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자 고등학생의 자살시도 및 자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영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의 자살시도 및 자해 경험을 심도있게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살시도를 경험한 2명의 연구참여자들과 자해를 경험한 1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들을 수집하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자살시도 및 자해 경험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에서 나타난 자살시도 및 자해 경험의 의미는 ‘맹그로나무의 성장과정’이라는 은유적 의미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나타난 자살시도 및 자해 경험은 ‘모체에서 발아한 씨앗’, ‘바다에서 표류하는 맹그로브나무’, ‘맹그로브나무의 생존방식’, ‘바다를 숲으로 만든 맹그로브나무’로 나타났다. ‘모체에서 발아한 씨앗’에서 자살시도 및 자해한 연구참여자들은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자살시도 및 자해행동을 하였다. ‘바다에서 표류하는 맹그로브나무’에서 자살을 시도한 연구참여자들은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했지만 그 이면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맞물리면서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들은 혼자서 힘든 상황을 참고 견디다가 극도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살을 시도하였다. 자해한 연구참여자도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상황을 경험하면서 자신이 통제하기 어려운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자해행동을 하였다. ‘맹그로브나무의 생존방식’에서 자살시도 및 자해한 연구참여자들은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 솔직한 마음 표현, 적절한 약물복용, 바쁜 일상생활 그리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꿈이 생기면서 자살시도를 극복하고 자해행동을 중단하였다. ‘바다를 숲으로 만든 맹그로브나무’에서 자살시도 및 자해한 연구참여자들은 그들이 경험한 고통을 성찰하면서 배운 지혜를 삶에 통합하면서 내적인 성숙이 이루어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와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자살시도 및 자해한 연구참여자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면서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mpted suicide or behaved self-injury.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nterviewed 3 participants, of which 2 reagents actually attempted suicide, other 1 testee experienced self-injury. To classify the samples, the research applied the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from which disclosed the entities of their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that their experiences left can be explained as a metaphor, named ‘A growth process of Mangrove tree.’ The experiences referring to their suicide attempt or self-injurious behavior could be juxtaposed with four stages such as ‘a seed germinated from parent,’ ‘a mangrove tree floating over the sea,’ ‘existence formula of mangrove tree,’ and ‘mangrove tree changed the sea into a forest.’ At the stage of ‘a seed germinated from parent,’ the participants tended either to attempt suicide or self-injury due to various stresses caused by surroundings. In the stage ‘a mangrove tree floating over the sea,’ the participant was found impulsive in outlook, but their inside tended to implement in order to end the stresses. In case of self-injury as well, the participant who tried the self-injury tend to make such an extreme behavior to avoid the negative emotions due to the various stresses that is uncontrollable. In the midst of ‘existence formula of mangrove tree,’ the reagents were easily fix the self-injury impulse or turned away from suicide attempt by the specific assistances, such as parental guide, intimate relationship with buddies, effective medication, and seeking after a new dream as well. In the final stage ‘mangrove tree changed the sea into a forest,’ the reagents experienced internal maturity through the mental agonies and make it as a momentum for a new life. Based on this findings, the research came up with an idea and suggestion as well. The research tried to expose the entities of experiences in depth regarding to why and how they made suicide attempt or self-injurious behavior as well.

      • (The) effect of alcohol use on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behaviors and risk of repetition of suicide attempt

        이진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8831

        Suicide is one of the most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about one million people die from suicide each year. Suicide is known to occur because of the combined effects of various factors, but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particular relation with alcohol drinking. Alcohol is used widely worldwide and is known to cause not only various physical diseases but also problems related to impulse control such as violence, self-harm, and suicid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transient and prolonged effects of alcohol use patterns on suicide attempt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Gangwon Western Region Emergency Medical Center during the 6-year period from March 1, 2010, to December 31, 2015. This study obtained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information of these participants. Through the interview by psychiatrist,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according to alcohol use pattern at the time of the suicide attempt: 1) suicide attempters with neither alcohol use disorder nor acute alcohol consumption (NAU), 2) suicide attempters who had used alcohol during the suicide attempt but did not have alcohol use disorder (AAU), and 3) suicide attempters with alcohol use disorder (AUD). Group comparisons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models for suicidal behavior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AUD attempted suicide with more help seeking behaviors and had higher proportion of low medical lethality compared to not only NAU but also AAU group and AUD was related to higher risk of suicide reattempt compare to other groups and the increased risk was prolonged longer period. The findings of study suggest the impulsive suicide attempts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AUD than with AAU and AUD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repeated suicide attempts.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of alcohol use for suicide attempt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consumed alcohol at the time of the recent suicide attempt, and need of specific and individualized aftercare programs with suicide attempters with alcohol use disorder for the sufficient duration.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은 가장 심각한 공중 보건문제 중 하나이며 매년 약 100 만 명이 자살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살은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특히 알코올 사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알코올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신체적 질병 뿐만 아니라 폭력, 자해, 자살과 같은 충동 조절과 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 시도자의 알코올 사용 패턴의 일시적인 효과와 지속적인 효과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고자 목표하였다. 본 연구는 2010 년 3 월 1 일부터 2015 년 12 월 31 일까지 강원 영서 권역응급센터를 방문한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들은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정보를 수집하였고, 정신과 의사의 인터뷰를 통하여 대상자의 자살시도 당시 알코올 사용 유형에 따라서 1)비알코올사용 자살시도자(NAU), 2) 급성알코올사용 자살시도자(AAU), 3)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자살시도자 (AUD) 군으로 나누어서 자살행동의 특성 및 자살 재시도 위험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자살시도자는 비알코올사용 자살시도자 및 급성알코올사용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였을 때, 자살행동의 결과로 낮은 의학적 치명도 비율이 높았고 (각각, NAU 84.2%, AAU 89.5%, AUD 92.0%, p=0.017), 높은 구조 가능도 점수(각각, NAU 11.64±2.17; AAU 11.90±2.23; AUD 12.46±2.05, p<0.001)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자살시도자의 향후 자살 재시도의 위험은 비알코올사용 자살시도자군과 비교하였을 때, 60 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HR 2.96, 95% CI 1.23-7.10). 본 연구 결과, 자살 시도 당시 알코올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자살시도자는 보다 충동적이고 반복적인 자살 시도를 반복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알코올사용장애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충분한 기간의 주의 깊은 관찰 및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자살시도 환자를 위한 위기중재 프로그램 개발

        박정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31

        자살시도 환자들은 높은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을 느끼는 자살위기 상황 속에서 적절한 문제해결을 하지 못하고 도피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으로 충동적으로 자살시도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살시도 환자를 입원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간호사는 이들만의 특성을 이해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자살시도 환자들의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 특성의 해결을 위한 위기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개발,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의 2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는 Beck(1967)의 인지이론을 근거로 자살시도 환자의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개발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환자의 특성상 짧은 입원기간을 고려하여 6회의 단기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단계에서 자료수집방법은 2009년 1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자살시도 후 정신과 입원치료를 받는 환자를 선정하여, 연구에 참여하기를 수락한 자 15명을 대상으로, 자살시도 위기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회기의 자살시도 위기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시 자살시도 환자의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 문제해결능력 정도는 우울은 평균 40.20점, 절망감 9.53점, 자살생각 19.47점, 문제해결능력 123.47점으로 나타났다. 2. 네 가지 가설검증을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였다. - 제1가설 ‘위기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의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Z=3.354, p=.001)가 있어 지지되었다. - 제2가설 ‘위기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의 절망감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Z=2.922, p=.003)가 있어 지지되었다. - 제3가설 ‘위기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의 자살생각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Z=3.301, p=.001)가 있어 지지되었다. - 제4가설 ‘위기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의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Z=-1.993, p=.046)가 있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살시도 위기중재 프로그램은 자살시도 환자의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자살시도 환자는 다른 정신질환자와 이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통상적인 접근 외에 자살시도 환자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인지행동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반영한 위기 중재 프로그램이 자살시도 환자의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자살위기 상황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연관성 : 지역지표를 활용한 다수준분석

        조계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응답자를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를 통해 추출한 지역박탈지수를 연계하여 지역사회 환경의 주관적 인식 및 지역수준에 따른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개인의 주관적 환경 만족도 및 지역 사회환경 수준이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에서 가지는 의미와 효과적인 자살 예방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모집단 사전분석 결과 228,381건이 조사되었고 각 변수들의 조사항목에서 무응답 및 결측 응답자 46,694명을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81,687명(남성:74,315명, 여성:107,372명) 중 자살생각 분석 대상자로 14,379명, 자살시도 분석 대상자로 546명이 선정되었으며 보건소번호를 매개체로 2015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통해 추출한 지역박탈지수를 결합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지역사회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으로 구분하고, 지역박탈지수(사회적 박탈, 경제적 박탈을 결합, 4분위수)과 함께 자살생각∙자살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때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종속변수와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 지역지표 등 다른 독립변수들은 보정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 측면에서 사회적 환경 만족도, 물리적 환경 만족도, 보건의료서비스 환경 만족도 및 지역수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환경 만족 대비 불만족 오즈비가 1.272(95% CI:1.210-1.336), 물리적 환경 만족도의 오즈비는 1.196(95% CI:1.074-1.331)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에 불만족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독립변수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20대 대비 50대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구 월간소득이 작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미혼보다 결혼-비동거 또는 이혼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쁠수록,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대도시 대비 농촌에서 자살생각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지역수준의 분산이 총 분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ICC는 약 14.9%의 타당성을 가졌다. 자살시도 측면에서는 지역수준에 해당하는 지역박탈지수, 거주지역, 지역 사회복지예산, 지역 보건예산 등의 모든 변수들은 자살시도에서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개인요인인 사회적 환경 만족도 오즈비는 1.287(1.048-1.579)으로 사회적 환경에 불만족할수록 자살시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독립변수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자살시도가 높았고,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자살시도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ICC는 약 22.3%의 타당성을 가졌다. 보건의료서비스 환경과 지역지표에 해당하는 지역박탈지수는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모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종속변수와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 지역지표 등 다른 독립변수들은 보정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 측면에서 사회적 환경 만족도, 물리적 환경 만족도, 보건의료서비스 환경 만족도 및 지역수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환경 만족 대비 불만족 오즈비가 1.272(95% CI:1.210-1.336), 물리적 환경 만족도의 오즈비는 1.196(95% CI:1.074-1.331)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에 불만족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독립변수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20대 대비 50대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구 월간소득이 작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미혼보다 결혼-비동거 또는 이혼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쁠수록,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대도시 대비 농촌에서 자살생각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지역수준의 분산이 총 분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ICC는 약 14.9%의 타당성을 가졌다. 자살시도 측면에서는 지역수준에 해당하는 지역박탈지수, 거주지역, 지역 사회복지예산, 지역 보건예산 등의 모든 변수들은 자살시도에서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개인요인인 사회적 환경 만족도 오즈비는 1.287(1.048-1.579)으로 사회적 환경에 불만족할수록 자살시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독립변수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자살시도가 높았고,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자살시도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ICC는 약 22.3%의 타당성을 가졌다. 보건의료서비스 환경과 지역지표에 해당하는 지역박탈지수는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모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자살은 보건의료적 문제인식을 가지고 정책 분석 및 관리해 나가야할 중요한 사회적 질병이며 다른 질병과 다르게 자살에 이르면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살위험 연구를 통해 예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자살생각에서는 지역사회 환경의 주관적 인식에 해당하는 사회적 환경 만족도, 물리적 환경 만족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자살시도에서는 사회적 환경 만족도만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만족도는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주목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개인수준의 관계형성을 위한 사회신뢰 지원과 지역 공동체 단위의 사회참여 정책 등 종합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해 나가야할 것이다. 자살생각에 영향을 끼치는 물리적 환경 만족도와 지역변수인 거주지역에서 대도시 대비 농촌의 자살생각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는 개인의 주관적 물리적 환경 인식과 객관적 지역지표에서 동일한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분야는 자살예방정책에서 관심을 갖고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요소임이 분명하다. 반면, 보건의료서비스 환경 만족도와 지역수준을 가늠하는 지역박탈지수는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의 연관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인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물리적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향후 지역사회 환경과 관련된 객관적 지표와 특성을 반영한 심층적인 연구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자살예방 보건정책을 수립해 나가야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link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linking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respondents to the 2015 Population and Housing Survey. Methods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population in 2017 found 228,381 cases, excluding 46,694 non-response and missing respondents from each of the variables. Finally, 14,379 people were selected for suicidal ideation analysis out of a total of 181,687 people (74,315 men, 107,372 women), and 546 people were analyzed for suicide attempts, and the health center number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analysis method categorize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 into social, physical, and medical service environment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long with the area deprivation index (social deprivation, economic deprivation, quartile). At this time, we analyzed it through multilevel analysis, which allows u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dependent variables by considering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together. At the same tim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and regional indicators, were corrected. Results In terms of suicidal idea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medical servic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local level. The unsatisfactory odds ratio compared to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1.272 (95% CI:1.210-1.336), and the odds ratio of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1.196 (95% CI:1.074-1.331), showing a higher tendency to commit suicid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in rural areas compared to large cities (P<0.05), with Methods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population in 2017 found 228,381 cases, excluding 46,694 non-response and missing respondents from each of the variables. Finally, 14,379 people were selected for suicidal ideation analysis out of a total of 181,687 people (74,315 men, 107,372 women), and 546 people were analyzed for suicide attempts, and the health center number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analysis method categorize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 into social, physical, and medical service environment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long with the area deprivation index (social deprivation, economic deprivation, quartile). At this time, we analyzed it through multilevel analysis, which allows u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dependent variables by considering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together. At the same tim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and regional indicators, were corrected. Results In terms of suicidal idea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medical servic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local level. The unsatisfactory odds ratio compared to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1.272 (95% CI:1.210-1.336), and the odds ratio of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1.196 (95% CI:1.074-1.331), showing a higher tendency to commit suicid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in rural areas compared to large cities (P<0.05), with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lower education, lower marital-non-habitat or divorce, lower subjective health, higher depression and higher age than men (P<0.05). ICC, which accounts for the proportion of regional-level variance in total variance, had a validity of about 14.9%. In terms of suicide attempts, all variables, such as area deprivation index, residential area, local social welfare budget, and local health budget,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suicide attempts, and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dds was 1.287 (1.048-1.579).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suicide attempt, the lower the suicide attempt as the sleep time increased,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CC has a validity of about 22.3%. The area deprivation index, which corresponds to the medical service environment and regional indicators, showed that bo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were not related. Conclusion Suicide is an important social disease that needs to be analyzed and managed with health and medical awareness, and unlike other diseases, it cannot be treated if it reaches suicide, so it should be preemptively responded to prevention through suicide risk research. In suicidal ideation,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hich correspond to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community environment, were influenced, and only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in suicide attempts. As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is analyzed to affect bo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through a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social trust support for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lower education, lower marital-non-habitat or divorce, lower subjective health, higher depression and higher age than men (P<0.05). ICC, which accounts for the proportion of regional-level variance in total variance, had a validity of about 14.9%. In terms of suicide attempts, all variables, such as area deprivation index, residential area, local social welfare budget, and local health budget,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suicide attempts, and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dds was 1.287 (1.048-1.579).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suicide attempt, the lower the suicide attempt as the sleep time increased,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CC has a validity of about 22.3%. The area deprivation index, which corresponds to the medical service environment and regional indicators, showed that bo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were not related. Conclusion Suicide is an important social disease that needs to be analyzed and managed with health and medical awareness, and unlike other diseases, it cannot be treated if it reaches suicide, so it should be preemptively responded to prevention through suicide risk research. In suicidal ideation,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phys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hich correspond to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community environment, were influenced, and only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in suicide attempts. As soc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is analyzed to affect bo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through a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social trust support for individual-level relationships and community-level social participation policie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is clearly a factor to pay attention to and improve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s rural suicide was higher than large citi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s in individuals' subjective physic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objective regional indicators. On the other hand, area deprivation index, which measures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medical services and regional levels, showed no connec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Therefore, efficient and differentiated suicide prevention health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in-depth research analysis that reflects objective indicator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mmunity environment, focusing on improving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subjectively recognized by individuals.

      •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와 감성지능

        김장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조사하고, 감성지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와 K 지역 소재의 10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24명으로, 2014년 7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감성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ong 과 Law (2002)가 개발한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egence Scale)를 최지현(2010)이 번안한 도구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Domino 등(1982)이 개발한SOQ (Suicide Opinion Questionnaire)를 임의진(2010)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5점 척도 중 2.61점으로 가치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하부요인별로는 위험도 요인(3.17점)이 가장 높게 나온 반면, 정상적 행위 요인(1.86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연령이 25세 이상이거나, 기혼자이며, 종교가 있거나, 임상경력과 현재 부서의 경력이 3년 이상인 그룹이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가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감성지능의 평균점수는 7점 척도 중 4.73점으로 나타났다. 4. 감성지능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113 p<.091). 그러나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하부요인 중 도덕/윤리 요인은 감성지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태도의 허용도 요인과 정상적 행위 요인, 동기 요인, 문화 요인은 감성지능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가치중립적이었으며, 감성지능과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자살시도자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과는 상관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증가하는 자살시도자를 관리하고 그들이 낙인 및 차별로 인해 치료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하지 않도록 의료인의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추후 자살시도자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감성지능을 포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와, 부정적인 태도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을 시도한 실험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The subjects included 224 nurses working in 10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K region, a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July 3, 2014 to August 31, 2014 to collect data. A tool modified by Choi (2010) of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was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tool modified by Lim (2010) of SOQ (Suicide Opin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Domino et al. (1982) was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then subjected to analyses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showed a value-neutral attitude with 2.61 points in a 5-point scale. 2. The group who have 25 years old or older, are married, have a religion, and have at least 3-years clinical experience and work experience at the current department showed a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3. The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4.73 points in a 7-point scale.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r=-.113 p<.091). However, morality/ethics factor among the factors of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while tolerance factor, normal behavior factor, motive factor, and culture factor manifes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was value-neutral a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correlated to attitud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 but was correlated to the sub-factor of attitudes to the attempted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tudies aimed to improve the attitud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so as to manage increasing attempted suicides and for the suicide attempter not to experience dropouts from the course of treatment due to stigma and discrimination in clinical practice. Further studies about a variety of variables including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ing the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 suicide attempter and experimental studies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egative attitud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를 위한 단회상담모형 개발

        김성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study was conducted on suicide attempters who were taken to theemergency room(ER) of Incheon St. Mary's Hospital. Since it is necessaryto establish a crisis intervention model and counseling method suitable forsuicide attempter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a new model, LIFE&LOVESingle Session Counseling Model(L&L SSCM) through this study. L&L SSCM is made up with two topics, LIFE&LOVE from theperspective of existentialist counseling based on Paul Tillich’s Life andVictor Frankle’s Love. According to the ground theory of Anselm Strauss and Juliet Corbin, andparadigm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axialcoding, and associations between each category were drawn around keycategories in the selective coding phase. This process ultimately resulted in127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The causal conditions of the internal change process of suicide attemptsin the emergency room were ‘loss of meaning in life,’ ‘limit experience inlife,’ and ‘crack in balance in life,’ which resulted from ‘suicide attempts.’Contextual conditions for this phenomenon include ‘anxiety,’ ‘continued pain,’‘deficient support system,’ and ‘history of suicide attempts,’ and‘intervention in single session counseling on suicide attempts.’ Theaction/interaction strategy used to solve ‘suicide attempts’ in the internalchange process of suicide attempts in the emergency room is ‘reparation forreturn to daily lif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ulted in ‘new supportsystem formation' and ‘suicide retry delay'. In many previous studies, there are many limitations that have notactually been applied after developing a model. However, in this study, it isa one-time counseling model develop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actuallyconsulting suicide attempts in the emergency room, which is currently usedby researchers and employees. This can delay the attempted suicideattempt and help to discover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e emergency room is a place where suicide attempts visit for primaryphysical treatment, where suicide attempts can intervention in emergencycrisis. It is hoped that L&L SSCM will be used for follow-up managementof suicide attempts in the medical fields, counseling fields and socialwelfare fields.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를 위한 단회상담모형을 수립하고 사후관리를 통한 자살 재시도율을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회상담을통해서도 자살 위기상황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를 만났던 실무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진 자살시도 사후관리 단회상담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배경이 되는 문헌연구와 질적연구방법을 혼용하여 진행할 것이다. 문헌연구로는 프랭클의 이론과 연구논문, 틸리히의 신학사상에관련된 주요도서와 연구논문을 참고하였으며, 자살시도 사후관리와 단회상담,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에 관한 연구논문, 그리고 기사, 정기간행물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기간은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며,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7명은 20대 이상 60대 미만으로 제한하였고,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자의적 의지로 연구동의가 가능한 자로 국한하였다. 그 결과 응급실에 내원한 7명 중남성은 3명, 여성은 4명이었고, 자살시도 방법은 약물중독, 가스중독, 목맴, 외상으로 인한 내원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 접근에 따라 개방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축코딩을 통하여 패러다임 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고,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범주들 사이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127개의 개념, 32개 하위범주, 12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내적 변화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삶의 의미 상실’, ‘삶의 한계 경험’, ‘삶의 균형 균열’이었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자살시도’였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으로는 ‘불안한 정서’, ‘지속되는 고통’,‘결여된 지지체계’, ‘자살 시도 이력’이 있으며, 중재적 조건으로는 ‘자살시도사후관리 단회상담 개입’이었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내적 변화과정에서‘자살시도’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일상생활 복귀준비’이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새로운 지지체계 형성’, ‘자살 재시도 지연’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무모한 선택’, ‘선택의 기로’,‘양심의 가책’, ‘삶에 대한 책임’, ‘사랑에 대한 책임’의 5단계 과정을 거치면 마지막 ‘존재의 용기’가 생겼다. 그리고 작용/상호작용의 범주 ‘LIFE&LOVE단회상담 개입’은 첫 번째 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고, 순차적 단계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역순차로 단계가 진행되기도 하며, 상호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단계 혼란스러운 존재(Being of chaos)은 혼란과 혼돈의 상황 속에 홀로 던져진 존재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2단계선택의 기로(Being of choice)는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선택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3단계 양심의 가책(Being of conscience)은 양심적인존재, 후회/죄책/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인지적이며 변화 가능한 존재로 보았다. 4단계 삶에 대한 책임(Being of LIFE)은 자살시도로 얻게 되는 부차적 이득보다 잃게 되는 부차적 문제에 대해 바라보게 하였다. 5단계 사랑에 대한책임(Being of LOVE)은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용서가 있을 때, 신앙은 회복되고 감사와 평안이 찾아왔다. 마지막 5단계를 마친 후, 결과로_존재의 용기(Being of courage) 단계는 존재적 변화를 통한 삶의 주체화가 되는 과정에도달할 수 있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내적 변화과정에서 중심현상인 ‘자살시도’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면서 다른 범주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핵심범주로는 ‘자살시도 사후관리 단회상담 개입’이 도출되었다. 이에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범주 간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미래가 있는 삶(자기초월형)’, ‘현재가 있는 삶(현상유지형/자살재시도형)’, ‘과거에 매인 삶(사망형)’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LIFE&LOVE 단회상담모형의 이- viii -름은 틸리히가 말하는 삶(LIFE)에서부터 시작되는 존재적 물음, 존재의 용기로써 하나님 앞에 나아갔을 때의 궁극적인 사랑의 경험에 대한 전반적 의미가담겨 있다. 또한 프랭클이 말하는 삶 자체의 의미에서 궁극적 사랑(LOVE)의가치에 도달하는 삶의 의미발견 과정과 태도적 가치의 의미를 LIFE와 LOVE상담 모티브로 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LIFE&LOVE 단회상담모형은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입원, 퇴원, 사망 진단에 따라, 개입 방안이 달라진다. LIFE상담은 병원에서, LOVE상담은 일상생활복귀 이후에 이루어진다. LIFE 상담은 문제를 그대로 두기(Leave the matteras it is), 지금 바로, 지체 없이 개입하기(Immediately intervention upon arrival), 초점 맞추기(Focus on the needs of the counselee), 시야 넓히기(Extension of the LIFE)이다. 추후 상담으로써 LOVE상담은 희망 찾아보기(Lookingforward to it), 정리와 끊어내기(Overcoming a problem), 삶의 가치 발견하기(Valuing experience), 견디고 버텨내기(Exist well)로 이루어진다. 개발된 모형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인천지역 상급종합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의 실무자들은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 내담자를 대상으로 실제 상담에 적용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크다. 또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사후관리 사업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선제적 모형이 될 뿐만 아니라, 의료계와 상담학계,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서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에 관한 방안을모색하는 기초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바란다.

      •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와 간호업무수행

        진혜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문요약) 본 연구는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와 간호업무수행을 파악하여 자살시도 환자에 대해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함이며,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간호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4개 도시에 위치한 5개의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이며, IRB(병원윤리위원회)에 승인 절차를 밟고, 설문에 동의한 150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23일부터 6월 18일이었다. 이 중 자살시도 환자를 경험하지 못 하였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17부를 제외한 133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았으며, 자살시도 환자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임의진(2010)의 도구 25문항과 간호업무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백현옥(2004)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31문항을 사용하여 총 5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태도는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84, 간호업무수행은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95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은 SPSS 13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에 대한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2.78±0.39점으로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하위 영역으로는 충동적 영역이 3.86±0.8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위험도 영역 3.43±0.71점, 도덕/윤리 영역 3.36±0.78점, 정신질환 영역 3.34±0.84점 순이었다. 반면, 동기 영역 2.03±0.68점, 정상행위 영역이 2.09±0.8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 간호업무수행은 5점 만점에 2.44±0.44점으로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간 호업무 수행도는 낮은 편이었다. 하위영역으로는 태도 및 자질 영역이 2.72±0.4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지식 영역이 2.21±0.54점으로 가장 낮았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의 차이는 종교(t=2.710,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호업무수행은 임상경력(t=3.409,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와 간호업무수행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지만(r=0.103, p=0.238), 태도와 간호업무수행간의 하위 영역에서는 상관성을 보였다. 간호업무수행의 업무지식 영역은 태도의 충동적 행위 영역과 음의 상관관계(r=-0.187, p<0.05)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업무수행의 간호윤리 영역은 태도의 정상적 행위(r=0.321, p<o.o1), 문화(r=0.201, p<0.05), 종교(r=0.315, p<0.01), 태도 전체(r=0.266, p<0.05) 영역에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업무수행의 업무수행 영역은 태도의 정상적 행위(r=0.187, p<0.05), 문화(r=0.215, p<0.05), 종교 (r=0.276, p<0.05) 영역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 간호업무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태도의 영역은 정상적 행위(r=0.194, p<0.05), 종교(r=0.216, p<0.05) 영역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와 간호업무수행을 파악해 본 결과 부정적인 태도와 낮은 간호업무수행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임상현장에서 간호교육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자살시도 환자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간호업무수행을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자살시도 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attitude and nursing performance of ER nurses towards attempted suicide patients in ER. Furthermore, it aims to obtain th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qualitative nursing by protocol development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attempted suici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R nurses from fiv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four cities. After going through approval procedure with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we collected data from 150 survey respondents through descriptive research from April 23rd to June 18th 2012. Excluding 17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answers, total 133 questionnaires who have experienced attempted suicide pati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ceiving the tool developers' approval, we used 25 questions of Yim, Ei Jin(2010) to measure the attitude of attempted suicide patients, and also used 31 modified/supplemented questions of Kim, Yun Hee(2007) in order to measure nursing performance. The reliability of the attitude towards attempted suicide patients was Cronbach's α= .84 while the reliability of nursing performance was Cronbach's α= .95. By using SPSS 13 program,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average of ER nurses' attitude towards attempted suicide patients was 2.78 out of 5 as taking a little positive attitude. Among the subordinate areas, impulsive act was the highest(3.86) while motive(2.03) and normal act(2.09) were relatively low. 2. The total average of nursing performance was 2.44 out of 5. Among four subordinate areas, attitude and qualification were the highest(2.72) while work knowledge was relatively low(2.21). 3. The subjects'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endent on religion. The subjects' nursing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pendent on clinical experience. 4. In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R nurses' attitude toward attempted suicide patients and nursing performance,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in the whole context. But there was correlation found in the subordinate areas. In the areas of nursing ethics and work performance among the nursing performance area was increased when they considered attempted suicide patients as normal behavior, when religious beliefs had, or when cultural understanding was accompanied with. In the area of work knowledge of nursing perform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decreased when attempted suicide patients were considered as impulsive behavior. The total nursing performance showed correlation with normal act of attitude and religious area. In this study, the attitude of emergency room nurses towards attempted suicide patients had low scores, which means they have negative attitude, as well as in nursing performance.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a continuous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 must be provided in clinical environment, so that the nurses have a positive attitude for nursing attempted suicide patients and ultimately improve the treatment. It is also considered that we need to develop various tools to support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nursing performance, to improve nurses' attitude towards attempted suicide patients and to prepare clinical nursing work protocol for attempted suicide inpatients in ER.

      •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무망감·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성격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선경 한서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Hopelessness,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Jeong, Seon Gyeong Department of Child-Adolescent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Hanseo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Taeyeon,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suicide in adolescents by classifying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to provide basic and grounded data for preven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for suicide preven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Y-gun, Chungnam,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1.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3.5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the control effect,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reced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hopelessn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and whether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a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that is,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opelessness, and hopeless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ther words, when the sense of hopelessness increases, the idea of suicide increases through social support. This tendency has a moderating effect when the social support is low, and it is significant in both friends, family, and teacher support. Thir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life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increase in life stress of adolescents increases the sense of hopelessness, increases the suicidal ideation, but decreases the influence when social support is high,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s significant in both friends, family, and teacher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al id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were examined.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al ide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ough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and suicide though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This means that suicidal ideation increases suicide attempts when it increases in personality factors, and this moderating effect is significant in both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Third,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life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In other words, when the life stress of adolescents increases, the suicidal ideation increases, and when the personality factor increases, the influence also increases. In both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it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Juvenile suicide is a seriou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ublic health problem worldwide and can be prevented. Adolescents have the right to grow, develop and be happy in mature parents, stable home environment, educational school environment, and healthy social environment. Parents, educators, families and schools, countries and societies are responsible for protecting, nurturing and guiding youths' rights and emphasizing their dreams and future design. Especially, the problem behaviors related to self-injury and suicide should be approach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and evidence for practical strategies and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mong adolescents. * Key words :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life stress, hopelessness, social support, personality factors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파악하여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예방전략과 개입의 기초 및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충남 Y군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807명이며, 연구자료는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은 SPSS PC+ Win ver. 25.0 및 SPSS PROCESS macro ver. 3.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Model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무망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검증한 연구문제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생활스트레스는 무망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무망감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무망감과 자살생각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무망감이 높아지면, 사회적지지를 거쳐 자살생각도 높아지는데, 이러한 경향은 사회적지지가 낮을 때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친구·가족·교사지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생활스트레스, 무망감 그리고 자살생각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증가하면 무망감이 높아지고, 자살생각을 증가시키지만 사회적지지가 높으면 이러한 영향이 감소하였으며, 친구·가족·교사지지 모두에서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시도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성격요인이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한 연구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시도 관계에서 자살생각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생활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자살생각은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쳐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시도와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관계에서 성격요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성격요인에 높아지면, 자살생각이 자살시도를 높이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우울, 충동성, 공격성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생활스트레스,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시도 관계에서 성격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자살생각이 높아지고, 자살시도를 증가시키는데 성격요인이 높으면 이러한 영향 또한 증가하였으며 우울, 충동성, 공격성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청소년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심리·정서 및 공중보건 문제이며, 예방이 가능하다. 청소년들은 성숙한 부모, 안정된 가정환경, 교육적인 학교환경, 건전한 사회환경에서 바람직하게 성장·발달·행복할 권리가 있다. 여기에 부모와 교육자, 가정과 학교, 국가와 사회는 청소년들의 권리를 존중하고 그들의 꿈과 미래 설계를 중시하면서 보호·육성·지도할 책임이 있다. 특히, 청소년의 자해행동 및 자살 관련 문제행동은 다양한 시각과 종합적 안목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실제적 전략과 개입을 위한 기초 및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Cost-effectiveness of multi-disciplinary emergency consultation system in suicide attempts by drug overdose in adolescent and adult populations

        김솔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s by drug overdose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and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of multi-disciplinary emergency consultation system (MECS) for suicide attempters with drug overdose.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 of the MECS on suicide attempters with drug overdose was ver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1-year period from June 1, 2017 to May 31, 2018 (before the MECS was implemented; pre-MECS), and the 1-year period from June 1, 2018 to May 31, 2019 (after MECS was implemented; post-MECS). The dat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a total of 251 patients with suicide attempts by drug overdose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uring the period. Results: The adolescent group showed more use of painkillers and less of psychoactive drugs as drugs for suicide attempt (p < 0.01), more impulsive attempts than planned ones (p < 0.01), lower levels of sincerity for suicide (p = 0.04), lower levels of suicide fatality (p = 0.02), and less serious suicide attempts (p = 0.02), compared to the adult group. Adolescents in the post-MECS group showed decreased ICU costs (p = 0.01) and decreased 6-month costs (p = 0.02), compared to those in the pre-MECS group. Adolescents, both with serious attempts (p < 0.01) and non-serious attempts (p < 0.01) in the post-MECS group showed decreased ICU costs, compared to those in the pre-MECS group. Adults with non-serious attempts in the post-MECS group showed decreased ICU costs (p < 0.01), compared to those in the pre-MECS group. Conclusion: Difficulty in impulse control and immature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olescents could make them vulnerable to internal confusion and external influences, often leading to accidental suicides. Quick cooper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department has reduced unnecessary ICU treatments, especially in adolescents and non-serious suicide attempters. 서론: 약제 과다복용으로 자살시도하는 청소년과 성인의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다학제간 응급 협진체계(MECS)가 약제 과다복용 자살시도자에서 비용효과적일 것이라 가정했다. 연구 방법: MECS의 약제 과다복용 자살시도자에서의 비용효과를 밝히기 위해 2017년 6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의 1년 (pre-MECS)과, 2018년 6월 1일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 1년(post-MECS)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서울 소재의 대학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약제 과다복용 자살시도자 25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소년군에서 자살 시도 시 성인군에 비해서 더 많은 진통제를 선택했고 정신과적 약제는 덜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고(p<0.01), 계획된 자살 시도보다는 충동적 자살 시도가 많았고 (p<0.01), 자살 시도의 진정성이 더 낮았으며(p=0.04), 자살 시도로 인한 의학적 치명도는 낮은 편이었고(p=0.02), 자살 심각도가 더 낮았다(p=0.02)(Table2). post-MECS 청소년은 pre-MECS 청소년에 비해서 ICU 비용은 더 줄어들었고(p=0.01), 6개월 의료 비용 또한 줄어들었다(p=0.02). post-MECS 청소년에서 pre-MECS 청소년에 비해서 심각한 자살시도군(p<0.01), 심각하지 않은 자살시도군(p<0.01) 모두에서 ICU 비용은 줄어들었다. 심각하지 않은 성인 자살시도군의 경우, pre-MECS보다 post-MECS 에서 ICU 비용(p<0.01)은 줄어들었다. 결론: 청소년의 충동 조절 어려움과 결정 과정의 미숙함이 내적 혼란과 외적 영향에 취약하게 만들어 우발적인 자살 시도로 이어졌다. 또한, 다학제간 응급 협진 체계는 불필요한 ICU 치료를 줄였고, 특히 청소년과 심각하지 않은 자살시도자에서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