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인식 명확성이 자기 파괴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의 매개효과

        허은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정서강도가 높을 때, 정서인식 명확성이 충동성을 부분 매개하여 자기 파괴적 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기 파괴적 행동을 자신 혹은 타인에게 손해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정서 상태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위험 행동으로 정의하였으며, 폭식 행동, 인터넷 중독, 관계 중독을 자기 파괴적 행동이라 정의하여 살펴보았다. 서울, 경기도 및 인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 직장인과 주부 등 일반 성인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정서강도 척도,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 축약판, 폭식 행동, 중독적 인터넷 사용 척도, 관계중독질문지-30을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에 해당하는 높은 수준의 정서강도 집단을 선정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강도 총점이 상위 50%에 해당하는 점수를 절단점으로 정하고자 하였으며, 빈도 분석 결과 50%에 가장 가까운 누적 49.8%에 해당하는 점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서강도 총점이 149점 이상인 28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통해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 파괴적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폭식 행동, 인터넷 중독, 관계 중독 간에 차별적인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폭식 행동의 경우, 정서인식 명확성이 충동성을 완전 매개하는 모형이 채택되었다. 인터넷 중독과 관계 중독에 대해서는 정서인식 명확성이 충동성을 부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in the level of high emotional intensity. Self-destructive behavior is defined as deliberate behavior tha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self or on the self's projects. Binge eating, internet 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defined as self-destructive behavior in this research. 573 college students and ordinary people completed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clarity, impulsivity, binge eating, pathological internet use, relationship addiction. In order to select subjects of the level of high emotional intensity, analysis of frequenc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cutoff scores of emotional intensity. As a results, top 49.8% of emotional intensity score was 149. Therefor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85 subjects with above 149. As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 with structural equation, differential mediated effects was found. Impulsivity mediated completely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binge eating. For models about internet 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and ideas on subsequent study have been suggested.

      •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실행기능 결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주형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과 부적응 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해 우울이 발생 및 유지되는 심 리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300명을 대상 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한국어 판 바클리 집행기능 결핍척도 단축형(K-BDEFS-SF),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 도(K-CERQ),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 료는 SPSS 27.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을 PROCESS Macreo 4.2 Model 4, Model 6을 사용해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을 사용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실행기능 결함,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우울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 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 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 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 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메 커니즘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이 실행기능 결함을 매개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정서인 식명확성과 실행기능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나아가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개입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우울에 대한 치 료적 효과를 보이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가 로 본 연구의 한계점,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정서인식명확성, 우울, 실행기능 결함,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나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through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A total of 328 of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on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and negative affect. In 18 of 328 date, missing date occurred, so missing date were substituted through missing date analysis and used for data analysis. 328 data(men=109, women=219)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A moderated mediation is an integrated model that combines mediation moderation effect therefore we tested th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 of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was verified. Second, mindful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Last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through emotional c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further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and a middle school students' negative affect related to emotional abuse and neglect by examining the antecedents of school mal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scenes in schoo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negative affect,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moderated mediation effe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8명(남자 109명, 여자 219명)을 대상으로 반추적 사고, 정서인식명확성, 마음챙김, 부정적 정서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18부는 결측값이 발생하여 결측값 분석을 통해 결측값 대체를 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328명의 데이터를 SPSS 22.0과 PROCESS Macro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모형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모형이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반추적 사고와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반추적 사고가 정서인식명확성을 경유하여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학교에서의 상담 장면 개입에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반추적 사고, 정서인식명확성, 마음챙김, 부정적 정서, 조절효과,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을 매개로

        조연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인식 명확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경기 및 강원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5~6학년 학생 약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관한 질문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긍정적인 공감태도는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모의 공감태도는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인식 명확성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공감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경우 아버지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매개를, 어머니의 경우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에서는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론을 통하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과 더불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에 관한교육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empathy,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A total of 270 individual students in grades 5-6 from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empath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al empathy,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empathic parent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while children's emotional c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children's emotional clarity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ternal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whereas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partially or completely plays a role in mediating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This conclusion supports the view that both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Regarding this, the study hope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iming to improve parental empathy as well as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손윤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이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일대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70명을 대상으로 정서전염 질문지, 정서인식 질문지, 공감적 이해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주요변인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이 정서인식 명확성을 통해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전염과 공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를 공감하고 이해하는데 있어 정서전염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지금까지 부모-자녀 사이의 공감연구는 자녀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점을 보완하여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부모-자녀 사이의 공감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서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와 부정정서의 조절효과, 그리고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우울, 심리적 수용, 부정정서를 측정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0.0과 SPSS PROCESS의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은 정적상관을 부정정서와 우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은 부정정서와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수용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서인식이 명확할수록 심리적 수용이 용이해지고, 우울감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를 얼마나 느끼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부정정서가 높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지라도 심리적 수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부정정서의 수준이 낮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정서인식명확성이 높다하더라 부정정서의 수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앞서 확인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결합하여,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로 가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와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즉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직접적으로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심리적 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는데 즉,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부정정서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의 긍정적 효과는 줄어들었다. 따라서 매개된 조절 모형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정 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을 예방하는 간접효과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 심리적 수용의 수준이 높아져 우울이 감소하지만, 부정정서가 이것의 효과를 축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clarity on depression and als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accept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 total of 307 students who enrolled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the macro function of SPS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negative emotion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depression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Such finding indicates that emotional clarity has a direct effect on decreased depression, while it also indirectly influences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negative emo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how much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negative emotion-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low,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However, 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high, emotional clarity did not facilitate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the mediated moderating model was confirmed in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while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at is,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on decreased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aken together, negative emotion decreased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depression will be reduced when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is high sin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rises. At the same time, they also imply that negative emotion may reduce the effect thereof. The significance,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stated results.

      •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의 매개효과

        최문정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35세로 미혼이며 서울 · 경기 소재 대학 재학생 및 대학원생, 직장인 등 2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SPSS 21.0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과 Bootstrapping 절차를 통해 경로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 수용, 이성관계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수용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경로의 유의성 또한 검증되었다. 이 결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 뿐만 아니라 수용을 통한 간접적 영향 또한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To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with 208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19~35, who were unmarried, including individuals currently employed or enrolled in an undergraduate or graduate program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SPSS 21.0 was used to conduct a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pathway was verified through a bootstrapping procedure.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primary factors, emotional cl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ance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accept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Third, this study verified a partial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also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way. These results verify that emotional clarity ha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but also an indirect effect through acceptance. Lastly, this study discuss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 정신화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의 매개효과 :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이호섭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화가 성인기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있는 만18세 이상 만30세 이하의 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 질문지, 정신화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심리적수용 척도, 우울척도 및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적 외상 경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모형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의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우선 정서적 외상 사건의 유형에 관해서는, 정서적 학대, 정서적 방임, 부모 간 폭력노출에 따른 변인의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상 사건의 발생 시기에 관해서는, 아동기 초기일수록 심리적수용은 낮고 불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외상 경험에 대한 현재 정서 강도에 관해서는, 정서 강도가 높을수록 정신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은 낮고 우울, 불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정신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 및 불안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정신화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한 성인의 정신화 손상은 성인기의 만성적인 우울 및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명확한 정서인식과 심리적수용의 어려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 및 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화와 만성화된 우울 및 불안의 관계와 이를 매개하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이라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상담개입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필요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adults who had experienced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Childhood Experience of Emotional Trauma Questionnaire(CEET.Q), The Mentalization Scale(MentS), the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AAQ-I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Y) with a sample of 315 adults 18-30 years old, corresponding to early adulthood. Mean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ome of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trauma experience in childhood. With regard to the type of emotional traum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ny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emotional abuse, emotional neglect and witnessing interparental violence. With regard to the timing of a trauma, the earlier it took place in childhood, the significantly lower show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higher that of anxiety.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current emotional intensity of a trauma, the higher the value was, the significantly lower showed the level of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higher that of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However,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equentially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mental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other words, the mentalization damage of adult, who experienced the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chronic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hood,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implications in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한창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관적 안녕감은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로 구성되었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처방식에 따라 조망 확대, 수용,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설문지 형태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를 명확히 인식 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긍정적인 정서를 빈번하게 경험하며, 부정적인 정서는 상대적으로 덜 느껴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선행이론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과는 달리,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인식 명확성은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처럼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으로 관계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를 명확히 하는 사람은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연속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내담자들에게 상담적 개입이 용이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민수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Somatization is a tendency for medical causes to show unclear physical symptoms and to complain of pain resulting from them, which is known to have an inappropriate effect on individual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emotional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somatization. Identifying the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emotional clarity, which is the basic variable in the emotional process, will affect the treatment and counseling scene of somatization.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social support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and somatization. For this purpose, 202 college students(115 males and 8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used SCL-90-R, TMMS, and social support scale.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matiz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somatization. Thir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 on somatization on groups with low emotional clarity. This study provided a mor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by looking at the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omatization, it provided an understanding for the counselor to interven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showing somatization symptoms in the counseling scene. 신체화란 의학적인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그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경향성으로, 개인에게 부적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에서 정서적 변인이 신체화의 발생 및 유지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서 처리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변인을 확인하는 것이 신체화의 치료 및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2명(남 115명, 여 87명)을 대상으로 신체화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화는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을 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 사회적 지지가 신체화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화와 관련된 개인 내·외적 변인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신체화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상담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는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