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hether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ha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consisting of the 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Trait Meta Mood Scale (TMMS), Self-Compassion Scale (SCS),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MLQ) Sca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PTGI-X) scale to 351 adults (178 males, 173 females) in their 20s to 60s residing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genc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by performing bootstrapping 10,000 times using SPSS 28.0 and Model No. 6 of PROCESS Macro 4.1 for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emotional clarity did not directly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it did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of life mediators. Secon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lf-compassion.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the trauma experiencer recognizes the emotion, the more objectively he or she can reflect on the events occurred and can increase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by kindly taking care of them. Thir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one recognizes emotions, the more one has an advantage in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which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Fourth, emotional clarity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after preceding self-compassion.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emotional clarity, the more the trauma experiencer can grow positively through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improving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unseling scene.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 기관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는 20∼60대 성인 351명(남 178명, 여 173명)에게 외상 경험 질문지(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 Trait Meta Mood Scale), 자기자비 척도(SCS: Self-Compassion Scale), 삶의 의미 척도(MLQ: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scale), 외상 후 성장 확장판 척도(PTGI-X;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Scale)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8.0, PROCESS Macro 4.1의 Model 6번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 10,000회를 실시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을 직접 예측하진 못했지만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 매개 변인들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외상 경험자가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 친절하게 돌보는 태도를 통해 외상 후 성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삶의 의미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이점을 가질 수 있어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선행하고 삶의 의미를 거쳐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수록 자기자비, 삶의 의미를 통해 외상 경험자가 긍정적인 수준의 성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상담장면에서 외상 후 성장 수준을 향상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지수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방임이 또래애착을 예측함에 있어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5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9.0과 PROCESS Macro 4.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적 방임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end, 38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3.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나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through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A total of 328 of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on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and negative affect. In 18 of 328 date, missing date occurred, so missing date were substituted through missing date analysis and used for data analysis. 328 data(men=109, women=219)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A moderated mediation is an integrated model that combines mediation moderation effect therefore we tested th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 of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was verified. Second, mindful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Last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thought and negative affect through emotional c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further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and a middle school students' negative affect related to emotional abuse and neglect by examining the antecedents of school mal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scenes in schoo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ruminative thought,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negative affect,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moderated mediation effe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8명(남자 109명, 여자 219명)을 대상으로 반추적 사고, 정서인식명확성, 마음챙김, 부정적 정서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18부는 결측값이 발생하여 결측값 분석을 통해 결측값 대체를 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328명의 데이터를 SPSS 22.0과 PROCESS Macro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모형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모형이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반추적 사고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반추적 사고와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반추적 사고가 정서인식명확성을 경유하여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학교에서의 상담 장면 개입에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반추적 사고, 정서인식명확성, 마음챙김, 부정적 정서, 조절효과,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실행기능 결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과 부적응 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해 우울이 발생 및 유지되는 심 리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300명을 대상 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한국어 판 바클리 집행기능 결핍척도 단축형(K-BDEFS-SF),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 도(K-CERQ),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 료는 SPSS 27.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을 PROCESS Macreo 4.2 Model 4, Model 6을 사용해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을 사용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실행기능 결함,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우울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 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 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 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실행기능 결 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메 커니즘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이 실행기능 결함을 매개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정서인 식명확성과 실행기능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나아가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개입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우울에 대한 치 료적 효과를 보이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가 로 본 연구의 한계점,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정서인식명확성, 우울, 실행기능 결함,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최다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자기자비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3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6.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 외로움, 자기자비, 관계중독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외로움, 관계중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외로움과 관계중독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외로움과 자기자비를 경유하여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매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한점과 더불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and ident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nd self compassion. For this purpose, 33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loneliness,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loneliness, and relationship addiction, and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nd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the Sequential mediation of emotional clarity affecting relationship addiction through loneliness and self-compass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정서문항에 대한 응답시간(RT)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자기보고가 아닌 행동지표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를 신청한 148명 중에서 우울 기준을 충족하는 59명을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7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 참여자들은 정서 상태 및 정서문항에 대한 RT 기저선을 측정하는 컴퓨터 설문 프로그램에 응답했다. 설문 응답 후 분노유발을 위한 글쓰기 과제를 하였고, 곧이어 분노 조작 확인을 위해 분노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 후 두 개의 집단으로 무선배정 되어 각 집단별로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 지시와 통제 지시에 응했다. 마지막으로 실험 참여자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에 대한 문항에 응답했고, 이 때에 정서 상태 및 정서문항에 대한 RT가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집단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정서인식명확성(RT)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고 처치의 통계적 유의성과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서문항에 대한 참여자들의 사전 RT 기저선을 통제하고도 통제 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 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를 돕는 단회적인 실험처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마음챙김 자기초점주의가 우울한 사람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을 돕는 전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을 행동지표를 통해 측정하여 자기보고식 측정방법의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Somatization is a tendency for medical causes to show unclear physical symptoms and to complain of pain resulting from them, which is known to have an inappropriate effect on individual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emotional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somatization. Identifying the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emotional clarity, which is the basic variable in the emotional process, will affect the treatment and counseling scene of somatization.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social support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and somatization. For this purpose, 202 college students(115 males and 8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used SCL-90-R, TMMS, and social support scale.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matiz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somatization. Thir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 on somatization on groups with low emotional clarity. This study provided a mor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by looking at the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omatization, it provided an understanding for the counselor to interven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showing somatization symptoms in the counseling scene. 신체화란 의학적인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그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경향성으로, 개인에게 부적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에서 정서적 변인이 신체화의 발생 및 유지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서 처리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변인을 확인하는 것이 신체화의 치료 및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2명(남 115명, 여 87명)을 대상으로 신체화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화는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을 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 사회적 지지가 신체화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화와 관련된 개인 내·외적 변인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신체화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신체화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상담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는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신화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의 매개효과 :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이호섭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화가 성인기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있는 만18세 이상 만30세 이하의 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 질문지, 정신화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심리적수용 척도, 우울척도 및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적 외상 경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모형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의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우선 정서적 외상 사건의 유형에 관해서는, 정서적 학대, 정서적 방임, 부모 간 폭력노출에 따른 변인의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상 사건의 발생 시기에 관해서는, 아동기 초기일수록 심리적수용은 낮고 불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외상 경험에 대한 현재 정서 강도에 관해서는, 정서 강도가 높을수록 정신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은 낮고 우울, 불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정신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 및 불안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정신화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한 성인의 정신화 손상은 성인기의 만성적인 우울 및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명확한 정서인식과 심리적수용의 어려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 및 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정신화와 만성화된 우울 및 불안의 관계와 이를 매개하는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수용이라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상담개입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필요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adults who had experienced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Childhood Experience of Emotional Trauma Questionnaire(CEET.Q), The Mentalization Scale(MentS), the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AAQ-I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Y) with a sample of 315 adults 18-30 years old, corresponding to early adulthood. Mean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ome of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trauma experience in childhood. With regard to the type of emotional traum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ny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emotional abuse, emotional neglect and witnessing interparental violence. With regard to the timing of a trauma, the earlier it took place in childhood, the significantly lower show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higher that of anxiety.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current emotional intensity of a trauma, the higher the value was, the significantly lower showed the level of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higher that of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However,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equentially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mental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other words, the mentalization damage of adult, who experienced the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not only directly affected the chronic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hood,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implications in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을 매개로
조연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정서인식 명확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경기 및 강원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5~6학년 학생 약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관한 질문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긍정적인 공감태도는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모의 공감태도는 아동의 정서조절과 정서인식 명확성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공감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경우 아버지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매개를, 어머니의 경우 공감과 정서조절능력 사이에서는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론을 통하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공감과 아동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과 더불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에 관한교육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empathy,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A total of 270 individual students in grades 5-6 from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empath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al empathy,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empathic parent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their emotion regulation while children's emotional c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children's emotional clarity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ternal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whereas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partially or completely plays a role in mediating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This conclusion supports the view that both parental empathy a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Regarding this, the study hope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iming to improve parental empathy as well as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한창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관적 안녕감은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로 구성되었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처방식에 따라 조망 확대, 수용,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설문지 형태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를 명확히 인식 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긍정적인 정서를 빈번하게 경험하며, 부정적인 정서는 상대적으로 덜 느껴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선행이론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과는 달리,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인식 명확성은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것처럼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으로 관계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정서를 명확히 하는 사람은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연속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존재로서의 자기수용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내담자들에게 상담적 개입이 용이한 자기수용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