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의 영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전선영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울 증상에 미치는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의 고유한 영향과 이에 기저 하는 차별적인 정서조절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우울 증상을 우울한 기분, 무쾌감성 우울, 일반고통으로 구분하여, 각 우울 증상에 미치는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의 고유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24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정서학대, 정서방임, 신체학대, 신체방임, 성학대), 아동기 외상경험, 우울한 기분, 무쾌감성 우울 증상, 일반고통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아동학대 유형들 중 정서학대가 우울한 기분을 유일하게 예측하였다. 정서방임은 무쾌감성 우울 증상을 유일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아동기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이 질적으로 다른 심리적 학대 유형으로, 다른 우울 증상에 고유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 2에서는 정서학대와 우울한 기분 간의 관계와 정서방임과 우울한 기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정서조절능력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323명의 대학생들에게 아동학대 유형, 아동기 외상경험, 우울한 기분, 무쾌감성 우울 증상, 정서인식명확성, 부정정서강도, 적응 및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결과, 정서학대와 우울한 기분 간의 관계를 부정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연속 매개하는 동시에 부정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 각각 단순 매개하였다. 반면, 정서방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 간의 관계를 낮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부족이 각각 단순 매개하였다. 정서방임과 우울한 기분 간의 관계를 낮은 정서인식명확성이 단순 매개하였다. 이는 아동기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이 다른 기제를 통해 대학생의 우울한 기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ique impact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o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distinct emotion regulation linking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with depressive symptoms. In Study 1, the unique impact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on each depressive symptom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depressive symptoms into depressed mood, anhedonic depression, and general distress. 244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hood maltreatment(emotional abuse, emotional neglect, physical abuse, physical neglect, sexual abuse), childhood trauma, general distress, anhedonic depression, depressed moo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emotional abuse predicted depressed mood. Also only emotional neglect predicted anhedonic depres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assumption that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which are qualitatively different subtypes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have the different impacts on depressive symptoms. The Study 2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distinct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epressed mood and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ed mood and anhedonic depression. 323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hood maltreatment, childhood trauma, anhedonic depression, depressed mood,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emotional clarity,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howed that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epressed mood. Also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mp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epressed mood, respectively. Whereas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lack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mp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anhedonic depression, respectively. And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ed m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inct emotion regulation migh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ed mood and anhedonic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3곳과 P시에 소재하고있는 유치원 2곳, 어린이집 1곳의 만4세~만6세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척도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평정용 또래 유능성을 사용하였고, 정서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Th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Cheklist」를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연구 문제에 따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또래 유능성은 적응적 정서 조절 능력과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에서는 공격 전략, 감정 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무 전략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과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에서는 공격 전략,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무전략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 전 략,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회피 전략, 무 전략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전략, 무 전략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는 또래 유능성에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서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유아의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전략, 무 전략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는 또래 유능성에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서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가 어떠한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였을 때 또래 유능성을 잘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살펴보고 부모나 교사에게 정보를 주어 또래들과 잘 지내기 위해서 어떠한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자료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gain data, 322 4 to 6 aged children were sampled from 2 kindergartens in seoul, 2 preschools and 1 kindergarten in p city. In this research, to assess the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acher rating peer competence scale is administered and to measure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teachers also asked to report on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The statistical values of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The summary of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ttributes showed that peer competenc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gressive strategies,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ggressive strategies,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voidant & supportive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has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showed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does partial mediation effect. It suggests that peer competence is affected by not only adaptive emotion regulation but als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ird,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does partial mediation effect. It suggests that peer competence effect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r these reasons, when young children us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 can find out if they can do peer competence. Also we can tell to young children’s parents or teachers that which kind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young children being flourish with their peer check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 정서지능이 학생들의 전인격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세호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정서지능이 학생들의 전인격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2014년2월 박세호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생산관리 전공(지도교수 이경환) 정서지능은 인간의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능력 및 관계관리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정서지능은 개인의 지능 개발과 함께 완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초·중·고등 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사회의 교육에서도 정서지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정서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과 원리가 충분히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어 정서지능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의 제시가 미흡하다. 파워순환적접근에 의하면 개인이 자아실현으로 나아갈 경우 정서지능이 함께 개발 된다고 한다. 자아실현에 대한 파워순환적접근에서는 개인행동의 가치화를 도모하고 성취요소 네 요소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경우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며 완전히 기능하는 정서능력이 개발 되고 정서지능은 향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파워순환적접근에 의해서 개인의 정서지능개발의 원리와 이론을 규명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정서지능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행동의 가치화는 파워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파워프로세스는 파워요소, 욕구, 가치, 관계 및 환경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정서의 가치화를 도모한다(이경환, 2011). 이러한 파워프로세스에서 파워요소를 정서적요소로 할 경우 이는 정서형성 프로세스이다. 파워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정서는 긍정적이다. 정서의 가치화는 정서가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한다. 인간의 내면에는 파워의 다섯 속성 (창조, 보존, 지배, 귀속, 결합) 이 있다(이경환, 2011). 파워의 다섯 속성은 감정을 만들어 내고 이것을 바탕으로 정서를 형성한다. 파워의 다섯 속성이 능률적이거나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완전기능 정서가 형성된다. 완전기능정서와 정서의 가치화가 결합할 경우 정서지능이 향상된다. 정서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도약을 위한 목적을 설정하게 하고 자신의 나약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모색하여 목적 지향적 행동을 낸다 (이경환, 2011). 가치화는 환경이 선택하는 기준을 만들어내고, 이 기준을 적용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에 관계한다. 이러한 가치화는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을 만들어낸다. 또한 이러한 가치화는 파워프로세스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기 위해서 개인은 의도적으로 성취행동 4요소 즉, 행동의 합리성, 행동의 일관성, 행동의 긍정성, 행동의 자율성을 추구해야하며, 이 경우 인간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이경환, 2011).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에 대한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실증 분석 하고 검증한다. 가설① : “파워속성이 완전히 기능하면 정서지능이 높을 것이다.” 가설② : “파워프로세스가 완전히 기능하면 정서지능이 높을 것이다” 가설③ : “정서능력진단 포지션에 따라 정서지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④ :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가설⑤ : “파워프로세스가 활성화된 학생들은 학업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강화도에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남녀전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5부의 설문이 배포되었으며 191부의 사용가능한 설문을 통계적 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한 결과 본 논문이 제시한 5가지 가설이 모두 실증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이러한 실증 연구로부터 학생의 정서능력진단포지션을 통한 전인격적 발달을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한다. 첫째, 파워속성이 활성화된 학생들은 자아실현정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은 파워속성과 파워프로세스를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정서지능이 높게 나타난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렇기 위해서는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도록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모해야한다. 셋째, 완전히 기능하는 정서와 정서의 가치화의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다. 넷째,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즉, 학생의 정서지능의 정도가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는 만큼,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가정이나 학교에서 파워순환적 접근에 의한 정서지능형성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파워프로세스가 활성화된 학생들은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정서지능이 높으면 학업성취가 높아지므로 파워프로세스를 통한 교육에 관심을 가져야겠다.

      • 情緖行動障碍兒를 위한 C. Jung의 曼茶羅 美術治療 硏究

        박효아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장애아 교육의 관심이 커지면서 미술치료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를 통해 미술치료의 필요성과 효과가 입증되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술치료의 역사는 전반적으로 기계문명이 중시되는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심리적, 교육적 고찰의 변화와 더불어 동시에 예술의 역할에 대한 탐구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면서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술치료의 적용은 특수교육현장에서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적 갈등과 문제들을 극복하는데 있어 꿈이나 기억의 이미지가 감정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가 주목되었다. 특히 융(Carl G.Jung)은 미술이 자기 이해와 감정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생각하였고, 무의식이 변화와 행복의 원천이라고 여겼다. 융이 꿈과 미술에 대해 해석한 이미지 설명은 정신치료 단체들의 관심을 끌었고, 정신 분석가들이 미술표현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특히 많은 치료자들은 색과 이미지가 특정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만다라, 즉 원 그림의 상징적, 구조적 측면을 연구해 왔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융의 제기한 만다라 미술표현의 치료법이 정서행동장애아의 정서와 행동문제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고찰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9세의 D초등학교 3학년 남자 아동 L군이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매사에 의욕이 없으며 학습면에서도 성취도가 낮아 많은 좌절감을 느끼고 있는 아동이다. 본 연구는 L군의 정서장애 측면의 소란스러운 행동, 행동장애 측면의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 행동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 만다라 미술치료가 정서행동의 장애적 문제를 지닌 아동의 정서와 행동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정서적으로 불안전하고, 매사에 의욕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학습면에서도 성취도가 낮아 많은 좌절감을 느끼고 있는 아동에 대해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2회에 걸쳐 8주간 실시한 결과 정서적 불안 행동이 감소하였고, 여러 형태의 수업 중 학습내용에 집중하지 않는 행동과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해야 할 과업을 하지 않는 행동, 그리고 주어진 학습과제를 완수하지 않는 행동 등이 감소하는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써 융의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정서행동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행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 Jung's Mandala Art Therapy has therapeutic effects on the emotion and behaviors of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disordered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9-year-old boy student called「L」. He is in the 3rd grade of D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City. He is emotionally anxious and has lost his enthusiasm in everything. His low achievements in learning has made him frustrated quite a lot. This study is focused on researching his noisy behaviors which have been revealed in emotional disorder and his scatterbrained attitude in class which has been revealed in behavioral disorder. After he has participated in C. Jung's Mandala Art Therapy Programs 22 times for 8 weeks, his emotionally anxious behaviors have been reduced. His scatterbrained attitude in class, his lazy response to the teacher's instructions and his behavior refusing to accomplish study works have been improved to some extent. In conclusion, C. Jung's Mandala Art Therapy Program is proved to be effective on improving behaviors and learning attitude of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disordered children.

      • 정서인식력검사(Emotional Recognition Test)의 문항특성분석

        양원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2001년도에 이수정이 개발한 정서인식력 검사(Emotional Recognition Test)의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 난이도, 변별도의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소년원에서 ERT를 실시한 자료 중 10-15세에 해당하는 260명과 서울 지역 두 개 중학교에서 학년별로 ERT를 실시한 191명의 결과 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내적합치도를 평가한 결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하여 난이도, 변별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별도를 가지고 있으나, 정서변별, 맥락이해 척도 하위 문항들 중 변별도가 낮은 문항이 나타났다. 특히 39번 문항의 경우 변별도가 기준보다 낮을 뿐 아니라 난이도와 변별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문항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 연구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수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부정적 정서의 인지적 재해석이 과제수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특정 조합이 이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화나 슬픔과 같은 부정적 정서는 일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과제 수행에 방해가 되곤 한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기 위한 여러 전략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 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 바로 인지적 재해석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정서 조절을 위해서는 여러 인지적 재해석 중에서 각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을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의 조합을 밝히고, 이것이 과제 수행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같은 부정적 정서이지만 서로 다른 각성 수준을 가져 구분되는 화와 슬픔의 두 정서에 초점을 맞추었다. 화가 유발될 때 현재 느끼고 있는 정서(예. 화)에 대해 다시 한번 확신하는 ‘정서 확신’이라는 인지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현재의 불편한 상태를 외부 상황 혹은 타인의 잘못으로 귀인하여 스스로(self)를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때문에, 이후의 인지적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한편, 슬픔을 경험하게 되면 자신이 그 사건을 잘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지각하게 된다. 따라서 암묵적으로 자기 평가를 절하하게 되는데 이때, 부정적 사건에 대해 긍정적 의미를 덧붙이는 ‘긍정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스스로 성장했다는 느낌을(a sense of self-growth) 받기 때문에 슬픔으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을 성공적으로 회복하게 되어, 이후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정서확신, 슬픔-긍정적 재해석의 조합의 긍정적 영향은 평소 인지적 재해석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유의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위와 같은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디자인은 2(정서 : 화 vs. 슬픔) ⅹ 2(인지적 재해석 : 긍정적 재해석 vs. 정서 확신) ⅹ 2(인지적 재해석 능력 : 높음 vs. 낮음) 피험자 간 요인설계(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이며 종속 변인은 인지적 숙고 과제(cognitive reflection test)였다. 인디아나 대학(Indiana university)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151명(남성 : 102명, 여성 : 49명)이었다. 먼저 슬픔 혹은 화를 회상을 통해 활성화시킨 다음, 특정 지시문에 따라 긍정적 재해석 혹은 정서 확신의 인지적 재해석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인지적 숙고 과제를 풀었으며, 인지적 재해석 능력 등에 응답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독립변인인 정서, 인지적 재해석 종류, 인지적 재해석 능력의 삼원상호작용의 유의하게 나왔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슬픔을 경험한 사람은 긍정적 재해석을 했을 때 인지적 숙고과제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도 더 높은 점수였다. 특히 이러한 패턴은 예측했던 바와 같이 인지적 재해석의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화를 경험한 사람의 경우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일부지만 특정 정서와 특히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이 존재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조합이 조화로웠을 때 과제 수행 시 정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도 더 높은 성과를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부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며, 성공적인 인지적 재해석이 삶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상위정서철학 및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송수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and social competence fo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f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and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to inquire into what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s on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and social competence, and also what effect of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has on their social competence. To examine above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about emotions using PASW Statistics program 18.0. Forty-three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 to measur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arental Meta-Emotion Interview(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1986) and ‘Parental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Mittman and Hooven(1994), to measure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an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CAME)’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2, 2004), an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Child Rating Scale(T-CRS)’ developed by Hightower et al(1986). Results suggest tha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xerts a positive effect on several areas of preadolescent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as well as preadolescent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exercises influence on their social competence. The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how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First of all, maternal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emotion. Secondly, mothers' self-acceptan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sertive social skills and peer sociability. Also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onal awareness, regulation and remediation ability. Mothers'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emotion demonstrates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 well as with children's frustration tolerance, assertive social skills, work habits and peer sociability, and also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ducting and learning problems. Maternal coaching of the children's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remediation, but nothing significant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urthermore, children's own emotional awareness ability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ssertive social skills, and children's comfort with expression of the emotion level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ssertive social skills as well as work habits, and also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shy/anxious problems and learning problems. Lastly,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sub-scal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ren's emotional remedi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frustration tolerance, work habits, assertive social skills, and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ducting and learning problems. Second, preadolescen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s influenced by the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mother's self-acceptance and regulation, children yield a higher ability of their emotional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s emotional remediation is influenced by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maternal acceptance of their child's emotion, children show a greater ability of emotional remediation. Third,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has a parti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social competence. Especially, with hig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y have greater assertive social skills, work habits, peer sociability and lower shy/anxious, learning problems. And also with more comfort with expression of emotion, they have lower shy/anxious problems. Forth, in the study, there are partiall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ut not reveal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 of two factors. The possible reasons for these unexpected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various points of view. In conclusion, the preadolescent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is influenced by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well as greatly effects on their social competence. This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readolescent children and mothers to handl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Furthermore, the resul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material in developing such education programs for them.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전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상위정서철학 및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상위정서철학과 사회적 유능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더불어 아동의 상위정서철학이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이 위치한 5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및 어머니 43쌍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의 상위정서 인터뷰(PMEI: Parent Meta-Emotion Interview)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인터뷰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Katz, Mittman과 Hooven(1994)이 개발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의 아동/청소년 상위정서 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Nahm(2006)이 번안한 부모의 상위정서인터뷰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로 번안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이 개발한 아동 및 청소년 상위정서 코딩시스템(CAM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해 평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Hightower과 동료들(1986)이 개발한 ‘교사용-아동 평정척도(The Teacher-Child Rating Scale: T-CRS)’를 정현희(2002)가 한국판 척도로 타당화 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상위정서철학 및 사회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어머니 자신의 정서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를 인식하는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자신의 정서에 대한 수용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서에 대한 수용도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상위정서철학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 자신이 경험하는 정서에 대한 수용 및 조절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수용수준과 코칭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회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기주장기술 및 또래관계기술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 정서에 대한 수용이 높을수록 좌절인내, 자기주장, 과제지향, 또래관계기술이 높고, 외현화 행동 및 학습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상위정서철학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는, 아동의 정서인식 및 이해능력이 높을수록 자기주장능력이 높았으며, 아동의 정서표현에 대한 편안함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주장능력 및 과제지향이 높고, 수줍음-불안 및 학습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좌절인내, 자기주장, 과제지향, 또래관계기술 수준이 높고, 외현화 행동, 수줍음-불안, 학습문제는 낮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회복능력이 높을수록 좌절인내, 자기주장, 과제지향이 높고, 외현화 행동 및 학습문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 자신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서에 대해 수용적이며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할수록 그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아동은 정서회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상위정서철학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이 정서조절을 잘 할수록 자기주장능력이 높고, 과제지향적이며, 또래관계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을 잘 하지 못할수록 수줍음-불안 행동이 높고 학습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정서표현에 대한 편안함 수준이 낮을수록 수줍음-불안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는 일부 밝혀내었지만 인과관계를 밝혀내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논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각 변인들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어머니 및 아동의 상위정서철학은 설문지법을 보완한 인터뷰법으로,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측정은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측정을 통해 평정하였다. 두 번째로,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 초기단계에 있는 상위정서철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아동 발달에 미치는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과정에 대한 기제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상위정서철학 확립의 기초가 형성되는 전청소년기 아동을 대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연령, 근무기관, 최종 학력 등)에 따른 정서지능, 정서노동,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과 보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 중 참여 의사를 밝힌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하여 3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 한 뒤, 총 32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한지현과 유태용(2005)이 번안한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Gilstrap(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ELS(Emotional Labor Scale, Grandey, 2000) 연구도구를 이진화(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NAEYC) 인정기준, The 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NCAC) 인정기준,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Childhood Program(APECP) 평가척도,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한국교육개발원(2000)의 평가기준 등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들에서 문항을 추출하여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유아교사의 최종학력, 근무기관유형, 교육경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가 대학원에 재학하고 국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면서 7년 이상의 교육 경력이 있을 때에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여 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나타나게 되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고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서로 밀접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서지능이 높은 유아교사가 정서노동 또한 잘 수행하고 유아교사 자신의 정서 조절 및 타인의 정서를 인식할 때에 긍정적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다면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설명력이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o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differ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ge, institution type, education, etc.)? 2. How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ssociated with one another? 3.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affect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To answer these questions,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n a total of 320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Th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translated by Han and Yu (2005),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otional Labor Scale (ELS) (Grandey, 2000) in Gilstrap (2005), which had been adapted by Lee (2007),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labor. The items from such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cales as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NCAC),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Childhood Program (APECP),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nventory developed by Lee and Lee (1996), and the criteria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adapted by Lee (2003) to measur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21.0 program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ge had no significant effect, whereas education, institution type, and teaching care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and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nd had great explanatory pow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o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 표현규칙에 대한 명확성인식이 정서노동결과에 미치는 영향 : 고객(소비자), 상사, 동료대상 정서노동을 중심으로

        윤덕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It has been over 30 years since Hochschild had proposed the Emotional Labor newly as for the components in the labor literature. The topic of emotional labor in modern society is beginning to be on the center of attention besides the other concepts regarding the labor. That the emotional labor has come to be importa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There are a couple of reasons to focus on the managing emotion in modern society. Firstly, we need to look into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Recently, service providing companies are increasing in number, and the competition to enhance their service is getting fierce. In fact, it is the employees that provide service to customers in person, thus the company image is defined by their internal employees. That is why company is required to manage their internal employees’ emotion. Secondly, the social media is getting more and more influential nowadays. At the time when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was not commonly used, it was possible to make corporate or their brand image as company want to be. However, most people started to use a social media these days, which means it is possible to show real corporate climate or organizational atmosphere inside to the majority of the public. This is another reason that the need for managing internal employees’ emotion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Given this context of tim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emotional labor toward not only the external clients(customers) which was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many times, but also the internal clients(superiors and coworkers). The emotional labor target (customers, superiors and coworkers) in this study differs by clarity awareness in emotional display rule which is normally set by the organization(compan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urned out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clarity awareness in emotional display rule. The current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one which focused only on the service providing situation,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uthor found out that the psychological reaction(positive or negative) after using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non-service situation(toward superiors and coworkers) is the same as in the service providing situation(toward customers). More specifically, employees are engaged in either the surface acting or deep acting(which is called emotional strategies) while experiencing emotional labor toward customers, and it anyhow causes positive or negative psychological reac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y feel the same thing to their superiors and coworkers too. This results implicates that company needs to set up the strategy for alleviating the job burnout and enhancing the job involvement in non-service situation applying this psychological state that employee can suffer from the typical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providing situation. Second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train and educate workers to precisely perceive the emotional display rule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such as the one with superiors and cowork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clarity awareness in emotional display rule helps to increase the job involvement consistently. In addition to this finding, it plays a role in moderating the level of job involvement, caused by surface and deep acting, to be consistent. It means that this finding can be used in practical way to enhance employees’ job involvement by making them sure about the emotional display rule by training or education. Thirdly, we found out that the ambiguity in relationship can increase the level of job burnou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is study, although employee is engaged in the same surface acting, it turned out to be less influential on the job burnout when the relationship is clearly classified such as a customer or a superior.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job burnout increased when they are in emotional labor toward coworkers whose relationship among them can be ambiguously recognized, because they are hierarchically almost equal. In short, employees are likely to experience burnout much more, although they are engaged in the similar emotional labor. That is because they perceive their role unclearly, if there is not a certain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under the premise of hierarchical equality. Last but not least, it is worthy examining the different influence betwee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ccording to the main effect analysis, the surface acting has an influence only on the job burnout except for the case of emotional labor towards superior. In contrast, the deep acting has an influence both on the job involvement and the job burnout consistently. It shows that the deep acting causes more consistent result rather than the surface acting. Thus it is easily predictable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lleviate the negative influence and enhance the positive influence by leading workers do the deep acting rather than trying to get rid of the negative effect caused by the surface acting. 개인의 사적(私的)인 관리 대상이었던 정서(emotion)가 교환가치를 내포한 노동의 관점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한지 30여년이 지난 현재. ‘정서’노동(emotional labor)이라는 생소한 노동의 개념은 현대사회에서 가장 주목 받는 노동의 개념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서노동이 현대사회에 중요한 개념이 된 것은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현재의 상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은 서비스조직이라는 맥락 안에서 정서노동 대상을 소비자(고객)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소비자(고객)와 종업원이 상호작용하는 서비스상황에서는 종업원의 정서표현이 일종의 교환가치의 성격을 띠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기업에서는 종업원들이 경험하는 정서를 표현규칙의 형태로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과제를 갖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정서노동 연구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서비스 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정서노동의 대상은 소비자(고객)의 경우로만 한정되어 왔다. 하지만, 서비스업 종사자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기업들은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치열한 경쟁상황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은 역설적으로 내부 직원의 정서관리가 중요하게 된 상황을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서비스 상황에서의 종업원들은 각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다 본질적으로 정서노동의 개념은 기업이 급여를 매개로 한 조직 구성원들과의 계약관계와 기업에서 정한 표현규칙에의 응종(compliance)을 동시에 내포한 개념이다. 이런 차원에서 보면 조직내부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또한 정서노동의 범주에서 다루어져야만 한다. 비교적 최근에 상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들이 간혹 발표되고 있지만, 기존의 정서노동 연구에서는 조직내부 구성원들 간의 정서노동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서노동에서 전형적으로 다루었던 고객(소비자)이외에 직장상사와 직장동료로까지 대상 범위를 확장하여 정서노동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정서노동의 대상 범위를 조직 내에서까지 확대하게 되면, 기존에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표현규칙의 명확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다뤄지게 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이 표현규칙의 명확성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실제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표현규칙 명확성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표현규칙에 대한 교육효과로서 실제 고객들에게 긍정적 정서를 얼마나 전달했는가를 측정한 연구 정도 밖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김상표, 하환호, 2009). 하지만, 정서노동의 대상을 전통적인 연구대상인 외부고객(소비자)이외에 내부고객 차원으로까지 확대한다면 표현규칙의 명확성의 문제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부분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노동 대상을 확장하여 살펴본 결과 소비자(고객)를 대상으로 한 정서노동이 유발하는 긍정∙부정적 심리적 결과는 비서비스 업무 상황(상사와 동료와의 관계)에서도 기본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고객대상의 표면행위와 마찬가지로, 직상상사나 직장동료를 대상으로 한 표면행위는 직무소진과 뚜렷하게 높은 상관을, 내면행위는 직무몰입과 높은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런 점은 기존의 정서노동에서 나타난 긍정∙부정적인 심리적인 결과를 일반적인 조직내부의 상황에서 적용하여 조직원들의 소진을 낮추는 전략이나 몰입을 높이는 전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정서 표현규칙의 방향(고객, 상사, 동료)과 역할의 명확성이 달라지게 되면, 정서노동으로 인한 결과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 표현규칙의 명확성을 주관적인 내면화의 정도로 정의하고 각각(고객∙상사∙ 동료대상 표현규칙)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대상에 따른 표현규칙의 명확성은 내면행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조절효과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하지만, 표면행위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는 상사와 동료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관찰되었고, 고객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표현규칙을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오히려 직무소진을 높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외적인 보상이나 환경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자신이 해야 하는 일만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오히려 소진(burnout)을 높일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표현규칙의 명확성 인식이 높아지면 직무상황에서의 몰입 경험은 대체로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고객과 상사, 동료를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에서 정서노동의 대상과 관계없이 표현규칙의 명확성은 직무몰입에 대해 뚜렷한 주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동일한 표면행위를 하더라도 그 대상이 고객(소비자)이나 직장상사와 같이 상대적으로 관계가 명확한 경우 직무소진을 덜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동료와 같이 관계가 상대적으로 평등한 경우(역할 모호성이 높은 경우) 직무소진을 일으키는 정도가 가장 크다는 역설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직의 맥락에서, 실질적으로 평등함이 전제된 관계에서는 외부적으로 그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지 않으면,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모호하게 지각할 수 있고, 유사한 패턴의 정서노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소진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는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부분이다. 주효과의 분석 패턴으로 살펴 보면, 표면행위는 소진에만 일정한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내면행위의 경우 직무몰입과 직무소진에 뚜렷하게 일정한 패턴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다는 점이다.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하위 변수들을 통합하여 추가로 분석한 결과로 보면, 내면행위의 효과는 직무소진에는 일정하게 역(-)방향으로, 직무몰입에는 일정하게 정(+)의 방향으로 기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결국 표면행위에 비해 내면행위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가 더욱 안정적인 결과를 예상하게 하는 것이며 표면행위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인 결과를 조절하기 보다는 내면행위로 유도하는 것이 보다 긍정적인 심리적 경험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가 기존의 정서노동 연구들과 차별화될 수 있는 중요한 지점 중 하나는, 표면행위로 인한 심리적 결과를 긍정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정서노동의 내면행위 전략과 표면행위 전략 중 내면행위에 비해 표면행위가 유발하는 심리적 경험이 대체로 부정적인 결과를 양산하고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Brotheridge & Grandey, 2002 외 다수). 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표현규칙의 명확성이 높다면(역할에 대한 분명한 자기인식이 있다면), 표면행위를 하더라도 직무상에서 경험하는 몰입은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대상(직장상사와 직장동료)으로 하는 경우에는 표면행위의 결과가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며, 관계의 대상에 따른 뚜렷한 역할인식은 직무상에서 긍정적 경험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기존 연구들에서는 설명하지 못했던 결과로 정서노동의 대상 범위가 달라지는 경우 정서노동으로 유발되는 심리적 경험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실무적 의미로 확장해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서비스 조직에서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표현규칙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결국 긍정적 경험(직무몰입)을 높일 수도, 부정적 경험(직무소진)을 강화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강화요인은 정서노동 대상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의 정서노동 연구에서 나타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견고한 결과들과는 상이한 결과들이다. 결국, 정서노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경험은 정서노동의 전략(표면행위와 내면행위)에 따른 결과뿐 아니라, 정서노동 대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의미에서 조직내의 정서노동까지 범위를 확대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확인하지 못했던 범위를 확장하여 보다 넓은 대인관계차원을 고려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