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김희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개 M초등학교 3학년 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37명), 통제집단(36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분석 결과와 서울시교육청에서 제작한 초등학생 진로탄력성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총 12회기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 자아탄력성 척도는 박은희(1997)가 O’connell-Higgins(1983)와 Block과 Klohnen(1996)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자로 하여 개발한 척도를 임상희(2003)가 연구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세 문항을 제외한 37문항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는데 이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 척도는 정익중, 임진영, 황매향(2011)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법이며,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자아탄력성이 더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점수를 나타내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향상된 수준이 되었다. 진로성숙도 하위 요인 4개인 계획성, 자기 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년 아동들에게 자기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어려운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며 극복할 수 있는 마음의 힘을 길러주는 자아탄력성을 증진함으로써 자신의 미래를 독립적으로 계획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연구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향상이 있기를 기대해본다.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67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A, B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9명 등 중학생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은희(2006)의 자아탄력성 척도, 이기학과 한종철(1998)의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두 집단에게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자료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회기마다 청소년이 작성한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기록, 프로그램 활동지를 근거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하위영역 가운데 감정통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대인관계, 활력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영역 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확신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준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청소년에게 실시함으로서 청소년들이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준비하고 선택, 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 자아탄력성 , 진로성숙도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On Ego-Resiliency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Kim, Seon 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on ego-resiliency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y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will improve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n't. Second, career maturity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will improve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middle school students at A and B local center's children in Gwangju. They were organized into two groups, 8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9 as a control group. This program for enhancing ego-resiliency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10 sessions(each session lasted for 60 minutes). The rating scale was used with a rating scale of ego-resiliency by Park Eun Hee(2006) and a rating scale of career maturity by Yi Gi Hak & Han Jong Cheol(1998), and pre-test, post-test were conducted on both groups. In data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based on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o improve the limitation to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dat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impressions by adolescents, observation records by a researcher, and program worksheet.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 control, no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viability in the adolescents' sub-factors of ego-resiliency. Second,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cision, independence, confidence, not on readiness in the adolescents'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ego-resiliency, and career maturity. By performing ego-resiliency enhancing program to adolescents, we need to improve ego-resiliency that adolescents can cope with difficulties, and help to choose career which is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ability. key words : ego-resiliency promotion program, ego-resiliency, career maturity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능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조수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초등학교 3학년 학생에게 적용하고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능력 향상 및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급단위로 실시한 후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게 위해 경기도 소재 OO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을 실험집단, 같은 학년의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과정은 사전검사, 총 12회기(회기당 40분씩, 주 2회)의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와 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Felner와 Rowlison(1988)의 자기 보고식 질문지인 DHQ (Daily Hassles Questionnaire)를 기초로 하여 한미현과 유안진(1995)이 한국 아동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중 주변 환경 관련 스트레스 요인을 제외한 5가지 하위영역별 총 36문항의 스트레스척도 검사와 조순종(2010)의 학교생활적응척도지 2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t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생활적응능력 변화는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보다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그리고 전체 학교생활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연검사에서도 지속되고 있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은 통제집단 학생 보다 부모영역, 가정환경스트레스 영역을 제외한 교사 및 학교, 친구, 학업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전체영역에서 감소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연검사에서도 지속되고 있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 소감문 및 연구자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아동들은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힘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으로 학교생활적응(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 도움을 받고 스트레스 감소(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힘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자아탄력성이 내면화되어 장기간 동안 자아탄력성이 지속되고 향상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최지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4년 동안 실시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와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된 중재변인별(학교급별, 참가 인원수, 회기수, 운영기간, 프로그램 특성, 학술지 게재여부)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이를 위해 해당 내용을 다루고 있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수집,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 중에서 효과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된 양적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최종 분석 대상 연구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코딩기준에 따라 코딩하고, 효과크기 공식을 적용하여 각각의 연구물로부터 93개의 효과크기를 구하였다. 또한 Excel 2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효과크기를 구하고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중·고등학생 집단의 평균 효과크기는 .616으로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23.23% 효과가 있다.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된 중재변인 중 참가자의 학교급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 평균 효과크기가 .742로 가장 크고, 집단의 인원수는 ‘11명∼15명’이 1.334로 평균 효과크기가 가장 크고, 회기수는 ‘8회기 미만’의 경우 .833으로 평균 효과크기가 가장 크지만 사례수가 적어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11회기 이상’인 경우 .804로 평균 효과크기가 크며, 집단의 운영기간은 ‘5∼8주’가 평균 효과크기가 .707로 가장 크며, 집단 프로그램의 특성의 경우 ‘매체 활용’과 ‘매체 비활용’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학술지 게재여부는 ‘학술지 미 게재’가 .684로 평균 효과크기가 크다. 종속변인별 평균 효과크기는 자아탄력성의 평균 효과크기는 1.049, 학교생활적응의 평균 효과크기는 .891, 주관적 안녕감의 평균 효과크기는 .868, 대인관계능력의 평균 효과크기 .427, 정의적 영역의 평균 효과크기는 1.086, 진로성숙도의 평균 효과크기는 1.774, 부정적 정서 및 행동의 평균 효과크기는 -1.006이다.

      • 역할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64

        초등학교 저학년은 유아기와 아동기의 연장선상에서 신체적 발달은 유아기와 비슷하나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그에 따른 성장과 발달의 압박을 받고 있는 시기이다. 모든 것이 혼란스러울 수 있고 자칫하면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는 이 시기에 개인의 능력을 조절하여, 변화하는 환경의 내·외적 스트레스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아탄력성과 역할놀이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잠정적으로 설정한 후, 종합적 학교상담 관점에서 학급단위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는 방향에 따라 연구대상의 범위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북지역 B초등학교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26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26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5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10회기 동안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탄력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회기별 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도 실험집단의 ‘활력성’, ‘대인관계’,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영역에서의 변화가 모두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들의 회기별 보고서와 평가서,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역시 이 프로그램이 자아탄력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력성’, ‘대인관계’,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영역에서 포괄적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are on the boarder-line of infancy and childhood, where their physical development is more on the infants' side, but are under the pressure of growing and developing from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t is the time when everything seems confusing and may lead to maladjustment, therefore presents the need to develop ego-resilience which is the one's ability to deal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ess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program to promote ego-resilience through the means of role-playing and see how it affects the students in low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s. The following discussion questions were selected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First, how should a program to improve ego-resilience on the low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mplementing the role-play be created? Second, what effects the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ha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In an attempt to reach the goals of this study, the tentative goa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were created based on the researches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playing and ego-resilience, to conform with the school's perspective that the programs be created for individual classes, the program that utilized role-playing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the students was finalized based on the demand investigation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wo classes from the B High School in the Kyeongsa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nd one class (26 students) were put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26 students)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ing pre-experiment analysis of the both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by conducting two session per week over the course of five weeks totalling ten sessions utilizing their discretionary time an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go-resilience was compar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the Mixed ANOVA,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credibility of the quantitative results, and the test subject's per session reports and the counselor observations were also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the role-play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ego-resilienc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when each items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the experimental group's ‘vitality’, ‘social relationship’, ‘emotion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also proved to be critically differ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per session reports and the counselor observation also showed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ego-resilience. This research finds it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developed a role-playing program that is targeted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in the areas of ‘vitality’, ‘social relationship’, ‘emotion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선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and its effect on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oul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oul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oul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e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ow groups were set up, one for experiment and the other for control, experiment group was composed of 32 students at 5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60 students at 5th and 6th grade students.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 both groups were tested on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ch indicated that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milar in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before the experiment.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hich lasted for 6 weeks, experiment group was given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60 minutes each times, twice a week for 10 time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After the experiment,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again measured on both groups. T-test of SPSS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three variabl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statistical level for effect testing was set at .0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ere significant effective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ere significant effective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ere significant effective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dea mentioned above, it is shown that the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improve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희망증진 프로그램이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윤승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35

        Master`s Thesis The Effect of Hope Enhancement Program on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 Academic Stress Yoon, Seung-He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Cheon, Seong-M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im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to enhance their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through Hope Enhancement Program so that they can adopt their active and happy school lif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middle school students in Pusan, who have high academic stress. The students in the top 30 percent of 97 were explained about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10 out of 20 studen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student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9 sessions. Each session ran 60 minutes and carried out twice a week.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ers did not take any measures for the control group. Tests for the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earchers used SPSS / WIN 21.0 for statistical treatment on the results, and used the covariance (ANCOVA)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Hope Enhancement Program improved ego-resilience furt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chool adapta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gram seems effective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This study verified that Hope Enhanment Programs functioned effectively to enhance their ego-resilience and the school adaptation so this study could help them live a happy and healthy life to let them have a positive self-image and develop problem-solving by conducting the program motivates them for achieving their goal. Finally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 words: hope enhancement program, ego-resilience, school adaptatio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 academic stress.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신혜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go-resilience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ego-resilience.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e program will enhance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ego-resilience. Second, Ego-resilience program will enhance 5 sub-factors of ego-resilience: personal relations, vitality, control emotion, curiosity and optim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in K elementary school in Daegu, who understood the goal and procedure of training program and hoped to join the program. They were organized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having 10 students. This program for enhancing ego-resilience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10 sessions(each session lasted for 50 minut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program was measured with a rating scale of ego-resilience that was developed by Kim Sook Bok(2007). The rating scale of ego-resilience in this study consists of 5 sub-factors: personal relations, vitality, control emotion, curiosity and optimism. In data analysis, based on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ANOVA of SPS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enhancement on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ego-resilience. Second, The Ego-resilience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4 sub-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ego-resilience: vitality, control emotion, curiosity and optimism.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go-resilience program had been developed and tried, and it’s effect had proved.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경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 (2) 자아탄력성증진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1에서는 27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적 안녕감 전체와 정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정적 정서안녕, 정적 관계안녕의 증가에 대한 영향력은 활력성이, 정적 효능안녕의 증가에 대한 영향력은 호기심이 높게 나타났다. 부적 안녕감 전체와 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부적 효능안녕, 부적 정서안녕, 부적 관계안녕의 감소에 대한 영향력은 낙관성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호기심은 정적 안녕감의 증가 요인인 동시에 부적 안녕감의 증가요인이며, 감정통제가 낮을수록 정적 관계안녕의 증가와 부적 관계안녕의 감소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특유의 집단문화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연구2에서는 연구1의 결과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낙관성, 대인관계는 통제집단 내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집단 내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주관적 안녕감의 정적 안녕감의 증가와 부적 안녕감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 안녕감의 감소와 부적 안녕감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활동과 상담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체계화되고 표준화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e subjective well being in adolescence. To establish the role of ego resilience in subjective well being, two studies were carried out. Study 1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ego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 being in adolescence. To accomplish this,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270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ego-resilience. As for total sample, subjective well-be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ego-resilience. However, curiosity, emotion control of ego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positive well-being and negative well-being. This result is affected by the culture of collectivism of Korean. Study 2 was designed to test hypothesis that subjective well-being could be increased by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The author compared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21) which was tested by ego-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N=26). This comparison was conducted to test which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in increasing positive well-being and decreasing negative well-being.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subjective well-being and ego-resilience. Finally, the author discussed this study’s contributions to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ce.

      • 자아탄력성증진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전진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s to help school misfit student to enhance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school adaptability through cop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so that they can adopt their active and happy school life rather than quit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in Ulsan, who misfit in regular high school. The students are explained about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9 out of 18 studen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nine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mposed of 10 sessions. Each session runs 90 minutes and carried out twice a week.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ers do not have any measures for the control group. Test for the relationships and coping with the stres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earchers used SPSS / WIN 21.0 for statistical treatment on the results, and used covariance (ANCOVA)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go-resilience promoting program chang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rt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ping with the stres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gram seems effective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ping with the stress for the school misfit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d that ego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function effectively to enhance the school adaptability by cope adaptive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at school, using private internal factors that is so called as 'ego-resilience’, which acts adaptively in crisis situations for school misfit high school students. Key words: ego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ping with Stress, school misfit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