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에게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p시의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중 2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1회기 60분씩, 주 2회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한국형치매진단척도(MMSE-K)점수가 15-23점인 경증 치매노인 10명이 실험집단, 10명이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2회 16회기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미술치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추후에 미술치료를 원하는 대상자에 대해서 미술치료를 제공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 후에 상태불안 (STAI-Y1)검사와 자아존중감(RSES)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PPA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같은 시기에 PPAT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경증 치매노인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의 효과성을 보기위해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측정하였다. 미술치료 16회기 중 같은 기법을 사용한 4회기 작품과 14회기 작품을 선정하여 4명의 평정자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실시하였다. 그 중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점수가 많이 향상된 세 명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집단미술치료는 Nucho(2003)가 제시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을 활용해 네 단계로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상태불안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자아존중감 점수는 높아졌으며 PPAT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상태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미술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심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화된 미술치료적 개입을 실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 : 자기존중을 위한 교육에의 함의

        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inquiry seeks to articulate philosophically how the characteristics of art can be used to envision a form of educational practice that can help one respect oneself and others as human beings in the present day that requests a paradigm shift in horizontal and democratic educational practice. The setting of these tasks stem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in Korea's current educational area where it is regarded as largely a corner of competition, which consequently causes it to fail to function as a space where one can learn to respect oneself as one human being. Our old meritocratic perspective on education-which requires students to build up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o acquire wealth and social statu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ir effort-causes students to form a mental habit of valuing their existence based on the logic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y evaluating themselves and others using an academic achievement-based hierarchy. Unlike the general analysis that states the college entrance exams focused education system as the cause of the mental habit of looking at education as a frame of meritocracy, I also sugges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nal" cause of not being able to vividly address the language of the curriculum. The lethargic class culture characterized by students' mutism that is prevalent from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o university classrooms can be attributed to the inability of educational subjects to regard the textbook or educational text as an object they can closely relate to. I diagnose this phenomenon as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form self-respect through self-expression in the educational space and explore how art can contribute to encounter the curriculum's 'language' as a language for self-expression. In order to do this, I set the premise that 'self – expression' clarifying each person 's thoughts and feelings is essential to form our own humanity, and from this point we will begin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premise. Self-respec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formed in the conditions of isolated individuals, but rather it is an intersubjective, performative and aesthetic concept which means others' views are needed in order for one to express, to bring out and to respect one's humanity as it is.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self-respect and self-expression, we can see how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to reveal humanity in detail, and how ar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elf-respect in terms of self-expression. I will refer to Charles Taylor's reinterpretation of 'art' as a comprehensive 'expression' term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self-expression that is to be regarded not as a light subculture, but as an attempt to face and understand the world seriously. The concept of 'expression' or 'art' of Western romanticism has been understood to originate from the arousal of narcissism or enthusiasm of the lyrical self in the aesthetics. Beyond the aesthetics’ view, however, 'self-expression'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modern self is born can acquire a wider range of meanings including human existential desire to grasp the 'inner' attributes of the worlds (as opposed to looking at nature through a mechanical and neutral approach of the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this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verbalize the inner relation that the self has with the world at this time where one can no longer find one's own given meaning in the cognitive condition of the modern world. Thus, the meaning of 'art language' is viewe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zed artist, but its meaning is interpreted as being accessible to all modern people who want to be connected to the world in an existential way. In the first-person level, however, the unique meaning of art language can also be created when individuals meet the nature and the world. At this point, though the meanings they produce are all different, there can be seen that there is a formal center point to which they are all universally oriented; it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mechanically perceived experience and to form humanity by concentrating on one's own sense and inner side for a dignified life that can be pursued spiritually. While the art language as a self-expression,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world, gives us insight into how the articulation of the inner knowledge of the world leads us to a dignified life that is not flat, there is not much that can be said about how we can respect ourselves as human beings through self-expression in 'relationship with others.' So secondly, I want to encompass the view of Merleau-Ponty's 'expression' that the 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gestural 'performance' and 'process', which is a form of expression that means physical sign. The claim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make is that in 'phenomenon' in which 'expression' unfolds, we can be captured as being entangled in a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others) where we 'perceive and are perceived by' each other, and this capture can provide a picture or visualization to help understand the argument that we can nurture self-respect by revealing ourselves in our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others. This is because our way of being, which generate an art language, is also realistically placed in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others, and in relationships where we are 'perceiving and being perceived by' each other, we are committed to recognizing and respecting our mutual-existence in a sensible and perceptual way. In this inquiry, I try to name the concept that includes the above two characteristics as 'self-forming expression'. ‘Self-forming expression' on one hand, carries an individualistic linguistic nature as it is a concept through which one can gain an intimate self-knowledge when meeting the world in the first-person level. Yet, on the other hand, when it does not stop here, and when it is visualized and expressed, this concept also carries a communicative linguistic nature through which one can existentially be connected to the world and others. The inherent accrual dimension of language that can be perceived here may contribute to re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al thinking that the curriculum's 'language' has a fixed meaning that we all must accept. Language generally conveys meaning the moment it is ignited and forgets its existence, but art language has meaning that cannot be created by separating it from the way it is produced, because it reveals meaning only when the viewer approaches and tries to understand its object.ᅠ Thu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y' for self-respect that can be formed through 'self-forming expression' in educational space as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by using each other's outward expressions to acknowledge and respect the existence of oneself and others in a more perceptual way, one can trust one's body with a common human sense on a 'horizontal' level.ᅠSecond, based on one's sense and perception, by vividly meeting the 'language' of the educational texts coming down from the curriculum and tradi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xistential sense of belonging to the human group on a 'vertical' level. In the end, it is suggested that creating art language as a 'self-forming expression' to form self-respect could be useful because it could contribute to fostering 'cultural sensibility' to interpret and re-express various educational 'language' of nature and the world by their own senses and judgments. Here, cultural sensibility is considered to be a way of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expressing the world not in a given way, but in one's own sense and perception, by distinguishing myself from t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Furthermore, cultural sensibility is also regarded as a way to assume and communicate-through the expressions of others-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Eventually, unlike the previous moral educational attempts to approach the issue of 'why can an aesthetic individual form a better community,' exploring the educational dimensions of a person's 'inner' and 'inter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through the phenomenon of the art language will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take a new political and existential approach that clarifies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recognition' network. 본 논문은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실천의 패러다임적 전환이 요청되는 오늘날, 자기 자신과 타인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존중할 수 있는 교육실천의 형식을 구상하는 데 예술의 특성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를 철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의 설정은 현재 우리 교육의 장이 대부분 경쟁의 각축장으로 간주됨으로써, 자기 자신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 존중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노력에 부합하는 재화와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학력을 키워야 한다는 교육을 향한 우리의 오래된 ‘능력주의’ 관점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성취도에 따라 서열화된 구도로 자신과 타인을 평가함으로써 ‘우열의 논리’에 입각하여 인간의 존재 가치를 매기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교육을 능력주의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는 원인이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에 있다는 일반적인 분석과 달리, 교과의 언어를 생생하게 다룰 수 없는 ‘내적’ 원인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부터 대학의 강의실까지 학생들의 함구증(mutism)이 만연한 무기력한 수업문화는 교육주체들이 교과 혹은 교육적 텍스트를 자신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기지 못하는 데서 비롯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현상을 학생들이 교육공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자기존중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는 것으로 진단하면서, 교과의 ‘언어’를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언어로 만나기 위해 예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자의 생각과 느낌을 명료화하는 ‘자기표현’이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전제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자기존중은 결코 고립된 개인의 조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인간다움을 드러낼 수 있도록 ‘표현’하고 그 인간다움을 인간다움으로 바라보고 존중해줄 수 있는 타인의 시선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상호주관적’이고 ‘수행적’으로 형성되면서도, ‘미적’인 판단력을 요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기존중’과 ‘자기표현’ 간의 개념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인간다움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이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이 어떻게 우리의 자기존중의 형성에 기여하는 자기표현을 하는 데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해명하고자 하는 바다. 우선, 가벼운 소회를 밝히는 자기표현이 아닌 사물과 세계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로 간주될 수 있는 ‘자기표현’의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찰스 테일러가 낭만주의 시대에 부상한 ‘예술’을 포괄적인 ‘표현’의 의미로 재해석한 관점을 참조한다. 흔히 서구 낭만주의의 ‘표현’ 개념이나 ‘예술’의 성격은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서정적 자아의 도취나 열광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해된 바 있다. 그러나 미학적 관점을 넘어 근대적 자아가 태동하는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자기표현’은, 계몽주의적 접근의 기계적이고 차가운 시선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것과 다르게 세계의 ‘내적’ 속성을 파악하고 싶은 인간의 실존적 욕구를 포함하는 폭넓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때의 자기표현은 더 이상 세계에서 ‘주어진’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을 수 없는 근대의 인식적 조건에 놓인 자아가 다시 세계와 맺는 내적 관계를 ‘언어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은 예술가를 영웅시하는 입장에서 조망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실존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근대인에게 원칙적으로 ‘모두’ 접근 가능한 것, 그러나 ‘일인칭적’으로 자연과 세계를 만날 때에만 고유한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표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각자가 생성하는 의미는 모두 다를지라도, 기계적으로 파악되는 경험의 한계를 인식하고 정신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존엄한 삶을 위해 자신의 감각과 내면에 집중하여 인간다움을 형성하려는 공통의 형식적 구심점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아와 세계가 맺는 관계에 주목하는 ‘자기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는, 세계에 대한 내적 앎을 명료화(articulation)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를 평평하지 않은 존엄한 삶으로 이끄는지에 대한 통찰은 주지만,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어떻게 우리 자신을 인간다운 인간으로 존중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말해줄 수 있는 바는 많지 않다. 그리하여 둘째, 표현이 물리적인 기호를 의미화하는 운동적 ‘수행’이자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메를로-퐁티의 ‘표현’에 관한 관점을 포괄한다. ‘표현’이 전개되는 ‘현상’에서 우리는 타자 및 세계와 서로 ‘지각되고 지각하는’ 역동적인 관계로 엮이는 것으로 포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착은 현존하는 타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자기존중을 함양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 한 가지 그림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예술언어를 발생시키는 우리의 존재방식 역시 실존적으로 세계 및 타인과의 관계에 놓이게 되며, 서로가 서로를 ‘지각하면서 지각되어지는’ 관계에서 우리는 감각적이고 지각적인 방식으로 상호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을 ‘자기형성적 표현(self-forming expression)’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한다. ‘자기형성적 표현’은 한편으로는 일인칭적으로 세계를 만나는 내밀한 자기인식(self-knowledge)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의 성격을 가지지만, 여기에 함몰되지 않고 그것을 가시화하여 표현할 때에는 소통적인 ‘언어’로 발원함으로써 세계 및 타인과 실존적으로 연결되는 성격을 가진다. 여기서 지각할 수 있는 언어 본연의 발생적 차원은, 교과의 ‘언어’가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고정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관습적 사고를 재고하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그것이 발화되는 순간 의미를 전달하며 자신의 존재를 망각하게 하지만, ‘예술언어’는 질료 및 표현 방식과 분리해서 생성될 수 없는 의미를 지니며, 감상자가 접근하여 그 대상을 이해하려할 때 비로소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교육 공간에서 ‘자기형성적 표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의 특성을 다음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한다. 첫째, 서로의 ‘표현’을 제시하며 지각적인 방식으로 자신과 타인의 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됨으로써 ‘수평적’ 차원에서 인간 공통의 감각을 가진 자신의 몸을 신뢰하게 된다. 둘째, 자신의 감각과 지각에 근거하여 교과 및 전통으로부터 내려오는 교육 텍스트의 ‘언어’를 생생하게 만남으로써 ‘수직적’ 차원에서 인간 집단에 속하는 실존적 감각을 두텁게 하게 된다. 결국 자기존중의 형성을 위해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 ‘예술언어’를 생성하는 것이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자연과 세계를 표현하는 인간의 다양한 교육적 ‘언어'를 자신의 감각과 판단에 의해 해석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여기서 문화적 감수성은 세계를 표현하는 '언어'를 이미 주어진 방식이 아닌 자신의 감각과 지각으로 다가가 이해하고, 그로부터 이 세계와 관계 맺는 나를 인식하는 것, 나아가 다른 인간의 표현으로부터 그들이 이해하는 세계가 무엇인지 짐작하고 소통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예술언어가 수행되는 현상에서 한 사람의 ’내면‘과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교육적 차원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은, '왜 미적 인간이 더 나은 공동체의 존재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조화로운 인격의 함양을 통해 접근하려는 그간의 도덕교육적 시도와는 달리, '개인'의 형성과 '사회적 인정의 관계망' 사이의 내적 연관성을 해명하려는 정치적·실존적 교육접근의 시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경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elucidating effects that self-expression training has o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The following hypothesi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is study regarding specific effects of the training.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self-expression training will show a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mediately following the trai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raining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2. Total score for self-efficacy will improv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its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which are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 -difficulty, and the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The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5th and 6th graders from N and D elementary schools in H district, South Gyeongsang province, who are from broken homes. A total of twenty children who scored low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s were selected, ten from each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The children from N elementary school were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ose from D elementary school formed the control group.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administered in this study is a restructured version of the program used by Sung-hyun Lee (1997). The new version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in order to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developed by Sun-mo Moon (1980) who adopted and modified Gurney's (1977) relationship change scale was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s for self-efficacy, test used by Hye-jin Han (2002) was adopted. In measur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right after the training sessions, and at 8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Data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bjected to ANOVA using SPSS and Kwakstat (Ho-wan Kwak, 1993) programs for Window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present study. First,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children from broken homes, but its effect did not last up to 8 weeks. Second,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self-efficacy, and its effect lasted up to 8 weeks. Third, among the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fidence, and its effect was lasting. Self-expression training, however, did not improve self -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difficulty.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wenty 5th and 6th grade broken home children from N and D elementary schools in H district,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re exist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to all broken home children. Thus,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broken home children, it is imperative to develop more and varied training programs in future.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대인 관계가 개선될 것이고, 그 훈련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가설 2.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기효능감 총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며,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 될 것이다. 가설 3.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기 효능감 하위영역별(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점수가 의 미 있게 향상될 것이고,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본 연구는 H군 소재 N·D초등학교의 5~6학년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검사와 대인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점수와 대인관계 점수가 낮은 아동을 N·D초등학교 별로 10명씩 표집하여 N초등학교 아동을 훈련집단으로, D초등학교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이성현(1997)의 자기표현훈련 을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총 12회기의 과정으로 재구성하였다.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Guerney(1977)의 관계 변화 척도를 문선모(1980)가 번안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한혜진(2002)이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해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및 지속검사 간의 자료를 Windows용 SPSS와 Kwakstat(곽호완, 1993) 프로그램으로 변량분석(ANOVA)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8주 후까지 그 효과는 지속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8주 동안 지속되었다. 셋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그러나 본 훈련은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경상남도 H군 소재 N·D초등학교 5-6학년 결손가정 아동 20명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전체 결손가정 아동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선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 of Single-parent Family Children. Subjects were 12 third- to fourth-grade children who had shown low expression and deficient social skill in Seoul. 6 of the 12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therapy program, while the other 6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no treatment. The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80 minutes per session, and once or twice a week from December 20, 2017 to February 7, 2018. Self-expression ability scale (Byeon & Kim, 1980) and social skill scale (Moon, 2013) were used for pre- and post-test. Based on the dat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before the program,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after the program using SPSS 21.0.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nge processes in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 during the therapy progra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d that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is social skill improvement program which allows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hav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adjust to society.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의 J아동센터와 인근의 H아동센터에 다니는 초등학생 중 2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아동들로 자기표현이 적고 사회적 기술이 낮은 아동 12명으로 각 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의 학생에게는 2017년 12월 20일부터 2018년 2월 7일까지 주 1-2회 80분씩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사전, 사후 검사로는 Rakos와 Schroeder(1979)의 연구를 바탕으로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재구성한 자기표현 능력 척도와 Gresham과 Elliott(1990)의 연구를 바탕으로 문성원(2013)이 사회적 특성에 맞게 번안 적용한 사회적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가지고, 프로그램 실시 전 맨-휘트니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프로그램을 실시 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ngned-rank test)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드러난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한부모가정 아동들이 솔직하게 자기를 표현함으로써 아동기의 심리적 안정감을 갖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사회 적응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자기표현훈련이 여중생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선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이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집단원들이 자신들의 생활장면으로 돌아간 추후에도 계속 유지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일선학교에서 실시되는 인성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며, 실생활에서 자기표현을 분명히 하여봄으로써 대인관계에서 불안을 느끼지 않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는 통제집단의 대인관계점수보다 높아질 것이다. <가설2>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는 일정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가설3>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불안점수는 통제집단의 불안점수보다 낮아질 것이다. <가설4>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불안점수는 일정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S여중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에 참여하고자하는 학생들 중에서 28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기초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4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자기표현훈련프로그램은 변창진, 김성회(1980)가 개발한 자기표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대인관계 검사로 본 연구에 사용된 대인관계 측정도구는 Schlein과 Guerney(1971)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우리 실정에 맞게 이형득과 문선모(1982)가 번안한 대인관계 변화척도이다. 불안 측정 도구는 Spielberger와 공동 연구자들(1970)에 의해 개발된 상태·특성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를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1993)이 한국어판 척도로 표준화 한 것이다. 대인관계와 불안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전, 사후, 추후 검사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분석을 위해 SPSS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은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검증하려고 하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1>의 결과를 보면 대인관계 점수는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7.6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대인관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가설2>의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의 사전-사후검사는 7.6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사후-추후 검사에서는 6.36의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에서 사전-추후의 검사결과 14의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집단은 추후에도 대인관계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설3>의 결과를 보면 불안점수는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16.1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가설4>의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불안점수의 사전-사후검사는 16.1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사후-추후 검사에서는 11.43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에서 사전-추후의 검사결과 27.57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집단은 추후에도 불안감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첫째, 자기표현훈련이 여중생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매우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비록 짧은 기간 내에 소수의 인원을 상대로 한 결과이므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되겠지만, 불안으로 인해 방어기제 수준이 높아져서 대인관계나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학업성취에 방해를 받게되는 학생들에게 자기표현훈련을 통하여 개인적인 위기의 순간들을 긍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통하여 대인관계와 불안의 수준은 일상생활에 돌아가 일정한 기간이 지나도 지속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단지 지적인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훈습을 통하여 점차 자신의 행위를 알아차리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갖게 해준다. 집단원들의 피이드 백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을 다시 둘러보는 계기가 되므로, 본 훈련을 학교에서의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채택함으로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순간순간의 관계를 서로가 도와준다면 대인관계와 불안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relationship and anxiety and to find if the effects are continued after the program. Also, it is to help the school which is doing humanistic education and not to feel anxiety in relationships as expressing their opinions. To bring about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evious study results. <Hypothesis I> The change of relationship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significan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II> The effects of relationship chang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continued. <Hypothesis III> The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reduced significan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IV> The effects of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continued.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28 students (from 1st grade of one S-girls' middle school in Su-won city, Gyonggi province) wanted to take part in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ere set up. There consisted of 14 studen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asing on the previous study.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reconstructed one by Byun Chang-Jin and Kim Sung-Hea. Schlein and Guerney's "Relationship Change Scale" used in the study was the relationship's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Lee Hyung-Deuk, Moon Sun-Mo(1982). Anxiety's measurement instrument reconstructed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 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co-workers(1970) that was standardized by Han Duk-woong, Lee Chang-Ho, Tak Jin-Guk(1993) in Korean. The relationship and anxiety's measurement instrument was used in pre and post treatment. Data analysis used SPSS computer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hypotheses verification used T-test.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difference between assertiveness training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level (7.64). Therefor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relationship. So the hypothesis I was affirmed by the probability of the above data. Second, relationship's pre and post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7.64 level), post-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6.36 level). As a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pre-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14 level). Therefo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in the group of assertiveness training was continued and the hypothesis II was affirmed. Third,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16.14 level) than in control group. This result was showed that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reduction of anxiety. So the hypothesis III was affirmed. Fourth, the pre and post treatment of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 (16.14 level) and post-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 (11.43 level). So to speak, pre and further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27.57 level). Therefore, reduction of anxiety in the group of assertiveness training was continued. So hypothesis IV was affirme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relationship and anxiety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홍현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Second,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whereas no significant or meaningful changes in the CG.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in the scores of ‘stress’ and ‘coping capacity’ in DAPR assessment. In other words, C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PR before/after. Fourth, this study indicated E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SEA, comparing 1st with 8th drawings after school art therapy s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N구의 위치한 사립 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고,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 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전·사후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투사적 그림검사로써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 빗속사람그림 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과 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이 아닌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교미술치료가 학교 체계에서 겪는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 Laban의 Effort요소를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김효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Laban의 Effort요소를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D구에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S구, G구에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3학년에서 5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게는 무용/동작심리치료를 처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개정판 아동 불안 척도(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자기표현 척도(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사용하였다. 무용/동작심리치료는 2018년 10월부터 주 2회, 7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전체 회기는 초기, 중기, 후기의 세 단계로 나눠진다. 초기단계에서는 원대형에서 움직임으로 타인과 상호작용 하며, 신체적·심리적 긴장을 완화하고 집단의 라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기 단계에서는 여덟 가지 Effort요소의 움직임을 경험함으로써 다양한 정서를 인식하도록 돕고 느껴진 정서를 움직임과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후기단계에서는 개인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습관화된 움직임 패턴에서 벗어나 움직임을 확장함으로써 새로운 정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새롭게 느껴진 정서에 대해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Laban의 Effort요소를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 자기표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Effort를 활용한 다양한 움직임 경험, 표현, 움직임의 확장이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언어적 매체인 움직임으로 자신의 생각과 정서 등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기표현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effects of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using Effort factors of Laban on depression, anxiety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from mun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20 3th and 5th graders attending in an elementary school,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ganized by international marriages, among children using local child centers located at G-gu and S-gu, and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t D-gu, Seoul-si. Each of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nsists of 10 children, respectively, and children in the former received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while those in the latter did not. The research tools include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and 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ABAS).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has been carried out for 70 minutes per a session, twice a week, during a total of 8 sessions, since October, 2018. The whole sess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early, middle and late stage. At the early stage, children were encouraged to form the rapport with the group, by interacting with others through circular movement and relaxing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tension. At the middle stage, they attempted to recognize and express their emotions derived from experiences of 8 Effort factors, through movement and images. At the late stage, they were allowed to extend their movement by perceiving individual movement patterns and escaping from habituated movement patterns and recognize and express emotions they newly felt. Before the start and after the end of the whole program, a pre-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using Effort factors of Laban has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xiety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it can be interpreted that a variety of movement experience, expression and extension using Effort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promotion of self-expression, by encouraging them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movement, a kind of nonverbal intervention.

      •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구본화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self-expression 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difference does self-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show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s? Second, what difference does self-esteem of children show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Third, what difference does school adjustments of children show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Fourth, what correlation does self-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have with school adjustments? The study sampled 503 students in 4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Pocheon, Gyeonggi-do and excluded 73 that were not effective so total of 430 students were analyzed. As for the analysis tools, the study used self-expression(contents element, voice element, nonverbal elements) inventory, self-esteem(self-abase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self-confidence in life) inventory and school adjustments(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peers, class) inventory. The study carried out t-test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s by gender and grade. As for the correlation among self-expression 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s, the study produced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arried out multi-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ir effect. Through these analyses,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y,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s in content element, voice element and nonverbal element than male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y grad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elf-esteem by gender and grade. Third, the analysis on school adjustmen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adjusted to school life better than male students and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relationship with teacher so it can be seen that female students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an male students. As for the difference by grade. 4th graders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chool adjustments than 6th graders. Fourth,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howing that high self-expression ability means high self-esteem. Also, self-expression ability explained 33.9% of self-esteem variables, and the sub-elements of self-expression ability showed positive effect in the declining order of non-verbal elements, contents element and voice element.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when children make a good use of nonverbal expressions such as gestures, they have lower self-abasement level, better relationship with others, higher popularity and leadership and higher self-confidence in their life. Fifth, self-expression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o when students have high self-expression ability, they show better school adjustments. Also, self-expression ability explained 16.0% of school adjustments variables and the positive effect of sub-elements inclined in the order of nonverbal element, contents element and voice elem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en students deliver their words clearly and make a good use of voice expressions and nonverbal expressions such as gestures, they show better school adjustments and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The study suggests that self-expression ability is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successful personal relationship in one's childhood and also after childhood. Since the ability to deliver and express one's ideas and feelings clearly have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s, i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in school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schools need to teach students how to express oneself with nonverbal expression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at school and as school is a place where students for their self-esteem.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study was meaningful for it showed that schools should instruct the students how to express one's ideas and opinions logically and how to listen to others' ideas and opinions with interests. Also, the study suggested the needs for programs that can improve children's self-expression ability.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은 성별,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성별,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 셋째,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정도는 성별,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 넷째,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은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상관성을 보이며 영향을 줄 것인가? 다섯째,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은 학교생활 적응과 어떠한 상관성을 보이며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 포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은 포천시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 2개교를 임의 표집하였으며, 표집 인원은 총 503명이었다. 그 중에서 자료수집에 필요한 응답을 충실하게 하지 못한 대상자 73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통계적 분석에 사용한 대상자는 430명(4학년 205명, 6학년 225명, 남210명, 여220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자기표현(내용 요소, 음성 요소, 비언어적 요소)검사지, 자아존중감(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생활에 대한 자신감)검사지, 학교생활 적응(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dows 11.0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통계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기표현 능력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서 적률상관계수(r)를 구하였으며, 이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자기표현 능력 수준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성별로는 여학생(M=3.95)이 남학생(M=3.77)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t=-3.348, p<.01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변인별로는 내용 요소, 음성 요소, 비언어적 요소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전달하고 음성적인 표현도 명확하게 잘 하며, 손발의 움직임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6학년에 비해 자기표현 능력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학년에 따른 자기표현 능력의 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 학년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수준을 알아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자아존중감은 비슷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자아존중감 수준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하위 변인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 수준을 알아본 결과 여학생(M=3.26)이 남학생(M=3.15)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1.969, p<.05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위 변인 중 교사와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함을 알 수 있었다. 학년별로 살펴본 학교생활 적응 수준에서는 전체적으로는 4학년이 6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교사와의 관계에서 4학년(M=3.21)이 6학년(M=3.06)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177, p<.05)를 보였다. 학교수업에서도 4학년(M=3.35)이 6학년(M=3.16)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2.787, p<.01)를 보였다. 따라서 4학년이 6학년에 비하여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며 학교수업에 대한 적응도 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기표현 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적 상관(r=.580, p<.001)을 보여 자기표현 능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변인별로는 비언어적 요소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527, p<.001), 다음으로 내용 요소(r=.488, p<.001), 음성 요소(r=.459, p<.001)와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표현 내용과 음성, 그리고 비언어적 표현 등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잘 표현할수록 자기비하적이지 않으며, 타인과의 관계도 좋고, 지도력과 인기, 그리고 자기생활에 대한 자신감 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자기표현력 능력은 자아존중감 변인을 33.9%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자기표현능력 중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비언어적 요소(β=.299 t=5.525, p<.001), 내용 요소(β=.247, t=5.033, p<.001), 음성 요소 (β=.143, t=2.727, p<.01)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아존중감 하위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표현능력 변인 중 내용 요소(β=.332, t=6.682, p<.001)와 비언어적 요소(β=.273, t=4.985, p<.001)가 자기비하 변인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요소 변인(β=.208, t=3.310, p<.01)만이 타인관계 변인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성 요소(β=.231, t=4.201, p<.001), 비언어적 요소(β=.228, t=3.867, p<.001), 내용 요소(β=.174, t=2.758, p<.01) 순으로 학생 지도력과 인기 변인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언어적 요소(β=.234, t=4.224, p<.001)와 내용 요소(β=.238, t=3.954, p<.001) 변인이 자기생활에 대한 자신감 변인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손이나 몸짓 등을 사용한 비언어적 표현을 잘 할수록 자기비하적이지 않으며,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하고 지도력과 인기가 있으며, 자기 생활에 대한 자신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자기표현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인 자기표현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07, p<.001)를 보였는데 음성 요소(r=.357, p<.001), 비언어적 요소(r=.344, p<.001), 내용 요소(r=.329, p<.001)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기표현 내용과 음성, 그리고 비언어적 표현 등을 명확하게 잘 할수록 교사와 교우와의 관계가 좋으며 학교수업 적응도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자기표현 능력은 학교생활 적응 변인을 16.0%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표현 능력 변인 중 음성 요소(β=.191, t=3.231, p<.01), 내용 요소(β=.153, t=2.777, p<.01), 비언어적 요소(β=.138, t=2.263, p<.05)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학교생활 적응의 하위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표현 능력 변인 중 내용 요소 변인만이 교사관계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β=.122, t=2.061, p<.05)을, 음성 요소(β=.178, t=2.947, p<.01)와 비언어적 요소(β=.154, t=2.472, p<.05)가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수업에 대해서는 음성 요소(β=.188, t=3.212, p<.01), 내용 요소(β=.165, t=3.011, p<.01), 비언어적 요소(β=.145, t=2.396, p<.05) 순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잘 전달하고, 음성적 표현과 손 발짓, 몸짓 등을 사용한 비언어적 표현을 잘 할수록 학교수업에 잘 적응하며, 교사와의 관계와 교우관계가 원만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는 자기표현 능력은 아동기뿐만 아니라 이후의 삶속에서도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맺기 위한 필수 요건이며, 자신의 의사 및 감정을 솔직하고 바람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학교현장에 미치는 시사점이 크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며 대부분의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에게 있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언어나 비언어적 표현 방법으로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조리 있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의견도 관심 있게 듣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며,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감소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전은희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여건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 사이에는 발표불안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 사이에는 자기효능감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의 D구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명으로 각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정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에게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11월부터 총 10회기로 주 1~2회씩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Rakos와 Schroeder가 Ellis와 Bandura의 모방 학습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작한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하여 유태영(2001)이 제작한 것을 초등학교 5학년 수준과 연구 목적에 맞도록 재구성한 것을(박재영, 2006)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유의한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 느낌, 감정 등을 적절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함으로써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림동화 또래 함께 읽기 독서 지도전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다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그림동화 책 또래 함께 읽어주기 독서 지도법을 구안하여 현장에 적용해보고 개발한 독서 지도 방안이 초등학교 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에서 자기표현력 신장 수업 매체로써 그림동화 책은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지니는가? 연구문제 2. 그림동화 또래 함께 읽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 2.와 같이 그림동화 책을 또래가 함께 읽는 독서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자기표현력 신장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군산시 G초등학교 2학년 학생 남학생 9명 여학생 7명 총 16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실험설계, 그림동화 목록 선정, 자기표현력 검사 도구 개발,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 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이루어졌다. 그림동화 또래 함께 읽기 독서 교육이 학생들의 자기표현력 신장에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자기표현력 검사 도구는 Rokos와 Schroeder(1979)가 개발한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 문화 수준에 맞게 번안한 질문지를 연구자가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기표현 검사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표현을 능력이 높음을 의미하고 점수가 낮을수록 자기표현 능력이 낮음을 의미한다.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은 jamovi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통계측정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실행 중점에 따른 실천결과 O₁ < O₂를 기대한다. 또한 통계의 유의미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매회 수업 이후 학생 개개인별 자기 체크리스트(내용/음성/신체 언어 영역 기술)와 9회 차 모든 계획했던 수업이 마무리 된 후 학생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의 반응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자기표현력 사전 검사보다 프로그램 투입 후 자기표현력 사후 검사의 평균이 높았으며 신체 언어 영역을 제외한 자기표현력 내용영역과 음성영역에서의 표준편차도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내었다. 그림동화 또래 함께 읽기 독서 수업의 친구에게 책 읽어주기 활동, 친구가 들려주는 책 이야기 듣기 활동, 친구의 질문 듣고 답하기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며 적극적 들어주기 태도를 함양하였으며, 또한 모둠 내에서 자기표현력이 우수한 또래들과 9주 동안 매주 2차시 꾸준히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능력을 자연스럽게 연습하고 습득하였다. 이러한 그림책 또래 함께 읽기 독서 수업에 대한 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들은 그림동화 책에 대한 흥미, 책 읽어주기에 대한 자신감,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나누는 의사소통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시기에 또래와 함께 그림동화를 읽는 활동은 자기표현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림동화 또래 함께 읽기 독서 지도 활동이 학생의 자기표현력 신장에 효과 있는 활동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또래 함께 읽기 독서 지도 전략은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독서 지도 방안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