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말하기 능숙도에 따른 한국 대학생의 읽기발화와 자유발화 비교분석 : 문장말 억양과 단어 강세를 중심으로

        김정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99

        음성학 분야에서 초분절음적 요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많은 연구들이 음성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텍스트를 주의 깊게 읽는 발화를 녹음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발화는 즉흥적이고 자연스러운 자유발화(spontaneous speech)의 형태이다. 따라서 실험을 위해 텍스트를 읽는 읽기발화(read speech)로부터 나온 분석 결과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하는 자유발화의 특징과 동일하다고 볼 수 없으며, 두 발화 유형을 구별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총 23명의 한국 대학생들이 영어 말하기 시험에서 녹음한 음성 자료를 대상으로 읽기발화와 자유발화의 차이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문장 마지막 억양구의 F0 고저 범위 차이를 측정하고, 각 발화의 강세 오류 비율 및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발화유형별 특징이 평가 결과에 따른 말하기 능숙도 수준별로 차이를 보이는지도 분석하였다. 첫째, 발화유형별 F0 고저 범위 차이의 특징은 능숙도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위집단에서는 읽기발화의 F0 고저 범위 평균값이 더 크게 나온 반면, 중간집단과 하위집단은 자유발화의 F0 범위가 컸다. 읽기발화의 F0 고저 범위 차이는 각 문장에서 고른 수치를 보인 것과 달리, 자유발화의 F0 범위는 문장마다 다양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특히 하위집단의 자유발화에서는 F0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난 문장들의 영향으로 발화 전체의 평균값이 읽기발화보다 높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어 강세 구현 양상과 관련하여 (1) 발화유형별, (2) 강세 유형별, (3) 능숙도 수준별 등 3가지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먼저 (1) 발화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강세 오류 비율이 읽기발화에서 더 높을 뿐만 아니라 자유발화만큼 강세의 위치가 명확하게 구현되지 않았다. (2) 강세 유형별로는 강세가 1개인 단어 중 1음절 강세 단어보다 2음절 강세 단어의 오답률이 훨씬 낮았다. 또한 강세가 2개인 단어는 부강세 없이 주강세만 구현하여 오류로 판명되는 경향이 강했다. 마지막으로 (3) 능숙도 수준별로는 강세를 구현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상위집단은 길이와 피치를 둘 다 사용했으나, 하위집단으로 갈수록 주로 피치만 사용해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읽기발화와 자유발화는 F0 고저 범위 차이와 단어 강세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말하기 능숙도 수준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두 발화유형의 비교 연구가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우리의 실제 발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현대일본어의 언어변이 : 문법적인 변이 'ら'생략어형, 'さ'삽입어형, 'れ'삽입어형에 주목하여

        竹中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18

         본 연구에서는 현대일본어의 문법적인 언어변이, 그중에서도 ‘ら’생략어형 ‘さ’삽입어형 및 ‘れ’삽입어형에 주목하여 언어내적인 요인과 언어외적인 요인의 관점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세 가지의 언어변이에 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로부터 ‘ら’생략어형 > ‘さ’삽입어형 > ‘れ’삽입어형의 순으로 각각의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 세 가지 모두를 취급하여 진행한 연구는 많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보이스(voice)’의 범주에 있는 세 가지의 언어변이를 같은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텔레비전으로 생방송 된 프로그램과 비교적 공인으로 간주되는 출연자들의 자유발화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이를 토대로 담화 분석의 관점을 추가하여 자연스러운 대화 문맥 전체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삼자간 이상이 모인 장면의 자유 대화를 연구 자료로써 독자성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사의 모라 수, 성별, 연령, 직업, 출신지에 따른 각 언어변이의 관계성이 밝혀졌다.

      • 한국어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의 시간적 실현

        이동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이 연구는 한국어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의 시간적 실현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본의 여부와 대본의 성질이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의 시간적 실현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을 합산하여 과제별 전반적인 시간적 실현 양상을 살피고,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을 발화 내 출현 위치로 나누어 과제에 따라 화자가 발화를 어떻게 전개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준어를 사용하는 30명의 여성 화자를 대상으로 세 가지 과제가 있는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상 주제에 대한 독백 발화 과제(‘자유 과제’), 본인의 독백 발화 전사본을 낭독하는 과제(‘낭독(본) 과제’),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의 독백 발화 전사본을 낭독하는 과제(‘낭독(타)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후 수집한 발화를 대상으로 과제별 발화 내/말 휴지 구간의 빈도와 길이 그리고 조음 구간의 길이와 조음 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과제별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의 발화 내 위치에 따른 길이와 조음 구간의 발화 내 위치에 따른 조음 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는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의 시간적 실현 양상에서 달랐다. 자유 발화는 낭독 발화보다 발화 내 휴지가 길고 빈번했으며, 느린 조음 속도를 동반한 짧은 조음 구간을 가졌다. 발화 말 휴지가 생략되는 비율도 낭독 발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자유 발화에서는 발화 말 위치로 갈수록 휴지 구간이 짧아지고 조음 구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지만, 낭독 발화에서는 발화 내 위치에 따른 길이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조음 속도는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 모두 발화 말에서 빨라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자유 발화에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두 낭독 발화에서도 시간적 실현 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본이 본인의 독백 발화를 전사한 낭독(본) 과제의 발화의 경우 자유 과제의 발화와 가까운 시간적 실현을 보이기도 했다. 낭독(본) 과제의 발화는 낭독(타) 과제의 발화보다 발화 내 휴지 빈도의 범위가 넓고, 발화 말 휴지 길이가 짧아 자유 과제의 발화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음 구간의 조음 속도가 느렸다. 그리고 발화 끝에서 조음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은 낭독(타) 과제의 발화보다 낭독(본) 과제의 발화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본고는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의 시간적 실현 양상이 달리 나타난 이유를 주로 발화 계획의 차이로 논의하였다. 아울러 낭독 발화의 시간적 실현을 마침표로 문장 끝을 확인할 수 환경과 다음에 올 내용을 예측하는 과정이 동반되는 것 등으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자가 대본에 대한 장악력이 높아 몰입도가 높고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유인이 있을 경우, 해당 낭독 발화에서 자유 발화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자유 발화와 낭독 발화를 세 과제를 통해 수집하여 다양한 발화 환경에서 한국어 발화의 시간적 실현 양상을 탐구하고 그 이유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과제에 따른 전반적인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의 시간적 실현 양상뿐 아니라 시간의 관점에서 한 발화 단위가 조직되는 양상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 지능의 음성이 개별 사용 맥락에 적합하도록 휴지 구간과 조음 구간을 설계하는 데에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mporal realization in spontaneous and read speech in Korean. Specifically, the study tries to reveal how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cript and the nature of the script affect the temporal realization of pause and speech periods(without pause). In this study, the overall temporal realization of each task was examined by summing the pause and the speech periods. Moreover, the pause and the speech period were divided by the location of their appearance in the utterance to examine how the speaker organizes the utterance according to the task. An experiment with three tasks was conducted targeting 30 female speakers using standard Korean. A task to utter a monologue on a daily topic('free task'), a task to read a transcript of one's own monologue utterance ('reading task - same'), and finally a task to read a transcript of an unrelated person's utterance ('reading task - diff'). The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pauses (between and within utterances), and the duration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the speech period for each task were measured. Furthermore, the duration of the pause and the speech period according to the location within the utterance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the speech period according to the location within the utterance were measured for each task. As a result, the temporal realization of the pause and the speech period was different between spontaneous and read speech. The spontaneous speech had longer and more frequent pauses within utterance, and showed a shorter speech period accompanied by a slow articulation rate than read speech. The rate of omission of pauses between utterance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reading aloud. In spontaneous speech, the pause period became shorter and the speech period became longer toward the end of the utterance. But in reading speech, the duration was not changed linearly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utterance.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articulation tended to increase toward the end of the utterance in both spontaneous and read speech. However, the results were confirmed to be greater in spontaneous speech. Also, the two types of reading speech in this study showed differences in temporal realization. In the case of the speech of the 'reading task - same' which the script transcribed the utterance of one's own monologue, it showed temporal realization close to the speech of the 'free task'. Speech in 'reading task - same' had a wider range of pause frequency within an utterance, the duration of the pause between utterances was shorter, and the articulation rate of the speech period was slower than that in 'reading task - diff'. In addition, in the speech of the 'reading task - same', the pattern of articulation rate increasing at the end of the utteranc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reading task - diff'. This study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temporal realization of spontaneous and read speech differed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speech planning. In addition, the temporal realization of read speech was interpreted as being accompanied by an environment where the end of a sentence can be confirmed with a period and a process of predicting what will come next. At the conclusion, it was discussed that if the speaker has a high level of immersion due to his high grip on the script and has the incentive to deliver the content more eff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speech can be found in the read spee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Korean spontaneous speech and read speech through three tasks, explored the temporal realization aspect of Korean speech in various speech environments, and identified the reason. Moreover, it is worthwhile in that it examined not only the temporal realization of the overall pause and speech period according to the task, but also the organization of one utterance unit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helpful in designing pauses and speech periods so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s are suitable for various usage contexts.

      • 한국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운율 특성 연구

        유승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45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korean speech patterns,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using speech corpu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led to a more accurate observation for korean prosodic features in spontaneous speech focusing on the corpus which contained speaker’s explanation while looking at a map.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random sample methods of 20 males and 20 females from the large corpus L2KSC, and conducted experiments on recordings of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reading speech, the speakers read the script of “Wind and Sun”, while performing tasks in which they described a map in spontaneous speech. After that, all of spoken sentences were divided into accentual phrase and prosodic phrase, and found that the prosodic composition patterns, forming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are different each other. To measure differences in sentence patterns, 6 variables (articulation length and speed, pause length and frequency, pause length among statements, statement F0) were set, and statistical analysis compilations like t-test, correlation analysis, r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fter t-test comparing mean values among variables, prosodic factors distinguishing readnig and spontaneous speech are articulation length, pause duration and frequency. The analysis of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longer script, the slower speech speed because articulation speed and articulation length seem to highly correlate with each other in reading. In spontaneous speech, articulation length and pause frequency were closely related, thus the longer articulation length, the more pause frequency. The other vari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wo types were the vowel length of penultimate syllable & boundary syllable in first prosodic phrase (prosodic phrase showed at first in a sentence) and final prosodic phrase (prosodic phrase showed at last in a sentence) and F0. Finally, result showed that the prosodic factor distinguishing two speech patterns was the boundary syllable length of final prosodic phrase in reading speech. While in spontaneous speech, penultimate syllable length of first prosodic phrase, boundary syllable F0 of first prosodic phrase and boundary syllable F0 of final prosodic phrase were the main prosodic factor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sentence composing factors were in common at F0 both in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In reading speech, penultimate syllable of first and final prosodic phrase and F0 of boundary syllable ha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Reading speech showed a “structured pattern” which had solid F0 formation among factors, whereas spontaneous speech showed a relatively “flexible pattern”. The examination for the boundary intonation in the first and final prosodic phrase demonstrated a ascending pattern in reading speech, whereas spontaneous speech displayed similar distribu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patterns in case of first prosodic phrase. In case of final prosodic phrase, reading speech showed all descending patterns and spontaneous speech had overwhelming descending patterns and a few ascending patterns, which represented the differences between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본 연구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발화 유형 즉, 낭독과 자유 발화에 나타나는 운율의 특징과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자유 발화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지도를 보며 자신의 생각을 발화한 말뭉치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국어 자유 발화의 운율적 특성을 더 정확히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용량 음성 말뭉치인 L2KSC에서 한국인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낭독과 자유 발화에 대한 녹음 자료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화자들은 낭독에서는 ‘바람과 해님’의 스크립트를, 자유 발화에서는 지도를 보며 목적지까지 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후 모든 발화 문장들을 휴지를 중심으로 운율구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문장 안에서 낭독과 자유 발화를 구성하는 운율구의 구성 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장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첫 번째로, 문장 단위 측면에서 조음 길이, 조음 속도, 휴지 길이와 휴지 빈도, 문장 간 휴지 길이, 문장 F0값 등 6가지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값을 측정한 다음, 이를 통계적 기법-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의 평균값을 비교한 t-test 결과, 낭독과 자유 발화를 구별해 주는 운율 요소로는 조음 길이, 휴지 길이, 휴지 빈도가 나타났다. 이후 각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낭독에서는 조음 길이가 짧으면 조음 속도가 빠르고 조음 길이가 길면 발화 속도도 느려졌는데, 이는 조음 속도와 조음 길이가 서로 관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발화에서는 조음 길이와 휴지 빈도 사이의 관계가 높았으며, 이를 통해 조음 길이가 길어질수록 휴지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화 유형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두 번째 변인으로 문장 내 구성 요소 측면에서 문초운율구(문장 맨 처음에 나오는 운율구)와 문말운율구(문장 맨 마지막에 나오는 운율구)의 끝 앞음절과 끝음절의 모음 길이와 F0를 설정하고 통계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낭독에서는 문말운율구의 끝음절 길이가, 자유 발화에서는 문초운율구의 끝 앞음절 길이와 문초운율구의 끝음절 F0, 문말운율구의 끝음절 F0가 발화 유형을 구별해 주는 운율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장 내 구성 요인들의 관계에서는 낭독, 자유 발화 모두 F0에서 서로에게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낭독의 경우 문초운율구와 문말운율구 끝 앞음절과 끝음절의 F0가 서로에 대한 관계가 높았다. 이를 통해 낭독은 F0의 조직이 견고한 ‘정형화 된 틀’을 보이는 반면, 자유 발화는 낭독에 비해 각 F0의 관계가 낮아 상대적으로 ‘유연한 틀’의 형태로 나타났다. 문초운율구, 문말운율구의 경계 성조에 나타나는 억양 유형을 살펴 본 결과, 문초운율구의 경우 낭독에서는 상승 유형이, 자유 발화에서는 상승과 하강 유형이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고, 문말운율구의 경우에는 낭독의 경우 모두 하강 유형만, 자유 발화에서는 압도적인 수의 하강과 적은 수의 상승 유형이 나타남을 통해 낭독과 자유 발화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 국어 발화양식의 음성학·음운론적 연구

        김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431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concept of speech style, builds the methodology to study speech styles in Korean,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oncept and methodology by studying two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based on the revised concept and methodology to analyze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the selected speech styles after three experiments.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style and its neighboring concepts: language, sociolect, and register. Selected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are read/spontaneous speech and Aegyo/Non-Aegyo speech. The revised definition of speech style in this dissertation is '(spoken language) within-speaker language variation generated by the attributes of the speech context’, which is distinct from ‘style’ in literary stylistics that targets written languages, distinct from ‘dialect’ or ‘sociolect’ that refers to the between-speaker language variation influenced by the attributes of the speaker, and lastly, register that assumes the social indexicality. Also, given that the character of a speech style is varied by the degree of enregisterment(Agha, 2005) and stylisation(Coupland, 2001), the methodology to study speech styles needs to be determined with regard to how much the targeted speech style is enregistered or stylized. For instance, the study of speech style, where enregisterment has not started yet, should be conducted while controll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whereas the study of speech style, where enregisterment is accomplished already, should be conducted while fully activat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This dissertation applied these methodologies to two pairs of speech styles that were selected on behalf of the two extreme cases: the pair of read and spontaneous speech was selected to represent for the speech style which is not enregistered at all, while the pair of Aegyo and Non-Aegyo speech was selected to represent for the speech style of which enregisterment is completed.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are a pair of speech styles that differ only in the nature of speech activity (‘Is the speech produced by reading activity?’). The production experiment for corpus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Seoul dialect male speakers of two age groups: the young adult group and the old adult group. To control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the script that transcribed their spontaneous speech wa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read speech and speakers were instructed to read the transcription script as naturally a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wo speech styles showed differences in phonology and phonetics. Phonologically, the difference was that the same speaker showed more omissions in spontaneous speech than in read speech, and at least the young adult speakers involved spontaneous speech with more pauses than read speech. Acoustic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intensity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voice quality with between-age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universal features and language-specific features coexist in read and spontaneous speech in Korean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conducted i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the fact that som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age reveals that the speech styles that are not yet enreigistered can also be varied by sociolects. Lastly, when the effect size (i.e. estimate, AIC) of the significant phonological/acoustic variables were compared, those of read/spontaneous speech were lower than those of Aegyo/Non-Aegyo speech, meaning the lack of enregisterment can be led to the less consistency of production of the speech style. Aegyo speech and Non-Aegyo speech are a pair of speech styles that differ only in the attributes of social evaluation (‘Does the speech sound like Aegyo?’). Here, Aegyo refers to ‘speech or behavior that is intended to look cute to others’. The production experiment for the corpus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male and female Seoul dialects young adult speakers. In order to stimulate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a pair of straightforward instructions were provided by using the socially-agreed label of the speech style – ‘Aegyo’: ‘Read out the script using Aegyo to full’ (Aegyo speech) and ‘Read out the script not using any Aegyo at all’ (Non-Aegyo speech). In addition, a perce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or not Aegyo/Non-Aegyo speech styles were also perceptually enregistered. In this perception experiment, the knowledge of the listener's speech style was activated by directly asked 'Is this Aegyo speech?'.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the two speech styles showed differences in phonology and phonetics in terms of both production and perception. Phonolog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P-final tonality in word list speech and a handful of instances in the difference in phonological processes. Acoustic differences were found in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intensity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vowel space, and voice quality with between-gender variability. These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Aegyo and Non-Aegyo speech seem to be the potential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typology of voice-attractiveness, considering Aegyo is generally performed to attract the other party in intimate relationships. Also, som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gender imply that the way of enregister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aker's attributes. Lastly, enregisterment seems to increase the systematicity of the targeted speech style, given that the significant acoustic variables that differ Aegyo speech from Non-Aegyo speech had larger effect sizes, compared to those that differ read speech from spontaneous speech. This dissertation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refore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dissertation comprehensively studied the no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y of speech style, while speech style has not been highly recognized in Korean Linguistics until recently. Second, this dissertation is not limited to theoretical issues, but its theories were verified by conducting experimental studies on two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Last but not the least, this dissertation confirmed the linguistic importance of speech style by validating that speech style is closely related to important concepts in linguistics: language, sociolect, and register. 본고의 목적은 발화양식(speech style)의 체계와 이에 따른 연구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국어 발화양식 연구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발화양식의 개념을 정비하고, 이 정비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국어 발화양식을 선별, 총 세 차례의 실험을 통하여 음성학·음운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화양식과 언어의 관계, 발화양식과 방언의 관계, 발화양식과 사용역화의 관계를 밝힌다. 선별된 발화양식은 낭독 발화, 자유 발화, 애교 발화, 비애교 발화이다. 본고의 발화양식은 ‘(음성 언어) 발화 맥락에 따라 발생한 화자 내 언어 변이 혹은 발화 맥락에 따라 발생하여 사용역화된 화자 내 언어 변이.’로 정의되어 문자 언어가 아닌 음성 언어만을 대상으로 하다는 점에서 문체와 다르고, 화자의 속성이 아닌 발화 상황의 속성에 따라 분화된다는 점에서 방언과 다르며, 언어형식의 집합체라는 점에서 사회적 표지성이 중요한 사용역과는 다르다. 발화양식은 사용역화(Agha, 2005)와 양식화(Coupland, 2001)의 정도에 따라 속성이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방법론도 달라져야 한다. 이를테면, 사용역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은 발화양식의 연구는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통제된 채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사용역화가 완료되어 양식화의 대상이 된 발화양식의 연구는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이 최대한 활성화된 채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은 전자의 발화양식을 대표하여 선별된 낭독․자유 발화와, 후자의 발화양식을 대표하여 선별된 애교․비애교 발화의 두 쌍의 발화양식에 실제로 적용되었다. 낭독 발화와 자유 발화는 발화 활동(‘낭독하는가?’)의 속성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발화양식의 쌍이다. 말뭉치의 수집을 위한 산출 실험은 청년층과 노년층의 서울 방언 남성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통제하고자 본인의 자유 발화를 전사한 대본을 낭독 발화의 구현에 활용하고 최대한 자연스럽게 읽을 것을 지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발화양식은 음운론․음성학적으로 체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운론적으로는 자유 발화가 낭독 발화보다 더 많은 음소의 탈락이 일어나고, 적어도 청년층 화자는 자유 발화에 낭독 발화에서보다 더 많은 휴지를 개입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음성학적으로는 모음 길이의 평균값‧표준편차, 발화 속도, 기본주파수의 폭‧평균‧표준편차, 억양구 단위로 측정한 강도의 폭, 지터의 평균값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다른 언어를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 언어보편적인 특성과 언어특수적인 특성이 공존한다고 토의되었다. 아울러, 일부 음운론․음성학적 변수에서는 연령 변수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여 사용역화가 진행되지 않은 발화양식도 사회 방언에 따라 달리 산출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낭독․자유 발화는 애교․비애교 발화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변수들의 효과 크기가 매우 작아 사용역화가 완료되지 않은 발화양식은 화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토의하였다. 애교 발화와 비애교 발화는 사회적 평가(‘애교스러운가?’)의 속성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발화양식의 쌍이다. 말뭉치의 수집을 위한 산출 실험은 두 성별의 서울 방언 청년층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균일하게 활성화하고자 직접적으로 ‘최대한 애교스럽게 읽으라.’(애교 발화) 혹은 ‘절대 애교스럽지 않게 읽으라.’(비애교 발화)라고 지시하였다. 아울러 애교 발화와 비애교 발화는 청자로서의 인식 측면에서의 사용역화 여부도 확인하기 위하여 지각 실험도 진행되었는데, 이 지각 실험에서는 ‘애교 발화인가?’를 직접적으로 물어 청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지식을 활성화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발화양식은 산출과 인지 양 측면에서 음운론․음성학적으로 체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운론적 차이는 일부 애교 문체의 음운 현상이 애교 발화에서만 구현된 점과 단어 목록 발화에서 억양구말 성조의 실현이 다른 데에서 발견되었다. 음성학적 차이는 기본주파수의 표준편차․폭․최댓값․최솟값․평균값, 강도의 표준편차․폭, 모음길이의 표준편차․평균값, 발화속도, 단모음의 모음 공간, 지터의 평균값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목소리 매력성(voice-attractiveness)의 관점에서 언어유형론적 차이를 감지하는 토대가 된다고 토의되었다. 아울러, 일부 음운론․음성학적 변수에서는 성별 변수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여 발화양식의 사용역화 방식이 화자의 속성(사회 방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애교․비애교 발화는 낭독․자유 발화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변수들의 효과 크기가 커서 사용역화가 완료된 발화양식은 지식으로 자리 잡아 일관성이 커진다고 해석되었다. 본고는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선행 논의와 대별되는 연구 의의를 지닌다. 첫째, 최근까지 국어 음운론에서 발화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하였던 가운데 발화양식의 개념, 성격, 체계, 방법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이론적 고찰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발화양식의 실험 연구를 통해 이론을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발화양식이 기존의 주류 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던 언어, 방언, 사용역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이론과 실재의 양 측면에서 규명함으로써 발화양식의 언어학적 중요성을 찾아주었다는 점이다.

      • 발화 유형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리듬 연구

        김금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15

        본 연구는 발화 유형에 따라 음성-음운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발화 유형에 따라 리듬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영어 원어민의 영어 발화, 한국어 화자의 영어 발화, 동일 한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화를 대상으로 리듬 측정 공식을 사용하여 리듬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한국인 화자가 발화 유형에 따라 영어 리듬의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읽기 자료와 자유 발화 상황을 제공하여 두 가지 발화 유형에 따른 발화를 녹음하였다. 또, 한국인 화자가 보이는 영어 리듬의 경향이 모국어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어 원어민의 경우에도 같은 절차를 거쳐 발화를 녹음하였다. 각 다섯 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가 발화 녹음에 참여하였다. 읽기 자료로는 어린이용 영어 동화책인 ‘The Little Mermaid’가 사용되었으며, 자유 발화는 여행 및 언어 학습․사용과 관련된 질문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대화를 이어가도록 하였다. 각 유형별로 화자의 발화 10개씩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분석하였으며, 리듬 측정 공식의 하나인 nPVI를 사용하여 각 문장의 nPVI값을 구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한국인 화자의 리듬 경향성이 모국어 발화에서도 나타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 화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어의 경우에도 읽기와 자유 발화의 두 가지 발화 유형을 제시하였고, 읽기 자료로는 어린이용 전래 동화 ‘혹부리 영감님’이 사용되었다. 자유 발화 유도를 위해서는 영어 발화의 녹음에 사용되었던 질문의 한국어 버전이 사용되었다. 한국인의 영어와 한국어 발화의 리듬 비교 실험에서도 각 언어별, 유형별로 10개씩, 총 200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두 가지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영어 발화를 할 때, 주어진 자료를 읽을 때보다 자유 발화를 할 때 음절의 등시간격성을 보이며, 이는 영어 원어민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 화자들이 자유 발화에서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만큼의 강세 기반 리듬을 보이지 않는 것은 모국어의 간섭 때문이라기보다는 발화 유형이 미치는 영향 때문이다. 둘째, 한국인 화자들은 한국어 발화를 할 때, 자유롭게 대화를 하는 상황에서 이야기를 읽을 때보다 더 음절 지속 시간의 변화를 크게 보였다. 이것은 앞선 실험의 결과와 반대되는 것으로,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특성을 소리내어 읽을 때 더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 언어의 특성과 관련한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화자의 수는 한국인과 영어 원어민 각 다섯 명으로, 언어는 한국어와 영어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참여자의 수와 언어를 확장한다면 일반화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발화 유형은 화자의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듬을 구성하는 요소 중 무엇 때문인지는 밝히지 못하였다. 자유 발화와 읽기 발화 자료를 적절하게 통일시켜 두 발화 유형에 따른 세부 차이를 밝힐 수 있다면 발화 유형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학습자의 인지 과정을 알아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 자유 발화 억양구 경계 실현에 관한 연구

        전태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1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자유 발화에서 억양구 경계 실현이 발화의 통사·의미·정보 구조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밝히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유 발화에서의 억양구 경계 실현이 발화의 구조를 정교하게 반영할 뿐 아니라, 구어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도모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 것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20대 남녀 50명(각각 25명)의 독백 자유 발화 자료로, 이는 음성 코퍼스 ‘2차 말글 비교 실험 DB’의 일부였다. 이 자료에는 억양구 단위에 대한 운율 주석이 갖추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통사·의미·정보 구조에 관한 주석을 추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억양구 경계가 발화의 어느 위치에서 나타나는지를 문장 성분, 절의 통사 유형, 연결 어미의 의미 기능, 정보 구조 구성 성분에 따라 나누어 살폈다. 또한 그 위치에 따라 억양구의 운율적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억양구 경계는 후속 부분과의 통사·의미적 독립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위치일수록 더 자주 실현되는 경향을 보였다. 접속절 경계와 발화 초의 정보 구조 경계에서 억양구 경계가 가장 전형적으로 실현되는 위치로, 이들 경계에서의 억양구 경계 실현율은 대개 80~90% 정도였다. 또한 억양구의 길이는 억양구 경계가 어느 위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나타났는데, 평균적으로 접속절 경계 억양구는 9.3음절, 비절 경계 억양구는 5.9음절의 길이를 보였다. 억양구의 운율 특성은 억양구 경계 실현 위치에 따라 달라졌다. L%는 전반적으로 가장 빈번히 쓰인 경계 성조였으나, 이는 비전형적 억양구, 즉 후속 부분과의 통사·의미적 독립성이 약한 위치에서 경계가 실현된 억양구에서의 주된 경계 성조였다. 이와 달리 H%, HL%는 전형적 억양구, 즉 후속 부분과의 통사·의미적 독립성이 강한 위치에서 경계가 실현된 억양구에서 L%보다 자주 쓰였다. 전형적 억양구에서는 비전형적 억양구에서에 비해 끝음절 지속 시간은 짧아지며, 후행 휴지 실현율은 높아지고, 후행 휴지 지속 시간은 길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억양구 끝음절과 후행 휴지 지속 시간의 상대적인 비인 ‘후행 휴지/끝음절’이 전형적 억양구일수록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억양구 경계 실현의 전형성은 연결 어미 의미 기능의 통사·의미적 독립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이에 따라 독립-배경 > 독립-대조 > 독립-나열 > 독립-담화 > 독립-선택 > 의존-원인 ≧ 의존-선행 > 의존-양보 ≧ 의존-동시 > 의존-조건 > 의존-목적 > 의존-방식의 위계가 음성·통사·의미적 차원에서 정도성을 띠며 위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료에서 사용된 연결 어미의 대부분은 ‘-고, -어서, -는데, -으면, -으면서, -으니까’였으며, 전형적 억양구 또한 대부분 이들이 쓰인 절 경계 억양구였다. 발화 계획과 산출이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유 발화의 특성상, 이와 같은 억양구 경계 실현은 단지 통사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도모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반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화자는 발화 내의 주요 경계에서 긴 정보 단위를 적절한 덩어리로 끊어서 전달할 수 있고, 억양구 경계 실현의 전형성을 운율적 특성을 통해 신호화함으로써 발화의 통사·의미 구조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또한 발화 초의 정보 구조 경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억양구 경계 실현은, 발화 내의 두드러지는 경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발화 계획을 위한 주요한 지점으로 기능한다. 한편 자유 발화에서만 나타나는, 단지 생각을 나열하면서 연결되는 절들의 경계에서 특징적인 억양구 경계 실현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발화의 점진적 산출과 그에 따른 화자의 발화 전략과 관련된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자유 발화 억양구 경계 실현에서 두드러지는 몇 가지 패턴들을 파악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발화 초의 정보 구조 경계, 그리고 발화 중간의 접속절 경계는 억양구 경계가 거의 필수적으로 실현되는 위치인데, 접속절이 다소 길어지는 경우는 절 경계로부터 앞쪽으로 9음절 및 3어절 내외의 억양구가 형성되고 그 앞쪽에 나머지 부분에 대한 억양구가 형성된다. 또한 접속절 경계가 발화 구조상 최상위 경계인 경우, 그 경계 억양구는 후행 휴지가 끝음절에 비해 2~3배 정도의 길이로 실현된다. 경계 성조와 관련하여서는, 전형적 억양구 중 배경 절 경계 억양구에서는 HL%, 나열 절 경계 억양구에서는 H%, 화제 경계 억양구에서는 L%가 주로 쓰이며, 비전형적 억양구에서는 L%가 자주 쓰이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연구들과 달리 대규모 자유 발화 자료를 이용해 억양구 경계 실현과 통사·의미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한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또한 운율과 언어 처리 및 발화 산출 사이의 관련성 연구, 나아가 운율의 유형론 연구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intonational phrasing in spontaneous Korean speech correlates with the syntactic, semantic, and information structures of utteranc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tonational phrasing reflects not only the structure of utterances, but also the speakers' intent to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Spontaneous monologue data of 25 females and 25 males, sourced from “2차 말글 비교 실험”, a Korean speech corpus, were used. This corpus, initially annotated for IPs (intonational phrases), was further annotated for syntactic, semantic, and information structures of utteranc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the two main aspects: the locations of IP boundaries within utterances, and the corresponding prosodic properties of these 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P boundary placement rates at grammatical boundaries increase with the syntactic and semantic independence. Typically, conjunctive clause boundaries and information structure boundaries are the most common locations for IP boundaries, with the IP boundary realization rates of 80-90%. Furthermore, IP lengths varied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IP boundaries, averaging 9.3 syllables at typical, conjunctive clausal IPs and 5.9 at less typical IPs. The prosodic properties of IPs were affected by the locations of IP boundaries. Overall, L% was the most frequent boundary tone, yet it was especially frequent in IPs located at less typical positions where syntactic and semantic independence was weak. Conversely, H% and HL% tones were more frequent than L% in IPs at typical locations, particularly conjunctive clause boundaries. In the typical IPs, the final syllable durations were shorter than in the less typical IPs. The post-boundary pause realization rates were higher, and the durations of post-boundary pauses were longer in the typical IPs. Furthermore, the ratios of post-boundary pause durations to the final syllable durations were higher in the typical IPs. The typicality of intonational phrasi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mantic functions of connective endings. This connection suggests an independence hierarchy of connective endings, considering phonetic, syntactic, and semantic independence: I (Independent)-Background > I-Contrast > I-Enumeration > I-Discourse > I-Selection > D (Dependent)-Cause ≧ D-Anteriority > D-Concession ≧ D-Simultaneity > D-Condition > D-Purpose > D-Manner. Furthermore, the majority of connective ending tokens consist of “-고 (go), -어서 (eo-seo), -는데 (neun-de), -으면 (eu-myeon), -으면서 (eu-myeon-seo), -으니까 (eu-ni-kka)”, and these endings were included in most IPs at the conjunctive clause boundaries. Considering that spontaneous speech is planned and produced in real time, it can be inferred that intonational phrasing isn't solely determined by syntax, but also reflects speakers' intent for efficient communication. Through intonational phrasing, speakers can cognitively and rhythmically segment extensive information units into shorter, manageable chunks. Additionally, by altering the prosodic properties of IPs, speakers can effectively signal the syntactic, semantic, and information structure of an utterance. It is suggested that intonational phrasing at information structure boundaries, particularly in utterance-initial position, accentuates the most salient syntactic and semantic boundary of an utterance, affording the speaker extra time for planning. Moreover, certain conjunctive clause boundary IPs appears to be more related to planning than to syntactic conjunction. This suggests that this type of intonational phras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incremental production of speech and speaker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findings indicate certain patterns of intonational phrasing in spontaneous Korean speech. Primarily, intonational phrasing occurs at information structure boundaries in utterance-initial positions and at conjunctive clause boundaries. If a conjunctive clause is too long to be spoken in a single IP, it could be segmented into multiple IPs, with the length of conjunctive clausal IP typically amounting to approximately 9 syllables and 3 eojeols (Korean spacing units). When an IP boundary aligns with the highest syntactic and semantic boundary of an utterance, the post-boundary pause is often two or three times longer than the IP's final syllable. As for boundary tones, typical IPs frequently show HL% at background clause boundaries, H% at enumerative clause boundaries, and L% at topic boundaries. L% is the most dominant boundary tone in less typical IP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Korean research by investigating overall correlation between intonational phrasing and syntactic and semantic factors using a large spontaneous speech corpus. Moreover, the present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dy and language processing, and also for studies in prosodic typology.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음화 실현 양상 연구

        박지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31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을 모든 유형별 각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하여 실현하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목록으로 구성된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 외에도 자유 발화 조사를 실시하여 실생활 대화 속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오류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대상은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기관 정규 교육 과정 6급에서 학습 중인 베트남인 학습자이다. 먼저 자유 발화 조사는 두 명의 베트남인 학습자를 매주 한 시간씩 총 10차례에 걸쳐 대화를 녹음하고 이를 전사하여 자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을 위해 세분화된 유형별 환경으로 구성된 실험 문장을 제작하여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행하였다. 세 실험의 자료를 가지고 경음화의 각 유형별 실현율과 오류율을 도출하고 각 환경별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먼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인지 실험의 오류율이 38%, 낭독 실험은 20%, 자유 발화에서는 6.7%의 오류율을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경음화 실현에 크게 어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 발화의 경우에는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에 맞춰 어휘를 선택하여 대화를 구성해서 발화하였기 때문에 오류율은 더 낮게 나타났다. 각 실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체에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합성어 사이시옷 환경의 경음화와 어간 말 ‘ㄴ,ㅁ’ 의 어휘수가 많지 않아 학습이나 생활 속에서 노출 기회가 적은 용언 어간 말 비음 뒤 경음화로 나타났다. 둘째, 평파열음 뒤 경음화와 같이 비교적 쉬운 규칙의 유형이라도 환경별 경음화 실현에 차이가 있어 세부적인 환경에서의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했다. 셋째, 평파열음 자음군 뒤의 경음화 오류는 대부분 자음군 발음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자음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넷째, 관형형 어미 ‘ㄹ’ 뒤 경음화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할 수’의 경우 100% 실현을 함으로써 난이도가 높은 규칙이라도 사용 빈도가 높으면 오류가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세 가지 실험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주된 오류 유형은 베트남어의 간섭으로 인한 철자법대로 음절별로 끊어서 발음하는 오류가 가장 많았고 선행 음절의 종성을 탈락하여 경음화를 적용하지 못한 경우와 경음을 격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각 유형에서 골고루 발견할 수 있다. 여섯째, 유형별 각 환경에서의 오류를 비교해 봄으로써 계획된 문장을 읽은 낭독 실험에서보다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하여 산출한 자유 발화가 인지 실험의 결과를 더 잘 설명해주는 객관적인 조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ietnamese Korean learners apply and actualize glottalization phenomenon in all types of environment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formed as lists, as well as free articulation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practical errors that appear in real-life conversations. Subjects are Vietnamese learners studying level 6 formal curriculum in Korean Education Institute at university. Free articulation inquiry recorded conversations of two Vietnamese learners every week for an hour, for a total of 10 occasions, and transcribed them into materi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enty learners by producing experimental sentences composed of subdivided types of environments for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Actualization rates and error rates of each type of glottalization was derived and error types for each type of environment was examined using the data from three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error rate of 38% in cognitive experiment, 20% in recital experiment, and 6.7% in free articulation inquiry, generally indicating that these learners have little difficulty in actualizing the glottalization. Especially in case of free articulation, the error rate was lower due to conversations that were composed of vocabular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learning ability and level. The results of each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 it appears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most difficulty with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compound word ‘ㅅ’ an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pleonastic stem-final ‘ㄴ, ㅁ(ㄻ)’ which had little chance of exposure in studies or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shortage of vocabulary of the stem ‘ㄴ, ㅁ’.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eaching-learning must be done in detailed environments, as even the relatively easy type of rules, such as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differ in the actualization of glottalization by environment. Thir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consonant group are most often caused by errors in consonant group pronunciation, which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consonant group education. Fourth, in case of ‘할 수’ which is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an adnominal ending form ‘-(으)ㄹ’ actualized 100%, and by doing so, it was confirmed that errors can be reduced, only if high level of difficult rules are used more frequently. Fifth, in the three experiments, learners’ major type of errors was pronouncing words by breaking them down according to the spellings and syllables due to Vietnamese interference; also, errors such as failing to apply glottalization due to failure in pronouncing the leading syllable’s final consonant, and replacing tense sound with aspirated sound while pronouncing, can be found evenly in each type. Sixth, by comparing errors in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s, it was apparent that free articulation composed and produced by learners themselves was an objective investigation that better clarified the results of cognitive experiment than in the recital experiment that required reading the arranged sentences.

      • 고모음화의 방언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김동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68

        본고는 현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종류의 고모음화를 그 적용 범위와 지리적 분포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세대의 변화에 따라 고모음화의 실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의 변화를 잘 나타내는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주로 1910년대생의 제보자로부터 채록한 《韓國⽅⾔資料集》(1987-1995, 韓國精神⽂化硏究院), 1940년대생 제보자의 언어를 반영한 《지역어 조사 보고서》(2005-2013, 국립국어원) 및 《지역어 보완 조사》(2017-2019, 국립국어원), 1970년대생과 2000년대생 제보자의 언어를 채집한 《세대별・지역별 언어 다양성 조사》의 자료를 통해 약 1세기 동안 일어난 한국어의 고모음화에 대해 상술하였다. 모음체계의 변화는 특정 방언에서 고모음화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도 하므로 먼저 모음체계의 변화를 다루었다. 예컨대 동남 방언에서 ‘ㅓ’와 ‘ㅡ’의 음소적 대립이 없는 시기에는 자연히 ‘ㅓ > ㅡ’ 고모음화를 찾아볼 수 없었는데, 두 음소의 대립이 생긴 세대에서는 ‘ㅓ > ㅡ’의 고모음화를 찾을 수 있었다. 중부 방언을 전역에서 나타나던 장모음 ‘ㅓ:’, ‘ㅔ:’의 고모음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장 큰 변화를 겪어 충청도 일부 지역으로 축소된다. 남부 방언에서 살필 수 있었던 장모음 ‘ㅔ:’의 고모음화 세대 간의 차이를 크게 보인다. 한편 경북 서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어두 단모음 ‘ㅔ’의 고모음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비어두의 경우 ‘ㅓ > ㅡ’가 《자료집》 이전의 시기에 중부방언 및 서남방언 전체에서 나타나다가, 서울 및 경기 남부 지역으로부터 이 고모음화의 세력이 약화되는 것을 포착하였다. 어말의 ‘ㅔ > ㅣ’는 어두나 비어두-비어말의 ‘ㅔ > ㅣ’와 달리 경남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일어난다. 또한 지금까지의 방언학 논의가 대체로 어휘 항목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구술발화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발화에서 고모음화가 실현되는 비율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의식적인 발화보다는 자유 발화에서 고모음화가 더 적극적으로 실현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고모음화가 적용 어형이나 분포상에서 축소되는 데 비해, 문법형태소에서의 ‘ㅓ’나 ‘ㅗ’ 고모음화는 어형・지역・세대를 아울러 확산되는 모습도 포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high-vowelization in Korean. This dissertation also describes how the dialectal distribution changes in compliance with generation differences. In this study, research materials on 《韓國⽅⾔資料集》(Korean Dialect Archives), 《지역어 조사 보고서(A Report on the Dialect Vocabulary of Korean) & 지역어 보완 조사(A Report on the Supplementation Survey of Korean Dialects)》 and 《세대별・지역별 언어 다양성 조사(Language Variation Survey by Generation & Gender on Korean Dialects)》 were used to indicate the distribution and linguistic change. There are approximately 30 years between each research. Therefore it would be effectual to compare these materials by the real time contrast method. First of all, the change of vowel system may affect the input and the output of high-voweliz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the vowel system of Korean dialects. For example, in Gyeongsang-dialect of 《자료집》, the speakers were not able to distinguish between ‘ㅓ’ and ‘ㅡ’. In this case, high-vowelization was not supposed to appear. However, in 《지역어》-one generation after 《자료집》-, ‘ㅓ’ and ‘ㅡ’ began to be distinguished. Then it was able to find the examples of ‘ㅓ’ high-vowelization. After giving a description of the change of vowel system, this research described the distribution of high-vowelization on the word-initial position. In 《자료집》, ‘ㅓ:’ high-vowelization appeared in the entire Central dialect. As time passed, the distribution of high-vowelization reduced continuously. Hence, in 《지역어》, ‘ㅓ:’ high-vowelization is distributed only in southern Gyeonggi and part of Chungcheong. ‘ㅔ:’ high-vowelization of Central dialect and Southern dialect also decreased in 《지역어》 whereas ‘ㅔ’ high-vowelization in Southern dialec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자료집》 and 《지역어》. In other words, there are greater generation differences in the high-vowelization of long vowels than short vowels. In the non-word-initial position, ‘ㅓ’ high-vowelization was widespread in Central dialect and Southwestern dialect before the time of 《자료집》. In 《자료집》, the distribution of high-vowelization started to disappear from Seoul and southern Gyeonggi dialect. In 《자료집》, the ‘ㅔ’ high-vowelization of the final syllable was found in Gyeongsangnamdo. This ‘ㅔ’ high-vowelization has not changed much over the years. By this time, most of dialectal researches used only word data for their arguments. This study used spontaneous speech data, so it was able to figure out how the high-vowelization occurs in genuine conversation. As a result, high-vowelization occured more frequently in spontaneous speech than in the word list data. Moreover, it is found that ‘ㅓ’ high-vowelization and ‘ㅗ’ high-vowelization in grammatical morpheme increased in spontaneous speech whereas most type of high-vowelization decreased consistently.

      • 일본어모어화자간의 화제전개에 관한 연구 : 첫대면 남녀간의 자유대화 자료를 중심으로

        張良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15967

        본 연구는 화제를 ‘발화의 집합체’라고 정의하고 먼저 발화 하나하나의 발화 기능을 추출한 후 인접페어를 참고로 발화 연쇄를 구축해, 발화 연쇄의 덩어리를 화제로 인정했다. 또한 첫대면이라는 서로의 정보가 적은 상황에서 남녀 간 자유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그 대화의 규범과 규칙을 구조적으로 밝히기 위해 발화 연쇄의 구조 분석을 시도했다. 구체적으로 각 발화 연쇄가 다루는 화제 분류 및 대상 분석, ‘질문’으로 시작되는 화제 전개의 발화 연쇄의 구조 분석, ‘자기노출’로 시작되는 화제 전개의 발화 연쇄의 구조 분석, ‘이미 알려진 정보’를 다루는 화제 전개의 발화 연쇄의 구조 분석과 크게 4개의 과제를 설정했다. 그 결과, ‘질문’으로 시작되는 화제 전개의 발화 연쇄 구조 분석에서는 ‘정보요구-정보제공’ 다음에 나타나는 제3발화에 ‘이해’가 나타나는 것과 ‘평가’가 나타나는 것에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자기노출’로 시작되는 화제 전개의 구조 분석에서는 <의견/평가 제시>, <부분적 보고>로 해 분석을 실시했다. ‘부분적 보고’로 시작되는 발화 연쇄의 일반적인 형태는 화자의 정보제공에 대해서 청자가 이해를 나타내면 화자가 부분적인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청자가 또 이해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연쇄였다. 또 부분적 보고에 대해서 계속 지지를 나타냄으로써 화자에게 말하게 하고, 그 후 청자는 화자의 발화에 공감을 표시해도 똑같이 대화가 이어졌다. ‘의견 제시’로 시작되는 발화 연쇄구조는 의견/평가 제시 뒤에 동의 표명이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동의 표명을 한 후에는 의견의 근거 설명이 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견제시 후에 곧바로 동의표명이 되지 않는 비동의 표명의 경우 청자의 비동의 표명 후 의견/평가정정이 이루어지고 쌍방이 의견의 근거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알려진 정보’를 다루는 화제 전개의 구조분석에서는 공유 경험이나 공유 지식에 대해 질문으로 시작되는 것을 상기 요구, 의견 제시로 시작되는 것을 공유 의견 제시로 하고, 발화 연쇄의 구조 분석을 실시했다. 이미 알려진 정보로 시작되는 화제 전개는 전체의 약 7.74%이며, 그 화제의 대상은 거의 사물의 일반화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