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읽기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1, 3, 5학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발달특성

        박송이 용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with the childr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the targets. Study subjects were total of 48 children including 17 1st grade students, 16 3rd grade students, and 15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within Gyeonggi region. Total of 4 texts were selected as study tools including 2 narrative texts and 2 expository texts from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3, Story and Descriptive Disclosure' (Kyeong Hee, Jeong. et. al, 2017). Reading methods were divided to silent reading and oral reading to study reading fluency and children were asked to answer to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questions. Questions types were divided to lit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were composed of total of 24 questions including 4 literal comprehension questions and 2 in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s for each 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rade gets higher, reading fluency capability increased,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3rd grade and 5th grade group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it showed higher capability in silent reading than oral reading. In oral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3rd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in silent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etween groups and reading methods. Second, as the grade gets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increas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3rd grade groups and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it showed higher capability in oral reading than silent reading. In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3rd grade groups and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etween groups and reading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was found to develop as grade increases, and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oral reading than silent reading. Such result implies that consideration for oral reading is necessary during the teaching of reading comprehension not just in low grade but also in hig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방식(음독 및 묵독)에 따른 읽기유창성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17명, 3학년 16명, 5학년 15명으로 총 4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한국어 해독해 3권 이야기와 설명 담화 독해’(정경희 등, 2017)에서 이야기글 2개, 설명글 2개 총 4개의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읽기방식을 묵독과 음독으로 나누어 읽도록 하여 읽기유창성을 살펴보고, 읽기이해 평가문항에 답하도록 하였다. 질문 유형은 사실이해와 추론이해로 나누고, 각 텍스트별 사실이해 4문항, 추론이해 2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유창성 수행력이 높아졌으며, 1학년과 5학년, 3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읽기방식에 따라서는 음독보다 묵독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음독에서는 1학년과 5학년, 3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묵독에서는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과 읽기방식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이해 수행력이 높아졌으며,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읽기방식에 따라서는 묵독보다 음독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음독 및 묵독에서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과 읽기방식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능력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며 묵독보다는 음독에서 읽기이해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뿐만 아니라 고학년에서도 읽기이해 지도 시 음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하멜 보고서』의 편집디자인 : 다르게 읽기를 제안하는 페이지의 시각적 형식에 관하여

        정희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03

        국문 초록 우리에게 책은 아직도 읽을 만한 정보를 담는 가장 익숙한 형식이다. 지금 우리가 흔히 보는 다양한 페이지 제시 기법들은 각기 다른 쓰기 기술과 독서 관습, 독서 목적으로부터 기인했고, 오랜 시간 인쇄 문화의 성장과 함께 일종의 장르적 패턴이나 암묵적 사인처럼로 작동한다. 독자들은 이제 시각적으로 편집된 상태를 보고 그 내용이 의미하는 바의 실마리를 얻는다. 글의 장르와 결부되고 일반화된 시각적인 형식들은, 디자인의 편리한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독자들의 요구와 출판 환경의 변화를 보지 못하고, 표면적 스타일과 타이포그래피의 부분적 문제에 매몰되게 할 우려가 있다. 연구자는 이같은 배경에서 ‘읽기의 역사’, ‘책의 역사’로 눈을 돌렸다. 책의 시각적 형식들이 애초에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인지, 독자, 저자, 출판계의 상호 작용은 어떤 방식으로 책의 형식에 개입했는지, 혹은 그것들이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시금 가장 중요하다고 본 것은 ‘읽기 방식’이다. 책은 고정된 글쓰기 기술과 기록의 형식이어서 이것이 읽기 방식을 규정해 온 것이 아니라, 독자들의 읽기 관행과 책에 대한 관념, 기대가 책의 형식을 바꾸어 온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읽기 방식’의 차이로부터 책의 구성 틀과 지면 제시 방법을 찾는 작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소재인 ‘하멜 보고서’는 국내에 잘 알려진 모험 이야기로, 원래는 17세기의 항해 보고서지만 지금까지 모험기, 소설, 역사 연구서로 다양하게 출간되어 온 독특한 내력의 텍스트다. 이 소재를 선택한 것은, 연구자가 글, 그리고 책이라는 형식의 ‘정확성’, ‘권위’와 같은 보편적 관념보다는 ‘오류’, 또는 ‘유연한 변형’에 더 흥미를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며, 글이 길지 않아 작품 연구에 용이하면서도 관련 자료가 충분했고, 또 근대 서양인의 한국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책으로서 그 역사적인 배경이 매우 흥미로왔기 때문이다. 연구는, 먼저 책의 역사에 관한 문헌 연구와 동시에 픽션과 논픽션 버전의 ‘하멜 보고서’ 1차 편집디자인을 시작으로 두 에디션의 세분화를 통해 각각의 읽기 방식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순서로 진행했다. 픽션과 논픽션은 글의 기본적인 장르적 구분으로, 편집디자인의 시각적 형식의 면에서도 반대되는 특징이 나타나며, 각각은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읽기와 전문적이고 학문적 읽기 방식과 연결된다. 책의 역사에 나타난 읽기 방식과 시각 형식의 변화를 보면, 글을 쓰고, 책을 만들어 전달하는 모든 과정에서, 저자의 의도대로 읽도록 글의 의미를 분명하게 하고 특정 관심사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단위’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띄어쓰기, 즉 단어라는 단위를 구분해주고, 제목과 본문, 단락과 장 등으로 글을 구조화하고 이를 드러내는 것은, 글의 ‘시각적 번역’의 방법이다. ‘하멜 보고서’의 2차 편집에서는, 에디션의 세분화 방법으로 ‘1)단위의 조정, 2)강조와 압축, 3)관련 글과 자료의 제공’이라는 세 가지 방법을 설정하고 픽션과 논픽션의 작품을 조금씩 변형하는 데 적용했다. 이런 방법들은 읽는 속도와 몰입의 문제, 글의 연결성, 내용의 난이도, 전문성에 차이를 주며 단계적·선택적 읽기를 비롯한 다양한 읽기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읽기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하멜 보고서의 원고 표기법으로부터 내용의 순서와 구성까지를 바꾸었는데, 특정 주제, 특정 읽기 방식을 유도하기 위해 관례적으로는 편집자의 역할에 의존하던 영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부분이 있다. 이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직접적인 ‘의미의 번역’을 위한 것이었다. 이 외에 글의 내용과 직접 관련은 없으나 글의 사회, 문화적인 상황을 암시하거나 은유하는 시각적인 요소를 사용한 것은 글의 ‘배경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최종 결과물로는, 하멜 당대의 ‘조선’, 즉 ‘이방인의 눈으로 본 17세기 조선’이라는 주제의 편집본 연구에 중점을 두어 발전시켰으며, 전체 과정에서 만들어진 페이지 편집물들을 각각의 책으로 완성하여 제시하였다. 처음 설정한 픽션과 논픽션의 장르적 구분은, 세분화를 통해 경계가 점차 모호해져 갔으며, 나중에는 의도적으로 이를 뒤섞거나 전도시키면서 연구자가 의도한 ‘읽기 방식을 축으로 한 작품 전개’에 더 까가워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집디자인에서 ‘읽기 방식’과 ‘그에 부합하는 시각적 형식’이라는 논리를 강조하여도 독자의 자의적이고 자유로운 읽기를 통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보다 명확한 의미 전달을 돕고, 특정한 구조와 흐름으로 읽고 이해하게 하며, 독서를 더욱 풍요로운 경험이 되도록 유도할 수는 있다. 또한, ‘읽기’에 다시금 주목함으로써 장르적인 규범이나 스타일의 동어반복적 적용을 피한 디자인 방법론을 찾고, 새로운 독자와 출판 시장에 대응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하브루타 방식의 그림책 읽기를 통한 성인의 정서적 변화 연구 : 자아 존중감과 공감 능력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희경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Havruta method of reading picture books affects the emotional changes of adults, whether the picture books play a role as a psychological tool for self-awareness and self-recovery, and Havruta's question and discussion process improves communication and sociality.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it significant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empathy. Even though women's status in the modern world has risen, it is still up to women to raise children. In other words, social activities are terminated due to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nd careers are transferred to full-time housewives. Unrecognized value of child-raising labor and career breaks lead to psychological depression and loss of self-esteem. Parents' depression must be recovered as it causes negative emotional patterns in their children. However, in reality, counseling treatment is impossible for everyone who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Therefore, it is a common topic of daily life that has been revealed through prior research.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that help humans to recognize and manage their emotions while recognizing various problems in their lives and seeking solutions. This study is necessary in that there is a need for an opportunity to confront and reflect on one's own emotional problems that are not visible to adults, especially infants and child caregivers, by grafting Havruta, which helps metacogni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metacognition. Accordingly, a total of 22 adults in this paper were assigned to the A test group (10 people) living in A city and the B control group (12 people) living in A city and other areas. As a research tool, the Self-Esteem Inventory produced by Coopersmith (1967) was translated and standardized into the Korean version as a tool for measuring self-esteem. Mehrabian & Epstein (1972)'s emotional empathy as a tool for empathy As the scale, the emotional sympathy scale was used, in which the original 9-point scale was converted to a 5-point scale by Hyunsoo Seol, Dongmin Kim, and Suhyun Lee. The same test sheet was used both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activities by selecting books dealing with self-awareness, and the experimental group gathered at the same place to read a picture book, then wrote a question, paired up, and wrote a post-reading activity sheet. The process of proceed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havruta after reading a picture book had an effect on self-awareness. Second, the quantity of questions was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the question, and third, when havruta was used as a picture book, self-esteem and empathy increased. Appeared. However, it remains regrettable that this paper did not quantify emotional changes before and after class.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qualitatively confirm that there was a change in self-esteem or empathy through interviews, etc. of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reading class, but the fact that the degree of change was not quantified remain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n addition, us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develop a reading model for caregivers who have difficulty in external activities. After conducting an actual online clas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reading model that can be used throughout finding problems and improvements. This will be postponed to subsequent studie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expansion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parent education havruta model and a program that combines picture books and havruta for children and children. 본 연구는 하브루타 방식의 그림책 읽기가 성인의 정서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그림책이 자기 인식, 자기 회복의 심리적 도구로써의 역할을 수행 하는지, 하브루타의 질문과 토의 과정이 의사소통과 사회성 향상, 공감 능력 향상에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지 밝히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지위가 높아졌음에도 여전히 자녀 양육은 여성의 몫이다. 여성은 임신·출산·육아로 인하여 사회활동을 마감하고 전업주부로 경력 이동을 하게 되는데, 육아노동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독박 육아와 경력 단절은 심리적 우울과 자존감 상실로 이어진다. 부모의 우울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정서 양상 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반드시 회복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두에게 상담적 치료가 제공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미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진 대로 그림책과 하브루타 방식을 접목하여 정서적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즉, 일상의 보편적 주제를 통해 인간이 삶에서 겪는 다 양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다스리도록 돕는 특성을 가진 독서 자료인 그림책과 텍스트와의 질문과 대화로 자신을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메타인지를 발생하도 록 돕는 독서 방법인 하브루타를 접목하여 독서 수업을 진행한다면 성인, 특히 유·아동 양육자들이 자신의 정서적 문제를 직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성인 총 22명을 대상으로 독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들은 A시에 거주하는 A실험군(10명)과 A시 및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B대조군(12명)으로 구성하였다. 정서적 상태를 살피기 위해 자아 존중감 측 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 을 선택하였고, 공감 능력 측정 도구로는 Mehrabian & Epstein(1972)의 정서적 공감척도를 설현수·김동민·이수현(2006:199)이 수정한 정서적 공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모두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독서 수업은 자기인식을 다 루는 그림책 총8권을 선정하여 독서 활동을 구성하였는 데, 실험군은 같은 장소에 모여 그림책 읽기 후 질문 작성과 짝 활동, 독후활동지 작성의 과정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가정에서 개인적 책 읽기 후 독후활동지 작 성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읽기 후 하브루타를 했을 때 자기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질문의 양이 질문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셋째, 그림책으로 하브루타를 했을 때 자아 존중감과 공감 능력이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책과 하브루타는 성인들의 정서적 문제를 극복하는 독서 자료나 방법이 되기에 충분히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다만 본고에서 수업 전후의 정서적 변화를 정량화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즉 독서 수업에 참여한 성인들이 인터뷰 등을 통해 자아 존중감이나 공 감 능력에 변화가 있었음을 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 변화가 어느 정도인 지 정량화하지 못한 점이 본고의 한계로 남는다. 아울러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 용하여 외부 활동이 어려운 양육자들을 위한 독서 모형의 개발 방안도 모색해 보 아야 하는데, 실제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 두루 활용이 가능한 독서 모형을 개발해 볼 수 있겠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로 미룬다.

      • 읽기를 중심으로 한 영어의 4기능 통합교육 방안

        임수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87

        Both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ful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ading education and they have put the greater amounts of time and efforts on reading than any other part of language learning skills. Therefore, they need to use proper skills to read their English materials more. The latest tendency is to consider English teaching as a process of integrating the four skills into one. However, EFL classes tend to focus on only one or two of th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is study shows what kinds of integrative methods are effective and how to adapt them to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eaching of English reading skills.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Ⅰ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 mentioned the importanc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to develop in the study. Chapter Ⅱ focuses on the meaning of reading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eaching of English reading methods. It also suggests effective English reading method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using three steps i.e.,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Chapter Ⅲ presents the reason of the necessity of reading-based integrative teaching. Chapter Ⅳ analyzes and suggests some integrative teaching models. This chapter, the main part of the this study, presents how to actually improve the teaching of English reading by using high school textbooks. It focuses on providing a lesson plan based on many types of reading skills and activities by using the high school textbook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this lesson plan,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books about English learning. Chapter Ⅴ summarizes the study and makes further proposals. In conclusion, English is totally different from our mother tongue - Korean. So we have no alternative but to strive to learn the knowledge of English with every effort. I eagerly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very helpful to both the students and English teachers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 시각·통사적 글 배치방식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오로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15916

        Teacher-directed analytical interpretation is a common method in teaching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 This method is criticized as being time-consuming and unavailable for independent learner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isual-Syntactic Text Formatting (VSTF) on Korean Middle School EF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in standard text format. VSTF technology analyzes underlying English syntactic structures and transforms linear text format into cascading patterns. VSTF text presents syntactic structure hierarchically and is expected to assist readers’ visual processing. A 15-week classroom experiment was conducte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Grade 8, n = 95).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1 that used VSTF without explicit instruction on grammar and syntactic structure, experimental group 2 that used VSTF with the explicit instruction, and a control group that read linearly formatted text with the explicit instruction. A pretest-posttest analysis showed that both experimental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at was presented in conventional block format over controls (η2 = .252)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his result was similar across low and high proficiency student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over controls (low level, η2 = .329; high level, η2 = .36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both experimental groups were able to parse sentences into bigger chunks than control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preference for VSTF and the reading instruction that used it. They also appeared to believe that VSTF is helpful for improving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STF has a large effect on Korean middle school EF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in standard block-formatted text (η2 > .14) and they prefer reading via VSTF to the standard one. 본 연구는 교사 주도하의 문장 분석 및 해석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의 읽기 교수·학습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동 구문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다량의 영어 텍스트를 자동으로 의미단위로 끊어서 통사적 위계질서에 따라 여러 행에 걸쳐 보여주는 시각·통사적 글 배치방식을 활용한 영어 읽기학습이 한국인 중학생 EFL 학습자의 일반 줄글에 대한 읽기 이해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시각·통사적 글 배치방식으로 글을 읽되 문법 및 구문 지도는 받지 않는 실험집단 1, 해당 글 배치방식으로 읽으면서 문법 및 구문 지도도 받는 실험집단 2, 그리고 기존 수업과 동일하게 일반 줄글로 읽으면서 문법 및 구문 지도도 받는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에 한 학기 동안의 실험수업 결과를 사전과 사후 평가를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반 줄글로 제시된 읽기 이해력 평가결과, 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각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집단들 사이에는 유의한 사후 점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둘째, 수준별로는 상·하위그룹 모두 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각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집단들 사이에는 사후 점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어에 대한 태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읽기 학습법에서 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태도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집단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시각·통사적 글 배치방식에 대한 태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해당 글 배치방식 선호도, 읽기능력 향상 인식, 그리고 해당 글 배치방식을 활용한 수업 선호도에서 두 실험집단 모두 사후 태도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시각·통사적 글 배치방식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한국인 중학생 EFL 학습자의 일반 줄글에 대한 읽기 이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크며(η2 > .14), 기 학습자들이 일반 줄글 보다 해당 글 배치방식으로 영어 읽기학습을 하는 것을 더 선호함을 최초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교과서 보완적 읽기를 위한 역사 학습자료 재구성 방안 : 조선시대 양반의 생활 모습을 중심으로

        윤준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133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문화사의 역사인식을 토대로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조선 시대 양반들의 생활 모습’과 관련된 단원의 학습자료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조선 시대 양반의 생활 모습은 구조 중심의 서술방식으로 인해, 양반은 유교경전을 공부하고 시를 짓고, 활쏘기를 하고 과거시험을 위한 글공부만 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 즉 평범한 양반들의 생활 모습은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어 있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양반은 공부만 했었다’라는 고정관념과 편견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신문화사의 관점을 받아들이면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좋은 역사적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역사가 가야하는 길은 역사의 현장과 역사책 속에서 밀려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주변부 사람들의 몫을 정당하게 찾아주는 일이다. 일반 역사의 흐름에서는 전쟁, 혁명과 같은 정치적 대사건만 눈에 띄지만 실제 대부분의 민중이 영위하는 삶에서는 대사건이 생각만큼 그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역사에서 더 큰 중요성을 지니는 요인은 일상생활이라는 것이다. 임진왜란 중 오희문은 자신과 가족이 먹고 살 식량을 구하는 데 온 신경을 써서 매일매일 선물로 전해 받은 콩이 몇 되이고 종을 장에 내보내 사온 조기가 몇 마리라는 것을 일기에 세세히 적고 있다. 그에게는 그것이 그만큼 중요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정치사 위주의 서술로 인해 하나의 시선에서 권력의 중심에 있는 것들만을 다루던 것을 넘어 과거를 평범하게 살아간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신문화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재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에서 아직까지 이러한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단지 국가, 민족이라는 거대한 이야기 틀에서 객관식, 설명식으로 나열된 역사의 사실을 구조중심으로 전달하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문화사의 문제의식에 의해 교과서에 인간의 모습을 등장시키고 교과서 서술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양반 개인의 생활 모습과 생각을 잘 보여주는『미암일기』와『쇄미록』등의 일기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문자자료인 일기자료를 보완할 수 있는 김홍도의 풍속화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학습자료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재구성된 학습자료를 가지고 명시적 읽기와 추론적 읽기, 사실 묘사하기와 추론하기 등 체계적인 발문기법을 적용하여 교과서 ‘보완적 읽기’를 시도하여 ‘조선 시대 양반들은 공부만 했었다’라는 편견과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양반들의 실제 생활 모습을 들여다봄으로써 새로운 역사상, 새로운 국면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보완적 읽기’ 자료를 통해 보면 역사의 또 다른 모습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교과서와는 다른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능력을 길러,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 ‘보완적 읽기’를 통해 역사를 배우면 하나의 사건이 지니는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즉 역사 해석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을 대리 경험하며, 삶의 지혜까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뿐 아니라, 역사적 상상력을 함양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셋째, 읽기 자료를 충분히 주고, 깊이 있게 사고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발문전략의 과정을 거친다면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라 하더라도 다르게 읽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이 교과서의 지배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역사 학습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역사적 맥락을 찾아보고 나아가 역사적 사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요컨대, 체계적인 발문전략과 충분한 자료를 통해 교과서 ‘보완적 읽기’를 시도해 나간다면 역사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무미건조한 역사수업에도 새로운 활력을 넣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역사란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흔적을 통해 당시의 생활상을 떠올려보고 이해하며,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낀 것들을 우리 나름대로 다시 해석해 보는 것이다. 우리가 누구이고 어떤 삶을 살아가는 것이 좋을지를 생각해 보게 하는데 있어서 최근 역사학의 새로운 경향인 신문화사는 분명 역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문화사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면 정치사나 구조 중심의 거대 역사에서는 쉽게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역사적 풍경을 밝혀낼 수 있다. 그러나 역사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논의는 아직 이론적이며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자료를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이론적 논의를 넘어서 구체적 수업 실천으로 검증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truct learning materials for sixth-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the first semester about the lives of the yangban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new cultural history. As current textbooks made a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lives of the yangban, the yangban were merely portrayed as doing nothing other than studying the Confucian scripture, writing poems, shooting a bow and preparing for the 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There was no mention about their routine everyday lives, which is likely to let students misunderstand that all the yangban did was just studying. The introduction of the perspective of new cultural history makes it possible to adopt people's diverse lives as appropriate historical subject matters. One of the primary missions of history is to shed light on those who didn't belong to the mainstream group and couldn't voice their opinions. Major political incidents such as war or revolution are highlighted in the flow of history, but such incidents didn't mean a lot for the lives of people in general as expected, and contemporary everyday lif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s well in the field of histor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Jo Hee-mun concentrated his mind on securing food for his family to the extent that he wrote down in his diary how many beans he received from others as a gift and how many croakers his servant bought at a fair. As a matter of fact, that was of great importance to him. Textbooks have typically centered around political history and dealt with what happened to people in power from a particular standpoint. But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daily routine lives of commoners in the past from the viewpoint of new cultural history. So far, few such an attempt have ever been made in existing text- books, which simply focus on making a structural description of a series of historical facts at a national level from a macroperspective. In this study, diary materials that represented the lives and ideas of the yangban, including Miamilgi and Swemirok, were selected as learning materials to overcome the shortcoming of the typical textbook description, and Kim Hong-do's genre painting was presented as an auxiliary material to make up for the written diary materials. A supplementary reading activity was introduced by applying the reconstructed learning materials and systematic questioning composed of demonstrative reading, inferential reading, fact describing and reasoning in order to root out the prejudice and stereotype that all the yangban did in the Joseon Dynasty was studying. That attempt made it possible to take a look at the lives of the yangban to build a new consciousness of history.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about history education: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supplementary reading materials allows students to learn new things about history, to see and interpret history from diverse angl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ingle standpoint of existing textbooks, and to foster their own historical thinking faculty.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supplementary reading activity enables students to learn that the meaning of a historical incident depends on the perspective of an interpreter.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understand the diverse aspects of human life, to gain a variety of vicarious experiences, to learn the wisdom of ancestors and to enrich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Third, the adoption of systematic questioning strategies designed to stir up the deep thinking of learners by supplying plenty of reading materials allows learners to be capable of reading and interpreting textbooks in a different manner. Fourth, a supply of various history learning materials enables them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in the given historical contexts without sticking to a specific standpoint of the textbooks. In effect, the supplementary reading activity added by systematic questioning strategies and plenty of learning materials will mak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interpret history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search of new possibility, and that attempt is expected to inject more life into history class that is typically boring. History refers to shedding light on,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ing the lives of people in a particular age. The adoption of new cultural history is a new trend in the area of history, and that has a lot of implications for history education in that it stimulates learners to think who they are and what life they should lead. That perspective makes it possible to find out new facts about history that cannot be found by the typical structural approach of macroperspective. However, the new attempt is still just in a rudimentary stage, and mo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discovering, reconstructing and applying a wider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ttempt.

      •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차이

        공혜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01215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교육과정은 주로 읽기에 의한 독해와 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등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종이책 뿐만 아니라 소리책(오디오북)도 상용화 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에 따라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2021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은 성인보다 학생에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는 오디오북을 듣는 시간의 경우 감소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종이책보다는 전자책과 웹소설, 오디오북을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한다. 실제 현실에서는 ‘듣기’의 방식으로 많은 정보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육 내용이 현재와 같이 읽기라는 지문 제시 방식을 통해서만 전해진다면, 교육 내용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제 현실과의 괴리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교육 내용의 전달 방식과 현실 간의 괴리를 드러낼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해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 대한 측정은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특정 방식으로 지문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횟수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추측하는 방식이므로 학생들이 읽기에 얼마나 익숙해져 있으며 시각적인 효과가 없는 듣기에는 얼마나 집중도를 보일 수 있는지 가늠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듣기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환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전북 군산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과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충남 천안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지문 제시 방식에 따른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검사지의 지문은 국어 교사 3인의 합의를 통해 서사문 3종과 설명문 3종을 활용하고 문항 유형을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2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검사 문항은 2가지 문항 유형을 6문항씩 제작하여 구성하였다. 또 검사지의 음성 지문은 4년 이상 경력의 국어교사의 실제 음성으로 녹음된 파일을 사용하였다. 이 지문을 또 다른 국어 교사 4인이 평가자 훈련을 거쳐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문자 지문과 음성 지문에 대한 학생들의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 정도의 점수를 매겨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음성 지문보다는 문자 지문에 대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성 지문을 1회 듣고 문제를 풀 때보다 음성 지문을 2회 듣고 문제를 풀 때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성 지문을 듣고 문제를 풀 경우, 음성 지문을 들은 횟수에 관계없이 사실적 이해보다 추론적 이해에 대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학교급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학년이더라도,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더라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에서 특정 성별이 일관적으로 사실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다른 읽기 과제가 학생들에게 제시될 경우 또 다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제시 방식이 다른, 동일한 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 능력과 이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오디오북을 교육 방법과 연계하는 연구의 비중이 매우 적었고, 그렇기 때문에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내용 전달 방법을 다양하게 하는 것과 기존의 읽기 교육 방법을 듣기 교육과 연계하는 것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현실의 흐름을 고려한 듣기 교육이 어느 정도 필요함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듣기를 교육 방법으로 활용하여 교수 학습을 실행하였을 때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가정 내 책 읽기 및 미디어 이용 특성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미디어 지도방식을 중심으로

        정유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5209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in children and book reading and media usage at home, and explored the between the amount of book reading and media usage at home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The study also to identify the effect of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and media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A total of 299 pairs of children ages 3 to 5 and their mot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Boudreau (2005) and adapted by Kim and Park (2013). For the measurement of book reading characteristics at home, Home Literacy Environment Index, developed by Sapiro (1979) and reconstructed for this study, and 'Parent Literacy Interaction Rating Scale' (Son and Kim, 2016b) were employed. A media usage time tracker developed by Kim (2020) was used to measure media usage characteristic, and 'Internet Parenting Style' questionnaire, originally developed by Valcke et al. and adapted to Korean by Kim (2016),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o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deemed appropriate for the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In terms of book reading and media usage environment at home, which is one facet of book reading and media usage at home, on average, children started reading books 7 months before they started using media material, both children's books and easily accessible media for children were amply provided with them, And the children spent 0.2 hours less reading books with parents than using media material with their parents. In the aspect of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and media usage instruction, mothers perceived that they had a lot of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en reading picture books whereas they did more supervising when children were using media material.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book reading and media usage at home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revealed that the higher rated book reading at home and mother’s media parenting style scores, the greater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was greater for earlier start of book reading, greater number of children's books, and more hours spent reading with their parent;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score was higher when mother's open literacy interaction, instructive literacy interaction, and picture book reading literacy interaction scores were higher.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score was higher when mother's media warmth and media usage control scores were higher. Third, out of all aspects book reading at home, mother's open literacy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followed by instructive literacy interac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home book reading. and media warmth method,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home media usage, In conclusion, book reading environment,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mother’s media parenting style correlated with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Above all mother’s open, instructive literacy interaction and media warmth did have an effect o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Therefore, mothers providing rich book reading environment and engaging in plenty of verbal interactions is important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가정 내 책 읽기 및 미디어 이용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가정 내 책 읽기 및 미디어 이용 특성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 내 책 읽기 및 미디어 이용 특성 중 유아에게 의미있는 대상인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미디어 지도방식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 ~ 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229쌍이었다.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김길숙과 박찬화(2013)가 번안한 Boudreau(2005)의‘조기 문해 부모 질문지(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정 내 책 읽기 특성 측정을 위해 Shapiro(1979)의 가정문해환경지표(home literacy environment index)를 연구자가 재구성한 질문지와 손승희와 김명순(2016b)이 개발한‘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가정 내 미디어 이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호연(2020)의 미디어 이용시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어머니의 미디어 지도방식’은 김현진(2016)이 번안·수정한 Valcke 외(2010)의‘인터넷 지도방식(internet parenting style)’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단계선택 방식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었다. 가정 내 책 읽기 특성 및 미디어 이용 특성 중 가정의 책 읽기 및 미디어 환경을 살펴보면, 책 읽기 시작 개월 수가 미디어 이용 시작 개월 수 보다 평균 7개월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 내 보유한 유아용 도서와 유아가 접근 가능한 미디어 매체 모두 풍부하게 제공되었으며, 공동 책 읽기 시간은 미디어 공동 이용 시간 보다 0.2시간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미디어 지도방식을 살펴보면, 자녀와의 문해 활동 시 어머니는 그림책 읽기 문해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미디어를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통제적 미디어 지도방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가정 내 책 읽기 및 미디어 이용 특성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가정 내 책 읽기 특성 점수와 어머니의 미디어 지도방식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이 높았다. 책 읽기 특성 중에서는 책 읽기 시작 개월 수가 빠르고 보유한 유아용 도서량이 많으며 모-자간 공동 책 읽기 시간이 길 때, 그리고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점수가 높을 때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 특성 중에서는 어머니의 통제적, 온정적인 미디어 지도방식의 점수가 높을 때,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점수가 높았다. 셋째,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에는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중 개방적 문해 상호작용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지시적 문해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미디어 지도방식 중 온정적 미디어 지도방식이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가정 내 책 읽기 환경, 어머니 문해 상호작용, 어머니 미디어 지도방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도 어머니의 개방적, 지시적 문해 상호작용과 온정적 미디어 지도방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풍부한 책 읽기 환경을 제공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