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중독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송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근로자의 일중독과 가족기능 간의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기준 직장을 다니고 있는 만19세 이상 ∼ 만65세 이하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역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5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2개월 간 온·오프라인 설문을 e-mail 및 휴대전화를 통해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8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가족기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일중독이 가족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하위변인에 따라 살펴보면, 과도한 일몰입과 높은 강박관념은 가족기능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며, 낮은 일향유감만이 가족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의 일중독은 심리적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소진이 가족기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중독과 가족기능 간 심리적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일중독 전체와 하위요인인 과도한 일몰입, 높은 강박관념, 낮은 일향유감 모두 가족기능과 관계에서 심리적소진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중독과 심리적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중독에 대한 개인·조직·가족적 측면에서의 인식이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내 복지관이나 센터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을 구상할 필요가 있고, 조직 내 상담실 또는 클리닉 운영을 통한 일중독 및 심리적소진의 예방과 완화를 돕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의 실효성있는 제도마련을 통해 건강한 업무환경 형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일중독을 완화하고 심리적소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족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er's workaholism and family function. For this, I conducted a survey with employees who are over 19 and under 65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do. To collect data, on- and off-line survey had been distributed for approximately 2 months(15/07/2017–20/09/2017) through e-mail and mobile phone, and 282 of survey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 and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for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workaholism had negative effect on family function. Looking at the lower-level category of workaholism, excessively devoting to work and obs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function, while only lower work enjoyment showed this on it. Second, employee’s workaholism had positive effect on burnout. Third, burnout had negative effect on family function. Forth, looking a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family function, the workaholism and excessively devoting to work, obsession, and lower work enjoyment as the lower-level category had significant influence and are shown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refore, to prevent workaholism and burnou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should be awareness of personal, organizational, family aspects of workaholism. Also, not only useful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ut also it is needed to help relieve and prevent workaholism and burnout by running counseling center in the community. Creating good work environment is required through an effective system prepared by government as well. Then, family function will be strengthened by reducing workaholism and burnout for employees.

      • 경영인의 일중독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성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영인의 일중독 영향요인과 조절 요인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기업체에서 임원급 이상 경영인들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24일부터 6월 28일까지 약 1개월간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식과 e-mail 및 휴대전화를 통해 배포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인들이 지각하는 주요변수에 대한 수준을 5점을 만점으로 분석한 결과, 일중독의 완벽주의 3.20점, 일 생활 불균형 2.92점, 금단증상 2.86점, 중독 2.75점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는 하위변인 사회적 자원 3.90점, 보상적 경험 3.60점, 적응적 평가 3.48점, 적은 수의 스트레스 원 3.42점 순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하위변인 개인적 성취감 감소가 가장 높은 3.51점, 정서적 탈진 2.89점, 비인간화 2.81점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중독의 차이에서는 남성과 학력이 높을수록, 제조업에 종사,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 기간이 7년 이상, 일 근무 시간이 10시간∼12시간 미만,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일중독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경영인에게 지각된 일중독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중독은 가족지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지지는 소진의 비인간화와 정서적 탈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경영인들은 일중독으로 인해 가족과의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진이 유발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일중독자가 되지 않도록 지나치게 일에 몰입하는 것은 피하여 개인의 삶의 질적 가치를 높이고, 기업경영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여가 활동 등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clearly in the course of manager’s workaholic impact on psychological burnout. For the study, online or offline surveys were given to the target managers higher ranks of the executive level at the compan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mainly from May 24 to June 28, 2022. And the final results turned out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nagers’ perception on the major variables on scale of 5, they perceived workaholic perfectionism by 3.20 points, work-life imbalance by 2.92 points, withdrawal symptoms by 2.86 points, and addiction by 2.75 points. In the category of family support, they perceived the sub-variables such as social resource by 3.90 points, compensatory experience by 3.60 points, adaptive evaluation by 3.48 points, and less stress by 3.42 points. For psychological burnout, among the sub-variables, reduction in personal achieving sentiment was the perceived the highest by 3.51 points, emotional exhaustion by 2.89 points, and dehumanization by 2.81 points. Second, in the difference in workaholic level depending on the managers’ nature, male gender, the higher educati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higher rank of position, more than 7 years of work experience, less than 10 to 12 hours of work per day, and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showed higher level of workaholism. Third, workaholism perceived by the managers seemed to have an effect on burnout. And workaholism turned out having negative effect on family support. And family support turned to have negative effect on dehumaniz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of such a burnout. The outcomes of the above study confirmed that the managers' workaholism had negative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and caused psychological burnout. Therefore, it suggests that managers need family support such as leisure activities, etc.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e positively in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to avoid getting into severe workaholism.

      • 금융산업 노동자의 일중독에 관한 연구 : K은행의 사례

        이영신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 중독증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고, 과로사와 직업병 등 그 문제의 심각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는데도 이 문제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보족한데서 오는 폐해를 막고, 일중독이라는 우리 사회의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서는 윤리적으로나 생태적으로 인류사회에 결코 보편적인 것이 될 수 없는 선진국형의 소비문화 확산이 아니라 진정한 삶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일에 대한 집착은 우리가 생활하는 방식, 삶에 대한 접근법, 이 세상에서 존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중독은 이미 개인적 차원의 질병이 아니라 일중독자는 함께 거주하고 접촉하는 모든 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중독에 젊은 층과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고용불안감에서 오는 일중독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자신의 가치를 일과 동일시하는 성취적 일중독 현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K은행 노동자들의 삶의 질 관심은 매우 물질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동자의 삶의 질의 기조적인 보장은 기업이 아닌 국가가 균등하게 시행해야 하고 이는 공공복지 및 사회보험을 확대ㆍ발전시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둘째, 아직도 상대적 박탈감 및 성취동기가 강한 한국의 노동자들에게 세대간 사회이동의 경제적 수단을 일을 통한 임금소득에만 전담시키기보다는 사회적 제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육아문제와 교육비등은 노동자와 기업이 아닌 사회가 주체가 되어 풀어야 한다. 넷째, 우리는 노동과 휴식을 한 쌍의 동일한 가치로 볼 줄 알아야 주말근무, 야근, 비정규직 노동, 출산휴가, 생리휴가 등을 중요한 문제로 인식할 수 있고, 인간화된 사회를 실현하는 길이 열린다. This study suggests that as workaholism gradually becomes universal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seriousness of the resultant problems, including death from overwork and occupational diseases, hits the peak, it is necessary to prevent evils caused by the lack of serious discussions about this matter and bring true changes into living rather than the spread of consuming culture of advanced countries, which can never become universal for human society, ethically or ecologically, in order to cure the disease of workaholism completely in our society. Attachment to work affects our life styles, approaches to living, and modes of existence in this world. Workaholism also has a bad influence on all of those living together and having contact with, not simply being a personal disease.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latively more young people and women are distributed in the workaholism group. Second, there seems to be a serious phenomenon of workaholism caused by a feeling of employment instability. Third, there was a very high level of achievement-based workaholism phenomena that identify work with one's own values. Fourth,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living among workers in K Bank were found to be very materialistic.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schemes were presented. First, the quality of living for workers should fundamentally be secured evenly by the government, not by companies, which results in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welfare and social insur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channel based on a social system rather than to let Korean workers still with high relative depr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ly solely on income from wage through work as an economic means of inter-generation social mobility. Third, problems of child-rearing and educational expenses should be solved by society, not by workers or companies. Fourth, we should be able to see labor and rest as a pair of identical values so that we can recognize weekend work, night duty, irregular labor, maternity leave, and menstrual leave as important issues and open the road to realization of humanized society.

      • 환대산업 종사원의 일중독이 직장-가정갈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오창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Many workers of contemporary society often give up their own social life or leisure time because of the company affairs even on Sunday and holiday. Sometimes these situations may occur because of duty-related affairs such as the external situation, but some people cannot enjoy hours with their family, personal hobbies or leisure life, as they are always captivated by works due to their own internal pressure. This phenomenon brings about work-family conflicts. That is to say, work-family conflicts are caused by a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workaholism. Thu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relationship of workaholism on the work-family conflict, targeting employe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who showed high workaholism due to irregular working hours and excessive duty. Next,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 work-family conflict to the decision-maker of an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directly identify members' behavioral output, rather than conducting the study restricted to duty-related attitude, a proxy variable.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mbers' behavioral output that could actually influence the du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astly, the results of the work-family conflict show all the outcome variables are negatively influenced. However, to effectively manage an organiz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uld be increased by minimizing conflicts between the work and family. Thu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using a variable of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the work-family confli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as sampling groups 10 businesses of the hotel, restaurant and convention-related businesses, which have the highest potential of bring about the role conflict in time of the hospitality industry; handed out a total of 600 copies of questionnaire, 20 per business, in Jun 2015; carried out analysis with 372 of them.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was high among those who highly perceived work commitment and obsession, subordinate variables of workaholism, while low among those who highly perceived the sense of work enjoyment. Therefore, companies should create atmosphere that employees do not perform their duty with work commitment or obsession but feel pleased and rewarded, and implement fair and rational compensation policies. Second, it was found the more highly they perceive the work-family conflict the lower their altruistic and conscientious behaviors got. Therefore, companies should appropriately distribute hours consumed in the workplace and home to minimize the work-family conflict, ease the tension to make the tension not accumulated by fatigue due to the conflict, properly adjust working hours for them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role behavior in the workplace and home, and establish values of work and family. Lastly, as a result of the work-family conflict, self-efficacy functioned as a moderating variable, which could mitigate the nega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fore, companies should make an effort to strengthen self-efficacy of employe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workaholism does not have only negative effect in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That is to say, workaholism is not negative for companies that manage organizations but it can be used well as a means to increase efficiency of companies, if managed and adjusted well.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self-efficacy of employe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by reducing the work-family conflict; for this, it is essential to give correct and fair compensation for their performances. 현대사회 직장인들 사이에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도 회사업무 때문에 개인의 사회생활이나 여가 시간을 포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외부상황과 같은 업무와 관련된 일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자신의 내부적인 압력에 의해 항상 일에 사로잡혀 가족들과의 시간이나 개인의 취미 또는 여가생활을 즐기지 못하는 이들도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은 직장-가정간의 갈등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즉 일중독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의해 직장-가정갈등이 초래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적인 근무시간 및 과도한 업무로 일중독이 높게 나타날 수 있는 환대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일중독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조직의 의사결정권자에게 직장과 가정갈등의 중요성을 입증하려면 대용변수인 업무 관련 태도에 국한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보다는 직접적인 구성원의 행동적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 및 조직의 성과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성원의 행동적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장-가정갈등의 결과 모든 결과변인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최소화하여 조직의 유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라는 변인을 이용하여 직장과 가정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조절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표본 집단을 환대산업 중 가장 시간상의 역할갈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호텔, 외식업체, 컨벤션 관련 업체 중 가장 대표적인 기업체 각각 10곳을 선정하여 2015년 6월 동안 업체 당 20부, 총 6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372부를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몰입과 강박관념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직장-가정갈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일향유감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직장-가정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이 일몰입이나 강박관념을 가지고 일을 수행하기 보다는 일 행위에 대해 즐거움을 가지고,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 조성과 일에 대한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정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직장-가장갈등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이타행위 및 양심행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직장-가정갈등을 최소할 수 있도록 직장과 가정사이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적절한 배분, 갈등에 의한 피로로 긴장이 축척되지 않도록 하는 긴장완화,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행동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적정 근무시간 조정 및 직장과 가정의 가치관 정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직장-가정갈등의 결과 부정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조절변수로 자기효능감이 조절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의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일중독이라는 것은 개인과 조직차원에 있어 부정적인 효과만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중독이 조직을 관리하는 기업입장에서 부정적인 측면이 아니라 잘 관리하고 조정한다면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직장-가정갈등을 줄여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도록 종사원들의 자기효능감 강화 노력이 필요한데, 핵심은 성과에 대한 정확하고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일중독과 철학상담 :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을 중심으로

        김현래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에는 일중독 증세를 가진 사회구성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성과주의라는 가치가 시대의 흐름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일은 인간이 자유롭고 독립적인 주체로 살아가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성과주의에 집착하여, 일이 자신의 존재를 구속한다면 인간은 자유로운 주체로 살아가기 힘들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 실존의 비본래성으로부터 본래성을 찾을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무엇을 찾고 있다는 것은 찾고 있는 그 대상을 잃어버렸다 것을 의미한다. 본래의 자기 자신을 찾는다는 것은 본래의 자기가 은폐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일중독을 본래의 자기 존재를 스스로 소외시키고 상실한 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 중 하나로 파악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일중독 내담자의 세계를 분석하고, 철학상담으로 내담자가 본래의 자기를 찾아갈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어떤 일 앞에서 자기 자신을 몰아세우고 닦달하는 태도는 타자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 의미에서 일중독은 자기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동료들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필자의 관점은 노동을 존재의 부름에 대한 응답이라는 개념으로 간주한다. 이 논문은 일중독이 결론적으로 존재론적인 전도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즉 일이 인간에게 존재의 자리를 모두 차지한다는 사실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치유의 방법으로 철학상담의 논리를 제안해 볼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논문의 본문은 네 절로 구성되었다. 첫째 절에서는 인간의 노동과 여가에 대한 철학적 이해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절에서는 일중독에 대한 정의와 일중독이 증가하는 사회적 배경을 알아 볼 것이다. 셋째 절에서는 일중독 내담자의 실제 상담사례를 통해 그가 마주하고 살아가는 세계를 살펴보고, 넷째 절에서는 내담자의 사례분석을 토대로 하여 일중독 내담자가 은폐되어 있던 본래성은 회복하고 자기 고유의 삶을 살아 갈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철학상담 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number of work addicted people has been increasing. It shows meritocracy has become the utmost value of today. Work is the essential part of human lifestyle for people to achieve freedom and independence. But if coupled too strongly with meritocracy, it will be hard to keep him boundless from work. Heidegger advised the moderns who rushed into the inauthentic way of living to search for true authenticity. To search for something means to lose the object of that searched for. In other words, searching for authentic self somewhat implies a hidden authentic self. We understand work addiction is a form of the portrayal of the moderns, alienating and losing mine-self by oneself. This study analyzes the world of client, who suffers from work addiction, and attempts to find out if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aid the client to restore his own authenticity. One person's actions, such as storming through a plethora of task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not only himself but also his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Considering this point, work addiction affects adversely the life of not only the addicted person himself but also his family and colleagues. Moreover it raises a social problem. Work is a means to respond to the calling from Being. Although work is supposed to serve as human life, it makes people weary and life dry. Work addiction means people would be forced out of his own life and be replaced holistically by work. With this in light, this thesis aims to prove that work addiction is a kind of ontological reverse and proposes the metho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o make it right. To accomplish its purpose, this thesis unfolds its theory as follows. Chapter one examines a theoretical definition of work and free time. Chapter two investigates a social background having more work addiction as time goes on. Chapter three analyzes the world of client, who suffers from work addiction. And chapter four discusses the metho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o cure work addiction.

      • 근로자의 일중독 성향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경주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OECD, Korean employees work for 2,214 hours per year. This indicates that Korea is a country filled with workaholics. Reasons for long hours fall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company’s demand or rather personal reasons. One could just have been engaged in their job - the phenomenon is called job engagement. Others may feel the internal pressure to work that they have to do something consistently at any given time. The latter is called "workaholics" and this study focused employees with workaholism. Do workaholic tendency affect the performance of employee and organiza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following hypotheses: (1) Does workaholic tendency increase work-family conflict? If it is, (2) Does the social support in organization have buffering effect to this relation? (3) Does this relation have different patterns depend on employee’ employment status? Workaholism was measured with the Dutch work addiction scale (DUWAS, Schaufeli, 2009), which consist of two scales: "working excessively" and "working compulsively". Working excessively is measured with five items, including "I spend more time working than on socializing with friends, on hobbies, or on leisure activities". Working compulsively is also measured with five items including "It is hard for me to relax when I'm not working." Work-family conflict is measured with Gutek et al(1991)’s Work-family conflict scale of four items, including "My work takes up time I’d like to spend with my family and friends." Finally, Social support is measured with Iverson, Olekalns & Erwin(1998)’s social support measures, which consist of three scales: supervisory support, peer support, co-worker support. Supervisory support includes the item of "My manager is willing to listen to work-related problems". Peer support includes "My peers are helpful to me in getting the job done". Co-worker support includes "Fellow staff (from different occupations or professions) are willing to listen to my job-related problems". The result from 250 participants provided evidence that (1) workaholics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rather than family-work conflict and the degree of conflict is greater among employees in their forties than among those in their twenties. (2) Supervisory, co-worker, peer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main effect). Specifically,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3) However, one’s employment status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These findings show that an employee who has workaholics tendency would have a conflict at home caused by work. Earlier studies showed that work-life conflict predict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burn out. This study implies that workaholics which may encourage organization’s success, can eventually harm organization’s productivity. Additionally, employee’s level of work-life conflict is influenced by their ages, we also need different strategies for conflict management by their ages. Since the social supports have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aholic tendency, an appropriate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the employees. Organizations need to encourage social support because its cost is not burdensome but it has those positive effects.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may be caused by self-report data collected from a relatively homogeneous sample. So, the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because the common-method bias may be intertwined with the empirical result.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는 연평균 2,124 시간을 회사에서 보낸다고 한다. 세계최고 수준이다. 우리 근로자들은 조직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와 같이 오랜 시간을 업무에 투자하기도 하지만, 조직의 요구와는 별개로 장시간 근로를 스스로 선택하는 근로자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자신의 직무에 스스로 몰입되어 이러한 행동양상을 보일 수도 있지만, 일을 해야만 할 것 같은 강박감에 압도되어, 이러한 행동양상을 보이는 근로자들이 있다. 이를 일중독(workaholism)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이런 일중독이 근로자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제안하는 “좋은 일자리(decent work)”의 지표에서 볼 수 있듯이 근로자들의 ‘저녁이 있는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 가는 현실을 반영해 일과 가정의 양립, 즉 일·가정양립을 결과변수로 삼고 일중독 성향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중독 성향이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에 대한 갈등수준을 높이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중독 성향은 과도한 업무와 강박적 업무로 구분하여 측정했고 통계적으로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이러한 관계 즉 일중독 성향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 사회적 지원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원은 조직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사, 같은 부서 동료 그리고 다른 부서 동료로 구분해서 측정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계가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일중독 성향은 직장-가정갈등의 수준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변수를 포함했을 때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과도한 업무가 직장-가정갈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과 네덜란드에서 행해진 선행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둘째,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는 주체에 따라 나누어서 연구했는데, 상사, 같은 부서 동료 그리고 다른 부서 동료 모두 직장-가정갈등에 주효과를 가지고,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만으로도 직장-가정갈등의 수준을 낮출 수 있다. 그 중에서 상사의 지원과 다른 부서 동료의 지원은 일중독 성향과 상호작용을 통해 직장-가정갈등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 성향과 상사의 지원, 다른 부서 동료의 지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그래프로 그려본 결과, 업무를 과도하게 지각하고 있는 근로자는 상사의 지원이 풍부하다고 지각하면 직장-가정갈등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를 과도하게 느끼는 경우에는 다른 부서의 동료지원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의 직장-가정갈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를 강박적으로 느끼는 경우에는 집단에 관계없이 다른 부서의 동료지원이 주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일중독 성향과 직장가정갈등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만 살펴보았을 때 20대, 30대, 40대 간 직장-가정갈등을 경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연령별로 서로 다른 갈등관리와 지원전략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일중독 성향은 직장-가정갈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직장-가정갈등은 근로자의 이직의사와 직무소진의 예측변수이다. 이제껏 조직의 성공을 위해 격려되거나 방치되어온 일중독 성향이 오히려 조직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세 종류의 조직 내 사회적 지원이 모두 직장가정 갈등을 감소시키는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은 비용을 수반하지 않음에도 이러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조직에서 관심을 가지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지원 중에서도 상사의 지원과 다른 부서 동료의 지원은 일중독 성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장-가정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지원은 과도한 업무와의 상호작용 항이 유의하게 나타나 적절한 시기에 근로자에게 적용된다면 직장-가정갈등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른 부서 동료지원의 경우, 업무를 과도하거나 강압적으로 느끼는 모든 상황에서 다른 부서 동료지원을 높게 지각하면 낮게 지각하는 근로자에 비해 직장-가정갈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다른 부서 동료와도 교류하고 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 조직 내 개인의 조절초점이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한민국 사회 및 조직에서 증가하고 일중독 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일중독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의 인적자원을 운용하는데 결정적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대한 결과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할지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중독의 유형이 몇 가지로 구분되지만 각각의 유형에 따르는 효과를 구분하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일중독과 관련된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 또한 개인차원의 변수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다. 일중독의 유형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결과가 다르고, 각각의 일중독 유형을 예측하는 선행변수를 구분할 수 있다면 더욱 정교하게 일중독 현상을 이해하고 대처하기에 용이할 것이라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일중독을 성취지향적 일중독과 강박적 일중독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유형이 내적동기, 직무스트레스, 직무수행 등의 결과변수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일중독을 예측하는 선행변수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적 주인의식과 예방적 주인의식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주인의식은 개인의 조절초점유형과 차별적 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일중독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일중독은 주인의식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39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조절초점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향상초점은 향상적 주인의식에, 예방초점은 예방적 주인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일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향상적 주인의식은 성취지향적 일중독에, 예방적 주인의식은 강박적 일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절초점과 일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지향적 일중독이 높을수록 내적동기가 높았으며, 직무수행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박적 일중독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직무수행은 낮았고, 일중독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일중독의 신학적 심리학적 고찰을 통한 기독교교육방안

        장은실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일은 하나님의 창조계획과 함께 시작된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선물이자 인간을 창조사역의 동역자로 부르신 하나님의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일은 그 본질적 사명을 상실한 채 인간의 욕구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고 말았다. 일은 인간의 타락 이 후, 인간에게 슬픔과 수고, 그리고 고통으로 인식되었고, 하나님께 위임받은 소명으로서의 일은 일중독으로 변질되었다. 오늘날 성과위주사회에서 바쁨과 스트레스, 과로가 자신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훈장처럼 여겨지고, 일중독자들은 일중독에 대한 사회적 묵인과 암묵적 지지를 이용하여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려는 어리석은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일중독을 죄의 결과에서 파생된 영적 질병으로 보고, 일에 대한 성경적ㆍ신학적인 고찰을 통해 일에 관한 성경적인 관점을 확인함과 동시에 일의 타락한 부산물인 일중독 극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방안을 제언한다. 일에 대한 성경의 입장은 분명하다. 일은 하나님의 창조 역사와 함께 시작된 것으로 하나님은 일하시는 분이시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을 창조사역의 동역자로 삼으셨다. 그러나 인간의 타락 이후, 일은 거부, 분열, 과로, 번아웃과 같은 일중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 오셔서 피조세계의 완전한 구원과 회복을 이루셨고, 이 구원은 일과 일중독자에게도 해당한다. 고대 그리스ㆍ로마 사상가들은 노동에 대한 이원론적인 생각으로 정신적 활동을 높이 사고, 육체적 노동을 천시하였으나, 초기 기독교 시대에 형제애와 공공선을 바탕으로 한 노동의 가치가 다시 회복되기 시작한다. 이 후 중세시대에 이르러 직업을 성과 속으로 구분하는 이원론적 직업관이 등장하고, 독일의 종교개혁가 Martin Luther는 직업소명론을 통해 모든 직업을 하나님이 주신 소명 인식하고, 직업을 통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해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소명으로서 일의 의미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Luther의 직업윤리가 더 이상 현대사회에 적용 가능한 신학이 될 수 없음을 비판한 Miroslav Volf는 종말론적, 성령론적, 은사에 따른 일의 신학을 주장함으로써 일에 대한 인식 전환을 가능케 하는 신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신학적인 관점에서 일중독의 원인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죄의 종속된 상태에서 찾을 수 있다. 일중독자는 하나님과 관계적 힘을 상실하고, 인간의 죄성을 보여주며, 일을 우상숭배함으로써 일의 노예로 속박되었기에 죄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일중독자에게도 필요하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일중독자가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은 강박적으로 일에 집착하며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일에 할애한다는 점이다. 일중독은 심리적, 가정적, 사회적, 종교적인 원인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 및 가족 내에서의 기능장애, 조직에서의 갈등 및 영적생활에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은 인간의 죄로 인한 형벌의 결과가 아닌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선물이며, 하나님의 창조사역에 동역자로 참여할 수 축복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신학적ㆍ심리학적 관점에서 일중독 극복과 예방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안식일과 워라밸(work-life balance)를 통해 일의 본질적 회복을 돕는 것이다. 둘째, 축제의 장을 통해 일중독자 가정의 관계 회복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교회 공동체의 돌봄을 통해 일중독의 슬픔에서 벗어나 은혜로 전향할 수 있다. 넷째, 성취가 아닌 성령의 은사에 따른 소명으로 일할 때 일중독의 극복이 가능하다. 다섯째, 기도와 묵상을 통해 일중독의 회복을 돕는다. 여섯째,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사역의 협력자이고 나의 일이 하나님 나라에 기여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성령 안에서 희망으로 일하는 것이다.

      • 일중독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김지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mployee’s workaholism tendency, which is divided into working excessively (WE) and working compulsively (WC),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relationship conflict (RC). In addition, they study also explored whether the relationship is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by using a multigroup analysis. With a sample of 732 employees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used to tested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workaholism tendenc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was completely mediated by RC. Both WE and WC increased RC and it led to decreased job satisfaction. Workaholism tendenc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not mediated by RC. Second, the effect two subdimensions of workaholism was found to differ. For example, WE and WC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in opposite direction: WE increased the turnover intention whereas WC decreased turnover intention. Third,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workaholism and the suggested model. It was found that men showed more WE. Furthermore,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gender group difference in the path between WE and turnover intention: WE significantl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but only in wom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개인의 일중독 성향에 따라 일중독을 과도하게 일하기(WE)와 강박적으로 일하기(WC)로 구분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이 과정에 매개요인으로서의 관계갈등 역할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중독 성향과 관련 변수들의 성차를 확인하기 위해 남녀집단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표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자료 정규직 임금근로자 732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종단(longitudinal)연구로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중독이 관계갈등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효과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직무만족으로 관계갈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일중독 두 차원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효과의 방향이 다르며, 과도하게 일하기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고, 강박적으로 일하기는 이직의도에 감소시킨다. 셋째, 일중독 성차를 확인할 수 있다. 과도하게 일하기 성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도하게 일하기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남녀 집단 간 경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여자는 과도하게 일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 및 한계점은 논의에 함께 제시되었다.

      • 부모의 일중독 성향이 중·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오늘날 한국 사회의 두드러진 특성 가운데 하나는 치열한 경쟁이다. 기업을 비롯한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경쟁을 통한 성장과 발전을 강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대다수의 노동자는 직업 생활이나 업무 수행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증명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자연스럽게 장시간의 노동, 가정보다는 일을 중시하는 태도, 결과 중심의 사고방식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터에서의 사고방식은 가정생활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일중독 성향이 높은 부모들은 자녀의 양육이나 가족 간의 유대보다 직업이나 업무 수행에 더 높은 가치를 두기 때문에, 일과 가정이 양립하기 어려운 갈등 상황에 놓이면 가정보다는 일을 선택하게 된다. 특히 일중독 남성들은 일-가정 사이의 갈등 상황에서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일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합리화를 거치며, 가정을 포기하고 일을 선택하는 행동을 정당화한다. 특히 일단 일을 위해 가정을 포기하기 시작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가족들로부터 소외당하게 되고, 또 이러한 소외는 더욱 일에 집착하게 만든다. 또한 가정을 포기할 정도로 일에 빠져들어 사회적으로 성공하게 되면, 배우자와 자녀에게 일에서의 성공을 위해 관계를 희생하는 것을 당연시하도록 강요하면서 온 가족이 함께 일중독 가정으로 전락하게 된다. 부모가 일을 중시하고 가정을 등한시하게 되면 자녀는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 비교적 달성하기 쉬운 목표나 과업들을 선택하여 성공적인 수행 결과를 부모에게 보여주려고 노력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도전적인 과제는 회피하는 전략을 취하는 수행목표지향성을 가지기 쉽다. 또 사회적으로 성공한 부모가 자녀에게 높은 수준의 수행 결과물을 끊임없이 요구하게 되면, 자녀는 부모를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배움의 기회를 포기하고 학습부진아가 되거나 문제아가 되는 등 일탈자로서의 자기인식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부모가 자신의 일 또는 업무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와 가치관이 그들의 자녀 양육 태도에도 반영됨으로써, 부모의 일에 대한 태도와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 사이에 어떤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북구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가 일이나 직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양육태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자신들의 성취지향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볼 수 있는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조사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부모의 일중독(강박적 일하기, 가정보다 일을 중시하기, 성 취지향성)을 조사하였다.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부모의 일중독 정도에 따라 자녀들의 성취지향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어떤 성취목표지향성이 더 적응적이고 유리한 전략인지 알아보기 위해 성적 집단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배치분산분석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일중독(강박적 일하기, 가정보다 일을 중시하기, 성취지향성)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일중독 경향이 높은 부모들의 자녀는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이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다른 목표지향성보다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성적이 높은 집단은 다른 낮은 집단들보다 숙달접근 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행접근 목표지향성보다는 숙달접근 목표지향성 점수에서 성적 집단 간에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가 일중독으로 인해 가정보다 일을 중시하면서 강박적으로 일하기에 몰두하고,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양육태도를 보이게 되면, 자녀의 숙달목표지향성보다는 수행목표지향성을 강하게 만든다. 그런데 불행히도 수행목표지향성보다는 숙달목표지향성이 더 적응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이다. 왜냐하면 수행목표지향성을 가진 청소년은 판단 기준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과업에 실패했을 때 쉽게 자아에 손상을 입게 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적 과제를 시도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장기적으로는 자신의 성장을 방해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다음 세대인 청소년들에게서 새로운 과제에 도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는 숙달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는 청소년 개개인의 성장에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도 유리한 전략이 된다. 그러므로 부모들은 일과 가정 사이의 균형을 되찾고, 자녀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자녀의 과업 수행의 과정과 그들의 노력에 관심을 보여야 한다. 그런데 부모의 이러한 양육은 단순히 개인의 노력만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부모의 가치관과 양육태도 역시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에게 가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자녀가 보여주는 노력과 과정에 집중하라고 설득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은 부모가 사는 세계를 바꾸는 것이다. 부모들이 우리 사회가 덜 경쟁적이고 설사 경쟁에서 탈락하더라도 삶이 지속될 수 있는 사회 안전망이 갖추어진 사회라고 인지해야만 자녀의 과업 수행의 노력과 과정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수행목표지향성보다는 숙달목표지향성을 갖는 것은 사회 전체의 지속적 성장을 이끌어내는 동력이 되며, 사회 구성원들이 행복한 사회로 가는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Massive competition is one of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Not only the companies, but also the whole areas of the society emphasize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the competition, thus, majority of employees are requested to prove their capability through the tangible outcomes from their job performance or work life. And this naturally links to the overtime work, focuses on work rather than family and consequentialistic thinks. And this way of thinking at workplace directly reflects the home life. As the parents with the high degree of workaholism tendency gives higher value to job and work performance rather than raising their children or family relationships, they are more likely to choose jobs rather than family with the inevitable situation that the work and family can hardly alongside. Especially, males with high degree of workaholism justifies their behavior of choosing work in the inevitable situation through the justification process of feeding their families. Once they start giving up their family for jobs they will b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and this isolation creates more obsession towards to work. Hence, if the males achieve the social success with the obsession towards to work to give up their families, the whole family is more likely to become a workaholic family by coercing their spouse and children to sacrifice their relationship for social success. When parents are more focusing on their jobs rather than families, children are more likely to appeal successful performance outcomes by choosing easy tasks and goals to obtain the interests of their parents, with having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at is a strategy to avoid challengeable tasks. Also, as socially succeed parents endlessly request high level performance outcomes,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self considering as fringer by becoming a low level learning students or giving up their opportunities to study as they think that they would not satisfy their parents. This study has its objective to practically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orientation of children and the attitudes of parents toward their work as the attitudes and values of parents to their work or jobs reflect their children raising attitudes. In order to undertake the research, the survey has been undertaken to obtain data related to the ways of thinks and attitudes of parents toward their job or work, attitudes and goal orientation from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ho are in secondary schools in Seong Buk Gu. And the following contents has been examined based on the survey outcomes. ․Parental workaholism (compulsive working, more valuing to work, goal orientation)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alyse the goal orientation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rental workaholism through the one - way ANOVA. ․Gender goal orientation difference has been analysed through the one way ANOVA to decide which goal orientation tendency is more advantageous and implementable. The analysed outcomes are given as following. ․Parental workaholism (compulsive working, more valuing to work, goal orientation) has been found in a broad scales. ․The children with the parents who have more tendency of workaholism shows significantly high degrees in avoiding proficiency, performance approaching, performance avoiding goal orientation. Especially, performance approaching goal orientation has bigger difference compare to other goal orientation factors. ․The level of proficiency approaching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ing goal orientation have found high from the groups with high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groups. However, proficiency approaching goal orientation has bigger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mpared to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 outco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If the parents shows raising attitudes of consequentialism, compulsively working by focusing on work rather than family as a result of their workaholism, this will mak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f the children more stronger than learning goal orientations. However, learning goal orientation is unfortunately more effective and adjustable strategy tha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 reason is because of the fact that children with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an easily damage their self ego from their failures as the standard of judgment is externally placed, and not willing to attempt new challengeable tasks to avoid this damage to self ego. Further, this will be obstacle the self growth in a long term. Thus, it would be better for children to possess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as they attempt new challengeable tasks without any frustration from the failures, and this will be more advantageous strategy for children themselves as well as for the better future of our society. Thus, the work and life balance of parents must be returned, being interested to their children, and paying attention to the efforts and the process of task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However, this raising children cannot be conducted simply by their own efforts. The values and raising attitude also created by our society. Thus, it may not be enough to persuade parent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concentrate on efforts and progress of their children. Preferably, the more important issue is to change the world where the parents are living. Parents can ultimately concentrate on the efforts and process of children's task performances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society is has well social security to live with less competition and enjoying sustainable life after losing from competitions. Also, the fact that children are having learning goal orientation rather tha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an become a power to lead the socially sustainable growth, as well as one of the ways for the social components are becoming hap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