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문의 변형광고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신문사, 광고주, 광고회사 종사자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동욱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est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about abnormal advertisements in newspapers amongst newspaper companies,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newspaper reporters,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y staff.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regarding abnormal advertisements on newspapers amongst advertising actor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useful data in designing abnormal advertisement strategies and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for implementation of abnormal advertisements.The researcher reviewed recognition, image, effects and prospect of abnormal advertisements, and examined the ways to activate them. Although the three groups of advertising actors had high levels of perception on abnormal advertisements, the survey found that newspaper companies had quite a negative perception regarding abnormal advertisements, unlike advertisers or advertising agencies. In other words, newspaper companies had great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refusal by readers which may reduce reliability of newspapers, and infringement on readability of news, although they were accepting the abnormal advertisements as an alternative for the increase in advertising revenues. This study confirmed why newspaper companies could not accept too exceptional abnormal advertisements suggested by advertisers or advertising agencies.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ie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n the effects and prospect of abnormal advertisements than newspaper companies, while their perception about activation of the abnormal advertisements differed from each other.Abnormal advertisements need to be established to the extent that readers can accept them. Exceptionally, abnormal advertisements infringing on readability of news would result in a decrease of reliability of newspapers. Abnormal advertisements should be in an overall harmony with the edition of news. In particular, advertisement-centered edition with advertisements overriding news should be avoided. 본 연구는 신문의 변형광고에 대한 신문사와 광고주, 광고대행사 간의 인식차이를 분석,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신문사 기자, 광고주 및 광고회사 광고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신문의 변형광고에 대한 주체별 인식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변형광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 앞으로 변형광고를 집행함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우선 변형광고에 대한 인지와 이미지, 효과, 전망, 활성화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세 주체 모두 신문의 변형광고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지도를 보여주었지만 이미지부문에서 광고주나 광고회사와 달리 신문사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 광고수입을 늘리려는 차원에서 변형광고를 대안으로 받아들이면서도 독자의 거부감, 신문의 신뢰도 저하, 기사 가독성 침해 등을 크게 우려하고 있었다. 그리고 광고주나 광고회사의 지나치게 파격적인 변형광고 유형을 신문사에서 수용할 수 없는 이유를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변형광고의 효과, 전망부문에서는 신문사보다 광고주, 광고회사가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활성화부문에서는 주체별 이해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변형광고는 독자의 수용 범위내에서 정착돼야 한다. 기사 가독성을 침해하는 파격적인 변형광고는 결국 신문의 신뢰도를 떨어지게 한다. 기사 편집과 전체적인 조화를 전제로 한 변형광고가 요구된다. 특히 광고가 기사에 우선하는 광고 중심의 편집은 지양해야 한다.

      • 우유일반광고가 우유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

        한호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367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ed of generic milk advertising on the milk consumption in Korea using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he monthly data from July 1999 through June 2007 in used. Since the generic milk advertising was broadcast on an irregular basis, every year, it generate missing observations. When it is distributed monthly basis. Accordingly, this study used regression imputation, linear interpolation, mean imputation, and linear trend imputation to make up for the missing observations in performing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ndicated that when shock was given to the generic milk advertising expenditure, milk consumption increased for up to two months and after then it slowed down eventually going back to the equilibrium of milk consumption. The result of the variance de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dvertising expenditure affect the milk consumption to change from 0.9% to 3.9%.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generic milk advertising has a positive impact on milk consumption though it is not significant due to the recent declination in milk consumption. Therefor the effort, such as advertising, on expanding, milk consumption should be kept, otherwise milk consumption may fall more than the current level.

      • 기능성화장품 광고의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 제품유형별 소비자 반응조사를 중심으로

        김효성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화장품법에 규정되어 있는 기능성화장품제도 시행이후 기능성 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의 제품유형별로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알아보고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더 광고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화장품 광고를 크게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광고소구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아직까지는 광고효과 제고를 위한 측면에서의 광고소구유형별 화장품 광고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이번 연구에서는 화장품 광고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를 위해 우선 그 동안 잡지매체에 집행된 화장품 광고의 2개 제품유형을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을 대상으로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메시지위주로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에는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주로 사용되는가? 둘째, 제품의 유형별 광고에 있어서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은 광고 소구유형에 따라 광고효과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에 있어서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는 소비자의 연령과 제품 사용정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서 지난 2년간(2000년 7월 - 2002년 6월) 잡지매체 20여 종류에 게재되었던 화장품 광고 국내외 30개 브랜드 246편을 미백제품과 주름개선 제품의 두 가지 제품유형을 대상으로 광고소구유형을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구분하여 어떤 광고유형이 사용빈도가 높은지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광고소구유형이 실질적으로 광고효과가 있는지,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평가, 구매의도 등 광고효과지표에 대한 광고소구유형들의 광고효과차이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화장품 광고에 사용된 광고소구유형은 전체적으로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성화장품에서는 이성적소구가 감성적 소구보다 약간 높게, 일반화장품에서는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유형별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에 대한 조사결과에서는 미백 제품과 주름개선 제품의 두 가지 제품유형은 이성적 소구나 감성적 소구나 광고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연령 및 제품사용정도에 따른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차이를 소비자 연령에 대한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한 결과 모든 광고효과지표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광고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소구유형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20대-30대의 경우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감성소구,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이성소구가 높은 반응을 보였고, 40대의 경우에는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에는 이성소구가, 구매의도에는 감성소구가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제품유형별 효과 차이는 모든 연령층이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미백 제품을 선호하였고 제품태도에 있어서는 20대-30대가 주름개선 제품을 40대가 미백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층이 주름개선 제품을 선호하였다.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과 광고효과차이는 20대의 경우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에 있어서는 일반화장품 을,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30대-40대는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을,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일반화장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사용정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는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에 관계없이 제품사용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광고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백 제품은 감성소구, 주름개선 제품은 이성소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의 결과, 화장품 광고는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을 구분하여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등 소구유형에 따라 차별화 하여 소구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품 소비자들에게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은 차별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인식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소구유형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여성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이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자신의 피부에 맞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등 민감한 개인적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화장품 광고에 있어서는 비록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으로 제품이 구분된다 할지라도 그에 따라 소구유형이 변화해야 하는 당위론이 지지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구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점은 화장품소비라는 것이 제품을 직접 확인하거나 샘플사용 후 결정된다는 여성소비자의 제품사용 및 구매의 패턴을 고려 할 때, 특정한 소구유형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제품속성과 정보중심의 이성적 내용을 반영한 감성적 광고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 specified by the Cosmetics Code - depending on advertising appeal types and test which type will be more effective. To this end, the advertising methods were divided in large into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Few preceding studies reviewed the advertising effects for cosmetics depending on appeal types, so the advertisements carried so far on magazines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appeal types based on their messages, while the cosmetics featured thereupon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Then,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which appeal type is primarily used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depending on their appeal type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as per appeal type depending on consumers' age and length of us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246 advertisements of 30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 whitening and anti-wrinkle ones - carried on some 20 magazines for the last 2 years from July, 2000 to June, 2002 were divided into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and thereby, the frequencies of using the cosmetics were surveyed as per advertising appeal type.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which appeal type is more effectiv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and products, their purchase intention and other advertising effect indices were tested as per advertising appea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appeal type was used more than reasonable one for advertising the cosmetics. To be more specific, functional cosmetics were advertised in a more reasonable way, while ordinary cosmetics were advertised in a far more emotional wa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as per appeal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the two appeal types as far as whitening and anti-wrinkle cosmetics were concerned. Third,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consumers' age and length of use was found significant for every advertising effect indices. The older an consumer was, the advertising effect was higher and vice vers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vertising effects as per appeal type, it was found that those in 20's and 30's responded more to emotional appeal type, while their attitude towards the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ffected more by reasonable appeal type. In contrast, those consumers in their 40's responded more to reasonable appeal type in term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oducts, while their purchase intention was more affected by emotional appeal type. On the other hand, the consumers of every age group preferred whitening products in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In terms of attitude towards products, those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anti-wrinkle products, while those in their 40's favored whitening ones.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the consumers of every age group preferred anti-wrinkle products. Those in their 20's preferred the ordinary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oducts and preferred the functional cosmetics in terms of their purchase intention. In contrast, those in their 30's and 40's preferred the functional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eferred the ordinary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a consumer used a cosmetic, she was affected more by advertisement regardless of functional or ordinary cosmetics. The whitening products were more promoted by emotional appeal type, while the anti-wrinkle ones were more promoted by reasonable appeal type. As discussed above,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or ordinary cosmetics between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were not much different. Such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s do not differentiate functional cosmetics from ordinary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between the two appeal types, which suggests that women consumers tend to use the same cosmetics suitable to their skin on a continual basis even though they are functional. In conclusion, even if the cosmetics can be divided into functional and ordinary ones, the argument that the appeal types should be different as per category of cosmetics may not well be supported. Moreover, the find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peal types suggests that the consumers proceed to purchase their cosmetics after testing their samples to their skin, and therefore that the advertisement should be designed not by a certain appeal type but by the mixed type featuring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 신문의 변형광고와 일반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형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02

        본 연구는 변형광고 효과가 기존의 일반광고에 비해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봄으로써 신문광고의 효과를 높이고 변형광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변형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40대 성인 여성 103명에게 일반광고와 변형광고를 노출시킨 뒤에 상표 회상도, 그리고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제품의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상표 회상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광고에 대한 태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광고시청 태도별로는 광고형태에 주안점을 두는 소비자가 광고내용에 주안점을 두는 소비자보다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구매의도는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신문구독과 광고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신문구독 정도에 따라서는 광고형태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가 차이가 없었으나 광고형태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에 대해 시선을 끄는 광고, 신뢰감이 가는 광고, 흥미가 느껴지는 광고, 구매욕구가 높은 광고, 기억에 남는 광고, 쉽게 이해되는 광고라고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변형광고가 일반광고보다 광고 효과가 더 높았으며, 소비자들은 일반광고보다 변형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형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광고태도와 광고효과, 소비가 가능한지를 파악함으로서 변형광고의 확대 실시 가능성을 보다 넓혀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변형광고는 크리에이티브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형태변형만 고집해서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변형광고 운영에 있어 치밀한 광고표현이나 매체계획이 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uperior effect of transformed advertisement to general advertis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newspaper advertise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ransformed advertisement. 103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looked at general advertisements and transformed advertisements, and then examined of their remembrance of the brand name, attitude toward the ads, and their intension to purchase the goods in the ad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degree of remembering the brand name was higher for the transformed ads than for the general ad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ads was more positive at the transformed ads than at the general ads, which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attitude of watching ads, customers who focused on ad type were more positive than who focused on the content of ads. Third, purchasing intention was higher for the transformed ads than for the general ad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rth, as to the customers' attitude by newspaper subscription and ad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ustomers' attitude by the degree of newspaper subscript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by the type of ads. The customers evaluated that transformed ads are more eye-catching, reliable, interesting, highly making them want to purchase, memorable, and easily understood than general ads are.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ransformed ads are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ds, and customers were more positive to transformed ads than general ads. The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broadened the feasibility of expanding transformed ads as it investigated customers' response to the transformed ads, advertising attitude and the effect of ads, and whether or not making the customers purchase the goods. But, transformed advertising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effect if it persists on just the transformation of the ad type without supporting with creativity. So, it is suggested that ad expression in detail and media plans are to follow the running of transformed ads.

      • 일반의약품 광고의 소구방법 연구 : 우루사 TV광고를 중심으로

        황유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1978년 '웅담성분의 간장약' 이라는 카피로 매체 광고를 시작한 이래 최근 '피로와 한 판, 우루사 한 판' 이라는 key word로 광고의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 대웅제약의 우루사 광고를 중심으로 과열 경쟁되고 있는 경쟁사들의 피로회복제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과 피로회복제 사용실태, 피로회복제 브랜드 결정 요인등을 조사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의약품 광고의 소구 방법을 예측해 보았다. 본고의 연구분석 결과 세분집단별 광고인지도 피로회복제 광고중에서 우루사는 최초 상기율로 72.7%, 인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아로나민 골드 17.3%, 기타 브랜드의 광고 최초 상기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살펴보면 우루사 TV광고는 표현 방법에 있어 제품 품질 광고 및 이미지 광고로서 감성적 소구 형태를 띄고 있으며, 모델유형에 있어서 아이케쳐(Eye Catcher)로서의 효과를 이용한 강력한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가 소비자의 광고인지도 최초 상기율 1위로 우루사 광고가 업계 1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그러나 더욱 높은 판매고과 매출 증진을 위하여 대웅제약은 우루사 광고에 대한 목표를 세워 그에 부흥하기 위한 전략으로 '우루사-피로-숙취해소' 의 이미지 연합과 인지도를 강화시키고 젊은 세대와 여성층으로의 타깃 확대를 통해 우루사의 구매 의향을 높여서 매출 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첫째, 우루사의 구매 의향을 높여서 매출 증진에 도움 주고. 둘째, 타깃의 연령별/성별 확대 젊은 세대, 여성층의 구매의향을 증진시키며, 다양한 연령층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른바 "멀티플 타깃" 광고 전략. 셋째, '우루사-숙취 해소' 연합 강화 우루사의 숙취 해소, 간장보호 기능을 알린다. 우루사는 피로할 때마다 자신이 직접사서 약국에서 드링크제와 같이 복용하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으며, 1974년부터의 광고의 효과와 제품 브랜드에 대한인지가 확실히 되어 있는 대웅제약의 우루사 TV광고도 고객행복, 고객만족의 개념을 도입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강화시키며 기업차원의 광고를 더욱 확대 시켜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가 신약입국의 기틀을 다지게 되면 제약광고의 방향은 단순히 지식전달형' 이나 '정보제공형' 에서 한차원 높은 '파워 브랜드 기업이미지' 의 틀로 그 궤도가 완전히 수정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파워 브랜드 기업이미지' 광고는 정보제공형 보다 제품력을 홍보하는 구체적인 디데일이 부족 할 수는 있으나 이미 우루사에 대한 브랜드 인식이 높은 상황에서 기업 이미지 및 캠페인등을 통해 파워 브랜드 이미지 만들기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광고는 당장 수익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비용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기업의 엄연한 자산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며, 21세기는 이 같은 흐름이 대중광고나 전문광고의 한 축을 이를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study, the consumer awareness, realities of' using anti-fatigue medicine, and factors of choosing brand of anti-fatigue medicine of rival companies that compete over-heatedl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cusing on URSA advertisements of Daewoong Pharmaceutical, which is one of the successful cases of advertisement under the recent keyword 'A round with fatigue, a round with URSA' that started off with medium advertisement in 1978 with the copy 'Liver medicine of bear's gall', in order to predict the approaching method for better advertisement on medicine for consumers. As the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among the anti--fatigue medicine advertisement according to detailed group, the recognition was very high for URSA with 72.7% of initial recollection level, there was 17.3% of initial recollection level of Aronamin Gold, and there the initial recollection level for advertisements of other brands were very low. It was analyzed that the expression method of TV advertisement for URSA, is of sensitive approaching form, as an advertisement for the image and product quality, and it was focused on conveying a strong message using eye-catching effect. It was studied that URSA advertisement took the first place in the recognition level in this line of busines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sales, Daewoong Pharmaceutical should set an aim on URSA advertisement and as a strategy to increase sales by increasing the intention of purchasing URSA, the images, 'URSA-fatigue-hangover cure' should be combined to strengthen recognition level, and the target on the younger generation and women should be expanded. Firstly, in order to increase sales, the intention to purchase URSA has to be increased. Secondly, the target sh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younger generation and women- to increase purchasing intention, and a 'multiple-target' strategy that conveys messages to diverse age groups. Thirdly, the combination of 'URSA-hangover cure' should be strengthened to inform consumers about the hangover-reducing and liver-protecting functions of URSA. URSA is perceived to be a brand that is bought in pharmacies whenever one is fatigue and taken-in with a drink-potion,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and the recognition on the brand, which have been effective since 1974, should introduce the concepts of customer happi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brand image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advertisement on the company scale will be expanded. If we keep after the key point of founding of new medicine, there is a prediction of a possibility that the direction of pharmaceutical advertisement will totally be amended from 'knowledge transmission form' or 'information provision form' to a higher dimension of 'power brand company image'. In the 'power brand company image' rather than providing information, there could be a lack in concrete details that publicizes the power of product rather than providing information. All concentration should be put forth in making a power brand image through campaigns and company image in the situation that the brand perception on URSA is already high. Advertisements do not effect the profit straight away therefore it could be misunderstood as expenses but it should be realized that it is the asset of increasing the brand value of a company. In the 21st century, such flow will accomplish a bearing of public advertisement or specialized advertisement.

      • 옥외광고물에 대한 광고주와 일반시민의 의식 분석에 관한 연구

        허일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5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focus on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sponsors on the disorder and discord caused by outdoor advertising signs.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that causes visual pollution and impedes the street scape of commercial areas where surveyed and analyzed to unve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visual feeling and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to unveil the main factors of visual pollution and unveil the factors tha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outdoor advertising sign environment.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one (1) central district of Pusan City and two (2) districts outside the central district Pusan City were surveyed to unve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general perception was compared and was analyzed. After that, the general perception with regards to the streetcape, building, colour and attachment (installation) and production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were analyzed. The visibility perception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was analyzed based on six (6) different criteria namely; uniformity, balance, space, brevity, brightness and attractivenes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general perception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general percep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greatly influence each other. When it comes to the spatial element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s the quantity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increases unfavorable preference from the general public and advertisement sponsors. When it comes to the design and production idea of plane elements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the attractiveness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gained a lot of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and advertisement sponsors.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of the sponsors of the advertisements when it comes to outdoor advertising signs are similar and seems to coincide. It was also unveiled that the general public is more sensitive when it comes to attractiveness of the outdooradvertising signs. The quantity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nd the visual pollution caused by outdoor advertising signs is higher when it comes to the central districts of the city than in districts outside the city.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 colour of the advertising signs is lower in central districts than in districts outside the city.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number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or control the total number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When it comes to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with respect to balance, space, brevity, and attractiveness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were high. Basically, the perception with respect to the colour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was low. The general public showed more attention than the sponsors of the advertisement when comes to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is a need to reform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since it influences the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trol the number or quantity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and we have to concentrate more on the attractiveness and design rather than on the colour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Third,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coincides with the advertisement sponsors therefore unified policy must be employed in when it comes to design and production of outdoor advertising signs. Fourth, there is high degree of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 problem brought about by the disorder of the advertisement environment in the central districts of the city. Fifth, When it comes to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with respect to balance, space, brevity, and attractiveness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were high. Therefore, order and rules must be set in the advertisement environment. In other words, we must pursue to attain "Variety in Unity" and refine the outdoor advertisement materials environment in order to help improve the condition of the business in the district.

      • TV 광고에 나타난 '교육 신화'의 기호학적 분석

        박정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15887

        본 연구의 목적은 TV 광고 텍스트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서 창조되어 사회에 유포되고 있는 지배적인 교육 신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신화가 어떠한 교육문화를 양산 하며 학벌주의를 재생산하고 다시 공고화해 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고가 텔레비전이라는 매체를 차용하여 신화를 유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대중매체와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TV 광고가 사회에 미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광고가 유포한 교육신화가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이것이 학벌주의와 관련됨을 논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신화를 몇 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각 범주의 대표적인 광고를 선정하여 기호학적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텍스트 분석 결과 수월성 교육을 내세우는 앞서가기 신화, 여성의 성역할을 강조하는 모성 교육 신화, 두뇌의 우수함만을 추구하는 우수두뇌 신화, 성공한 인물을 내세워 우월적 지위부여의 원인을 당연시하는 동일시 신화, 원하는 모습의 객체화된 인간을 그린 연금술 신화가 있다. 이러한 교육신화는 광고의 상업적 전략에 따라 조장되고 유포되어 교육의 본질을 왜곡하고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를 강화시킨다. 또한 계급의 문제와 구조적 불평등성에 눈감고 서열화 된 학벌주의 사회를 온존시키고 공고화한다. 이에 혼란스러워진 교육 문화의 실태를 직시하고 그 신화적 성격을 드러냄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탈신화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