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수용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은명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수용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3, 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부모의 동의를 얻고,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4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12월부터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주 1- 2회 80분씩 실시하였다. 자기수용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Chamberlain과 Haaga(2001)가 개발한 척도를 강금주(2015)가 수정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척도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두 가지 척도를 측정하여, SPSS 24.0 프로그램에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수용에 효과가 있었다. 자기수용의 하위요인인 자기수용A와 자기수용B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효과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성, 자율성, 삶의 목적,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수용과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적 부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아동상담에 유용한 치료적 전략임이 입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다양한 연령대의 다문화가정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활발히 개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group art therapy through self-encouragement had effects on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in A city, who ar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ot parental consents and were chosen as children who wanted to participate. All participants were 14 people.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7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7 people. All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The study conducted a dozen programs for 8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excluding pre and post tests, starting from December, 2018.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Chamberlain and Haaga and revised by Geum Joo Gang was used to measure self-acceptance as the study tool.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at Ryff developed was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study tool. By measuring two scales, Wilcoxon signed ranks test in a SPSS 24.0 program was conducted and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through self-encouragement had effects on self-accepta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had statistically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Self-acceptance A and self-acceptance B, sub-factors of self-acceptance. Second, group art therapy through self-encouragement had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had statistically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self acceptance and autonomy and purpose in life and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us, group art therapy through self-encour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lthough It was proven as a therapeutic strategy useful for counseling children, there are few studi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nts group art therapy programs through self-encouragement to be briskly developed so that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from various age groups can grow up healthily.

      • 자기수용과 자기존중감 및 완벽주의 성향의 관계

        이수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자기수용이 자기존중감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인지 또한 자기수용의 정도에 따라 자기존중감과 완벽주의 성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자기수용과 자기존중감 및 완벽주의 성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점수용과 단점수용을 모두 고려한 전체 자기수용과 자기존중감 간의 상관은 자기견해와 자기존중감 간의 상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2.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장점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체 자기수용이 높게 나타났다. 3. 장점수용과 단점수용이 모두 높을수록 자기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4. 단점수용과 완벽주의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단점수용이 높을수록 완벽주의 성향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정서적 차원의 요인으로서 자기수용이 자기존중감과 완벽주의 성향의 중요한 구성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Relations Among Self-Acceptance, Self-Esteem and Perfectionism This study was carried to find out following subject, First, self-acceptance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of self-esteem. Second, degree of self-acceptance would make a difference of one's self-esteem and perfection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graduates of 401(234 male and 167 female) in Seoul. They complet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self-acceptance' that considered both self-acceptance of one's strength and weakness was more correlated with self-esteem than self-view. 2.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r self-acceptance of their strength than undergraduates. And men had the higher overall self-acceptance than women. 3. The higher one's self-acceptance, the higher one's self-esteem. 4. Self-acceptance of one's weaknes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fectionism. And the higher self-acceptance of one's weakness, the lower one's perfectio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elf-acceptance as an affective factor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self-esteem and perfectio

      •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검증

        송경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For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consisting of 3 parts, which measured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 survey study was done on 543 adults ranging from twenties to fifties who lived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districts. This study used a three-way ANOVA through SPSS 18.0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demographic factors which was proved to have influence on social anxiety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focused attention,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gende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anxiety.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is results, I suggest that when a client with self absorption which means too strict self-focused attention visits the clinic because of the social anxiety problem, counsellor should provide other effective behavioral methods as well a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until the client can easily turn his attention to other things. 본 연구에서는 자기초점주의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하는 동시에,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50대 성인 543명을 대상으로 서울,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자기초점주의 척도 (DSFAS), 무조건적 자기수용척도 (UAS), 대인불안척도 (ISA)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자기초점주의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그리고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 또는 최종학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자기초점주의가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낮을수록 대인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대인불안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초점주의가 대인불안에 끼치는 영향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기초점주의와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증명한 많은 연구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이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대인불안과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조절요인으로 투입하였으나, 연구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만약 상담 장면에서 대인불안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내담자가 자기몰입성향이 높다면, 상담자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강조한다 할지라도 정서조절이 어려운 상태이므로 무조건적 자기수용만을 사용한 치료법은 대인불안상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음을 밝히며 효과적인 상담기법을 함께 사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자기수용, 타인수용 및 교우관계의 구조적 관계

        구서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표현력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네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또래 관계가 주요한 과업 중 하나인 초등학생들의 교우 관계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자기표현력, 자기수용, 타인수용이 교우관계에 영향력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단편적인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에, 하나의 구조 안에서 이들 여러 변인들의 상호영향을 동시에 확인하는 연구는 없었다. 또한 대부분이 유아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써, 초등학생까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자기표현력과 자기수용, 타인수용 및 교우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기표현력을 증진시켜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고 향후 사회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은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은 자기수용 및 타인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수용 및 타인수용은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이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수용 및 타인수용이 매개의 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인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자기수용, 타인수용 및 교우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네 변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자기표현력과 교우관계, 자기수용과 교우관계, 타인수용과 교우관계, 그리고 자기표현력과 자기수용, 자기표현력과 타인수용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경로설정을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 적합도에 부분매개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적합도 지수가 수용 기준에 충족됨에 따라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이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 수용 및 타인수용의 매개효과 여부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효과분해와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효과성 분해 결과 자기표현력은 교우관계에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모두 미치며, 그 과정에서 자기수용은 유의수준 p<.05으로, 타인수용은 p<.001으로 부분매개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자기표현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며, 그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존중을 갖고 대화를 하여 그 결과 안정적인 교우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직접 및 간접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이 안정적인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및 긍정적인 타인수용을 도와 교우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이는 자기표현력이 높은 학생은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하되,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면서 이야기하는 능력이 발현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자기표현력이 높은 학생은 타인의 상황을 고려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며, 자기 자신의 상황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는 학생이므로 대화를 원활하게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표현력이 교우관계 향상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라는 결과를 통해 아동기에서 자기표현력 발달의 중요성을 시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 따라 학생들의 교우관계 개선을 위해 자기표현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나타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일회성 프로그램이 대부분으로, 그 효과를 장기적으로 검증할 수 없으며 프로그램이 장기적으로 제공되지도 않았다. 교사와 교육당국이 평소 교과 지도 및 생활 지도에서 학생들의 자기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자기표현력을 통한 교우관계 향상 변화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이론의 보강과 관련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 바, 그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지만, 관련 척도와 이론적인 배경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발현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더 신뢰성 있는 척도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자기표현력, 자기수용, 타인수용, 교우관계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향후 자기표현력과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를 둔다.

      •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의 관계

        전종숙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변인(성별, 장애학생 경험 여부)에 따라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 수용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2.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중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C도의 읍지역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총 190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개인별 특성(성별, 장애학생 경험 유무)에 따라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학생의 자기수용과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생의 타인수용과 공동체의식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학생의 자기수용과 공동체의식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다. 그러나 타인수용은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이도윤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18세 미만 (평균연령 16.02세)의 중․고등학생 259명(남 111명, 여 14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K-SAS-A),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 및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청소년기 사회불안을 지닌 내담자에 대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탐색을 시도하고, 청소년의 자기수용 향상을 위한 치료적 개입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무조건적 자기수용, 청소년, 매개효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in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To verify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Korean version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PSPS-K),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K-SAS-A),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 was conducted for 25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111 male, 148 female) under the age of 18 living in Korea.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2)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help the counselor in exploring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endency for clients with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eek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acceptance in adolescent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dolescent, mediating effect.

      •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해영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up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Jung Hae-Young Major in Play Therapy Department of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yeong-kug S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up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as total of 291 copies except unsuitable data for the study,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57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big city (Apgujeong-dong, Gangnam-gu, Seoul, Korea) and 134 those who lived in medium-sized city(Osan, Gyeonggi-do, Korea). Children’s playfulness was assessed by Playfulness Scale for Children(developed by Choi, Choi, and Cho, 2008 and reorganized by Kim, 2009).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assessed by Social Competence Scale(developed by Park, 1998 and reorganized by Jung Hee Wang, 2001).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conducted a t-test, One-way ANOVA to find out general features of school-age children. After calculating pearson’s coefficient to research the effects of playfulness in school-age children on their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urvey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in big city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in medium-sized city. But self-acceptance had no difference between big city and medium-sized city. And then about sex differentiation, boys had more humor sense and extraordinariness,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than girls had. And statistically girls had more playfulness for oneself than boys had. But self-acceptance h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fter verifying to grade differentiation, self-acceptance of 5th graders was higher than 6th grader.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Finally, school-age children’s perception and consequential playfuln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ents who got high-grade had the highest score of playfulness, and students who got middle-grade had more sociability,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l engagement, initiative and popularity than those who got low-grade. Students who got high grade had more self-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in compared with lower grade students.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and self-acceptance, the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humor sense, emotional playfulness, extraordinary, social playfulness were related to a self-acceptance positively. Third, regarding links between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variable of playfulness and the sub-variable of social compete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The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are sociability, interpersonal adaptability, social engagement, and that is related to th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emotional playfulness and social playfulness. Also, social engagement and popularity was related to playfulness for oneself. Therefore,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competence.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source of the programs to develop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of school-age children. And it would be helpful for play therapy to help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y.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도시(서울 압구정)와 중소도시(경기도 오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질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는 대도시 157명(54.0%)과 중소도시 134명(46.0%)으로 총 291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태산, 최명선, 조미정(2008)이 제작한 초등학생의 놀이성 척도와 아동의 자기수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종권(1986)이 번안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한 김선화(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유능성 측정 도구는 박금옥(1998)이 개발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한 왕정희(200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령기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과 t-test를 실시하였고,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뒤 중다회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령기 아동의 성장 지역별 차이검증 결과에서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은 대도시 지역이 중소도시 지역에 비해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수용은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은 지역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차이검증 결과 놀이성 하위변인인 유머감각과 기발성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자적 놀이성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성은 차이검증 결과 남아와 여아 두 집단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검증 결과 자기수용 전체는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의 경우 5학년과 6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에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적 인식에 따른 놀이성, 자기수용,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검증 결과 성적이 상인 아동들이 중인 아동들과 하인 아동들에 비해, 또한 성적이 중인 아동들이 하인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하위변인과 자기수용 전체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유머감각, 정서적 놀이성, 기발성, 사회적 놀이성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으로 자기수용을 증진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성의 하위변인과 사회적 유능성 하위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인 사교성과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으로 나타났다. 주도성과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유머감각과 정서적 놀이성, 사회적 놀이성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도와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독자적 놀이성으로 나타나,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기수용과 사회의 올바른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에 대한 영향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내현적 자기애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과 정신화의 조절된 조절효과

        김경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 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정신화가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40 ~ 만 59세 의 성인 409명을 대상으로내현적자기애 질문지, 중년기 위기감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질문지, 한국판 정신화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설문 내용 무응답 및 무작위 응답 등 불성실 응답자료를 제외한 405명의 자료를 SPSS29.0과 PROCESS Macro 4.2를 통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조절효과,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수용, 자기수용과 중년기 위기감은 각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신화는 내현적 자기애, 중년기 위기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자기수용과는 유의한 정적 상 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에서 자기수용은 두 변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수용의조절효과는정신화의수준에따라달라졌다. 즉, 삼원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조절된 조절모형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상담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 하였다. 주요어 : 내현적 자기애, 중년기 위기감, 자기수용, 정신화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midlife crisis, and verified the three-way moderating effect to determine whether mentalization moderates this. For this purpose, a survey consisting of the Covert Narcissism Questionnaire (CNS), the Midlife Crisis Scale,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 (USAQ-R),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 (MentS) was conducted on 405 Korean adults aged 40 to 59.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9.0 and PROCESS Macro 4.2, and the moderating effect and three-way moderating effect were verifi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and self-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and midlife crisi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each relationship. Ment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vert narcissism and midlife crisi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Second, in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midlife crisis, self-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entalization. In other words, three-way me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 Key words:covert narcissism, self-acceptance, mentalization, midlife crisis

      •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허토실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경로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442명(남자 252명, 여자 190명)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척도(USAQ-R), 공감능력 척도(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t-test를 실시한 결과, 공감능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자기수용이 공감능력을 거쳐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셋째, 남녀 집단별 비교를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모형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공감능력이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 사이를 부분매개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은 공감능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기수용과 공감능력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인관계 문제를 가진 대학생에게 효율적으로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개입을 하기 위해서 자기수용 뿐만 아니라 공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인관계 유능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mpathy ability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find whether there is any gender difference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total of 442 university students(252 male, 190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survey of Revise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USAQ-R),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ICQ).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2.0.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tes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the empathy ability than male.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acceptance affect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by the partial mediation of the empathy ability. Finally,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case of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the empathy ability between the self-acceptance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ase of male, on the other ha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acceptance and empathy abil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directly,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that effective use of empathy ability as well as self-acceptance is needed to effectively intervene i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we provided basic data that we should approach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effectivel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