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의무기록과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고찰

        박준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전세계적으로 전자의무기록·원격의료의 도입이 활성화되고 있는 이유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전자서명, 보안기술,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원격의료시스템 등의 신기술들을 적용할 경우 이전보다 훨씬 다양한 이익과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고 사회가 정보화됨에 따라 보건의료분야는 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현재의 법·제도·문화가 새로운 전자의무기록·원격의료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난관들이 만나게 되었다. 전자의무기록, 인터넷 의료상담, 원격의료 등은 현행법에 어긋나는 부분들이 있고, 이의 도입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 시스템 해킹, 의료분쟁, 불법의료, 의료과실 발생 등의 위험요인이나 표준화 미비, 환자나 의료인의 거부감, 장비보급비용 발생, 의료수가 인정과 같은 제약요인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외국의 경우도 동일한 위험·제약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의무기록·원격의료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외국에서 어떤 입법·제도화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자의무기록은 EPR, EMR, CPR, EHR 등의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인증기술, 보안기술과 같은 기술적 특성이 있다.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은 우리 나라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아직 CPR 수준의 단계에 이르고 있지는 않지만, 몇몇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하여 CPR 개발 작업이 수행되고 있어 CPR의 본격적인 활용이 곧 가능해질 전망이다. 외국의 경우를 보면, 1960년대 말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이 시작하였으며, 유럽의 경우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과 관련된 외국의 입법동양을 분석해본 결과 미국, 유럽, 일본등에서는 전자의무기록의 법적인 효력을 인정하고 있으며, 환자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한 보호수단을 갖추도록 법률로서 규정하여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 있다. 현행법령을 검토해 본 결과 국내 현행법은 전자의무기록의 저장을 법으로 인정하고, 전자문서로 작성하는 경우 컴퓨터 등 전산기록장치에 의한 자기·전자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전자의무기록의 사생활보호와 시스템의 보안유지에 대한 법규정을 둘 것과, 전자의무기록의 열람과 전송을 인정할 것을 제안한다. 제도적으로는 의료용어 등의 의료정보와 전자의무기록의 기술 표준화를 위해 CPRI와 같은 표준화 기구가 조직할 것과 국가적 차원에서 전자의무기록의 전송 및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표준을 제정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원격의료는 원격자문과 원격진단, 원격모니터링을 포함한 재택진료, 원격교육, 인터넷을 통한 의료상담을 포함하는 사이버병원 등의 유형이 있으며, 원격의료 시스템은 데이터 단말장치, 서버, 초고속 정보통신망, PACS 기술 등의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원격의료는 국내의 경우 1988년 처음으로 원격영상 진단이 도입된 후 여러 가지 시범사업이 진행되었고, 외국의 경우 미국은 60년대부터, 캐나다는 70년대부터, 말레이시아는 97년부터 원격의료 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원격의료와 관련된 외국의 입법동향을 보면 미국에서는 원격자문과 원격진단 유형의 원격의료를 허용하고 있으며, 원격의료면허를 부여하여 원격의료를 시행의 자격 등을 관리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통신매체에 의한 상담에서 의사가 진단을 내리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의사간의 원격자문과 재진인 경우의 환자대 의사간의 원격진료 형태를 인정하고 있다. 원격의료와 관련된 현행법령을 검토한 결과 인터넷 의료상담의 진료제한, 원격의료의 허용범위 설정, 면허 부여를 통한 자격 인증, 현지 의사에 대한 원격의료의 책임소재 등에 대해 규정할 것을 제안한다. 제도적으로는 환자와 의료인의 인식변화 유도하고, 원격의료장비 보급비용 발생문제 해결하며, 원격의료를 위한 표준화와 의료수가를 적용할 것 등을 제안한다. The reason why the introduction of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 telemedicine is getting worldwide is that it can bring about better benefits and effectiveness when applying the cutting edge of electronic signature, security system, CPR system, telemedicine system and so on. As the internet technology progressed an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eveloped, however, the field of health care unprecedentedly faced a new situation, which made it very difficult for the current medical law to accept the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 telemedicine. Moreover, some parts of the system are not congruent with the current law and the introduction of these system may have such risk factors as invasions of privacy, system hacking, medical conflicts, unauthorized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malpractice, along with such constraints as non-existence of standardization, distrust between medical staff and p atients, extra cost of supplying equipment and recognition of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 Despite those obstacles, medically advanced countries already introduced the system. This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ways of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through the legitimate breakthrough. The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has the pattern of EPR, EMR, CPR, EHR as well as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ystem. The 1970's saw the introduction of the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in Korea. We haven't yet achieved the CPR level but the leading hospitals are in the process of getting there soon. Medically advanced countries like America already introduced the system in late 1960's and most countries in Europe are using the system to their purpose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legislative proceedings concerning the system of America, Europe, Jap an and so forth, I have found that they validate the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by law and the privacy is protected by law, that is, to get health care provider to implement policies and procedures to include safeguards for preventing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from getting out. After taking stock of the current law, I have that found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storage of the computer-based medical record by law and allow it to be stored in an electronic medium.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laws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patients' electronic record and the security system along with reference and transmiss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I also want to su ggest that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like CPRI should be formed to standardize and institutionalize medical information like medical term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One of the practical step s may be to make a national long-term plan to institutionalize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system. Telemedicine consists of tele-consultation & tele-diagnosis, tele-home health care inclu ding tele-monitoring, tele-education and cyber-hospital with medical consultation through internet. Telemedicine system has technological qualities of data terminal, server, information super highway, PACS and what not. The Exhibition projects of various kinds for telemedicine has been conducted after the introduction of video-conferencing & tele-diagnosis teleconferencing for the first time in 1988. When it comes to medically advanced foreign countries, America started implementing telemidicine projects in the 1960's, Canada in the 1970's, Malaysia in 1997. As for the legislative trends in foreign countries concerning telemedicine, America approves of telemedicine in the form of tele-consultation & tele-diagnosis and screens out the qualifications to issue licences for telemedicine. Doctors in America and Europe are advised not to diagnose the patients through telecommunication advisory services. Tele-consultation among doctors and telemedicine between the doctor and the second-time patients are being approved of in Japan.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current laws concerning telemedicine,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legislate regarding setting the restrictions of internet medical diagnosis, permissible scope of telemedicine, approval of qu alifications throu gh license and clarifying where the responsibility of the telemedicine lies and the like. I also su 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institutional devices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both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s, solve the financial problems of supplying telemedicine equipments, together with the standardization and the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 for telemedicine.

      • Clinical work process efficiency with integration of using mobile EMR : The efficiency of mobile EMR usage in specialty consultant process in Emergency department

        김수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은 의료 제공자들에 의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에서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을 통해 환자 데이터에 실시간 접근이 가능하다는 특성과 모바일의 이동성이라는 장점으로 의료진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료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의 어느 연구에서도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 사용 빈도와 관련하여 실제 임상 환경에서 시간 효율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응급실 내에 협진은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이다. 협진 요청에 대한 회신 지연은 치료의 준비를 지연 시키거나 공중 보건에 있어 심각한 문제로 중요시되고 있는 ‘응급실 과밀화’와 ‘혼잡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진들 사이에서 충돌 또는 오해를 야기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진이 법적 책임을 지게 되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협진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검토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서 발생한 협진 요청에 대하여 협진을 확인하고 진행되는 데까지의 시간 차이와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의 사용빈도간의 연관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진행된 후향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삼성서울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를 통해 연구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IRB no.2019-01-113-001). 2018년 05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PC EMR과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했다. PC EMR에서는 응급실 의사의 협진 요청 시간과 요청된 협진에 대한 기록이 작성이 된 시간을 추출했다.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의 로그 데이터를 통해 의사별 사용 빈도수를 추출했으며, 두 개의 데이터를 개인 식별화된 의료진의 사번을 기준으로 병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연구 기간 동안 응급실 내에서는 15,5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5,454건의 협진 요청이 발생되었고 271명의 의사가 협진 요청을 받고 협진 요청에 대해서 회신을 했다. 271명의 의사들 중 212명은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 사용자였다. 이 연구를 통해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을 1번 사용할 때마다 약 12초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며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을 자주 사용하는 의사가 협진 요청에 있어 조금 더 빠르게 반응하고 완수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P -value 값이 0.01 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모바일 전자 의무 기록(mEMR)을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하면 업무에 있어서 시간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줄 수 있다.

      • 종이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의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 비교

        장정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기록의 충실도가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의무기록이 신속 정확하게 작성되어야 하는 수술실에서의 마취기록을 대상으로 종이마취기록과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를 비교하였다. 2010년 3월부터 한달 동안 서울 S병원의 2008년 7월부터 9월 종이의무기록 100건과 2009년 7월부터 9월사이 전자의무기록 150건의 마취기록지를 수집하여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하였다. 마취기록지에 꼭 기입하여야 하는 필수항목 34가지를 선정하여 마취기록지에 각각의 기록이 모두 있으면 1점, 기록이 있으나 미비사항이 있으면 0.5점, 기록이 없으면 0점으로 처리하고, 34개 항목 점수의 합계를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로 정의하여 250개의 마취기록지를 대상으로 기재 충실도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종이마취기록과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수술 소요시간에 따른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 차이도 분석하였다.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의 영향요인과 모형의 적합성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34개의 필수항목에 대하여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가 종이마취기록보다 평균 1.07점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소요시간에 따른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는 수동기록 그룹에서 2시간 이상의 수술 마취기록이 2시간 미만 수술 마취기록 보다 기재 충실도가 평균 1.23점 유의하게 높았다. 34개 전체 항목에 대하여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본 회귀모형에서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변수였으나 모형의 적합성을 5% 밖에 설명할 수 없었다. 좀더 상세한 검토를 위해 34개의 필수항목 중 전자마취기록에서 기록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넘어오는 12가지 항목의 그룹과 수동으로 기입해야 하는 수동기록 22가지 항목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 각각의 기재 충실도 영향요인을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자동기록 그룹에서는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면서 15.4%의 모형 적합성을 보였고, 수동기록 그룹에서는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면서 18.9%의 모형 적합성을 보였다. 기존의 종이마취기록에 비해 전자마취기록은 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 면에서 더 나아진 것으로 판단되었고, 표본병원에서 전자마취기록의 도입은 적절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가 높아졌으며,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를 높인 요인이 전자의무기록의 자동기록 방식 이었으므로 전자의무기록 프로그램 개발 시 기재 충실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기록의 자동화와 이미 저장되어있는 자료의 재활용을 강조해야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전자의무기록의 자동기록 기능의 활용은 신속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의료환경에서 짧은 시간동안에도 정확한 의무기록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전자마취기록의 도입으로 34가지 주요항목에 대하여 마취기록지의 기재 충실도는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향후 다른 기록과의 일치성 비교 등을 통해 기재 정보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등이 더 필요하고,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궁극적으로 의료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응급간호기록의 전자의무기록 적용 및 평가

        최인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료분야는 교환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전자의무기록이 원격진료의 핵심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응급간호기록을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적용하여 응급간호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자의무기록의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전자의무기록 적용은 EMR(Electronic Medical record)개발팀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사전 교육, 시범적용,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어 적용하였으며, 평가는 간호사의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점시점은 전자의무기록 이전 즉, 수기작성 시와 전자의무기록 적용 1달 후, 적용 2달 후, 적용 3달 후이며,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와 5달 후에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연속형 변수는 t-test와 ANOVA test를 사용하였고, 비연속형 변수의 분석은 Chi squ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자의무기록으로 개발하여 적용한 응급간호기록은 간호정보조사지, 수행기록지, 간호일지이다. 둘째,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기 기록 시에는 환자 1인당 평균 222±71초가 측정되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73±65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셋째,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환자의 중증구역에서 수기로 작성할 경우에 231±63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200±66초로 단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증진료구역에서 진료한 환자의 경우 수기기록시간은 201±85초였으나,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후에는 133±44초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넷째, 진료결과에 따른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입원환자군에서 수기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234±65초이었고, 전자의무기록 적용 3달 후에는 184±73초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귀가환자군에서는 수기 기록 작성과 전자의무기록 작성시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간호사 대상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전자의무기록이 수기 기록 보다 편리한가?’ 라는 질문에,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8%가 편리하다고 응답하였고 5달 후에는 74.4%로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째, ‘전자의무기록과 수기 기록 작성을 비교할 때 어느 것이 빠른가?’ 하는 질문에는 전자의무기록이 수기작성보다 빠르다고 답한 간호사가,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7명(18.0%), 적용 5달 후에는 10명(25.6%)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겠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적용 2달 후에는 53.9%가 전자의무기록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적용 5달 후에는 61.5%로 증가하였으나 적용기간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전자의무기록을 중단하겠다는 응답은 시행 2달 후에 5명(12.8%)이었다가, 시행 5달 후에는 1명(2.6%)으로 감소하여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전자의무기록으로 간호정보조사지의 작성시, 시간이 단축되었음이 확인되었고 간호사는 전자의무기록 시행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의 편리성, 신속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전자의무기록을 의료계 전체에 확대 적용이 필요하며 타의료기관의 의료진과 의무기록의 공유를 위해 표준화된 의학 용어 및 코드개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is emerging as a key instrument of telemedicine with effective management of vast informational exchange in the medical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effectiveness of emergency nursing works with application of emergency nursing records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EMR was developed through organization of the team member, plannig of the databas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pre-education, application of an example, correction and supplement, application step and their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consuming time on nursing information sheet. The point of time measurement was before the EMR, that means hand writing medical record, 1 month, 2 months, 3 months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Satisfaction rate of users was analyzed by a questionnaire 2month, 5month later each after EMR applica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0.0, statistic methods were t-test, ANOVA test for consecutive variables and Chi squre test, Fisher's exact test for non-consecutiv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s of the Emergency nursing records applie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were nursing information sheet, nursing intervention sheet, nursing note. Second,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22±71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73±65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Third, in mild serious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severity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01±8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37±44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Fourth, in admitted patients group, consuming time for nursing intervention sheet by patient's outcome was shorte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average 234±65sec/patient before EMR application to average 184±73 sec/patient 3 months later after EMR application. But in discharg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ing time before and after EMR application Fifth, in user satisfaction survey, the question of 'is EMR using more convenient than hand writing?' showed positive answers with 53.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and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with 74.4%.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Sixth, in question of 'which is more faster between EMR and hand writing?', EMR answers had 7 people(18.0%)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10 people(25.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Seventh, in question of 'would you like to keep use EMR continuously', the positive answers were increased from 53.9%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61.5%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ime interval was found. Also the negative answers were decreased by the time from 5 people(12.8%) 2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to 1 person (2.6%) 5 months after EMR application. From above results, by applying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to EMR system, consuming time on emergency nursing information sheet was shortened and user satisfaction was also increased in convenience, rapidity by the time, eventually users showed positive attitude to EMR application and their continuous use. So it would need to apply entire medical recor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ing system and we need to put more efforts into development of standard medical term and code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medical staffs.

      •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 비교 : 초진외래기록을 중심으로

        정민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has been introduced starting from existing large hospitals and newly established hospitals and its use is now gradually increased in our country. When introduc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hough the realization of user friendly system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concern should be to ensure its completeness documented by the system. Thus, in case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pplied in an outpatient medical practice, I compared its completeness with that of paper-based medical record by investigating whether each item is documented or not and also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completeness of medical records as well. I investigated a total of 760 cases (paper 380, electronic 380) selecting from the highest and the second highest rate of diseases from the areas of internal medicine, the areas of surgery, and pediatrics o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of 1998 an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2005. Results were conclude as follows by measuring the completeness scores of 9 factors such as chief complaints, present illness, review of systems, past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vital signs, impression, demographics information of patients, and signature of doctor.$$a$$aFirst, the completeness score for the 9 items was higher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han that of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while the completeness score for the 7 items excluding patient''s demographics information and signature of doctor was higher i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a$$aSecond, in completeness according to departments, the areas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areas of surgery showed higher completeness i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and pediatrics showed higher completeness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a$$aThird, in completeness according to documented items, completeness in chief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both paper-based medical record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ems such as review of system, past history, patient''s demographics information, and signature of doctor.$$a$$a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leteness according to documented items among the areas of internal medicine, the areas of surgery, and pediatrics.$$a$$a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documentation completeness in the medical records.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on each completeness i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were departments and the number of outpatients by session. Completeness was getting low with the increasing the number of outpatient by session and specialist doctor’s age was not significant.$$a$$a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lthough completeness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was not shown to be remarkably higher tha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s that can get support from a computerized system such as patient''s demographics information and signature of doctor. It is considered that by contriving the easier way of input to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o reduce doctor''s efforts, the higher completeness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could be achieved.$$a$$a 국내에서는 기존 대형 병원과 신설 병원을 중심으로 전자의무기록 도입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전자의무기록 도입 시 사용자 만족을 위한 기능 구현도 중요하지만 전자의무기록으로 작성되는 의무기록의 충실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다. 이에 외래 진료에 전자의무기록 적용 시 외래의무기록의 항목별 기재여부를 통한 수기의무기록과의 기재 충실도를 비교하고, 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자의무기록을 도입한 한 대학병원의 초진 외래의무기록 중 1998년 수기의무기록과 2005년 전자의무기록을 대상으로 내과계, 외과계, 소아과 선택진료의의 1순위 또는 2순위 질환(증상)을 선정하여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 각 380건씩 총 760건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주호소, 현병력, 문진소견, 과거력, 신체검진, 신체계측, 추정진단, 환자기본정보, 작성자 서명의 총 9항목 충실도 점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a$$a첫째,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 충실도는 환자기본정보와 작성자 서명 항목을 포함한 9항목과 이를 제외한 7항목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9항목 충실도는 수기의무기록에 비해 전자의무기록이 높았으나, 7항목 충실도는 수기의무기록이 높았다.$$a$$a둘째, 진료과별 기재 충실도에서는 내과계, 외과계는 수기의무기록이 높았고, 소아과는 전자의무기록이 높았다.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 모두 외과계에 비해 내과계의 충실도가 높았다.$$a$$a셋째, 항목별 기재 충실도는 주호소가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에서 충실도가 가장 높은 항목이었으며, 충실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문진소견, 과거력, 환자기본정보, 작성자 서명이었다.$$a$$a넷째, 내과계, 외과계 및 소아과간 기재 충실도는 항목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같은 질환(증상)을 진료한 동일 진료과 내 의사간 기재 충실도는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소아과가 수기의무기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순환기내과, 내분비내과, 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는 전자의무기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a$$a다섯째, 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수기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 각각의 충실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진료과와 세션별 외래환자수이었으며, 세션별 외래환자수가 많을수록 충실도가 낮았고, 선택진료의 연령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a$$a본 연구결과 전자의무기록이 수기의무기록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충실도를 보이지는 못하였지만 환자기본정보, 작성자 서명 등 전산시스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항목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작성자의 기록하는 노력을 줄여주고, 입력을 용이하게 전자의무기록 입력 방식을 고안함으로써 전자의무기록 충실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a$$a

      • 전자의무기록 활용시 개인의료정보 보호방안 연구

        오진섭 경원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환자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진료 제공과 이를 통한 이익 증대를 위한 주요 병원들의 노력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지속적인 도입 확대 및 관련 기능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기능이 향상되고, 그 안에 포함된 환자진료 정보의 범위가 확대 될수록 환자들의 개인의료 정보에 대한 보안 대책의 중요성 또한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구성 및 주요 기능요소를 조사하고, 시스템 안에서 생성되고 관리되는 개인의료정보의 특징을 분석하여, 각각의 활용 단계에 따른 보안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의료정보 보호 방안을 연구하여 단계별 보안대책을 제시하였다.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전문화된 다양한 사용자 계층이 이용하고, 생성 및 관리되는 정보 또한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의료 정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보안 대책으로는 개인의료정보에 대한 보안을 보증할 수 없다. 개인의료정보가 생성되고, 활용, 관리 그리고 파기되는 과정에서 의무기록 시스템은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요구에 맞는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그 기능에 부합되는 보안방안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이용단계에 따른 사용 유형별 보안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각 단계에 따른 필수보안적용 방안을 명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개인의료정보 보호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개인의료 정보 보호에 대한 안전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의무기록 시스템 사용자의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진료정보 활용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Continuing installation and relevant improvement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are boosted by efforts from major hospitals to serve better medical treatment and make more profits using them. The more functional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gets and larger patients treatments records do, the more important security of their individual information does. This document focuses on the frame and functionalitie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and analyzes specifics of individual medical records created and maintained in the system. With this, security challenges in cases are analyzed and the answers to them are also given in this paper.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is used by the specialized in the variety of fields. Having specific needs to deal with patients'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t can't guarantee the security of the information with the temporary server protecti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shall provide appropriate measures meeting various users' demands and releasing security concern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pplication, maintenance and disposal. In this regard, you can have analysis of security challenges in accordance with any possible cases and figure out the best possible options against them in this document. It is natural that individual medical records security be tightened by constant efforts of securing personal informati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which is playing a crucial role of using precise and efficient medical information for the system users.

      • 전자의무(醫務)기록의 전자증거개시제도 적용 방안 연구

        김종득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의료기관과 환자와의 당사자간 소송, 의료기관의 형사사건과 관련한 소송, 의료기관과 보험회사간 소송, 이와 같은 소송이 제기되었을 경우, 현재 대부분의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을 통해서 추출할 수 있는 ESI를 전자증거개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증거능력의 효력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전자의무기록을 법적 ESI로 증거개시하기 전,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개념, 시스템적인 측면의 전반적인 현황, 법적 효력을 파악하여 현행법상 적용될 규정을 검토한다. 또한, 이 논문은 전자증거개시제도의 전반적인 현황과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증거개시를 요청한 사법기관과 민간기관이 현행 의료기관에서의 ESI 자료 수집 절차를 알아본다. 또한, 전자증거개시제도와 관련한 국내외 법률을 조사한다. 전자증거개시제도를 전자의무기록에 적용하기 전에 문제점을 도출한다. 법적ㆍ시스템적인 현황과 문제점 도출의 해결책으로서 전자증거개시제도의 EDRM 프레임워크 절차를 적용시켜 전자의무기록의 다양한 정보에 대해 포렌식 관점에서 ESI를 도출함으로서, 의료산업 분야에 전자증거개시제도를 적용할 수 있는 절차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전자증거개시제도는 국내에서 생소한 제도로 체계가 제대로 세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향후 의료기관에의 전자증거개시제도를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EDRM 또는 EDBP 절차에 따라 사이버 포렌식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OCS, PACS, EMR과 같은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초점을 맞추어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 연구한다면 의료기관과 환자를 위한 좋은 제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법적ㆍ제도적 개선을 통해 제3의 기관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ESI를 수집함으로서 동일성과 무결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소송 비용의 절감을 위해 중립적 기관인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서 ESI를 소송당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국가가 정책적으로 조직 체계를 갖출 것을 제안한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만족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서울특별시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주영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사용하는 중 그 성능과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임상에서 간호업무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사용하는 임상간호사 31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31세 이상 35세 미만이 120명(38.7%), 현재 근무지 경력에서 3년 이상 5년 미만이 132명(42.6%), 총 임상경력에서 3년 이상 5년 미만이 80명(25.8%), 총 EMR사용기간은 5년 이상이 101명(32.6%), 종이기록사용여부에서 없음이 144명(46.5%), 근무부서에서는 병동이 203명(65.5%), 학력은 대졸이상이 178명(57.4%),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252명(81.3%) 으로 가장 많았다. 리커르트 5점 척도기준으로 측정한 측정변수의 기술적 특성은 EMR 성능이 3.45점, EMR 기능이 3.78점으로 성능과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측정되어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은 어느 정도 임상간호사들에게 정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호성과에 대해서는 독자적간호성과가 3.63점, 비독자적간호성과가 3.90점으로 독자적간호성과보다는 비독자적 간호성과를 더 높게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cronbach's ɑ 값은 0.7이상이며, KMO-Bartlett's Test 값은 0.5이상이고, 누적분산설명률이 0.6기준으로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에서는 CMIN/DF(2.815), AGFI(0.842), RMR(0.027), RMSEA(0.077), CFI(0.921), PNFI(0.733) 같은 지수들을 확인한 결과 대체로 적합도의 판단기준을 충족시켰다고 판단된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성능에 대한 만족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능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표준화계수 0.769)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성능 및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독자적간호업무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0.498, 0.29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능 및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비독자적간호업무성과에 각각의 영향(0.029, 0.157)은 있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자적간호업무성과는 비독자적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668)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간호사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이 간호업무성과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이상, 병원의 경영진에서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 자체 내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특성 및 효율적인 활용방안, 중요성 및 정보제공에 대하여 정기적인 프로그램 교육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들도 간호업무수행에 도움이 되고 병원 간 경쟁의 우위에 설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시스템 및 정보 활용에 대하여 개인적인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analyzed how the satisfaction of nurses about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on their nursing performance in clinical scenes at general a hospital in Seoul.   The Subject of study was total of 310 clinical nurses who are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e collected data through survey was analyzed into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rough SPSS 18.0 statistics package and was analyzed into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20.0 statistics packag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120 age between 31 and 35 (38.7%), 132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work site from 3 years to 5 years (42.6%), 80 with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between 3 to 5 years(25.8%), 101 with total of EMR usage periods over 5 years(32.6%), 144 with no experience of paper medical record system (46.5%), 203 nurses who work at ward (65.5%), college graduated (57.4%) as the most common education level, and 252 general nurses (81.3%) as the most common work position.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 variables measured by Likert 5 type scale showed that clinical nurses are settled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since the satisfaction rate about performance and function were measured higher than the average as EMR performance score was 3.45 and EMR function score was 3.78. Dependent nursing outcome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independent nursing as the independent nursing outcome score was 3.63 and dependent nursing outcome score was 3.90.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reliability rate and validity rate by factors, it was shown that Chronbach's ɑ value was higher than 0.7 and KMO-Bartlett's Test results were higher than 0.5 and cumulative variance explaned proportion had no abnormality on 0.6 point basis. In overall goodness of fit of the study model, it was considered that the study model satisfied standard of judgment after checking variables such as CMIN/DF(2.815), AGFI(0.842), RMR(0.027), RMSEA(0.077), CFI(0.921), PNFI(0.733).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tudy model, it was shown that satisfaction about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system (beta=0.769), each satisfactory level about performance and function ha significant effect on in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0.498, 0.290) However, it was shown that each satisfactory level about function and performan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effect (0.029, 0.157). At last, in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outcom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outcome (0.668). Since it was proved that the us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was shown to be helpful for nursing performance outcome through the result of the study, hospital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continuously in order to increase effect of the use of the electronic medical system in hospitals. Plans for effective us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facilities and periodical educa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system and about the use of th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lso, the nurses should put private time and efforts to the use of the system with an aware about nursing and about the fact that the hospitals can be put into superior condition during the competitions among hospitals.

      • 한국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장우정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과 도입 시 필요한 세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정보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도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현직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문항은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인식 및 필요성 항목 17문항,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필요한 기능에 대한 항목 16문항이었으며, Likert 6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물리치료사는 204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나이, 학력,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인식 및 필요성과 세부 필요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치료사가 생각하는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과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력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은 나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력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과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입력방식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물리치료 분야의 전문화로 인해 물리치료 데이터의 표준화 및 통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표준화된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도입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료분야에 사용하는 전자의무기록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물리치료 분야에서는 표준화된 전자의무기록이 도입되지 않고 있어 올바른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기 어렵고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보건의료 환경에서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개선과 구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nd detailed functions necessary for introduc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which will play a key role in medical informatiz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physical therapists using the Internet platfor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7 items for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16 items for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nd a Likert 6-point scale. There were 204 physiotherapis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necessity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functions according to age, academic background, and physical therapy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hysical therapy by physical therapists was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age and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ction of physical therapy electronic medical records depending on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hird, ICF was preferred as the input method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In conclusion, due to the specialization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field,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and statistics of physical therapy data increases, and standardized electronic physical therapy medical records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Alth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ed in Korea's medical field are at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standardiz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not introduced in the physical therapy field, making it difficult to make proper clinical decis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ful for improving and establish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or physical therapy in the Korean health car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