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양육시설 퇴소예정아동의 자립준비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강정선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퇴소예정아동의 자립성숙 정도와 자립준비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자립준비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립준비프로그램 관련 요인인 퇴소예정아동의 삶의 태도, 직업가치관, 진로 관련 태도, 진료 프로그램, 자립생활 기술 정도와 자립준비프로그램 등으로 연구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소재 아동양육시설 18개소의 퇴소예정 고등학생 총 190명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소예정아동 대다수는 삶의 태도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그들의 과반수 이상이 직업가치관을 이미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소예정아동은 진로 관련 태도의 적극성 정도를 대체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진로 관련 태도는 삶의 태도, 직업가치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퇴소예정아동이 평가하는 자립생활 기술평가 정도는 일상생활 관리기술, 건강관리 기술, 지역사회 자원활용 기술, 성교육 및 결혼·부모 역할 기술, 자아성장 및 사회성 기술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자금관리 기술, 주거 마련 및 관리 기술, 대인관계 기술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넷째, 퇴소예정아동의 진로 프로그램은 높은 진로 관련 태도에 비해 진로지도, 관련 상담, 적성과 진로 검사 등은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 관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퇴소예정아동의 참가만족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퇴소예정아동이 경험해 본 자립준비프로그램은 성격·심리검사 및 상담, 성과 결혼에 관한 교육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리고 아동양육시설의 자립준비프로그램은 그리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것과 관련하여 아동양육시설의 자립준비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점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아동양육시설 퇴소예정아동의 자립준비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소예정아동 측면에서는 아동이 삶의 태도와 직업가치관을 명료화할 수 있도록 이 부분을 자립준비프로그램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아동이 진로결정과 자립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자립준비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퇴소예정아동을 위한 다양한 자립준비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아동양육시설 자립준비프로그램의 내실화, 퇴소예정아동의 퇴소 이후 계획과 필요 욕구를 고려한 자립준비프로그램의 운영, 장기적인 자립준비 계획에 의한 개별화된 자립준비프로그램 마련, 시설관계자의 자립준비에 대한 가치부여와 직원교육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지원 측면에서는 효과가 검증된 자립준비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퇴소예정아동의 자립준비와 관련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way about self-reliance ready program to seek degree of child's self-reliance maturity and actual conditions of self-reliance ready program. For attaining the purpose, the study analysis frame consist of six parts; attitude of life, view point on professional values, job related attitude, job training program, dgree of independence life skills and self-reliance ready program. And 190 high school's students who were going to leave child rearing center in the city of Daegu wer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most of them was affirmative and active the attitude of life, especially more than their majority was expose that is deciding already view point on professional values. Second, they were estimating positiveness the degree of job related attitude on the whole high. And this job related attitude was expose that close connection is with the attitude of life and view point on professional values. Third, the degree of independence life skills estimation that they evaluate was evaluating in general high about everyday life administration skills, healthcare skills, community resources practical use skills, sex education and marriage parents skills, self growth and sociality skills. But, they were underrating relatively about capital management skills, residing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kills, personal relations skills etc.. Fourth, their job training program was expose that is enforced very limitly as job guidance, related counseling, aptitude and job test than job related attitude which is high. But, their participation satisfaction which attend in job training program appeared on the whole high. Fifth, the self-reliance ready program that they experience was very limited by personality-psychological test and counseling, education about sex and marriage etc.. And this program of child rearing center was expose that is not actively. Also, necessity that existed child rearing center's this program must inspect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as brought. From the above results, I suggest a few things to active about self-reliance ready program. First, in child side, it should be included in self-reliance ready program that they makes clear attitude of life and view point on professional values. And must guide them so that the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job decision and self-reliance ready. Second, in program side, it should be readi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varied self-reliance ready program for them, productivity of self-reliance ready program, operation of self-reliance ready program that consider plan since leaving center and their need, preparation of self-reliance ready program that is individualized by long-term plan, value grant about employee's preparing for self-reliance and employee education etc.. Lastly, in governmental support side, it needs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self-reliance ready program that effect is verified, preparation of governmental active support policy related their self-reliance ready.

      • 시설 청소년의 퇴소 준비 자립 프로그램 연구

        변은영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1

        ABSTRACT A Study on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Byeon Eun Yeong Major in Child·Youth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ts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tatus of the self-supporting program for the discharge preparation of the youth in facility, and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self-supporting program for the activation plan and reform plan of an independable psychological, financial and social-adaptative and support system as a social member on a facility, facility youth and national political level, and seek a future direction through foreign cas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at carrying out a in-depth interview to the youth preparing for discharge from the child welfare facility, and alleviating their psychological unrest and financial trouble by proper psychological, financial, social adaptative and support system after their discharge, and supporting their social adaptability. For the self-supporting program research of the facility, a theory on interpersonal relation and a mentor and career counselling as psychological factors was explored. Also as a financial factor, a theory on lease deposit and life fund was explored, and as a social adaptative factor, a theory on the community and volunteer service, and those about job experience and counselling for going on to a higher school. And a theory on support system, the support system of social welfare and administration and facility was explored. The research subject was selected focusing on the youth living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located in Seoul city, and of 8 juveniles of the interviewable facility, an in-depth technique interview was conducted in 90 or 120 minutes over 2 or 3 times. They have expected their self-support 3 years ahead, and got through their self-supporting programs. The interviewed content was recorded under their informed consent, and the recorded content was repeatedly heard, and it was recorded as express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view content was focused on the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perated by the current facility. The findings indicated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self-support of the self-support program for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is not operated by program along with a concrete suggestion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the part to a mentor and counselling is not satisfactory. Second, the financial self-support of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is all held responsible by the country in advanced countries , while Korea does not have correct information, and has trouble preparing for a concrete self-support. Third, for the social independence of a self-support program to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the advanced countries have the children accommodated in the child facility experience life at a region for a fixed period before discharge, and take training at the same time, facilitating their necessary knowledge ability and social self-support as a social man. However, our country does not properly use an organized step-wise program, focusing on some facilities. Fourth, the self-support program support system for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the advanced countries are all held responsible for all expenses, while our country uses the proposal of the facility itself, and rests on the contributions or sponsorship money from a child welfare association or other joint fund-raising. Also the facility youth do not catch the support system correctly. Through this research into the self-support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this could see the difficulties of psychological, financial, social adaptative adaptability and support system to the youth preparing for discharge from facility. The research of the self-support program for the youth in facility is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for the domestic subsequent research for the self support of the youth living as a social member after discharge from the facility. 【국 문 초 록】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 자립프로그램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전공 변은영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를 위한 자립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립 할 수 있는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지원체계의 활성화 방안과 개선방안을 시설과 시설 청소년 그리고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자립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외국과의 사례를 통해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그들이 퇴소 후에도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 지원체계의 자립을 적절하게 하여 심리적인 불안감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감소시키며, 사회적응을 잘 할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시설의 자립 프로그램 연구를 위해서 심리적 요소로 대인관계와 멘토, 진로상담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였다. 또한 재정적 요소로는 전세금과 생활자금에 대한 이론을 내용으로 탐색하였고, 사회적응 요소로는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에 관한 이론 및 직장 체험 그리고 진학지도에 관한 것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지원체계에 대한 이론은 사회복지 행정 및 시설의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아동 복지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중에서 면접이 가능한 시설의 청소년들 8명에 대한 심층 면접 기법으로 2~3회에 걸쳐서 90분~120분간 실시하였다. 이들은 자립을 3년 이내로 앞두고 있으며, 자립 프로그램을 현재 실시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접한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녹음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들으면서 연구 참여자가 표현한 그대로의 언어로 녹취하였다. 면접내용은 현재 시설에서 진행하는 퇴소 준비 자립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 프로그램의 심리적 자립은 선진국에 비해 자립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과 함께 프로그램이 진행이 되고 있지 않고, 특히 멘토와 상담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 프로그램의 재정적 자립은 선진국은 국가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있는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구체적인 자립준비를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셋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프로그램의 사회적 자립은 선진국의 경우 시설 입소 아동이 시설을 퇴소하기 전에 일정한 기간 동안 지역에서 생활 체험을 하고, 더불어 필요한 훈련을 병행하게 하여, 사회인으로서 필요한 지식 능력을 높여 사회적 자립을 촉진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시설에서 체계화된 단계별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고, 몇 몇 시설에서만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넷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프로그램 지원 체계는 선진국이 국가가 모든 비용에 대해서 책임지고 모든 것을 지급하는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시설 자체의 프로포잘을 이용하여 아동 복지 연합회나 기타 공동 모금회 및 후원금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 청소년들도 지원체계에 대한 것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설 청소년의 자립 프로그램의 연구를 통하여 시설에서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에게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 지원체계의 어려움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시설 청소년의 자립 프로그램의 연구는 시설을 퇴소한 후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위한 국내 후속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김민서 경기대학교 행정복지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00543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않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음이 확인된 경우 아동복지법에 의거 국가의 보호를 받다가 18세가 되어 그 보호가 종료되는 보호종료아동의 다른 이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4세의 자립준비청년들이 겪는 청년기 진로발달단계의 적응경험을 확인하고, Arnett의 청년기 개념과의 공통성과 이질성을 검토함으로써 자립준비청년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대의 청년들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면서 청소년기의 자기탐색 및 불안과 함께 기존의 성인들이 수행했던 발달과업의 지연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Arnett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시기를 청년기로 구분하였는데, 본 연구는 청년기라는 발달단계의 이행을 자립준비청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연구참여자의 조건, 기본질문의 구성, 면담 회기 등을 정하였다. 이후, ○청소년 자립관련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커뮤니티에서 자원한 12명의 자립준비청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방법 중 개인의 상황이나 개별성 특성보다는 공통성에 치중하는 Colaizzi(1978)의 방법을 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하여 구술 텍스트로부터 35개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다시 공통성 차원에서 결집해서 14개의 주제 모음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들을 재배열하여 ‘빨리 알아버린 세상의 차가움’, ‘부담감과 죄책감이 나를 짓누름’, ‘관계에서 오는 피로감’, ‘자립이라는 양날의 검’, ‘진로의 주체가 내가 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감’ 등 6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청소년기에 소극적이었던 자기 탐색이 자립 기간 중 사회적 안전망 안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경험을 하거나 원 가정과 보호시설에서의 경험이 스트레스와 회복 탄력성으로 다양하게 순환됨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것은 Arnett의 청년기의 5가지 특징과 동일하거나 차이가 있었으며 표면으로 드러난 특징은 같아도 그 구성과 이유의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성인의 의미를 도덕적, 규범적 가치 안에서 이해하고 있어 객관적으로 성인의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도 주관적으로는 성인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자립현장에서의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자립준비청년을 청년기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건강한 자립을 도울 수 있는 개입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is another name for a child who has no guardian or has been separated from his or her guardian, or a child whose guardian has been plac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state under the Child Welfare Act and whose protection is terminated when he or she reaches the age of 18 if the guardian is found to be unfit or incapable of raising the child. In this study, we wanted to identify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young adults aged 20~24 in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adolescence,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self-reliant youth by examining the commonalities and heterogeneity with Arnett's concept of youth. As young adults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y experience the self-exploration and anxiety of adolescence at the same time as the delay in developmental tasks performed by adults. Arnett classified the period with these characteristics as adolescence, an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ransition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adolescence is experienced in the special situation of self-reliant youth. Prior to the start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research participants to determine the condi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composition of the basic questions, and the duration of the interview sessions. Afterwards, 12 self-reliant youths who volunteered from youth self-reliance-related organizations and youth commun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laizzi's method(1978), which focuses on commonalities rather than individual situations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er analyzed 35 meanings from the oral texts on the participants' adolescent adaptation experiences, and then grouped them into 14 thematic groups in terms of commonality. I rearranged these themes and categorized them into six themes: the coldness of the world I quickly discovered, the burden and guilt that weigh on me, the fatigue from relationships, the double-edged sword of self-reliance, the self-reliance, and living in spite of it. They experienced that self-exploration, which was passive in adolescence, was experienced to try new things within the social safety net during the period of independence, or that experiences in their original homes and shelters were diversely circulated into stress and resilience. This wa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five characteristics of Arnett's adolescence, and although the outward features were the sam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composition and reason. He understood the meaning of an adult in terms of moral and normative values, and perceived it as objectively playing the role of an adult, but subjectively not being an adult.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essenc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the field of self-reliance will be understood, and that it will be useful for interventions that can ultimately help them achieve healthy self-re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