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분석

        유가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 Abstract >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by social classes for the Danc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Yu, Ga-young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ang, Soon-hee This study os aimed at analyzing th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by social classes for the danc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on in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selecting six of them,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parents participating in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Total 220 of them, excluding 20 who gave in sincere answers or some of research was left out,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n other to clar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Window 18.0 was utilized, and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the researc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irst, satisfaction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by social class were analyz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time a share, the number of students, levels of learning, ability of teachers,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reduction, effectiveness of education after participating, continuous participation decision. Second, in parents requirement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by social class, the awareness on need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was high,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quirement of instruction directivity and levels of learning was found by social clas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most of school parents are satisfied with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also a high awareness about the needs is found. Particularly,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regards the content of education very highly, school parents also remand the dance education as creative programs for finding talent by grasping talent of the students. Therefore for revitalization of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and effective operation,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satisfy the consumers of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국 문 요 약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 분석 유가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에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그중 6곳을 선정하여,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20부를 제외한 총 220부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계층별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주당횟수, 학생 수, 수준별 교육, 지도교사 능력, 사교육비 감소효과, 참여 후 교육효과, 참여지속여부에서 사회계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계층별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부모의 요구에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바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방향성 및 수준별 교육 요구에서 사회계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해 학부모들은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며,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게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들은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내용으로써, 학생들의 소질을 파악하여 재능발견을 위한 창의적 프로그램으로서 무용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의 활성화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무용특기·적성 교육의 수요자 중심의 만족할 수 있는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시행 하여야 할 것이다.

      • 초등 미술과 특기ㆍ적성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강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 미술과 특기·적성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태 분석을 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방법으로는 미술과 특기·적성교육에 관련된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 초등학교 전학년 교과서 등을 고찰하고 이를 연구의 목적에 따라 조사, 분석, 종합하였다. 둘째, 설문지 분석 방법으로는 초등학교 미술과 특기·적성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화성시 초등학교 전체 학교(50개교), 관리자 50명(미술과 특기·적성을 실시하고 있는학교, 실시 하지 않는 학교 포함), 미술과 특기·적성강사, 미술과 특기·적성을 받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표집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화성시는 시지역, 읍·면지역, 농·어촌지역이 복합된 도시로 3지역으로 나누어 지역에 따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χ2) 검증으로 분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소질 계발과 인격 형성의 계기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강사의 전문성과 질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관리자의 장학활동이 강화되어야겠다. 셋째, 농·어촌학교에서는 강사비 지급 문제와 강사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행정당국의 재정적 배려와 제도적 풀 강사 운영제도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미술과 특기·적성 활성화를 위해, 시 지역이나 읍·면 지역에서는 관리자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우리 전통 미술교육(서예, 한국화, 한지공예 등)이 활성화 되지 않아 관리자의 적극적인 관심, 홍보가 필요하며, 좋은 프로그램 운영, 실력있는 강사로 인해서 아동들이 흥미를 느낄 때, 우리 전통 미술과 특기·적성교육이 활성화 될 것이다. 여섯째, 미술과 특기·적성교육이 활성화 되려면, 많은 홍보와, 수업하기 좋은 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질 높은 수업이 이루어져야겠다. 일곱째, 특기·적성 발표회는 지역민과 학교의 축제화로 1년에 1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관리자의 장학활동이 활성화 되어야겠다. 아홉째, 학부형, 교사 참관 하에 수업을 실시하도록 해서 강사의 질과 학부모들의 관심도를 높여야겠다. 열번째, 환경문제로는 미술실 전용교실이 필요했고, 미술관련 교구·시설 재정적인 뒷받침이 되어야겠다. 열한번째, 관리자는 선생님의 의견을 경청하고 경영에 반영하는 관리가 되는 것이 교사가 바라는 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열두번째, 아동들이 좋아하는 강사는 자기를 잘 이해해 주고, 잘 가르치며, 재미있는 강사를 원하므로 강사는 자기 연찬을 부지런히 해서 아동들이 좋아하고 존경받는 강사가 되어야겠다. 열세번째, 미술과 특기·적성교육의 결과물을 전시하는 상설 코너를 마련해주고 각종 대회에 참여하는 기회를 주어 아동들에게 성취 의욕을 북돋아 주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열네번째, 강사들이 연수의 기회를 자주 가질 수 있도록 행정 당국의 뒷받침이 있어야 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lementary art extracurricular-aptitude education and to analyze its reality. To achieve the aims of this research, the measures of documentary records and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re carried with it.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s of the literature study are conducted with inquiry, analysis and composition for the right purpose of this study as considering independent volumes, theses for a degree, scientific journals, all year students'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so on, which are relative with elementary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Second, as for the ways of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elementary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ll elementary schools(50 schools) in Hwa seong, Gyeong gi do, 50 managers(including who from schools performing art extracurricular-aptitude education or not) and students being taught under art extracurricular-aptitude education are selected and the collected survey is analyzed afterwards. Third. Hwa seong City is divided into 3 parts as city areas, town and township areas, farm and fishing village areas and the differences of them are analyzed. Forth, the statical arrangement of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using spss win program and proven by Chi-square(χ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f a creative character and a personality building education as for a central idea must be accomplished. Second, so as to ensure the capability of instructors and the good quality of instruction, managers' scholarship funds must be enforced. Third, because schools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are awkward to look for instructors and pay their salaries,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full-time instructors are necessary. Forth, in order to activate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system, in city areas or town and township areas, managers' aggressiveness publicity is necessary as the study shows. Fifth, our traditional art education(calligraphy, korean paintings, korean paper crafts) has not yet been activated. as it were, Not only the managers' aggressiveness interests and publicity but also the management of well-made programs are necessary and when students get interested in class with capable instructors, our traditional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will be activated. Sixth, in order to activate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 lot of publicities and the development of a good atmosphere for students are necessary. Further more, the good quality of instruction must be accomplished. Seventh, speciality-aptitude exhibitions are held one time in annual will be desirable for the regions' and schools' festival. Eighth, managers' scholarship funds must be activated. Ninth,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and parents' interests have to be raised by parents and teachers attending in a class. Tenth, an exclusive art class room to handle with environment problems is necessary. financial support of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related to art schooling must be boosted. Eleventh, managers have to listen intently to teachers' suggestions and be a person who reflects them in their management just like as teachers' hope. Twelfth, because students want teachers to be understanding, funny and skillful, instructors concentrate on their study so as to finally become a respectful and favorite teacher for students. Thirteenth, a display explanation corner of the outcomes of art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needs to be arranged. and students have to be encouraged with achievement motivation by being given chances to take part in various competitions. Fourteenth,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to support instructors for having an opportunity to take a training frequently.

      • 初等學校 特技·適性 敎育 改善에 관한 硏究 : 聞慶·尙州 地域 初等學校를 中心으로

        이재명 東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과 과외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문제점을 조명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문경시와 상주시에 소재하는 10개 초등학교 학부모 213명이다. 조사 도구는 2개 영역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이며, 선택형 문항은 빈도분석에 의하여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등간 데이터 성격을 지닌 문항은 Likert식 5점 평점 척도로 하여 관련 변인별로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고, 차이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과학 통계패캐지인 SPSS/win(version 9.0)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기·적성 교육과 관련된 주요 분석 결과 방과 후에는 과외교육을 수강하는 아동이 가장 많고, 85% 이상이 일정한 교육을 받고 있다. 소득이 높을수록 과외교육 수강률이 가장 높았다. 조사 대상자의 62.0%가 과외 교육 수강 경험이 있고 맞벌이와 소득 수준이 높은 가정의 아동이 과외 수강 경험이 많았다. 과외 중단률은 읍·면 지역이 시 지역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학년별로는 학년이 높을수록 과외 중단률이 낮았다. 현재 수강중인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은 107.5%로서 거의 1명이 한 가지의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었으며, 영어(26.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컴퓨터(23.7%)였다.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 유형은 '강사가 지도하는 유료'(71.0%)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지도교사에 의한 무료'(29.0%)이었다.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에 자녀를 참가시키는 이유는 '자녀의 특기를 개발하기 위해'(57.0%)가 가장 많았고, 월평균 수강료는 21,100원이었다.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의식과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다. 2. 과외 교육과 관련된 주요 분석 결과 63.8%의 아동이 과외를 수강하고 있고, '1가지'(29.1%), '2가지'(25.4%)순이었고, 소득이 높을수록 과외 수강률이 높았다. 현재 수강중인 과외교육 교육 프로그램은 영어(62.3%)가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인 수강률은 160.9%였다. 시 지역(179.9%)이 읍·면지역(135.6%)보다 수강률이 높고, 월소득 400만원 이상 가정 아동의 수강률이 242.9%나 되었다. 과외를 수강하는 이유는 '학습 보충과 성적향상을 위해'(65.9%)가 가장 많았고, 과외 수강의 효과는 '약간의 향상이 있었다'(71.7%)가 가장 많았다. 한 달 과외비는 '40,000원-80,000원'(32.6%)이 가장 많았으며, 아동 1인당 과외비는 월평균 141,450원이었다. 과외 교육에 대한 의식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긍정적(3.37)이었으나, '교육비용이 저렴하다'에 대한 평균은 2.50으로서 보통보다 아주 낮게 나타나 학부모들은 과외 교육비를 비싼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분석과 논의를 토대로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 교육은 학교의 특성이나 지역성에 알맞은 영역과 아동의 기호를 파악하여 실질적인 특기 신장을 이끌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둘째, 많은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시설이나 교구, 제반 여건 등이 사설학원의 질보다 나아야 하며, 외래강사뿐만 아니라 지도교사에게도 강사 보전금을 현실화하여 강사의 질을 높이는 등의 행·재정적 지원 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학부모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긍정적인 신뢰를 보이고 있으므로 의무교육 제도권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활동에 필요한 재정은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특기·적성 교육은 사교육비 절감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대부분의 아동은 특기·적성 교육 활동 후 사설학원이나 과외를 수강하고 있으므로 오히려 사교육비가 증가되고 있을 수도 있다. 다섯째, 특기·적성 교육은 성적 향상과 상급학교 진학보다는 특기 신장이라는 본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에서 2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에도 참가할 수 있도록 시간 편제와 조직에도 융통성을 두어야 한다. 여섯째, 학부모와 아동들의 성적향상 및 상급학교 진학에 대한 높은 관심과 요구를 반영하여 학교에서 특기신장을 위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독서논술, 수학경시, 과학탐구, 영어 회화 등과 같이 교과 성적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단순한 특기의 신장이나 기능 연마에 머물지 말고, 창의력 신장과 다양한 체험의 장이 되어 전인적 측면의 성장을 도모해야 하며, 중학교와 고등학교까지 연계되어 지도가 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analyzed real conditions of talent·aptitud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and extra-curricular lessons of primary school students, lighted up problems, and searched for improvement measures. Test tool was a questionnaire about real conditions of talent·aptitude education & extra-curricular lessons in primary school. Study subjects were parents of students who attend 4 primary schools located at Munkyung·Sangju city and 6 primary schools located at eup·myeon, Kyungsangbuk-do. Collected data from multiple-choice test were analyzed as follows; responses were calculat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differences of groups were proved using χ^(2)-test, questions that have the interval data character were analyzed into M and SD by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Likert 5-point scale, difference examination was done using F-test. SPSS/win program(version 9.0), a social science statistics package, was used in computing. 1. Real conditions & evaluation of talent·aptitude education Most students were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after class, over 85% was taking regular education.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higher the rate of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62.0% of examinees had the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lesson, students whose working fathers and working mothers show a high income level also showed a high frequency of extra-curricular lesson experience. The rate of discontinuing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at eup·myeon was over 2 times as high as that in city. The lower the rate of discontinuing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the higher students' school grades.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program they are attending at present most was English(26.9%), and the next program was computer-training(23.7%). Program-taking rate in total was 107.5%, so that all of them are taking over program. The major type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program was 'type of lecturers' instructing & students' paying'(71.0%), and the next coming type was 'type of free lectures by schoolteachers' instructing'(29.0%). The main reason that parents let their children participate in talent·aptitude educational programs was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talents'(57.0%), and the average amount of tuition fee per month was 21,100 Won. Parents' conscious satisfaction rate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programs was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2. Real conditions and evaluation of extra-curricular lessons 63.8% of children were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29.1% was taking 1 kind of lesson, 25.4% was having 2 kinds of lesson, the higher families' income levels, the higher the rate of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The extra-curricular lesson they are attending at present most was English(62.3%), the overall rate of taking the lesson was 160.9%. The lesson-taking-rate in city areas(179.9%) was higher than that in eup·myeon areas(135.6%). The lesson-taking-rate of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was monthly-4,000,000 or more was 242.9%. The major reason that they are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was 'for supplementing school-study and elevating school-record'(65.9%). As for effects of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most of them(71.7%) answered 'I had a small progress'. As for monthly tuition fees for extra-curricular lessons, the biggest rate(32.6%) was '40,000-80,000 Won per month', monthly tuition fee amount per one students was 141,450 in average. Parents' conscious satisfaction rate of extra-curricular lessons was affirmative overall(3.37), but the mean value toward 'tuition fee is cheap' was 2.50, which was lower than average, therefore, parents mostly thought tuition fees are expensive. Following results were shown after the above analysis and discussion; 1.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organized by various and creative programs that possibly derive and expand students' practical talents, after completely understanding each school's characters, areas proper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preferences. 2. Quality of facilities, teaching tools, and other conditions in these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better than that in other private institutes, in order that more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them. The level of lecturer-maintenance fee should be actualized for both part-time-lecturers and guidance-teachers, in order to raise qualification of part-time-lecturers, in other words,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system should be established. 3. Most parents are accepting necessity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inside schools, and showing an affirmative trust. Therefore, the government must bear the financial burden for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re carried out within the national system of compulsory education. 4.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are helpful for cutting down private expenses for education. Nevertheless, most children are taking extra-curricular lessons or attending private institutions after class, and the tuition fee level for private education is possibly elevating. 5. Parents and students' concerns and demand of school-record-elevation and higher-grade-school-entrance must be considered, in accordance, schools need open programs for students' developing talents as well as programs directly helpful for school-record-elevation, for example, reading-stating, Math-contest, science-research, English-conversation. 6.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ies must not stay at the level of talent-development or skill-training simply, instead, ought to plan to promote all-round development as an opportunity of creativity-development & various experience. Also, those activities had better be connected with thos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rough a proper systematic course.

      • 컴퓨터 특기적성교육 운영실태 및 분석 : 광주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조은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의 특기와 적성을 살리는 특기 적성 교육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정부가 제시한 학교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초등학교에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특기 · 적성 교육은 학생이 중심이 되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하고, 같은 과목일지라도 다양한 수준으로 편성하여 학생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그 기회를 보장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기 · 적성교육활동의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담당교사의 특기 · 적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초등학교 학생의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직접 특기 · 적성 교육을 하는 강사의 의견을 모아 컴퓨터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광주지역의 초등학교 15개 학교의 담당교사와 특기적성지도교사 그리고 초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특기 · 적성 교육 본연의 방향으로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함을 알았다. 날로 발전해 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시설 · 설비의 확충, 지도강사를 위한 세부 운영 지침의 제공, 단순한 기능익히기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수준별 교육 및 지도강사를 위한 별도의 전문교육,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처우 개선 등이 그들이다.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충분한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타학교와의 연계 및 전시회와 같은 행사를 통한 학교측의 관심이 있을때 학생들의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의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which cultivates special skills and aptitude of students is widely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s a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classes. It was suggested by the government policy to curtail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should offer various subjects focused on students' interests, and the subjects should be organized with a variety of levels so that the education can offer a wide range of students' choices while guaranteeing their opportunity of free choice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out improved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s'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interests in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as well as on the participation level of students. Another survey on the most urgent issues in computer education was conducted for the teachers who ate in charge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refore, questionnaires were made for the teachers and 300 young students in 15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methods in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of computer. The following factors are believed to be essential to improve educat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equipments and facilities that allow full use of the up-to-date developments of hardware and software, the supply of new facilities, the detailed guidelines for teachers, the level teaching which was focused on the participating students, the special training of teachers, the enhanced specialties of teachers, and the increase of teacher's pay. In order to systematically operate and to vitalize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there should be full support and continuous interes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hosting school's interests such as interlinking with other schools and attending exhibitions are important to maximize the effect of student's computer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 초등학교용 특기·적성교육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세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지식 기반의 정보화 사회는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 자신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람,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사람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학교교육은 기존의 획일화된 단편적인 지식만을 전달하는 교과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이제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아동의 소질을 조기에 계발하고 특기를 신장시켜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개별화 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을 길러주는 학생 중심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특기·적성교육 활동은 이러한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앞으로 우리 학교교육에서 가장 강조되고 변화되어야 할 교육의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기·적성교육은 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조기에 계발하기 위한 교육활동으로서, 교육의 다양화에 부응하는 한편, 교실 수업에서 미처 충족시키기 어려운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참여로 소질·능력 계발 및 보충의 기회를 주며, 학부모의 사교육비 지출 억제의 효과 측면과 개인의 능력 신장과 미래를 준비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러나 특기·적성교육은 관련 당사자들의 인식 제고, 재정 지원, 학교시설의 부족 및 자료의 부족,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 및 의견 수렴의 문제, 학교 관리자(특기적성 담당 교사)의 행정 업무의 과다, 그리고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에게 전달되는 교육활동의 진행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안내 및 피드백의 결여, 학생 개개인의 특기·적성 교육활동 과년자료의 부족 및 회수의 어려움 등 아직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운영실태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방안으로서 관리자, 강사, 학생, 학부모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특기·적성교육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기·적성교육 관리 시스템은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의 수렴에서부터 특기·적성교육 활동 결과의 피드백까지 온라인 상에서 특기·적성교육 주체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특기·적성교육 담당 교사(관리자) 측면에서는 업무 생산성의 향상과 효과적인 학생의 진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 측면에서는 웹을 통한 편리한 수강신청과 성적조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지사항·게시판·강좌정보·강사정보·강의평가결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강사 측면에서는 학교를 통하지 않는 교육수요자와의 직접적인 연결고리 마련하고, 강사 또한 업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21th century is an information society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An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person who have the initiative and solve the problems in person through the various knowledge and exert every effort in their scope. To meet the social needs, An education must inspect closely demands of educational consumers(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develop their different special abilities, aptitudes, interests, etc. Accordingly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s one of the educ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and a direction of the education emphasized and changed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s an activity which focuses upon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special abilities, aptitudes, interests, etc. of different students. It also aims at diminishing educational cost for private lessons by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to schools. But the preceding study shows that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our present schools are not revitalized as much as expected because of recognition of the person concerned, various demands of educational consumers, a lot of administrative duties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teachers, deficient facilities, materials, and equipments, lack of the immediate guidance against the progress situation of the education activity and feedback, lack of the history of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data, etc. Therefore, final goal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 which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The proposed system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need and solves the problems and then revitalize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will encourage interactions at on-line among the three subjects(School, lecturer, students). Also It will be a very good chance to revitaliz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and develop student's different talents, merits, interests, etc.

      • 대전시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서부지역 플루트 지도강사를 중심으로

        호미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대전시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서부지역 플루트 지도강사를 대상으로 - 음악교육전공 호 미 정 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을 시행한지 6년을 맞이하는 시점에 그동안 얼마나 교육운영이 효과적으로 바람직하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 광역시 서부지역의 초등학교 중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는 14개교 중 12개교의 레슨강사를 대상으로 운영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나아가 그에 따른 특기·적성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운영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플루트 특기·적성교육 장소로써 음악실 전용 특별실을 갖추지 못하여 일반 저학년 교실을 사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적합한 학습 분위기 조성이 되지 않고 있으며 강사들과 학교내 교사들간의 관계에도 어려움이 있다. 운영면에 있어서는 방과후 아동들이 정규 수업 이외에 교육활동으로 시간을 잘 지키지 못함과 아동 모집에 있어서 기간이 너무 짧아 지도와 아동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방학중이나 새학기 시작때 공백이 생겨 연계지도가 잘 되지 않아 학습의 의욕과 효율성을 떨어 뜨리며 발표기회가 너무 희박하여 의욕적인 레슨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도면에서는 수준별 편성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며 많은 인원과 한정된 시간으로 부진한 아동이나 뛰어난 아동들에 대한 특별한 지도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지도 강사에게도 아동들에게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 아동에 소질과 적성계발을 위한 평가표나 학습지도안은 너무 형식에 치우쳐 있고 학부모들의 관심 또한 너무 저조하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이런 문제점에 대한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본래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첫째, 음악실 전용, 특별실 마련이 되여 아동들에게 학습 분위기와 학습 효과를 높여 주도록 해야 한다. 둘째, 플루트 특기·적성교육에 적절한 인원을 배치하기 위해 특기·적성 담당교사와 지도강사의 수고와 노력이 요구되며, 아동들의 소질과 적성 관리 및 레슨활동에 전념할수 있도록 학생 모집에서부터 수강비 관리 까지 학교에서의 담당교사가 협조를 아끼지 않아야하며 강사는 아동들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관심으로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교육에 힘써야 하겠다. 셋째, 강사는 부진한 아동에 대한 관심과 지도에 힘을 다하고 또한 소질을 보이는 학생들이 지루해하거나 태만하지 않도록 그룹을 재편성하여 지도하거나, 충분한 재능을 가진 아동들에 대해서는 개인레슨을 권장하여 아동의 소질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고 양성시키는 환경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넷째, 방학 중이나 새학기가 시작될 때 학교에서는 사전 계획을 철저히 수립하여 레슨이 중단 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정기적인 발표회의 기회를 마련하여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고 좀더 의욕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학부모가 아동과 강사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게 하거나 수업참관수업이나 연주회를 참관하게 하여 아동들을 평가하도록 하는 등의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방법이 있겠다. 여섯째,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모색하여 전통적,형식상의 학습지도안, 계획안이 아닌 현 아동의 수준, 진도에 맞는 실용적, 효과적인 지도안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며 플루트 교육으로 악기 연주와 기능 습득하는 활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사 개개인의 특징적인 수업을 계획하여 활용해 본다든지 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수업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일곱째, 강사는 레슨활동의 계획과 목표를 학습지도안에 세밀히 작성하여 준비된 수업을 실행하고, 매시간 레슨카드를 작성하여 아동들의 상태, 즉 실력향상정도, 부진한 점, 칭찬할 점등을 메모하여 아동과 학부모에게 격려나 칭찬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효율적인 레슨활동을 위한 자료로서도 활용한다. 예를 들어 혹여 강사가 바뀐다하더라도 아동들에 대한 정보를 레슨카드로 아동들을 파악한다면 아동들에 대한 적응시간과 소질을 알아내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보낼 필요가 없을 것이다. 여덟째, 교내 학예회나 작은 음악회 형식의 발표기회를 자주 제공함으로써 음악활동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연주의 기쁨과 성취감과 자신감, 협동심 나아가 자신의 특기신장에 기여 할수 있도록 학교는 적극 추진해주고 아동들의 잠재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아홉째, 학부모는 모든 것을 강사에게만 일임 할것이 아니라 레슨활동에 관심을 가지며 강사와의 규칙적인 아동에 관한 상담과 학교에서의 참관 수업이나 학부모의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정에서도 계속적인 관심과 지도로 아동의 레슨활동을 도와주어야 한다. 열번째, 정기적인 평가와 개선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학기말에만 아동평가 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수업방식에 아동 개인의 ‘레슨카드’또는‘’진도카드‘를 매시간 작성하여 학습에 부진한 부분을 세심히 기록하고 살펴 볼수 있어서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의 방안이 될수 있다. 현 교육제도는 해마다 계속 바뀌어 감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교육현장에서의 운영 적용되는 부분은 미흡하다. 요즘은 다중지능이론 인간의 지능은 하나의 요인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들로 구성되며,각 지능 요인들의 결합 형태에 따라 독특성이 결정된다는 것. 의 적용을 통해 학습애의 적용과 특기적성 교육에 효율적으로 신장시키자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는 반면 새로운 교육시책은 아직도 별다를게 없는 듯하다. 본 논문을 연구함으로써 알게 된 사실은 해마다 음악관련 특기적성에 관한 문제점이 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점이 계속 지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운영지침에 따른 외래 전문강사 채용 문제나 학습지도안 작성 문제는 현재 잘 실행되고 있으나 학습지도안 문제 건은 더 효과적인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외에 문제점들은 아직도 시급히 고쳐져야 할 부분으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학교 시설이나 운영 등의 행정적 요소들의 개선에는 여러 제약과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선점에 시간과 노력을 두지 않는다면 앞으로의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뿐 아니라 음악관련 특기·적성 교육,모든 특기·적성 교육의 발전은 기대 할수 없다. 그러므로 아동들에게 음악특기로 발전 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기 위해 다방면의 지속적인 노력과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에 대한 수정,보완작업이 이어져야 하며 나아가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연구도 계속 되어야 한다. 또한,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절한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자들에 대한 요구조사 다양한 영역. 수준. 방식의 프로그램개발, 진로지도와의 연계운영이 요구된다. 특기·적성 교육활동과 교육과정과의 연계. 통합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때 현재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fter-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Investigating the flute Tuter working in the western Area of Daejon City- Ho Mi Joung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Ryu. Ki choung Six-years have passed since after-school program for speciality and aptitude wa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suvey that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 have been done properly and effectively. The speciality and aptitud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is the after-school program besides formal school education. The after-school program are purposed to reduce the price of private education and find students' speciality and aptitude by teaching extracurricular lecture in school.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After-school flut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some remedies of that. The lecturers of 12 western elementary schools managing after-school programs in Daejon City were made up questions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s were composed to examine the quality of lecturer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school program and to take out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result, some problems were foun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teaching place, classroom-lental, learning-facilities, and school-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of after-school program, so next 10 effective remedies and improvements are follwed. First, the special room for exclusive use for music must be offere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fficiency. Secon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must be limited by teachers in school for educational efficiency. Third, the lecturer must offer childrens the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finding and training speciality and aptitude through interests and guidance. Fourth, more thorough plans to fill up the blank in vacation are needed. Fifth, the ac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children's parent participate in are needed. Sixth, the positive teaching of teachers is needed to find the systematic teaching way. Seventh, lecturer must write the schedule and purpose of lessens in their teaching plans and must keep records of children's aptitude and it's development. Eighth, children must be participated in public performances frequently to show their full abilities. Ninth, by insterest and direction in home and regular meeting with lecturer, parent must help their children to play the instrument. Tenth, the system for regular examination and improvement is needed.

      •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외부강사의 역할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경례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감소,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와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학교현장에 도입된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10여년의 기간이 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저렴한 수강료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진행되어 온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관하여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의부강사들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그들의 역할을 재조명 해보고자 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교육에의 요구와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적응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어떠하며,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강사들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확한 문제인식과 올바른 문제의 구조화를 통하여 적합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으며, 관련 문헌을 수집·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하였고, 의부강사들을 면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면접 대상은 7명의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특기 적성 교육외부강사들로서,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구 2명, 남구 2명, 동구 3명이며, 연령별로는 40대 2명, 30대 3명, 20대 2명이었다. 심층면접을 통하여 살펴본 의부강사의 역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별로 크지 않았다. 수업지도에 있어선 독립성과 자율성이 확보되고 있으나 수강료 책정, 강사비, 프로그램 선정, 시설사용 등에 있어서 단위 학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고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강사들의 역할 역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제도적인 측면에서 교육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고 특기 적성교육활동에 대한 학생, 학부모, 현직교사, 지역사회 등의 인식의 변화 및 강사들 스스로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의부강사들의 역할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우수한 전문 강사의 확보, 안정된 시설 확보,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의부강사들에 대한 교육부의 구체적인 지원책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의부강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직접적인 교육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그리고 시설 및 제반 여건을 공급하는 학교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was introduced to school setting in order to discover talent and develop special skills and hobbie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for developing talent and aptitude which has been progressed with the support of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diverse program and cheap tuition. And the research question is that what the roles of outside instructor have in the program in order to meet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demands and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Research method adopted was the problem structuring method which leads correct problem recognition. '7 outside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findings are: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program was minimal. They have autonomy in class teaching but are varied in the fixing tuition, the amount of rewards, selecting program and the use of facilities.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activization of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be minimal. It seems to me that more aggressive supports are needed from i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program is needed among the school children, parents, school teacher and community and more aggressive attitude is needed among outside instructors. Therefore, we need outstanding specialty instructor, good safe facilities, satisfying educational customers' needs and specific support policie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s a way of activization of the program and promoting of the roles of outside instructors. This focu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outside instructor. Further in-depth study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role of school children, parents as a educational customer, facilities and school which provide various circumstances.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운영과 개선 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

        허필현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특기 적성 교육 활동의 조직 및 운영, 재정, 업무, 개선 방안의 제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0개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 분석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hronbach α 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 교육 활동은 아동들의 소질 계발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조직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는 아동들과 학부모의 희망을 존중해야 하며 내용 선정은 강사와 교사, 관리자가 협의하여 선정해야 하고 한 반당 인원 수는 20명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특기 적성 강사들의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교사들의 신뢰하고 있었으며 사설 학원의 난립으로 수강생 모집에 애로점을 느끼고 있었으나 맞벌이 가정의 자녀 관리에 도움을 주므로 특기 적성 교육은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수강료는 20000원 이상 30000원 이하가 가장 적당하며 수강료 회계 관리는 교사가 하기보다는 행정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국고 지원도 필요하기는 하나 수요자 중심의 교육임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사교육비 절감 효과는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학원 수강료보다 싼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특기 적성 교육 활동 담당자의 업무를 많은 교사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특기 적성 교육 활동에 대한 일반 업무는 교사가, 재정 관계는 행정실에서 처리하고 강사 지도 및 관리는 관리자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혀졌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모든 업무를 담당 교사가 처리하는 현행 업무 체계가 개선되어야 하고 행정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한다. 넷째, 특기 적성 교육 활동 강사도 아동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므로 부단한 연수가 필요하고 외부 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으며 성과 향상을 위하여 가장 우선해야 할 과제는 지도 강사들의 우수한 실력이므로 우수한 강사 확보를 위해 학교나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 모집하여야 하며 교육인적자원부나 특별 운영이나 관리하는 전문 경영을 투입시켜 활성화시키는 방향도 바람직하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s and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on overall features of organizing, operating, financing, managing, and improving plans for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executed in elementary schools right now to improve those.. This research surveyed 491 teachers in 20 elementary schools in Daegu.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10.0 statistical program,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Chronbach a,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enhance children's aptitude. Also, it was indicated that wishe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need to be respected in selecting organization, and contents need to be selected by instructors, teachers, and managers with agreement. Also, results showed that 20 people are suitable for size of a clas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trusted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instructors. However, they felt difficulties in collecting trainees because of flood by private institutions. Nevertheless, it was indicat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needs to be activated since it helps children management for dual-income families. Second, results showed that tuition is appropriate in the range between 20,000 won and 30,000 won, and that active assistance from administration is needed for accounting management of tuition rather than by teachers. Also, it was indicat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need to be activated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sinc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t. Third, results showed that many teachers do not understand dutie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ors. Also, it turned out that teachers are charged with general duties, and financial affair is for administration. In addition, teachers felt that administrators should be responsible for leading and managing instructors. Moreover, it was indicated that current work system in most of schools needs to be improved with active assistance by administration. Fourth, results show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instructors need consistant training since they are educators teaching children, and there are necessities that it is entrusted and operated by an external institution. Also, it was indicated that open recruitment through schools or offices of education is needed to get excellent instructors since the priority is excellent skill of instructor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professional management is input to activate the education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중학교 일본어 특기·적성 수업에 관한 연구

        장혜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 name of 「Activation of Educational Activity after School」 out of 「A Reform Bill for Establishing New Educational System of the 21st Century 」proposed by Education Reform Committee in 1995. Since then, its name was changed to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al Activity」and various activities have been operated at the principal's or school council's discre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days. While I was teaching students in a secondary school, however, I recognized that programs a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were not conducted smoothly in accordance with learning demands of learners. In addition, 10 years have passed sinc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star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concrete class models which meet learners' needs as well as textbooks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s to consider satisfaction with a class model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nd effects of Japanese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class model which meets learners' needs.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prefere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the number of schools operating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was compared with that of Chinese and Chinese writing. According to the result, 17.7% of total schools, that is, 22 out of 124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s practice Chinese education, and 18 schools(14.5% of total schools) conduct Chinese writing education showing relatively low share. On the other hand, Japanese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a majority of 64 schools, which proves agai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Daegu prefer Japanese and development of class model is needed, too. When i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s advanced at an instructor's discretion as an irregular course unlike general regular classes, this study also aims to find out methods to maintain students' appeal and interest in Japanese. Thus, learning demands of 12 questions such as necessity of Japanese education and motive for taking the class surveyed and analyze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making a class model to practice consumer-centered class that students demand . The subject of this survey was students who took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t D middle school in Daegu where I was teaching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preference and necessity of Japanese learning was relatively high. Second, as for motive for taking the class, instrumental motivating factors such as 「I want to use it as my hobby」 or 「That's because there is regular classes」. were higher than consolidated motivating factors such as 「It seems to be exciting」. Moreover, the survey indicated that some students took the class because 「parents recommend」. Third, 70% of respondents demanded conversation-oriented class, and they preferred formative assessment to overal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Fourth, in class, they preferred 「projection TV」 and 「the Internet」 as learning materials. In respect of effects that they expect after learning,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narrow the sense of distance from Japanese as preparation for 「a regular Japanese class」 and that they would use it as their hobby.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learning demands, a syllabus was designed by lesson focused on communicational function considering learners' needs and the condition that learners approach Japanese for the first time. In curriculum design, class was practiced with various teaching-learning approaches for inducing learners' interest and appeal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to each lesson. The result of examining satisfaction with a class model designed like the above are as the following: First, 80% of respondents said 「they are rather satisfied with the class」. As well, satisfaction with the class model also was high. Second, learners showed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various teaching-learning approaches. Especially, through classes with songs and games and role play conducted by lesson, natural acquirement of language was achieved according to the survey. Instruction of Japanese culture by visual material also became a subject of students' interest and discuss. Third, three tests for expression power in Japanese recorded 1.9 grades out of a possible 3. Given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first learned Japanese and classes were practiced twice a week and total 20 times for 1 hour and half each class, the grade was relatively satisfactory achievement. A class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was thought to have limitations because it was conducted in a limited group for a short time. However, if the peculiarity of group where students gather is considered, this class model is regarded to be valuable in respect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substantial Japanese education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in accordance with students' needs. 특기ㆍ적성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가 제시한 「21세기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안」 중 「방과 후 교육활동 활성화」라는 명칭으로 우리 교육에 도입되었다. 그 후 1999년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으로 개칭 된 후 현재 초ㆍ중등학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 및 학교장 재량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하며 특기ㆍ적성 수업으로 개설된 프로그램들이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학습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심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기ㆍ적성 수업이 시작 된지도 약 10여년이 흘렀으나 아직 중학생들을 위한 일본어 특기ㆍ적성 교재는 물론이며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니즈에 부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일본어 특기ㆍ적성 수업 및 수업모형에 대한 만족도와 일본어 교육의 효과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구지역 중학생들의 일본어 특기ㆍ적성 수업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2005학년도 1학기 일본어 특기ㆍ적성 운영현황 학교 수를 중국어와 한문 과목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24개 공ㆍ사립 중학교 중 중국어 수업은 전체의 17.7%로 22개교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한문 수업은 18개 학교로 전체 대비 14.5%로 비교적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반면 일본어 수업은 과반수를 초과한 64개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대구지역 중학생들의 일본어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수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기ㆍ적성 수업은 비정규과정으로 일반 정규수업과는 달리 지도교사의 재량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본어를 선호하는 중학생들이 갖고 있는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요구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수업모형 제작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필자가 가르치는 대구지역 D중학교 일본어 특기․적성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수업의 필요성 및 수강동기 등 12문항의 학습요구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어 학습의 선호도와 필요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강 동기는 「재미있을 것 같다」라는 통합적 동기요인 보다 「취미활동에 활용하고 싶다 」혹은 「정규수업이 있어서」라는 도구적 동기요인이 높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단순히「부모님의 권유」에 의한 수강 또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응답자 중 70% 정도의 학생들이 「회화식 수업」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총괄평가보다는 형성평가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수업 시 희망하는 학습 자료로는 「프로젝션TV」와 「인터넷」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 후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정규 일본어 수업」에 대한 사전 준비로 일본어와의 거리감을 줄이고 싶다는 응답과 「취미생활에 활용 하겠다」라는 응답이 비교적 높게 조사 분석되었다. 학습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니즈와 일본어를 처음 접한다는 상황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단원별 실러버스 디자인을 하였다. 또한 커리큘럼 디자인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각 단원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디자인 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80%가 「그런 편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수업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또한 동일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높은 관심과 참여도를 보여 주었다. 특히, 노래와 게임을 활용한 수업 및 단원별로 실시된 역할놀이 등에 의해 자연스러운 언어습득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청각 자료에 의한 일본문화 소개 또한 학생들의 많은 관심과 토론의 대상이 되었다. 셋째, 3차에 걸친 일본어 표현 능력 평가는 전체 평점 3점 만점에 1.9점이다. 처음 일본어를 접하는 중학생들이 주 2회 1시간 30분씩 20회의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 수업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비교적 만족할 만한 성과라고 생각된다. 본고에서 제시된 수업모형이 한정된 집단에서 일회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이 한계점이라고 생각되지만 학생들이 모이는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그 때마다 학생들의 니즈에 맞추어 수정ㆍ보완하여 내실 있는 일본어 교육을 진행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도 비교 분석

        송영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 학부모 및 학생들의 인식도를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설문지를 통해 조사된 자료를 살펴보면 현재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는 거의 대부분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교의 체육시설은 매우 열악하여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 활동이 보다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시설여건의 미비로 인하여 학교마다 체육관련 특기·적성 부서가 1개정도씩만 운영하는 사례가 많았다. 체육 특기·적성 부서를 운영하고 있는 종목에 축구부가 가장 많은 것도 시설여건 때문으로 여겨진다.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사, 학부모 및 학생들 모두가 대단히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은 학생들의 체육기능신장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여가선용, 스트레스 해소, 인간관계 개선 및 사회성 신장 등 여러 측면에서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학생들의 체육 특기 적성 부서 교육에 대한 호감도는 교사나 학부모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생들의 체육 특기·적성 부서에 대한 선호도는 활동시간 조사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는 바, 그들은 보다 많은 시간동안 체육활동을 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와 학부모는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일 회당 60분 내지 80분정도의 활동시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년별로 신체적 발달차이가 커서 특기·적성 부서를 조직하는데 학년 별로 구분하여 조직하는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부서를 조직하는 원칙을 묻는 질문에 학년에 상관없이 학생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체육 특기·적성 부서 지도교사는 학교교사인 경우와 외부강사인 경우 지도하는데 좋은 점은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을 약간 다르게 나왔다. 어느 쪽이든 학생들은 잘 이해해주며 체육기능도 뛰어난다는 답이 많이 나왔으나 학교교사의 경우 학생들을 잘 이해한다는 쪽이 보다 많았고 외부강사의 경우는 기능이 뛰어나다는 쪽이 더 많았다.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비는 월 20,000원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더 싸거나 혹은 더 비싼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특기·적성 부서 강사의 보수측면에서 특히 교사들은 그들의 보수가 낮은 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학부모들은 특기·적성 부서 교육이 활성화됨으로써 사교육비가 경감될 수 있으리라 는 기대감이 높았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들은 특기·적성 부서 교육 때문에 사설학원이 위축될 것이라는 생각은 별로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사교육비경감차원에서 그리고 학생들은 채육활동에 대한 흥미가 높아서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에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 활동에 적극적이지는 않은 편이었다. 그이유로는 학원 때문에 시간이 부족한 경우와 부모님이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많았다. 학교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는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학교 체육시설을 개선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실내체육관이 있는 초등학교가 별로 많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보다 나은 체육특기·적성 부서 교육 활동을 바라는 것 자체가 무리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학교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의 활성화는 생활체육을 일반화시켜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여주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학생 개인적인 측면에서 보면 체력 및 운동기능 향상은 물론이고 인간관계와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사교육비를 경감시키며 사회적인 측면에서 생활체육과 연계될 수 있는 학교 체육 특기·적성 부서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안이 꾸준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specialty aptitude i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mo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almost all of the elementary schools have elec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s. But the facilities are inadequate in various physical activities. Because of these poor conditions, each school has only one program That's why most school prefer soccer team operating in physical education. Recognition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owards specialty aptitude in physical education looks very positive. Specialty aptitude hi physical education has been investigated that affects desirably on several sides such as recreational pastime, stress dissolution, human relations improvement and sociality extension as well as helping students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Epecially, Student's preference towards this education was more relatively higher than teachers or parents. good feeling degree about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of students was more relatively higher than teacher or students' parents ones.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activity time, they wanted to do athletic activity for more times. But, teacher and parents think it is suitable to have a activity time twice a week and about 60 minutes or 80 minutes per one time. In the case of primary school, most of specialty ap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re organized considering grades when they make programs. But, there were a lot of other opinions which consider student's function preferentially regardless of grade. What is good point when the teacher is a schoolteacher or outside speaker? Both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well and have good physical function. Schoolteach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to students. On the other hand, outside speakers have a better function ability. 20,000won of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school expense was the most case and cheaper or more expensive occasion month. But, teachers had a lot of opinions which their repair is low specially in special ability aptitude speaker's salary. Parents have high expectation which private education expense can be reduced by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s activated. But, teacher and students appeared that ideas which private teaching institute will be decreased because of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Parents have a positive recognition as a reduction in private education, but are passive in joining this education. Because students have to go to private institute and parents don't want. Agreed that teacher, students' parents, all of the students must improv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itution on condition to activ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t may be group that desire better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actuality of our country that there are not many primary schools with gymnasium itself. But, activ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may become opportunity to improve quality of life. Physical education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that can be associated can may be activated in social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