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자기점검법의 활용이 시작장애 유아의 미술활동 수행과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시각장애 유아는 지적인 능력이 일반적인 수준에서 지체를 보이지 않아도 무의식적으로 몸을 흔들거나 책상을 두드리는 등의 유치부 활동에 방해가 되는 부정적인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행동들은 교사의 지시나 지도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행동이 중지되기는 하나 유지 시간이 짧고 다시 반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대상유아들은 이러한 부적절한 행동을 통해 자신의 과제 수행과 동료 유아들의 수업 활동에 방해를 미치게 됨은 물론 수업활동 중에 필요한 주의집중 행동 및 과제 수행 행동의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을 조기에 적절하게 교정해 주지 않으면 부적절한 행동 양식을 습관화하게 되어 시각장애 유아들의 원만한 학교생활 태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합을 방해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장애 유아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은 그들이 스스로 외부의 통제에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행동을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점검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부 활동 중에 여러 형태의 방해 행동을 보이는 시각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방해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과제 수행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울러 자기점검법의 중재 결과로 변화된 행동이 유지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미술 활동 시간 중에 자신의 과제 수행을 방해하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세 명의 시각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자기 점검법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전맹, 또는 저시력을 가진 시각장애 유아 중 인지적인 결함은 거의 보이지 않으나 부적절한 행동양식을 보이고 미술활동 중 방해행동을 빈번하게 나타내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유부의 3명의 시각장애 유아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자기점검법 중재는 유아들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소 근육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자기 점검법의 절차에는 대상 유아가 자신의 행동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시각장애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기록과 자기그래프 작성 방법을 특별하게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유아 모두 자기 점검법을 통하여 미술활동 시간에 보이던 방해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대상 유아 모두 자기 점검법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이 향상되었다 셋째, 유지검사에서 대상 유아 모두 중재시의 행동변화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종합하여 볼 때 자기 점검법의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수업 중에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시각장애 유아들의 방해 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효과적이며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disturbance behavior and on-task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ly impairment In this study, there young children with visually impairment were selected from kindergarden of special school, who had inattention and external control problem.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ir percentage of on-task behavior were increased, and percentage of disturbance behavior were decreas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young children were trained to use self-monitoring techniques.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4 weeks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1. Self-monitoring decreased the young children disturbance behavior during art class 2. Self-monitoring of att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n-task behavior during art class 3. Increased level of on-task behavior and decreased level of disturbance behavior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can learn self-monitoring techniques and treat self-monitoring alone can be successfully used a powerful intervention technique on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to manage on-task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in preschool settings It is relatively simple to implement, quickly reaches the point at which it requires little supervision time and can be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become more successful and independent in their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And self-monitoring is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attention across a variety of tasks, behaviors children and environments.

      • 자기점검법이 청각장애 유아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현노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청각장애 유아는 언어의 잠재능력은 가지고 태어나지만, 청각적 손실로 인해 청각적 자극의 투입양이 부족하여, 말-언어 발달에 치명적인 제한을 받게 된다. 청각장애 유아들은 일반유아보다 청각 외에 다른 감각기관에 더 많이 의존하며, 언어적 수단과 비언어적 수단 중에서는 제스쳐, 표정, 수화와 같은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일반유아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청각장애 유아의 제한된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은 부모와의 유대감 형성을 방해하고, 원만한 대인관계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방해한다. 청각장애 유아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계속된 실패로 인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언어적 의사소통을 포기하기가 쉽다. 따라서 교사는 의사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아가 의사표현의 욕구를 갖도록 유도하면서 말뿐만 아니라 소리, 몸짓, 표정, 지시까지도 하나의 의사표현 방법으로 수용하고, 의사표현 하려는 시도로서 격려해주어야 한다. 동시에 교사는 유아가 적극적으로 음성 언어를 통해 의사표현을 하도록 유아의 비음성적 의사표현에 대한 적절한 음성언어 사용의 모델을 제공하면서 유아가 자신의 언어 행동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인의 책임감과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독립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 관리하도록 돕는 자기점검법이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자기점검법을 사용한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연령의 다양한 장애학생들에게 실시되었고 다양한 목표행동들에게 중재 기법으로 적용되었다. 자기점검법에 관한 연구들 중에서는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는데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주로 과제수행 행동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반면에 자기점검법에 관한 연구들 중에 청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며 특히 청각장애 유아의 말(speech)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점검법이 청각장애 유아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중재 회기 동안 간헐적으로 다른 수업 상황(탐구 활동)으로 중재의 효과가 일반화되는지, 그리고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증가한 행동 변화가 유지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의 청각장애 유아 3명으로 대상자들 모두 지능 발달이 정상이고, 조음기관에 이상이 없으며, 집중적인 언어 교수 상황에서는 발어를 할 수 있으나, 자발적인 말의 사용은 매우 제한되어 있는 유아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및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 대상유아들은 자신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에 대한 자기점검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자기점검법 중재는 교사와 유아가 글자없는 그림책을 보면서 이야기 나누는 과제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기점검법 절차에는 유아가 자신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자기진단과 자신의 말 행동을 기록하는 자기기록과 자기 그래프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정기적으로 자신의 말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촉각적 단서가 제공되었는데, 그 단서로서는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고 유아들이 거부감 없이 호기심을 갖는 핸드폰을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촉각적 진동을 제공하였다. 유아가 이야기를 하는 동안 1분 간격의 촉각적 단서가 주어지고 그 때마다 자기점검 기록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평가자료는 촉각적 진동이나 자기점검 기록지, 자기점검 그래프 용지의 제시 없이 수집되었다. 대상 유아들의 목표행동 발생율이 3회기 연속 70% 이상으로 나타나면 중재를 종료하였다. 일반화 자료는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별로 각 단계의 25% 범위 안에서 수집되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초선 단계에서 일반화 자료를 1번 수집하였고, 중재 단계에서는 4회기마다 1번씩 수집하였으며, 유지 단계의 4회기 동안 3번 수집하였다. 일반화 자료는 상황 일반화를 보기 위하여 언어적 표현보다는 관찰, 조작활동 위주로 구성된 탐구활동 시간에 수집되었다. 유지 단계에서는 중재가 종료한 지 4주 후에 총 4회기 동안 아무런 단서가 없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유아들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율을 측정,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 유아들 모두에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 유아들 모두에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증가된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율이 탐구 영역의 수업 상황에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대상 유아들 모두에서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증가된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율이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점검법은 집중적인 교수 상황에서는 자발적인 발화를 할 수 있으나, 자연적인 상황에서는 자발적인 의사표현이 제한되어 있는 청각장애 유아들의 자발적인 말시작 행동의 발생율을 증가시키고, 중재 외 다른 상황으로 행동 변화의 수준을 일반화시키며, 중재 종결된 후에도 그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preschoolers. In this study, three hearing- impaired preschoolers were selected from special school for the deaf who could vocalize and speech in the concentrative instruction settings, but didn't spontaneously utilize speech as a means of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their percentage of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were increased by self-monitoring intervention.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children were trained to assess whether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was occurred or not, and then record their own behavior's occurrence on the self-recording sheets, and self-graphing sheets. Generalization probe data also was observed, and measured in the natural instruction settings(cognitive activities).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after four weeks since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serv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elf-monitor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occurrence of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2. Increased level of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were generalized into another natural instruction settings(cognitive settings). 3. Increased level of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were maintained after four weeks sinc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aring- impaired preschoolers can learn self-monitoring techniques and that self-monitoring alone can be successfully used as a powerful intervention technique on the hearing- impaired preschoolers to increase their spontaneously initiating speech behavior in kindergarten settings. It is relatively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and can be effective in helping the hearing- impaired preschoolers impairment to manage their own speech independently in their classroom and communicate with peers, teachers, and family more actively in everyday life. And self-monitoring is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a variety of speech behavior across a variety of tasks, children, environments.

      • 자기점검법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

        류미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study focuses on uncovering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strategies on-task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math subject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Furthermore, it has been observed if the attained, changed behaviors still stay effective three weeks after having trained students with the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ho study in normal classes and have an external locus of control with low level of task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math. They are in the third, fifth, and sixth grade,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are the baseline, the interventions, and the maintenance examination employed through the multiple-baseline design. Twenty four times of interventions have been performed and operated for eight weeks. The interventions consisted of training period and observation perio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he subjects were trained with attention-self monitoring strategies together with performance-self monitoring strategies. During the observation session, they were assigned with the tasks of writing and drawing the attention-self monitoring sheets and graphs, the tasks of writing and drawing the performance-self monitoring sheets and graphs and with reconstructed math task sheets while they were provided with the only tip of a bell sound. Despite several interventions, there has been a low level of improvement. Therefore, there has been a slight change made on the condition of the interventions by narrowing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a teacher and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ask performance of math by the subjects has increased through self-monitoring strategies. Second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rate in the completion of the task by the subjects. Thirdly, there has showed enhanced accuracy in math task. Fourth, there has found a high level of task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the maintenance examination. Lastly, the effect of the self-monitoring strategies proved much higher if there narrowed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a teacher and the students. To sum up, when self-monitoring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ho suffer from ADHD and have an external locus of control, their task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has developed significantly and the effects maintained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s. Although self-monitoring strategies considered meaningful when it is directed by students themselves without any supervision or instructions from a teacher,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effects of the strategies when there was intentionally a shorter distanc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compared with that there was not. As a result, from the fact that self-monitoring strategies can act effectiv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enhance the motiv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strategies can also be effective in integrated classes. 본 연구에서는 경도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관리법 중의 하나인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훈련한 후 이 기법이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중재가 종결된 3주 후에도 획득된 행동 변화가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 3, 5, 6학년으로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학급에 재학 중이면서 높은 외부 의존성을 보이고, 낮은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보이는 경도정신지체 학생 3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서 기초선, 중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주 3회 24회에 걸쳐 훈련과 관찰기간으로 나누었으며, 훈련기간 동안에 대상학생들은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함께 훈련받았다. 관찰기간 동안에는 주의집중-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주의집중-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 수행-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수행-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와 청각적인 단서인 벨소리만 들으면서 재구성된 수학자율 과제지를 풀었다. 그러나 중재를 몇 회기 실시하는 동안 향상율이 낮아 교사가 학생과 자리의 위치를 가깝게 하는 중재의 조건을 조금 변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수행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완수율이 향상되었다. 셋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정확율이 향상되었다. 넷째, 유지검사에서 대상학생 모두 높은 수준의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나타내었으며, 다섯째, 교사(보조자)가 공간적인 거리를 가깝게 할 때 자기점검법의 효과는 휠씬 더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주의력 결핍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외부에 의존성이 높은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자기점검법을 사용하였을 때, 과제수행 행동과 성취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중재의 종결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자기점검법이 교사의 감독이나 지시없이 스스로 행하는 것에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이지만 교사(보조자)가 조금 더 의도적으로 위치를 가까이 해주었을 때 똑같은 중재 상황이라도 결과는 많이 향상되었다. 자기점검법이 짧은 시간 내 효과를 볼 수 있고, 자신에게 동기와 책임감을 높인다는 점은 통합학급에서도 활용하여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자기점검법이 초등학교 자폐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

        노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자폐 학생들은 그들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과제를 수행할 때에도 짧은 주의집중력과 높은 외부 의존성을 나타내곤 한다. 이러한 자폐 학생들의 주의력 결핍과 높은 외부 의존성은 학습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되어서 성공적인 학교 생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방해할 것이다. 따라서 자폐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 있는 다양한 삶의 공간에서 가능한 한 생산적이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인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여서 장애학생이 오랫동안 보조자 없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자기관리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자폐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의 향상을 목적으로 자기관리법 중의 하나인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훈련한 후 이것이 학생의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고, 중재가 종결 된 3주 후에도 획득된 행동 변화가 유지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학생은 주의력 결핍과 높은 외부 의존성의 문제를 보여 낮은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보이며, 시간제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세 명의 초등학교 자폐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서 기초선, 중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벨소리를 제공하였지만 벨소리에 대한 어떠한 중재도 제공하지 않았다. 중재는 훈련과 관찰 기간으로 나누어 졌으며, 훈련기간 동안에 대상학생들은 주의집중-자기점검법과 수행-자기점검법을 함께 훈련받았다. 관찰기간 동안에는 주의집중-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주의집중-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 수행 자기점검 기록지 기록, 수행-자기점검 그래프 그리기 활동 즉, 자기기록 요소들을 제외하고, 청각적인 단서인 벨소리만 들으며 수학 자율학습 과제를 풀었다. 그리고 관찰 기간에 과제수행 행동 혹은 과제 완수율이 90% 이상으로 연속 4회기 동안 지속되면 벨소리를 소거시켰다. 또한 벨소리가 소거된 관찰기간에 대상학생이 과제수행 행동 혹은 과제 완수율이 90% 이상으로 연속 4회기 동안 지속되면 중재를 종료하였다.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에 총 4회기 동안 벨소리가 소거된 상태에서 유지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수행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완수율이 향상되었다. 셋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정확율이 향상되었다. 넷째, 유지검사에서 대상학생 모두 높은 수준의 수학과제 수행행동과 성취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점검법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자폐 학생들의 수학과제 수행행동 및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고,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on attention and tas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utism. In this study, three students with autism were selected from self-contained classroom who had inattention and external control problem.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ir percentage of on-task behavior, percentage of completed, correct problems of math task were increas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students were trained to use two self-monitoring techniques: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self - monitoring of performance for the independent seatwork.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3 weeks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n-task behavior. 2.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ompleted problems of math task. 3. Self-monitoring of both attention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orrect problems of math task. 4. Increased level of on-task and task achievement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autism can learn self-monitoring techniques and that self-monitoring alone can be successfully used a powerful intervention technique on students with autism to manage on-task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independently in school settings. It is relatively simple to implement, quickly reaches the point at which it requires little supervision time, and can b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become more successful and independent in their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And self-monitoring is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 - monitoring on attention and achievement across a variety of tasks, behaviors, children and environments.

      • 자기점검법이 ADHD 아동의 학습태도와 수학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안재영 인제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관리법 중의 하나인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습태도 및 수학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재가 종결된 6주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점검이 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아동의 자기점검과 교사점검의 일치율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AB설계법을 사용하였고 대상 아동은 초등 4학년 2명, 5학년 1명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남학생으로 특수학급에 소속되어 시간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수학과제 수행율이 낮은 아동들이었다. 각 아동들은 개별지도를 받았으며 과제수행 장소는 시간제 특수학급과 본 연구자의 교실에서 방과 후에 주 3회 실시되었다. 대상아동들은 기초선 3회, 중재 18회, 유지검사 3회 실시되었고 중재기간동안 과제수행행동 자기점검 기록, 자신이 푼 문항 수 및 맞은 수 기록, 그래프 그리고 색칠하기의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완수율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수학과제 정확율이 향상되었다. 셋째, 대상학생 모두 자기점검법을 통하여 학습태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수학과의 수와 연산영역에 국한하여 자기점검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자기 점검법이 짧은 시간 내에 효과를 볼 수 있고 자신에게 동기와 성취감을 높인다는 점은 ADHD 아동들의 학습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이 지적장애학생의 독립적 과제수행행동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평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이 지적장애학생의 독립적 과제수행행동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실험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사용은 자율학습 시간 동안에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수행행동을 변화시키는가? 둘째,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사용은 자율학습 시간 동안에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의 성취를 변화시키는가? 1)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사용은 자율학습 시간 동안에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완수율을 변화시키는가? 2)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사용은 자율학습 시간 동안에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정확률을 변화시키는가? 셋째,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사용으로 변화된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수행행동 및 성취 수준은 중재가 종결된 3주 후에도 유지될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의 해결하기 위하여 C도 C시에 소재하는 3개의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 중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도가 낮고 의존적인 학습태도를 보이는 지적장애 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의집중 자기점검법 훈련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기간, 주의집중 자기점점법을 사용한 중재 기간, 유지 기간의 순으로 독립적 과제수행행동과 성취결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독립적 과제는 각 대상학생들의 현행수준에 적합하며 숙달을 필요로 하는 수학 문제를 활용하였으며, 10분의 관찰시간을 60구간으로 나눈 시간표집법을 활용하여 과제수행행동과 과제 완수율 및 정확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을 사용한 대상학생 모두 기초선에 비해 독립적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은 혼자 해야 하는 독립적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이 취약하고 외부의존성 경향이 높은 지적장애학생의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대상학생마다 차이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성취, 즉 과제 완수율과 정확률이 향상되었다. 셋째, 독립적 과제수행행동과 성취에 미친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의 효과는 중재가 종결된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은 지적장애학생들의 독립적 과제수행행동과 성취의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서도 독립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주의집중도가 낮고 외부 의존적인 학습태도를 보이는 지적장애학생의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의집중 자기점검법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 자기점검법이 정신지체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상훈 全南大學校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자기점검법을 활용한 중재가 정신지체 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그리고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며,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정신지체 학생 3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자기점검 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대상설계에서 AB설계를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중재는 15 회기로 구성되었고 자기점검 검목표는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재기간 동안에 연구 참여자의 일상생활기술이 증가되었고, 중재가 마친 후에도 그 기술이 유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daily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articipants were two elementary and on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t a child welfare institution. AD design was used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on daily living skills. Intervention consisted of 15 sessions and self-monitoring checklist was comprised of 12 ques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daily living skills were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sessions and such skills were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 자기점검법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은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는 자기점검법이 수업시간에 문제행동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만 11세로 사회연령이 10세 1개월이며 수업시간 중에 문제행동을 보이는 1명의 자폐성 장애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훈련은 문제행동 인식 및 변별 단계, 자기점검법 훈련 단계(기술 적용 단계), 독립적인 자기점검법 단계 순으로 나누어 6주 동안 매주 5회, 총 30회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첫 회기는 20분 동안 자기점검법 훈련만 실시하고, 중재 2회기부터 매 회 관찰 20분 후 훈련 20분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종료 2주 후에 4회기의 유지검사를 실시하여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낙서하기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점검법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손바라보기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셋째, 자기점검법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부적절웃음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넷째, 자기점검법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감소된 세 가지 문제행동 발생률은 연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기점검법 훈련은 수업시간에 문제행동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who manifest problem behaviors during class. One autistic child whose physical age is 11 years old, whose social age is 10 years and one month, and who exhibits problem behaviors during class was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 Training was divided into the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phase, self-monitoring training phase (technique application phase) and independent self-monitoring phase. It was carried out five times a week for 6 weeks (total of 30 times). Training was promoted for 20 minutes without observation for the 1st intervention term, then it was promoted for 20 minutes after 20 minutes observation for the 2nd term. It was also assessed if the effect of the training is maintained when carried out for four terms of the maintenance test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is comple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cidence of the autistic child's scribbling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Second, the incidence of the autistic child's self-stimulation by hand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Third, the incidence of the autistic child's inappropriate laughing behavior was reduced by self-monitoring. Fourth, the incidence of the autistic child's three problem behaviors mentioned above and reduced by self-monitoring continued to be lower than the baseline after the study was completed. In conclusion, self-monitoring trai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utistic children who exhibit problem behavior during class and sustaining such effect.

      • 자기점검법이 ADHD 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명숙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기법 중의 하나인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재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2명의 ADHD 아동에 대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여 문제행동 발생률과 학업관련 참여행동 발생률을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점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4회기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점검법을 통해 나타난 학급 내에서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관련 참여행동의 증가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ADHD 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자기점검법이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DHD 아동 개개인의 문제행동 특징을 잘 파악하여, 자기점검법 절차에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것이 ADHD 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과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가 가정에서도 일반화가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ve ADHD and th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 were selected. Th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elf-monitoring activ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of the students. Second,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Third, the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increase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were still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was ended. In conclusion,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DHD who has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monitoring activity with visual materials can be a powerfu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DHD and the generalization toward the home can be a possibility of the behavior change.

      • 자기점검기법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수학 숙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진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정신지체아동은 대부분 학습특성상 주의집중시간이 짧고 학습활동 가운데 자발적으로 숙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이로 인해 일반아동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는데, 특히 정신지체아가 학습상 가장 많은 어려움을 받고 있는 것은 수학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기초적인 수학기술을 습득시키고, 누적된 학습결손을 보충하며 새롭게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연습을 필요로 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독립적인 연습형태로서 많이 요구되는 것중의 하나가 숙제이다. 숙제는 정규수업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시간을 늘려주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기능을 터득하도록 하며, 교실에서 적용하지 못한 교수사상을 적용하여 교실수업의 학습목표 달성을 돕는 교실 밖의 개별화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합된 환경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로부터 숙제를 제시받는 경도 장애학생들은 숙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학업성적과 학교생활 전반에서 불이익을 받게되므로 이들의 숙제 수행을 도와줄 적절한 중재가 요구되는데, 여러 중재 방법들중에서 자기관리 전략은 즉각적인 외적 제한 없이도 본인 스스로 자신의 수행을 평가하고 적절한 후속결과를 관리하도록 하는 교수방법으로서 자기관리 전략의 3가지 주요기술인 자기점검, 자기평가, 자기강화중에서 가장 유용한 자기관리 전략중의 하나가 자기점검이다. 자기점검이란 자신의 행동의 변화를 목적으로 자신의 행동에 관한 정보(자료)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자기 자신의 행동을 관찰한 후 수행을 체계적으로 보고하거나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의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점검 기법을 활용한 중재가 수학 숙제 수행율과 정반응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생들의 수학 숙제 수행율과 정반응율은 자기점검 기법이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숙제 수행율이 낮은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경도 정신지체 학생 3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자기점검기법을 주 4회씩 전체 30회기동안 실시하였으며 대상학생의 숙제 수행율과 정반응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 숙제 수행수와 정반응수를 기록하기 위해 숙제 수행 결과물에 대한 문제수와 정답수를 스스로 기록하여, 1회기를 두칸으로 나눈후 수행수와 정반응수를 막대그래프로 색깔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게 하였다. 실험처치 단계에서 안정세를 보일 때 실험처치를 종료하고, 2주후에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회기에 걸친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을 이용한 수학숙제 수행율의 변화는 대상자 A, B, C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는 자기점검 기법을 통하여 숙제 정반응율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 모두 중재가 종결된 2주 후에도 숙제 수행율과 정반응율에서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자기점검법을 활용한 숙제 중재는 장애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수행을 이끄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주의가 산만하고 수동적인 경도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스스로 자기행동을 점검하고 행동발생율을 증가시키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경도정신지체 학생에게 수학 숙제 중재 프로그램으로 자기점검 기법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알아봄으로써 수학 숙제 수행을 증가시켰던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반복하여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주로 학습장애 학생이나 자폐학생, 중등의 정신지체 학생을 중심으로한 연구인데 반해,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자기점검 기법을 활용한 숙제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와 포괄적인 증거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결과가 후속 연구의 방향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의 숙제 중재의 전략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strategies on the task completion rates and correct response rates of math problems performed by elementary students mild mental retadation. The research design of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used and task completion rates and correct response rates were measured. For this purpose, three elementary students mild mental retardation were selected from self-contained classrooms. The subjects had problems in doing homework with no one to help them with homework. The Subjects were 3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30 sessions were implemente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condition and maintenance. The students were trained how to use the self-monitoring technique utilizing the self-recording and self-graphing strategies after doing their homework. Maintenance was implemented 2 weeks after fading the intervention The study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monitoring strategies were effective on improving the task completion rates of math problems performed by elementary students mild mental retardation. Second, self-monitoring strategies were effective on improving the correct response rates of math problems performed by mild mental retardation. Third, the task completion rates and correct responses rates were maintained 2 week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re were at least limitation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o children with different categories of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First, follow-up studies should be extended to other subject matters. Second,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y controlling interfering variables such as student characteristics. Third, generalization of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strategies on the task completion rates and correct response rates of math problems performed by elementary students mild mental retardation also should b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