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조진영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퇴소 준비 청소년의 개인·시설·지역사회체계가 자립 생활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시설 청소년들의 자립생활준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대구·경북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 211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시설 청소년의 개인·시설·지역사회체계 요인이 자립생활준비의 하위변 인인 자원관리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친척관계가 잘 유지되고 있 을수록,직업관이 잘 정립되어 있을수록,교우와의 관계가 좋을수록,교사와의 관 계가 원만할수록,학교수업을 잘 할수록,시설에서 자립서비스를 제공해 줄수록, 시설종사자와의 유대관계가 강화될수록,지역사회의 시설과 전문기관을 적절히 잘 이용할수록,지역사회의 행사에 잘 참여할수록 자원관리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시설 청소년의 개인·시설·지역사회체계 요인이 자립생활준비의 하위변 인인 자기관리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업관이 잘 정립되어 있을수록,교 우와의 관계가 좋을수록,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할수록,학교규칙준수를 잘 할수록, 시설에서 자립서비스를 제공해 줄수록,시설종사자와의 유대관계가 강화될수록, 지역사회의 시설과 전문기관을 적절히 잘 이용할수록,지역사회의 활동에 잘 참여 할수록 자기관리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시설 청소년의 개인·시설·지역사회체계 요인이 자립생활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업관이 잘 정립되어 있을수록,학교생활을 잘 할수록,시설종사 자와의 유대관계가 강화될수록,시설에서 자립서비스를 제공해 줄수록,지역사회 의 시설과 전문기관을 적절히 잘 이용할수록,지역사회의 활동에 잘 참여할수록 자립생활준비가 잘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시설 청소년의 전체적인 개인·시설·지역사회체계가 잘 발달할수록 자립 생활준비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생활준비 를 강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 개선을 필요로 한다.둘째,학교적응을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셋째,시설 청소년의 직업관 정립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넷째,체계적인 자립준비프로그램과 자립을 위해 시설종사자와 청소년 간의 유대강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다섯째,지역사회에서 시설 의 아동이나 청소년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사는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활동이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어릴 때 시설에 입소한 아동이나 퇴소 이후 국가,지역사회,시설 등의 보호를 받지 않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도 개인·집단(시설)·지역 사회 체계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서 자 립생활을 위한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against the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adolescents who are about to leave the residential care and the social welfare methods in terms of enhancing their ability to be self-reliant. 211 adolescents who are stay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 Dae-gu and Gyungbuk were on the subjects' list of this research an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conditions - in terms of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 on the sub-variables of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such as source management skills, the more sustainable the relationship with families and relatives, the better occupational view to be esteblished, the intimater the connection with their friends, the smoothe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 better they do in school, the better they observe the school rules, the mor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provide service for their independence, the more intense their relations with the employees in the facilities, the more properly they use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professional institutions,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event,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the communities' activities, the source management skills tend to improve. Second, for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conditions - in terms of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 on the sub-variables of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such as self management skills, the better occupational view to be established, the intimater the connection with their friends, the smoothe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 better they observe the school rules, the mor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provide service for their independence, the more intense their relations with the employees in the facilities, the more properly they use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profissional institutions,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the communities' activities, the self management skills tend to improve. Third, for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conditions - in terms of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 on the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the better occupational view to be established, behave better in school, the mor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provide service for their independence, the more intense their relations with the employees in the facilities, the more properly they use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professional institutions,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the communities' activities, the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skills tend to improve. Fourth, as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advance, their preparedness in relying on themselves becomes higher.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the adolescent's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who are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methods are provided as following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ecnts and their family is necessary. Second, there should be some support for the adolescent making thei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more easy. Third, we should help the facility adolescent to establish their occupational views. Fourth, a systematic independent living program and a tie building program between the workers and the adolescent for the adolescents' independence should be developed. Fifth, efforts and activities to make a cooperative communities should be made and prepared to change the recognitions toward the facility children or adolescents. And finally, for the children who entered the facilities in their early ages and the adolescents who haven't been being protected in the institutions of nation, community or other kinds after they left those facilities, an established study should be conducted concerning the individual·institutional·community systems. And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we should come up with alternatives for their independent living.

      •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1

        This is the study on adolescents'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under crisis situation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competency, with the understanding that self-sufficiency of adolescent under adverse environmental change, which is highly unpredictable and increasingly relevant toda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materials to help adolescents prepare to be self-sufficiency successfully as for specific empowerment intervention methods to introduce so that the adolescents are able to cope with crisis situation which is unpredictable to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247 students of a academic high school and a vocational high school in Daegu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esearch and analysis of differences of crisis situation levels, extent of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and life competency level among the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it was analyzed with effect of the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risis situation on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And it was researched on moderating effect of life competency between crisis situation and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compared with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emotional/psychology/personal crisis and peer crisis. Second,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compared with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showed higher levels of family crisis, school crisis and peer crisis. Also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compared with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showed higher levels of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relationship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creative competency and situation handling competency. Third, 1st-year students, compared with 2nd-year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community crisis. But 2nd-year students, compared with 1st-year stude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community competency and creative competency. Fourth, the factors which affect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are in order of crisis situation of emotional psychology and personal, crisis situation of peer and type of school. Fifth, life competency which is able to defuse emotional/psychology/personal crisis is presented as creative competency and self-achievement competency. And life competency which is able to defuse school crisis is presented as self-achievement competency, relationship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creative competency .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specific practical approach for successful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learning program to improve and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y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Seco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learning clubs that are peer-run should be established in both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ird, adolescent protection system of local communities should put efforts to secure a support system and human & material resources from local communities to support situation handling training, as well as involvement in education, consulting and treatment against harmful object and violence against adolescent. Fourth, a plan to activate a education program for life skills should be set up as a specific and practical approach in order to backup job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for adolescent’s life competency-enhancement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오늘날 더욱 예측하기 어렵고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청소년의 자립준비는 절실히 요청되어야 할 과제임을 인식하여 생활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위기상황에 따른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이다. 미래의 예측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특성화된 역량 강화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여 청소년의 성공적인 자립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지역 인문계•실업계 고등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기상황수준• 자립 준비 정도•생활역량수준의 차이,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위기상황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청소년의 위기상황과 자립준비의 관계에서 생활역량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은 남학생과 비교하여 정서•심리 및 개인위기상황과 또래위기상황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생이 인문계 고등학생보다 가정위기상황, 학교위기상황, 또래위기상황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자립의지와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역량, 창의성역량, 상황대처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1학년이 2학년과 비교하여 지역사회위기상황이 높게 나타났고, 2학년이 1학년보다 공동체역량과 창의성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정서•심리 및 개인위기상황, 또래위기상황, 학교유형 순으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위기상황을 완충해 주는 생활역량은 정서•심리 및 개인위기상황에서 창의성역량과 상황대처역량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위기상황에서 자기성취역량과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역량, 창의성역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공적 자립준비를 위한 구체적 실천적 접근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체계에서 청소년의 창의성역량을 향상시키고 강화시키는 학습프로그램이 교과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내 또는 학교 밖에서 또래중심의 학습동아리 형태의 조직체계가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청소년 보호체계는 청소년들에게 유해물질과 폭력에 대한 교육과 상담 및 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상황대처 훈련을 지원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과 지지체계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의 생활역량강화 및 미래를 위한 직업진로와 경제적 지원을 뒷받침 할 구체적 실천적 접근으로서 생활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의 어려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태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558

        본 연구는 보호종료 전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및 가정위탁에서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에 관한 관심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이 아동복지시설 및 위탁가정에서 지난 1년(2018.5.1.~2019.4.30.) 동안 겪은 생활관리 어려움, 건강관리 어려움, 대인관계 어려움, 자립준비 어려움이 자립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립준비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의 보호종결아동의 현황 및 인권상황 실태조사(김형모 외, 2019) 가운데 보호종결준비아동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아동복지법」 제52조에 따른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및 가정위탁에서 현재 보호 중이거나 보호기간를 연장하여 보호생활 중인 만 15세 이상 25세 미만의 비장애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 574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의 어려움과 자립준비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의 어려움이 자립준비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립준비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는 아래와 같다. 실천적 함의로 첫째,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이 재학 중인 학교생활과 학업유지 향상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 기획・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보호환경 내 시설 종사자 및 자립지원전담요원은 사회적 관계망이자 지지체계임을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정책적 함의로는 보호조치를 연장한 대상의 연령별 특성이 나타날 수 있는 적절한 명칭을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자립지원전담요원 인력 확충은 보호종결 준비아동・청소년의 자립준비도 향상에 기여하여야 하며, 이들의 현재의 삶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terest in preparing self-relia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prior to the termination of protective measures.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fficulties in life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experienced by preparing self-relianc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ild welfare facilities and foster homes during the past year(May 1, 2018, to April 30, 2019) on their current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independent living skill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Data on children preparing self-reliance from the Survey on the Human Rights Conditions of Children with the Termination of Care(Hyung-Mo Kim et al., 2019) by the KOSSDA(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were utilized for analysis. A total of 574 non-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5 to under 25, who are currently under protection or have extended their protective measures period in accordance with 「Article 52 of the Child Welfare Act」, were selected as the survey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ies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have an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difficulties fac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influenced their independent living skills. Third, independent living skill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s a practical implication,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planned and provid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who are still in school. The staff exclusively for self-reliance support working in protective environments should continuously emphasize their role as social networks and support systems to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As a policy implicatio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appropriate terminology that reflects the 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extended protection measures. Lastly, the expansion of personnel dedicated to supporting independence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reparing for self-reliance,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rease their current life satisfaction.

      • 자립준비청년의 원가정 관계 경험과 정책적 함의

        김예원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18623

        본 연구의 주제인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종료아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가정에서 분리되어 가정외보호를 받은 보호대상아동이 자립준비청년(보호대상아동)으로 시설을 퇴소하기까지 원가정과의 관계에 관한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나아가 자립준비청년의 원가정과의 관계 경험을 분석하여 자립준비청년의 원가정과의 관계 연결 혹은 단절을 위한 정책 개선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일종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자립준비청년 당사자 7명이다. 자립준비청년 당사자인 참여자와 1:1 심층면담으로 개인의 구체적 경험을 조사하였다. 심층면담은 시설에서 보호종료로 만기퇴소한 지 5년 이내이며 시설 입소 전 원가정 생활 경험이 있는 자립준비청년 중 자발적 참여의사를 보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전원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1회당 1~2시간 동안 1~2회기로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여성 5명, 남성 2명의 총 7명으로 나잇대는 21세에서 24세까지 다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당사자인 7명의 연구참여자들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를 Colaizzi의 분석방법을 통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범주, 4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가정에 대한 연결과 단절의 시초가 되는 계기로서의 경험 범주는 <원가정과의 분리로 관계가 끊어지다>였다. 분리의 원인에 따라 ‘원가정으로부터의 탈출’과 ‘원가정과의 헤어짐’로 세분화되었다. 원가정에서 분리된 원인과 과정, 그에 대한 기억이 각기 다른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하여 문제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원가정 분리 이후 보호대상아동으로 시설에서의 원가정 관계 경험 범주는 <시설에서 연결과 단절을 다시 경험하다>로 표현하였다. 이 경험은 ‘시설에서의 재회’ 혹은 ‘시설에서도 계속되는 단절’ 으로 나뉘었고, 재회 이후 ‘시설거주와 가정복귀 사이 고민’도 함께 나타났다. 시설에서의 원가정과의 재회 혹은 단절 경험과 그 과정이 충분히 지지되지 못했던 경험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자립준비청년으로 퇴소하기까지 원가정과의 관계에 혼란과 해결되지 못한 마음의 짐을 더하고 있었다. 만 18세가 도래하여 보호종료된 자립준비청년으로서의 원가정 관계 경험 범주는 <홀로서기를 맞아 선택의 기로에 서다>로 표현하였다. ‘퇴소 후 연결되는 관계의 울타리’안에서 원가정과 대화를 하고 연민의 감정이나 공감을 느끼는 연결의 경험도 있었지만, 원가정에 대한 실망감으로 적극적인 단절을 선택하거나, 원가정에 대한 연결 욕구를 억누르며 외면함으로 인해 ‘퇴소 후 더욱 확고해지는 단절’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자립준비청년이 된 이후에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지원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경험이 대부분이었기에 제도적 공백이 크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자립준비청년이 보호종료 전후에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지원이 전혀 없었다는 경험은 <자립준비청년의 꿈에는 날개가 필요하다>로 형상화하였다. 참여자가 원가정에서 분리되어 시설에 입소하기까지, 연령 만료로 시설에서 퇴소하여 자립준비청년으로 살아가는 현재까지 요구되는 ‘관계 연결을 위한 지원’과 ‘관계 단절을 위한 지원’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자립준비청년 당사자들의 원가정과의 관계 경험의 본질은 “진짜 나의 모습을 찾기 위해 몸부림치는 자아”로 형상화하였다. 시간적 흐름에 따른 다양한 경험이 발생하는 양상을 ‘자립준비청년의 원가정과의 관계 연결 및 단절 경험 모델’로 구조화함으로써 원가정으로부터의 분리부터 보호종료 이후까지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참여자들의 경험 진술을 토대로 한 원가정과의 관계 연결 및 단절의 개념적 정의를 도출하였다. 둘째, “원가정과의 분리로 관계가 끊어지는”경험은 전적으로 혹은 사실상 아동 본인이 아닌 타인의 판단과 개입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은 시설에 사는 동안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매우 낮았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참여자가 시설에 있는 동안 원가정과 재회하는 것은 원가정복귀를 진지하게 고려하게 할 만큼 인생사적으로 중요한 경험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자립준비청년은 원가정에서 분리된 때부터 현재까지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분리될 때부터 원가정에 대한 관계 회복 또는 단절을 포함한 종합적인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분리라는 과정에서 아동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리 직후부터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심리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외보호 아동이 시설에서 생활하는 동안에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지원에 우선순위가 부여되어야 함을 도출하였다. 원가족에게도 아동에 대한 일정한 책임감을 부여하고, 법률에 따라 연도별로 아동의 시설 퇴소 여부를 재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원가정 자체의 기능 강화 지원을 통하여 원가정과의 관계 지원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함께 제시하였다. 셋째, 시설에서의 원가정 복귀 실무는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가정복귀 실무가 일률적으로 엄격하게 작동되고 있는 현실에서 시설에서 중도퇴소한 아동은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기에, 이러한 점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원가정과의 관계 정립에 핵심 열쇠가 될 수 있다. 넷째, 시설 퇴소 이후의 원가정 관계지원은 법적 근거를 가지고 충분히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현재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전담기관 또는 전담요원의 역할 안에는 원가정관계와 관련된 연결 혹은 단절에 대한 지원 내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자립을 지원하는 기관과 담당인력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실제 일할 수 있는 정도로 배치되어야 한다. 퇴소 이후 주거지의 변화를 감안하여 정보의 실질적인 관리와 공유가 선행되어야 자립준비청년의 원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욕구에 맞는 지원이 가능하다. 성과중심의 지원이 아닌 원가정으로부터 자립하여 고유한 삶을 살아가는 인격체로 자리잡는 과정 자체에 대한 지원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이 된 이후 원가정에서 분리되면서부터 지금까지의 원가정에 관한 경험을 회고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원가정 분리시부터 자립준비청년으로 성인기를 맞이하기까지 한 해씩 달라지는 원가정에 대한 경험과 그에 필요하거나 주효했던 지원체계를 다면적으로 연구하거나 지원체계의 효과성에 대한 종단연구를 한 것은 아니므로 자립준비청년 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전문적 근거제시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from when children subject to protection who are separated from origin-family and receive out-of-home-care until they are released from the facility as Youth Aging-out from Out-of-Home care (same as below 'YAOH').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he YAOH's experience with the origin-family, and seeks to improve policies for connecting or severing YAOH's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 YAOHs in total. Each individual‘s specific experiences were investiga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with the YAOH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in five years of the YAOH being discharged from the facility(specifically residential care and group home) due to the youth‘s aging-ou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YAOHs who had an experience of living at home before entering the facility, and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voluntarily after a preliminary survey. Participants attended one or two interviews lasting one to two hours each.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s and two males in total, and their age range varied from 21 to 24 years ol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erpreted through Colaizzi'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ur major categories, nine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The category of experience as an opportunity to initiate connection and severance with the family was “Relationship was broken due to separation from the origin-family. “ According to the cause of separation, it was subdivided into ‘escape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break up from the origin-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mpirically examined through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different causes and processes, and memories of them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family. As a child subject to protection after separation from the origin-family, the category of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 family in the facility was expressed as “Re-experienc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at the facility.” Thi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reunion at the facility’ or ‘continuous disconnection while in the facility. After the reunion, ‘distress between living in a facility or returning to home’ was also included. Experiences of reunion or disconnection with the origin-family at the facility and experiences in which the process was not fully supported were identified. These experiences added confusion and unresolved burdens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until they were discharged as a YAOH. The experience category of a YAOH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due to the end of protection at the age of 18 was expressed as “Standing at a crossroads in the face of stand-alone”. There were experiences of connecting with the origin-family and feeling compassion or empathy within the ‘fence of a relationship that connects after discharge.’ However, there have also been experiences of ‘disconnection that becomes more firm after discharge’ due to a sense of disappointment with the origin-family, or by turning away from family while suppressing the desire to connect with them. After becoming YAOH, most participants experienced virtually no support for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so it was also confirmed that systematic support is lacking. The experience that the YAOH did not receive any support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before and after the end of protection was embodied in “The dream of YAOHs needs wings.” ‘Support for family relationship connection’ and ‘support for family relationship severance’ are still needed after the participant is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and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and lives as a YAOH.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the essence of the YAOH's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was embodied as “the conscious struggling to find the true self.”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pattern of occurrence of various experiences was structured as a ‘model of the experience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from the origin-family of the YAOH’. In this category, it was clarified that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from separation to the end of protection is urgently need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statements, conceptual definitions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with the origin family were derived. Second, the experience of “breaking a relationship due to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found to be entirely or practically due to the judgment and intervention of others other than the child himself/herself. Thir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participan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while living in the facility were very low. Fourth, reuniting with the origin-family while the participant was in the facility was an essential experience in life-history to seriously consider returning to the origin-family. Fift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little systematic support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from the time they were separated from the origin-family until they became YOA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including the restoration or sever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from when the child is separated.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children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psycho-emo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origin from the moment of separation. Secon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support out-of-home care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heir origin-family while living in the facility. The family of origin should be given responsibility for the child. According to the law, whether or not the child is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should be re-evaluated annually. Reinforcing the capacity of the origin-family can lead to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Third, the practic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home at the facility should be implemented more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Because home return practices are too much uniformly and strictly enforced, children who drop out of institutions cannot receive support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origin-family.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customized support can be the key to resto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Fourth, support for the origin-family relationship after discharge from the facility should be sufficiently provided with legal basis. There is no support for connecting or sev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family in any agencies or child care workers supporting YAOH. The law should establish institutions and workers. And there should be enough workers to support their objectives. Suppose YAOH's information is managed and shared considering the change of residence after discharge. In that case, it may be possible to support YAOH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needs with the origin-family. Child care workers should suppor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YAOH as a person who lives an extraordinary life independently from the origin-family, rather than a method that cares about numbers. The researcher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s a follow-up study as follows: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retrospectively analyzing the experiences from separa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origin-family only after becoming a YAOH. Also, This study is not a multifaceted or longitudin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separation of the origin-family to reaching adulthood as a YAOH. The experience of the origin-family changes year by year, and so does the necessity or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As a result, there were limitations in presenting the professional evidence for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YAO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