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청년실업의 여파로 장기간 취업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심화되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확신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자기확신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심리 내적 자원으로서 자발적 자기확신(spontaneous self-affirmation)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 간에 어떤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자기확신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19-29세의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통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8.7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정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이 자발적 자기확신, 낙관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간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발적 자기확신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높은 수준의 낙관성을 거쳐 낮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발적 자기확신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거쳐 그 결과 낮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상관계수는 부적으로 나타난 것에 반해 매개모형 내 경로계수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일관적 매개효과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처음 탐색한 연구로, 자기확신 이론을 토대로 변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취업 스트레스를 완화 및 해소할 수있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자기확신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자발적 자기확신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s college students experience long-term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job due to youth unemployment, job-seeking stress is intensifying and the negative impact of it on mental health is growing. Based on the self-affirmation theory that self-affirmation reduces stress, this study proposed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resource to cope with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elf-report survey targeting 340 college students.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self-report scales measuring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ptimis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8.0, and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tested sequentially using Mplus 8.7. Finally,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ptimis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n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optimi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Four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the sequential mediation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college students' higher level of spontaneous selfaffirmation leads to a higher level of optimism, which in turn leads to a low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Additionally, a higher level of spontaneous self-affirmation leads to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n turn leads to a low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In addition,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 the path coefficient in the mediation model was found to be positive, which is an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verify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ased on self-affirmation theor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expanding research on protective factors that can reduce and resolve job-seeking stress. Lastly,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pontaneous self-affirmation promotes further discussion on the topic.

      • 골프 전공 대학원 전공자의 자기확신이 전공만족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나웅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28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 전공 대학원생의 자기확신 성향이 대학원 전공만족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목적을 가진다. 세부목표는 세 개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세부목표로는, 골프 전공 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확신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둘째 연구목표는 전공만족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연구목표는 자기확신이 대학원 구직효능감을 규명하는데 있다.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대학원 졸업 후 정규직을 갖지 않은 상태로써 대학원생 및 프리랜서 강사 및 대학 시간강사를 포함하였다. 총 151명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각 연구 목적별로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 분석을 반복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확신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진다. 세부적으로 자기긍정은 전공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취업부정은 전공불만족에 영향력을 가진다. 또한 의사결정 부정요인은 전공만족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 둘째, 전공만족이 구직효능감에 영향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공 만족은 취업심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취업활동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진다. 전공불만족은 취업활동효능감에만 영향력을 가진다. 셋째, 자기확신은 구직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진다. 세부 요인별로 보면 자기긍정은 취업심리효능감과 취업활동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자기확신은 골프운동수행과 같이 경기력 수행에 대한 심리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취업과 같은 다각적이고 장기적인 일상의 생활방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이러한 자기확신은 취업분야에 대해서는 전공만족을 통해 그 효과를 유지하거나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전공운영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략적인 심리강화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fidence tendency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golf on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major and job search self-efficacy. The detailed objectives consisted of three. The first detailed goal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n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golf. The second research goal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job search self-efficacy. The third research goal was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tudents and job search self-efficacy for self-confidence. Due to COVID-19,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included graduate students, freelance lecturers, and part-time lecturers at universities who did not have full-time positions after graduation. A total of 151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ince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study purpose,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repeatedly performed after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nd outcome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confidence has an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In detail, self-af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denial has an effect on major dissatisfaction. In addition, negative decision-making factor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major satisfaction has an influence on job search self-efficacy. Specifically, majo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sychological efficacy and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ctivity efficacy. Major dissatisfaction only has an effect on employment activity efficacy. Third, self-confid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erms of detailed factors, self-affirm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sychological efficacy and employment activity efficacy.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confidence not only acts as a psychological factor for athletic performances like golf exercise, but also positively affects multilateral long-term lifestyles such as employment. Since such self-confidence can maintain or expand its effectiveness through major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ientific and strategic psychological reinforcement program for major operation.

      • 자기이익 추구와 도덕에 관한 연구

        최제윤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19

        도덕의 모습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조금씩 변화할 수 있지만, 도덕의 가장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타인에 대한 의무일 것이다. 도덕은 타인을 배려하는 이타적 행동을 도덕적이라고 칭찬하며, 자기이익만을 중시하는 행동은 이기적이며, 비도덕적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도덕적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이익을 배제하고 타인을 위해서 살아야하는 삶이 된다. 하지만 일상적 삶에서 자기이익은 인간의 행동을 끌어내는 중요한 원인이며, 완전히 무시될 수 없는 것이다. 자기이익을 완전히 배제한 삶은 현실적 행위자들에게는 의미가 없으며 실제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 자기이익을 배제하고 타인을 위해서만 산다면 도덕적 사람이라고 칭찬을 받을 수는 있지만 이런 삶을 계속해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기이익을 추구하고 자신을 위한 삶을 살고 싶어 한다. 그러한 삶이 행위자 자신에게는 더 의미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이 가진 강력한 의무감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논의를 하였다. 과도한 명령이나 의무감의 중시 보다는, 그 의무적 명령을 수행해야한 하는 행위의 주체인 한 개인에 관점에서 도덕의 개념을 정의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도덕은 자기이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자기이익을 중시하는 현실적 행위자들도 타인을 배려하는 도덕적 행위를 비난하지는 않는다. 문제가 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이익과 나의 이익이 갈등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나에 대한 배려를 어떻게 확보할 것이며 이러한 것을 도덕의 영역에 어떻게 자리 잡을 것인가의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도덕이 이제까지 지녀온 고유한 권위를 약화시켜 도덕의 지위를 떨어뜨리려는 의도보다는 인간에게 가까운 도덕의 모습을 정립하기 위함이었다. 인간과 사회를 위한 도덕이 아닌, 도덕을 위한 도덕, 의무를 위한 의무는 더 이상 사람들에게 매력적 모습의 도덕이 아닌 것이다. 자기이익을 도덕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려는 본고의 논의는 자기이익이 도덕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보이려는 시도이기도 하며, 나아가 인간의 동기 중 가장 중요한 자기이익을 중심으로 인간에게 가장 바람직한 삶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를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사람들은 모두 행복하게 살고 싶어 한다. 행복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고 자신에게 좋은 것을 발달시키며, 자신의 행위 속에서 자신에 대한 확신과 긍정심을 인식하면서 얻어지는 것이다. 자신이 진실로 원하며, 자신의 발달과 관련되어 있는 좋은 동기들은 그것이 비록 자기이익을 위한 것이었더라도 도덕적으로 좋은 것이고, 이는 자기이익적이라는 이유 때문에 비도덕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자기이익만이 우리가 도덕적이지 못하게 하는 모든 이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삶을 자기주도적으로 결정하고 자신의 삶에 관심이 있는 행위자들은 자신들의 합리적 자기이익 추구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이익의 추구는 타인에 대한 배려를 필요함 역시 인정하게 할 것이다. 타인과의 좋은 관계는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추구하게 도와주는 삶의 한방편이기도 하다. 도덕적 삶은 자기이익적 삶과 다른 방향이 아니며 서로를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도덕적인 것에 대한 요구가 자기이익에 대한 완전한 포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도덕적인 것은 강제적 의무라기보다는 한편으로는 더 좋은 삶을 위하여 추천되는 것이다. 자기이익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나와 타인은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타인에 대한 배려의 감정은 자기이익과 도덕을 연결해주는 열쇠가 된다.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은 도덕적으로 칭찬받는다. ''타인''의 필요와 ''나''의 필요가 갈등을 일으킬 때, ''나'' 자신은 도덕이라는 이름 아래 희생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나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만을 지나치게 배려하라고 강요하는 도덕의 명령인 것이다. 자기이익과 도덕의 비중을 적절하게 조율할 줄 아는 행위자들은 도덕과 자기이익 사이의 갈등에서 괴로워할 필요가 없다. 도덕이 ''나'' 자신을 한 곳으로 밀어놓고 타인만을 배려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나 자신을 잃어버리는 사람은 도덕적일 수 없으며 그런 자기희생은 도덕적으로 칭찬받을 수도 없다. 자기이익이 도덕적인 것이 아니라는 비판 때문에, 혹은 철학자들이 제시하는 무거운 도덕적 의무 때문에 나의 삶에서 나에게 좋은 것을 추구하기를 포기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덕과 자기이익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자기이익적이면서 도덕적 삶은 나 자신의 현명한 자기이익과 타인에 대한 적절한 배려를 통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dea of morality would be changed a little bit by the demand of the time,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morality is the duty for other people. So morality praises the behavior which cares for others and scolds the behavior which cares for the agent himself. Therefore living moral means excluding self-interest and caring for others. But self-intere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hat causes one''s behavior, so it can not be ignored completely. The life without self interest will be meaningless for the agent and it is not possible to live this kind of life all the time. Living for others would be praised for its morality but it can not be continued forever. Common people want to live for themselves and have self-interest. Self-interested life is more meaningful for the agent.The recent discussion of morality believes that morality has to discuss about real and actual human life. So morality considers of real human activity and pursues the real things in human actual life. These kind of discussion considers self-interest importantly.In this thesis I discussed about lightening the demand of morality. So it focuses selt-interest instead of caring for the demands of morality and demands of duty. I want to describe morality in the point of agent himself. The agent wants to live meaningful. So, morality has to treats self-interest importantly. Of course self interest was not excluded in moral scope totally in recent moral history. But I approached to self interest in the point of agent himself. It connects with the discussion of agent''s life. Self interested agent even doesn''t think the behavior caring for others immoral or bad. The thing that matters is when my interest conflicts with other''s interest, how do we solve this conflict good and moral? How can I accomodate my self interest within the morality? I tried to do this job without ignoring the authority of morality, but wanted to build the morality friendly and intimate with human beings. The morality which cares only for the morality not for the mankind is not attractive any more. The discussion about relating self interest with morality means that self interest includes morality in a certain aspects and also self interested life would be meaningful for the agent''s life. A meaningful life must include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To get this kind of self accomplishment agent has to care about his self interest. The agent who cares about his life wants to care about his self-interest also. Sacrificing for others is a moral behavior without doubt. But when morality conflicts with self interest, self interest is not demanded sacrificing for morality. Real moral people don''t exclude themselves in moral consideration. ''I'' can be ignored for ''others'' for the demand of morality. Morality doesn''t always demand agent''s sacrifice. The problems is the burden of morality that the agents feels. When the agents can harmonize the demand of morality and self-interest, he can live moral and self-interested at the same time. The really moral self-interested agent can live morally and self-interestedly at the same time. Moral life and self-interest life can come together.

      • 통제력 상실이 자아중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확신성 추구의 매개역할과 나르시시즘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번영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0

        Loss of control due to ignorance or exclusion is common in modern society. People try to reward themselves with self-focus consumption to respond to loss of control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ent trend of self-focus consumption. Specifically, the study predicts that if an individual feels threatened with loss of control due to negative events such as ignorance, rebuttal, or exclusion from others, people will seek self- affirmation to compensate for their own values and self-ide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loss of control on self-focus consumption choices (smartphones, free travel servi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 of the loss of control on the attitude toward self-focus consumption (Honbab_Eating alone, Home furnishing)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anipulation of loss of control) had a higher attitude toward self-focus consumption than the control group(no loss of contro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affirmation on the effect of loss of control on attitude toward self-focus consumption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indirect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Honbob(Eating alone) and Home Furnishing.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smartphone was inserted as a dependent variable.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nsumers' individual differences. As a result of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arcissism and self-affirm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Honbab(Eating alone) and Home Furnishing. In particula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even when free travel service was inputted as a dependent variable. But the smartphon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new trends such as the loss of control that prevails in modern society and self-focus consumption(Honbab_eating alone, Home Furnishing, traveling alone, etc.).

      • 온라인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운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96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 성인의 온라인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우리 나라 일반 성인들의 온라인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게임을 중독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요인을 온라인게임 자체 측면, 개인의 심리적 측면, 온라인게임 이용에 대한 외부적 측면으로 나누어 포괄적으로 접근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은 구체적으로 플로우경험, 성취감, 소속감, 온라인게임에 대한 자기확신감, 감각추구경향, 자기통제력, 온라인게임 사용통제인데 이들과 온라인게임 중독의 직접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와 함께 플로우경험에 의한 성취감, 소속감, 온라인게임에 대한 자기확신감, 감각추구경향의 온라인게임 중독에 대한 간접적 영향도 규명하였다. 온라인게임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영향력 순으로 성취감, 플로우경험, 자기통제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라인게임에 대한 자기확신감, 소속감, 감각추구경향, 온라인게임 사용통제는 온라인게임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경험을 매개로 하여 온라인게임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취감, 소속감, 온라인게임에 대한 자기확신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취감은 온라인게임 중독과 직접적인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 매개 변수인 플로우경험의 역할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소속감과 온라인게임에 대한 자기확신감은 온라인게임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플로우경험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각추구경향과 온라인게임 중독은 간접적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성인들이 온라인게임에 중독되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온라인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게임 제작 업체는 온라인게임이 중독을 일으키는 요소를 고려하여 게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온라인게임 이용자는 온라인게임 중독의 원인을 다시 한 번 생각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게임이 중독이라는 부정적 측면을 극복하고 성인들의 긍정적이고 건전한 놀이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온라인게임 산업 발달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uidelines to prevent online game addiction for Korean general adults by examining the factors positively that cause the on-line game addiction for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factors comprehensively that make on-line games to be used addictively by dividing them into on-line a game itself aspect, an individual psychological aspect, and an exterior aspect on the use of online game. These three aspects are concretely flow experience, achievement, a sense of belonging, self-efficacy on online game, sense seeking inclination, self-control and online game usage control, and this study examined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se and online game addiction. As well as this, the study also examined indirect factors of online game addiction which contained an achievement based on flow experience, a sense of belonging, self-efficacy on online game and sense seeking inclination. The factors that cause on-line game addiction directly were shown as follow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luence: achievement, flow experience, and self-control. Howe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on online game, a sense of belonging, sense seeking inclination and online game usage control had no direct impacts on on-line game addiction. It was shown that factors that had indirect impacts on online game addiction with the intermediation of flow experience were achievement, a sense of belonging, and self-efficacy on online game. However since achievement showed more direct relationship to online game addic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role of flow experience as an intermediate variable is quite weak. A sense of belonging and self-efficacy on online game had more indirect impacts that were intermediated with flow experience on online game addiction rather than having direct impacts on online game addiction. Through this process of the study, we can seize the reasons of online game addiction, and these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prevent online game addiction for Korean adults. With the ground of this, online game users can enjoy games by keeping the reasons of online game addiction in their mind.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online industry development to overcome the negative sides of online game addition and to make online games settle as adults’ positive and healthy leisure.

      • 『금오신화』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林宣希 군산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1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women's images who appear in novel Geumosintum, which has important position in our history of literature. And it also tried to study all sorts of human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who appeared in this work of art because it is not simply made by Gim Si-seup's literary imagination around 1470. This research reflect the fact that the relation of two genders was equal in some degree at that time. If we summarize women's images here to three items from the social atmosphere, is as following. First, It is 'strong-willed women full of self-confidence'. Women who appear in Geumosinhwa choose their own life partner according to more natural human nature by their will than 'to follow father constantly', the first item of Scanjongjido(three obligation that women should perform in confucian society). Because it is far from 'to follow husband' which is the second item of Sarrljongjido, it is different from the state in most old novel, in which women were belonged thoroughly to their husband. As well as guiding man as a leader, it's the woman who speak at the peak point when they arrange their relationship. Second, it is 'active woman on communication'. It was social custom to follow their husband and to obey absolutely in dominating value of men-centered atmosphere, hiding their delight, anger, sadness and joy, and the oppressed freedom of speech. Women who appear in Geumosirdnoa, unlike such a typical woman, are not hesitating in their own ideas, displeasure and point of view. Men gets feeling of satisfaction to woman as 'a conversational partner' who is not just regarded as a mother or the partner for joy of love. Instead they have various character and show their own emotion honestly. Third, it is 'characteristic woman who do not become typically as motherhood'. Women who appear in GeumosinFuya did not have 'body' as an alive woman. They are so equal in the relationship with man and are not just the 'body for pregnance' any more. Such freedom was possible because they were perfectly free from 'body', the symbol of traditional distinction of sex role that they accepted lie fate in front of violence of CWgeojiak(seven taboo items). After funeral ceremony, the woman who appeared in front of Yangsaeng, thanking him, said him that she could be born again 'as a man in other country'. Maybe it conveys the difficulty 'to live as a woman in this country'. Thus women's images in Geumosinhwa are devided into three items, and they are very active surprisingly comparing the women these days. We must see that property or memorial service successions in general family relation- son, daughter, son-in-law and daughter-in-law reflects the previous social atmosphere in 17th century equaled comparatively because traditional passive and negative woman exists in man's shade in our society and that has been said to be an ideal thought for a long time.

      • 대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관련 자기 확신의 중재효과

        박소영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대학교 저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중재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중재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3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세 미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명의 결과를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진로관련 자기 확신,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한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r=.30)를 보였고, 자기효능감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 간에 정적 상관관계(r=.50)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관련 자기 확신의 중재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는데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높을수록 그 양상이 두드러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선행연구(이미진, 2013; 이종찬, 2013)에 기반을 두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인을 탐색해 보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높을 때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함께 진로관련 자기 확신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할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자기 폐쇄적 종교에서 자기 비움의 신앙으로 : 안정을 위한 종교의 실체화-우상화 비판을 통하여

        이신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가 처한 상황에 대해 돌아봄으로써, 신과 인간을 잃어버린 종교의 폐쇄적 절대주의에 대해 살피고, 절대주의라는 우상을 극복하는 종교와 신앙의 재구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틸리히의 종교와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철학의 선구자인 포이어바흐와 니체, 그리고 하이데거들의 논의들을 사용하였다. 2장에서는 오늘날 실체적 종교는 무관계적 종교로써 인간도 잃어버리고 신도 상실하였음을 밝히며, 틸리히의 ‘종교 개념’과 ‘타율적 신앙’ 개념을 통해 종교가 우상으로 작동하고 있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종교적 인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종교는 시작부터 종교적 인간의 ‘자기 안정’ 욕망과 엮여 있으며, 이에 대한 성찰이 없으면 ‘맹목적 자기 확신’으로, 더 나아가 ‘맹목적 자기 절대화’라는 우상화의 과정을 밟아간다는 것을 진단하고 성찰한다. 4장에서는 앞선 인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진리 이해를 시작으로 ‘역동적 신앙’이라는 참 신앙의 자리를 회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역동적 신앙을 발판으로 종교를 ‘동사적 종교’로 받아들이고 이를 현실에서는 ‘종교의 비종교화’로 방식으로 지향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losed absolutism of religion that has lost God and human being by looking back at the situation in which Protestantism in Korea is facing, and to reconstruct religion and belief that overcomes the idol of absolutism. For this purpose, I used the discussions of Feuerbach, Nietzsche, and Heidegger, the pioneers of modern philosophy, based on Tillich'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humanity. In Chapter 2, I would like to reveal that today's material religion as an irrelevant religion has lost both humans and God, and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religion was operating as an idol through Tillich's 'religion concept' and 'heterogeneous faith'. In Chapter 3, by examining the Homo Religiosus, religion is intertwined with the Homo Religiosus's desire for 'self-stabilization' from the very beginning. Without reflection on this, I diagnose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religion goes through the process of idolization of ‘blind self-conviction’ and further ‘blind self-absolutization’. In Chapter 4, I would like to restore the place of true faith called ‘dynamic faith’ by star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truth based on the previous reflection on human beings. Furthermore, based on ‘dynamic faith’ as a stepping ston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religion is accepted as a 'verbal religion', and in reality, it will be oriented as a 'non-religiousization of religion'.

      •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관광지 일탈행동 동기 연구 : 자기통제와 처벌확신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 비교

        구혜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certainty of punishment on deviant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by applying the model of goal-oriented behavior. Also, through a comparison of samples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ultural influences of two different countries on behavioral intention. Data from the Korean group (N=462) and the American group (N=438) were combined to form a total of 911 data for comparison with the indulgence dimension of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SPSS 26 and AMOS 25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certainty of punis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del of goal-oriented behavior of both groups, but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American group. Among the hypotheses for the model of a goal-oriented behavior, for the Korean group, all of them were accepted except for hypothesis H3 about the effect of attitude on aspiration, which shows that they have an expectation that deviant behavior can occur in tourist destination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ong the dimension of indulgence, which suggests that deviant behavior intention can be influenced by cultural basis. In this study, we shed light on the role of self-control and punishment certainty in the determination of intentions to engage in deviant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By identifying the role of inhibitions and control measures in the determination of intentions to engage in deviant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we broaden the horizon of research on deviant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