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고등학교의 전시기획 활동 과정에서 학생 경험의 의미

        서원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술고등학교는 실기와 이론의 교육을 통해 표현능력의 육성과 미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기관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에서 미적 표현은 기술적인 테크닉을 중심으로 제시된 주제와 조건에 맞췄는가를 평가받기 위해 존재하기에 그 과정을 미적경험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본질주의 교육철학의 바탕 안에 존재하는 미술 전시기획 활동은 그와 반대인 성격으로 학생들이 자유창작을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활동이다. 미술을 위한 전문교육 안에서 오래 시행되어온 미술 전시기획 활동에서 학생들은 전시기획자와 창작자의 역할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이는 학습자인 학생이 미적경험을 통해 그 경험의 의미와 가치를 스스로 발견할 수 있다는 미술교육의 시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미술 전시기획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것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미술고등학교 2학년 학생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경험적 활동의 실질적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방법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의 도출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미술 전시기획 활동을 통해 완전한 자유창작과, 몰입, 그리고 친구들과 새로운 관계형성 이라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에게 자유창작은 모든 결정과 문제를 홀로 해결해야 했던 어렵고 힘들었던 과정이었지만 반대로 문제해결을 통해 자신이 성장할 수 있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자유창작의 작품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의 시작점이 되거나 진로에 관한 고민을 해결해주고 관심분야를 넓혀주었다. 넷째, 학생들은 미술 전시기획 활동에 의해 미술을 통한 소통과 공유의 의미를 깨닫고 이 경험이 자신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었음을 느끼며 스스로 성장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자유라는 지각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인식했다는 점에서 미술 전시기획 활동은 학생들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의 장을 마련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 전시기획 활동은 학생들에게 예술가로 살아가는 미래의 자신의 모습과 현재의 자신이 만나게 하는 경험의 장이 되고 있었다. 셋째, 미술 전시기획 활동은 학생들에게 기획자와 창작자의 역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관객과 만나거나 자신이 관객이 되는 의미를 선사했기에 작품을 통해 타인과 만나는 경험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전시를 기획하여 작품의 완성을 경험한 것은 질성을 소재로 한 것이며, 그로 인한 사고의 내용인 결과도 곧 질성적 구조가 되기에 미술 전시기획 활동은 질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Art high schools are the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training the professional artists through art practicing and theory programs designed to help enhance their students’ competence of expression. Hence, students’ aesthetic expressions may not well be regarded as aesthetic experience under such educational programs, as they intend only to assess whether students have met the criteria for the technical skills in terms of themes and conditions suggested. The exhibition planning process based on such essentialism educational philosophy must be an unique activity allowing the students to experience the free creation. In this art exhibition process that has long been implemented within the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students would experience both exhibition planner’s and artist’s roles. Thus, the learners or the students could well discover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ir art experiences for themselv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in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7 students enrolled in the 2nd grade of an art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review the substantial meaning and value of their experiential activities,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perfect free creation, commitment and a new relation with their friends through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Secondly, although the free creation was the difficult and hard process for them because they should make every decision and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they could perceive that they were growing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Thirdly, students’ art works created freely by themselves would be the starting points for their favored works, while solving their agonies over their future career and expanding their perspectives into the areas they were interested in. Fourthly, through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students would be awakened of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through art, while growing for themselves. Researcher’s interpretation of abov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ince the students could have a new experience through their perception of freedom,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would well serve to arrange an arena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art environment and mutual interactions. Secondly,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would be an arena of experience for the students to mirror themselves on their future looks as artists. Thirdly, as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could enable the students to play a role as both planner and creator, meeting the audience or acting as the audience, it would well be an arena for studens to experience the meeting with others through art works. Fourthly, students’ experience of planning an art exhibition and creating the artworks may be a qualitative experience, and their resultant thoughts have a qualitative structure, and thus, the art exhibition planning process would well provide th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for a qualitative thinking.

      •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학습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황교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exhibition planning is evide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ut in school settings, there is a tendency to neglect its implementation due to factors such 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exhibition planning processes and awareness of its educational efficacy. Furthermore, compared to research on other topics in art education, there is a shortage of related literature, and existing studies generally focus on limited cases that are not readily applicable to typical classrooms. Consequently, it is warranted to develop and validate program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analyzed an elementary art curriculum utilizing exhibition planning programs to foster visual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fundamental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The study employed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emphasizing reflective practice and iterative self-cycling processes aimed at addressing practical issues to develop programs applicable in typical school setting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not only to a 6th-grade class in Bucheon, where the researcher serves as a homeroom teacher, but also to two additional classes with different classroom environments. The outcomes of the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enhanc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exhibition planning program. Secondly,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activities promoting self-determination enhancement as effective approaches for integrating exhibition planning programs into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The study's analysis of results and re-evaluation of issues led to the discovery of enhancements for the developed exhibition planning program; additional procedural steps incorporating these enhancements were proposed, including restructuring activity content around learners' roles to enhance the sustained manifestation and encouragement of self-determination enhancement program effects. To reduce learners' classroom burdens, individual data collection sessions were reduced from 2 to 1, and the original 6-session program was modified to 7 sessions to distribute activities effectively. 전시기획은 그 과정에서 작품 연구, 공간 연출, 홍보 등 종합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기에 학생 작품의 전시기획이 교사의 교육적 의도를 포함하고 학습자의 주도로 이루어진다면 유의미한 배움이 있는 수업으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다. 전시기획의 교육적 활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전시기획과정의 이해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원인으로 수업 적용을 외면하는 실정이다. 또한 관련된 연구 자료의 수가 다른 주제의 미술 교과 연구와 비교하여 부족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일반적인 교실에는 적용할 수 없는 제한된 사례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서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시의 중요한 특성이자 미술 교과 핵심역량으로서 시각적 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미술 교과 활용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전시기획 활용 수업은 학습자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이다. 전시기획 수업이 단순히 경험만을 목적으로 전개된다면 미술 수업으로서의 정당성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전시기획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배울 수 있는 것이 명확하고 그것이 미술과 관련이 있을 때 비로소 미술 수업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으로 설정하고 이를 성취할 수 있는 방향의 내용 구성을 주된 연구 과제로 삼았다. 둘째는 전시기획 활동을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의 활용이 효과성이 있는가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적 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전시기획 활동이 필수적이다. 전시기획은 복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종합적인 활동인 만큼 수업에 적용이 까다로워 진행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수업에서의 시행착오는 전시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몰입을 저하하여 교육적 의도 전달에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결국 심도 있는 연구와 준비가 선행됨에도 불구하고 학습성취 도달이 어려운 전시기획 수업의 특성은 교사의 수업 실행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기획 수업의 현장 적용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전시기획 수업이 교육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교육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에 따라 실제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실천의 자기 순환과정을 강조하는 실행연구 방법론을 따랐다. 수업 대상으로는 연구자가 담임교사를 맡고 있는 부천시에 소재한 6학년 1개 학급 외에 서로 다른 수업환경을 가진 2개 학급을 추가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해보았으며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기획 프로그램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 효과를 확인했다. 개발한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실연하며 수집한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는 전시기획 과정 전체에 걸쳐 시각적 소통능력의 하위역량인 시각화 능력, 시각적 문해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모둠원이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전시를 매개로 새로운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등 공동체 역량을 발휘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전시 특성에 맞는 새로운 공간 연출과 광고 방안을 자발적으로 고안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융합 역량 함양의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둘째,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전시기획 프로그램 활용의 적절성을 확인했다. 2015 미술 교과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시와 관련하여 감상 단계 수준에서만 내용을 다루며 초등 미술 교과서 7종 중 4종에서 전시기획 활동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교육 현장 적용의 현실성 측면에서 한계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초등학교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연구하였고 PBL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활용해 보았다. 그 결과 PBL을 혼합한 프로그램의 구조가 학습자의 몰입과 흥미를 유도했으며 복잡한 전시기획 과정의 각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장기 프로젝트의 원활한 흐름을 도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을 변형한 도입 활동 운영 및 프로그램 전반에서의 활성화 방안이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고 학습 성취 욕구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연하며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전시기획 활동의 활용 방안을 탐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과 분석 및 문제의 재진단 과정에서 개선안을 발견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 절차를 추가로 제안하게 되었다.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적인 발현과 독려를 위해 활동의 연결성을 높일 필요가 있어 세부적인 내용을 변경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업 부담 축소를 위해 개별적 자료 수집을 2회에서 1회로 축소하고 기존 6차시의 프로그램을 7차시로 변형하여 활동을 분산했다. 전시의 주요한 특성에 기인하지만 주목하지 않았던 시각적 소통능력의 함양을 수업의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방향성이 전시기획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한 수업 방법과 적용 사례에 대한 분석자료가 현장의 교사가 학생 작품을 활용해 전시 수업을 운영하는데 효과적인 안내서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 전시 기획 연구

        문예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 의 전시 기획 연구로서 장소성을 반영한 미술 전시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시각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전시 기획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장소라고 하면 지리적인 영역의 특성에 기반을 둔 개념이다. 하지만 장소성을 반영한 전시 기획에 있어서의 장소는 지리적 특성보다는 그 장소의 고유한 역사성을 살펴보고 작품과 연결 지어 추상적인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지는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장소성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검토함으로써 장소를 이해하는 접근간의 다양성을 확인하여 지역과 공동체 를 기반으로 장소성을 강조한 전시 기획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남 나주시 공공장소 10곳에서 개최된 전시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큐레이터로 참여하여 전시 기획과 관련된 모든 진행을 수행하였다.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주제는 ‘흐름, 열 개의 탄성’이다. 이 주제의 의미처럼, 장소마다 놓인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은 ‘탄성’을 울리듯 장소의 특성을 느낄 수 있으며 전시 공간별 흐름에 따라 장소의 의미를 함축하여 기획하였다. 그리고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대 미술의 전시 기획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특히 장소성을 반영한 성공적인 국제 전시 사례들을 비교하여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하나의 도시에 이루어진 성공적인 국제설치미술제는, 단지 조각적인 형식을 보여주거나 랜드 마크적 요소만이 아닌, ‘장소적 가치를 예술을 통해 부각’시키는 행위와 더불어 관객에게 예술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획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역사적 의미가 깃든 전시 장소에 걸 맞는 설치 작품으로 스토리텔링하고,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작품 설치를 통해 도시의 문화 정체성도 새롭게 생성되고 확장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은 아직 1회를 치른 전시로서 전략적 모색을 통해 대안점을 찾고 지역 내에서 문화적으로 긍정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술 전시와 관련한 저작권 쟁점에 대한 연구 : 기획 및 운영을 중심으로

        유다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미술관은 공중에게 문화예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공익적 가치가 재차 거론된다. 미술관은 이러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술관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등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상호 교류가 가능한 서비스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에 그 경영전략의 비중을 많이 두고 있으며 미술 작품의 조사∙연구를 통한 전시기획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술관 전시기획에서 활용하는 미술 작품은 저작권법상 창작자의 아이디어를 표현한 저작물의 한 유형이다. 그러므로 전시 기획자는 업무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 해당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방식을 모색하여 작가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미술저작물 관련 판례의 수가 충분치 않을 뿐만 아니라 미술저작물 관련 연구는 미술 작품에 관한 저작권 쟁점과 저작자인 작가의 권리 측면에서 이루어진 것들이 많다. 따라서 전시 기획자가 실무를 하는 데 있어 참고하고 지식을 습득할 경로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화발전의 기점 중 하나인 미술관의 전시 기획자 측면에서 저작권법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전시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미술저작물을 사용하는 전시 기획자가 대면할 수 있는 저작권법 쟁점을 살펴보았다. 저작권법상 ‘전시(展示)’라는 용어의 정의 규정이 부재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전시’에 대한 법원과 학계의 해석을 검토하고 전시기획상의 개념 정의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전시의 장소가 미술관 내부에서 야외, 인터넷 등 비전통적인 장소로 확장해나가는 현재의 전시기획이 봉착할 수 있는 법적 논쟁과 쟁점을 분석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나아가 전시기획과 운영 과정에서 미술저작물은 전시 외에 복제, 배포, 전송하여 이용된다. 특히 전시 참여 작품과 전시 전경 등을 촬영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시 도록 제작을 포함하여 안내와 홍보의 목적으로 촬영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와 관람객이 전시장에서 촬영한 사진을 SNS상에 업로드할 경우 전시기획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러 방법으로 미술저작물을 사용하는 전시기획에서 체결할 저작권 계약서의 형태와 계약 조항 작성법을 논의하였다. 이는 미술저작물의 특성상 원본의 유통을 통해 저작재산권자와 소유권자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계약의 형태가 구두에서 서면계약까지 어려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미술관의 전시기획에서 발생하는 저작권법 쟁점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고찰해보는 것은 미시적으로는 전시 기획자를 위함이라 볼 수 있지만, 미술관의 공익적 역할을 고려한다면 거시적으로는 사회의 이익을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 기획자에게 저작권법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여 보다 전문적인 전시기획 문화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발전된 예술적 역량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전시기획활동을 통한 미술비평능력 신장 수업방안 연구 : 토요미술수업 참여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각이미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회를 살아갈 사회 구성원이 갖추어야할 덕목은 여러 가지이다. 그 중 시각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판단하고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과 시각문화에 대한 미적 향수의 태도는 더욱 강조된다. 미래사회 구성원을 길러내야 할 의무가 있는 학교에서는 여러 교과에서 이러한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덕목에 대하여 다루고 있지만 미술교과의 비평영역에서 직접적으로 길러 질 수 있다고 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 선형구조의 언어 중심비평수업에 폐쇄성을 보완하며 학습자중심의 전시기획활동과 미술비평을 연계한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습자 주도적 전시기획활동 수업이 미술비평능력 향상에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그리고 미술교과가 학습자의 인지능력향상과 사고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또 학습자의 미적대상에 대한 향수능력, 시각문화를 이해하는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그리고 전시기획활동이 표현활동과 연계되어 미적체험, 표현, 체험의 영역이 학습자의 활동 속에서 톱니바퀴처럼 상호 순환관계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미술비평과 전시기획과 관련한 선행연구물을 검토하고 학교상황에 맞는 전시기회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전시기획활동은 무슨 이야기를 할까?, 무엇을 보여 줄까?, 어떻게 이야기할까?, 타인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나는 무엇을 얻었는가? 라는 순차적 화두를 적용하며 수업을 진행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연구의 일환인 실행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토요미술수업 참여 학생들이고 2012년 5월 1차 교내 전시, 2012년 8월 2차 교외 전시를 기획하며 실행하였다. 1차 전시기획활동을 통해서 학습자의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변화양상과 교사의 수업 돌아보기의 결과를 2차 전시기획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거쳐서 결론에 이르렀다. 1차 전시이후 학습자는 자발적 참여에 의한 주도성, 학습간의 민주적 의사소통능력, 작품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구분하는 능력, 머릿속의 아이디어를 구체화 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교사의 경우는 기존 순차적 수업에 대한 압박감이 있었고 이를 통해서 교사 주도가 아닌 학생 주도적 수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2차 전시 이후 학습자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애착과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미적대상에 대한 향수의 태도를 보였다. 또한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전시기획 전체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능력이 생겼다. 교사의 경우는 방임적 태도와 자유로운 수업분위기 사이에서 혼란을 느꼈고 활동중심 미술수업이 인성교육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두 차례의 수업 실행은 전시기획 자체가 거대한 시각문화라는 결론을 만들어 낸다. 미술은 시각적 상징물로 인간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그 시각적 상징물이 매개체 역할을 해서 타인과 교류한다. 이는 전시기획활동이 큐레이터가 전달하고자하는 메세지를 전시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것과 그 모습이 닮았다. 결국 전시기획을 통해서 타인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것이 현재사회 전반에서 강조하는 시각문화에 대한 이해, 해석, 판단이고 타인과의 소통임을 알 수 있다.

      • 제주지역 공립미술관 전시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유민영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Korea government has been pushed the public museum project since 1999. As of 2006, the program has financed for 13 museums investing ₩ 30,755 million, and 7 more museums (continuing project: 3, new project:4) were going to be financed in 2007 with ₩ 3,758 million. Also, it is planned to expand governmental investment for the museum construction as well as developing diversified supporting plan for where the infrastructure of the fine arts is insufficient to expand the base population who enjoys art and promote citizen's cultural right through the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of the art. With such change in direction of the governmental policy, four public museums, including the Hyundai Art Museum opened in 2007 and the Jeju Museum of Art opened in 2009, are operated in Jeju area. In this study on the 'strategy for invigorating the exhibition program of public art museum in Jeju area', we want to examine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public art museums in Jeju area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project exhibition as a solution. Selecting representative public art museum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ich is larger than the megalopolis (gwang-yeok city) or the province (do), we chose four common type of the project exhibitions and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o suggest the strategy for the project exhibition in Jeju area's public art museu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cept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Seogwipo Gidang Art Museum, most of the surveyed museums were established during 1992 to 2009, and share the similar purpose of establishment; promoting the residents' appreciation of the art, providing the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for the art education, establishing the regional art,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Korean art. The project exhibitions of each art museum were held 15 times per year on average. And with the characteristic as the local public art museum, such exhibitions were focu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ocal artists. When separately considering the exhibitions of the selected art museum, on the surface, it seems that the exhibitions are unique to each art museum. However, when they ar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re not found very much. Based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found during the survey, we suggested the 4 types of project exhibition for the public art museums of the Jeju area. First, by planning the exhibitions incorporating the succe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Jeju's societal , cultural and historical issues with the art, we recommend to promote the art museum's image while acting as a landmark for culture and exhibition of the Jeju area. Second, we suggest to host the invitation and project exhibit for discovery and support of the next generation artists as well as the support of the artists of medium standing and/or doyen artists. With the works exhibited at the exhibition, the museums could establish their own database, which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Jeju;s art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upport for the artists. Third, establishing the network with other local public art museums through the exchange exhibitions would be helpful in sharing the culture with other geographical regions. Forth, hosting of the international mega exhibit might also promote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Jeju. Our recommend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of Jeju area's public art museum have meaning for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to activate the Jeju's public art museum's exhibits. Further, we hope the public art museums of the Jeju area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art culture as well as the Korean art.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공립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까지 총 30,755 백만 원을 투입해 13개소의 미술관 건립을 지원하였으며, 2007년에도 3,758백만 원을 투입하여 7개소(계속 3개소, 신규 4개소)의 미술관 건립을 지원할 예정이고, 향후 미술 인프라 부족지역에 지속적인 미술관 건립 및 지원과 함께 공립미술관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미술인구의 저변확대와 미술에 대한 감상기회 확대를 통한 국민들의 문화 향수권 신장 및 미술문화의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추진 할 계획이다. 이러한 국가적 정책의 변화와 발전에 발맞추어 제주지역은 2007년 제주 현대미술관 개관, 2009년 제주도립미술관 개관을 통해 총4개의 공립 미술관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 공립 미술관 전시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를 주제로 현재 제주도 소재의 공립미술관의 전시활동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획전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국 광역도시 및 도 이상 규모의 행정구역의 대표적인 공립(지역자치)미술관을 선정하여 미술관들의 전반적인 운영상황, 미술관에서 시행되는 기획전시사례를 미술관별로 비교적 공통적으로 개최되는 4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공통점 및 취약점을 분석하여 제주지역 공립미술관의 좀 더 계획적인 기획전시 운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공립 미술관 및 기획전시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서울시립미술관과 서귀포기당미술관을 제외한 나머지 미술관들은 1992년부터 2009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설립되었고 설립취지 및 목표 또한 지역민의 문화향유, 문화교육을 위한 종합문화공간제공, 지역미술의 정립,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발전에 기여 등으로 공통된 양상 을 보이고 있다. 각 미술관들의 기획전시는 연간 약15회 정도의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공립 미술관인 만큼 전시의 대부분을 지역의 특징과 지역작가들을 중심으로 기획되고 있다. 사례로 선정된 미술관들의 전시를 미술관 별로 하나씩 때어놓고 보았을 때에는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전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듯 해보이나 이를 몇 가지의 유형 으로 묶어 살펴보았을 때 미술관별로 뚜렷한 특징들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그것은모든 미술관이 비슷한 형태와 구성으로 전시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려 된다.전시 사례의 특징과 장 . 단점을 중심으로 제주지역 공립 미술관 기획전시의 방향을 4가지의 유형으로 제언하였습니다. 첫째, 제주의 사회, 문화, 역사의 계승과 재해석, 현재 제주의 이슈를 예술과 접목 시킨 전시를 기획, 진행함으로서 미술관 이미지를 구축하고 제주의 문화향유 및 전시 활동의 랜드 마크 적 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 둘째, 제주지역의 문화를 이끌 차세대 작가 발굴 프로젝트 형식의 전시 및 중견, 원로 작가들 전시 활동 지원을 위한 초대전 및 프로젝트 기획전시를 개최한다. 전시된 작가의 작품은 미술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제주제역 미술의 발전과 작가지원 방안의 다양성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타 지역과 문화 공유를 위한 교류전시를 통해 지역 공립미술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이다. 넷째, 세계화에 대응하는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대형전시 개최이다. 위와 같은 제주지역 공립미술관 전시활동 방향에 대한 제언은 제주지역 공립 미술관기획전시 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제주지역의 공립미술관이 다양한 전시활동을 통해 제주지역의 미술의 발전과 더 나아가 대한민국 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 한다.

      •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김하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통해 4차 산업 시대 흐름에 따라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미술 활동을 향유하는 미래인재를 육성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둘째,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체험, 표현, 감상 영역 측면에서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 메타버스란 가상공간에서 현실처럼 문화·사회·경제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맞물린 메타버스 플랫폼의 보편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가져왔다. 대표적으로 교육부(2021a)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미래 교육 비전을 정립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현시대의 학생들은 디지털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서, 메타버스에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인재로서의 역량이 기대된다. 미래에는 학생들이 메타버스라는 가상공간에 문화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할 것이므로 그에 적합한 미래 교육을 통해 대비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현장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교육에 활용하는 시도들이 있으며,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방안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미술 교육에서도 메타버스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는 선행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몰입도 향상 뿐만 아니라 지각의 확장, 참여적 상호작용성과 내러티브, 창작자로서의 경험 등의 교육적 효과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종합했을 때, 메타버스 미술교육으로 체험 영역의 확장, 표현 도구와 표현 능력의 확장, 자기주도적 감상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메타버스 미술교육 방안을 고찰하는 선행연구도 살펴볼 수 있었다. 주로 가상현실 앱을 활용해 세계 박물관을 체험하는 활동, 가상 3D 공간을 캔버스로 활용하며 새로운 형태의 회화를 표현하는 활동, 학생들의 작품 또는 시대별 화가들의 작품을 가상공간에 전시하는 전시기획 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메타버스 미술 교육과 연계한 수업 중 초등 수준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전시 기획 수업임을 알 수 있었다. 예술 분야에서 전시를 위해 메타버스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쉽게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직접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시 기획 활동은 학습자 중심의 감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교육과정으로까지 편성되었으나, 초등 수준에서는 시간적·공간적 한계로 활용도가 낮다. 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에서 전시기획 활동을 하게 된다면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시중의 메타버스 전시 체험은 접근성이 높고, 학생들이 전시 공간을 만드는 표현 활동이 가능하며, 자율적으로 작품을 선택하고 서로의 전시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감상 활동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선행연구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전시공간을 제작하는 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가능성을 제안한다. 하지만, 메타버스 전시기획 수업과 같은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직접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다. 질적연구로서 관찰, 녹화, 설문, 활동 결과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I장에서 제시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활동의 영역별 교육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체험의 확장이 이루어졌는지, 표현의 확장 이루어졌는지, 자기주도적 감상이 이루어졌는지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세 영역을 바탕으로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체험 영역의 ‘메타버스 전시 체험 프로그램’, 표현·감상 영역의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 2가지로 총 8차시로 진행된다. ‘메타버스 전시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구글 카드보드’를 통해 시중의 다양한 메타버스 전시를 체험하고, ‘제페토’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학급 학생들이 아바타로서 만나 전시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소통을 체험한다. 그리고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술과 예술의 연결을 체험하게 된다.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은 실제 전시기획 과정인 계획, 기획, 제작, 진행, 평가의 흐름을 따른다. 계획 및 기획 단계에서 학생들은 전시 주제를 설정하고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게 된다. 제작 단계에서는 ‘코스페이시스 에듀’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전시 공간을 구축하며 화가들의 작품 사진 및 자신이 녹음한 도슨트 파일을 업로드한다. 학생들은 계획단계에서 상상했던 전시를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함으로써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진행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전시를 소개하고 서로의 전시를 감상하게 된다. 감상 활동 중 ‘패들릿’ 프로그램에 방명록을 남김으로써 상호평가를 하고, 평가를 통한 성찰을 하며 전시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험’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첫째, 신체적 몰입을 통한 지각의 확장이 일어났다. ‘구글 카드보드’를 통한 메타버스 전시 체험 과정의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적 개입을 통해 새로운 감각과 몰입감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 소통을 경험하였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나눈 채팅 및 활동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가상 공간에서 아바타로서 생각과 느낌을 나눈 경험이 즐거움을 제공하고 멀리 떨어진 친구들과 연결된 느낌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술과 예술의 융합적 연결을 경험하였다. 메타버스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전시공간 제작 과정에서 코딩을 활용함으로써 기술과 미술의 연결성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가상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체험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표현’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상상했던 것을 구현하는 범위가 확장됨으로써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이 가능해졌다.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기존 교실 공간에서 한정된 크기와 재료로 만들었던 것에 비해 상상한 것을 마음껏 만드는 것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미술표현에 자신감이 없던 학생들도 자신감을 가지고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상’ 측면에서 활동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참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계획 단계에서 학생들은 미술 교과서를 둘러보며 작품 탐색을 위한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었다. 둘째, 제작 단계에서는 작품 설명을 위해 도슨트 대사를 녹음하면서 학습자의 의미 창조를 통한 자기주도적 감상이 이루어졌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 상호 피드백을 수용하고 이번 활동 중 자신의 태도를 되돌아본 후 다음 활동은 더 잘 수행하겠다는 자기강화를 통해 자기성찰 태도를 살필 수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 강화, 학습자의 의미 창조, 자기성찰과 같은 자기주도적 감상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메타버스 미술교육을 위해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체험의 확장을 경험하고, 메타버스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표현 도구 및 표현 능력의 확장을 경험하며, 작품 선택 및 감상 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감상이 이루어졌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메타버스 전시기획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 : 2003년 주요 갤러리 전시를 중심으로

        이도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21세기 현대사회에서 문화예술은 창의력과 상상력의 원천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예술의 가치는 문화와 경제의 경계를 넘어 국가 경쟁력과 품격을 이루는 힘이 된다. 선진문화와 창조적인 예술의 창출은 세계화의 일익을 담당할 뿐 아니라 각 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아 예술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문화예술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면서 예술의 발전을 위한 창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예술 기관, 그리고 예술의 생산자인 예술가와 소비자인 대중을 매개하는 전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현대미술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현대사회를 표현하고 있으며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에 있어 점점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전시기획과 관련된 연구로서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전시기획의 의의를 고찰하고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또한 진행된 전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현대미술의 흐름을 파악하여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의 예술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전시기획 일반에 관한 연구에서는 전시의 기능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개념을 정리했으며, 전시기획 과정을 연구하면서 방법의 중요성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미술시장에서 1차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능과 운영체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오늘날까지 발전해 온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였다. 둘째, 2003년도 전시기획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2003년에 이르는 한국미술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것을 토대로 전시기획 특징을 분석했다. 주제별 분석에서는 비교적 주제 의식에서의 범위가 확장되고 기획이 강화되기 시작했던 2003년을 중심으로 주요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획전시 사례를 조사하였다. 특히 주제가 분명한 단체전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내용면에서는 역사, 사회, 철학, 일상적 주제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동시대 미술에서는 탈장르와 크로스 오버 현상이 두드러져 장르 간 경계가 더 이상 무의미해진 상황임으로 장르별 분석은 따로 시도하지 않았다. 셋째, 2003년 주요 전시기획 사례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제별 분석을 토대로 하여 크게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획 전시로 분류한 뒤 각 주요 전시의 개요와 기획의도, 그리고 전시내용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전시기획의 동향과 역할을 파악하고자 했다.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전시기획 주제로는 일상적 주제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사회적 주제 또한 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역사와 철학적 주제의 전시는 다른 주제의 전시에 비해 드물었다. 넷째,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2000년대 한국 미술계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속에서 한국현대미술계가 안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과 당면 과제들을 정리해보았으며, 전시기획에 있어서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정신을 파악하여 예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교류와 협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시기획자의 창의성이 반영된 주제 선정과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위한 실험적 접근을 통해 동시대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관람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시기획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시기획의 의의를 고찰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의 전개 방향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향후 한국의 전시기획이 지향해야 할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국내 국.공립뮤지엄 기획전시공간의 변화가 전체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분석의 적용을 중심으로

        강현지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17세기 이후 유럽에서 시작된 사립 뮤지엄은 귀족과 같은 상류계층의 사람들이 예술품들을 수집하고 이를 보존하며, 소규모 감상을 하기 위하여 건립되어왔다. 그 후 프랑스 시민혁명에 따라 18세기 이후 유럽 전역에 공공성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뮤지엄은 차츰 공공 뮤지엄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뮤지엄의 개념이 변화되면서 그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 또한 변하게 되었다. 수집과 진열, 수장의 개념으로부터 공공성을 지닌 전시와 감상의 개념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서 고정적 개념의 상설전시와 함께 시간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이슈를 수용하는 능동적 개념의 기획전시가 뮤지엄의 사업 중 한 가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즉, 때마다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기획전시를 운영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면서 뮤지엄에서는 가변적 성격을 지닌 기획전시공간을 마련하게 되고 그 공간의 규모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가변성이 있는 기획전시공간은 뮤지엄 전체공간의 흐름에 변화를 주며 적지 않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획전시공간의 변화로 인해 뮤지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 있는 국․공립 뮤지엄중 기획전시공간을 수용하고 있는 뮤지엄을 선정하여 공간구문론의 분석을 통한 뮤지엄 전체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았다. 본 연구는 기획전시공간의 변화가 뮤지엄 전체공간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획전시공간의 변화를 볼록공간(Convex space)의 개수 의 변화로 가정하여 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획전시공간 볼록공간의 수량적 변화가 전체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전체공간의 평균 통합도(Integration)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앞의 두 가지를 통하여 3가지의 연구방법과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획전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뮤지엄 전체공간의 평균 통합도의 변화를 통하여 기획전시공간의 변화가 뮤지엄 전체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획전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뮤지엄 전체공간의 평균 통합도는 전체적으로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과 기획전시공간의 공간 구조적 위상관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이것이 기획전시공간 볼록공간의 수량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전체공간의 통합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사례로 선정된 4개의 뮤지엄의 기획전시공간은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과 2개씩 대칭(Symmetry)과 비대칭(Asymmetry)의 동일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앞서 같은 구조의 유형으로 분류된 기획전시공간은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멀거나 가까이 위치한 정도에 따라 분류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볼록공간과 기획전시공간의 위상관계가 대칭구조일때 전체적인 공간의 위상관계는 변화 없이 뮤지엄 전체공간의 통합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반면, 비대칭 구조의 유형에서는 본래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뮤지엄 전체공간의 위상관계가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에서 멀리 위치한 기획전시공간이 가까이 위치한 기획전시공간 보다 더 뚜렷한 구조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에서 전체공간의 깊이 대비 기획전시공간의 평균 깊이를 산출해보고, 기획전시공간에 변화에 따른 전체공간의 평균 통합도의 변화를 표준편차로 알아보았다. 두 산출 결과를 통해 기획전시공간의 깊이와 전체 평균 통합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통합도가 높은 볼록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정도가 전체공간의 깊이에 대비하여 클수록 뮤지엄 전체공간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분석을 통하여 기획전시공간의 변화가 뮤지엄 전체공간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뮤지엄에서 기획전시 공간을 수용하는 지표로써 도움을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지역문화재 이해를 위한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 감상 영역을 중심으로

        임지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중학교 미술 감상 영역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재 이해를 위한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습자로 하여금 거주 지역의 문화재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용을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폭넓은 문화적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 사회는 세계화 시대에 맞추어 새롭고 다양한 문화가 상호 공존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세계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대와 지역을 반영하는 지역문화재를 활용하여 우리 전통 미술을 중심으로 미술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작품 해석과 비평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전시 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장에서는 지역문화재의 개념 및 종류, 미술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재 이해를 위한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13종, 중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서 중학교 미술 교과의 감상 영역에서 지역문화재와 전시 기획 관련 수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교수·학습 계획에 근거하여 문제 해결 모형(PBL), 귀납적 사고법,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수업 모형으로 하여 지역문화재를 이해하기 위한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1단계 : 작품 선별 및 전시 모형 구상 프로그램’과 ‘2단계 : 전시 홍보물 디자인 프로그램’, ‘3단계 : 전시 공간 모형 제작 프로그램’으로 단계에 따라 전시를 기획하도록 하였다. 전시 기획 프로젝트의 단계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업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지역문화재 이해를 위한 전시 기획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전통 미술을 중심으로 미술 작품의 시대적, 지역적,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미술 교과 및 미술 감상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거주 지역의 문화재를 탐구하고 전시를 기획하는 활동을 통해서 작품 해석과 작품 비평 능력의 향상으로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우리 전통 미술 문화에 기초한 지역문화재를 탐구하고 감상하는 활동으로 지역문화재 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미술관 및 유적지 탐방의 기회를 확대하여 체험 영역과 연계하여 감상 영역 학습을 지도해야 할 것이다. 학교 밖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하고 폭넓은 지식을 통해서 문화적 가치를 향유할 수 있으며 실물 감상을 통해서 미적 감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역사 교과와 연계한 미술 교육 수업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 미술 문화를 기반으로 한 미술 교과와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흐름을 제시하는 역사 교과를 연계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관점과 통합적 사고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면 효과적인 전시 기획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시 기획 관련 전문적인 지도서 내용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밖 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롭고 참신한 지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중학교 학생들에게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문화적 주체성을 길러주는 한편, 지역문화재를 탐구하고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활용하여 전시를 기획할 수 있도록 한다면 중학교 미술 교과에서 감상 영역 수업의 접근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흥미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exhibition display plan project program to understand local cultural assets in appreciation part of middle school arts curriculum. The developed program allows the learner to search the cultural assets in their residing area. By applying the contents to the exhibition plan project program, the learner can form a widened view on the cultural value. In modern-day society, there are various cultures in mutual coexistence,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globalization. Therefore, an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youth to establish ident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respect the pluralistic value of cultures around the world with flexible and open mind. For this, in this study, local cultural assets reflecting different eras and regions were utilized to understand the flow of art cultu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an exhibition plan program capable of deploying work explanation and criticism. In Chapter 2, the concept, type, and meaning in arts education with respect to local cultural assets were examined. Thereafter, the necessity and current status in education of the exhibition plan project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assets were analyzed. For this, 13 kinds of middle school art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arts education and 2009 revised curriculum for arts education, as well as the results of survey on middle school arts teacher were utilized.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it was recognized that classed regarding the local cultural assets and exhibition plan were not systematic in the appreciation part of middle school arts curriculum. Therefore,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education in actual classrooms was confirmed. In Chapter 3,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problem-based learning (PBL), induct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set as the models of instruction to develop the exhibition plan project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assets. In the program, the exhibition was planned to include: the ‘1st step of a program for the artwork selection and conception of exhibition model’; the ‘2nd step of a program for the design of promotional materials’; and the ‘3rd step of a program for the manufacture of exhibition space model’. By applying various models of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in the exhibition plan project, the learners were encouraged to search for systematic methods to resolve problems and to derive the results. In Chapter 4, the educational effects and plans to vitalize the exhibition plan project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assets were derived. The educational effects are as follow. First, the temporal, regional and social backgrounds of artworks were understood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he interest on the arts curriculum and appreciation classes increased. Second, through activities in which the cultural assets were investigated around the residing area, and in which the exhibition was planned, the enhanced abilities in work explanation and criticism have enabled the cultivation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culture. Finally, the learner was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education on cultural assets through the activities of investigation and appreciation on the local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arts. The plans for activating/vitalizing are as follow. First, opportunities for visiting museums, art galleries and historic sites should be increased to instruct the appreciation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experience part. Using various knowledge which can be earned outside the school, the learner can enjoy the cultural value, while also enhancing the aesthetic sensitivity through the appreciation of original work. Second, arts education linked with history education should be enlarged. By linking the arts education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with history education, which suggests the changes in the human society to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and integrated thinking to the learner, a more effective exhibition plan can be achieved. Third, by developing the contents of a professional book with respect to the exhibition plan, new and creative instruction plans for extracurriculum activities should be searched. As shown above, cultivating the cultural identity regarding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students in middle schools and above, while also providing the chances to plan exhibition by searching for local cultural assets and utilizing various perspective, the accessibility of appreciation part in middle school arts curriculum can be increased and the interest of students can be prom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