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예술공연장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atial desist of the proper theater for the traditional Korean art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out the design factors for and give the theater of its own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s. This study discuss the nature and the fort of,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so as to find out which of the design factors between the function of the stage and its relationship to audience.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deals with the purpose, the method and extent of this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fundamental conceptions the types concerning the arts and stages.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nature and form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Chapter 4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odern theatres in Pusan and the present performing place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Chapter 5 deals with the spatial design factors of the proper theater, and indoor space plan of the proper theater for traditional Korean arts was expressed as a production in Chapter 6. Foregoing in progressive, the traditional arts is creatively suceed and we try to revive it in indoor, this opportunity hand down in modern people heart and it help the formation of a value of system. Also, there is trying to recreative work which added a period. More special and proper research continue and emphasize with necessity.

      •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곽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시대의 변화와 함께 문화는 새로운 국가 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경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본연의 영리추구를 위한 활동 외에 공익을 위해 기업이 가진 보유자원을 활용해 사회를 풍요롭고 활기차게 유지할 책임이 존재하며 이러한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기업메세나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과 차이가 있지만 홍보적 성격을 띤 사회적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두산, 삼성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도 포함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1990년대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안정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월드컵과 같은 국제적 행사를 통해 많은 기업이 문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지원이 기업메세나 활동의 촉진을 유발했다. 문제는 기업메세나 활동의 지원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주로 미술, 서양음악, 문화예술 인프라 등의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불균형 성장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가별 메세나 정책과 사례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메세나 활동의 인지도와 만족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에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업메세나 연구와 전통예술공연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기업메세나 현황과 각국의 메세나 정책을 살펴보고, 2016년 이후에 공연되고 있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업메세나와 인지도, 그리고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으며, 제6장에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의 수단으로 전통예술공연이 활용되어야 할 이유를 넒은 개념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전통예술공연을 기업이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다. 첫째, 기업은 전통예술공연은 마케팅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기업의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기업이 문화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가치를 향상시키는 가치경영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메세나 활동이다. 다변화되고 있는 기업의 경영활동에 문화적 요소를 결합시켜 기업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업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어 갈 수 있다. 또한 전통예술공연은 인적자원의 잠재능력을 높게 끌어올려 내부 직원의 생산성 증대, 직원만족도 증가 등의 인적자원 활성화를 통해 조직경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330분가 배포되어 193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소비특성에 대한 분석과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지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이 0.590로 0.4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0.604의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도 모두 0.568 이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설결과 ‘외부적 만족’과 ‘내부적 만족’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신뢰도 계수는 0.812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문항들에 대해 요인분석 실시 전 측정한 자료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두 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메세나 활동’‘메세나 효과’로 명명하였으며, 신뢰도 계수는 0.866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한 결과 가설1은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되었으며하였. 분석결과 부분적으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가설2는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메세나 활동 증가에 따라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메세나 효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가설3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는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 요인이 증가할수록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문헌연구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기업메세나의 방법으로 전통예술공연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공연 산업이라는 인식의 확대가 필요하다. 전통예술공연도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업적 성격을 각지고 있다. 둘째, 전통예술공연의 상품성 확보이다. 대중의 음악적 취향은 항상 변화된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사회적 사상의 변화 등과 함께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변화되는 것이다. 셋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지원 확충이다. 전통공연에 대한 지원은 현대공연인 연극, 음악에 대한 지원보다 부족하다. 넷째, 전통예술공연의 유통경로 확보이다. 유통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연장 확충이 먼저일 것이다. 문화예술 공연장은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이다. 다섯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홍보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공연의 정보를 얻는 경로는 친인척이나, 동료 등의 주변 사람들에 권유가 많았다. 기업메세나를 통해 전통예술공연과 기업이 상생(win-win)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상호적 필요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메세나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 사회적 기여 등을 통해 순수예술의 발전을 이끌 필요가 있고, 문화예술은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문화재 활용 사업을 통한 전통예술 활성화 연구 -야행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남혜윤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of the mid-2000s shifted its paradigm from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o “active utilization through expans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at the center of these changes serves as a factor creating added values by, not only provid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the cultural heritage with various viewing contents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but also revitalizing the tourism industry.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nighttime activitie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grams, which used to be operated during the daytime, are operated during the nighttime as well. One typical example is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offers a wide range of experiences, such as viewing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at night, in order to reinterpret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enhance understanding and attachment to cultural elements through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In particular, the 8 Night (夜) Themes, which reinterpret cultural heritag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under the theme of night, are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tourism industry, along with its various content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currently carried out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e divided largely into palace night travel programs and regional night travel program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8 Night Themes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palace and regional night travel programs: Changdeokgung Palace Moonlight Tour, Gyeongbokgung Palace Starlight Tour,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Gyeongju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and Jeonju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contained in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Night Story, one of the 8 Night Themes. It is primarily aimed at searching for ways to create new values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at come with inherent significance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After analyzing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through literature study as a research method, five cas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hrough data research and interview results. As such, this study supplements the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in academic terms and proposes measures for realistic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in practical term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to revitlize the traditional art of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and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the night travel program as a content platform. First, content development through storytelling of experience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is the key. Second,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 contents of the night travel program should be diversified. Third, rather than simply linking cultural heritage with contents,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unique contents such as the 8 Night Themes. Fourth, efforts should be spent to organize a traditional art performance program that goes with cultural heri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o reinterpret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for a novel creation. Fifth, in order to create a distinctive content, professional planners such as performing arts directors and professional artists should collaborate for projects. Lastly, since the demand for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is not met, the programs should be increased in numb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Frequent visits to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means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those viewing the performances, and it may directly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is study, however, has mainly been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previous studies and limited interviews.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advised to carry out extended interviews with other persons concerned with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such as program planners and performance participants. Moreover,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n the night travel program, empirical research based on systematic data should additionally be conducted. The researcher expects that it would serve as a basic data for the content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art tourism using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2000년대 중반의 문화재 정책은 기존 ‘문화재의 관리와 보존’ 중심에서 ‘다양한 문화콘텐츠 확장을 통한 적극적인 활용’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해당 문화재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다양한 관람 콘텐츠를 제공하고 문화재 가치 인식의 제고는 물론 관광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여가시간과 야간 활동 시간이 증가하고, 낮 시간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이 야간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은 전통문화자원을 재해석하고 유·무형유산을 통해 문화요소에 대한 이해와 애착을 높일 수 있도록 밤 시간을 활용한 문화재 관람, 전통예술공연 등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잘 나타내는 문화재를 밤이라는 주제로 재해석한 8야(夜)의 테마는 관광 산업은 물론이며, 문화재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들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현재 문화재청이 시행하는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은 크게 고궁 야행프로그램과 지역야행프로그램을 구분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대표적인 고궁과 지역의 야행프로그램인 창덕궁 달빛기행, 경복궁 별빛야행, 강릉 문화재야행, 경주 문화재야행, 전주 문화재야행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8야(夜) 테마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특히 8야 중 야설(夜設)에서 전통예술공연이 가진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얼마나 담보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문화재의 내재적 의미와 가치를 지닌 전통예술공연을 통해 문화재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핵심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재 야행프로그램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후, 자료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통해 다섯 가지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의 부족한 연구를 보완하고, 실무적으로는 현실적인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 활성화 방안이자,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이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활성화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체험프로그램과 공연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화가 핵심이다. 둘째,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 콘텐츠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순한 문화재와 콘텐츠뿐 아니라 8야와 같은 다른 콘텐츠와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문화재 및 해당 지역의 특색에 부합하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의 구성, 기존의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창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차별화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연예술감독과 같은 전문 기획가 및 전문예술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는 매우 많지만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기에 횟수를 늘려 일반인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통예술 공연을 많이 찾는다는 것은 전통예술공연을 관람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와 제한된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에는 프로그램 기획자, 공연 참가자들과 같은 전통예술 공연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확장된 인터뷰를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및 예술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소비자의 감정반응(PAD)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장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의 전통공연예술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산업의 일부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공연예술을 발전시키고 계승시키며, 현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경쟁력 있는 국가를 만들어 가는 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관심은 대중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으며, 우리나라 문화의 중심이 되지 못하고 있다. 특정 계층의 관객뿐만 아닌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하기위해 최근 들어 점자 대중적이며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전통공연예술이 시도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 소비자의 감정반응(PAD)과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통공연예술의 수용확산과 발전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과 실증분석을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 구성과 연구 가설을 도출하고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공연예술 수용과정이 공연소비자의 감정반응과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전통공연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연소비자들의 감정반응에 따른 소비행동들을 파악하여 예술성 높은 작품 개발과 관객들이 만족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하여 전통공연예술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 이다.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became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that represents Korea. Therefore, developing and inherit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reinterpreting it according to present age is the way to making a competitive country. However, interest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s not so high among the public and it is not the center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not just a certain audience but anyone to acces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opular, new, and various contents are being attem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ceptance process on emotional responses(PAD) and consumption behaviors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literature and empirical analy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deriv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ceptance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actions and consumption behavior of performer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grasp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sponse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nd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istic works and services that satisfy the audience.

      •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장르적 융합에 관한 연구 : 작품의 유기적 구성 양식과 요소를 중심으로

        김규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hich are roo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re currently showing the signs of modernistic development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new technologies and different genres while preserving and succeeding to the original forms. While moving into the 2000’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has enabled the exchange betwee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nd the extensive embracement of such cultures, and Korea is also conducting and providing various researches and support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expand its cultural industry. Today,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xperience the severance from the public as they failed to adapt to rapid socio-cultural changes while undergoing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colonization by Japan, and the Korean War and also, they are perceived as a peculiar genre of art which require special skills.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various efforts which are made to overcome such phenomena and br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loser to the people,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such effor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and effect of us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focusing on the genre integration with the musical which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irst, the trends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musical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advance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reative musical’ pieces produced by domestic staff and opened between 2010 and 2020 to determine how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ve been used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where the story, song, and dance are put on stage at the same time. Within the limited scope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ree pieces: the <Red Cliff> which opened at Jeongdong Theater, the musical <Pan> which opened at CJ Azit Theater on Daehakno and Jeongdong Theater, and the musical <Seopyeonje> which opened four times since 2010, were analyzed in depth. The compositional format and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rew members of the piece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objectiveness of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pieces into ‘non-organic stage’ where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the ‘transitional stage’ where both simple integration and partial organic relationship were found, and ‘organic stage’ where each of the elements were applied appropriately and the quality of the piece was high.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ffect of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musical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by focusing on the modernistic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volved with a musical piece. In summary, the combination of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n organic relationship which reduced nega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t into a unique musical format that can be produced in Korea. This possibility of development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that can not only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a genre but also eliminate overheated competition and lack of materials, the problems emerging in domestic musical marke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regard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lead the cultural industry of Korea. 오늘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전통공연예술은 전통적인 원형을 보존하고 계승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술이나 여러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활성화하는 현대적인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술의 발달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 교류가 가능하고 적극적인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한국 역시 문화 산업의 확장을 위해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전통공연예술은 서양 문화의 유입과 일제강점기, 남북전쟁 등 역사적 사건을 겪으며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전문성을 요구하는 특수한 예술장르로 인식되어 대중들과 단절되는 현상을 겪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 대중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시도하는 여러 가지 방안을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공연예술적 성격이 공통으로 성립하는 뮤지컬과 장르적 융합을 중심으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의의와 효과를 논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와 노래와 춤이 동시에 실연되는 뮤지컬의 구성 양식 안에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개막한 국내 창작진이 제작하는 ‘창작 뮤지컬’ 작품으로 심층 분석 사례를 제한하였다.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적벽>과 대학로 CJ 아지트 극장과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뮤지컬 <판>, 2010년부터 총 네 차례 개막한 뮤지컬 <서편제> 세 가지 작품의 심층 분석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구성양식과 활용 요소 분석을 진행하되, 연구의 객관적인 증명을 위해 작품 제작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뮤지컬 구성 양식 안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는 정도의 기준으로 설정하였을 때 단순한 결합 형태를 이루는 ‘비(非)유기적인 단계’, 단순한 결합과 일부 유기적인 관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인 단계’,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적절히 활용되면서 작품 완성도가 높은 ‘유기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전통공연예술의 현대적 발전 양상 중 뮤지컬 작품 안에서 활용되는 형태를 중심으로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의의와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뮤지컬의 구성 양식과 전통공연예술이 결합하였을 때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요소를 감소시키고 한국에서 제작할 수 있는 독특한 뮤지컬 양식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도출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발전 가능성은 비단 전통공연예술 장르의 한계뿐만 아니라 국내 뮤지컬 시장에 도래한 경쟁 과열과 소재 고갈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의 가능성을 대변한다. 더 나아가 전통공연예술을 재해석하는 범위를 확장하여 한국의 문화 산업을 이끄는 일환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전통공연예술 관객 개발을 위한 공연기획 사례 연구 :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콘서트 다담>을 중심으로

        최유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2018 공연예술트렌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공연소비의 주체가 예술가 중심에서 관객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맞춰 전통공연예술 분야에서도 기획의 차별화를 통한 새로운 관객유입의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획자와 예술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악은 고루하다’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전통공연예술 시장의 새로운 관객유입과 저변확대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자는 공연기획자로 활동하며 기존 전통공연예술 분야에 존재하는 공연의 형식적 특성을 벗어나 예술가와 관객의 심리적 거리감을 극복한 공연에 주목했다.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브런치’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자 국내에서는 2004년 공연시간대의 고정관념을 탈피한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가 그게 성공한다. 이후 전통공연예술 분야에서도 2009년 국립극장 <정오의 음악회>를 시작으로 2010년 국립국악원의 <국악콘서트 다담>이 시작되었고 2015년 12월에는 문화가 있는 날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민속국악원과 국립남도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에 <국악콘서트 다담> 공연을 확대 실시한다. 이 외에도 서울남산국악당과 서울돈화문국악당 등 현재까지 전통예술분야 5개 기관에서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해 전통공연예술의 형식성(공연장소, 시간, 관람태도, 연주자와 관객의 소통방식 등)을 탈피한 공연을 ‘비정형적 공연’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여 구분했다. 그리고 전통공연예술 분야 5개 기관(국립극장, 국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 서울남산국악당, 서울돈화문국악당)의 비정형적 공연 현황을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5개 기관 모두 낮 시간을 활용한 기획이라는 점은 동일했지만 주요관객은 공연장의 위치에 따라 주부, 점심시간을 이용한 직장인, 귀촌인 등 다양했다. 공연개최 주기도 월 1회, 연간기획이 가장 많았으나 야외에서 개최하는 경우 날씨가 좋은 관광시즌에 집중개최하기도 했다. ‘브런치’는 한국적 느낌으로 ‘다과’, ‘아점’으로 부르고 대부분 기본으로 제공 되었다. 프로그램은 관객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국악입문자를 위한 친절한 해설과 대중적인 레퍼토리로 구성하였으나, 유명인을 진행자로 섭외하거나 초대 손님의 이야기에 음악이 더해지는 등 구성형식은 다양했다. 위에서 분석한 5개 기관의 비정형적 공연 중 눈여겨볼만한 사례는 국립민속국악원의 <국악콘서트 다담>이다. 이 공연은 2015년 12월 문화융성사업의 일환으로 매달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문화주간’으로 확대 운영하는 과정에서 국립국악원의 기획형식을 지방 국악원에 일제히 적용하여 시범운영 공연을 개최한 것이 시작이었다. 이듬해 2016년에는 정책기조에 따라 국립국악원 및 지방 국악원에 정규사업으로 편성했으나 강제성이 없어진 시점부터 국립남도국악원과 국립부산국악원에서는 차례로 사업이 폐지되었다. 결과적으로 지방 국악원에서는 유일하게 국립민속국악원의 <국악콘서트 다담>만 현재까지 높은 객석점유율을 보이며 계속 공연되고 있어 관객 개발의 성과를 거둔 사례로 주목된다. 본 연구는 국립민속국악원에서 주최하는 <국악콘서트 다담>의 기획자로 활동한 경험을 토대로 관객 개발을 위해 활용했던 아이디어와 연출방식을 정리하여 전통공연예술 분야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사례 연구를 위해 공연개요, 기획단계, 공연준비 및 진행단계, 홍보·마케팅은 기획을 끌고 가는 과정에서의 경험위주로 기술한다. 공연성과부분에서는 관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분석을 증명자료로 제시한다. 마지막 한계점은 기존의 공연들이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이야기 중심의 기획에 만족하는 관객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음악을 더 알고 싶은 관객들의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함으로 기존의 기획사례를 바탕으로 발전적으로 적용한 탈형식적 공연형태를 제안한다.

      • 전통공연예술 진흥을 위한 국립국악원의 주력사업 발전 방안연구 : 국내외 유사 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독고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전통예술은 과거의 생활과 의식의 집합체를 예술로 승화시킨 양식이자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문화와 가치관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 민족의 예술은 정부 차원의 전통공연예술 진흥에 관한 방향성의 논의가 부족한 상태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문화예술정책으로 전통예술 콘텐츠의 상품화 경향이 강조되며 대중성을 지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민족음악을 보존ㆍ전승하고, 그 보급 및 발전’을 위한 제도적 직무를 안고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의 국립국악원은 전통예술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방향과 시대적인 성향을 지향하며 대중과 가까워지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해오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기관의 역할을 찾아 나가고자 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그러나 주력사업이라 할 수 있는 공연 활동에 있어 대표공연으로 제작되고 있는 작품들은 성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유사 기관과의 차별성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또한, 주력사업의 부진한 점은 기관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력사업이 지향해야 하는 바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하여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의 운영현황과 주력사업인 공연사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대표공연 콘텐츠의 부진과 함께 내부 국악 자원의 활용 부족이라는 과제를 도출해내었다. 이러한 과제를 바탕으로 전통 콘텐츠를 동시대 예술로 이어 나가고 있는 전통예술 기반의 국내ㆍ외 기관 사례조사를 통해 기관의 현황과 어떻게 주력사업이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전통공연예술 진흥을 위한 국립국악원의 역할에 대해 지향해야 하는 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를 사업 추진의 확실한 비전 설정, 전통원형 중심의 공연 레퍼토리 확대, 전통공연예술 기관 간의 네트워크 확대와 낯선 국악 공연 감상의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형성으로 나누어 설정하고, 이를 통해 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방향을 주력사업으로 전통예술의 진흥을 도모하기 위한 기반 마련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의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국립국악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통공연예술 기관으로서 주력사업을 통해 전통예술의 계승 및 발전을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했다. 전통예술의 진흥을 위한 국립국악원의 노력에 더 좋은 결과를 위하여 주력사업 측면에서 기관의 방향성을 고려한 개선사항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를 갖고자 한다. Traditional arts can be seen as art forms evolved from a combination of lifestyle and ritual of the past and also as the root of our culture and point of views in the present. However, current traditional arts are pursuing mass appeal highlighting commercial content production to adapt to fast-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with lacking discussion over the general direction for the progres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t the governmental level. The representative case being National Gugak Center, a governmental organization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stablished under the mission of ‘conservation, transmission,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has been putting efforts to get closer to the public while following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and contemporary demands of the arts. Such activiti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re also relevant to positioning itself within the traditional arts sector. However, characteristics of signature performances, which may be seen as core activiti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to those of similar organizations in terms of form and character.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core activities as weak performances lead to a vagu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conveyed interviews which led to a conclusion that lacking clear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was due to the absence of signature contents and insufficient use of internal resources within the traditional music sector. Based on the identified issue, this paper conveyed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ased on the traditional arts sector and analyzed how these organizations are being operated and core businesses are run. Through the case study, suggestions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could be made. This includes setting up a clear vision for its core activities, increasing performance repertoire focusing on original traditional forms, expanding the network between traditional arts organizations, and creating programs for audiences who are generally not used to attend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By positioning itself and conveying core businesses under such categories, the National Gugak Center will be able to lay a foundation to promote traditional arts further.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traditional arts based on research on the National Gugak Center, as a national organization existing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suggesting the recommended direction,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arts adding to the National Gugak Center’s efforts.

      • 한국전통공연예술 강령탈춤의 해외공연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연구

        송연서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의 ‘전통 계승’의 의미는 조상의 전통이나 문화유산, 업적, 풍속, 제도 등을 물려받아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해석에 비추어 본다면 요즘의 전통공연예술들은 단순 보존보다 계승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교류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06년에서 2011년 사이 국제시장 진출 및 국제교류 활성화를 집중 공략한 끝에 전통공연예술의 해외공연 진출 성공 사례가 2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예술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졌다. 가치가 소멸되어가는 전통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 또한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면서 전통 보존 가치를 인정받는 동시에 창의적 계승, 상품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강령탈춤의 단순 보존이 아닌 ‘계승’으로서의 방안으로 고려할 때 어떠한 변화가 필요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강령탈춤의 가치와 해외공연 진출의 필요성을 밝히며,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을 찾고자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전통공연예술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탐구하며, 그런 가치들을 담고 있는 한국전통공연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강령탈춤의 특징과 구성을 드러내어 제작시스템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강령탈춤의 현재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주요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타 지원정책과 전략, 그와 더불어 현대의 창의적 계승을 이어가고 있는 전통공연예술들의 현황과 흐름도 살펴본다. 선행연구 후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분석 연구와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를 실시한다. 실제 국내 해외진출 성공 사례 창극 〈변경쇠 점찍고 옹녀〉, 국립현대무용단 〈불쌍〉, 퓨전국악음악〈김주홍과 노름마치〉와 국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중국 전통 가면극〈변검〉, 일 본〈슈퍼 가부키〉,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분석을 통하여 한국전통공연예술 작품의 성공 요인과 그들의 제작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는 실질적 현장감과 이해도를 넓히기 위해 전통공연과 관련하여 해외공연 실적, 공연기획 및 제작 관련 업무,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개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의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분석을 더하여 이를 강령탈춤과 비교하며 스토리 영역의 페쇄성으로 인한 스토리의 현대성, 개연성의 부족, 전문적 전략의 다양성, 창의성의 부재, 국가의 적극적 정책지원 부족의 강령탈춤의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방안 논의를 요약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로 전문스태프 채용 및 분업화를 통한 무대구성, 창작 스토리와 전통적 춤사위 및 복색조화, 영상제작과 SNS를 통한 시각적 효과 강조한 홍보전략, 국가의 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 정책 마련 등의 방향으로 연구자 나름의 재해석과 연구를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eaning of today's 'traditional succession' refers to the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accomplishments, customs, and regime. In the light of this interpretation, traditional performance art can be said to be closer to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an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have been responsible for foreign exchange policies and focused on advancing international markets and enabling intercourse during the year 2006-2011. As a result, more than twice the success rate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s increased overseas, which predicts more interests in our traditional art abroad. As one of the traditional art of value lapse, Kang Ryeong Talchum continues to evolve and is recognized for its traditional preservation value, but it needs to be creatively inherited and commercialized. In particula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necessary changes needed in the measure of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of Kang Ryeong Talchum. This study reveals the value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need to advance overseas performances, and seeks to improv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Through prior research, we will examine the production system b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exploring its values, and disclosing its features. Composi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Gangnyeong Talchum, which contains this values will be proceeded. Further examination on the cor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support policy strategies for overseas entry in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ill be mad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Kang Ryeong Talchum as well as look into the flowchart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creative succession plans. An empirical study will be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success sto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performance planning, and an in-depth interview of production professionals. The succes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ir production system i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performance with the actual domestic overseas success story; <Bun Kung Sae Jum Jick Go Ong Neu>, National Modern Dance Company 〈Bull Sang〉, New Korean Classic Music 〈Kim Ju Hong and No Rem Ma Chi〉, Traditional Chinese masque 〈Bun Gum〉, Japan's <Super Bugatti>, Canada's 〈Cirque du Soleil>.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of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overseas advance performances, empirical research is intended to broaden realism and understanding. This will be analyzed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performing overseas performance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 results, planning, production-related work, public institu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successes in foreign countries has been compared with Kang Ryeong Talchum.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on transitional field of story modernity, lack of likelihood, the diversity of professional strategies, absence of creativity, lack of active policy support of the country, the issue of Kang Ryeong Talchum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inally, I will summarize,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improvement discussions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Finally, I summarize and discuss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in the stage configuration through professional staff recruitment and division of labor in the direction of creative story and traditional dance-based, abdominal-color harmony, video creation and visual SNS promotion strategies, and foreign-market policy of the National Performing Arts, the researcher proposed a way of interpretation and research.

      • 예술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한국 전통공연예술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백민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Korean traditional art, a historical product of Korean people and a crystal reflecting all sorts of Korean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is a valuable heritage entailing our own voice and gesture. However, Japanese colonial rule had resulted in a loss of our traditional identity and damages to traditional culture, and westernization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ing caused the traditional culture to be degenerated to a non-mainstream art losing its artistic universality. Proliferation of sense of desperate crisis in the late 1980s led the government and the world of traditional art to develop solution to address the issue and began their endless revitalization efforts having popularization as the initiative’s main objective. As a result, a basis for the second leap could be established bringing out all quantitative growths in education,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and art performance. Although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itiative began, the world of traditional art still clamors ‘popularization’ or ‘globalization’ outshining all the preceding efforts. That is because the efforts have failed in finding contact points with the public in spite of the significant growth attained. Traditional art is a culture in life that has been enjoyed by people’s everyday life in a traditional society. Having said that, popularization of modern traditional culture can be restated as returning the culture as a part of people’s life, and populariz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would be truly possible when the culture is naturally enjoyed in people’s everyday life.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advanced strategy than the current revitalization schemes. Especially, modern society is referred to as the society of cultural industry where culture is being perceived as the source of power of a nation and has emerged as the strategic industry; and we face turning points of the time where the depressed traditional art started to attain a growing interests among people as the Hallyu disseminates. As a result, we need to prepare an exit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 In this study, we aim at suggesting modern development scheme for neo-traditional performing arts appropriate for modern era.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first examined the transition procedure of traditional arts into moder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analyzing evolution process of musical history in 20th century, and we examined fundamental reasons for the depression. Also, we deducted limitations of revitalization strategy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on each field by analyzing overall trend patterns of 21st century through collecting data from a recently-published cultural and artistic yearbook, materials for academic seminar, and news release. Based on the findings from our analysis, we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as the modern development schem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ree categories including policy, education, and revitalization of art market. First, it is crucial for government to establish supportive policies to enable stable and sustainable growth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achieve the purpose, policy supports such as providing legislations to adopt cultural-industry approach to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stablishing supportive institutions which is in exclusive charge of the creation part the performing arts and developing debut programs to discover unknown talented artists. Second, it is urgent to develop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o facilitate proliferation and advancement of traditional arts. In regards to the specialized education, its focus is currently centered on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radition rather than on education for cre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reativity spirit of specialized education institution, prepare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for tradition and creation respectively, diversify education curriculum and introduce ‘pract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as a major in college. Also in order to strengthen social education to achieve social dissemination,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fully utilizing the original compositions to induce joy and interests is necessary in terms of school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program and promotion of its appli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general public’s access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rd, as a measure to invigorate traditional art market as a cultural industry, it is crucial to develop a more professionalized and subdivided market environment through adopting economical and industrial approach to traditional arts, establishing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ing a training system targeted to the specialized performing arts practitioners, and also it is important to build a foundation to develop traditional arts as a creative industry by inducing reproduction through consumption by boosting social dissemination via mass media or diversifying distribution channel. 전통예술은 우리민족의 역사적 산물이자 삶의 희로애락(喜怒哀樂)과 정서가 고스란히 배어있는 결정체로서, 우리의 소리와 몸짓이 함축되어 있는 값진 유산이다. 예로부터 예와 악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예악치천하(以禮樂治天下)’란 말처럼 우리 민족에게 있어 예와 악은 나라를 다스리는 그릇이자 철학으로 인식되어져 오랜 기간 소중히 전승되어왔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민족적 정체성 상실과 함께 전통문화의 심각한 훼손을 가져왔고, 해방 이후 급격한 서구화로 전통예술은 예술적 보편성을 상실하며, 그야말로 냉대 받는 천덕꾸러기 예술로 전락하고 말았다. 1980년대 후반, 이러한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위기의식이 확산되면서 정부를 비롯한 전통예술계는 이른 바, 전통예술의 ‘대중화’를 화두로 본격적인 해법마련과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교육․인프라․인적자원․공연활동에 이르기까지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제 2의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지금, 이러한 노력이 무색할 만큼 전통예술계는 여전히 ‘대중화’, ‘세계화’를 외친다. 눈부신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중과의 접점을 찾지 못해 그러하다. 전통예술은 과거 전통사회에서 인간의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향유되어온 생활 문화였다. 이를 감안할 때, 현대 전통예술의 대중화는 바로 이러한 생활화를 회복하자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으며, 현대인들의 생활양식 속에서 자연스러운 향유가 이루어 졌을 때,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활성화 전략보다 진일보된 해법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대 사회는 문화산업의 시대라 할 만큼, 문화가 곧 국력으로 인식되어 세계 각국의 전략산업으로 부상하였고, 한류의 확산으로 전통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침체된 전통예술의 시대적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이에 시대적 흐름에 맞는 새로운 출구전략(出口戰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궁극적으로 현 시대에 맞는 新전통공연예술의 현대적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전통예술의 근대적 변모 시점인 지난 20세기의 음악사적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현대 전통공연예술로의 태동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근본적인 침체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발간되고 있는 문예연감 등 다양한 통계자료와 학계의 세미나 자료, 보도자료 등을 취합해 현 세기의 전반적 동향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각 분야별로 진행 중에 있는 활성화 전략의 한계를 도출해 보았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전통공연예술의 현대적 발전방안에 대해 정책, 교육, 예술시장의 활성화 등으로 나누어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전통공연예술의 안정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전통공연예술의 문화산업적 접근을 활성화할 법제마련과 창작부문, 즉 공연예술을 전담 지원하는 지원기관의 설립, 우수 신진예술인 발굴을 위한 New Start Program 개발 등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전통예술의 확산과 발전을 위한 국악교육의 개선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전문교육의 경우 전통의 보존․계승에 다소 치우쳐져 있는 경향으로 창작부문에 대한 교육이 다소 경시되고 있어 전문교육기관의 창조적 마인드 정립과 함께 전통과 창작 등 각각의 전문적 교육시스템의 마련이 요구되며, 커리큘럼의 다변화와 대학에서의 ‘실용국악’ 개념도입을 제언하였다. 또한 사회적 확산을 위한 사회 교육의 강화방안으로 우선 학교 교육에 있어, 예술적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도록 창작음악을 십분 활용한 교육 콘텐츠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국악교육에 있어 취약했던 일반인을 위해 접근성이 용이한 e-Learning의 개발과 운영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산업으로서의 전통예술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통예술에 대한 경제․산업적 접근 인식의 확대와 전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정착, 전문 공연 예술 인력의 양성 시스템 마련으로 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시장 환경을 개선하고, 매체를 통한 사회적 확산 즉, 유통채널의 다변화를 통해 전통예술의 소비를 촉진시켜 재생산을 유도하는 등 창조 산업으로서의 기반조성이 요구된다.

      • 전통예술공연 관객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손혜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된 21세기는 여가생활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문화예술산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통예술공연의 경우 저조한 매출, 낮은 관람률과 객단가, 예술가 간 양극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타 장르와 다른 양상을 띠는 전통예술공연 시장의 소비진작과 활성화를 위해 관객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통예술공연 공급자들은 소비자의 관심에 발맞춰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창작 시 관련 조직 및 부처의 요구와 전문가 의견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공급자 입장에서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식은 관객 중심 연구와 차이가 존재할 수 있어 이를 파악하고, 관련 전략과 접근법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급자와 소비자의 입장 차이와 간극을 파악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최근 전통예술공연 연구들은 주로 교육, 음악학 관련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고 관객개발과 관련된 연구들도 타 장르의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예술공연의 공급과 소비 측면의 인식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객 유형을 논리적으로 도출하고 그들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한다. 연구 설계는 단일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예술공연의 공급과 소비 주체의 인식과 역할 수행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정성적 연구에서는 전통예술공연 창작자와 관객을 기반으로 공급과 소비 측면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학적 현상학을 바탕으로 지오르기(Giorgi)가 제시한 5단계의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결과를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작자 측면에서 총 115개의 의미 단위와 35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관통하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통예술전공에 대한 경험 및 인식’의 주제와 관련된 상위범주는 전통예술을 시작한 계기, 전공에 대한 소신, 전통예술 전공의 어려움, 전통예술에 대한 책임감으로 구성되었다. ‘창작 과정에 대한 경험 및 인식’ 주제의 상위범주는 공연 창작 준비과정, 공연 창작 시 고려요소, 공연 후 창작자의 감상, 지원 사업의 빛과 어둠, 창작자 유형에 대한 지각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산업에서의 경쟁력과 미래’ 주제의 상위범주는 예술가에서 공급자로의 확장, 전통예술공연 장르의 시스템과 경쟁력, 전통예술의 미래에 대한 경험, 행정 및 교육에 대한 기대로 확인되었다. 관객 측면에서는 총 94개의 의미단위, 33개 하위범주, 11개의 상위 범주가 구성되었고, 이를 아우르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통예술공연 선호형성 및 참여 동기’와 관련된 상위범주로는 문화예술과의 첫만남, 전통예술공연 체험의 기억, 관람 동기 유발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 관람의 전반적 경험’과 관련된 상위범주는 전통예술공연 소비의 시작, 전통예술공연 관람을 위한 노력, 관람 만족 요인, 관람 불만족 요인, 전통예술공연 재관람 시 관람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전통예술공연 관람 후 인식의 변화’에서는 사회적 교류와 공유의 장,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식 전환, 전통예술공연의 가치가 확인되었다. 정량적 연구에서는 정성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전통예술공연 관객의 유형과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잠재계층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관람결정요인은 공연장 서비스, 공연품질, 명성 및 홍보, 부가적 서비스로 구성되었고, 공연장 서비스와 부가적 서비스를 제외한 공연품질과 명성 및 홍보 요인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연장 서비스가 미미하게 유의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해(p=0.052) 원인을 살펴본 결과, 하위항목 중 공연장 서비스 중 직원의 역량에 대해 크게 중요하게 느끼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3개의 잠재 집단을 도출한 후 문화예술의 양과 폭, 관람행태, 문화자본 습득경험을 통해 각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구분하여 옴니보어, 전통선호, 유니보어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별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옴니보어>전통선호>유니보어 순으로 관람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도출한 관객 유형 외에도 관람 빈도와 문화자본 습득경험을 기준으로 관객 유형을 분석해 관람결정요인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살펴보았다. 위 결과를 토대로 창작자와 관객의 인식을 통합해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논리적으로 관객 유형을 분류해 이들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전통예술공연 분야의 순환 구조를 더 깊게 이해하고 향후 전통예술공연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21st century,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 a more affluent lifestyle,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leisure and cultural standards have improved. However,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continue to face challenges such as low sales, low attendance rates, and polarization among art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audiences to promote consumption and revitalize the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marke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enres. Provid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re making changes in response to consumer interest, but these efforts are often based on the needs of relevant organizations, ministries, and expert opinions.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may differ from audience-centered research, necess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is gap and the preparation of relevant strategies and approach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providers and consumers and explore ways to bridge them. In recent years,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have been mainly related to education and musicology, and studies on audience development have mostly applied indicators from other gen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ception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in terms of supply and consumption, and based on this, logically derive audience types and understand and discover their characteristics in depth.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methodology,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condu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sequentially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role-playing processes of the actors in the supply and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In the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result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Giorgi's five-step analysis procedure based on descriptive phenomenology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supply and consumption among creators and audience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irst, a total of 115 meaning units, 35 subcategories, and 13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reators, and three main themes emerged. The superordinate categories related to the theme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arts majors' included reasons for starting Korean traditional arts, beliefs about the major, difficulties in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responsibility for Korean traditional arts. The top categories of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the Creative Process' theme were identified a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creating a performance, factors considered when creating a performance, the creator's feelings after the performance, the light and darkness of support projects, and the perception of types of creators. Finally, the top categories of the theme 'Competitiveness and Future of the Cultural Industry' were identified as: expansion from artist to provider, system and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genres, experience of the future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expectations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In terms of audiences, a total of 94 meaning units, 33 subcategories, and 11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constructed, and thre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The top categories related to 'preference formation and motivation to attend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first encounter with culture and arts, memory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experience, and motivation to attend. The top categories related to the 'overall experience of 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initiation of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effort to watch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satisfaction factors, dis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re-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Finally, in the last category, 'change in perception after watching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social exchange and sharing, change in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were identified. The quantitative study aimed to ver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ts audiences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s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of attendance consisted of theater service, performance quality, reputation and publicity, and additional services, and that the factors of performance quality and reputation and publicity, except for theater service and additional ser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endance intention. However, the theater service did not meet the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p=0.052), and when examining the cause, it was found that it was because the audience did not feel that the competence of the staff was important among the sub-items. Next, three potential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and each group was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through the amount and breadth of cultural arts, viewing behavior, and experience in acquiring cultural capital, and named as omnivore, traditionalist, and univore groups. In addition to the audience types derived from the latent class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audience types based on the frequency of viewing and the experience of acquiring cultural capital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viewing determinants on viewing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explored ways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by integrating the perceptions of creators and audiences, logically classifying audience types, and propos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nd provide basic data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