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체성 정치와 공론장을 만드는 미술의 역할

        문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political role of art through Hannah Arendt's philosophy, reassessing the diminished political efficacy of identity politics. Exploring the acquisition of identity, it emphasizes external influences, as identity is formed in relationships. Marginalized individuals revealed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form activist groups, striving for benefits tied to shared identity. Despite initial confrontations, identity politics evolved, losing its purpose and either pursuing new power or marginalizing unique characteristics. The paper explores this based on Arendt's philosophy, assessing if identity politics fulfilled its duty. Artists like Byron Kim and Nikki S. Lee invited non-homogeneous existences to the public sphere, acknowledging differences. Curator Okwui Enwezor acknowledged the refracted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art and opened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through leading biennales. Despite ongoing societal struggles and discrimination, art, privileged with traversing reality's walls, can restore the political function, extending the public sphere's lifespan and inviting possibilities for a future world of freedom. 20세기 후반의 글로벌 자본주의와 세계화는 전 지구적 영향을 미쳤다. 세계화는 사람들이 동시대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이질적인 문화를 균일화하고자 했다. 거스를 수 없는 세계의 흐름은 사회의 균열을 드러내고 약자들을 권력 투쟁의 무대로 끌어들였다. 전 지구적 맥락 속에 마주한 타자와의 마주침은 한 개인의 정체성을 더욱 명징하게 만들었다.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자신의 의미를 파악하고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정체화라고 한다. 정체화 과정에서 발견되는 소수의 존재는 난민, 성소수자, 장애인, 여성, 비정규직, 소수민족, 외국인, 유색인종 등의 벌거벗은 존재들이다. 정체성을 명명하는 과정은 곧 정체성 정치의 단초가 된다. 명명하는 것으로 만들어진 주체적 권력은 사회의 균열을 드러내며 정치를 시작한다. 투쟁하는 정체성은 권력을 획득하고 웅성거리는 소수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으고 그들의 거친 외침을 번역하여 정돈된 언어와 몸짓으로 구체화한다.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생존을 위한 정체성 정치를 전개했다. 정체성 정치는 내면의 주체적 권력을 넘어 사회 내 재배치를 위한 정치 투쟁이자 권력을 갖기 위한 의미 투쟁이며 맞닥뜨린 미해결 문제에 대한 항의 투쟁이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이어진 구소련의 붕괴는 공산주의의 몰락을 고하며 세계화의 물꼬를 터뜨렸다. 20세기 말 미국은 ‘인종의 용광로(The Melting Pot)’에 모여든 타자들을 균질화하고 압축했다. ‘인종의 용광로’를 통해 미국을 강력한 하나의 국가로 만들려는 노력 이면에는 배타적인 주류사회의 iv 차별적 암시가 깔려있었다. 이후 전개된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인종의 용광로가 주도하는 총체화를 거부하고 사회의 타자들을 개별 존재로 인식하게 하였고, 잇따른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가 새로운 문화적 논리로 부상하게 되었다. 미국의 다문화주의자들은 주류 문화에서 배제된 타자의 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비판하며 기존의 문화적 의미와 도덕적 규범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미술에서는 20세기 후반 미국의 에이즈(AIDS) 문제로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예술가들은 그들의 진짜 삶을 나타내고, 주류 사회 위주의 사회구조와 권력을 비판하기 위해 ‘예술’을 정치에 사용했다. 이로써 해방과 독립을 위한 투쟁을 동반한 정체성 정치는 예술계에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를 전후하여 세계 유력한 미술관에서 연달아 개최된 탈식민주의와 관련된 전시는 ‘분리주의(Separatism)’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었다. 1993년 《휘트니 비엔날레 The Whitney Biennial》에 이르러서야 기존의 극단적이고 이분법적인 대립 구도를 해체하고 소외된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포함해 독립적인 주체들로 세분화하였다. 미국 사회의 다문화 물결과 함께 문화예술계 전반에 확산한 정체성 정치는 외부의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도구화되거나 경제적 성과에 몰두하게 되었다. 동시에 예술가와 예술 조직의 적극적인 응답과 전략적 선택을 요구했고, 다양한 각도의 접근과 해석, 다양한 양상의 결과를 수반했다. 이러한 과정에 정체성 정치는 정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변화한 정체성 정치는 역설적으로 일상의 불평등 문제를 단순하게 만들고 약자들의 삶을 외면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불어 맹목적인 믿음과 극단주의를 촉발함으로 정치 기능을 상실시키고 사회의 불신과 폭력을 야기한다. 논문에서는 이처럼 정체성 정치가 정치적 기능을 상실한 경우를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 철학적 시도를 근거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한나 아렌트의 ‘정치’는 평등하고 서로 다른 인간들이 자유로운 공적 세계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공동의 세계는 ‘다양성’을 전제로 한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며 소통을 통해 드러난다. 동등성과 차이성을 토대로 한 공공 영역에서 복수적 인간은 타인과 다름을 발견하고 개별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공동의 세계에서 긴장감 있는 소통은 정치 기능을 회복하게 하고 삭제와 단절로부터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논문은 20세기 후반 미국의 타자들을 통해 수행된 미술의 사례를 통해 아렌트가 제시한 공론의 장이 구현되는 방식을 논의했다. 작가로는 바이런 킴(Byron Kim)과 니키 리(Nikki S. Lee)의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기획자의 경우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가 기획한 비엔날레들을 통해 논의를 전개했다. 바이런 킴은 전통적인 회화 기법으로 정체성 정치에 참여했다. 《복부 회화 Belly Painting》 시리즈는 여덟 가지의 ‘정치적으로 올바른’ 피부색을 범주화하며 기존의 ‘살색’의 정의에 질문을 던진다. 《제유법 Synecdoche》 연작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피부색을 수집한 뒤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미묘한 피부색의 변화를 포착하고 인종적 다양성을 탐구했다. 바이런 킴의 추상적 작업은 다른 이들을 해석과 의역에 참여시키며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니키 리는 다채로운 사회 계층에 침투해 복장과 행동 및 생활 습관을 모방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긴 《프로젝트 Projects》 연작에서 레즈비언, 드랙퀸, 펑크, 스케이트 보더, 히스패닉, 힙합, 백인, 음악가, 여고생 등 다채로운 사회의 타자들에 자신을 대입했다. 리는 전통적인 예술적 관습에 도전하며 인종,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대중과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신조로 미국 사회의 여러 정체성을 공론장으로 소환했다. 오쿠이 엔위저는 동시대 미술의 탈식민지적 전환을 위해 비엔날레를 역동적인 정치의 장으로 만들고자 했다. 엔위저는 동시대 미술의 복잡한 상황을 조망할 수 있는 절대적 위치를 거부하며 성좌(Constellation) 개념을 도입한다. 개별 존재는 우주에 흩어진 별과 같고, 별들은 각자의 위치에 따라 주관적인 관점에 따라 공간을 인식할 수밖에 없기에 동시대 미술에 대한 시각은 굴절된 것이라 주장한다. 그의 논지를 바탕으로 기획된 1997년《제2회 요하네스버그 비엔날레 2nd Johannesburg Biennale》부터 2002년《카셀 도큐멘타 11 Kassel Documenta 11》, 2008년《제7회 광주비엔날레》, 2012년《파리 트리엔날레 La Triennale 2012: Intense Proximity》, 2015년《제56회 베니스비엔날레 56th Venice Biennale》 등의 굵직한 비엔날레의 사례분석을 통해 동시대의 환영 속에 공공 영역을 만들기 위한 미술의 실천 방법과 효용성을 연구하고 미술의 역할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미술의 방법을 통해 한나 아렌트의 정치와 공론의 장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효용성과 한계를 논의해본다.

      • 부여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주민의 부정적 수용

        박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그 지역만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정체성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공간의 사회적 구성론의 대두와 더불어 지역정체성은 국가나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특정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점차 지역개발방식이 하향식 개발에서 상향식 개발로 변화하고, 주민의 권리의식이 신장되면서 주민참여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역정체성 역시 지역민의 수준에서 다루어야 할 시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백제의 수도’로 널리 알려진 부여군을 사례지역으로 삼아 부여 주민이 부여의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갖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마케팅이나 지역발전전략과 결합하여 지역판촉에 적합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집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정체성을 대하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정체성 형성에 관한 논의와 부정적 수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백제의 수도’라는 부여의 지역정체성은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 형성되고 강화된 것이다. 즉, 문화재 보호와 발굴을 위하여 부여 시가지 전역에 적용된 보호구역이나 지역정체성을 적극 활용한 백제문화단지 조성, 고도로 지정된 것 등은 모두 국가권력의 작용이 있었다. 셋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주민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정체성에 대해 주민이 가진 태도를 파악하였고, 왜 부정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정적 수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지역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불만이 있는 ‘소극적 수용’계층, 지역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거부하지 못하는 ‘비판적 수용’ 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경제적 원인과 정책적 원인이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부하지 않는 이유는 역사적 정통성과 경제적 이득, 정서적 자부심 때문이다.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부정적 수용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정체성 논의에서 그간 관심이 저하였던 지역주민의 입장에 주목하여,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반드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다른 학문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부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지역정체성 논의에 적용하였다는 점,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진 지역 주민의 입장을 다루었다는 점 역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을 통한 초등교사들의 젠더교육 수행 연구

        서세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Currently, differences in gender consciousness centered on the younger generation have emerged clearly in Korean society, and gender consciousness has emerged as a hot topic of analysis in controversial issues of politics and social culture. As a solution to this, social interest in gender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but despite this social interest, there are many shortcomings at the institutional level of gender education. For this reason, gender education, which is actually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relies on the autonomy of each teacher who is interested in some, and the perception and role of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are absolu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adolescence and children whose stereotypes about gender are relatively not fixed, this importance is further emphasized due to their high instructional autonomy. In this regard, this study judged that the teacher's identity will affect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gender education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ducation through two conceptual axes: teacher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sten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eachers conducting gender education and to find out how the internalized identities of teachers revealed through this affect their gender education awareness and educational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suggested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8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ducted gender education, identified each case, and used it as data for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eminism and the teacher identity they ideally pursue? Seco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gender education and what is the reason for starting gender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carrying out gender education and what are the behavioral strategies to overcome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began to recognize gender equality and feminism through horizontal or patriarchal experiences at home, and later encountered feminism through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liv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various perspectives in interpreting feminism, which was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positions on radical feminism.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groups that sympathize with online radical feminism, groups that support feminism but raise problems in the radical way, and groups that refer to radical feminism as "Korean" feminism, reject it, and argue for gender equality that defines itself. The group that sympathized with radical feminism strongly had an identity as a feminist and woman, and refused to judge the right and wrong of feminism by the existing moral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group who thinks positively of feminism but is reluctant to the radical method, gender and age vary,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did not show that a specific gender identity was strongly reveale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against feminism supported values such as gender equality, gender conflict resolution, and social integration, but understood feminism as contrary to these values. These groups are generally composed of male participants, strongly internalizing their gender identity as men, and expressing their rejection of "potential perpetrators." First, an inclusive teacher who cares about all students without creating an equal and happy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a teacher as a midwife who allows them to think and learn on their ow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activities, and daily experiences. In the third type, there is a subjective evaluation and orientation of one's gender consciousness, but it is characterized by taking this attitude of an "objective teacher" because one feels that gender consciousness itself is a political issue or is not confident in one's gender percep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understood gender education in three dimensions: feminism education, human rights respect education, and empathy practice education. Groups that understand gender education as feminist education were conscious of the negative image of feminism understood in society and focused on it, showing concern about stigma as a "redical feminist." This concern can be understood as the expression of teacher identity, conscious of the gaze within the teacher group an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teacher, rather than due to their perspective on feminism. Meanwhile, the position of seeing gender education as part of human rights education tried to embrace gender education within the official and mandatory scop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part of various conflicts occurring in society, they showed an attitude to understand gender conflicts,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m,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answers within the curriculum level. Some of them used the name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a conceptual tool to mediate the internal confusion between teacher identity and gender identity that society feels responsible for educating gender equality pursued by society and gender identity that rejects radical feminism. Third, participants who understood gender education in terms of empathy were aiming for holistic education that emphasized practice rather than knowledge. The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natural gender sensitivity and showed their identity as educational experts to effectively achieve it, showing their appearance as educational experts who constantly agonized ove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started gender education due to gender stereotypes, students' use of hate expressions, gender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lack of internal stability in school sex education. In addition, they shared a firm belief that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in common.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ir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in the process of facing the need for gender education and incorporated them into practic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dentity as teachers in improving students' stereotypes and hate expressions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the other hand, when teachers felt discrimination due to their gender at school or sympathized with students of the same gender, they decided to conduct gender education through gender identity that they were internalizing themselv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gender education. Regarding gender identity, male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with the existence of men as potential perpetrators in terms of gender education content. It was also difficult to presuppose empathy for other sexes that they had never experienced.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the class,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forming rappor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In the case of female participants, their sexual identity stood out when it comes to pranks that cause male students' sexual shame in relation to class rejection, and their consciousness of stigma as a radical feminist could also be understood as having an effect. They were also struggling with their identity as gender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a lack of self-confidence as teachers, qualitative limitations of guidelines and teacher training, a conservative educational atmosphere, a lack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nd antipathy from parents. As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various difficulties, they used strategies such as creating "safety devices" in the content of the class to use objective materials, teach indirectly, and melt them into part of their lives. In addition, strategies such as solidarity with teachers who share their will outside of class, creating an educational community, going to graduate school, and using the teacher community were used. As for how they overcome difficulties, their gender identity was not particularly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study, both the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gender education. Teachers' gender identity influenced their attitude toward gender education, the opportunity to practice gender education,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but when it comes to overcoming the specific contents, methods, and difficulties of gender education practice, teacher identity appear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of teachers are not discontinuous in performing gender education, and are developing gender education through the concerns and reflections of individual teachers in the social context. <국문 초록> 현재 한국사회에는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한 젠더의식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났으며 정치, 사회 문화의 논쟁적 사안에서 젠더의식이 분석의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근 젠더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젠더교육에 관한 제도적 차원에서는 많은 미비점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수행되는 젠더교육은 일부 관심이 있는 교사들 개개인의 자율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교육의 수행 주체인 교사의 인식과 역할이 절대적이다. 특히 젠더에 관한 고정관념이 상대적으로 고착화되지 않는 아동, 청소년 시기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그들이 지니는 높은 수업자율성으로 인해 이러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정체성이 젠더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하고 이를 규명하고자 교사의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 축을 통해 현행 젠더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젠더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교육 경험을 듣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내면화된 정체성이 그들이 가지는 젠더교육 인식과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젠더교육을 수행한 18명의 남·여 초등학교 교사들과의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의 사례를 파악하여 분석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교사 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사들이 젠더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젠더교육을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 셋째, 젠더교육 수행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는 행위 전략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 내의 수평적 또는 가부장적 경험을 통해서 성평등과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페미니즘을 마주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페미니즘에 대한 해석에 있어 다양한 관점을 보였는데 이는 주로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입장 차이에 기인하고 있었다. 이들은 크게 온라인상의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해 공감하는 집단, 페미니즘을 지지하지만 레디컬한 방식에는 문제를 제기하는 집단, 레디컬 페미니즘을 ‘한국식’ 페미니즘으로 지칭하고 이를 거부하며 스스로 규정하는 성 평등을 주장하는 집단으로 나뉜다.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해 공감하는 집단은 페미니스트이자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으며, 기존의 도덕적 잣대로 페미니즘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을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페미니즘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레디컬한 방식에는 거부감을 느끼는 집단의 경우 성별과 연령이 다양하며 연구 참여자의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특정한 성정체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점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페미니즘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집단은 성 평등, 젠더 갈등 해소, 사회적 통합 등의 가치를 지지하지만 페미니즘은 이러한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들 집단은 대체로 남성 참여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성으로서의 성정체성을 강하게 내면화하며, ‘잠재적 가해자’에 대한 거부감을 피력했다. 연구 참여자들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교사상의 모습으로는 첫째, 평등하고 행복한 교실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소외되는 아이를 만들지 않고 학생 모두에게 관심을 갖는 포용력 있는 교사, 둘째, 학생을 교육함에 있어 일방향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구체적인 체험과 활동, 일상의 경험 등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 체득할 수 있게 만드는 산파로서의 교사, 셋째,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나 주관적 가치판단을 배제하고 객관적 사실만을 제공함으로서 아이들의 인지적 성장을 돕는 전달자로서의 교사이다. 세 번째 유형의 경우 자신의 젠더의식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지향성이 존재하지만 젠더의식 자체를 정치적인 문제라고 느끼기 때문에, 혹은 본인의 젠더인식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객관적 교사’의 태도를 취하는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페미니즘 교육, 인권존중 교육, 공감실천 교육의 세 가지 차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젠더교육을 페미니즘 교육으로 이해하는 집단은 사회에서 이해되는 페미니즘의 부정적 이미지를 의식하고 이에 초점을 맞추어 ‘레디컬 페미니스트’로의 낙인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걱정은 이들이 지니는 페미니즘에 대한 관점에 기인하기보다는 교사 집단 내의 시선과 교사가 지니는 정치적 중립성을 의식한 교사정체성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젠더교육을 인권교육의 일환으로 보는 입장은 젠더교육을 ‘민주시민교육’이라는 공식적이고 의무적인 범위 안으로 포섭하고자 했다. 이들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의 일부로서 젠더 갈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동시에 교과 수준 내에서 이에 대한 답안을 제시하고자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들 중 일부는 사회가 추구하는 성평등을 교육해야하는 책임이 있다고 느끼는 교사정체성과 레디컬 페미니즘을 거부하는 젠더정체성 사이의 내적 혼란을 중재하는 개념적 도구로서 인권교육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세 번째로 공감의 실천 측면에서 이해하는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탈정치적으로 바라보고 지식보다 실천을 강조하는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젠더감수성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육전문가로서의 정체성 발휘하여 교육 컨텐츠 개발과 교수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교육전문가로서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마주하는 성별 고정관념, 학생들의 혐오표현 사용, 성차별경험, 학교 성교육의 내실 부족 등을 이유로 젠더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을 통해 성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을 공유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의 필요성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젠더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에 녹여내었다. 학생들의 고정관념 및 혐오표현을 개선하고 교육 프로그램 계발함에 있어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발현하였다. 한편 교사가 학교에서 본인의 성별로 인해 차별을 경험했다고 느끼거나, 동일한 성별을 지닌 학생들에게 공감과 동정심을 느낄 때 그들은 스스로 내면화하고 있는 젠더정체성을 통해 젠더교육을 수행하고자 마음먹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성정체성과 관련하여 남성참여자들은 젠더교육의 내용상의 측면에서 남성이 잠재적 가해자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느꼈다. 또한 경험해보지 않은 다른 성에 대한 공감을 전제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수업 내용 외적으로도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라포를 형성하는 것에 애를 먹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성 참여자들의 경우 학생들의 수업 거부와 관련하여 남학생들의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장난과 관련하여서는 그들의 성정체성이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으며 또한 레디컬 페미니스트로의 낙인에 대한 의식 역시 그들의 성정체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은 젠더교육 수행교사로서의 정체성에 관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교사로서의 자기확신의 부족, 가이드라인과 교사 연수의 질적 한계, 보수적인 교육계의 분위기, 동료 교사들의 이해와 지지의 부족, 사회적 분위기와 학부모의 반감이 그것이다. 이들은 이러한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수업 내용상에 있어 ‘안전장치’를 만들어 객관적인 자료 사용하기, 간접적으로 가르치기, 생활의 일부로 녹아들게 하는 방식 취하기 등의 전략을 사용했다. 또한 수업 외적으로 학교 내에 자신과 뜻을 함께하는 교사들과 연대하기, 교육 공동체 만들기, 대학원 진학, 교사 커뮤니티 이용하기 등의 전략을 사용했다. 이들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그들의 성정체성이 들어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의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은 모두 젠더교육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교사들의 성정체성은 젠더교육을 바라보는 태도와 젠더교육 실천 계기, 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등에 영향을 미쳤으나 젠더교육 실천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 어려움에 대한 극복과 관련해서는 젠더교육 교사로서의 교사정체성이 발현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가 지니는 성정체성과 교사정체성은 젠더교육 수행에 있어 불연속적인 것이 아니며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교사 개개인이 가지는 고민과 성찰을 통해 젠더교육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문화정체성 관점에서 문화접변에 따른 혼수한복 디자인의 변화양상 연구

        김다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rising issue called ‘glocalism’ that collectively means the dual phenomen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Glocalism is to secure the global foundation by transplanting world cultur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zation. Following this current of the tim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is emphasized.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the driving force of global competitiveness by correctly settling down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s a medium that inherits the tradition of thousands of years and reflects the trend, Hanbok which is a traditional costume could be a representative case that shows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Cultural identity is not fixed, but reformed through continuous cultural changes, and the acculturation caused by active & direct/indirect contacts between cultures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ultural identity, so it is suitable for examining the cultural identity. Especially, Hanbok that is continuously changed through new cultural contacts, visibly shows the aspect of accultu- ration. Currently, Hanbok has been settled down as a ceremonial dress. Marriage Hanbok that is worn for wedding takes up the most of Hanbok market, so it is a representative case of wearing Hanbok the mos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acculturation, and then to consider the aspect of changes in marriage Hanbok design according to acculturation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identity. In the research methods and range, first, this study establishes the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acculturation by establish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and marriage Hanbok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systematiz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effects affecting the accultur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establishment, a case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 photos of marriage Hanbok in magazines from the 1960s to 2010s, the case study is targeting total 790 images after going through the second verifi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tudy on the aspect of changes in marriage Hanbok that was inheriting the tradition and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the cultural identity was valid as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dentity are established as the currency that works on the present and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the popularity based on emotions and empathy of many people, and the subjectivity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co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acculturation are classified into ideological elements, institutional elements, and technical elements, and the results of acculturation of Hanbok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and loss of cultural elements are shown as different types such as assimilation, integration, and segregation. Assimilation means the damage and severance of the existing culture by actively and thoughtlessly accepting new cultures. Integration is to create new mixed images by converging new culture with the existing culture. And the term, segregation is redefined as maintaining the existing culture by resisting to new culture. Third,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ulturation, the changes in marriage Hanbok design are shown as the types like assimilation, integration, and segregation. First, assimilation that is caused by the acceptance of external culture, is shown as the design in which the internal identity is lost and the structural form or composition method of the existing Hanbok is dissolved. Integration that is caused by the inflow of new culture, shows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key value of Hanbok is maintained, and the accepted culture is internalized and reflected into design. Lastly, segregation that is for maintaining the traditional culture, keeps the traditional design of marriage Hanbok before the wedding culture was westernized. Fourth, i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aspect of changes in marriage Hanbok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identity such as currency, popularity, and subjectivity, marriage Hanbok strengthens the relation with the present based on the attitude to creatively accept other cultures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method, and shows some changes in design together with the trend and flow of changes in wedding culture.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istant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it continues the past design, and keeps the formal design through many people’s preference and empathy with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cultural identity of marriage Hanbok has been reformed as familiar design emphasizing the convenience and individuality of wearers by endlessly contacting with new culture, deepening the assimilation to new culture, and expanding from the consistent design in the past. 현대 사회는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이중적인 현상 가운데 이를 통칭하는 글로컬리즘 현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글로컬리즘은 지역화 특성을 통해 세계문화를 자국화하여 세계적인 기반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시대적인 시류에 따라 문화정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의 정체성을 문화의 관점에서 올바르게 정착시켜 세계적인 경쟁력의 원동력 모색이 필요하다. 전통 복식인 한복은 수 천 년의 전통을 계승하고 유행을 반영하는 매개로서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문화정체성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문화변동을 통해 재형성되는데, 그중 문화 간의 활발한 직ㆍ간접적인 접촉에 의한 문화접변 현상이 문화정체성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문화정체성을 살펴보는데 적합하다. 특히 한복은 새로운 문화접촉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여 문화접변 양상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한복은 현재 예복으로서 자리 잡은 가운데, 혼례 시 착용하는 혼수한복이 한복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한복이 가장 많이 착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정체성의 특성과 문화접변 유형 분류 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정체성 관점에서 문화접변에 따른 혼수한복 디자인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과 범위로는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문화정체성, 문화접변, 혼수한복에 대한 용어의 정의와 개념을 정립하고, 문화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과 특성, 문화접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체계화하여 문화접변 유형 분류 기준을 확립한다. 이러한 이론 정립을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며, 사례연구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잡지에 실린 혼수한복 사진을 바탕으로 2차 검증을 거쳐 총 790개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을 계승하고 시류적인 유행을 반영하고 있는 혼수한복의 변화양상 연구를 위해 문화정체성은 연구 관점으로 타당하였으며, 문화정체성의 특성은 현재에 작용하며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현재성, 다수의 정서와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대중성, 타문화에 대한 태도를 기반으로 하는 주체성으로 정립된다. 둘째, 문화접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관념적 요소, 제도적 요소, 기술적 요소로 분류되며, 이러한 문화요소의 유지와 상실에 따라 한복의 문화접변 결과는 동화, 통합, 분리 유형으로 나타난다. 동화는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이고 무분별하게 수용하여 기존 문화가 훼손, 단절되는 것이고, 통합은 새로운 문화를 기존 문화와 융합하여 새로운 혼성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는 새로운 문화에 저항하여 기존 문화를 유지하는 것으로 용어를 재정의한다. 셋째, 문화접변 유형에 따라 혼수한복의 디자인 변화는 동화, 통합, 분리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먼저 동화는 외부문화 수용으로 인한 것으로, 내면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기존 한복의 구조적 형태나 구성방식 등이 해체된 디자인으로 나타난 것이다. 통합은 새로운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것이며, 한복의 핵심적 가치를 유지하는 동시에 수용한 문화가 내면화되어 디자인에 반영된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분리는 전통문화 유지를 위한 것으로, 혼례문화가 서구화되기 이전의 전통적인 혼수한복 디자인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현재성, 대중성, 주체성의 문화정체성 관점에서 혼수한복의 변화양상을 고찰한 결과, 혼수한복은 타문화를 독자적인 방식에 따라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반으로 현재와의 관련성을 강화하고, 유행에 따라 혼례문화의 변화 흐름과 함께 디자인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타문화 수용에 대한 저항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과거의 디자인을 지속하고, 전통문화 유지에 대한 다수의 선호와 공감을 통해 정형적인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혼수한복의 문화정체성은 새로운 문화와 끊임없이 접촉하고 접변하여 새로운 문화로의 동화가 심화하고 과거의 일관적인 디자인에서 확대하여 착용자의 편의성과 개성을 중시하고 익숙한 디자인으로 재형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동성애적 정체성 형성의 퀴어이론적 분석 : 노년 게이 남성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임동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이 중층적인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섹슈얼리티를 형성하는 양상과 이들의 일상성이 갖는 특징이 동성애적 정체성을 재절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구술생애사를 통해 동성애적 정체성을 미시적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를 재맥락화하고 섹슈얼리티 재현의 새로운 정치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술생애사가 내포하는 서사적 정체성은 동성애적 정체성의 구성성을 풍부하고 새롭게 맥락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퀴어이론을 분석적 자원으로 삼았다. 본질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상상되기 쉬운 동성애적 정체성을 구성적 측면에서 탐구함으로써 동성애적 욕망과 정체성을 더욱 적절하게 개념화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노년 게이 남성 4인의 구술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구술자들의 특성과 이들의 발화가 조건 지어지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퀴어방법론을 채택하여 여타 방법론들을 부가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성애 중심적 사회의 이질적인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들은 성장 과정에서 이 욕망을 동일시할 수 있는 대상들을 마주한다. 이들의 성장기는 동성애적 정체성이 담론적으로 부상하지 않은 시기였다. 이때 동성애적 욕망들을 동일시하고 의미화하는 방식은 구술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동성애적 욕망은 수행적인 것으로 동일시되기도 하며 대상에 따라 중층적인 동일시의 양상을 띠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 매스미디어가 생산한 에이즈 담론은 하나의 종으로서의 동성애자 정체성을 부상시킨다. 구술자들은 이 같은 정체성을 종로라는 퀴어 장소를 중심으로 경험했다. 이를 계기로 구술자들은 각자 새로운 일상성을 구성하게 된다. 일상에서 이성애적인 표준적 생애각본의 바깥에 위치한 퀴어 시공간을 자신이 처해있는 조건에 맞게 끊임없이 재조정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동성애적 실천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어있는 퀴어 일상을 살아가는 구술자들에게는 새로운 시간성이 나타난다. 재생산의 압박으로부터 다소간 자유로운 이들은 이성애적 규범으로부터 탈동일시된 특유한 시간성의 하비투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구술자들이 퀴어 일상에서 경험하는 친밀성의 형식들은 종종 음란함으로 등치되며 정체성에 대한 반동일시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처럼 동성애적 정체성은 퀴어 일상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되는 담론적인 동성애자 정체성은 구술자들이 스스로 의미화하는 성적 욕망들과 불안정하게만 접합되며 끊임없이 탈동일시되는 과정에 놓인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동성애적 정체성을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하지 않는 방식이 성적 욕망을 더욱 적절히 개념화함을 보여준다. 동성애적 정체성과 이것이 기입되는 게이 남성의 몸의 관계와 언제나 불안정한 과정 안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동성애적 정체성의 구성성을 재맥락화함으로써 섹슈얼리티의 대안적 재현과 급진적인 퀴어정치학의 필요성을 다시 제기한다.

      •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미술 수업방안 연구 : 시각디자인 중심으로

        김수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Confusion and reflection for oneself is concurrent as humans exist. Especially, during adolescent years, one undergoes drastic physical changes as well as mental and social developments in order to find their self-identity. However, the inability to form an upright ego during this time period may become the cause for relationship concerns, educational problems, and negative behaviors. Thus,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the execution of an educational plan which features the right ego-identity formation. In other words, self- expressive activities that empower the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self-identity is crucial; this can be achieved by art education as one can find their new self and have time where they can express and communicate visually through an artistic experience. There have been various art programs dedicated to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but most of them emphasize classes centered on conversational expressions. However, the goal for this research is to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self-identity development during adolescent years and devise a measure to choose this concept and apply visual design to classes. Visual design is a field where the information or content is visualized into symbols, shapes, and colors; examples include typography, logos, pictograms, advertisement designs, and illustrations. Out of the examples,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applying typography into educational plans that incorporate self-identity discoveration and express one’s own face through self-expressive words. Typography is the style and appearance of all printed matter, it is already universally employed in everyday lives, but through individualized design classes, teenage students can discover themselves and passionately illustrate their identities, forming their ego-identity. Also, this process helps improve self motivation, aesthetic sensibility, creative fusion skills and develops visual communication skills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acknowledging them. This may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determining and positive self identity for upcoming adulthood. The follow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ttain such goals: First,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research considered ego-identity during teenage years and visual design as well a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and collected evidence for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for self-identity development. Next, regarding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how self-identity linked ar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s well as typography classes, leading to research on how to incorporate more self-identity related classes in the curriculum. Finally, employing typography composed of five sections, this research designed and presented self-identity development associated educational guidance and activities. Example projects have been presented to improv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ypography’s concept and features. Moreover, by integrating inventive activities where students can outline and create their own typography, this paper designed a lesson plan which enhances self-motivated learning and creativity. Therefore,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employ typography to help comprehend oneself and to form self-identity by creatively demonstrating one’s own image. By allowing adolescents to design their own typography, they can discover their very own characteristics or personality; and as individuals who will encounter simultaneous life decisions in the future, they can develop an ego-identity. Also, adolescents can recognize how typography is utilized in diverse ways and how it coexists, improv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everyday visual imag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not simply provide education for ego-identity development, but to help make a self-imposed and advanced image of oneself aided by communication with others;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studies apprehending and establishing ego-identity in a virtuous way are constantly developed in the future. 자신에 대한 혼란과 성찰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화두가 되는 과제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 변화와 정신적, 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지고 정체성을 찾기 위해 많은 혼란과 갈등을 겪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올바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면 인간관계, 학업, 부정적 행동 등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에 올바른 자아정체성 형성의 기회와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된다. 즉,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탐색을 통해 본인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발견하고 개발할 수 있는 표현 활동이 필요하다. 이는 자신과 사회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인 미술교육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미적 체험을 함으로써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여 자신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동안 미술교육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 관련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어왔지만 주로 회화 표현 중심의 수업으로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의 제재로 시각디자인을 선택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시각디자인은 알리고자 하는 정보나 내용을 기호, 형태, 색채 등으로 시각화하여 전달하는 분야로 타이포그래피, 로고, 픽토그램, 광고디자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중 본 연구에서는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하여 자아를 탐색하고 나를 표현하는 단어들로 자신의 얼굴을 형상화하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타이포그래피는 시각 언어나 시각적 이미지로 학습자들이 직접 단어나 서체를 선정하기 때문에 본인의 감정 및 이미지가 글자에 나타나게 되어 이를 통해 자신과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타인과 시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본인 고유의 디자인 수업을 함으로써 청소년기 학생들은 자신에 관해 탐구하고 본인의 아이덴티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자신들의 자아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미적 감수성, 창의․융합 능력을 향상시키며 타인과 소통하고 서로 인지하여 시각적 소통 능력도 기를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직면할 성인기에 주체적이고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과 시각디자인,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 미술 교과서에서 다뤄지는 자아정체성에 관한 미술교육의 현황과 타이포그래피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수업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셋째, 이를 토대로 총 5차시로 구성된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를 설계 및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만의 타이포그래피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창작 활동으로 연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하여 자신을 이해하고 본인만의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들이 자신만의 타이포그래피를 제작함으로써 타인과 다른 자기 고유의 특징이나 개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앞으로 수많은 삶의 선택 갈림길에 직면할 주체로서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자양분을 만들 수 있다.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타이포그래피가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공존하고 있음을 인지시키며 주변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히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습자들이 스스로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이를 타인과 소통하여 끊임없이 자아를 인지시키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가기를 기대한다.

      • 예비 중등 영어교사의 교사로서의 정체성 탐색

        허서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 identities of English pre-teachers in Korea. The research examines the identities of seven non-native English pre-teachers who are attending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In a peer support group of eight colleagues, including the researcher, recording and docu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discussion meetings once a week and online public journals twi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to categorize participants’ pre-teacher identities. As a result, their teacher ident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Belief in the role of public education and public school teachers; 2) Belief in good teachers and good classes; 3)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 competence as future teachers; and 4) Perception as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First, the English pre-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elieve that public education and public English teachers have their own roles in contrast to the Korean private English education market. To the participants,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s were perceived to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o all students, promoting not only their learning but also their overall growth, and teaching English to students who are left behind in learning. Second, English pre-teachers showed belief in good teachers and good classes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as learners and as teachers, and these existing beliefs were subject to reconstruction through new teaching experiences during the pre-teacher period. In general, they projected themselves from a learner's point of view and considered a class that is interesting and meaningful to the learner as a good class. Third, participants had the perception that they lacked the skills they needed to work as teachers in the future. First, they were found a lack of confidence in designing and conducting activity-oriented classes due to their lack of learning and experience in activity-oriented classes. They also perceived themselves to be inadequate to teach students in the sense that they had not acquired the competence that they have to teach to their students. Meanwhil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erms of class expertise and teacher’s influence on students. They were concerned about managing and taking responsibilitie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a variety of school situations, and they felt that self-development and stress management were necessary for teachers for this end. In addition, English pre-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take a firm attitude in guiding students or in conducting classes, and they did not succeed in reaching a clea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causes or solutions of this problem. Fourth, their diverse non-native English teacher identities were revealed only from the third week of data collection. They showed not only negative identities like lack of confidence in and frustration with English fluency, the feeling of pressure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demand for TEE classes, but also positive imaginative identities such as hoping to become non-native English education experts with an attitude of constant learning. As suc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ack of confidence, having difficulty in analyzing and solving problems, the delay in opening up the difficulties as NNES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of the English pre-teachers has stagnat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 teachers and therefore cannot move forwar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deal more actively with and reveal the identity issues of English pre-teachers, encouraging and helping them to develop their teacher identities in the pre-teacher stag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예비 중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으로, 2019년 서울 소재의 H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비원어민 예비 영어교사 7인의 정체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하여 8명으로 구성된 동료지지집단에서 6주간 주1회 오프라인 토론모임과 주2회 온라인 공개저널 작성을 통하여 녹취 및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에서 연구참여자들의 교사정체성이 드러나는 자료들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교사정체성은 크게 1) 공교육과 공교육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 2) 좋은 교사 및 좋은 수업에 대한 신념, 3) 미래의 교사로서 역량 갖춤에 대한 자신감 결여, 4) 비원어민 영어교사로서의 인식이라는 4개의 카테고리로 정리되었다. 먼저 예비영어교사들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갖추어진 학생들이 경쟁적으로 영어를 배우는 사교육과 대비되는 공교육과 공교육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공교육 교사는 모든 학생들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며 학습에서 소외되거나 뒤처지는 학생들의 영어 학습을 책임지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둘째로 예비교사들은 과거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좋은 교사 및 좋은 수업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존 신념은 예비교사 기간에 겪는 새로운 교육경험을 통하여 수정과 발전을 겪는 양상을 보였다. 각 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조금씩 달랐으나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이들은 자신을 학습자 입장에서 투영하며 학습자에게 흥미롭고 의미 있게 받아들여지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여겼다. 셋째로 예비교사들은 미래에 교사가 되면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역량들을 현재 갖추지 못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예비영어교사들이 활동 중심 수업에 대한 배움과 경험의 부족으로 활동 중심 수업 설계와 진행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이들은 교실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다양한 역량이 정작 교사가 될 자신에게는 미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수업전문성 및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력 면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학생과들의 관계를 능숙하고 책임감 있게 관리하고 운영해 나가는 데에 대한 걱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는 이를 위하여 자기개발 및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을 지도하거나 교실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지만 이에 대하여 명료한 이해 및 원인분석이나 해결책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로 예비교사들의 비원어민 영어교사로서의 정체성은 자료수집 3주차부터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났다. 영어 유창성에 대한 자신감 결여와 좌절감, 교육기관의 원어수업 요구에 대한 부담감 등의 부정적인 정체성 외에도 영어교육 시장에서 과거에 비해 비원어민 영어교사의 전문성이 인정받는 추세에 대한 기대감, 계속해서 배우는 자세로 비원어민 영어교육 전문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긍정적인 상상적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예비영어교사의 자신감 결여나 문제에 대한 객관적 분석 및 해결을 어려워하는 모습, 비원어민으로서 느끼는 어려움을 개방하는 것이 지연되고 있는 모습 등은 예비영어교사들의 정체성 형성이 학생인 예비영어교사 개인의 수준에서 정체되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동료지지집단 프로세스를 통한 영어 예비교사들의 교사 정체성 탐색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동료지지집단을 통한 교사정체성 탐색의 후속 연구를 제언하며,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적극적으로 예비영어교사들의 정체성 이슈와 관련된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고 성찰을 지도할 것을 제언한다.

      • 정체성의 국제정치 : 일본의 국가정체성과 북일 수교협상을 중심으로

        김가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North Korea-Japan negotiation for normalization is abnormal in three ways. First, the negotiation has been extend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for about 25 years, which is an anomaly compared to other post-war settlements carried out by Japan. Second, the negotiation worsened immediately after the two countries achieved great diplomatic accomplishments at the first summit of 2002. Third, Japanese abduction issue has override all the other agenda of the negotiation. This thesis provides a constructivist explanation on the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and continuity of Japanese national identity.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 Japanese victim identity affects the entire negotiation process, resulting in those three abnormal aspects of the negotiation. An actor's identity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is constructed by two ideational factors; self-awareness and representation of the other. On one hand, Japan perceives itself as ‘inward-looking self’ or ‘justified self.’ On the other hand, Japan perceives North Korea as ‘hostile other’ or ‘non-hostile other.’ When Japan perceives itself as ‘justified self’ and North Korea as ‘hostile o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Japan forming a ‘victim identity’toward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context formation, the negotiation failed because the two sides failed to make an adjustment over conflicting interests. But at the same time, the four agendas on the negotiation table met the two cognitive criterions of self-awareness and representation of the other. In this period Japanese position reflected its identity as a victim. ‘North Korea-Japan Joint Declaration’ of 2002 triggered the victim identity to be relatively salient by giving political, social meaning to it. ‘Material Compensation and Reparation Issue’ changed into economical cooperation and ‘Official Apology Issue’ settled down, which made Japan perceive itself as ‘Justified one’. In addition, North Korea became a rogue state because of the second North Korea Nuclear Crisis and acknowledgement of ‘Abduction Issue’by Jong-Il Kim. The salient of the victim identity continues to this day; various activit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enables it to do so. 공식적인 관계 수립을 위한 일본과 북한의 비공식적 관계는 약 25년에 걸쳐 기이한 양상으로 전개되어왔다. 첫째, 일본의 다른 전후처리에 비해 이례적으로 장기화되고 있다. 둘째, 양국 간 정상회담을 통해 쟁점 의제에 대한 실질적 합의를 이룬 후에 오히려 협상의 진척이 어려워졌다. 셋째, 협상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의제의 중요도가 급격히 변했다. 본 연구는 물질적 세계관과 이익 논리로는 상기 세 가지 특이점을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지금껏 북·일 수교협상을 다룬 선행연구들은 단순히 협상의 실패 그 자체에만 주목하였으며, 전술한 특이한 전개과정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약 25년간의 수교협상사를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북한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으로 상기 특이점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양자관계에서 구성되는 한 행위자의 정체성은 자기에 대한 인식(자기인식)과 타자에 대한 이해(타자표상)의 두 가지로 조합된다. 북?일 관계에 있어 일본의 국가정체성도 일본 자신에 대한 인식과 북한에 대한 이해 두 가지로 조합된다. 이때 두 관념의 주체는 집합적 의미의 국민들이기 때문에 여론을 통해 이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아일보-아사히 신문, 일본 내각부, 시사통신사, 퓨리서치센터, BBC World Service 등의 여론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과의 관계에서 일본은 양국 간 맥락이 형성되던 1990년대나, 격발요인이 투입된 2000년대 전반기나,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맥락 유지기 모두 피해자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전술한 특이점은 「조일공동선언」을 계기로 피해자 정체성이 부각됨으로써 발생한 것이었다. 맥락 형성기에 해당하는 1990~2000년까지의 시기는 이익 논리로 설명할 수 있다. 양국의 입장 차이와 이익 불합치로 인해 협상이 결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본은 ‘정당화된 자아-성찰적 자아’의 자기인식 기준을 갖게 되었으며, 북한에 대한 타자표상에 있어서도 ‘적대적 타자-비적대적 타자’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다. 각각의 의제에 대한 일본 측 입장은 정당화된 자아와 적대적 타자를 상정함으로써 피해자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2002년 양국 간 정상회담과 그로 인해 채택된 「조일공동선언」은 피해자 정체성의 촉발요인이 되었다. 물질적 보상 및 배상 문제가 경제협력 방식으로 전환되고 공식 사죄 문제가 일단락됨으로써 정당화된 자아로서의 일본이 공식적 권위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북한의 실질적인 위협국가·불량국가·범죄국가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시기적으로 맞물린 제2차 북핵위기와 일본인 납치 사실 시인이 결정적인 계기였다. 촉발요인 투입기에 부각된 피해자 정체성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북한 핵 및 미사일은 일본인에게 상존하는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대북 반감이 지속되고 있다. 요컨대 북한과의 수교협상에서 형성된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은 이해관계 및 이익의 합치-불합치 여부와 관계없이 수교협상을 실패에 이르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양국 간 관계에서 새로운 맥락이 형성되지 않는 이상, 관념적 요인의 관성으로 인해 피해자 정체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한옥마을에 대한 미디어 재현과 구성원들의 정체성 혼재의 상관성 :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문화정체성 갈등을 중심으로

        유새롬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옥마을은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존 및 관광효과를 목적으로 형성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재산권과 생활권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경제적, 문화적 갈등을 빚어 왔다.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한옥마을 내 주민들이 전통의 생활방식을 보존하고 계승하면서 살고 있는 것으로 인식해 왔지만 한옥마을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고 각기 다른 목적과 문화정체성을 가지고 마을 내에서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통해 문화정체성의 형성은 지역주민들의 삶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의 권력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크게 첫째, 한옥마을의 문화정체성이 미디어를 통해 어떠한 담론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가이다. 미디어 담론을 통한 한옥마을은 사회 내 한옥마을의 문화정체성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둘째, 한옥마을 구성원들에게 이러한 담론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이다. 셋째, 담론의 작용으로 인한 한옥마을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정체성 간의 갈등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형 한옥 밀집지구가 전통을 상징하는 한옥마을로 조성된 역사와 배경, 그리고 한옥마을 조성으로 인한 성과와 부작용, 한옥마을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이 담론을 통해 구체화 되는 과정, 담론과 정체성은 담론주체에 의해 형성된다는 몰리와 로빈의 논의 그리고 홀과 길로이의 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미디어 재현의 분석을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중앙일간지 230개 기사를 선정, 백선기의 담론구조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주한옥마을 내부구성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전주한옥마을에 관한 중앙일간지의 보도 담론 분석 결과 마을의 변화 시기에 따라 담론의 구조 역시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담론의 형성 주체는 전주시 관계자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담론의 변화 시기는 전주한옥마을 관련 정책이 발표되는 시점과 비슷하였다. 둘째,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보도담론과 구성원간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보도담론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이는 보도담론이 마을 내 구성원들의 생활과 동떨어진 보도를 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측면만을 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전주한옥마을의 구성원들의 문화정체성의 차이는 거주시기와 거주 목적, 마을의 공간적 인식, 마을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각 범주들의 상관관계에 따른 뚜렷한 패턴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마을 구성원들이 마을에 대한 복잡다단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마을에 대한 구성원 각각의 의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전주한옥마을이 하나의 문화정체성으로 정의될 수 없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 지역의 문화정체성은 결코 단일하지 않으며 담론의 권력적 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 지역 구성원들의 문화정체성 간 차이는 불식된다는 세계화 시대의 국가적 문화정체성 형성의 전세계적 경향을 밝히고 있다.

      •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아정체성이 진로의식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among self-identity,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for helping their future career decision behavior by set up a hypothetical cause-effect model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 research subject were currently registered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of KTA.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three parts. Consisted survey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to better suited for this study. To achive the goal,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showed different in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about independence, determinacy and career behavior by grade, Second, future assurance of personal identity effects on career consciousness. Third, self evaluation, have assure future plan and collecting more career information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terminacy should be clear to achieve the established career goal, check the tasks, make a plan for futur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and career preparation. moreover, collegiate sports should meet the least requirement of athlete's needs, such as not only develop and supplement a athlete's ability to become a professional athletes, but also make them to have other abilities for preparing an ordinar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