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將軍說話 硏究

        오세길 동아대학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한국장군설화란 장르를 새롭게 설정하고 장군설화의 다양한 전승양상과 의미 및 그 원리 등을 밝힘으로써 장군설화가 한국서사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규명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군설화의 정의와 특징, 유형 분류, 유형별 서사구조, 연원과 변이, 사실과 허구의 결합원리, 표징과 의미, 서사문학사적 위상 등에 대하여 상호 긴밀한 관계 속에서 논의를 진행시켰다. 장군설화란 '역사적 상황에서 장군의 이름으로 활약한 실존 인물에 대하여 설화적으로 구조화된 이야기'이다. 이러한 정의를 통해 장수설화나 영웅소설과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실존장군들에 대한 이야기가 가지는 유형으로서의 독자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장군설화는 구조적 측면에서 불변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즉 출생으로부터 죽음까지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장군설화의 서사구조는 기본적으로 초월성 또는 신이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장군설화는 민중들의 영웅기대론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역사적 층위에서 사실과 허구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형성·전승되는 장군설화는 시대정신과 민중의 역사인식에 따라 신이성과 역사성이 상호 비중을 달리하며 나타난다. 이때 민중들은 기록된 역사와 다른 자신들만의 역사인식에 근거하여 장군을 설화적으로 형상화한다. 장군설화를 총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분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서사구조에 의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즉 장군설화의 서사적 일대기는 몇 개의 사건군을 중심으로 재구할 수 있는데, 크게 출생·수련·행적·죽음(사후) 등의 네 개의 서사단락으로 결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장군의 출생(혈통)에 나타난 신이성의 유무와 그에 대한 역사적인 사실, 그리고 민중의 주체적 역사인식의 결과에 따라 장군설화는 신손성공형, 신손실패형, 인손성공형, 인손실패형 등으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장군설화의 서사구조는 건국신화 특히 주몽신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단군신화와도 그 친연성이 엿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주몽신화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그가 고구려를 건국할 능력과 당위성을 지닌 인물임을 묘사하는 데에 있다면, 김유신의 경우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할 인물임을 나타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지향점의 차이가 두 영웅에 대한 설화적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을 뿐, 이들이 모두 당대 최고의 영웅이었다는 공통 분모는 서사구조를 동일한 것으로 한 근본적인 동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장군설화의 변이전승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장군설화의 전체적인 서사적 전개양상은 신이성을 강조한 신화적 질서에서부터 차츰 합리적인 질서로 변모해 감을 알 수 있었다. 공통화소의 표징과 변이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우선 출생단락에서는 신이성과 불완전한 탄생이라는 표징이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신이성이 강조되다가 후대로 갈수록 불완전한 탄생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수련단락에서는 호국신의 표징을 지닌 화소가 각기 다른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 장군설화에서 수련의 장소로 등장하는 산 혹은 동굴은 곧 재생의 공간을 표징하고 있었다. 장군설화는 다양한 시대적 상황과 결부되어 형성·전승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속에는 각기 다른 시대 정신과 의미들이 내포되어 있다. 이를 전승의 의미라 하고 그 구체적인 면모들을 파악하였다. 먼저 장군설화에는 민중들의 영웅출현에 대한 기대심리가 숨어 있다. 그리고 보다 현실적으로는 그들이 요구하는 실제적인 장군상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장군설화를 통해 민중들은 나름대로의 역사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즉 지배층에 의해 강요된 역사에 반하는 그들만의 저항적인 역사인식이 드러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군설화가 한국서사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영웅이야기와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즉 장군설화를 영웅이야기에 편입시킬 때, 한국 영웅이야기는 혈통(천계/인간계) → 출생(신이한 출생/평범한 출생) → 고난(기아/수련) → 행적(성공/실패) → 죽음(천계로의 회귀/인간계에서의 좌절)이라는 커다란 구조적 틀 속에서 형성되고 전승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구조의 틀 속에서 시대적 상황이나 민중들의 세계관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서사단락이 변이되거나 탈락 혹은 부가되기도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의 영웅이야기는 귀족적·민중적 영웅이라는 이분법에 국한되지 않고, 혈통은 귀족적이면서도 결말은 민중적인, 혹은 혈통과 탄생은 민중적이면서도 결말은 귀족적 영웅으로의 서사구조도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요컨대 한국 영웅이야기는 시대적 상황과 민중인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될 수 있는 열린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dissertation is to set up "Korean General Tales" as a genre and, clarifying the various transmitted appearances and the meanings and principles of "Korean General Tales", to examin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Korean General Tales" in the history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 the definition and features of "Korean General Tales", its classified types, its narrative structures of each type, its original sources and changes, combined principles of reality and fiction in it, its symbolic marks and meanings, an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the narrative literature were referred to with the mutual and close relationship. "Korean General Tale" is 'a narrative story of the real general who played an active part historically'. This definition can make it differences from Commander(장수) Tales and Heroic Novel, and establish it as an original type that it is a story of the real general. "Korean General Tales" has an invariable structu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General Tales", forming a biography from birth to death, is based on the transcendence and the extraordinary mystery in it. In social aspects, we can regard that "Korean General Tales" was created in folks' expectation of hero. "Korean General Tales", formed and transmitted on two axes of reality and fiction with historicity, shows extraordinary mystery and historicism in a different degree according to the spirit of its times and the folks' historical understanding. Folks then make the story of a general narratively, based on their own historical understanding different from recorded history. therefore folks' recognition is supposed to be keenly reflected in "Korean General Tales". In order to deal with "Korean General Tales" on the whole, typ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s. The narrative biography of "Korean General Tales" can be consist of several parts of accidents-generally four parts of birth, discipline, achievements, and death(after death). "Korean General Tales" is classified into God's offspring's success type, God's offspring's failure type, Human offspring's success type, and Human offspring's failure type in accordance with the being of mystery in the General's birth and historical facts about it and the results of folks' own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General Tales" has some connection with the birthmyth of a nation, especially Ju-Mong(주몽)myth, and seems also to be related with Dan-Gun(단군) myth. However, whereas Ju-Mong myth is intended to describe that Ju-Mong has the ability and inevitable duty to build up Kogurya(고구려), Kim You-Shin's tale reflects just that he is the personage to achieve the great work of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These different purposes had an influence only upon forming both of heroes' stories narratively, and the commonness that they were the best heroes of their ages basically caused both of stories to have the same narrative structures. In the study of the varied transmitting of "Korean General Tales", it was examined that generally "Korean General Tales" had been changed and develop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with mythical order emphasizing the extraordinary mystery, to gradually the narrative structure with reasonable order. The common symbolic marks and its changes were also examined. In the birth part appear the symbolic marks of extraordinary mystery and imperfect birth, and at first extraordinary mystery is emphasized and then gradually imperfect birth is emphasized. In the discipline part the symbolic marks of defender of the fatherland appear with different features, and the mountain and cave as training places symbolize a rebirth place. It was revealed that Mountain worship, folklore faith, Taoism, and Geomantic belief had also an significant influence upon forming and transmitting of "Korean General Tales". Because "Korean General Tales" is formed and transmitt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times, it contain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meanings of the day. Therefore I named it social meanings and examined its concrete features. First of all, in "Korean General Tales" the folks' expectation of the advent of a hero is hidden and the actual image of general expected by them are reflected. Folks also, through "Korean General Tales", try to understand the history on their own, and they show their own resistant understanding of history against forced historical understanding by rulers. Finally was the status of "Korean General Tales" in Korean Narrative Literary History examined, especially concentrated upon the relationship to hero stories. When we include "Korean General Tales" in Hero Stories, we realize that Korean Hero Stories is formed and transmitted in the frame of bloodline(the world of immortals/the world of mortals)→birth(mysterious and extraordinary birth/ordinary birth)→hardship (starvation/discipline)→achievement (success/failure)→death(recurrence to the world of immortals/breakdown in the world of mortals). In the basic frame of narrative structure like this, each parts is changed, omitted, or add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of folks' world view. Therefore, being free from the dichotomous structures of noble/plebian heros, the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Hero stories make it possible that hero's bloodline is noble and the ending is plebian, or his bloodline and birth is plebian and the ending is noble. In short, Korean Hero stories has an open structure to be changed variously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of folks' recognition.

      • 새로운‘영웅형 공주서사’로서 백제 계산공주 설화

        정재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6

        As one of the old tales related to princess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tale related to Princess Gyesan(桂山) of Baekje(百濟) dynasty, which were not only recorded in various documents like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e Miscellaneous records on the Eastern Capital 'Tongkyeong'(『東京雜記』) and On Shamanism of Korea (『朝鮮の巫覡』), buy has been passed down orally utill recently. The story of Princess Gyesan has been little known compared to other ancient Korean princess stories of the same period. Born as the daughter of King Uija(義慈王) of Baekje at the end era of the kingdom, she was competent enough to master swordsmanship in her earliest years, and had mysterious abilities, such as the invention of the "self-propelled bravely fighting weapon(自勇兵器)" after getting training under the tutoring of woman Taoist master in the South Sea region. When the Allied Army of Shilla(新羅) and Tang(唐) dynasties invaded Baekje, she turned into a magpie and was discovered by General Kim Yu-shin's mysterious sword while searching for the Silla army camp. She then returned to Baekje and reportedly went into hiding in the Buso Mountain(扶蘇山) after failing to persuade King Uija to reconcile with Silla. The story, which has a narrative structure and key elements of the ancient hero's story, is also specific to the major common characteristics and labeling of the Korean general tales. And compared to other princess-related literature narrativ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Princess Nakrang(樂浪), Princess Pyeonggang(平岡), and Princess Seonhwa(善花), there are common features including the narrative background of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daughter, who had the historical princess records in a biographical narrative structure with mysterious and strange narrative elements. In the tale of Princess Gyesan, there are no narrative elements such as marriage, male spouse, women's suffering, and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 who did not rely on men have a female hero-seeking character who decides and pioneered her life independently and aggressively. This tale, which seems to reflect the mythical goddess statue of Korean shaman mythology, could be evaluated positively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as it presented the image of a female warrior or heroine who breaks down stereotypes about gender and social taboos and opens new horizons. Therefore,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follow-up study of the tale, it may be classified as a new type of "Princess narra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epic literature. In addition, the female hero narrative of the tale can be a valuable basis and asset for the historical and stylized Korean fantasy. Key words : princess of the Baekjae Kingdom, princess tale, general's tales, Princess Gyesan(桂山), General Kim Yu-sh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e Miscellaneous records on the Eastern Capital 'Tongkyeong'(『東京雜記』), On Shamanism of Korea (『朝鮮の巫覡』) 고대 공주 서사의 하나로서 고려시대 『삼국유사』, 조선시대 『동경잡기』 및 일제강점기 『조선의 무격(朝鮮の巫覡)』 등 여러 문헌 기록 및 구비전승으로 전해진 백제공주 관련 설화는 삼국시대의 여타 공주 설화에 비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백제 말기 의자왕의 딸로 태어난 미녀공주 계산(桂山)은 어려서 검법을 통달하고 남해 여도사로부터 신술(神術)을 전수받으며 ‘자용병기(自勇兵器)’를 발명하는 등 신이한 능력을 갖추었는데,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까치로 변신하여 신라군 진영을 정탐하던 중 김유신 장군의 신검에 의해 발각되고, 이어 백제로 귀환하여 부왕 의자왕에게 신라와의 화해를 설득하지만 실패하자 부소산(扶蘇山)으로 잠적하였다고 전해진다. 동 설화를 같은 삼국시대의 공주 설화인 낙랑공주, 평강공주 및 선화공주 서사와 비교하면, 모두 ‘역사성을 가진 공주’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아버지와의 갈등’이 핵심화소이면서, 신이한 요소까지 구비한 ‘일대기’적 서사구조라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계산공주 설화는 혼인 및 남성 배우자 화소가 전혀 등장하지 않고, 여성 수난이나 발복(發福) 등의 요소가 없는 차별점이 있으며, 여주인공은 남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인생을 결정하고 자아성취를 이루어 나간다. 삼국통일 주역인 ‘김유신 영웅만들기’와 관련이 깊어 보이는 동 설화의 일부 변이형은 고대 영웅이야기의 서사구조와 핵심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한국 장군설화의 주요 공통특징 및 표징과도 구체적으로 부합된다. 한국 장군설화 유형에서 계산공주 설화를 분류하자면, 인간계 혈통의 주인공이 과업에 실패한 후 사후 입신(入神)되지 못한 유형인 ‘인손(人孫) 실패후 미입신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동 설화의 서사 주체는 남다른 조건을 갖추며 자라나, 일정한 ‘통과의례’과정을 거쳐 특별한 능력을 획득하고, 이어 자신이 속한 공통체가 직면한 엄청난 과제에 적극 도전하여 큰 위기에 처하며, 극적 반전을 통해 비장하게 마무리된다. 따라서 동 설화는 조동일(1973), 조셉 캠벨(1999) 및 반 겐넵(2000) 등이 제시한‘영웅의 일생’이나 영웅이 치루는 신화적 모험의 표준궤도인 ‘통과의례’ 양식에 부합되는 서사구조와 핵심화소를 다수 갖추고 있어,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그간 찾아보기 어려웠던‘영웅형 공주서사’로 새로운 유형화를 시도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 무속신화의 신화적 여신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동 설화는 성(gender)에 관한 고정관념이나 사회적 터부 등을 깨고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는 여전사 내지 여성영웅적 형상을 제시하였기에,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긍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King Lear)>이나 동화 <백설공주(Snow White)>처럼 공주관련 역사적 서사물이 풍부한 서양에 비해 다양한 공주 서사가 부족한 한국 서사문학사에서, 자주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영웅 탐색담적 성격을 갖춘 계산공주 설화는 후속 연구 결과에 따라 새로운 ‘영웅형 공주서사’유형으로 착근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백제왕녀, 공주설화, 장군설화, 계산공주, 김유신 장군, 삼국유사, 동경잡기『東京雜記』, 조선의 무격(朝鮮の巫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