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일기쓰기가 초등학생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문지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초등영어는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을 영어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문자언어와 구두언어 모두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하는 능력을 의미하지만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에서는 음성언어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의 영어 교수법은 의사소통중심접근법, 총체적 언어교수법과 같이 언어의 네 가지 기술을 분리하여 가르치기보다는 처음부터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를 통합하여 가르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쓰기 교육은 학습자에게 언어요소의 사용 능력을 전반적으로 신장시켜 주고 논리성을 발달시킨다 하여 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개발을 위한 창조적인 글쓰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 외의 별도의 쓰기 활동이 필요하며, ‘영어 일기쓰기’가 그 중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7차 교육과정 중 초등영어에서 6학년 심화과정으로 일기쓰기를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영어일기쓰기 활동을 주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영어일기쓰기가 학생들의 전반적인 쓰기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자의 수준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생들이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인 측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주간 주 3회 영어일기쓰기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지필고사와 설문지 그리고 영어일기를 비교하여 조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일기쓰기는 학생들의 쓰기능력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따른 영어일기쓰기의 효과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에서 비슷한 수준의 영어쓰기능력 향상을 보여,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영어일기쓰기가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실제 자유 작문에 대한 쓰기능력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영어 일기 작성 내용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모국어 의존도 및 일기쓰기 분량에서 약간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상,중,하위 그룹중에서는 상위 그룹의 학생들에게서 가장 큰 쓰기능력 향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어일기쓰기가 학습자의 영어쓰기능력 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으며 영어 일기쓰기 경험을 가지고 있을수록 영어 일기쓰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영어일기쓰기는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의 영어쓰기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공립학교와 같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이 있는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좋은 학습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쓰기 능력을 키우는 데에 가장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일찍 노출 될수록 다른 영역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때부터 일기쓰기와 같은 유의미한 작문에 노출되도록 교육한다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curriculum in Korea is to develop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and to culti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both in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However, in practice, Korean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focuses too much on oral communication so that writing has been neglected in comparison to oral skill. Presently, it is becoming more recommended to teach four skills at the same time, not one by one which can be found in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or total approach. Moreover, writing plays a important role in English education because of its effect to improve the use of language skills and to develop logical thinking. To implement creative writing sessions for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extra curriculum beyond class hours is required and it can be the one of the ways to implement an 'English journal writing activity' which is highly recommended by the seventh elementary curriculum for six grader's English as a further activ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the use of English journal task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iting an English journal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compare the effec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level.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with 60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students were required to keep journal three times weekly.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skills. Second,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 students shows similar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skill, proving that English journal writing helps students improve writing skills at all proficiency levels. Third, English journal writing gives positive effects on the amount of journal writing and less use of their first language in free writing. It influences the high proficiency student the most. Finally, Most students agreed on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journal writing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regardless of their preference, and if students have experiences of writing journals in English , they tend to be more fond of writing journals in English. Based on this study, It is highly suggested to practive English journal as writing tools in public eduction, for English journal writing helps students improve writing skills at every proficiency level. in addition to this, exposure to meaningful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improves not only the student's writing skills, but other skills as well.

      • 수업일기 쓰기 활동이 국어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에서의 교육은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학습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하는 방법을 아는 학습자를 기르는 것이 주요한 목표이다.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학습 능력과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드백이 필요하고, 교사들은 학생의 학습 개념 이해와 수업 내용의 숙달 정도,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부분이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학습 내용과 방법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방법은 개별적이라기보다는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질의응답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확인할 수 없으며 그로인해 개별적인 학업 수준이나 정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업에 대한 흥미를 잃기가 쉽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 수업을 마치고 학습자가 수업 시간에 공부한 과정과 내용을 학습 일기 형식으로 정리해 보는 것이다. 수업 일기를 꾸준히 쓰면 학생 스스로 학습한 내용이 머릿속에 체계화 되고, 무엇을 아는지 모르는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점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국어 수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품의 감상, 글쓰기, 토론하기, 국어 지식 습득 등 여러 가지 국어 교육 과정을 정리하는 글쓰기를 통해 국어 학습 능력을 높여주고, 또 새로운 작품을 만났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새로운 작가를 알게 되었을 때 무엇이 궁금했는지, 본 수업 시간에 대한 특별한 감상 등을 기록하게 하여 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일기 쓰기의 국어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업 상황과 유사한 실험 상황을 설정한 후,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 수업 후 수업일기 쓰기 활동을 실시한 후의 학업 성취도와 독서 능력, 문학 태도, 쓰기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수업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Ⅱ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다. 수업일기의 개념과 의의를 정리하고 쓰기와 학습의 연관성, 메타인지의 개념과 효과를 논의하면서 수업일기 쓰기 활동이 학습능력 및 학습동기, 교과 흥미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 학습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수업일기 쓰기 활동의 과정을 상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두 개 반 70명이다. 실험 집단 35명에게 14주 동안 수업일기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총 5종으로 국어학업 성취도 검사, 독서 능력 검사, 문학 태도 검사(동기, 흥미 영역), 쓰기 동기 검사, 국어 수업일기 쓰기에 대한 반응 질문지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연구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일기 쓰기 활동을 통해 국어 학습 능력과 독서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문학 태도에 대한 흥미도 높아졌다. 학급자의 반응 역시 수업일기 쓰기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도 높았다. 이는 수업일기 쓰기 활동이 학생 스스로 새로운 지식을 찾을 수 있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을 반복하는 수업이 아니라 이미 밝혀진 수업이지만 학생에게 자신이 지식을 발견했다는 기쁨과 함께 지식을 찾고자 하는 욕구를 불어넣어 줌으로써 지식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잡아줄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실험 결과에 따른 결론을 내리고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정리하였다. 수업일기 쓰기 활동을 통해 국어 학습능력과 독서 능력을 신장시키고 교사의 답 글을 통해 학생들의 오 개념을 수정하고, 학습 동기를 북돋아 주며 교사와 학생 상호간에 의사소통으로서의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토대를 구축하는데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In modern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e education is to train learners who positively participate to the courses, incessantly observe their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ritical introspection, and how to learn as well as the contents. Learners need a feedback that can enhance their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s. Also instructors need reasonable evidences which can grasp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ideas and study contents that motivate learners' interests. Nevertheless, in fact, most communication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in class consist of question-answering forms for the whole rather than for the individuals. This way cannot hold each learner's differences; therefor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grasp the differences of learner's study-level but also easy for learners to lose their interests in classes. In this research, a learner organizes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study as a diary form after the Korean class. Constant writing class-diary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examine what they know and what they do not know by themselves and systematizes the contents they learned. This research started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raise the learning ability through organizing several language courses including appreciation of the works, writing , discussion and acquisition of linguistic knowledge and that it would cause some changes in learners' attitudes making them report what they felt and wondered when they faced now works or writers and write down their own impressions on the class. I made 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verify the class-diary's effects on the studying ability and attitude. Therefore, experimenting with 2nd-year-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imilar situation with the ordinary classes, I found out th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s, reading abilities, and writing attitudes after writing the class-diary and observed the responses of the learners to the activity. Chapter Ⅱ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 saw the effect of the class diary on the increase of the interests in course, studying ability and motive arranging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diary from the viewpoint of the cognitive theory and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studying. In chapter Ⅲ, I gave a full account of the way of experiment and the process of the writing class-diary.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70 students of 2nd year middle school in two classes. I made 35 members of them write the class-diary for 14 weeks. Experimenting tools were five: that is, examin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reading-ability, test of attitude for the literature(motive, interests), and motive of writing and questionnaire of the response to the class-diary. In chapter Ⅳ, I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experiment. There was positive effects on the rise of the learning and reading ability and the interests in the literature were increased, too. Also, the response of the learners was affirmative and the rate of students who feel the necessity of the activity was high. This proves that creating an ambience that learners can find out new knowledge themselves, inspiring the pleasure of looking for facts by themselves and desiring to discover knowledge, class-diary can correct the errors mad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Finally, in the chapter V, I got to a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arranged the limitation of the experiment and the suggestion. We should have active concern to increase the learning and reading ability through writing class-diary, to correct the learners' misconceptions through teacher's model-writings and to construct a foundation that causes students to write as a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heir teacher.

      • 일기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아동의 일기쓰기 및 흥미에 미치는 효과

        김선화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일기 쓰기 지도에 있어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일기 쓰기 흥미와 써 온 일기의 글자 수 그리고 회 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피험아동은 부산 시내 S 초등학교 3학년 3개 반 남녀 아동 71명이었으며 이들은 각각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칭찬집단 24명, 부정적 피드백을 받은 지적 집단 21명, 나머지 26명은 단순하게 확인만 받은 일반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으로 무선 배정했다. 2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선정한 변인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자작한 측정도구인 쓰기 흥미검사를 하고 5일간의 일기 쓰기로 기초선 조사를 했다. 그리고 5주간의 실험처치 후 다시 실험처치 전에 실시한 적이 있는 동일한 쓰기 흥미검사를 실시했다. 기초조사 5일간과 실험처치 5주 동안 아동들은 일기 쓰는 회수는 매일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자율에 맡겼으며 일기 쓰는 주제도 아동들의 자율로 선정해서 쓰도록 했다. 기초선 조사 때에는 피드백을 실시하지 않았고, 실험기간에는 아동이 제출할 때마다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실험집단 아동의 일기 흥미, 써 온 일기의 글자 수, 일기 쓴 회 수의 성별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 전과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일기 흥미, 글자 수, 회 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칭찬집단이 단순한 확인의 침묵을 피드백으로 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일기 흥미와 글자 수 그리고 일기 써 오는 회수가 높았으나 부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일기 써 오는 회 수는 통제집단의 일기 써 오는 회수에 비해 높았지만 일기 흥미와 일기 글자 수에서는 지적 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에게 일기 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아동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칭찬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일기 쓰기에 관련된 성별간의 차이에서는 일기 흥미와 일기 쓰는 회수, 글자 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일기쓰기에 있어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은 모든 아동에게 단순한 확인보다는 꾸준한 피드백으로 부정적인 피드백의 제공 빈도를 줄이며, 보다 긍정적인 성향의 피드백을 제공해 주는 것이 질적 개선과 자발적인 참여의 계기가 될 것이며, 이것은 일기 쓰기뿐만 아니라 아동의 글쓰기 전반에 걸친 흥미와 글쓰기 능력의 신장으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ypes of teachers' feedback in diary writing instruction on children's interest in diary writing, number of words of their written diary and frequency of the writi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71 boy and girl students of 3 classes in their 3rd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praise group consisting of 24 members receiving a positive feedback, the indication group, 21 members receiving a negative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the remaining 26 who just take a check-up as an ordinary feedback. The measurement device used here was Writing Interest Te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ith variables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test were applied both the two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All these groups were also processed through a baseline survey in form of a 5 days' diary writing. After a 5 weeks' experimental treatment, then, the interest test same as foresaid was carried out. During that time, those children were asked to write a diary everyday, but allowed to decide the ultimate frequency and theme of diary writing at their discretion. After the experiment, differences in interest in diary writing, words of the written diary and the frequency of the writing among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t-test.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investigated using One-Way ANOVA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respectively.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praise group who received a positive feedback were higher in interest in diary writing, more in words of the written diary and more in the frequency of the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who just took a check-up as an ordinary feedback. Another group who received a negative feedback were higher in the frequency of diary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Meanwhile, interest in diary writing and the number of words of the written diar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dication and control groups. Importantly. teachers' positive feedback like in the form of praise may promote children's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diary writing. Second, the surveyed children showed no differences in interest in diary writing, number of words of the written diary and frequency of the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Quality improvement in diary writing and childr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writing would be possible if teachers provide children with more positive feedbacks, reducing negative ones and avoiding just check-ups. This would be also true of interest in writing itself, improving writing skills.

      •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일기쓰기 지도에 대한 인식

        이지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structions for keeping a diary have been given in a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in expectation of a highly educational effect on an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y out of beautiful emotions. However, unlike the purpose of the teachers, the students are likely to feel obliged to keep a diary. Therefore, there appears to be a need to improve the method for keeping the diary while identifying the problems in the instruction for keeping the diary. The study aims to seek out the purpose and methods in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ba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o currently give the instruction, and to compare any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the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and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instruction. With this aim, the study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1-1. What is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1-2. What method is used for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2.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keeping a diary? 2-1. What is the sense of purpose for keeping a diary? 2-2. What makes it difficult to keep a diary? 3. What is the problem and solution for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employed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imed at 10 teachers and students in H Elementary School in Jeonju, Jeollabukdo, and found out their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 how to keep a diary mainly because of guidance for living and writing. The instruction of keeping a diary may be different by purpose. When the purpose is for guidance for living, a diary may be used as a vehicle of communication in which a teacher and a student may share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life and worries, as well as the guidance of the content of the diary itself. When the purpose is for guidance in writing, teachers teach spelling and spacing by having students create a title for the diary. As regards the advic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n a teacher’s review of a students’ diary in 2005, teachers assumed a negative view. Although the method of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may be elevated someh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select a title for a diary about their ordinary repetitive daily lives, writing a certain amount of a diary designated by a teacher, recording frankly due to the teachers’ reviews of their diaries, and lack of time due to many after school activities. Third, the problem with the instruction for keeping a diary discove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the students’ lack of awareness concerning the purpose for keeping a diary and the manner of instruction that lost its own purpose for keeping a diary.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problem of keeping a diary, first, students are guided to have a clear awareness of purpose for keeping a diary as a subject of keeping a diary. Al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in reading and writing in a way to prompting them to participate in keeping a diary without feeling awkward about their teachers looking at the diaries and maint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keeping a diary. Therefore, the purpose and method needs a methodological improvement regard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eeping a diary, and follow-up research into the improvement.

      •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전영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 중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수학 학습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수학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나.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수학 문장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라. 학생들의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다양한 기준을 세워 비교 분석하고,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설문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동질성이 확인된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교육부에서 제작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사용 지도서에 입각한 수학 학습을 실시한 후, 매 단원마다 2~3회씩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적용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게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내용의 수학 학습만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과 성취도 및 수학 문장제 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성취수준이 상위집단보다 중・하위집단에서 수학과 성취도 및 수학 문장제 해결력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학생들에게 수학적 자신감 및 의지력, 호기심, 반성,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는 그다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더불어 성취수준이 높다고 하여 반드시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 호기심 등이 높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마다의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긴 했으나,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설문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학습 내용을 되돌아봄으로써 반성적 사고를 하고, 생활 속에서 수학을 바라보고 수학이 우리 생활과 매우 가까이 있음을 알며, 나아가 실생활에서의 수학의 진정한 가치를 알고 삶의 일부로써의 수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수학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할 학생들이 잘 해낼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교사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 에너지 일기쓰기가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에 미치는 영향

        현명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에너지는 일상적인 삶의 기반이자 사회 변화의 주체로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에너지는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그 생산과 소비는 꾸준히 증가해 왔고, 이는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환경적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에 따라 에너지가 개인의 생활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커지고 있다. 즉, 에너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지식, 능력 없이는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우며 에너지문제를 인식하고 의사결정의 과정에 참여가 어렵다. 이에 이 연구는 에너지소양(energy literacy)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에서 에너지소양은 에너지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갖추고 바람직한 가치와 태도, 능력을 갖추어, 사려 깊고 책임감 있게 에너지 문제관련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에너지 관련 선택과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에너지를 읽고 쓰는 능력을 바탕으로 정보를 분석, 활용하며 의사소통하고 의사결정하며 세계를 해석하는 능력이다. 또한 에너지를 고려하여 삶을 살아가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다. 에너지소양은 지식적인 것뿐만 아니라 태도와 가치의 측면을 함께 강조하며 인지적, 정의적, 행동 범주로 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은 경험의 총체이며 에너지소양 또한 일상에서 경험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일상과 경험에 주목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언어를 기록한 글이자, 주관적인 설명의 형태인 일기가 에너지소양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에너지와 관련된 일상생활에서의 경험, 사고, 행동의 변화, 학습의 기록으로 보았다. 에너지 일기쓰기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0일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에너지 일기쓰기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소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생들이 에너지일기에서 어떤 대상과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에너지 일기쓰기는 초등학생들의 에너지소양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 영역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에너지일기에서는 에너지절약과 일상적인 경험을 에너지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학습한 내용과 에너지소양의 내용요소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에너지소양에 주목하고 초등학생들의 에너지소양을 측정 기준을 제시하여 초등학생 수준의 에너지소양의 해석을 제안하였고 에너지 일기쓰기가 에너지소양 함양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일기의 내용에도 관심을 가지고 에너지일기의 효과를 검증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경험과 삶의 맥락에서 에너지소양을 높이기 위한 접근을 강조하는 것이 적절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에너지소양에 대해 측정한다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고민이나 에너지소양에 대한 다각적, 심층적 접근을 충분히 담지 못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일기를 주제와 내용요소만으로 분석한 것은 에너지일기와 에너지소양에 대한 이해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소양의 개념에 주목하여 자신이 존재하는 생활 세계에서 에너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경험인 에너지 일기쓰기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삶의 맥락 속에서 에너지소양에 접근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학습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에너지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윤나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27명(남 14명, 여 13명)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10차시 수업 후 환경일기 쓰기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우선 수업 처치 전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대한 사전 검사지를 시행하였고 10차시의 수업 후 사후검사지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을 한 후 학생들의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다른 교과에서 환경 관련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스스로의 생활 습관 변화를 통하여 기후 변화 문제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높아졌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환경에 대해 알고 환경을 위한 마음으로 친환경 행동을 실천하는 시민을 양성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판단된다.

      •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격강점, 성격강점 활용, 일기쓰기, 강점일기쓰기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아동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효과적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B초등학교 5학년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에는 4주간 총 6회기에 걸쳐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 종료 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8.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의 점수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집단 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검사지 통계 분석의 타당도를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학생의 프로그램 평가지, 학생들의 강점일기쓰기 산출물,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데 대부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 전체 및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정적 효능안녕, 정적 정서안녕, 정적 관계안녕의 증진 및 부적 효능안녕, 부적 정서안녕, 부적 관계안녕의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평가지와 산출물 및 연구자의 회기별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모습을 찾아낼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는 법을 배웠으며 강점을 활용하는 자신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구의 강점을 인정하며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자신의 생활 속 강점 활용 모습을 인식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해 전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쁨, 성취와 같은 긍정 정서를 느끼는 빈도가 늘었다. 이는 학급 구성원 사이에 긍정적으로 소통하고 관계 맺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강점일기쓰기 활용 방안이 더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강점일기쓰기 프로그램이 주는 지속적인 영향과 다양한 종속변인의 증진에 대하여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주제가 있는 환경 일기 쓰기교육을 통한 환경소양 함양

        박정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cultivating environmental attainments and writing journals on environment by letting the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as its study object write journals with the subject of environment as considering the journal writing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in cultivating environmental literacy by performing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educational literacy after having them write journals on environment based on the subject and content selections for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Environment Love’, the environment textbooks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used as its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the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in Gim, Mi-jin’s article, ‘A Study on Developing an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ing Environmental Mapping Cas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Literacy’(2005) which had adjusted, modified, and deleted some appropriately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among ‘86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questions’ developed in Jin, Ok-hwa’s article,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the Measurement for it’(2004). The results g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before and after the journal writing, in terms of their ecological knowledge, the average score was 3.00 before writing them, and it was 4.13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ecological knowledge was improved as 1.13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3.60, p<.01). And in the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the average score was 12.06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3.19 after writing them; therefore, the students’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was improved as 1.13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2.54, p<.05).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n environmental issues, the average score was 3.23 before writing them and was 4.23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knowledge on environmental issues was increased as 1.00 point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3.11, p<.01). In reference to the environmental attitude, the average score was 18.23 before writing them and was 21.35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was improved as 3.13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5.92, p<.001).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concern, the average score was 23.74 before writing them and was 26.06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environmental concern was increased as 2.32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5.27, p<.001). And In the sense of environmental crisis, the average score was 13.84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4.61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sense of environmental crisis was increased as 0.77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2.97, p<.01). In relation to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knowledge on environmental strategies, the average score was 2.19 before writing them and was 2.68 after writing them; therefore, the students’ research on environmental issues and knowledge on environmental strategies was increased as 0.48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2.34, p<.05). Moreover, in the terms of the environmental function, the average score was 11.71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4.39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environmental function was improved as 2.68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4.86, p<.001). And in reference to the control point, the average score was 14.23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6.65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control point was increased as 2.42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5.63, p<.001). In relation to the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the average score was 28.55 before writing them and was 33.55 after writing them; thus, the students’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was improved as 5.00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4.64, p<.001). Environmental literacy in general was improved as 5.00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having its average scores, 28.55 before writing them and 33.55 after writing them,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7.46, p<.001). As seen above, the students’ ecological knowledge,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knowledge on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attitude,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value, environmental crisis, research on environmental issues and knowledge on environmental strategies, environmental function, control point,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literacy were more improved after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than befor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would affect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posi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writing journals on environment in environmental goal levels, first, in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Ⅰ, the average score was 15.06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7.32 after writing them; thus,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Ⅰ was improved as 2.26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4.22, p<.001). This result proves that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should affect students’ environmental goal level Ⅰ positively. Second, in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Ⅱ, the average score was 69.10 before writing them and was 77.26 after writing them; therefore,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Ⅱ was improved as 8.16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7.53, p<.001).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affect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vironmental goal level Ⅱ positively. Third, in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Ⅲ, the average score was 13.90 before writing them and was 17.06 after writing them; thus,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Ⅲ was improved as 3.16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5.01, p<.001).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should aff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vironmental goal level Ⅲ positively. Fourth, in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Ⅳ, the average score was 42.77 before writing them and was 50.19 after writing them; thus, the environmental goal level Ⅳ was improved as 7.42 points averagely after the journal writing compared with the one before, and which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t=5.46, p<.001). This result shows that the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 should aff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vironmental goal level Ⅳ positively.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하는 쓰기 활동의 하나인 일기 쓰기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환경관련 내용을 주제로 하여 환경일기를 써 봄으로써 환경소양과 환경일기쓰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초등학교 1, 2, 3학년 환경교과서 ‘환경사랑’ 내용을 분석하여 환경일기 주제를 선정하고 선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일기 쓰기를 적용 한 후 환경 소양 측정 설문지를 통해 환경일기쓰기가 환경소양에 미치는 학습효과를 알아보았다. 환경소양 측정 설문지는 진옥화의 환경 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 측정 연구(2004)에서 개발된 ‘환경소양 측정문항’ 86개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단계에 맞게 하향 조정, 수정, 삭제한 김미진의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 개발 및 환경소양도에 따른 환경Maping 사례분석 연구(2005)의 환경소양 측정 도구를 사용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일기 쓰기 전과 쓰기 후에 학생들의 환경소양을 살펴본 결과는 생태적 지식은 평균이 사전 3.00, 사후 4.13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생태적 지식이 평균 1.13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60, p<.01). 환경감수성은 평균이 사전 12.06, 사후 13.19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감수성이 평균 1.13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54, p<.05). 환경쟁점지식은 평균이 사전 3.23, 사후 4.23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쟁점지식이 평균 1.00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11, p<.01). 환경태도는 평균이 사전 18.23, 사후 21.35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태도가 평균 3.13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92, p<.001). 환경관심은 평균이 사전 23.74, 사후 26.06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관심이 평균 2.32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27, p<.001). 환경가치는 평균이 사전 10.06, 사후 11.00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가치가 평균 0.94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75, p<.05). 환경위기는 평균이 사전 13.84, 사후 14.61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위기 의식이 평균 0.77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97, p<.01). 환경쟁점조사․행동전략지시는 평균이 사전 2.19, 사후 2.68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쟁점조사․행동전략지시가 평균 0.48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34, p<.05).환경기능은 평균이 사전 11.71, 사후 14.39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기능이 평균 2.68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4.86, p<.001). 조절점은 평균이 사전 14.23, 사후 16.65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조절점이 평균 2.42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63, p<.001). 책임 있는 환경행동은 평균이 사전 28.55, 사후 33.55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책임 있는 환경행동이 평균 5.00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4.64, p<.001). 전체적으로 환경소양은 평균이 사전 140.84, 사후 161.84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소양이 평균 21.00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46, p<.001). 이상과 같이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생태적 지식과 환경감수성, 환경쟁점지식, 환경태도, 환경관심, 환경가치, 환경위기, 환경쟁점조사․행동전략지식, 환경기능, 조절점, 책임 있는 환경행동, 그리고 환경소양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일기 쓰기는 학생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일기쓰기가 환경목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환경목적 수준 Ⅰ을 보면, 평균이 사전 15.06, 사후 17.32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목적 수준 Ⅰ이 평균 2.26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4.22, p<.001).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환경일기 쓰기는 학생들의 환경목적 수준 Ⅰ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목적 수준 Ⅱ을 보면, 평균이 사전 69.10, 사후 77.26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목적 수준 Ⅱ이 평균 8.16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53, p<.001). 이는 환경일기 쓰기가 학생들의 환경목적 수준 Ⅱ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환경목적 수준 Ⅲ을 보면, 평균이 사전 13.90, 사후 17.06으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목적 수준 Ⅲ이 평균 3.16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01, p<.001). 따라서, 환경일기 쓰기는 학생들의 환경목적 수준 Ⅲ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목적 수준 Ⅳ을 보면, 평균이 사전 42.77, 사후 50.19로, 학생들은 환경일기를 쓰기 전보다 쓰기 후에 환경목적 수준 Ⅳ가 평균 7.42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46, p<.001). 이러한 결과는 환경일기 쓰기 학생들의 환경목적 수준 Ⅳ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끼침을 말해준다.

      • 노인의 일기쓰기 경험과 내용·기술특성에 따른 의미 연구

        최지후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노인문제가 사회적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정책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노인의 심리를 살피는 대안은 턱없이 부족하다. 우리 사회는 노인을 한 사람의 ‘존재’로서 이해하고 존중하기보다 ‘문제’일 때에만 정책적 대상으로 주목하였다. 노인을 바라보는 우리 안의 척도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당사자인 노인들도 ‘존재’로서 자신을 살피는 관점이 필요하다. 자기점검의 가장 좋은 방법은 일기쓰기이다. 일기의 종류는 다양한데 에먼스(R. M. Emmons)와 매컬로프(M. E. McCullough)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감사일기를 쓴 집단이 사회적·심리적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 일기를 순수하고 독특한 치료법으로 발전시킨 아담스(K. Adams)는 저널쓰기가 삶속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처, 관계의 치유, 잠재의식과의 만남을 통한 자아이해와 개방 등 여러 효과가 있음을 제시했다. 그런데 국내의 일기쓰기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학생대상 프로그램 적용이나 교육부분과 관련된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한 처치나 개입 없이 일기쓰기를 통하여 노인의 일기쓰기 경험과 내용·기술 특성에 따른 의미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노인관련 직장에서 근무하는 주변 지인들의 소개로 8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2018년 9월 19일부터 2018년 11월 10일까지 일기쓰기 전·후 인터뷰, 일기쓰기 진행 중의 전화통화, 4주간 자유롭게 쓴 일기장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코딩·주제발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노인의 일기쓰기 경험은 기록의 의미, 사유의 의미, 치유의 의미, 확장의 의미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과정은 서로 연관성이 깊다. 대부분의 노인이 기록의 의미에 가장 큰 의의를 두고 만족감을 표현했는데 기억력이 감퇴하는 노년기에 그만큼 일기쓰기가 존재감과 안정감을 주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일기를 쓰면서 하루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사유의 폭이 깊고 넓어져 감정을 다스리어 감사와 행복을 경험한 노인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기를 쓰면서 긍정성이 높아지거나 쓰기, 독서에도 흥미를 갖게 되었고 좋은 기록을 남기기 위해 인지능력을 강화시키려 노력한 노인도 있었다. 일기의 내용적 특성으로는 질병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고 자녀·손자녀와의 관계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표현이 많았다. 또 제한적 공간과 반복되는 일상으로 중복되는 내용이 빈번했으며 먹는 것에 대한 즐거움이 자주 서술되었다. 이것은 노인이 겪는 신체·심리·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써 노인의 일기쓰기는 결국 노인의 현재의 복합적인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글임을 알 수 있었다. 일기의 기술적 특성은 크게 사실중심 표현, 정서중심 표현으로 나타났다. 사실중심 표현은 시간의 경과와 사건을 중점적으로 기술했고 정서중심 표현은 일상에서 느끼는 긍정이나 부정감정에 집중한 기술이었다. 일기쓰기를 마친 후, 일기쓰기가 삶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한 노인은 분량과 회수에 상관이 없이 모두 정서표현에 집중한 경우였다. 이는 노인의 일기쓰기가 삶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사실중심의 기술에서 벗어나 내면의 정서표현에 충분히 집중해야 됨을 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노인의 일기쓰기 경험은 노인의 존재감·안정감에 유익하고 자기점검을 통한 자아발전으로 나아가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일기의 내용특성에서는 노인이 겪는 현재의 신체·심리·사회적 상황이 자연스럽게 반영됨을 알 수 있었고 기술특성에서는 사실의 기술보다 내면의 정서표현에 집중할수록 일기쓰기가 삶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