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공연예술의 제약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객 특성에 따른 비교분석

        오예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제약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전통공연예술의 장벽, 제약요인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관객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약과 관람의도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에 있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측정항목을 구성하여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 시설 제약, 동반자 제약의 전통공연예술 제약요인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제약요인과 향후 관람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관객 특성인 연령, 관람경험, 교육경험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통공연예술의 제약 하위요인 중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을 크게 느낄수록 관람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분 집단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년층의 경우 흥미성 제약과 문화적 편견이, 비노년층의 경우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공연예술 관람경험이 없는 집단은 흥미성 제약,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경험 집단은 문화적 편견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공연예술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은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정보 제약이, 교육경험 집단의 경우 문화적 편견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소비행동을 심층적으로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관객 특성에 따른 비교분석을 통해 집단 별 세분화된 접근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mitations i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aints and the intention by categorizing various constraints and barrier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The measurement item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analysis were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time and cost constraint, information constraint, facility constraint, and partner constraint. The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aints that were ultimately drawn for measurement and the futur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and categorized the audiences into groups by their age, experience of attending a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to analyzed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thei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constraints,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stronger the audiences feels the constraints, the less intention they had to attend a performance. Als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divided groups showed that interest constraint and cultural bias for older people and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younger peopl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Interest constraint,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of attending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bias for the group with the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Moreover,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the group with no educational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bias for the group wi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uggests a model that can predict and deeply understand the consuming behavior of audiences i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offers a practical and meaningful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the approaching measures subdivided by group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장르적 융합에 관한 연구 : 작품의 유기적 구성 양식과 요소를 중심으로

        김규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hich are roo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re currently showing the signs of modernistic development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new technologies and different genres while preserving and succeeding to the original forms. While moving into the 2000’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has enabled the exchange betwee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nd the extensive embracement of such cultures, and Korea is also conducting and providing various researches and support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expand its cultural industry. Today,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xperience the severance from the public as they failed to adapt to rapid socio-cultural changes while undergoing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colonization by Japan, and the Korean War and also, they are perceived as a peculiar genre of art which require special skills.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various efforts which are made to overcome such phenomena and br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loser to the people,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such effor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and effect of us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focusing on the genre integration with the musical which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irst, the trends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musical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advance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reative musical’ pieces produced by domestic staff and opened between 2010 and 2020 to determine how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ve been used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where the story, song, and dance are put on stage at the same time. Within the limited scope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ree pieces: the <Red Cliff> which opened at Jeongdong Theater, the musical <Pan> which opened at CJ Azit Theater on Daehakno and Jeongdong Theater, and the musical <Seopyeonje> which opened four times since 2010, were analyzed in depth. The compositional format and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rew members of the piece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objectiveness of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pieces into ‘non-organic stage’ where the elements derived from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in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the ‘transitional stage’ where both simple integration and partial organic relationship were found, and ‘organic stage’ where each of the elements were applied appropriately and the quality of the piece was high.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ffect of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musical by apply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by focusing on the modernistic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volved with a musical piece. In summary, the combination of the compositional format of the musical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med an organic relationship which reduced nega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t into a unique musical format that can be produced in Korea. This possibility of development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that can not only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a genre but also eliminate overheated competition and lack of materials, the problems emerging in domestic musical marke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regard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lead the cultural industry of Korea. 오늘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전통공연예술은 전통적인 원형을 보존하고 계승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술이나 여러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활성화하는 현대적인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술의 발달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 교류가 가능하고 적극적인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한국 역시 문화 산업의 확장을 위해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전통공연예술은 서양 문화의 유입과 일제강점기, 남북전쟁 등 역사적 사건을 겪으며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전문성을 요구하는 특수한 예술장르로 인식되어 대중들과 단절되는 현상을 겪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 대중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시도하는 여러 가지 방안을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 공연예술적 성격이 공통으로 성립하는 뮤지컬과 장르적 융합을 중심으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의의와 효과를 논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전통공연예술과 뮤지컬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와 노래와 춤이 동시에 실연되는 뮤지컬의 구성 양식 안에서 전통공연예술의 활용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개막한 국내 창작진이 제작하는 ‘창작 뮤지컬’ 작품으로 심층 분석 사례를 제한하였다. 제한된 범위 안에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적벽>과 대학로 CJ 아지트 극장과 정동극장에서 개막한 뮤지컬 <판>, 2010년부터 총 네 차례 개막한 뮤지컬 <서편제> 세 가지 작품의 심층 분석을 진행하였다. 작품의 구성양식과 활용 요소 분석을 진행하되, 연구의 객관적인 증명을 위해 작품 제작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뮤지컬 구성 양식 안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는 정도의 기준으로 설정하였을 때 단순한 결합 형태를 이루는 ‘비(非)유기적인 단계’, 단순한 결합과 일부 유기적인 관계가 공존하는 ‘전환기적인 단계’, 각각의 구성 요소가 적절히 활용되면서 작품 완성도가 높은 ‘유기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전통공연예술의 현대적 발전 양상 중 뮤지컬 작품 안에서 활용되는 형태를 중심으로 융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의의와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뮤지컬의 구성 양식과 전통공연예술이 결합하였을 때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요소를 감소시키고 한국에서 제작할 수 있는 독특한 뮤지컬 양식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도출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발전 가능성은 비단 전통공연예술 장르의 한계뿐만 아니라 국내 뮤지컬 시장에 도래한 경쟁 과열과 소재 고갈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의 가능성을 대변한다. 더 나아가 전통공연예술을 재해석하는 범위를 확장하여 한국의 문화 산업을 이끄는 일환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사례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의 발전 방안

        서주연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상설프로그램의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고 공연예술로 문화콘텐츠로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강원도는 전통예술자원 특성이 분명하고 자원이 풍부하여 민속 중심의 전통공연이 지역공연브랜드화 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적 의미를 가진다. 강원도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문화올림픽의 슬로건으로 문화기반을 조성하고 있지만 지역의 축제, 행사 등 일회성 공연이 대부분일 뿐 극장에서의 지속적인 상설공연은 현재의 강원도 공연실정에서는 거의 실행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지역적 특성을 살린 전통상설공연은 현재 정선과 강릉에서 공연되고 있지만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의 공연브랜드로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지역 단체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여러 형태를 고찰하고 이러한 바탕으로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대표성,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그 현황 및 내용을 정리하여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지역공연브랜드화와 상설공연의 발전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타 장르와의 융·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새로운 스타일의 혼합 장르로 새로운 예술의 탄생을 보여주거나 전통적인 요소를 배제하지 않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우리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도내의 문화시설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각 지역의 예술회관이나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극장 및 문화시설을 상설화된 공연장으로 활용하여 공연을 지속적으로 유지, 지역의 특성을 살린 브랜드공연을 개발하여 완성도 높은 공연으로 만들어 전통공연프로그램을 통한 공연을 활성화해야 한다. 상설공연을 하고 있는 극장으로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게 하는 문화관광상품과 연계 발전해야 할 할 것이다. 셋째, 강원도에서 활동하는 전문예술인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강원도 전문예술인들로 지역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적인 분야의 기획과 창작인력이 활동할 수 있는 공연 및 지역단체를 만들어 강원도 전문 예술의 일자리 창출의 성과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지역민들이 강원도에서 활동하는 계기를 만들어 향토민속예술의 발굴과 개발의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넷째, 강원도 전통적 설화 및 역사스토리를 스토리텔링하여 문화콘텐츠로 활용한다. 정선아리랑의 내용의 설화와 노랫말의 설화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공연 할 수 있고 강릉지역은 영동지방의 설화에서 스토리 보완을 할 수 있는 점등 지역 내 많은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라 생각된다. 다섯 째, 무형유산을 활용한 공연과 강원도의 문화유적지 및 관광지에서의 공연을 활성화한다. 관광지, 이동거리가 편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을 야간 볼거리 제공 및 공연콘텐츠로 활용하여 지역을 찾는 관광객에게 문화체험기회가 제공 되며 지역의 명소가 되는 기회를 갖는다. 여섯째, 강원도립예술단체를 활용한다. 강원도에서는 일정한 공간과 시간에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한 상황이지만 현재로는 강원도립예술단으로서 강원 도민을 위한 문화제공의 장이 부족하다. 강원도립예술단은 춘천에 상주하고 있어 문화시설의 기반이 충분하여 도민과 관광객을 위한 상설공연을 할 수 있다고 본다.

      • 문화재 활용 사업을 통한 전통예술 활성화 연구 -야행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남혜윤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of the mid-2000s shifted its paradigm from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o “active utilization through expans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at the center of these changes serves as a factor creating added values by, not only provid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the cultural heritage with various viewing contents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but also revitalizing the tourism industry.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nighttime activitie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grams, which used to be operated during the daytime, are operated during the nighttime as well. One typical example is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offers a wide range of experiences, such as viewing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at night, in order to reinterpret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enhance understanding and attachment to cultural elements through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In particular, the 8 Night (夜) Themes, which reinterpret cultural heritag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under the theme of night, are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tourism industry, along with its various content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currently carried out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e divided largely into palace night travel programs and regional night travel program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8 Night Themes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palace and regional night travel programs: Changdeokgung Palace Moonlight Tour, Gyeongbokgung Palace Starlight Tour,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Gyeongju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and Jeonju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contained in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Night Story, one of the 8 Night Themes. It is primarily aimed at searching for ways to create new values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at come with inherent significance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After analyzing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through literature study as a research method, five cas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hrough data research and interview results. As such, this study supplements the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in academic terms and proposes measures for realistic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in practical term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to revitlize the traditional art of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 and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the night travel program as a content platform. First, content development through storytelling of experience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is the key. Second,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 contents of the night travel program should be diversified. Third, rather than simply linking cultural heritage with contents,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unique contents such as the 8 Night Themes. Fourth, efforts should be spent to organize a traditional art performance program that goes with cultural heri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o reinterpret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for a novel creation. Fifth, in order to create a distinctive content, professional planners such as performing arts directors and professional artists should collaborate for projects. Lastly, since the demand for the cultural heritage night travel programs is not met, the programs should be increased in numb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Frequent visits to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means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those viewing the performances, and it may directly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is study, however, has mainly been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previous studies and limited interviews.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advised to carry out extended interviews with other persons concerned with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such as program planners and performance participants. Moreover,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n the night travel program, empirical research based on systematic data should additionally be conducted. The researcher expects that it would serve as a basic data for the content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art tourism using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2000년대 중반의 문화재 정책은 기존 ‘문화재의 관리와 보존’ 중심에서 ‘다양한 문화콘텐츠 확장을 통한 적극적인 활용’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해당 문화재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다양한 관람 콘텐츠를 제공하고 문화재 가치 인식의 제고는 물론 관광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여가시간과 야간 활동 시간이 증가하고, 낮 시간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이 야간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은 전통문화자원을 재해석하고 유·무형유산을 통해 문화요소에 대한 이해와 애착을 높일 수 있도록 밤 시간을 활용한 문화재 관람, 전통예술공연 등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잘 나타내는 문화재를 밤이라는 주제로 재해석한 8야(夜)의 테마는 관광 산업은 물론이며, 문화재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들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현재 문화재청이 시행하는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은 크게 고궁 야행프로그램과 지역야행프로그램을 구분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대표적인 고궁과 지역의 야행프로그램인 창덕궁 달빛기행, 경복궁 별빛야행, 강릉 문화재야행, 경주 문화재야행, 전주 문화재야행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8야(夜) 테마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특히 8야 중 야설(夜設)에서 전통예술공연이 가진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얼마나 담보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문화재의 내재적 의미와 가치를 지닌 전통예술공연을 통해 문화재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핵심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재 야행프로그램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후, 자료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통해 다섯 가지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의 부족한 연구를 보완하고, 실무적으로는 현실적인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 활성화 방안이자,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이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활성화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체험프로그램과 공연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화가 핵심이다. 둘째,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 콘텐츠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순한 문화재와 콘텐츠뿐 아니라 8야와 같은 다른 콘텐츠와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문화재 및 해당 지역의 특색에 부합하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의 구성, 기존의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창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차별화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연예술감독과 같은 전문 기획가 및 전문예술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는 매우 많지만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기에 횟수를 늘려 일반인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통예술 공연을 많이 찾는다는 것은 전통예술공연을 관람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와 제한된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에는 프로그램 기획자, 공연 참가자들과 같은 전통예술 공연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확장된 인터뷰를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및 예술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곽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대의 변화와 함께 문화는 새로운 국가 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경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본연의 영리추구를 위한 활동 외에 공익을 위해 기업이 가진 보유자원을 활용해 사회를 풍요롭고 활기차게 유지할 책임이 존재하며 이러한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기업메세나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과 차이가 있지만 홍보적 성격을 띤 사회적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두산, 삼성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도 포함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1990년대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안정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월드컵과 같은 국제적 행사를 통해 많은 기업이 문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지원이 기업메세나 활동의 촉진을 유발했다. 문제는 기업메세나 활동의 지원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주로 미술, 서양음악, 문화예술 인프라 등의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불균형 성장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가별 메세나 정책과 사례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메세나 활동의 인지도와 만족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에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업메세나 연구와 전통예술공연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기업메세나 현황과 각국의 메세나 정책을 살펴보고, 2016년 이후에 공연되고 있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업메세나와 인지도, 그리고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으며, 제6장에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의 수단으로 전통예술공연이 활용되어야 할 이유를 넒은 개념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전통예술공연을 기업이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다. 첫째, 기업은 전통예술공연은 마케팅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기업의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기업이 문화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가치를 향상시키는 가치경영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메세나 활동이다. 다변화되고 있는 기업의 경영활동에 문화적 요소를 결합시켜 기업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업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어 갈 수 있다. 또한 전통예술공연은 인적자원의 잠재능력을 높게 끌어올려 내부 직원의 생산성 증대, 직원만족도 증가 등의 인적자원 활성화를 통해 조직경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330분가 배포되어 193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소비특성에 대한 분석과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지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이 0.590로 0.4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0.604의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도 모두 0.568 이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설결과 ‘외부적 만족’과 ‘내부적 만족’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신뢰도 계수는 0.812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문항들에 대해 요인분석 실시 전 측정한 자료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두 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메세나 활동’‘메세나 효과’로 명명하였으며, 신뢰도 계수는 0.866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한 결과 가설1은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되었으며하였. 분석결과 부분적으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가설2는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메세나 활동 증가에 따라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메세나 효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가설3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는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 요인이 증가할수록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문헌연구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기업메세나의 방법으로 전통예술공연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공연 산업이라는 인식의 확대가 필요하다. 전통예술공연도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업적 성격을 각지고 있다. 둘째, 전통예술공연의 상품성 확보이다. 대중의 음악적 취향은 항상 변화된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사회적 사상의 변화 등과 함께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변화되는 것이다. 셋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지원 확충이다. 전통공연에 대한 지원은 현대공연인 연극, 음악에 대한 지원보다 부족하다. 넷째, 전통예술공연의 유통경로 확보이다. 유통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연장 확충이 먼저일 것이다. 문화예술 공연장은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이다. 다섯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홍보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공연의 정보를 얻는 경로는 친인척이나, 동료 등의 주변 사람들에 권유가 많았다. 기업메세나를 통해 전통예술공연과 기업이 상생(win-win)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상호적 필요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메세나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 사회적 기여 등을 통해 순수예술의 발전을 이끌 필요가 있고, 문화예술은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한국전통공연예술 강령탈춤의 해외공연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연구

        송연서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전통 계승’의 의미는 조상의 전통이나 문화유산, 업적, 풍속, 제도 등을 물려받아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해석에 비추어 본다면 요즘의 전통공연예술들은 단순 보존보다 계승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교류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06년에서 2011년 사이 국제시장 진출 및 국제교류 활성화를 집중 공략한 끝에 전통공연예술의 해외공연 진출 성공 사례가 2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예술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졌다. 가치가 소멸되어가는 전통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 또한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면서 전통 보존 가치를 인정받는 동시에 창의적 계승, 상품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강령탈춤의 단순 보존이 아닌 ‘계승’으로서의 방안으로 고려할 때 어떠한 변화가 필요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강령탈춤의 가치와 해외공연 진출의 필요성을 밝히며,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을 찾고자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전통공연예술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탐구하며, 그런 가치들을 담고 있는 한국전통공연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강령탈춤의 특징과 구성을 드러내어 제작시스템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강령탈춤의 현재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주요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타 지원정책과 전략, 그와 더불어 현대의 창의적 계승을 이어가고 있는 전통공연예술들의 현황과 흐름도 살펴본다. 선행연구 후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분석 연구와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를 실시한다. 실제 국내 해외진출 성공 사례 창극 〈변경쇠 점찍고 옹녀〉, 국립현대무용단 〈불쌍〉, 퓨전국악음악〈김주홍과 노름마치〉와 국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중국 전통 가면극〈변검〉, 일 본〈슈퍼 가부키〉,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분석을 통하여 한국전통공연예술 작품의 성공 요인과 그들의 제작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는 실질적 현장감과 이해도를 넓히기 위해 전통공연과 관련하여 해외공연 실적, 공연기획 및 제작 관련 업무,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개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의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분석을 더하여 이를 강령탈춤과 비교하며 스토리 영역의 페쇄성으로 인한 스토리의 현대성, 개연성의 부족, 전문적 전략의 다양성, 창의성의 부재, 국가의 적극적 정책지원 부족의 강령탈춤의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방안 논의를 요약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로 전문스태프 채용 및 분업화를 통한 무대구성, 창작 스토리와 전통적 춤사위 및 복색조화, 영상제작과 SNS를 통한 시각적 효과 강조한 홍보전략, 국가의 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 정책 마련 등의 방향으로 연구자 나름의 재해석과 연구를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eaning of today's 'traditional succession' refers to the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accomplishments, customs, and regime. In the light of this interpretation, traditional performance art can be said to be closer to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an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have been responsible for foreign exchange policies and focused on advancing international markets and enabling intercourse during the year 2006-2011. As a result, more than twice the success rate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s increased overseas, which predicts more interests in our traditional art abroad. As one of the traditional art of value lapse, Kang Ryeong Talchum continues to evolve and is recognized for its traditional preservation value, but it needs to be creatively inherited and commercialized. In particula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necessary changes needed in the measure of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of Kang Ryeong Talchum. This study reveals the value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need to advance overseas performances, and seeks to improv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Through prior research, we will examine the production system b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exploring its values, and disclosing its features. Composi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Gangnyeong Talchum, which contains this values will be proceeded. Further examination on the cor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support policy strategies for overseas entry in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ill be mad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Kang Ryeong Talchum as well as look into the flowchart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creative succession plans. An empirical study will be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success sto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performance planning, and an in-depth interview of production professionals. The succes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ir production system i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performance with the actual domestic overseas success story; <Bun Kung Sae Jum Jick Go Ong Neu>, National Modern Dance Company 〈Bull Sang〉, New Korean Classic Music 〈Kim Ju Hong and No Rem Ma Chi〉, Traditional Chinese masque 〈Bun Gum〉, Japan's <Super Bugatti>, Canada's 〈Cirque du Soleil>.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of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overseas advance performances, empirical research is intended to broaden realism and understanding. This will be analyzed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performing overseas performance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 results, planning, production-related work, public institu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successes in foreign countries has been compared with Kang Ryeong Talchum.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on transitional field of story modernity, lack of likelihood, the diversity of professional strategies, absence of creativity, lack of active policy support of the country, the issue of Kang Ryeong Talchum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inally, I will summarize,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improvement discussions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Finally, I summarize and discuss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in the stage configuration through professional staff recruitment and division of labor in the direction of creative story and traditional dance-based, abdominal-color harmony, video creation and visual SNS promotion strategies, and foreign-market policy of the National Performing Arts, the researcher proposed a way of interpretation and research.

      • 전통예술공연의 마케팅 방안 연구 :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송혁규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통예술은 한 나라의 문화를 대표하는 동시에 자체로서 그 존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전통예술공연은 역사적, 제도적인 문제와 여타의 비효율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대중들과 많은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맞아 전통예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적인 지원과 활성화 노력이 펼쳐지고 전통예술의 교육활동도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전통예술과 관련된 연희자나 기획자들도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그동안 전통예술과는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었던 마케팅개념을 도입하여 전통예술이 보다 폭넓게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마케팅이론 중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이론을 적용하여 보았다. 예술마케팅 관련이론은 실제로 많은 공연에서 적용되고 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다. 이것은 전통예술공연도 치밀한 마케팅 계획하에 진행한다면 보다 많은 관객들을 확보할 수 있고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좋은 예일 것이다. 전통예술은 새로운 세기의 대표적인 국가문화상품이고 또한 보존하고 발전시켜야 할 예술의 장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전통예술의 대중성 획득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민에게 외면받는 전통예술은 이미 그 존재의 의미를 상실한 것이기 때문에 박제화될 수 밖에 없고 정형화 될 수 밖에 없다. 전통예술공연에 있어서 이것은 최우선으로 극복하여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Traditional art represents the culture of a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s fully meaningful by its existence. However,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Korea are far apart from the masses of people due to historical and systemic problems as well as their inefficiency. People's recognition on traditional art has been changing since entering the 21C of the culture. This fact can be confirmed by national support, various activating efforts, and active educational programs about traditional art. Performers and planners related to traditional art shall adapt these changes and try to activate traditional art according to these movements. In this paper, the Marketing Mix Theory among various marketing theori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a completely different thing from traditional art, was introduced and applied, focusing on widely spreading traditional art. Theories related to Art Marketing have been applied to many real performances and have obtained positive reactions. This is an example of attracting many audiences and securing good reactions by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f progressed under detailed marketing plans. Traditional art is a representative national art product in this new century and is a kind of art genre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obtaining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art should be focused. Traditional art ignored by its own national people cannot be but stuffed and formalized. This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overcome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이 사회지원의 인지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새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의 시대인 21세기를 맞이한 이후, 각 국가에서는 문화경쟁력을 높이려는 시도들을 많이 펼치고 있으며, 자국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장르는 바로 전통분야일 것이다. 하지만 전통공연분야는 타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 및 관객들의 낮은 선호도를 보여 공공지원금에 의존하여 창작 활동을 펼치는 경향이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일한 공적 재원인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열악한 재정환경으로 인해 위기에 처해있어 기업지원 활동 등의 민간지원들이 확대되어야지만 예술단체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창작 활동을 가능하다. 좀 더 다양한 기업들의 지원 활동 확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이 사회지원의 인지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지원 논리와 전통공연예술과 지원현황분석 등에 대해 이론과 구성요소를 탐구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을 결정하는 요소로 문화적 사회공헌 활동, 문화적 마케팅 활동 2개의 요인을 도출하여 기업지원 활동이 사회지원 인지도 및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기업이 후원하는 전통공연예술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이 사회지원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지원 인지도에 있어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 중 문화적 사회공헌 활동, 문화적 마케팅 활동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 활동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만족도에 있어서는 전통공연예술의 기업지원활동 중 문화적 마케팅 활동, 문화적 사회공헌 활동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지원 인지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만족도에 있어서는 사회지원 인지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기업지원 활동에 대한 보편적인 분석연구로 진행되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를 구체화 하여 우리나라의 전통공연예술분야를 대상으로 한 기업지원 활동이 사회지원의 인지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은 1~2회 내외의 적은 횟수의 공연을 관람하였으며 공연정보는 친구 및 지인을 통해 얻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관객을 모집하여 공연 시장의 활성화를 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향후 기업지원 활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게 될 경우 특정 장르에 대한 지원현황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기업들의 적극적인 사회지원을 통해 우리의 전통문화가 잊히지 않고 공연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In the 21st century, an era of culture, countries are making many attempts to enhance their cultur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in the traditional arts sector to best demonstrate their identity. However, the traditional performance fiel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genres and has a low level of preference among audiences, so they tend to rely on public support funds to create their own performances. However, due to the poor financial environment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Korea's only public resource, support from private companies must be expanded to enable stable creative activities by art organizations. In order to expand support activities for more diverse private companies,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impact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pport. To this end, theories and components were explored on social support logic,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analysis of support status. Through prior research, two factors were derived, cultural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as factors that determine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impact of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on social support was explor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37 visitors with experience of viewing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sponsored by private compani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fter analyzing the impact of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cultural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are important factors in social support aware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 satisfaction,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and cultural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mong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re important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wareness on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waren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satisfaction. Existing pri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as a universal analysis of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bodied the scope of the study as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people surveyed watched the performance once or twice and the performance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friends and acquaintances.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performance market by recruiting audiences through more active promotion in order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art. If research on corporate support activities is conducted in the future, detailed analysis of support status for certain genres is expected, an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ncourage companies to actively support Korean traditional culture, leading to many performances.

      • 전통예술공연장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atial desist of the proper theater for the traditional Korean art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out the design factors for and give the theater of its own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s. This study discuss the nature and the fort of,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so as to find out which of the design factors between the function of the stage and its relationship to audience.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deals with the purpose, the method and extent of this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fundamental conceptions the types concerning the arts and stages.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nature and form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Chapter 4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odern theatres in Pusan and the present performing place of the traditional Korean arts. Chapter 5 deals with the spatial design factors of the proper theater, and indoor space plan of the proper theater for traditional Korean arts was expressed as a production in Chapter 6. Foregoing in progressive, the traditional arts is creatively suceed and we try to revive it in indoor, this opportunity hand down in modern people heart and it help the formation of a value of system. Also, there is trying to recreative work which added a period. More special and proper research continue and emphasize with necessity.

      • 전통공연예술진흥에 관한 법적 연구

        박태원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문화국가의 시대이며 4차 산업시대이다. 문화는 다양성과 창의성, 자율성을 바탕으로 하여 오랜 세월을 거쳐 민족의 삶에 축적된 것이다. 전통예술은 한민족의 얼과 혼이 응축된 역사적 결정체이다. 전통예술을 이해하고 생활문화로 받아들인다면 사회적으로 화합하고 소통하여 사람답게 살 수 있는 문화국가가 될 것이다. 각 국은 문화국가를 만들기 위해 법과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문화기본법을 제정하여 문화국가임을 선언했다. 국가의 모든 정책은 인간다운 문화정책으로 귀결된다. 국가의 문화경쟁력은 자국의 문화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통예술에서 비롯된다. 전통공연예술은 현대공연예술에 비하여 경쟁력이 낮으므로 국가의 보호와 진흥정책이 필요하다. 현행 문화예술진흥법과 공연법, 무형문화재법의 보편적인 지원책으로는 전통공연예술의 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 전통공연예술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제2장에서 전통공연예술의 의의와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제3장에서 법정책적 문제가 무엇인지 법과 정책을 비교분석해 본다. 제4장에서는 개선방안을 법제와 지원행정의 실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전통공연예술진흥 법안을 도출하려고 한다. 정책을 세우고 집행하는데 있어서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화예술 가버넌스를 제시해 본다. 문화가 산업화되고 산업이 문화화되는 시대에는 예술가와 정부, 기업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협력하면 과정과 결과가 원만하게 진행되리라고 생각한다. The 21st century culture age of the State and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age. Cultural autonomy, diversity and creativity, based on accumulated on the lives of people after a long time. Horne and traditional art is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re condensed historical decision. Refer to the traditional arts and socially cohesive, and communicate, understand and accept it as daily life and culture that can be like a human being becomes one. Each country is culture and laws and institutions to make the country. Culture of our country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declared that the state. All the country's policy boils down to cultural policy is like a human being. Cultural competitiveness is its own cultural identity of the country can be found from traditional art.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performing arts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policies of the country because it had lower competitiveness than is needed. Under the current Public Performance Ac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universal can not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support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ct. Continu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ystematic policy support to the legal basis should be. Defini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chapter 2 and Chapter 3 and have a look at the legal basis in the book what issue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ws and policies. In Chapter 4, real in-depth exploration of the administrative laws and improve support and trying to draw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romotion law. With devis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solve the complex and a variety of variables in culture is to produce beoneonseu.In an age culture is the culture industry and production artists and governments, corporations with each other by forming a network to proceed smoothly and results, if we th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