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연구

        이창연 서울시립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city identity as conceptualized by its own differentiated color is attributed from its historicity, culture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aving indispensible correlation with city image.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described herein means typical landscapes for luring visitors as the representation of that city among various outward images. Therefore, it plays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city identity via a symbol of the city and a mediator to make the city all the more worthy of being peculiarized. The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erceptive elements against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round city of Seoul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e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ing, in an attempt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type and reason, while further proposing progressive management plans. The methodological categorization over the cognitive factors in the representative city landscapes include visibility, scale and differentiation as vidual aspect; accessibility, agility and popularity as 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 and; historicity and cultural property as cultural aspect, all of which are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there exists unique cognitive characteristics by type of landscape over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s follows; In cases of Mt. Nam and Han river categorized into the natural viewscape, such factors as visibility, scale and popularity are found preferentially identifiable, while the valuation aspect(e.g. historicity and cultural property) as well as agility factor are evaluated in lower level. Meanwhile, as for Kyungbok Palace as the historical viewscape, the valuation aspect is highly appraised and factors like agility, visibility and popularity are graded at lower level. The constructional viewscape represented by 63-story building shows outstanding preference to visibility and scale with the lowest level in agility and historicity. Lastly, as for the publicity viewscape such urban spaces as Insa-dong street and the square in front of Seoul city hall, popularity and accessibility are better appreciated than agility and historicity. Similarly, the study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in landscapes of Seoul city by carrying out outlining of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by reason and their correlation analysis including general evaluation, which possibly leads to guideline beneficial for managerial administration for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Both the landscape analysis by reason and correlation analysis by viewscape may produce a guideline for management of Seoul's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the landscape analysis by type may be the data conducive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in new cities. The former must be oriented to strengthen the low level of landscapes in cognitive factors by each landscape, while the latter must be under management in a manner of strengthening lower cognitive factors based on higher ones in formation of cities' representative landscapes. The study has its values as a means that more empirical research within the city image is made on cities' representative landscapes focused on Seoul city, accordingly being expected practically beneficial for effective landscape planning in the future with the necessity of further proceedings of study in this category. 도시정체성은 어떤 도시의 다른 도시와 차별화 되는 그 도시의 자기다움이며, 이러한 도시정체성은 도시의 역사, 문화, 사회경제적 특성 등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한 도시이미지의 형성과 필연적인 인과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도시대표경관은 도시의 공공이미지를 구성하는 여러 경관 요소들 중에서 시민들이나 그 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도시전체의 이미지를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경관을 말한다.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이미지는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 즉 도시정체성 확립에 있어 중요한 교두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대한 연구로 서울시를 중심으로 기존 도시이미지 및 대표경관과 관련된 연구에서 도츨 된 대표경관 인지요인을 설문을 통해 평가하여 서울시 대표경관의 특징에 대해 유형별?요인별로 다각적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도시대표경관의 인지요인은 시각적 성격의 가시성 요인, 규모성 요인, 차별성 요인, 심미성 요인과 기능적 성격의 접근성 요인, 활동성 요인, 대중성 요인, 문화적 성격의 역사성 요인, 문화성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설문을 통해 평가되었다. 그 결과 서울시의 대표경관은 그 경관의 유형별로 각기 독특한 인지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유형별로 남산, 한강과 같은 자연경관형은 가시성과 규모성 그리고 대중성 요인이 상위 인지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의미성 요인(역사성, 문화성)과 활동성 요인이 하위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경복궁과 같은 역사경관형은 의미성 요인이 상위를 활동성과 가시성, 대중성 요인이 하위를 나타냈다. 또한 63빌딩으로 대표되는 건축물경관형은 가시성과 규모성 요인이 뛰어났고 활동성과 역사성 요인이 낮게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사동 길과 시청 앞 광장같은 Urban space?공공경관형은 대중성과 접근성 요인이 상위를 차지하였고 활동성과 역사성 요인이 하위에 머물렀다. 또한 요인별 대표경관의 분석과 각 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대표경관 요인별 종합 평가를 통해 서울시 대표경관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 같은 연구의 결과는 대표경관의 형성 및 관리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요인별 경관분석과 경관별 상관분석은 현재 서울의 대표경관 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유형별 경관분석은 추후 신도시 대표경관의 계획 및 관리의 방향으로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자는 인지요인별로 각 경관별 인지요인이 약한 하위 경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진행되어야 하며 후자는 도시 대표경관 형성 및 관리계획 시 상위 인지요인을 바탕으로 하위 인지요인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경관계획 및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사례로 도시이미지 내에서 도시대표경관에 관한 좀 더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표경관의 계획 및 관리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효울적인 경관계획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추후 대표경관의 계획 및 관리의 보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CST)의 인지요인분석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려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6∼15세 아동 및 청소년집단의 WCST수행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지요인을 파악함으로서 채점지표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인 인지기능으로 요약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지요인을 파악하는 것의 유용성은 무엇보다도 채점지표를 모두 중복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개념형성, 지속실패, 보속성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회귀분석결과 각각의 요인은 완성범주수, 지속실패수와 정반응수, 보속오류수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하위 목표는 WCST의 수행을 구성하는 인지요인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으로서 이들 요인에 대하여 첫째, 성별의 효과 및 발달추세를 검증하고 둘째, 이질적인 수행패턴을 분류하고 셋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WCST의 수행은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개념형성요인과 보속성요인의 수행은 선형적(linear)으로 향상되고 지속실패요인의 수행은 곡선(curve linear)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인지 요인은 11∼12세에 수행이 안정되며 개념수준반응수, 정반응수, 비속실패수는 7세에서 8세에 급격하게 수행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저하게 수행차이를 보이는 3개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WCST의 이질적인 수행 패턴을 분류하였을 때 지속실패군집, 보속성군집, 개념형성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에 포함된 사례수는 개념형성군집이 가장 많고 지속실패군집, 보속성군집 순으로 정상 집단의 경우 개념형성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례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속성 군집은 40%이상이 6,7세의 아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속실패 군집은 8, 9세가 가장 많았으며 개념형성군집은 11세에서 15세 이후의 연령분포가 많아 개념형성요인의 수행이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향상된다는 점이 간접적으로 시사되었다. 한편, 지속실패군집은 동작성 IQ 130이상의 최우수 수준의 비율이 더 많아 일부 영리한 피험자의 경우 지나치게 복잡한 분류원칙을 적용하려고 함에 따라 보속오류수가 적은 반면 정반응수에 비하여 완성범주수가 적은 패턴을 보인다는 점을 나타냈다. WCST의 수행을 구성하는 인지요인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준거타당도와 수렴타당도틀 검증하였다. 전두엽손상 아동 1례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보속성요인의 민감성이 지지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보속성군집과 전두엽 손상 아동의 요인점수 패턴이 거의 일치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보속성군집이 주로 6,7세 아동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Chelune과 Baer(1986)가 인용하였듯이 전두엽손상환자의 WCST 수행이 6, 7세 아동의 수행과 유사하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3개 요인의 수렴타당도는 6∼15세 아동 및 청소년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한 경우와 군집별로 분석을 실시한 경우 다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한 경우 KEDI-WISC점수를 사용하였을 때 개념형성요인과 보속성요인의 수렴타당도는 지지되었다. 그러나 11개 소검사와 전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 및 청소년기의 집행기능이 지능과 공변하며 구체적인 기능으로 분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반영하는 것이다. 군집별 수렴타당도를 살펴보았을 때 3개 군집중 지속실패군집의 보속성요인만이 토막짜기소검사로 유의미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검사인 하노이 탑 검사, 수정된 지연반응검사, 스트룹 검사 점수를 사용하였을 때, 개념형성요인과 보속성요인의 수렴타당도는 지지되었으며 지속실패요인의 수렴타당도는 지지되지 않았다. 개념형성요인은 수정된 지연반응검사의 정반응수로 가장 잘 설명되며 하노이 탑 검사 4개 원판조건의 시행시간, 스트룹검사의 간섭점수, 하노이 탑 검사 3개 원판조건의 시행시간 순으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속성요인은 수정된 지연반응과제의 정반응수와 하노이 탑 검사 4개 원판조건의 시행시간으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별 수렴타당도를 살펴보았을 때 개념형성요인과 지속실패요인의 준거검사점수와의 수렴타당도는 지지되지 않았다. 보속성요인은 지속실패군 집에서 수정된 지연반응과제의 정반응수와 스트룹 검사 간섭시간으로 가장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속성군집에서는 스트룹 검사 색-단어 불일치조건의 정반응수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속성요인이 스트룹 검사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보속성군집에서만 지지되었다. Althoug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the frontal lobe function, there are few studies on children and adolescent limiting its clinical use in younger age groups. The primary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WCST. The subgoal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and identify a subgroup of children and adolescen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discriminating who have various levels of performance using the factor scores. Construct validity of these factors involves assessing the criterion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CST scores of 160 children aged 7 to 11 and 219 children adolescent aged 6 to 15 was entered into the principal - axis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 using 8 conventional scores yielded three factors: Conceptual formation, Failure to maintain set, Perseveration. The factor scores indicate that by the time children are 11 or 12 years old their performance on the WCST in distinguishable from that of 6 years old. Three patterns of performance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Failure to maintain set scores, the highest Perseveration factor scores and the highest Conceptual formation factor scores. The performance of a 9 year old male patient with lesions i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lobe by car accident provided criterion validity for the Perseveration factor.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onceptual formation factor and the Perseveration factor, but not the Failure to Failure to maintain set factor received support.

      • 認知要因 決定 및 遂行度 豫測模型에 관한 硏究

        손일문 東亞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8687

        Technological developments, especially the breadth and depth of computer application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lexity of man-machine sytems(MMS), and have radically changed the nature of the man-machine interface. Through these changes, the nature of the human's task has shifted from an emphasis in sensory(perceptual)-motor skills to cognitive skills, e.g.,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In this context, the role of the human element is to monitor and supervise the system rater than to control the detailed mechanics. Traditional approaches(Human Factors / Ergonomics, Engineering Psychology) for the design of MMS, focus on the limits of human performance in the physical domain, are unable to solve the cognitive problems. In these cognitive environments, the tasks is needed to cognitive demands. Therefore, basically the demands of these tasks is understood and analyzed in terms of a model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Engineering, one of the alternative approaches, is then necessary to apply and further develop the techniques and knowledge base of cognitive psychology to the design of MM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demands are analyzed by the basic cognitive factors in general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complex cognitive structure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o identify the cognitive demands in tasks, the method of cognitive task analysis, composed of the three levels of cognitive factors, complex cognitive structures, and goal-means analysis, is suggested. And, to assess the worker's various cognitive abilities, the assessment batteries of cognitive abilities is reviewed, and the CCAB(complex cognitive assessment battery) composed of nine tasks are examined. In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nspection tasks and spreadsheet calculation tasks which require mainly the demands of the defects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nd the information intake, respectively, are designed and experimented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s of cognitive demand and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human performances. And then, the performace prediction models of the exampled tasks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In experiment, 14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re seleceted, and their performances of the tasks and cognitive abilities are tested on inspection tasks, spreadsheet calculation tasks, and CCAB for 2 weeks. The performace predict model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of inspection accuracy rate and calculation time(spreadsheet calculation) with the cognitive abilities(the scores on CCAB) are formulated. Concludingly, in the inspection task, it is not founded that inspection time is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But the primary cognitive factors associated with inspection accuracy are founded as attention, perception, and concept formation, and the feature of the cognitive demands, defects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s related to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preadsheet calculation task, attention, perception, time sharing, and memory retrieval are founded as the primary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the calculation time. The feature of the cognitive demands, information intake, has relation with data handling and its assessment ability. The performance predict models of these two tasks are as follows; Inspection accuracy rate = 1.20748 + 0.000102·RP - 0.000387·IP -0.000235·MN + 0.000296·NW (R^(2)=0.64135) Spreadsheet calculation time = 620.93 - 0.20·MI - 0.08·FD - 0.16·RP (R^(2)=0.567611) Here, RP=route planning, NW=numbers and words, IP=information purchase, MI=missing items, MN=mark numbers, and FD=following directions are the scores of CCAB tests. Finally, in the aspect of the matching between cognitive demands and abilities, the usability of the performance predict models in the job placement problems of work selection and placement, and training is surveyed and examined through the examples. As a consequence, the phases of job placement in the cognitive task environments using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s are exhibited.

      • 랜드마크의 인지요인이 방문 및 체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민정 동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6

        랜드마크는 도시를 식별하고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있어 결정적이 요인으로 작용하는 물리적 요소로서 관광측면에서도 관심 있게 다루어야할 영역임에 틀림이 없는 요소이다. 그렇지만 지역은 정체성(Identity)을 살리지 못한 랜드마크의 반복적인 조성으로 도시는 식별적인 요소를 가지지 못하고, 또다시 정체성 확보를 위한 계획을 계속해서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를 구성하는 것은 물리적인 기능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는 단순한 물리적인 기능의 총합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고 있다. 도시는 결국 환경에 속해있는 주변의 물리적, 정서적, 이미지 환경을 모두 포함하며 이것들이 서로 관계를 가지며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도시가 단일화된 정체성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정체성들이 모여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여러 각도에서 랜드마크를 조명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른 장소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랜드마크가 방문객들에게 어떠한 내용을 가지고 인지되고 있으며, 관광목적지로서 매력성을 지니고 있는지 PIFF광장과 BEXCO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방문객들이 랜드마크를 장소의 정체성에 따라 그 인지요인이 다양하게 인지되었으며, 또한 그것을 통해 만족도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랜드마크는 이제 더 이상 규모만으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물론 한 지역에 있어 상징적인 존재역시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존재는 도시를 대표하는 존재로서, 도시의 대표적 이미지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지역을 정체성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창의성의 문턱이론에 대한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의 역할 연구

        하승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연구는 창의성과 지능이 다른 인지작용이라는 결정적 증거 중 하나인 문턱이론(threshold theory)에서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창의성과 지능간의 본질적 관계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창의성이 교육이라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지능과 어떤 관계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이때 성격과 동기와 같은 정의적 요인이 창의성 발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서 문턱현상에 대한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의 역할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인지 과정적 측면에서의 창의성은 지능과 다르지 않은 능력 변인이기에 두 변인 간에 상관이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턱현상(threshold)이 나타나는 원인은 창의성과 지능이 본질적으로 다른 독립적인 인지 능력이기 때문이 아니라, 교육이라는 사회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 정도에 따라 창의성에 성격과 동기가 다른 영향력을 보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위의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지능과 창의성 간의 문턱현상(threshold effect)이 증가하여 나타날 것이다. 가설 Ⅱ. 지능과 창의성간의 상관 정도가 높을 때에는 정의적 요인인 성격과 동기가 창의성 발현에 적은 영향을 미칠 것이고 지능과 창의성간의 상관 정도가 낮아지면 창의성 발현에 있어서 정의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초등 1학년, 3학년, 6학년 4집단을 60명씩 240명을 대상으로 지능검사, 창의성 검사, 창의적 성격검사, 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 검사 점수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수준의 지능을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과의 상관정도는 유아가 r=.344의 상관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지능과 창의성간의 상관 수준이 .252(p<.05)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서는 상관 정도가 더욱 낮아져 .172, .165의 수준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Ⅱ의 검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에서는 창의성을 지능은 34.0%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했으나, 초등학교 6학년에서는 창의성을 지능이 7.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는 앞서 보았던 지능과 창의성의 상관 정도에서 밝혀진 봐와 같이 창의성에 있어서 지능의 설명력이 초등학교 6학년에 비해서 유아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초등학교 6학년의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은 이러한 해석에 유의해야 함을 의미한다. 창의성을 설명하는 비인지적 요인인 동기와 성격의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에서는 6.4%의 차이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6학년에서는 21.0%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에서는 지능이 창의성을 34% 정도 설명을 하였고 비인지적 요인인 성격과 동기가 창의성을 6% 정도 설명한데 비해서 초등학교 6학년에서는 지능이 창의성을 7% 정도 밖에 설명하지 못했으며 성격과 동기가 2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동기나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요인이 인지적 요인에 비해 창의성 발현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해석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e investigation for the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on threshold theory of creativity. Some researchers, such as Weisberg(1993) and Langley et al.(1987) have argued that the mechanisms underlying creativity are no different from those underlying normal problem solving of the kind involved in problems that do not seem to involve any need for creative thinking. But the threshold theory is one of the decisive evidences that in some way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s not same. Well then, why is the threshold effect happening? I suppose that a cause of the threshold effect is not original difference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but an influence of a formal education at school. So, the following hypothesises were established: 1. The threshold effect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ncreases according to increase in formal education at school. 2. In case of correlation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s high degree, affective factors of creativity effects less on creativity. And If correlation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s low degree, affective factors of creativity effects more on creativ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kindergartner, the first, the third, the sixth grad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intelligence scale, TTCT,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motivation scale. To examine the hypothesis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On the high degree of intelligence in the kindergartner, the cor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were .344. In the first grade, were .252, in the third, were .172, and in the sixth, were .165. 2. In the kindergartner, the intelligence explains 34.0% of the creativity, but in the sixth garde, the intelligence explains 7.3% of the creativity. And then, in the kindergartner, the affective factors explains 6.4% of the creativity, but in the sixth garde, the affective factors explains 21% of the creativity.

      •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업 유지와 정서적 특성, 사회인지요인, 학업만족의 인과적 관계

        김진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지 진로만족모형에 따른 학업유지와 정서적 특성, 사회인지요인, 학업만족과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학계열 대학생들로, 2012년 기준으로 전국 4년대 대학교 공학계열 학생 수는 543,898명이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기 위하여 층화군집비율표집을 활용하였으며, 수도권 3개교, 비수도권 6개교를 선정하여 학년을 고려하여 총 504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사회적 지지, 학업만족, 흥미, 학업유지, 정서적 특성과 응답자의 일반특성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28일부터 2013년 11월 13일까지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504부 중 468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92.85%). 이 중에서 1개 이상의 문항에 대해 응답하지 않은 것과 이상치 응답을 포함한 40부를 제외하여, 428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유효 자료율 84.92%). 자료 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와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학계열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만족모형에 따른 학업유지와 정서적 특성, 사회인지요인, 학업만족과의 인과적 관계모형의 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RMSEA에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만들기와 모형다듬기를 이용하여 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최종수정모형의 적합도는 모든 적합도 지수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학계열 대학생의 정서적 특성이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흥미에는 정서적 특성,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학업만족에는 정서적 특성,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흥미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학업유지에는 결과기대, 흥미, 학업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ent et al.(2013)의 사회인지 진로이론 흥미-만족-유지 통합모형은 우리나라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및 발달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집단주의 문화를 지니고 있어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으므로 우리나라 공학계열 대학생들이 학업에 흥미를 갖고 만족할 수 있도록 환경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발달에 학업만족도 고려해야하고, 학생들이 학업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문적 흥미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흥미를 증진시키는 데에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들의 학문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성공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업만족이 다양한 선행변인과 학업유지와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결과기대는 학업유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 전공의 학업흥미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공학계열 이외의 전공의 학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별 및 학년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변인들의 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변인 별 요인을 구성한 후 구조방정식으로 모형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군 간부들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준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69

        건강수준의 결정인자로 건강행위 수행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건강행위와 건강수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구체적인 7가지 건강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 의무병과 간부들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0년 10월 23일부터 10월 27일까지 국군병원 3곳과 지휘통제 기구의 의무병과 장교, 하사관, 군무원 3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조사 방식으로 설문조사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건강실천행위에는 ‘Alameda 7’ 즉 흡연, 음주, 운동, 체중, 수면, 아침식사 및 간식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감정 부분에 있어서 스트레스량의 측정은 BEPSI-K를, 자기-효능감은 Self-Efficacy Scale을, 사회적지지 척도는 대인관계지지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음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동거상태였고, 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근무부서, 체력측정 부담여부, 자기-효능감이었다. 체중유지에서는 성별과 체력측정부담감이, 아침식사에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동거상태, 근무 부서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간식섭취에는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건강실천지수(HPI)에 대해서는 연령과 체력측정부담감,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이상의 결과는 건강실천행위 수행에 개인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수는 요인으로 밟혀진 개인적 특성들은, 차후 군 간부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선정과 개발에 있어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며, 군 간부들의 자기-효능감 고취를 위한 정책 또는 제도적 노력을 통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군 간부들의 건강수준의 향상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투병과, 전투지원병과, 전투근무지원병과 간부들을 대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군 간부의 건강실천 행위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건교육이나 홍보, 훈련 및 국군병원을 이용한 건강상담 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투자가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on health practice behaviors- of military officer and NCO's. Health practice behaviors were investigated about 'Alameda 7'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exercise, duration of sleep, BMI(Body Mass Index), eating habits of breakfast and snack. Stress was measured by BEPSY-K, degree of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Scal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The data consisted of 352 individuals in 3 military hospitals and command of med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ifference of practices rate among 7 practice behavi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s factors related on the behavior.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7 practices behavior and the dependent variables(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mily structure w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alcohol drinking. 2. Dept, anxiety of physical-ability tes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exercise. 3. Gender, anxiety of physical- ability test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BMI. 4. Gender, age, family structure, marriage, dept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eating habits of breakfast. 5.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eating habits of snack. 6. Age, Anxiety of physical-ability tes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level of Health Practices Index(HPI).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re wer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7 health practice behaviors, Health Practices Index.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might help to select develop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ilitary officer and NCO who will be the target and which program is applied,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stress, self-efficacy might bring a good life style and might be effective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v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xpanded in subject, such as whole of branch.

      • 중국 대학생 교양체육수업 참여동기,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및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

        천하이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68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현황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여동기,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수업만족도와 수업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평생스포츠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교양체육수업 향상에 이론적 근거를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실시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산둥성 6개 대학에서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1,549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 결과에서는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참여동기,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 부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체육수업 과목, 여가시간 운동여부에 따른 참여동기,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의 참여동기는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건강요인은 수업만족도,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수업의 수업만족도는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요인은 수업몰입, 운동지속의사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수업의 수업몰입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몰입요인은 운동지속의사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 수업만족도는 수업몰입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건강, 심리적요인은 수업몰입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심리적요인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동기, 수업만족도는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건강, 심리적요인은 운동지속의사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심리적요인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수업만족도, 수업몰입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인지몰입요인은 운동지속의사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인지몰입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수업만족도, 수업몰입은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사의 경로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성별, 학년, 전공, 과목, 여가시간 운동여부에 따른 학생간의 차이는 다른 교육방법을 채택하여 수업내용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며 모든 학생이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건강요인, 심리적요인, 인지몰입요인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요인은 학생들의 내적욕구이며 심리적 만족과 인지몰입은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 자신감, 성취감을 높여 체육수업에서의 참여도와 운동지속의사를 향상시키다. 따라서 대학생의 운동지속의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건강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동기를 제고시키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심리요구를 만족시키며, 또한 다양한 체육활동과 학습자원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와 인지몰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앞서 다양한 수업지도방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며, 학생에게 적합한 체육수업을 설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교양체육수업 활성화와 궁극적으로 신체활동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커머스에서의 고객경험관리(CE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네이버쇼핑과 쿠팡을 사례로

        최성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67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시장은 기업의 공급중심에서 고객의 수요가 모든 것을 결정하게 되는 수요중심 단계로 진입하였으며 기업은 고객만족, 고객지향, 고객감동으로 나아가 소비자의 가치를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고도화로 발달한 인터넷, 스마트폰의 보급화,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면서 SNS의 활용이 증대되고,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에 대한 감정과 경험을 더욱 활발하게 교류하고 평가한다. ‘2021년 8월 온라인쇼핑 동향’ 통계청에서 실시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5조7,69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8%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1조4,585억 원으로 22.8% 증가하였다. e커머스산업에서의 소비자의 욕구가 점차 다양해지면서 e커머스시장은 더욱 성장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많은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관계관리를 고수하고 있으나 고객관계관리를 채택한 기업 중 약 62%가 그 효과에 대해 만족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미국 NCDM(National Centerfor Database Marketing)이 2002년에 자료를 발표하였는데, 기존 기업에서 사용해왔던 고객관계관리 보다는 고객경험관리 방식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소비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기업에 대한 충성도와 기업 자체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양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 지각하는 모든 경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e커머스 대표기업인 네이버쇼핑과 쿠팡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대상으로 7월~8월까지 약 1개월간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응답 설문 중 결측값 제외한 유효 표본 151부를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아울러 고개경험관리(CEM)를 통해 e커머스산업의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이버쇼핑의 고객경험관리에서 전략성에는 커뮤니케이션요인, 제품 및 서비스요인, 인지적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충성도에는 커뮤니케이션요인, 제품 및 서비스요인, 인지적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에는 제품 및 서비스요인, 커뮤니케이션요인, 인지적 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쿠팡의 고객경험관리에서 전략성에는 커뮤니케이션요인, 인지적요인, 제품 및 서비스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충성도에는 인지적요인, 커뮤니케이션요인, 제품 및 서비스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에는 커뮤니케이션요인, 제품 및 서비스요인, 인지적요인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쿠팡의 제품 및 서비스요인은 전략성, 충성도 부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네이버쇼핑의 기대성과에서는 커뮤니케이션요인과 제품 및 서비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쿠팡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인지적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e커머스 기업은 반드시 고객과의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e커머스산업의 대표 주자를 사례로 고객경험관리를 통해 전략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객경험관리의 각 요인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각각 e커머스기업에 끼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고객경험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야 함을 제언한다.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방적 건강인식 요인에 관한 연구

        조덕윤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66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reventive health awareness factors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for the group of preventive- dimensional health care users and used the quality factors of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he recognition factors of the health new model a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By adding individual's health interest and health self-efficacy in health management as a change factors in health recognition, the theoretical expansion was trying to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ed use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It wanted to check the level of health awareness of user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old lives and preventative health life management in the wake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o see if health recognition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heir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Services. The study checke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users regarding health improvement in their old age and preventative health life management in aging population and also to see if health recognition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heir continued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Services. It was also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demographic gap (sex, age, experience in use, and health status) between different classes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ntinued use, using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as parameters. To support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random survey of 502 users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and analyzed them using data from 436 of users. The statistical program of “plspm” package provided by R studio and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3.0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ructural Empirical Model. The findings confirmed t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continued use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for preventative health life management of the financial insurance consumers are Quality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User's Cognitive factors (Perceived Health benefit, Health self-efficiency, Health interest, Personal innovation), a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being Performance expectations. The Effort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as parameters were shown to affect the most of Intended to use, only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Service in Information system quality factors have an impact on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and all 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User's Con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The adjustment effects were also found that the various gaps(sex, age, experience in use, and health status) existing between each layer represent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future use of the Mobile Healthcare Services, except for experience in us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quires not only IT companies that provide Mobile Healthcare Services but also Financial insurance companies to actively support system users with education and providing program upgrades, in order for a group of preventative health care users to be actively utilize Mobile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Financial insurance companies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customized services tailored to customer needs and insurance discount services provided to Goal Attainment Customers, in order to positively improve the perception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users. The Mobile Healthcare Service suggests that Financial insurance companies and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e-health life management by providing some use support for services that incur high costs, and that the System itself's response speed, Convenient interface, and Small errors should increase the service users' awareness of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by enhancing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본 연구는 예방차원 건강관리 사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예방적 건강인식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UTAUT모형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의 품질요인과 건강신념모델의 인지요인을 주요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다. 특히, 건강인식 변인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개인의 건강관심도와 건강 자기효능감을 추가함으로써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는데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후 삶의 질 향상과 예방적 건강생활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건강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건강인식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계층 간에 존재하는 인구통계학적 격차(성별, 연령, 사용경험, 건강상태)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매개변수로 하여 여러 독립변수 요인들과 지속적 사용의도와의 영향관계에 어떠한 조절효과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 집단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무작위로 실시하였으며, 이 중 43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작업은 SPSS 23.0와 R studio에서 제공하는 “plspm"패키지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금융 보험소비자의 예방적 건강생활관리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시스템 품질요인(정보품질, 서비스품질)과 사용자 인지요인(지각된 건강유익성, 건강 자기효능감, 건강관심도, 개인 혁신성)이며, 가장 중요한 요인이 성과기대임을 확인하였다. 매개변수로서의 노력기대와 성과기대는 대부분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시스템 품질특성 요인의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만이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인지요인에 해당하는 모든 변수들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계층들 내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격차들(성별, 연령, 사용경험, 건강상태)은 사용경험을 제외하고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향후 지속적 사용의도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이 조절효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예방적 건강생활관리 사용자 집단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T기업뿐만 아니라 금융 보험회사도 전문성을 갖추고 시스템 사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교육 및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금융 보험회사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객 니즈에 맞는 맞춤 서비스와 목표 달성한 고객에게 제공하는 보험료 할인혜택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는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는 서비스로 금융 보험회사와 국가 및 지자체 등이 일부 사용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전 건강생활관리 향상에 기여하고, 시스템자체의 반응속도, 편리한 인터페이스, 작은 오류 등이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을 제고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들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정책과제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