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仁川都市再生事業의 活性化方案에 관한 硏究

        심상규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67

        국 문 요 약 도시공간은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활동을 반영하는 흔적으로 국가경쟁력 못지 않게 주요 도시지역간의 경쟁력은 중요해졌으며,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지역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짧은 근대 도시계획의 역사에 비해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급속한 도시화과정을 거치면서 신도시·신시가지 개발위주의 정책으로 양적 도시성장에 치중하여 왔다. 도시재생사업은 산업구조의 변화 및 신도시·신시가지 위주의 도시확장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있는 기존도시의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도시재생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기능을 도입·창출하여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으로 재개발·재건축 및 뉴타운사업보다 포괄적인 공간적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인천시의 도시재생사업은 자유경제구역의 추진과 함께 상대적으로 침체된 기성시가지의 불균형해소를 위한 지역균형발전사업의 일환으로 쇠퇴한 구도심과 기성시가지를 재활성화 하는 사업으로 2014년 아시안게임 전에 완료를 목표로, 광역적이고 복합적인 개발을 추진하는 국내의 최초이자 대표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선도사업의 추진현황과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인천시는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기 이전에는 주택재개발사업이 매우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단기간에 대규모의 주택공급이 가능한 신도시․신시가지의 개발방식보다는 구도심․구시가지의 도시재생사업이 비용․편익분석에서 경제적․환경적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가용토지를 비축하기 위해서도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둘째, 국토해양부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하고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가칭「도시재생지원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재되어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관련 법령을 통합하고, 국고․금융․세제 등의 지원을 포함한 일관된 법령으로「도시재생사업법」의 제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천시의 도시재생사업은 대부분의 입체도시계획으로 추진되므로 사업 완료 후 지하의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보행데크, 경인고속도로, LRT 터미널 등 관리 행정청이 서로 다른 시설물들이 입체로 설치되는바 이에 따른 유기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통합관리주체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는 입체도시계획에 대한 법률의 미비로 각 법률간 연계성이 미흡하여 서울의 강북․강남의 단절처럼 인천시는 경인철도나 경인고속도로 주변의 남․북간, 동․서간의 단절이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도시계획에 관한 법률의 개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시재생사업은 해당 지역을 재편하고 기존 거주자들의 재정착을 추구하고 주민들의 갈등과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초기단계에서부터 주민참여제도를 활성화 하고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도시의 잠재력을 육성할 수 있는 도시재생정책이 전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 근대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내항거점과 루원시티의 입체도시계획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특히, 선진국의 입체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유지관리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지표의 중요도 연구

        박순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4367

        국문요약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도시계획전공) 박 순 희 21세기 도시는 도시발전과 경쟁력을 위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는 시민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지역공동체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제 시민들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 어메니티 개념을 도시재생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도시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켜야 한다. 인천시는 도시화・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인구 과밀 현상과 혼잡의 증가, 환경오염・교통체증, 주거 및 생활환경의 악화, 각종 기반시설 부족 등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구도심과 신도시, 도시공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자연생태와 생활환경, 사회・경제, 문화・역사・창조적 요소가 어울리는 도시로 조성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도시 어메니티 지표를 개발하여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메니티가 무엇이고, 어메니티 지표는 어떻게 개발하고, 그 지표를 도시재생사업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중심으로 인천 도시재생사업에서 적용된 어메니티 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전문가 설문조사에 대한 표본 집단의 직업별, 전공별, 경력별, 성별, 연령별로 나타난 어메니티 지표 중요도 결과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천시의 자연・생활환경 분야에서는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자연생태를 보존하고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재정・기술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생태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생태도시 조성을 위해 체계적인 생태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인천 정부와 전문가들의 노력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둘째, 인천시만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경제 도시 어메니티에서 아름다운 경관을 보전하고 주변과 어울리는 층수가 필요하다. 풍요로운 도시 어메니티 조성을 위해 여유로움과 소풍을 즐기는 공원 녹지 조성과 다양한 일자리와 고용기회 제공을 위해서 편히 쉴 수 있는 공개공지에 공원을 조성하고 환경 친화적인 기업도 유치되어야한다. 기업의 유치는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도시공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화된 환경기준을 준수하고 청정 환경 보전을 위해 친환경 기업유치와 도시환경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시설과 공공시설, 문화시설, 교육시설, 편익시설(쇼핑시설 및 상업시설)의 확보와 각종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조성되어야 한다. 안전한 도시를 위해서는 범죄 예방 시스템 설치, 방재시설 구축, 교통사고시스템 및 화재예방 소방시스템 구축하고 시민의 재산과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인천시의 문화・역사・창조 부분에서는 유비쿼터스 정보화기반의 도시창조와 활기찬 리듬이 살아있는 음악공간,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미술거리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혁신을 주도하는 창조도시 전략에 기초한 선도 도시를 조성하고, 문화도시로 가기 위해서는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을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중요하고 독자성이나 정체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인천의 비전과 정책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인천의 2030년 도시기본 목표인 ‘누구나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도시 인천’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도시’, ‘미래를 위한 저비용・고효율의 녹색도시’, ‘모두가 행복한 보편적 복지도시’, ‘전통과 미래가 함께하는 창조 문화도시’ 조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도시 어메니티가 필수적으로 도시재생과정에 적용되어야 한다. keywords: 도시 어메니티, 도시 어메니티 지표, 도시의 쾌적성, 삶의 질, 도시재생사업, 인천의 도시재생사업 현황

      • 주거지지원형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도시재생기반시설 계획특성 분석

        김태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에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주거지지원형은 원도심 저층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개선 및 확보를 위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주민역량강화 등을 목표로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주거지지원형사업의 활성화계획을 살펴보면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여러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대부분 주민공동이용시설 설치와 가로환경개선 등에 재원이 투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시재생기반시설의 범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주거지지원형사업에서 수립되고 있는 기반시설의 종류가 일부분인 것에 대해 현황 및 요인을 검토하여, 보다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천시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구 상생마을, 계양구 효성마을, 중구 공감마을, 연수구 함박마을을 대상으로 지구별 활성화계획을 검토하고, 사업별 재원계획과 도시재생기반시설 사업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 대상지구의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활성화 계획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대부분 전체 사업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마중물 사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활성화계획에 따라 13%~77% 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마중물사업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관련된 사업에서 도로,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이 차지하는 비율은 주민공동이용시설에 비해 낮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각 지역의 현황여건과 필요시설 등에 의해 필요한 기반시설의 규모와 종류가 다를 수 있지만, 마중물사업이 지역역량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나, 기반시설의 종류도 대부분 도로개선과 주차장 설치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도로 및 주차장 등 획일적인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기반시설 설치 방안을 마련하며, 마중물사업으로 수립이 어려울 경우 부처간 협력이나 연계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의 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계획 고시 후 도시재생기반시설사업의 현재 진행사항에 대해 자세히 다루지 못한 것에 대한 한계점이 있지만, 향후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본 연구를 참고로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generate” the city through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H/W) and residents’ capacity building (S/W) in response to urban declin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Revitaliz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the economy-based type and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are subdivided into five types and are being promoted. Among them,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is a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original downtown low-rise residential area and to improve and secure infrastructure,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nd supplying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t is a project that establishes and promotes an activation plan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residents' capabilities. However, looking at the revitalization plan for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several plans were established for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ut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financial resources were invested in the installation of resident communal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is study, despite the diversity of the scope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stipulated by the law,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some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being established in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 It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a plan to install more divers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vitalization plan for each district targeting the Sangsaeng Village in Seo-gu, Hyosung Village in Gyeyang-gu, Gonggam Village in Jung-gu, and Hambak Village in Yeonsu-gu, which are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in Incheon, and An analysis of the financial plan for each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uring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the four target districts, most of the project costs for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total revitalization plans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project cost, The proportion of the priming water project cost varied from 13% to 77% according to the activation pl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parking lots, and parks in projec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priming water projects was lower than that of public facilities for residents. Although the size and type of infrastructur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cessary facilities of each region, It is analyzed that the priming water project is focused on strengthening regional capabilities, but most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are road improvement and parking lot installation. As an improvement plan, we avoid uniform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Various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he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priming water project, it was suggested to secure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through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or linked project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deal with the current progress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s in detail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activation pla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curing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y referring to this study in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s in the future.

      • 작은 오페라 를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방안 연구

        조현정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4285

        오늘날 문화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할 만큼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지방분권제도의 확립과 함께 국가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 정부의 시책에 힘입어, 지역사회에서도 지역의 다양성을 살린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지역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과 문화행사의 개최는 지역의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관광인프라를 구축하여 고용창출, 지역민의 소득증대, 지역 이미지 상승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는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정체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 자발적인 지역문화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지역의 예산집행에 따라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는 비슷한 주제의 지역 축제와 지역민들의 참여 없이 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형식적인 행사는 오히려 지역이미지를 저하시켜 지역발전의 부작용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타 논문을 살펴보면, 국민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확대는 지역민들의 문화 예술적 욕구를 증가시켰으나 이를 충족시켜 줄 특색 있는 문화콘텐츠와 문화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 그 문제점으로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한편 공연예술계의 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국제 경기의 위축으로 인해 대형 공연보다는 소규모 공연을 지향하고 있으며 문화를 향수하는 세대 층의 확장으로 다양하고 창의성 있는 문화예술행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공연에 치중되어 있던 오페라라는 순수예술장르를 새롭게 재탄생시킨 ‘작은 오페라’를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에 오페라가 도입된 지 60주년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오페라는 순수예술이라는 부담감 때문에 다양한 관객층을 확보하고 대중화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다행히 최근 성악예술 부흥의 일환으로 다양하고 참신한 소재의 소극장용 오페라 공연이 많은 호평을 받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지역의 문예회관이나 중·소규모 공연장에서 작은 오페라를 다수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작은 오페라는 단순히 규모면에서의 크고 작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독특하고 참신한 대본과 연출 하에 오페라 본연의 성격을 해치지 않으면서 관객과의 호흡을 함께 할 수 있는 종합 예술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에 앞서 지역문화의 개념과 기능, 현재 정부의 지역문화육성사업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지역문화 활성화방안으로 다수 거론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연계의 동향과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문화 활성화방안으로서 작은 오페라를 제안하고, 그랜드 오페라와 차별화 된 작은 오페라의 필요성과 대중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셋째,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인천지역의 문화예술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의 활용 면에서 최근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재건축된 인천아트플랫폼을 중심으로 작은 오페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대상지를 거점으로 한 작은 오페라를 예시로 기획하여 그 가능성을 점검하고 기획 및 분석을 통한 작은 오페라를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기대효과와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어: 작은 오페라, 지역문화육성사업, 소규모 공연, 도시재생사업, 인천아트플랫폼 ABSTRACT A Study on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Utilizing Operetta Cho, Hyeon Jeong Dept. of Public Performing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Urbo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The present culture has been expanded its boundary enough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work as a dynamic force behind economic development.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y of aiming a nationwide balanced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decentralization system, diverse measures to utilize local cultures with distinctive diversity in the community are being searched. Diverse businesses utilizing local cultures and hosting cultural activities vitalize the stagnant local economy and establish tourism infrastructure to create positive effects such as creating more jobs, increase in income for the local residents, and increase in local images. It serves to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local residents' love for their town and identity and acts as the base for achieving a voluntary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s. However, local festivals spring up everywhere with similar themes according to the local budgeting and perfunctory events led by local governments lower local images instead and serve to be the side effects of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n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expansion of leisure time increased cultural and artistic desire of local residents, but the fact that there are not enough distinctive cultural contents and facilities is continuously being pointed out a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ed the trend of the performing arts world, small scale performances are aimed over large small performances due to the shrink of the global economy, the necessity for various and creative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are coming to the fore with an expansion of generations yearning for cultur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operetta' that recreated a pure art genre called opera which had been heavily focused on large scale performances as a content for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s. Although it has been sixty years since opera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opera has failed to secure a diverse audience and to popularize with the pressure of being a pure art. Fortunately, opera performances with diverse and original materials designed for small theaters as a part of the revival of the art of singing are favorably reviewed many times, numerous operetta are introduced at local art centers or small or medium scale theaters. Operetta suggested as a measure to vitalize local cultures does not simply mean large or small in size matter, but it means a composite art to share breathe with audiences not damaging its original characteristic with original scripts and under direction. Therefore, this study first organizes concept and function of local cultures, and the government's local culture promotion, and to suggest frequently raised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before suggesting direction for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 Second, operetta is suggested as a measure to vitalize local cultures through the trend of performing arts fields and various case analyses, and the necessity of operetta differentiated from grand opera and measures to popularize operetta are proposed. Third, Incheon area is selected as the target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ultural arts is examined, and measures to vitalize operetta focusing on the Incheon Art Platform reconstructed as a part of the recent urban generation in the aspect of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arts space. Fourth, a plan is drew up exemplifying operetta using the target area as a base and its possibility is examined, and a strategy to vitalize operetta through planning and analysi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expected effect and future study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