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성동화 듣기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진아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동화 듣기 시간에 자주 활용되는 인성동화 듣기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하는 T유치원 만4세의 지적장애 유아 2명 및 자폐성 장애 유아1명, 총 3명의 발달장애유아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통합학급의 비장애유아 19명이다. 인성동화는 인성교육의 덕목 중 배려, 존중의 구성요소가 포함된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어린이문화진흥회 선정 “좋은 어린이책” 으로 선정된 동화책 16권이었다.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장애 유형과 장애정도가 동일한 두 집단을 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연구대상의 모수가 적어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인성동화 듣기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avazza와 Odom(1995)이 제작한 ‘유아용 장애 수용 척도(ASK)'와 Esposito와 Peach(1993)의 ’장애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태도 조사(PSSHP)'를 기초로 수정 ․ 보완한 장애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진 사회적 관계 측정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동화 듣기 활동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인식영역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지체장애에 대한 개념, 시각장애에 대한 개념, 청각장애에 대한 개념, 장애친구에 대한 두려움, 장애친구의 능력, 장애인에 대한 마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친구와의 유사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장애에 대한 개념, 두려움, 능력, 마음에서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장애와 관련된 정보제공에 한계가 있는 인성동화와 함께 장애에 대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교육 활동이 요구되고, 장애유아와의 유사성에서는 인성동화 듣기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인성동화가 유치원 통합교육 환경에서 심리적 통합을 위한 의미 있는 장애이해교육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사성에 의미가 있었으나 그 외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점은 본 연구대상과 함께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유아가 감각장애가 없는 발달장애유아들이므로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으나, 감각장애유아가 통합된 환경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동화 듣기 활동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유치원 장애이해교육의 한 가지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인성동화 통해 장애유아가 학급의 구성원 또는 놀이친구로 받아들여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 수용 태도 변화를 위해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성동화 듣기 활동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용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인성동화가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와 관련된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stening activities with often used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acceptanc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cluded 19 four-year-olds without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class, in which there were two you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young child with autism, at T Kindergarten in Asan City. Sixteen storybooks containing virtues such as consideration and respect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single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applied due to the impossibility of choosing two groups with the same disability characteristics as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effort to examine the effects of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on the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jects, the investigator used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s of disabilitie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Acceptance Scale of Kindergarteners (ASK) by Favazza and Odom (1995) and the Primary Student Survey of Handicapped Persons (PSSH) by Esposito and Peach (1993). Th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on attitudes of acceptanc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jects were measured with the photo-based social relationships scal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through a paired-sample t-test with the SPSS 22.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on the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jects. Specific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physical disabilities, concept of visual impairment, concept of hearing impairment, fear of friends with disabilities, abilities of friends with disabilities, hear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imilarities of friends with disabilities. These findings indicate a need for educational activitie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disabilities along with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about disabilities so that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ill change their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concept, fear, perceptions of ability, and heart. The finding that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their similarities to the subjects implies that personality storybooks can be used as a meaningful means of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for psychological integration in a kindergarte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he finding that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had no influence on the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subjects other than recognizing similarities seems natural since the subjects and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nclusive education had no sensory disabilities, but there i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young children with sensory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Second,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had positive influences on attitudes of acceptanc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jects, which indicates that such activities can be used as a means of kindergarten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that personality storybooks can help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 accepted as members of the class and as playmates. They can especially be put to positive use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ward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 short, listening activities with personality storybooks ha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ositive influences on attitudes of acceptance. toward them, which implies that personality storybooks can be used as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 문학교육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경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교 문학교육이 학습자의 창의‧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창의‧인성교육 중점 요소를 추출한 후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문학수업을 설계하고, 성북구 소재 개운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여섯 가지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후 해당 수업을 받은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응답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문학교육과 창의‧인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문학수업을 통해 함양되는 창의‧인성교육 중점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문학교육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의 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 있다. 기존의 연구가 교육학적 접근에서 국어교과로 충분히 연계되거나 확장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면,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교과의 문학수업을 통해 어떻게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연구 결과 문학교육이 창의성 교육에 적합하다는 기존의 우려와 달리 공감, 배려, 반성, 도덕적 판단력 등 인성 요소를 길러 줌으로써 학습자의 인성 함양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문학교육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과 실태 : 만 0, 1세를 중심으로

        이은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만 0, 1세 담임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인식에 따른 실태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과 기관변인(담당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인성교육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인성교육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과 기관변인(담당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인성교육 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인성교육의 실행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76곳의 만 0, 1세 담임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박경옥, 2010)와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작된 교사용 인성교육 설문지(박현진, 2013)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문제 1번에 대한 분석은 중복문항은 빈도확인, 서술형 문항은 유목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변인과 인성에 대한 질문을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과 LSD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번에 대한 분석은 빈도분석 하였으며, 연구 문제 3번에 대해서는 인성교육의 인식에 관한 질문과 실행에 관한 질문 18번과는 교차분석 및 카이검정, 20번과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과 기관변인(담당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인성교육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우선,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로는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이기심), 도덕성 결여, 인간성 상실이 나타났으며 존중, 자기통제, 양심과 같이 자기 조절 및 타인배려를 인성의 주요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나에 대한 인식 및 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을 통한 타인의 감정 인식을 영아인성교육의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아인성교육의 지도는 전 영역을 통한 지도와 가정 연계, 교사의 모델링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영아인성교육의 문제점 극복 방안으로는 가정과 어린이집 사회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서로간의 협력, 제도를 통한 인적 물적 환경 변화의 필요성을 이야기하였다. 다음으로는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과 영아인성교육의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변인 중 연령과 경력이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 개념 및 내용, 전인교육과의 개념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변인(연령, 경력, 학력)과 기관변인(담당연령, 기관유형)과 영아인성교육의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인성교육의 관심도는 교사변인 중 연령 경력, 기관변인 중에서는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아인성교육의 별도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생각은 교사변인 중 연령, 학력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또한, 동료교사의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교사 변인 중 연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영아인성교육을 위한 바른 행동 모델에 대한 생각, 영아인성발달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영아인성교육이 영아에게 도움을 주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바람직한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에 대한 지원에 관한 인식은 교사변인 중 연령,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 지속적인 교사연수를 통한 교사 재교육, 가정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영아인성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현장에서 영아인성교육의 실시 횟수는 ‘수시’와 ‘주 1~2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영아인성교육의 목표 중 올바른 기본생활습관의 기틀 마련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영아인성교육은 쌓기영역과 언어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인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부모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협조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및 교육청에서 발간하는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인성교육의 실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성교육의 목표는 실행과 관계가 있었으나 개념 및 내용, 전인교육과의 개념차이, 영아인성교육의 별도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동료 교사들의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현장에서 특정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람직한 영아인성교육을 위하여 국가차원의 가족 지원 및 지속적인 교사의 재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all perception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i. e., teachers in charge of 0 to 1 year olds) and difference by variabl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actual conditions based on their perception.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s for inquiry have been set up: 1. What are perceptions on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variable (age of the in charge, type of organization)? 1-1. What are perceptions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1-2. Is ther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1-3. Is ther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based on organizational variable (age of the in charge, type of organization)? 2. What are actual condition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ty eduction?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ith 76 Day Care Center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85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0 to 1 year-old infants as target. For measuring perception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nd actual conditions, Questionaire on Perception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Gyeong-ok Park, 2010) and Questionaire on Personality Education for Teachers that Were Prepared for Developing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yun-jin Park, 2013) with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of their contents were utiliz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19.0 Program. For grasp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arge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analysis of subject 1 for inquiry, frequenc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duplicated questions and classfication process was implemented for descriptive questions. Also, for questions on each variable and personality,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LSD test were carried out. For analysis of subject 2 for inquiry,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r analysis of subject 3 for inquiry, questions on percep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questions on its implementation were carried out. For subject 18, a cross analysis and Chi square test were carried out and, for subject 20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Research results of subjects for inqui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examination of percep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variable (age of the in charge, type of organization), first, as the reason for emphasizing personality education, individualism (egoism), lack of morality, and loss of humanity that appear in modern societ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Self-adjustmen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that encompass respect, self-control, and conscience were recognized as major items of virtue. At the same time, perception of myself and perception of other person's feeling through attachment formation with the main fosterer were recognized as the content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As for guidance i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guidance throughout entire areas, home relatedness, and modeling of teache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With regard to methods of overcoming problem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at home, Child Care Centers, and society at large and the need for environmental changes involving both human beings and materials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d institution were discussed. Nex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age and career background among teacher variabl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education, concepts and their contents, and the conceptual difference with all-around education. Last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variable (age, career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variable (age of the in charge, type of organization) and percep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especially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career background among teacher variable and in type of organization among organizational variable. As for the thought on implementation of a separate program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it was affected by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mong teacher variable. Also, with regard to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for fellow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ge among teacher variab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ought on proper behavior model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methods for evaluating development of infant personality, and perception on whether or not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is of any help to infants. As for perception on support of teachers for desirable personality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career background among teacher variable, and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eacher reeducation through on-going teacher training and close cooperation with the families concerned. Second, with regard to actual conditions of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in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on sites, ‘Frequently’ and ‘1-2 times a week’ occupied more than half of the total. And of the goal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infants, laying the foundation of proper fundamental habit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is accomplished mainly in block play area and language area. There was also a commonly shared perception that awar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cooperation were lacking on the part of parents in implementing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material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4far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Office of Education. are utilized most. Thir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nd its implementation, although the goal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related to its implem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concepts and their contents, conceptional difference in all-around education, perception on implementation of a separate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nd perception of fellow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Also, percep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turned out to be created throughout the entire areas rather than specific areas of the education sites. To sum up, perception of teacher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turned ou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ctual conditions. Therefore, for desirable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s, family support and on-going reeducation of teachers on the national level seem to be necessary.

      •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자 중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홍철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에 미치는 관계를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인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증된 인성도구를 통해 현재 학교의 정규수업과 별도로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는 서울지역 거주 여자 중학생과 경기지역 거주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스포츠 참여여부, 참가정도와 종목 그리고 유형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여자 중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학교나 가정 그리고 나아가 사회에서 이성적이며 유능한 구성원으로 성장하여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안다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들어 청소년 문제가 급증하면서 인성교육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청소년들을 교육하는 교사가 인성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이 가장 시급한 중학교를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해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변인이 반영된 기준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사들이 얼마나 동의하는지, 실제로는 얼마나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성교육에서 우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영향 요인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에 따른 중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중학교 교사로 한정하고, 서울 및 경기지역 중학교 교사 403명을 조사하였다. 평가 기준으로는 미국의 인성교육 대표 기관인 CEP에서 제시하는 11가지 원칙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후 관련 문항에 동의하는 정도를 중요도로, 문항을 실제로 수행하는 정도를 실행도로 정의하고 IPA 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개인 변인별 특성에 따라 인식 순위가 높은 항목과 낮은 항목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서는 ‘교사 역량’과 관련된 항목이 상위권을 차지하였다. 하위권에는 평가 및 환류, 교육과정 관련, 수업 관련 내용이 해당되었다. 이는 교사들이 인성교육의 중요성에는 동의하지만 실제 수행방법은 잘 알지 못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실행도 인식을 살펴보았다. 실행을 잘하고 있다고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항목은 ‘교사 역량’, ‘바른 공동체 형성’, ‘수업 관련’과 관계된 문항들이었지만, 실행을 잘하지 못하고 있다고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항목은 ‘평가 및 환류’, ‘교육과정 관련’ 내용이었다. 이는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평가 및 환류,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결과를 살펴보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크게 차이나는 항목은 성원 협조, 동기 유발, 바른 공동체 형성, 평가 및 환류 관련 항목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었던 항목은 수업 관련, 평가 및 환류 관련, 교육과정 관련, 바른 공동체 형성 관련 항목이었다. 이는 교사들이 인성교육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실행은 잘 하고 있지 못하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IPA 결과를 통해 도출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성원 협조, 평가 및 환류, 덕목 관련, 교육과정 관련 내용이었다. 다섯째, 인성교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에 따른 중학교 교사의 인성교육 인식 순위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배경 변인 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사마다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나 인식이 다름을 조사하였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선별할 수 있는 관련 기준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특성에 맞춰 인성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 개선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茶山 丁若鏞의 人性敎育論

        李政幸 전남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의 조선왕조가 내부적인 체제모순에 노출되어 있던 시대를 배경으로 관료와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茶山 丁若鏞의 經學과 改革書에 나타난 人性論을 중심으로 윤리적이며, 주체적인 人性敎育에 관한 그의 사상을 검토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문제는 天命의 性論에 뿌리를 둔 茶山 인성론의 실체를 규명하고, 修己過程에서 인성이 어떻게 합리적이며 自律的 主體的인 實踐倫理의 담당자로 변화하는가의 機制를 규명하고, 이 원리를 學制로서 어떻게 구성하는가를 고찰함으로써 茶山 人性敎育論이 含意한 현대적 의의를 드러내 보이려는 데에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茶山의 문집인 「與猶堂全書」 중 心學을 다룬 經書로서 「中庸」註釋書, 「大學」註釋書, 「孟子」註釋書와 「心經密驗」, 그밖에 原論書 등을 기초자료로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學制 구상의 원리에 대해서는 「經世遺表」와 「牧民心書」 일부 내용을 위주로 고찰하였다. 그러나 茶山 사상의 形而上學的 基底를 구성하는 上帝天과 天道의 교육사상적 관계를 충분히 규명하지 못하고, 역사성이 내재한 세계질서 속에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人性의 實體를 파악하지 못한 점 역시 이 논문의 한계로 남는다. 이 논문이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茶山의 인성론은 天命의 性論에 기초하여 있으며, 天이 부여한 性을 嗜好의 性으로 파악한 점을 중심으로 하였다. 嗜好의 性을 부여한 天은 靈明主宰之天으로서 만물을 주재하는 神格을 지닌 上帝天의 개념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종래의 성리학자들과 달리 性, 陰陽五行 등을 자연현상의 일부로 경험의 세계에 포함시키는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有生, 有覺, 有靈, 有善의 특성을 가지는 인간의 性은 好善惡惡하는 嗜好의 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好善惡惡하는 嗜好의 人性은 가능성일 뿐이며, 실제에 있어서 形氣의 累 때문에 難善易惡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마음은 擇善擇惡할 수 있는 마음의 權衡, 즉 自主之權을 스스로 가지고 있어서 人性이 天命의 본래의 善性을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은 인간됨의 도리로써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好善惡惡하는 행위의 실천은 단순히 부끄러움만을 제거하여 떳떳한 경지가 아니라 이를 더욱 힘씀으로써 浩然之氣로 충만하여 그 신령스러움에 따라 天人合一하는 경지에 머무를 수 있게 되는 인간의 본래 모습으로 환원하는 계기라는 것이다. 마음의 權衡은 上帝天에 대해 경계하고 신중하며 두려워하는 戒愼恐懼의 事天學的 태도로부터 시작한다. 이로써 上帝天을 항시 경계하는 가운데 자기만이 혼자 아는 일에 삼가기를 극진히 하는 愼獨의 자세로써 자기 내면이 天命의 善性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부단한 自己省察에 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戒愼恐懼와 愼獨으로 말미암아 마음은 문자 그대로 眞實無妄한 至誠의 상태가 되고 致中和로써 편파적이거나 기우러짐이 없는 中道의 德을 갖는데 진력하는 것이다. 中和의 中은 사물에 접하기 전 喜怒哀樂과 같은 감정이 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中으로써 평소 格物致知로써 사물에 대한 앎을 얻고 治心으로 마음을 가다듬는 大中至正한 마음의 극진한 상태로써 天命의 性으로부터 부여받은 本體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未發時의 工夫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中和의 和는 사물에 접하여 감정이 發한 상태가 사물과 상황에 최적한 中節에 들어맞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達道라 하며 綱常倫理의 五達道가 대표적이다. 和의 執中은 中正의 熟考 결과로써 자신의 自律的이며 主體的인 選擇과 決斷에 의하여 가능하다. 時中이란 상황에 맞게 中道를 유동적이며 주체적으로 選擇하는 것을 말한다. 中庸의 中은 中和의 의미를 포괄하고 庸은 中의 상태가 변치 않는 恒常性을 유지하는 德이다. 그러므로 中庸의 德이란 지극한 自己省察과 至誠의 상태에서 상황에 최적한 삶의 가치를 구현해 가는 주체적이며 자율적이고 가치 창조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茶山은 교육의 목적을 孝 ·悌 ·慈에 묶어두고 있으나, 이는 中道的 행위 실천적 측면을 강조한 것에 불과하다. 茶山은 人性의 性善的 本來性을 中道的 성찰에 의하여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당시의 혼탁한 체제 관리자의 倫理性과 專門性을 보장하려는 의도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의 과정에서 볼 것 같으면, 종래 「大學」 의 八條目을 格物致知와 誠意, 正心이하의 六條目으로 분리하여 格致工夫의 상대적 중요성을 부각하고 儒家 본래의 道問學과 尊德性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앎의 主體的 實現을 하는 것을 철저히 하기 위한 것이다. 學制 구상의 차원에서 茶山은 禮治와 法治의 균형 조화를 기하면서 選士의 교육을 鄕三物의 德行道藝에 충실하도록 구도를 짜 놓았다. 茶山 人性敎育論은 儒家 특유의 자연주의적 性善論的 입장으로부터 人間 本然의 성품을 回復하려는 자율적이고 주체적이며, 창조적 삶의 인간됨의 도리를 실현하려는 心理的 機制를 명료하게 보여주는 데에서 그 현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nature of education of personality on the basis of Chung Yak-Yong's subjective and autonomous ideas of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who was a governor and famous confucius scholar in the late Chosun Dynasty. His education of personality is founded on the conception of heaven as spiritual manager. Dasan grasped heaven let all things have characteristic nature as well as let all human beings have natural disposition to like Good and shame for Evil. But this natural disposition of human is just possibility, human beings are placed in the situation which is easy to be evil, hard to be good by the accumulated physical energy. He emphasized human has a self-decision which is able to take any one between Good and Evil and it is proper to take Good to keep the duty of human. Not to take Good but to try to take Good guides to accomplish the completion of human who accord with the conception of divine of confucius Naturalism. So Good means the degrees of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being beyond ethnical virtues. The self-decision in mind for Good takes origin from sincerity state to heaven as spiritual manager by the self-reflection taking the golden mean. So human organizes concentration of mind to accord with Good nature given by heaven and cultivates Jung(中 : mean)Hwa(和 : peace) for the virtue of golden mean. Jung(中), the prior to motion of feeling, means that knowledges of objects and his own mind are put in the state of sincerity and golden mean about the world. Hwa(和), the process of motion of feeling, means to keep pace with golden mean indiscriminately, but flexib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situations. Jung(中)Hwa(和) shows the autonomous and subjective aspect of selection of value and in other hand, it contains a creative part of life. Education builds up the mechanism to realize the principles consisting of the personality of golden mean in the concrete courses. It needs to expand the knowledge knowing details of objects, the sincerity cultivating mind and the study keeping good virtu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education is to rule over mind without exceptions including Chung Yak-Yong's education of personality. At that time, Chung attempted to rebuild the broken feudalism as he produced ethical and professional leaders through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In the educational system, he intended to balance the reign of virtue and law and made the most of the autonomous principles of personality building of golden mean. Chung Yak- Yong's education of personality contains meaningful significance at the point of proposing the autonomous principles of personality building of golden mean.

      • 인성교육정책과 현대유도의 교육적 가치 탐구

        서임식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가가 주도하는 인성교육정책이 현대사회에서 오래전부터 교육적 기능을 해온 유도교육을 통해서 실현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전제로서 인성교육정책 관련 국가 발표 자료부터 유도의 교육적 가치와 관련된 선행연구 기타 인성교육관련 연구물을 고찰하여 현대사회에 적합한 인성의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현대 유도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인성교육정책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을 현대유도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추론하였다. 첫째, 현대사회에서 인성 개념의 설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학교폭력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폭력이 흉포화 되고 일상화됨에 따라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인성교육정책 실현을 위하여 발표한 문헌들과 기타 인성교육 관련 문헌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성에 대한 정의를 토대로 유사한 개념들을 종합하여 재구성한 결과 현대사회에서 ‘인성이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의 범위도 인간 개체로서의 타인과 개체의 집합인 공동체를 넘어서 인류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까지 포함되는 의미의 공동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실천 덕목으로서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의 마음가짐이나 사람됨과 관련된 핵심적인 가치를 들 수 있겠다. 둘째, 현대사회에서 유도교육에 있어서 인성교육에 적합한 유도교육 프로그램의 부족, 지나친 스포츠화로 인한 무도성의 상실, 입시위주의 유도교육으로 인한 교육적 가치 약화, 유도의 본질을 벗어난 유도장 운영과 같은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현대유도는 다양한 동양 전통무도 중에서 가장 먼저 현대화된 무도로서 다양한 인성교육요소의 본질적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즉, 타인으로부터 자기 자신과 공동체를 방어하기 위해 메치고, 조르고, 꺽는 등 자신을 강하게 단련하는 과정에서 인내, 극기, 백절불굴의 정신을 함양하며, 체육의 한 목표 영역으로서 배려, 겸손, 유대감 등 정의적 영역의 인성을 함양 할 수 있다. 특히 예의로 시작해서 예의로 끝나는 예시예종(禮始禮終)의 행(行)과 본(本)의 수련, 기본기인 자연체(自然體) 수련과정을 통하여 침착함, 과단성, 바른 예절, 정직, 인격 등 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배운다. 또한 유도의 철학적 바탕을 이루는 ‘정력선용’과 ‘자타공영’의 사상을 통해 자신의 최선의 역량으로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과 공동체 나아가서는 인류공영을 위해 발휘할 때 정의감, 공정성 등의 인성요소로 발현된다. 뿐만 아니라 현대유도가 교육현장에서 스포츠로 기능할 때 경기를 위한 정확한 기술을 구사하고 규칙을 준수하는 과정에서도 정확성과 준법성이 발휘되어 이러한 측면에서는 현대 민주시민으로서 지녀야할 준법정신과 정의감, 과단성, 용기 등의 인성 특성이 있다고 하겠다. 넷째, 오늘날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다양한 인성교육정책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현대사회에서 유도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현방안으로, 인성교육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나친 스포츠화로 상실되어가는 무도성을 회복하고, 입시위주의 유도교육으로 약화된 교육적 가치를 강화하고, 본질적인 유도사상에 입각한 유도교육 실시하는 등 인성교육 실현방안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Judo-training in morden times. For this study I researched from the papers issued by government to those many advanced researches in depth. And I have results as follows. First, I made certain that we can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personality in modern time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iminals to the disadvantaged groups including school violence, the impota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magnified and the many polities is issued. From the definitions we can make a deduction ; Personality is a human nature and capability which need to live with other people, community and nature besides cultivating one’s own selves demurely and soundly. Second, I made certain that they have many problems in Judo-training like lack of Judo-programs for personality education, the losses mudo-characters by the excessive sports, the being weaken of the value for the education by the centering o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managing the Judo gymnasium deviant the essence of the Judo. Third, Judo-training has essential values for many constitu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modern times as a advanced mudo event. In other words it has endurance, perseverance, consideration, modesty, fellowship, politeness, honesty, fairness ect in training process. Forth, We need to develop variety measures for personality education as being issued many policies by the government. For examples, developing suitable programs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Judo-training, regaining mudo characters of the Judo which is being lost by the excessive sports, reinforcing the value for the education of the Judo-training being weaken by the centering o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carrying out Judo-education being based on the thought of the Judo.

      • 인성 교육의 효과 및 자기 은폐 성향과의 관계

        김정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규 수업 시간에 실시한 인성 교육의 효과 및 자기 은폐 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부천 S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 시간에 인성 교육을 실시한 후, 자아 존중감,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기 은폐 성향 사전 검사의 점수에 따라 상위 30%와 하위 30%의 학생으로 상, 하위 집단을 구성하고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인성 교육 수업의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인성 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개별 학교에 보급된 인성 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기를 밝고 명랑하게(삼성생명연구소)'를 바탕으로 인성 교육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이론 및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인성 교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 자아 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와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부천 S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6개 반(212명)은 실험 집단으로, 6개 반(216명)은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정규 수업 시간에 인성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성 교육은 주 1회, 45분 수업으로 3개월 간에 걸쳐 총 12회가 진행되었다. 한편 통제 집단에는 주 1회, 45분 수업으로 총 12회에 걸쳐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한문 교육 및 환경 교육을 진행하였다. 인성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Rogenberg(1965)가 개발하고 김문주(1984)가 번안한 자아 존중감 검사지, Rakos와 Schroeder(1980)가 제작한 것을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번안한 자기 표현 척도, Larson과 Chastain(1990)에 의해 개발된 것을 봉삼례(1995)가 번안한 자기 은폐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1.5 version을 이용하여 통제, 실험 집단 간 사전 검사의 동질성은 t-검증을 하였고 인성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통제 집단 간의 사후 검사 점수를 t-검증하였다.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가 어떠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 분산 분석(two-way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은 수업을 받기 전보다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이 유의미하게(p<.05) 증가하였고 한문, 환경 교육을 받은 통제 집단은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성 교육이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성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에 따른 교육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의 효과에 있어서 교육 유무와 자기 은폐 수준 및 두 요인의 상호 작용 효과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에게 인성 교육 수업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지에서 학생들이 인성 교육을 진행한 교사와 수업 내용 및 인성 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과 자아 존중감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었다.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그들이 자기 표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인간 관계의 갈등과 고민들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자신과 타인을 탐색하는 기회를 갖음으로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인성 교육이 실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self-concealment,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ncealment among them.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is study were each 212 and 216 third-graders from six classes at S Middle School in Bucheon (Korea). For both the two groups, pre-testing and post-testing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45-minute character education was performed in a formal lesson once a week for three months (twelve times in total), while for the control group, 45-minute Chinese Character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performed with audiovisual aids once a week for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top 30% and the bottom 30% were each extra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pretest points on self-concealment trai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was examined closely. As measuring tool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Self-esteem Inventory developed by Rogenberg (1965) and adapted by Kim Mun-ju (1984), Self-expression Scale (SES) developed by Rakos and Schroeder (1980) and adapted by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ui (1980), and Self-concealment Scale (SCS) developed by Larson and Chastain (1990) and adapted by Bong Sam-rye (1995)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character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crease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compared to that before doing so, the control group receiving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and interaction of two factor, it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i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Finally, as a result of asking the opin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less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them evaluated affirmatively themselves after receiving th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lesson and the teacher in charge. As the advantag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esson, they answered, "It was helpful to realizing and understanding myself better".; "It was useful to expressing myself".; "It was of help to knowing and understanding other friends".; and "It helped me realize that I have to correct several behaviors of mine." In conclusion, the character education lesson perform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Thus, school where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should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esteem and sound self-expression among students.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mselves and understand others through such character education lesson.

      • 초등학생의 검도 수련이 인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검도수련이 인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검도, 태권도, 비 수련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3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일원다변량분산분석(one-way M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인성과 사회성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인성은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회성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의 차이는 자아확립, 공동체의식의 요인이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의 차이는 책임성, 정서성의 요인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성과 사회성은 검도와 태권도수련집단이 비 수련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도와 태권도 수련집단은 인성의 생활습관, 효도·경애, 공동체의식 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성에서는 성취성, 정서성의 요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인성과 사회성은 수련빈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건강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인성발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인식수준과 사회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인성발달은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발달은 사회성의 하위요인과의 모든 회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성발달이 사회성발달을 긍정적으로 예측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um-do discipline on the character and sociality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s of Gum-do, Tae-kwon-do, and a non-exercise group. Total 340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 internal validity test, a one-way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and sociality by sex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Second, Character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s, but sociality did not. The differences of Character development's subfactor is appeared in a establish self-identity community spirit. Sociality's subfactor differences appeared in responsibility and affectivity. Third, as to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ity in Gum-do and The-kwon-do group was higher than the non-exercise group The Gum-do and Tae-kwon-do group showed the high level of Character's filial piety-veneration, community spirit, and sociality's achievement, and affectivity. Fourth,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ity by exercise frequency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ifth, it showed that the levels of Character development, were higher as perception of health raised. The Sociality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health of heath. Finally, the Character development improved Sociality. A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ll regression formulas of Socialit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character development influences sociality development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