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살생각과 자살행동에 대한 자아 취약성 접근 : 암묵적-명시적 불일치와 투사적 측정의 통합적 활용

        김준홍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투사적 측정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제안된 정신분석적 자아취약성 접근에 근거해 자살생각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Smith, 1985). 내적 갈등이 있는 관계의존성, 관계 정서반응에 대한 방어적 태도, 내적 갈등이 있는 자기기대, 죽음에 대해 진지하면서도 불안해하는 태도, 자기기대와 관계 정서반응의 발달적 배경을 암묵적-명시적 측정의 불일치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투사적 측정 결과와 통합하여 질적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자살의 생각-행동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자살생각 집단, 자살준비 집단, 자살시도 집단으로 나누어 선정하여 자아취약성의 예측력을 살펴보았다(Klonsky & May, 2014). 자살행동 집단에서 더 높은 명시적 자살실행력, 더 강한 암묵적 죽음 연합이 나타났다. 명시적 자살실행력과 암묵적 죽음연합은 자살행동 집단의 승산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명시적인 자기기대는 자살준비 집단의 승산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암묵적-명시적 불일치와 상호작용으로 측정한 내적 갈등이 있는 자기기대와 관계정서반응에 대한 방어적 태도는 자살준비 집단의 승산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암묵적×명시적 상호작용으로 측정한 내적갈등이 있는 관계의존성은 자살시도 집단의 승산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명시적인 부모의 완벽주의적 비난과 기대수준은 자살 행동 집단의 승산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명시적인 부모의 완벽주의적 비난과 암묵적인 자기기대, 명시적인 부모의 완벽주의적 비난과 관계 정서반응, 명시적인 부모의 완벽주의적 기대와 관계정서반응의 부모-자기 불일치는 자살 행동 집단의 승산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암묵적-명시적 불일치가 갈등적 관계의존성, 이상/당위 자기와 실제 자기의 불일치, 자의식 정서 미분화, 부모기대-실제 자기 불일치, 강한 내면화와 개별화 실패를 의미함을 논의하였다. 암묵적, 명시적, 투사적 측정 결과를 통합하여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고 무의식적 차원에서 내적 불일치가 분노 억제, 자기의심, 행동화의 과정을 통해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정신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주요어 : 자아취약성 접근, 명시적 측정, 암묵적 연합, IAT, 투사적 측정, 로샤검사, 암묵적-명시적 불일치(IED), 생각-행동 프레임워크, 자살생각, 자살행동, 자살시도, 자살준비

      • Cognitive buffers against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 reasons for living

        이유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23236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ree subtypes of suicidal behavior that may lie on a continuum: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A total of 27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hopelessness, reasons for living, and suicidal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a mean comparison through ANOVA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ix clusters of reasons for living, Survival and Cop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suicidal desire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hopelessness. Moral Objections and Fear of Suicide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suicide preparation beyond the effect of suicidal desire. Finally, among participants with greater-than-zero preparation levels, those with history of suicide attempt reported significantly less Survival and Coping Beliefs and Moral Objections than those without such history.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reasons for living may differentially predict various types of suicidal behavior. The implications on suicid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의 세가지 하위유형 - 자살 욕구, 자살 준비, 및 자살 시도 - 에 대한 여러 가지 삶의 이유의 보호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총 277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여,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그리고 자살행동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ANOVA를 통한 평균차 비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통계분석 결과, 여섯 가지 종류의 삶의 이유 중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이 우울과 절망감의 주효과를 넘어서서 자살 욕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과 자살에 대한 두려움은 자살 욕구를 넘어서서 자살 준비 수준에 유의미한 주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0 이상의 자살 준비 수준을 보고한 사람들 중 과거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과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을 보고하였다.위 결과들은 자살 행동의 여러 하위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삶의 이유가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자살 위험 측정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취업 준비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홍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15999

        본 연구는 자살생각 경험이 있으며 취업을 준비 중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취업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완충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다섯 개 대학 4학년 대학생 중 취업을 준비 중이며,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218명(남 70명, 여 148명)이었다.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Reynolds(1991a)가 개발한 성인용 자살 생각 척도(Adult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취업 스트레스는 김향수(2010)가 개발한 취업 스트레스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윤혜정(1993)이 수정한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먼저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함으로써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분석으로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취업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취업 준비 대학생이 취업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자살생각을 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검증한 결과, 취업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취업 준비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취업 스트레스의 수준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senior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one’s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8 senior college students(70 men, 148 women), who were seeking a job and had ever thought about suicide at least once,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o measure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e Adult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Reynolds, 1991a) was used. The level of job-seeking stress was measured by the Job-Seeking Stress Scale (Kim, 2010).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cale of Social Support (Park, 1985) transformed by Yoon (1993)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level of job-seeking stress increased suicidal ideation where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decreased suicidal idea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 청년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성은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15902

        본 연구는 청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강원도 지역의 20∼35세 청년들 300명을 대상으로취업스트레스 척도, 자살생각척도(SSI),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여자료를 얻었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았으며, 자기자비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았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자기자비, 자기자비와 자살생각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은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셋째,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죽음과 자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숙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995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target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was to examine into the effect of an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making them hold communion with themselves on life and death through this program for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who are in college located in Pusan,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pproved to participate in this questionnaire. They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14 experimental group and 14 control group. 3 nursing science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hospice education program and 1 psychology science professor investigated on change of an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after carrying into effect this program for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is program was made with lectures and discussions for 5 days, 6 hours a day. It consisted with totally 30 hours including the meaning of death, modern society and death, hospice movements and desirable life and deat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6 to 31 in 2004 for the control group and from February 9 to 13 in 2004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an attitude for death was used 4 point scale for 25 questionnaire which was reconstituted by Hyun-Suk, Nam(1999). The questionnaire, considering modern Korean society, was based on the FODS(Fear of Death Scale) which was made by Collett & Lester(1969).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an attitude for suicide was used 3 point scale for 19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formed into self - report questionnaire by Min-Sub, Sin(1990). It was based on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Beck(1987). Using SPSS PC 10.0 Win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was analyz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same quality and hypothesis examination for the 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into χ^(2)-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first hypothesi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ill be shown a lower grade of an attitude for death than the students who didn't" was supported(t=-4.479, p=.000). The second hypothesi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ill be shown a lower grade of an attitude for suicide than the students who didn't" was rejected(t=-.035, p=.972).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is study, I would make suggestions as follows ; 1.It is need of continuance study which develops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s an age bracket and examines the effect of this. 2.It is need of qualitative study for the high level data of this program. 3.It is need of investigative study which searche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nd suicide. 4.It is need of cultivating the experts who specialize in death education. For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needs to be made teams, consisting with the experts in the fields of nursing science, medical science, law, pedagogy, social business, religion and etc. key words :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ttitude for Death and Suic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