해 매개되는 효과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략체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직접효과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상당부분 긍정적 매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략마인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HRM제도화는 이직률과 인당매출액에는 긍정적 매개 기능을 하고 있는 반면 매출액성장률에는 부정적 매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업규모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HRM제도화는 이직률과 인당매출액, 매출액성장률 모두에 긍정적 매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업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HRM제도화는 이직률과 인당매출액에는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반면 매출액성장률에는 부정적 매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 중소기업에 의미 있게 적용할 수 있다.제한된 시간 내에 경영자는 많은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따라서 중소기업경영자는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 중소기업에 있어서 목표설정과 이에 따르는 전략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인적자원관리 각 관행인 충원, 교육 훈련, 성과평가, 보상 및 유지, 경력개발의 제도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업 특성 변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대부분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하거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HRM 제도화의 매개에 의한 간접효과 분석 결과와 연결 지어 보면 HRM 제도화가 매출액성장률을 제외한 다른 조직성과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더욱 분명해진다.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MOS and PASW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RM institutio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traits-strategic system, leader's strategy mind, organization's size, and organization's history-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KED business data. Existing Studies on the organization's traits, HRM polic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ve focused mainly on examining the direct relationship. Consequently,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of the actual process by which HRM institutionalization brings mediating effect abo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tart-up, small-sized firms. This study confirms that organization's traits has a low direct influcence on the efforts and performances an organization. It also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HRM institutio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trai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us the HRM institutionalization significantly exercise influence on the turnover rate, sale per person, sales growth rate of indirect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