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의과대학 의료윤리교육 개선을 위한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 증진방안

        정카이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831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medical technology,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s highlighting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medical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Chinese medical education and to explore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faced by medical ethics education in the field of Chinese medical education. As a first step, the concepts and historical processes of medical ethics and ethics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 study then detailed the current models, content, and method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hinese medical schools, as well as the existing problems. Subsequently, 300 clinical medical students from Jilin Medical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o conduct surveys on their demographic backgrounds, 360-degree evaluations of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assessments of core personal virtu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SPSS 26.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hinese medical universities, focusing on enhancing the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medic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the historical evolu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China, exploring the main problems and challenges faced by current medical ethics education.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medical ethics and it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importance of medical ethics in actual medical practice and its impac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were explored. Additionally, the study reflect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the West and China, proposing the need for China to continue developing traditional medical ethical concepts while adopting modern educational ideologies and methods to enhance educational outcomes. Against the backdrop of international medical ethics education standards, the requirements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dema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dical Education were discussed. These requirements emphasize the professional values, attitudes, behaviors, and ethical standards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possess, along with essential communication skills. The study then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hinese medical universities. The analysis included aspects such as relevant policy and legal support, curriculum setting,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and assessment systems, and the support system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enhancing the humanistic care capabilities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of medical students. To improve the current issues in medical ethics education, the study proposed deepening the standards of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and enhancing the integration of medical ethics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China through educational reform and promoting its internationalization. Secondly, to derive concrete measures to enhance character education in medical ethics education at medical school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rofessional ethics, communication skills, and core virtues of character among Chinese medical studen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for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relatively high, scoring 4.62 (SD=.55) and 4.60 (SD=.73) out of 5,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for professional ethics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gender, year of study, and whether the student was an only child (p<.001), and also varied according to monthly living expenses, region of origin, having family members with a medical background, participation in medical ethics-related education (p<.01), and the reasons for studying medicine (p<.05). Communication skills also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p<.001), and were influenced by factors like region of origin, being an only child, having family members with a medical background (p<.01), monthly living expenses, reasons for studying medicine, and participation in medical ethics-related education (p<.05). The average score for the core virtues of character among medical students was 3.89 (SD=.65), which falls between 'average' and 'agree' on a 5-point scale. Among the eight components of core virtues, responsibility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respect, ritual propriety, filial piety, cooperation, communication, consideration, and honesty. Comparing the core virtues of character of Chinese medical students with those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dimensions such as ritual propriety, filial piety, and cooperation were relatively higher in medical students, whereas honesty and communication were lower.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ore virtues of character on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showed that these virtu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p<.001). Thirdly,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to enhance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in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hinese medical universities, dividing the strategies across educational institutions, medical practice, and national levels.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level, it was suggested to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and introduce specialized courses in professional ethics. In the medical practice setting, it was proposed to enhance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for residents and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ethical practice of medical professionals. At the national level, it was recommended to develop specialized medical ethics education policies, increase financial investment in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discover and spread best practices in medical ethics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t was suggested to not only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but also introduce regular courses in communication skills. In the medical practice setting, it was recommended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residents and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practices of medical professionals. At the national level, the proposal included establishing specialized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policies, increasing educational investments, and discovering and disseminating best practices in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while Chinese medical universities currently have a certain educational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 ethic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medical students, there is a need for a medical ethics curriculum that better responds to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the demands of the medical fi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s the role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societal development and provides a deep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thics education at Chinese medical universities from national, societ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Secondly, it scientifically investigates the professional ethic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core virtues of character of medical students in China,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data, and proposes improvements at the educational, medical practice, and national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beyond a mere awareness of medical ethics, providing practical resources for the concrete application of these ethics in medical education in China. 현대의학과 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점점 더 복잡해지는 의사와 환자 간 바람직한 치료적 관계를 위해 의과대학생들의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 강화의 필 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의료교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의료윤리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성적 및 정량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중국 의료교육현장에서 실시하 고 있는 의료윤리교육의 실제 현황과 직면한 도전을 전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 다. 첫 단계로,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의료윤리 및 의료윤리교육의 개념 및 역사적 과정을 탐구하고, 현재 중국 의과대학의 의료윤리교육 실행 모델, 교육내용 및 방법, 그리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어서, 중국 지 린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300명의 임상 의과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인구 사회학적 배경, 360도 직업윤리 및 의사소통능력 평가, 그리고 인성 핵심덕목에 대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 증과 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의과대학생의 직업윤리 와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 중국 의과대학 의료윤리교육 개선방 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 의료윤리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 시행 상황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현행 의료윤리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와 도전을 탐구하였다. 이 를 위해 의료윤리와 그 교육의 기본개념을 고찰하고, 실제 의료현장에서 의료윤리 의 중요성과 의과대학생의 직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한, 서양과 중 국 의료윤리교육 발전의 역사를 회고하며, 중국이 전통 의료윤리 관념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면서 현대 교육이념과 방법을 도입하여 교육효과를 향상시킬 필요성을 제 안하였다. 국제 의료윤리교육표준의 배경에서, 세계보건기구와 국제의학교육전문위 원회가 의과대학생에게 요구하는 의료윤리교육 요건을 논의하였다. 이 요건들은 의 과대학생이 가져야 할 직업적 가치관, 태도, 행동 및 윤리기준과 필수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현행 중국 의과대학의 의료윤리교육 현 황을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에는 관련 정책 법률적 지원, 교육과정의 설정, 교수 및 평가 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비교과 교육의 지원체계가 포함되었다. 또한, 의료윤리 교육이 의과대학생의 인문적 배려 능력과 직업적 책임감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하는 역할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현행 의료윤리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윤리 교육에서 의과대학생의 직업윤리교육 기준을 심화하며, 의료윤리교육과 인성교육의 통합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교육개혁을 통해 중국 의료윤리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제화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둘째, 의과대학의 의료윤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구체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방법을 통해 중국 의과대학생의 직업윤리, 의사소통능력 및 인성 핵심덕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각각 4.62점(SD=.55), 4.60점(SD=.73)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평균점수는 성 별, 학년별, 독자여부별로 차이를 보였고(p<.001), 월 생활비, 출신지역, 의학배경을 가진 가족구성원 여부, 의료윤리 관련 교육 참여 여부(이상 p<.01), 의학을 공부하 는 이유(p<.05)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 평균점수는 성별로 차이를 보였고(p<.001), 출신지역, 독자여부, 의학배경을 가진 가족구성원 여 부(이상 p<.01), 월 생활비, 의학을 공부하는 이유, 의료윤리 관련 교육 참여 여부 (이상 p<.05)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생의 인성 핵심덕 목 평균점수는 3.89(SD=.65)로, 5점 척도의 '보통이다'와 '그렇다' 사이에 분포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핵심덕목 8개의 구성요소 중 책임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 고, 이어서 존중, 예, 효, 협력, 소통, 배려, 정직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의과대학 생의 인성 핵심덕목 강점과 보완점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일반대학생 의 인성 핵심덕목 점수와 비교한 결과, 예, 효, 배려, 협력 차원은 의과대학생이 상 대적으로 더 높은 반면, 정직과 소통 차원은 일반대학생 집단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생의 인성 핵심덕목이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결과, 인성 핵심덕목은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의과대학 의료윤리교육 개선방안으로 직업윤리와 의사 소통능력을 증진하는 방안을 학교교육, 의료현장, 그리고 국가차원으로 구분하여 제 안하였다. 먼저, 의과대학생의 직업윤리 증진을 위하여 학교교육에서는 의과대학생 의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전문 직업윤리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의료 현장에서는 수련의사의 직업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의료인의 직업윤리 실천 평가체계 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가차원에서는 전문 의료윤리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재정 투자를 확대하며 의료윤리교육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확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교육에 서 인성교육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정규 의사소통기술 과목을 개설하는 방안을 제 안하였다. 의료현장에서는 수련의사의 의사소통 능력 교육을 강화하고 의료인의 의 사소통능력 실천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차원에서는 전문 의 사소통능력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육투자를 증가시키며 우수한 의사소통 실천사 례를 발굴하고 확산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국 의과대학은 의과대학생의 직업윤리와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일정한 교육적 기반이 있지만, 급격하게 변하는 현대사회의 변화와 이에 따른 의료현장의 요구에 더 잘 부응하기 위한 의료윤리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의료윤리교육이 사회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고, 중국 의과대학 의료윤리교육 현황을 국가, 사회, 학교의 측면에서 심 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현재 중국 의과대학생들의 직업윤리과 의사소통능력 및 인성 핵심덕목을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여 중국 의과대학 의료윤리교육의 현 황과 문제점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윤리교육의 개선 방안을 학교차원, 의료현장, 국가차원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중국 의과대 학 의료윤리교육이 의료윤리에 대한 단순한 인식을 넘어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따른 초등영재 인성교육 방안

        박소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 영재 학생들이 도덕성 발달 단계에 부합하는 인성교육을 지속적으로 받고 몸소 체득할 수 있도록, 인성 가치 및 덕목, 사회적 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영재 수업 지도안을 고안하고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및 도덕적 추리 발달 단계에 따른 초등 영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인성 가치 및 덕목은 무엇인가? 나. 초등 영재 3, 4, 5, 6학년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사회적 기술은 무엇인가? 다. 초등 영재 학생들의 인성 관련 가치 및 덕목, 사회적 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영재 수업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라. 초등 영재 학생들의 인성 관련 가치 및 덕목, 사회적 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영재 수업에 대한 영재 교사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가를 해결하기 위하여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과 도덕적 추리 발달 단계를 2009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비교하여 인성 가치 및 덕목을 설정하였고, 연구 문제 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진희(2013)의 논문에서 사회적 기술을 참고하였다. 또한 연구 문제 다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영재 수업 지도안에 도덕성 발달 방법을 추가하여 수정하였고, 이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문제 라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및 도덕적 추리 발달 단계에 따라 초등 영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인성 가치 및 덕목은 존중, 책임, 자율, 성실, 절제, 정직, 예절, 협동, 준법, 공익, 정의, 배려의 총 12가지이다. 둘째, 초등 영재 3, 4학년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사회적 기술은 ‘긍정적인 자아 태도 갖기’ 등의 21가지, 5, 6학년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사회적 기술은 ‘자신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등의 30가지이다. 셋째, 초등 영재 학생들에게 필요한 인성 관련 가치 및 덕목, 사회적 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영재 수업은 학습 목표와 관련된 수업 활동 및 수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 그리고 수업 내용과 관련된 인성 가치 및 덕목, 사회적 기술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연구자가 고안한 영재 수업 지도안에 대하여 영재 교사들은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고, 본 연구의 취지와 지도안의 실효성에 대하여 적극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추후 본 연구의 지도안을 영재 학생들에게 실제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가시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 연구 및 영재 학생들의 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퇴계 이황의 사상과 삶이 갖는 인성교육적 함의 : '성공하는 삶을 통한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김영주 慶尙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세계 최초로 인성교육과 관련된 법안이 제정되고, 교육과정 개정 시 매번 강조하는 것이 인성교육의 강화임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제대로 된 인성교육의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것이 내가 원하는 삶과 동떨어져 있다면 아무리 좋은 내용과 방법이라 하더라도 와 닿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좋은 인성이 모든 이가 원하는 성공하는 삶과 맞닿아있는 것이라면 굳이 그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아도 모두가 좋은 인성을 갖기를 원하고 바라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성공하는 삶과 바른 인성이 분리되지 않는, 즉 ‘성공하는 삶의 추구’를 통하여 바른 인성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공적인 삶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을 검토해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역량을 기르는 것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자신의 올바른 지향처를 세우고, 집중력[의지력]을 배양하고 활용하여 항상 제 자리에 있으면서, 지향처를 달성하기 위한 3대 역량(지력, 기력, 정감력)을 길러서 정진하면 좋은 인성은 저절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은 조선시대의 뛰어난 성리학자며 청백리의 대표적 인물로서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 성공한 삶을 살아간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러한 퇴계의 사상과 삶을 통하여 이러한 인성교육의 방향이 우리에게 필요하고 유의미한 것임을 검증하여 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퇴계는 ‘존천리알인욕(存天理遏人慾)을 통한 구인성성(求仁成聖)’이라는 자신의 지향처를 세우고, 이를 이루기 위하여 평생을 노력해 온 인물이다. 그의 거경궁리(居敬窮理)를 위한 노력이나 정좌수련법 등은 오늘날에도 충분히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내용들이다. 이렇게 성공을 향해 나가가는 과정에서 퇴계는 훌륭한 인성을 지니게 되었고, 그것이 그의 전체 삶 속에서 드러나게 되었다. 따라서 퇴계의 언행을 통해서 인성교육진흥법에서 강조하는 인성교육의 8대 덕목인 효, 예, 책임, 정직, 존중, 배려, 소통, 협동을 중심으로 퇴계의 인성 교육적 의의를 살펴볼 수 있다. This research started from a question, why we do not find a solution for proper character education, nevertheless the relevant bill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the government emphasizes the reinforcement of character education every time curriculum is revised. Lots of scholars suggest the concepts and various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however, if they are disconnected with our desired life, we feel the contents or methods are unnecessary, even though they are valuable. On the contrary, if good character is closely related to successful life, which everyone wants, then everyone will wish to have good character without any emphasis on its importance.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onducts proper character naturally, not separated from successful life, that is, through ‘pursuit of successful lif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ecessary factors for a successful life and determine the meaning and method of growing capability required to realize the successful life. Good character is naturally created when a person establishes one’s right aim, keeping one’s position cultivating and utilizing concentration [will power], and exerts efforts by growing 3 capabilities (intellect, energy, sensitivity) to achieve the aim.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 w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a representative person of Cheongbaekri in Joseon Dynasty, a representative person who lived a successful life, still respected and loved by many people today. Through Toegye’s ideology and life, this research intended to verify such direction of personality is necessary and meaningful to us. Toegye,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established his aim, ‘Guyinseongseong(求仁成聖) through Joncheonrialinyok(存天理遏人慾)’, and exerted efforts through his life to realize it. His efforts for Geogyeong Gungri(居敬窮理) and Jeongjwa training are significant contents for us today. This way, in the process of pursuing success, Toegye achieved great character, and it appeared through his whole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oegye, mainly with 8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filial duty, etiquette, responsibility, honesty, respect,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emphasized by the Personality Education Act, through Toegye’s words and behaviors.

      • 장계향의 삶과 인성 리더십 교육

        김수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재를 우리나라 대표적인 여성상의 상징인 장계향의 삶을 통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시대마다 요구되는 인재상이 다르기는 하지만 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재상을 요구하는 것은 시대를 불문하고 강조된다.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인성교육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재 가운데 여성의 신분으로 조선 시대라는 주어진 환경에서 시대 상황에 맞게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여중군자 장계향의 학문과 사상에 주목하였다. 장계향의 삶과 관련이 있는 일화를 통해 섬김리더십, 군자리더십, 감동리더십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의 삶을 통해서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훌륭한 리더십으로 창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계향의 삶을 분석한 결과, 인성과 리더십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인성 리더십을 몸소 실천한 장계향의 삶이 현대 인성 리더십교육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인성 덕목별 프로그램을 통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유리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초월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둘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절제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셋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정의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넷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인간애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다섯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용기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여섯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요인 중 지혜 요인의 변화가 있는가? 이다. 일곱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하는 초등학생들은 연령에 따른 인성의 변화가 있는가? 이다.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산시 소재의 B 초등학교의 3∼6학년 학생 40명씩 총 160명을 대상을 선정하였다. 2014년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동안 실험연구를 실행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한 반복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t검정 및 F검정을 양적으로 산출하여 통계 처리하고 비교?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인성을 초월, 절제, 정의, 인간애, 용기, 지혜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6가지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모두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중 초월, 인간애, 지혜 요인 세 가지 요인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성을 24가지 하위 요인으로 살펴보면 16가지 요인이 리커르트형 4점 척도 기준인 “3점: 그렇다”를 넘는 점수를 보여준다. 초월 요인 중 감상력, 감사, 희망 3가지와 절제 요인 중 용서 1가지, 정의 요인 중 공정성과 리더십으로 2가지, 인간애 요인 중 사랑, 친절, 사회성으로 3가지, 용기 요인 중 끈기, 활력으로 2가지, 지혜 요인 중 창의성, 호기심, 개방성, 학구열, 통찰 5가지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학년에 따른 인성 변화를 살펴보면 4학년은 낮은 점수를 보이는 반면 3학년, 5학년 및 6학년은 높은 점수를 보여준다. 즉, 인성요인은 학년보다는 각 학년별 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사후 반복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 심층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는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실험집단과의 비교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할 수 있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인성을 검증할 다양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club activities on the charact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ere there changes in the transcendental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econd, were there changes in the moderation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ird, were there changes in the justice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urth, were there changes in the human love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ifth, were there changes in the courage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ixth, were there changes in the wisdom factor among characte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eventh, were there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y age?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60 students, 40 students each from 3∼6 grades in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nsan-si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club activities on the charact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10 months from March to December, 2014, and repeated post-inspection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and the researchers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by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f-test using the SPSS 22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When data for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er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ranscendence, moderation, justice, human love, courage, and wisdom, it wa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within all six factors, especially on the three factors of transcendence, human love, and wisdom. Among 24 subfactors of character, 16 factors showed higher than "3 points: yes" on Likert's 4-point scale. There were three factors from the transcendence category - appreciation, appreciation, and hope; one factor from the moderation category ? forgiveness; two factors from the justice category ? fairness and leadership; three factors from the human love category ? love, kindness, and sociability; two factors from the courage category ? persistence and vitality; and five factors from the wisdom category ? creativity, curiosity, openness, ardor for study, and discernment. Las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 changes by grade level of students, the 4th grade students showed lower points, whereas the 3rd, 5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points, meaning that character factors are influenced more by the group characteristics than by the grade level.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positive results. First, further study will be possible if post-repetitive investigation results are analyzed after the preliminary inspection. Second, research for obtain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is need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s a group that did not receive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ird, research can be conducted by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ools for verify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s.

      • 경찰 인성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 -경찰 교육기관 및 경찰업무를 중심으로-

        유병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인성 정립이 국민과의 관계에서 도덕, 윤리, 인격 등 직간접적으로 인간다운 인성교육으로 성품과 역량을 길러 국민의 진정한 파수꾼으로 국민의 인권 보호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서 진실한 인간으로서의 성숙한 모습으로 국민과 함께 우정의 관계로 발전되어 서로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상생의 관계로 발전될 수 있게 하려고 경찰관의 청렴 · 인성교육의 필요성은 어느 정도이고, 체계적인 인성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경찰 개개인의 윤리성 아울러 경찰의 전문성을 향상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무장된 경찰 활동 및 문제 지향적인 경찰 활동을 원하는 시대적 환경에 놓여 있는 다양한 사회 갈등과 이념 간의 충돌 대내적(본인, 직장상사 동료, 가족), 갈등적 요소와 대외적(국민, 피해자, 피의자 각종 사건 관련) 대민서비스 관련 고충 처리 등을 해결하기 위해 경찰공무원으로 시작하는 신임순경 교육기관인 중앙경찰학교, 경찰대학교, 경찰간부후보생 등, 경찰 인재개발원까지, 체계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육프로그램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인성교육은 특정한 사람을 위한 한정된 교육이 아니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사회활동, 가정교육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과 물적 · 인적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물질만능주의 등 여러 가지 사회 현상으로 인해 경찰공무원으로 시작하는 모든 신임경찰의 청렴 · 인성 수업을 통해 자기존중에서 기인하는 경찰공무원들 개개인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청렴, 인성교육과 공직에 대한 가치와 소명의식 함양을 위한 인성이 바로 선 경찰교육 훈련 선진화 방안에 관한 경찰공무원의 청렴, 인성교육훈련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교과목 특화설계로 경찰의 전환기로 삼아 국민의 안전과 생명,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국가의 공공질서와 안녕을 보장하여 경찰 위상과 인권 경찰로 거듭나기 위한 인력 증원, 처우개선 향상, 직무 스트레스 감소 등에 관한 생각과 미래 경찰관에 대한 인성교육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방향의 교육이어야 한다. 교육내용 또한 자신에 대한 이해부터 타인을 위한 관심과 배려, 그리고 환경 등 문제의 창의적인 해결 노력까지 포괄적인 개념이 되어야 한다. 나아가 경찰공무원, 특히 신임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경찰 직무에 영향력을 미치는 합리적인 방안으로 인성교육의 내실화 및 체계화, 교육환경의 분위기 조성과 과학화, 개인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수업방법 도입, 봉사활동 참여 등 인성교육 체험활동 확대,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 및 지원인력 확보, 인성교육 자격증 발급과 경찰공무원으로 재직 후 그 경험을 바탕으로 퇴임 경찰관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함으로써 경찰의 위상 정립과 국민이 믿고 보이지 않으면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경찰로의 기반을 다질 것이다. 경찰관들의 인성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연구하여 경찰의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보완하고 경찰관들의 자세와 업무체제 효율성을 위해 새로운 방향과 기술을 연구 개발한다.

      • 인성교육에 대한 긍정심리학의 함의 : 교수·학습방법을 중심으로

        정한길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이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이루어져 온 인성교육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졌던 정서 함양을 통한 정서적 측면의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곧 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기술 교육의 필요성을 대변하며 이러한 대안으로 최근 미국에서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이 제시되고 있다. 긍정 심리학은 인간의 삶을 긍정적 방향으로 돌리기 위한 심리학의 역할에 대하여 탐구하는 학문 영역으로 중심 주제는 행복이다. 행복을 위한 과학적 연구로 긍정심리학의 주요 주제는 긍정 상태, 긍정 특질, 긍정 기관이다. 즉, 긍정심리학은 주관적인 정서 뿐 아니라 지속적인 긍정적인 행동양식 성품, 덕목과 개인이 속한 조직의 행복 등을 모두 망라하여 연구한다. 이와 같은 긍정심리학이 인성교육에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은 인성의 정서적 측면 강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서가 점점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어 온 것처럼 현재 도덕심리학 분야에서도 정서는 도덕성의 중요한 요소로서 점차 인정받고 있다. 이에 대해 긍정심리학에서 정립한 ‘VIA 성격 강점과 덕목’은 인성교육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통합적 인성교육이 가능하게 한다. ‘VIA 성격 강점과 덕목’에서는 지혜, 정의 등과 같은 도덕성의 합리적 측면을 담고 있는 덕들을 다른 정서적 측면의 덕들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VIA 연구 성과는 통합적 인격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긍정심리학은 인성 교육의 긍정성을 강화한다. ‘VIA 성격 강점과 덕목’은 덕 윤리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보완하므로, 도덕과 인성교육의 부정성을 극복하고 긍정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긍정심리학은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인성교육의 보완책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먼저, 소수 문제 초점을 맞추던 학교폭력 대처에서 모든 학생의 안녕, 행복, 성장을 지향하는 적극적,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긍정심리학의 새로운 흐름은 학교폭력 문제 해결에 있어 점차 건강하고 긍정적인 강점특성 개발로 관심의 초점이 변화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대처를 개인적 차원의 문제해결을 위한 초점 개입에서 건강한 관계 및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웃기, 즐거워하기, 자신의 느낌 표현해보기, 침묵해보기 등의 시간을 가져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표현에 대해 숙고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넷째, 인성교육 방법의 다양화차원에서 긍정심리학은 의미를 갖는다. 인성교육은 어느 하나의 방향을 설정하기보다는 인성의 의미와 실천이 광범위함을 인정하고 중층적이고 다원적 양태를 포함하는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인성교육 방법을 다양화 하고자 하는 방법으로써 긍정심리학의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에 기반한 낙관적 태도를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인성교육의 하나의 지향점으로서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게 일어나는 의미 있는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바탕이 되며,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대인관계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 긍정심리학은 심리적 안녕과 행복한 삶의 방향으로 사람들을 이끌고 도와주기 위해 자기존중감에 관심을 가졌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인격 함양을 통해 건강하고 책임 있는 도덕적 시민 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긍정적인 삶의 태도는 올바른 인성교육을 목표로 하는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가르쳐져야 한다. 이는 특히 인성교육과 연계되어 실시된다면 더욱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긍정심리학적 교육방법이 인성교육과 연관되어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고려하여 연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앞으로 이러한 과정이 긍정심리학과의 연계를 통해 꾸준히 제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what implication of Positive psychology to character education i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programs, can utilize in character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eaching-leaning methods. Recently, education of emotion in character education school that relatively neglected, have been emphasized. So, studies of Positive psychology receive attention for alternative way to character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s viewpoint that the use of strengths leads a happy life raised the question as to what strengths are. So, I found these five implic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for character education. First. Positive psychology can provide emotional aspect to character education. The VIA character strength includes emotional moral value. That means that emotional character education can be integrated with cognitive character education. Second, Positive psychology to provide positive thought for students in character education because of happiness. Happiness means that positive emotions,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accomplishmen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strengths, happiness, and the state of obtaining the five elements in harmony was named well-being. Third, Positive psychology presents that students have to develop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moral imagination, and the empathy ability in moral emo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chool violence. In conclusion, these abilities can be accomplished by the continuous school education. Forth, The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character strengths of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is able to contribute to specifying the accomplishment criteria of character education and diversifying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happiness. Fifth, Positive psychology help to build self esteem in positive way. As a goal of character education, self esteem is the base to intercation in home, school and society. Self esteem was one of the important thesis to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er education. Therefore, by applying the positive psychology to character edu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ositive elements of a happy life to students. In the aspect that most people want to live a happy life, happiness is human being's most universal and strong motivation. To lead the motivation of pursuing happiness into mor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keep getting concerned with education for happiness in character education.

      •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신준국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831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함양에 중심을 둔 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부의 방향 제시에도 불구하고,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실현은 어려운 점이 많다. 게다가 인성교육을 위한 수학교육의 지침이나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 중심 수업강화를 위한 수학과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부합된 수학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학교육의 당면과제 중의 하나인 인성교육의 실현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즉, 21세기 핵심역량인 창의적인 민주시민양성이라는 교육부문 핵심 국정과제 중의 하나인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수학과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부합된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학교과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 중심 수업에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 교수․학습 모형 및 자료의 개발 연구, 현장 적용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성교육의 개념 정립과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 수학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 및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수학과 수업모형 설정 및 수업자료 개발을 위해 교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개발한 자료에 대한 현장 적용을 실시한 다음, 실험결과는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수학교과 수업을 통해서는 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많은 교사가 수학교과에서도 인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보였다. 수학교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수학교실에서 인성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인품/언어/행동’, ‘학생들 사이의 수학적 의사소통’으로 나타났고, 수학 수업에서 실현 가능한 인성 요소로 정직, 책임, 배려, 용기, 소유, 인내, 공정, 협동, 화합 등이 가장 많이 추출될 수 있었는데, 이는 일반교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학교실에서 인성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업 내적인 요소로 발표, 답변, 의사소통, 토론, 프로젝트, 협동 등을 제시하였으며, 인성교육에 가장 적합한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학습, 스토리텔링학습, 탐구지향발견학습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수학과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일반교과에서 다루어지는 인성요소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요소로 인간 본성의 탐색과 인식, 자기이해와 수용, 자기개방성, 인간관계, 도덕성 및 사회성 함양, 자기주도성, 관용, 개방성, 유연성, 타문화이해, 창의성, 책임과 배려, 협동과 화합, 용기와 공정 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학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요소를 세 가지로 추출하였다. 먼저 이타성(존중성) 요소를 선정하였다. 이타성 요소는 다른 학습자의 풀이 방법과 의견을 존중하며, 이를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성품을 기르기 위해서, 개방성(타인의 의견을 수용), 존중과 배려(타인의 의견에 대한 겸허한 수용), 감수성(친근한 분위기 조성), 공감, 신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합리성(논리성) 요소를 선정하였다. 합리성 요소는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설득력 있게 논리적으로 표현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합리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과정을 통해 민주 시민의 소양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 자기이해(자신의 수학적 상황), 사회성(대중에게 자신의 의견을 도출), 정직(자신의 생각을 솔직히 적고, 말함), 용기(부족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발표), 자기주도성(스스로 자발적인 참여), 합리성(논리적 접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정지향성 요소를 선정하였다. 과정지향성 요소는 수학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결과에 이르는 과정의 중요함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 사회성(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의 중시), 협의성, 협동성, 인내, 만족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째, 교수․학습 모형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수업 내외적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 내적 형식 요인으로 토론 수업, 적절한 발문과 코멘트를 사용한 수업을 추출하였고, 수업 외적 형식 요인으로 프로젝트학습, 탐구지향발견학습, 문제중심학습, 스토리텔링학습을 통한 수업을 추출하였다. 넷째,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수학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모형은 수학 수업 내적 요인, 수업 외적 요인을 기초로 하여 7가지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의 이름은 존중적 수행 모형, 독립 수행 모형, 상호주도 모형, 자기주도 모형, 협력중심 모형, 자기이해 모형, 이야기 공감 모형으로 명명하였다. 다섯째,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7가지 수업모형에 따라 자료를 개발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모형에서 추구하고 있는 인성 요소를 제시하고, 수학교사가 수업에서 도입, 전개, 정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으며, 수업모형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는 수업모형의 특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요구조사를 반영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요소를 교사가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인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사용 자료를 개발하였고, 인성교육 함양에 관련이 있는 단원 및 본시학습내용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사용 자료와 학생용자료를 구별하여 개발하였고, 인성교육 실현을 위해 다양한 수준의 문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여섯째, 현장 적용 및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중학교 1학년, 2학년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하였다. 수학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형 및 이에 바탕으로 교수․학습 자료가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용어: 인성, 창의와 인성, 이타성, 합리성, 과정지향성, 프로젝트학습, 탐구지향발견학습, 문제중심학습, 스토리텔링학습, 존중적 수행 모형, 독립 수행 모형, 상호주도 모형, 자기주도 모형, 협력중심 모형, 자기이해 모형, 이야기 공감 모형

      • 공자사상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유아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초 록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이 발의 된 이 후 공자의 교육사상을 사회적 이념과 성향에 흔들리지 않는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사상적 지표로서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공자사상의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연구가 공자의 교육방법과 교육중점사항의 설명에 국한 되어 있어, 오늘날의 인성교육에 공자의 교육이 어떠한 교육철학적 의의를 갖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공자사상의 교육철학적 지표로서 가능성과 타당성을 교육학적으로 밝히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인성함양의 교육방안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학적 타당성의 증명을 위해 계몽 철학과 경험론 철학의 원조로 불리는 John Locke, 실용주의를 미국의 철학으로 자리잡게 한20세기의 가장 유명한 교육가 John Dewey, 인지발달이론의 대표학자 Lawrence Kohberg의 교육이론을 활용하였다. 공자의 교육사상은 공자사상의 정수인 『論語』를 중심으로 하되, 공자의 교육사상적 면모를 찾아 볼 수 있는 『周易』, 『中庸』, 『大學』등의 유교서적을 참고로 하였다. 인성교육 방안의 단초는 현재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 가치 덕목 중, 공자의 교육사상과 부합하는 ‘禮’, ‘孝’, ‘修己’, ‘反省’, ‘讀書’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자의 인성교육이 교육철학적 지표로서 타당성과 효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 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공자의 인성교육은 ‘삶’ 그 자체일 때 가장 완벽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르치는 것이 아닌 성숙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시한 인성교육을 하였다는 것에, 공자의 교육은 현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진정한 방향성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軍 인성교육 요소의 책임·협력·충성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분석연구

        김혜자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군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군인을 대상으로 군 인성교육의 요인 중 책임, 협력, 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군 인성교육의 책임과 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복무기간, 계급, 보직, 만족도에 따른 집단 간에 대한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 지역의 군 인성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군 장병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 274부 중 불확실하거나 불성실한 반응인 4부를 제외한 270부를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하는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은 SPSS WIN 23.0과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규명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인성교육의 요인인 책임은 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책임의 하위요인인 역할 정체성이 협력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고, 솔선수범이 가장 적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인성에서의 책임이 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 인성 요소 중에서 책임이 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로 충성에 대해 책임의 하위요인인 역할 정체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명예, 다음으로 솔선수범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 인성에서의 협력의 소통, 갈등관리, 전우애는 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군 인성의 책임과 충성의 관계에서 협력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군 인성의 책임이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협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로는 복무기간이 길수록 책임이 협력과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간부와 사병에 의한 계급 차이에서는 간부가 사병보다 책임이 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보직에 의한 조절 효과는 책임이 높은 보병이 특수병과보다 협력과 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대한 조절 효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책임이 협력과 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군 인성교육 요소의 책임, 협력, 충성 간의 관계에서 변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군 장병들의 충성심의 고취와 군 인성교육에서 요구되는 요인 향상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