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중섭 회화의 감정사례 연구

        송향선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중섭은 한국의 근현대 미술사에서 박수근과 더불어 가장 비중 있는 작가이다. 그런 만큼 높은 그림가격으로 인하여 이미 위작의 출현은 예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박수근과 더불어 이중섭의 작품 대부분 전시회의 도록이나 화집을 통해서 확인되는 자료들이 남아있으며, 증언이 가능한 유족이나 친구 등 관련인사들이 생존해있다. 이중섭에 대한 이들 자료는 다른 작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이러한 조건들이 이중섭 작품의 진위를 가리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이중섭 진위논란의 사례 1970년대, 1980-90년대, 2000년대로 분류하여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1970년대에는 작품에 대한 보필, 후서명 사례를 들 수 있다. 어디까지나 진작을 바탕에 두고 한 행위지만 도의적인 책임을 면할 수 없었다. 이런 점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작품의 소장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1980년대부터 1990년대의 사례는 미술품 감정에 대한 언론의 왜곡 보도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이를 시정, 확인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런 특징은 2000년대에 일어난 사례와 상당부분 일치하는 지점이 있어서 현대사회에서 언론의 보도가 지닌 무게가 얼마나 큰지에 새삼스런 주목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2000년대에 들어 현재까지 일어난 위작사례 중 대표적인 것은 유족의 소장품이라고 하는 점을 진작의 근거로 삼고, 경매를 통하여 유통시키려 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언론을 통한 의도관철이 기본이 되었다. 도상의 비교 분석 방식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위작들은 한결같이 이중섭의 작품에서 보이는 주요한 특징들이 간과되어 있었다. 이중섭의 작품은 강인한 선묘의 속도감과 뛰어난 관찰력이 바탕이 된 데상으로 주도해간 형태가 특징이다. 그러므로 인물표현에 있어서는 동세의 표현과 선의 자연스러움, 손과 발 등의 정확한 세부묘사 등이 두드러진다. 또한 서명의 필적과 필세가 남다르게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위작의 경우 소재를 베끼는데 주력하다보니 선에 생동감이 떨어지고, 인물이나 물고기, 소, 사슴 등 소재 각각의 세부적 특징이 무시되어 형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기운이 생동하지 못하였다. 재료에 대한 과학적 판단은 과학기재를 이용함으로써 육안으로는 분별, 분간할 수 없는 재료의 동질성을 밝힐 수 있어서 과학적 감정이란 측면에서 가장 주요한 방식임을 알 수 있다. 안목감정과 더불어 이러한 과학적인 방법이 뒷받침 될 때 완전한 감정에 이를 수 있다 하겠다. 과학적 감정 방법으로 비파괴검사와 파괴검사로 나뉘는데, 여기서는 작품에 훼손이 가지 않는 비파괴검사로 재료분석에는 <싸우는 소>를 분석하였고, 도상을 통한비교분석으로는 이중섭의 기준작을 중심으로 <물고기와 아이> <아이들Ⅰ><아이들Ⅱ><사슴> 네 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과학적 감정은 우리의 감정 현실을 한 단계 올려놓은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이중섭의 감정이나 연구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감정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이중섭의 진품으로 확정된 430여 점을 데이터베이스로 하고, 이들 작품에 관한 정평 있는 연구자가 오랫동안의 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서술한 기록, 예를 들어 전작도록 같은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이중섭 연구나 감정에 있어서 시급하게 요구되는 바라고 여겨진다. Until 1970's, the problem of authenticity in art works was not seriously accepted to the people of the art world. At that time, the frequency of fake making was not highly recognizable, and systematic appraisal process was not yet structured. So one can say that the recognition to the problems of fake itself was not existed. The problem of authenticities in art works became serious social problem after 1990's. Popular and highly priced works among collectors like Yi Sang-b?m, Py?n Kwan-sik, Chun Kyong-Ja, Lee Joong-sub, and Park Soo-gun were the most favorable objects of fake. Amongst them, the most frequently produced fakes were Lee Joong-sub's works. This may be expectable because of the price of his works. In early 2005, there were controversial dispute between Lee Joong-sub's bereaved family and the members of Appraisal Association about Lee Joong-sub's remained art works(or insisted as his works) which were claimed as the works that have been kept by the artist's family since artist died. Lee Joong-sub's family has an agent of auction house, and has established some kinds of relationships with a TV company, major personages of the art world, a would-be bibliographer, etc. This may be the first time big controversy about authenticities of art works and may also be an example of fake case done by committed on a certain level of systematic cooperation in an enormous scale. In the first chapter, I surveyed the history of artist Lee Joong-sub's life and works. In the next chapter, I chronologically investigated some problematic cases happened in the scene of appraisal field related to his works of art. To achieve appropriate and reliable results, most important methodologies in my investigation of the fake are iconographical analysis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se two methods are two major vehicles used in appraisal processes. This thesis came from my field experiences to appraise Lee Joong-sub's works during the years from 1983 to the recent past.

      • 대향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에 대한 실존주의 상담학적 분석

        황덕기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누구나 살면서 행복을 추구한다. 동시에 인간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갈증도 존재한다. 삶의 의미에 대해서 삶의 의미는 행복 추구를 바탕으로 한 안녕감(Wellbeing)을 최대 가치로 여기는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박선영, 권석만, 2012). 실존주의 상담학자 Frankl(1959)은 삶의 의미를 ‘의미에의 의지’라 일컬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삶의 순간의 어떤 경우에도 ‘의미’는 있으며, ‘의미’를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이고 근원적 동기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Frankl, 1963). 삶의 의미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정량적 연구를 통하여 삶의 의미를 척도화 하였다. 하지만 개인적인 경험과 환경에 의하여 삶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한 개인의 삶을 조망하면서 그가 가진 삶의 의미를 탐색해보고, 삶의 의미를 상실하였을 때 어떠한 모습이 나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한 인물로 화가 이중섭(1916-1956)을 선택하였다. 그의 삶은 의미하는 바가 많다. 40년의 짧은 일생 동안 이중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모두 겪어야 했다. 이러한 시국에서 이중섭은 일본인 아내를 맞이하여 두 아들을 얻었으나 극심한 생활고 끝에 가족들을 모두 일본으로 보내고 결국 다시 만 날 수 없었던 그의 삶은 혼란과 상실의 연속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섭이 추구했던 삶의 의미를 그의 삶과 작품을 통하여, 어떤 고통을 겪었는지 추출하고, 이를 Frankl이 제시한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태도적 가치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창조적 가치란, 무엇을 삶에 줄 수 있는지 창조적 행위를 통해 의미를 현실화 하는 것으로 창조 활동을 통한 가치이다. 이에 관련한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는 ‘자유로운 영혼의 화공’으로 분석하였다. 이중섭은 어렸을 적부터 미술에 소질이 있었으며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도 미술 활동을 하는 것은 단순한 경제적 수단을 넘어선 의미를 추구하는 활동이다. 그의 미술 활동은 자신에게도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도와준다.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실제의 작품이나 머릿속에서 상상을 하여 고안해 냄으로써 삶에 의미를 줄 수 있다(Schultz, 2016) 경험적 가치란 타인이 창조한 결과를 경험함으로써 느끼는 가치를 말하는 것으로 타인과의 사랑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한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는 ‘삶의 목적인 가족’으로 분석하였다. 이중섭의 삶에서 그가 사랑한 존재는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와 두 아들이다. 한국과 일본으로 가족이 떨어져 살지만 수많은 편지와 그림에서 변치 않은 사랑을 볼 수 있다. 태도적 가치란 본인의 힘으로 어떻게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을 때, 그 사람이 선택한 태도(행동)에 의해서 실현되는 가치다. 이에 관련한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는 ‘의미를 찾기 위한 노력’을 들 수 있다. 이중섭은 개인전의 실패 이후 삶의 의미를 상실하였지만 봉사하는 삶, 예수 그리스도로 귀의하고 그의 작품과 편지에서 현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를 분석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섭이 추구한 삶의 의미는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Wong(1998)의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의미 있는 삶’의 연구 결과와도 흡사하다. 둘째, 이중섭의 삶을 실존주의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나치 수용소에서 가족과 연구 자료를 잃고 살아갈 이유를 상실했지만, 그 속에서 살아갈 의미는 가족이라고 깨달은 실존주의 상담학자 Frankl과 이중섭의 삶은 흡사하다. 셋째, 고통은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 이중섭은 피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회피하지 않고 자신의 결정에 책임을 지고, 고통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교육적으로 자유로운 선택 속에서 책임을 지는 과정이 인간을 성숙하게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로 본 논문에서 분석한 이중섭의 삶에 대한 상담학적 지식으로 추출한 실존주의 상담 방법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이중섭과 같이 삶에 대한 의지를 상실한 예술가들에게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화가 이중섭 생애에 나타난 작품경향과 생태체계 및 가족레질리언스 연구

        김현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Various types of families exist in modern society, and various problems occur. In various changes in this society, methods of finding family resources and resilience and improving strengths are needed. This study would help find the answer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model great man Artist Lee Jung-Seob's life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preciousness and true meaning of family in crises or adversities. Artist Lee Jung-Seob experienced various crises or adversities and had various family forms and various literary data on him, so he is the right person for a study of life histor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 form of a qualitative study.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include the discovery of the positive family power (resilience) that accounts for the artistic value of Lee Jung-Seob who lived 40 years of life in adversities and crises and the detailed analysis of his family environment tha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making him a genius artist through his temperament or personality in the child-rearing process. In addition, it discovered the fact that his transcendental spirituality and panvitalist belief have left family love and nature-friendly values in his works for descendants to the extent that Lee Jung-Seob Museum was established on Jeju Island. This study analyzed Lee Jung-Seob’s life, the trend of his works, th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personal system, family system, and social system), and family resilience and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o divide Artist Lee Jung-Seob's life by the order of time and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fe are divided into his childhood when he grew up as a grandson of a wealthy family (the Pyeongwon period), school age when he took the first step as a genius artist (the Pyeongyang period), the period of studies in Japan when he completed his unique techniques, loving his lover, and the Wonsan period when he set up his own family through marriage, and the Jeju Island period, expressed as the happiest time for ten months, which was short, though, when he defected to South Korea and spent time with his family, and the parting period when he met his tragic death, longing for his family since he stayed away from them.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trend of Lee Jung-Seob's works, his works are based on family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works also increased when his passion grew with products that reflected his longing for family and love for family. It was noted that, of the ecological systems in the trend of works, the social system served as an obstacle while the family system served as a positive driving force. Through family resilience in the trend of Lee Jung-Seob's works, it was found that he was an artist that sublimated his love for family to art by giving birth to new techniques like tinfoil paintings and letter paintings. Third, Lee Jung-Seob's ecological system was analyzed, dividing it into the personal system, family system, and social system according to Kemp’s classification (2001).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his personal system, he was judged to be an INFP, born with an artistic disposition and had strong physical fitness and good physical strength. Lee Jung-Seob's artistic disposition was grown and developed with the support of his family system and reached death as his strength fell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e social system. Through this fact, an individual's natural temperament and strength can also positively or negatively be changed by the influence of other system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family system, families on both his father’s and mother’s sides were economically well-off, and the family members that rooted for and supported each other could grow and develop his disposition as a born artist. In addition, although he experienced various family forms, including a single-parent family, grandparent family, and single-person household, which might fall to the crisis family, his family members got over the crises, cooperating and exchanging help with each other. In Lee Jung-Seob's family system, the importance of family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as reconfirmed since the family system may not operate properly in crises and the whole family may come to crises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the family may negatively act on them. The positive impacts of the social system provided opportunities for today’s public to look at Lee Jung-Seob’s works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can continue artistic activities; preserving works that might have been burned or abandoned; and presenting works as a way of expressing gratitud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social system included that it is impossible to see his works drawn before his defect to Sou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the turbulent time situations disturbed the production of works; and his refugee life and hunger ailed his body and mind. The financial problems caused by the fraud and betrayal of a person he trusted drove him to death consequently and caused his eternal farewell with his family. Fourth, Lee Jung-Seob's family resilience included all of Walsh’s sub-factors (2002). As a result of his family belief system, Lee Jung-Seob had a belief that there must be a good result if one undauntedly gets over adversities, had a positive perspective that he considers unhappiness, not unhappiness but a process for a better future and had panvitalism that cherishes all lives and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that accepts fear as amusemen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family organiz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his growth as an artist was family resource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family communication process, Lee Jung-Seob formed trust by providing clear and specific information, expressed constant affection with open emotional expression while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frankly and quickly apologized for his mistakes. Lee Jung-Seob communicated with his family by letter since he was far away from them, but he made clarification communication, open emotional expression,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Lee Jung-Seob could leave 588 pieces of works for six years after his defect to South Korea since he was an INFP type that was born with an artist's temperament with warmth; however, since the tertiary function (S) and the inferior function (Te) were not utilized positively, he did not recognize and actively cope with the problems of reality. As a good-tempered person with high self-esteem, he did not say offensive words and did not exhibit the realistic coping skills to win over others. In this sense, in a modern society in which the number of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s gradually increases, family counseling experts should let children know how important the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tertiary function and inferior function of personality would be and should help them live a happy life. Second, in the trend of Lee Jung-Seob's works, his works are artistic activities of the family, by the family, and for the family. Even though he had a short time with his family, he sublimated his love for his wife and family to art, so he makes the public know through his works that they will be happy to be with family and that family is the most precious. Third, it is found through Lee Jung-Seob’s life that he became an artist loved most by the public, of the artist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by his family’s support and love. The family’s support and backing could grow and develop his inborn disposition well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genius artists today. Here,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aise children, respecting their temperament or personality in childhood. Fourth, even though a person was born with a good temperament and had family support like Lee Jung-Seob, it is difficult to avoid even the crises or adversities of the macrosystem, and there is a limitation only with a personal effort. It is not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support from the social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family health. Lee Jung-Seob encountered various difficulties, experienc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with the external social environment; however, he got them over, calmly going his own way. However,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financial problems caused by the fraud and betrayal of juniors he trusted, he did not overcome the adversities and crises of life. In other words, Lee Jung-Seob grew up as an INFP artist well formed in his childhood; however, he reached lone death in sickness due to the great adversities of the social system, financial deprivation, and the betrayal of friends in middle age. In modern society, government systems or policies should develop themselves as macrosystems, and it is necessary to realize core values in civil society which support individuals’ lives through social policies. In Lee Jung-Seob's life, miserable times after his marriage, in which the state could not cope wit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r, and economic hardship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his tragic life. Fifth, it was noted that they continued making clear, open,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ough they lived apart through Lee Jung-Seob's family resilience analysis. People are often unable to live together in modern society for various reasons. However, it was possible to learn through his family how important it would be for the family to make continuous communication though they live far away. In other words, even if the family members physically live apart,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methods of continuous communication (mail, video call, text message). Since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love is needed more in Korean society more than 30% of the population are single households, he can be a model in the age in which it is necessary to importantly educate communication culture for family.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studies of the family resilience of people in various areas. This is because such studies can provide a motive force to overcome crises or adversities for the modern family and present various models of family resilience. 현대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하고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가족의 자원과 레질리언스를 찾아내어 강점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기나 역경 속에서도 가족의 소중함과 참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모범적인 위인 화가 이중섭의 생애를 심층 분석하여 그 답을 찾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화가 이중섭은 다양한 위기와 역경을 경험한 인물, 다양한 가족 형태가 존재하는 인물, 다양한 문헌자료가 존재하는 인물로 질적 연구의 한 형태인 문헌분석으로 생애사 연구를 하기에 적합한 인물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역경과 위기 속에서 40년의 인생을 살다 간 이중섭의 작품성을 설명하는 긍정적인 가족의 힘(레질리언스)을 발견한 것이며, 자녀 성장 과정에서 자신의 기질 또는 성격을 천재적 예술가로 만든 기초를 제공한 가정환경을 자세히 분석한 점이다. 초월적 영성과 범생명주의적 신념은 현재 제주도에 이중섭 박물관을 설립할 정도로 작품에 가족 사랑과 자연친화적 가치를 담아 후손들에게 남겨준 점을 발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중섭의 생애, 작품 경향, 생태체계 변인(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가족레질리언스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화가 이중섭의 생애를 시간과 공간 순으로 나누어보면, 재력가 집안의 외손자로 성장한 유년기(평원 시기), 천재 화가로서 첫걸음을 떼기 시작한 학령기(평양 시기), 연인과의 사랑과 독특한 자신만의 기법을 완성해 나간 일본 유학기, 결혼을 통해 가족을 꾸린 원산 시기, 월남하여 가족과 함께 보낸 10개월의 짧은 시간이지만 가장 행복한 시절로 표현되는 제주 시기, 가족과 떨어져 지냈기 때문에 가족을 그리워하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 결혼 후 이별 시기로 그 생애적 특성이 나누어진다. 둘째, 이중섭의 작품 경향을 분석한 결과 이중섭의 작품들은 가족성을 근간으로 한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가족 사랑을 투영한 산물로 이러한 열망이 커졌을 때 작품의 수도 증가하였다. 작품 경향에 나타난 생태체계 중 사회체계는 장애물로, 가족 체계는 긍정적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섭의 작품 경향에 나타난 가족레질리언스는 걸작을 탄생시키고 은지화, 편지화 등 새로운 기법의 작품들을 탄생시켜 가족 사랑을 예술로 승화한 화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중섭의 생태체계를 Kemp(2001)의 분류에 따라 개인 체계, 가족 체계, 사회체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개인 체계를 분석 결과, 그는 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INFP유형으로 판단되며, 신체적으로 튼튼한 체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중섭의 예술가적 기질은 가족 체계 지원 속에 성장 발달하였고, 체력은 사회체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무너져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개인의 타고난 기질과 체력도 다른 체계의 영향에 의해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족 체계를 분석한 결과 이중섭은 친가 외가 모두 경제적으로 부유하였으며, 가족들이 서로 지지하고 지원하였기에 타고난 예술가의 기질을 성장 발달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기 가족으로 전락하기 쉬운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 1인 가구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경험하였지만, 가족들이 서로 협동하며 도움을 주고받으며 위기를 이겨나갔다. 이중섭의 가족 체계에서 개인에게 가족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부재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위기 상황에서 가족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가족 전체가 위기에 처할 수 있기에 가족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체계의 긍정적 영향은 예술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제공, 태워지거나 버려질 뻔한 작품의 보존, 고마움을 표현하는 방법인 작품 선물 등의 이유로 오늘날 대중이 이중섭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점이다. 사회체계의 부정적인 영향은 6.25 전쟁으로 인해 월남 이전의 작품을 볼 수 없다는 점과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이 작품 제작을 방해한 점, 그리고 피난 생활과 굶주림으로 인해 몸도 마음도 병들어 가게 하였다는 점이다. 믿었던 사람의 사기와 배신으로 인해 생긴 경제적 어려움은 이중섭을 끝내 죽음으로 내몰았으며 가족과 영원한 이별을 하게 만들었다. 넷째, 이중섭의 가족레질리언스는 Walsh(2002)의 하위요인들이 모두 존재하였다. 가족 신념 체계를 분석한 결과 이중섭은 역경에 굴하지 않고 이겨나가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행을 불행으로 인식하지 않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과정이라고 여기는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모든 생명을 귀하게 여기는 범생명주의와 공포를 유희로 받아들이는 초월과 영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조직과정을 분석한 결과 이중섭이 예술가로 성장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요인이 가족 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 의사소통과정을 분석한 결과 이중섭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신뢰를 형성하였고, 개방적인 정서 표현으로 끊임없이 애정을 표현하는 한편 부정적인 감정도 솔직하게 표현하였고, 잘못은 빠르게 사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섭은 가족과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편지로 소통하였지만 명확화, 개방적 정서표현, 상호협력적 문제 해결이 가능한 의사소통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중섭은 따뜻함을 지닌 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INFP 유형이기에 월남 후 6년 동안에 588점의 작품을 남길 수 있었지만, 3차 기능(S)과 열등 기능(Te)을 긍정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현실의 문제를 인지하여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였다. 사람 좋고 자존심 높은 그로서는 싫은 소리 못하며 타인을 이겨내는 현실적 대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중·고령 인구가 점점 늘어나는 현대사회에서 가족 상담전문가는 성격의 3차 기능과 열등 기능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이중섭의 작품 경향에서 이중섭의 작품은 가족의, 가족에 의한, 가족을 위한 예술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는 가족과 함께한 시간은 짧았지만 부부 및 가족 사랑을 예술로 승화하였기에 대중들이 그의 그림을 통해 가족과 함께 할 때 행복하며, 가족이 가장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한다. 셋째, 이중섭 생애를 통해 근현대사의 화가 중 대중에 가장 사랑받는 화가 이중섭은 가족의 지원과 사랑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가족의 지원과 지지가 있었기에 자신의 타고난 기질을 잘 성장 발달시킬 수 있었으며, 오늘날 천재 화가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여기서 어린 시절 자녀의 기질이나 성격을 존중하여 자녀 양육을 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이중섭처럼 훌륭한 기질을 타고나고 가족의 지지가 있더라도 거시체계의 위기와 역경까지 피하는 것은 어렵고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가족의 건강성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체계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중섭은 외적 사회환경으로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며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했지만,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며 이겨나갔다. 하지만 시대적 상황과 믿었던 후배의 사기와 배신으로 생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그는 결국 삶의 역경과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즉 이중섭은 어린 시절 잘 형성된 INFP 예술가로 성장하였지만, 중년 시기에 크나큰 사회체계의 역경과 경제적 결핍, 친구의 배신 등으로 병마 속에서 외로운 죽음에 이르게 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거시체계로 정부의 제도나 정책들이 발전되어야 하며, 사회정책으로서 개인의 삶을 지원하는 시민사회 중심 가치들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이중섭의 생애는 결혼 시기 이후 일본 강점기와 전쟁, 경제적 궁핍 등에 국가가 대응할 능력이 없는 비참한 시대가 그의 비극적 인생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고 있다. 다섯째, 이중섭의 가족레질리언스 분석을 통해 멀리 떨어져 가족이 함께 살지 못하더라도 편지를 통해 명확하고 개방적이며 협력적인 의사소통을 지속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이유로 가족이 함께 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가족이 거리상 떨어져 살더라도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이어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중섭 가족을 통해 배울 수 있었다. 즉 가족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편지, 영상통화, 문자)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구의 30% 이상이 1인 가구인 한국 사회에서는 사랑의 의사소통 문화가 더욱 필요하기 때문에, 그는 가족에게 사랑의 의사소통 문화를 중요하게 교육해야 하는 시대에 귀감이 될 수 있다. 후속 연구로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에 대한 가족레질리언스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현대 가족에게 위기와 역경을 이겨내는 원동력을 제공하며 가족레질리언스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가시성의 기호학을 통한 이중섭의 <소> 연작 연구

        허나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People grasp visu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visual arts through visual percept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Semiotique du visible based on the perception of light to visual arts.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tion of visual elements through visual perception to apply them to Lee Joong-Seop’s “Bull” Series, on which there have not been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until now. <Bull> Series does not have any great difference in its symbolic meaning, and yet, it has differences through the intensity of colors and contrast of brush strokes in individual works. Since these are properties that can only be captured by visual perception only, a tool is required to analyze the works in a way different from the past methods. In this sens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subtl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Bull> Seri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emiotique du visible.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Lee Jung-Seop is one of most important Korean artist. In this point, numerous reviews, whilst papers and articles have been written till now. Although the discussion about him as a genius artist who lived a tragic life has been repeated uncritic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his art work more objectivel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Bull> seri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in detail, though they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the world of his work. I chose the series because <Bull> series have their own distinctive features unlike children’s paintings or paintings on silver paper about which active discussions are in progress although Lee Jung-Seop has drawn specific materials repetitively. In addition, while other pieces draw a happy ideal world, <Bull> series reveal more intense expressions and the artist’s emotions. In that sense, the analyzing <Bull> series where a bull or bulls appear alone, this study will analyze its intrinsic structure by focusing more on the works themselves while putting aside its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r privat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is purpose, it will introduce Semiotique du visible’ a new visual semiotic methodology that has appeared in the Paris School of Semiotics since the mid-1990s. Semiotique du visible is a method established by Semiologist, J. Fontanille, who introduced concepts of passions and phenomenological perception, based on J.-M. Floch’s Semiotique plastique method, which is the center of the former Paris School of Visual Semiotics. The concept of passions was based on Semiotique des passions(1992), written jointly with Mentor A. J. Greimas, and here, h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ubject’s proper body(le corps propre) is perception and sensation of passions. And he developed Semiotique du visible, which could apply this to a visual image. Noticing the visibility is established by ‘light(lumiere),’ J. Fontanille differentiated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and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effects of this configuration(la configuration de la lumiere) and the course(parcours) that they form with dynamics light segment configuration analyzing in visual images. He thought that he could find a meaning not simply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light but through the effects of the light and the course using this Semiotique du visible. And based on this concept, J. Fontanille analyzes two works of a Lithuanian composer and painter, M. K. Ciurlionis. This proposal applied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Semiotique du visible interested in the perception of these visual art works to Lee Jung-Seop’s <Bull> series. For this, nine work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series by the form of configuration. Then, each work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Semiotics of light, and passions were corresponded through the tensive value of the light they form. First, <White Bull> series, which is mostly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bull is standing on the canva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circulation and diffusion of the light and the intensity and extent of immobility, nostalgia, happiness and weariness can be found. Second, “Bull” series in which only the upper half of a bull appears, each has a different course depending on whether the course of the light moves in combination in the background and shape. However, viewed from the highly intent in tension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form, the happiness that comes from the fullness of the object pursued can be found in all the works. In the third series, two bulls are fighting in the canvas, where nostalgia, happiness and weariness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as in <White Bull> series. Through this analysis, unlike former impressionistic criticism, the emotions the enunciator expresses could be known more on the basis of the works themselves. In addition, the subtle differences among the <Bull> series consisting of several works could be examined more thoroughl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tend the meaning of the emotions found through the works’ intrinsic analysis by connecting to Lee Jung-Seop’s biography. In this point of view, nostalgia comes from a lack that he could not fulfil his desire to draw loving family and a masterpiece and the emptiness he has experienced while he always failed though he made efforts with hope in various circumstances forms passions of weariness. And yet, unlike these negative emotions, happiness that comes from full presence, too, reveals itself. This may be hope for a happy future to come and courage gained through this. In this regard, Lee Jung-Seop’s <Bull> series are silent self-expressions of the artist who has ignored the reality so far. Also, all the images of the bull that express various different emotions represent him. In this sense, <Bull> series occupy a differentiated and important position in the world of his art work. 시각예술은 시지각을 통하여 시각적 특성과 의미가 파악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빛의 지각을 기초로 하는 ‘가시성의 기호학(Semiotique du visible)’을 시각예술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특히 시지각을 통한 시각요소의 분절과 의미작용 분석을 통하여, 그간 깊은 분석과 이해가 되지 않았던 이중섭의 <소> 연작에 적용할 것이다. <소> 연작은 상징적인 의미에서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각 작품이 가지는 색채의 강약, 붓질의 대조 등을 통한 차이점을 가진다. 이는 시지각에 의해서만 파악이 되는 성질들이라는 점에서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작품을 분석할 도구가 요청된다. 그러한 점에서 가시성의 기호학적 특성과 방식을 통하여 <소> 연작의 미묘한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근현대미술사에서 중요한 작가 중 하나로 이중섭을 꼽을 수 있다. 그러한 만큼 그간 수많은 평문과 논문, 기사 등이 작성되었다. 그렇지만 비극적인 삶을 산 천재작가라는 논의가 무비판적으로 반복되어 온 만큼, 보다 객관적으로 이중섭의 작품을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이중섭의 작품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간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 연작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비록 이중섭이 특정 소재를 반복해서 그려왔지만,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인 군동화나 은지화와는 다른, <소> 연작만의 차별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작품들이 행복한 이상적인 세계를 그리고 있는 반면, <소> 연작에서는 더욱 강렬한 표현과 작가의 감정이 드러난다. 그러한 점에서 소가 단독으로 등장하는 <소> 연작을 분석함에 있어서, 역사, 사회적 배경이나 개인사적 배경을 보류하고, 작품 그 자체에 더 초점을 맞춰 내재적 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파리학파 기호학에서 90년대 중반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시각 기호학적 방법론인 가시성의 기호학을 적용하고자 한다. 가시성의 기호학은 기호학자 퐁타니유(J. Fontanille)가 구축한 방식으로, 이전의 파리학파 시각기호학의 중심을 이루었던 플로슈(J.-M. Floch)의 조형기호학(Semiotique plastique)의 방식을 토대로 하면서, 정념(des passions)의 개념과 현상학적 지각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정념의 개념은 스승인 그레마스(A. J. Greimas)와 함께 쓴 『정념의 기호학(Semiotique des passions)』(1992)을 기반으로 하였고, 여기서 주체의 고유한 신체(le corps propre)가 지각과 정념을 느끼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각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는 가시성의 기호학을 전개하였다. 퐁타니유는 가시성이 성립되는 것은 ‘빛(lumiere)’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시각이미지를 분석함에 있어서 빛의 구성체(la configuration de la lumiere)를 분절하고, 이러한 구성체가 가지는 의미효과(les effets de sens)와 이들이 역동성을 가지고 형성하는 행정(parcours)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시성의 기호학을 통하여 단지 빛을 지각하는 것 뿐 아니라, 빛의 효과와 행정을 통하여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을 퐁타니유는 리투아니아의 작곡가 겸 화가인 치우르리오니스(M. K. Ciurlionis)의 두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시각예술작품에 대한 지각에 관심을 두는 가시성의 기호학의 개념과 방법론을 본고에서는 이중섭의 <소> 연작에 적용하였다. 먼저 9점의 작품을 분석시료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구성에 따라 3가지 연작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작품을 빛의 기호학적 방식으로 분석한 후, 이들이 이루는 빛의 긴장정도를 통하여 정념을 대응하였다. 첫 번째, <흰 소> 연작에서는 주로 화면에 한 마리의 소가 서 있는 형상으로, 빛의 집중과 순환, 확산과 부동의 강도와 범위에 따라서, 그리움, 행복, 권태를 찾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소의 상반신만이 드러나는 <황소> 연작으로, 배경과 형상에서 빛의 행정이 연동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다른 행정을 가졌다. 하지만 빛 구성체들이 이루는 긴장의 정도로 볼 때, 세 작품 모두 추구하는 대상의 충만함에서 오는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세 번째 연작은 화면에 두 마리의 소가 싸우는 모습으로, <흰 소> 연작과 마찬가지로, 빛 구성체의 정도에 따라 그리움, 행복, 권태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전에 인상주의 비평적 방식과 달리, 보다 작품 자체에 근거하여 발화자가 표현하는 감정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러 작품으로 이루어진 <소> 연작들 간의 미세한 차이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작품의 내재적 구조 분석을 통해 찾은 감정을 이중섭의 전기적 상황과 연결하여, 의미를 확장해보고자 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그리움은 사랑하는 가족과 대작을 그리고픈 열망을 펼칠 수 없는 결핍에서 나오는 것이며, 여러 상황에서 희망을 품고 노력하였지만 번번이 실패하면서 겪은 공허함은 권태의 정념을 이룬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과 달리, 충만한 현전에서 오는 행복도 드러나기도 한다. 이는 다가올 행복한 미래에 대한 희망이고, 이를 통해 얻어진 용기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중섭의 <소> 연작은 그간 현실을 외면해왔던 작가의 말없는 자아표현인 것이다. 그리고 각기 다른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소의 모습이 모두 결합되어, 이중섭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소> 연작이 이중섭의 작품세계에 있어서 차별적이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을 고찰할 수 있었다.

      • 이중섭의 〈편지그림〉 특징 분석 연구

        김태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화가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의 작품 가운데 〈편지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속에 내재된 시대적 상황과 미술적 의의를 재조명하는 목적을 갖고 진행하였다. 이중섭의 〈편지그림〉은 일제강점기, 남북분단 그리고 6.25전쟁으로 이어지는 시대적 아픔이 담겨있는 작품이다. 그의 〈편지그림〉은 당시 일본 여성을 사랑했던 내용과 피난생활, 경제적인 빈곤, 그림에 대한 갈등 등의 고통을 담았으며 아내와 두 아들을 일본으로 보내야만 했던 아픔이 생생하게 담겨져 있다. 이처럼 이중섭의 〈편지그림〉에는 조형적 아름다움은 물론 시대적 아픔을 그대로 담고 있어서 오늘날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중섭의 〈편지그림〉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분석해 그 의의를 재조명해내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이중섭의 생애와 시기별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1937년부터 1956년까지의 그의 작품을 토대로 동경 유학시절, 해방과 원산시절, 전쟁과 피난시절, 이렇게 세 가지의 시기로 작품을 구분해 분석한 후, 이중섭 〈편지그림〉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으로 3장에서는 이중섭의 〈편지그림〉에 내재된 특징에 대해 두 가지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첫째, 〈편지그림〉의 내용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내용 특징에 대해 분석할 때, 아내에게 보낸 〈편지그림〉과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그림〉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편지그림〉에 나타난 조형 특징에 대해 색채, 구도, 재료 이렇게 세 가지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 조형 특징을 토대로 〈편지그림〉에 내재된 의미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중섭의 〈편지그림〉은 전쟁으로 인한 민족적 비극의 상황에서 가족과의 이별을 통해 가족에 대한 사랑과, 결합에 대한 열망을 담아 제작되었다. 글과 그림의 조화를 보여주는 〈편지그림〉은 단순한 재료를 사용하였지만 그 속에서 선명하고도 원색적인 느낌을 찾아볼 수 있다. 또 그 내용에서 조국애와 민족의식, 민족의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슬픔, 가족에 대한 완벽한 결합에의 열망을 읽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4장에서는 이중섭의 〈편지그림〉이 갖는 시대적 상황과 미술적 의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중섭의 작품과 〈편지그림〉을 통해 작가 내면세계와 작품 간의 일관성을 살펴볼 수 있었고, 그 당시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한국사회의 미술사적 시대상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혹독한 시대를 살았던 이중섭은 여러 고난을 감내하면서도 작품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작품 제작을 이어나갔으며, 가족과의 이별의 상황에서 가족에 대한 사랑을 〈편지그림〉을 통해 전달하였다. 이처럼 그는 자신의 작품과 〈편지그림〉을 통해 그 당시의 시대상황과 자신의 내면세계, 예술관을 일관성 있게 보여주었고, 그 속에서 가족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도상학적으로 표현하였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Drawings on Letters〉 of Lee Jung-Seop.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historical situations are reflected in 〈Drawings on Letters〉 by Lee Jung-Seop,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e works in the history of fine arts in Korea. 〈Drawings on Letters〉 depicts those difficult times in which Lee Jung-Seop lived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o the division of Korea, to the Korean War. Its subjects include his love for his Japanese wife, his refugee life during the War, extreme poverty, his inner conflicts about a painting, and the difficult decision to send his wife and two sons to Japan. Thu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rawings on Letters〉 reflects the hard times in Korean history just as it represents an artist’s personal life. In chapter 2, my focus is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ccording to both his biographical and historical periods. His works from 1937 to 1956 a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his Tokyo years, the Emancipation of Korea and his Wonsan years, and the Korean War and his Refugee years. My analysis then moves on to discuss the ways in which historical backgrounds helped him produce 〈Drawings on Letters〉. In chapter 3, the content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rawings on Letters> are examin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color, composition, and painting materials. Based on this analysis, my focus will b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conclusion, Joong-Seop’s 〈Drawings on Letters〉 iconographically portrays his love and yearning for his family while reflecting both his inner artistic world and outer historical situations. Thus, in his paintings are reflected the dark and difficult periods in Korean history, and this allows us to glimpse through his works the phases of the times in terms of art history.

      • 이중섭 회화의 예술심리학적 연구

        이은주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대향(大鄕)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의 예술세계에 대하여 예술심리학의 방법론을 적용해 분석한 것이다. 예술심리학은 일반심리학과 달리 예술작품, 예술과정, 예술가 성향(personality)의 본질적 특성이 어느 정도까지 적절하게 심리학적으로 연구되었는냐를 물을 때 분명해 진다. 미술사에서 이와 같은 연구방법은 미술작품의 무의식의 의미를 우선으로 다루는 것으로 예술가의 정신 성장을 그의 예술에 관련지어 조사하는 심리분석적 전기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중섭은 자신의 삶에서 예술의 소재를 찾았다. 전쟁의 아픔, 자식의 죽음, 아내와 이별, 개인전 실패 등 트라우마를 겪었다. 인생의 시기마다 표현된 소재는 자신의 정서이고 감정이었다. 특히 그의 소 그림은 시대적·심리적 변화를 뚜렷하게 반영한 것으로 작품 <여인과 소>는 자신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것이고, <들소>,<황소>,<흰소>는 고독, 우수, 그리움, 분노 등의 요소들이 깔려 있을 뿐만 아니라 <싸우는 소>에는 피할 수 없는 현실과, 전쟁과 같은 시대적인 아픔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트라우마는 예술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적 갈등과 개인의 갈등이 작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중섭의 삶과 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이들의 소재는 이중섭의 천진한 심성과 자식에 대한 그리움의 표현으로 끈과 천도복숭아의 의미를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마음을 편지에 그려 보내며 예술가로서 가장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끊임없이 알렸다. 그러나 개인전 실패 후 좌절과 심리적 불안으로 정신적 이상을 나타내어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1950년 이후 전쟁을 겪은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당시 정신의학의 발달은 미진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성배드로 병원 정신과 전문의 유석진 원장은 화가 이중섭을 위한 임상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방법은 이미지로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그림치료’로 화가 이중섭을 위한 성베드로병원 원장 유석진박사의 임상치료였다. 이중섭이 정신병원에서 그린 20점의 그림을 분석한 결과, 이중섭은 투병하는 내내 삶과 예술에 대한 의지를 그림으로 드러내며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였다. 그리고 퇴원 후 작은 에너지로 예술을 표현할 수 있는 ‘삽화’를 그렸고, 생의 마지막을 알리는 유화 작품을 남겼다. 그의 창조적 의지는 삶을 유지시켜주는 내적인 영양분과 같았다. 거식중과 같이 외적으로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현실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냈을지라도 내적으로는 예술로서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예술은 고통을 보다 잘 견디는 법을 가르쳐준다. 결국 이중섭은 자신의 슬픔을 ‘승화된’ 작품으로 완성시켜 시대적·개인적 트라우마를 극복하였고 마지막 순간까지 붓을 놓지 않았던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모든 경험과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의 무수히 많은 이미지의 요소들은 이중섭의 마음속에서 심적인 사건들로 변형되었고, 원형의 이미지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예술이 창조되는 마음의 작용과 의식 상태를 융의 분석심리학과 특별한 재료, 기교, 양식 따위로 표현하려는 인간의 활동을 연구하는 예술심리학적 관점을 통해 이중섭 내면과 예술세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인간이해의 포괄적인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s the artistic world of Dea-hyang Lee Jung Seop(1916-1956) with art psychological approaches. Unlike general psychology, art psychology is to find essential traits of art works, art process, personality of artists in psychological ways. In art history, this kind of studying method, a kind of psychoanalytical approach to examine artists’ mental development together with their art works, puts priority on the unconscious meanings of art. Lee Jung Seop found art subjects from his ordinary life. He went through several traumas such as pain of war, death of a child, break-up with his wife, and failure of his private exhibition. At each state of his life, the subjects of his paintings were his emotions and feelings. Especially, his paintings of cows clearly reflect the changes in time and psychology. His work, Woman and cow contains his love story, and the buffalo, ox, and white cow show solitude, melancholy, longing, and anger. In his work fighting cow, the unavoidable reality and pain in the era such as a war were reflected. These traumas were expressed in his art. In order to understand how social and personal conflicts in his time were described, analyzing his life and psychology is very important. The children in his works show Lee Jung Seop’s innocent heart and longing for his child through symbolic meanings of lines and heavenly peaches. Also, by sending deep hearted letters with his drawings to his family, he continuously let them know that he was carrying out his roles as an artist and head of the house. However, after his private exhibition failed, due to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anxiety, he was hospitalized for a mental illness. Art therapy, utilizing images to integrate hi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as used to let him express his inner world through drawings. It was Dr. Yu Seok Jin, the director of Saint Peter's hospital, who performed the clinical treatment for Lee Jung Seop. As a result of analyzing 20 pieces of his paintings drawn during the hospitalized period, it was learned that he overcame his mental crisis by expressing his desires toward life and art in mental hospital. After leaving the hospital, he drew illustration works, which required only a little energy to draw, and an oil painting dedicating his last period of life. His creative will was like internal nutrition to support his life. Even though he outwardly showed denial of reality, suffering from anorexia and not eating, he internally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with art. Art teaches how to better endure pain. Finally, he overcame social and personal traumas through sublimating his sorrow into art works, and never gave up on painting till the last moment of his life. Therefore, Image factors in every experience and unconsciousness in life were reinterpreted as psychological events in Lee Jung Seop’s mind and expressed in his works. The relevance of Lee Jung Seop’s inner side of expressing the effects of creating art and consciousness through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special materials, techniques, and styles in art psychological approach to art works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understanding human beings.

      • 이중섭 회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현상학적 이해

        이주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중섭 회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현상학적 이해 교육학과 이 주 영 지도교수 강 기 수 본 연구는 이중섭 내면의 욕구와 충동, 승화의 산물인 그의 회화에서 어 린이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반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을 적 용하여 이중섭 회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존재 본질에 다가가는 데 목적이 있 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중섭 회화 속 어린이 모티프의 특징을 통해 어린이 존재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어린이 존재의 회화에서 드러남에 대한 교육 적 의의를 조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주로 하였으 며, 각 작품의 현상학적 체험분석은 연구자의 글쓰기로 해석하였다. 이중섭 의 체험과 지각 과정으로 드러난 이중섭 회화 속 어린이 모티프를 생활세계 에 편재된 반 매넌의 실존체 개념을 기본 축으로 하여 시간적 특징, 공간적 특징, 관계적 특징, 신체적 특징을 드러나게 함으로써 현상의 고유한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었다. 나타난 의미 현상들을 통해 어린이 존재와 그 세계를 삶의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각 장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II장에서 이중섭의 생애와 예술세계에 대한 이해를 모색하고 의미를 고찰하였다. 유희충동으로 승화시킨 결과물인 엽서화와 은지화 등의 작품에 드러난 시각적 유희성의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어린이를 현존시키는 이중섭 의 독특한 미학적 감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이해를 모색하고, 존재의 현상과 근원에 대한 표현인 회화작품이 현상학적 연구의 특징과 유사함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그리하여 이중섭 회화의 현상학적 고 찰을 통해 드러난 어린이 존재의 특징이 현상학적 연구로서 가치 있는 작업 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III장에서는 이중섭 회화 속에 나타난 어린이에 대한 본질적 주제를 구성한 후 반 매넌의 4가지 실존체에 재배열함으로, 어린이가 시간과 공간, 신체와 그 관계를 체험하고 드러낸 본질을 ‘현상 그대로’ 기술하였다. 도출 된 이중섭 회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4가지 생활세계 실존체는 시간적 특징인 ‘부재(不在, Absence) 속의 현존(現存, Anwesen)’, 공간적 특징인 ‘비은폐성 (Unverborgenheit)’, 관계적 특징인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신체 적 특징인 ‘몰입(沒入, Flow)과 확장(擴張, Expansion)’이라는 4가지 현상으 로 발견되었다. 이런 현상들은 의미 충만한 상징이 되어 어린이 존재 그대 로의 상황에 우리를 놓아두고 어린이들의 의식을 들여다보는 창이 되었다. 셋째, Ⅳ장은 앞서 구축되고 기술된 현상을 어린이 존재론에 기초하여 본 질적 의미를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이중섭 어린이 모티프 회화에 나타난 어 린이 존재를 고찰하였다. 실존체에 의해 드러난 이중섭 회화 속 어린이 존 재는 유희를 통해 자유를 추구하고, 자연과의 접촉으로 유대감을 쌓아가면 서 행복감을 느끼며, 호기심과 상상을 통해 세상과 관계 맺기를 즐기는 존 재, 그리고 사랑받기를 원하고 사랑하기를 즐기는 존재로 드러났다. 회화 속 에서 발견된 사물과 자연, 그리고 인간과의 상호작용에 깊게 침투하고 몰두 하는 어린이들은 무엇보다 행복한 현존재이다. 넷째, Ⅴ장은 본 논문의 교육적 의의이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현상학과 회화에서 어린이를 표현하는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해명할 수 있음 과, 미래 교육의 방향에 있어 어린이 중심의 비판적 작업을 요청하는 실천 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어린이를 새로운 가능성으로 열려 있는 존재로 인식 하고 생활세계의 살아있는 경험을 통한 체험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 러 대화를 기반으로 한 경청의 힘과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포괄적 교육의 의 의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Ⅵ장 결론에서는 이중섭 회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현상학적 이해 가 어린이를 정체성 탐색으로서의 상징이 아닌 작품의 중심인물로 초점을 맞추고 중요한 주체로서 드러내고 있음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나아가 어린 이의 존재 자체를 위한, 어린이 세계 자체에 대한 논의로 확장해 주어 세계 속에서 어린이의 위치와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 경험과 예술적 표현이라 는 더 넓은 맥락 내에서 어린이의 역할과 중요성에 관한 보편적인 탐구를 제안하였다. 주요어 : 이중섭, 어린이, 현상학, 회화, 시간, 공간, 관계, 신체

      • 이중섭 군동화에 나타난 아동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world of Jung-Seop Lee's work appears many children. The picture as if the simple, abundant and intuitional mind of children causes the spectators to misjudge as children play around. It reminds spectators of the memory of innocence of a child and makes them feel beauty. Expression for Jung-Seop Lee is conducted through innocence mind of a child to set free the human emotion by receiving the inner subconsciousn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icture out of the world of Jung-Seop Lee's works, especially of children in group pi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juvenile picture is represented in similar way in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icture, and to consider the expressional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icture out of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icture. The essence of juvenile picture is the expression of emotion,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world, the representation of the imagination and the media of communicati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icture includes the exaggeration of meaningful part, the negligence of meaningless part, the perspective and the negligence of what is real. Such expression of juvenile is a new perspective in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ainting and the relevance can be found in that it is not the representation of the real, but restores the essential element.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ainting finds the mainspring of creation out of a line and represents it as the linear amusement throughout the work. Jung-Seop Lee simplifies what he saw in intuition and reveals the fantasy invisible in reality through lines and angles using various materials. The line is the simplest summary and a symbolistic expression. the linear expression in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icture also shows the symbolism. The writer confesses and describes his own state of mind through the linear expression. Especially the longing for union is expressed symbolically by a cloth or a fishing line-like rope. His line is exactly expressed in endless transformations and looks. He also composed the screen in the viewpoint of children who interpret the situation in self-centered way and granted the subjective value to both the animals and the men. One of characteristics and style is the simplified expression that uses the technique of perversion and summary, avoiding realistic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two-dimensional feeling breaking from the mechanical perspective brings into relief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icture on all over the screen. Most of all, Jung-Seop Lee tried to approach the essence of things deeper rather than the visible external form. In this respect, the similarity can be found between the juvenile picture in which the writer internalizes his own experience and directly expresses the inner thought, emotion, feeling and imagination, and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icture. The writer engages in original work with free expression in purity, not being occupied by the form. Jung-Seop Lee's children in group picture has generality with 'easy accessible language' breaking from the preconception that modern painting is unintelligible and difficult. It has also popularity available for anybody because of the formativeness as if emerged from the world of childish innocence by representing only the characteristics clearly. In conclusion, the childish innocence and popularity revealed in the children in group picture might be more valuable to research than the writer's own technique and world. 이중섭 작품세계에는 많은 어린이들이 등장한다. 소박하고 어린이의 마음처럼 풍요롭고 직관적으로 보이는 모습은 관람하는 이에게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듯한 착각을 유발시킨다. 그러면서 보는 이가 동심의 기억을 환기하게 하는 동경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이중섭에 있어서 표현은 내적 잠재의식을 수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자유롭게 해주는 동심을 통해서 표현 되어 진다. 본 연구는 이중섭의 작품세계에서 특히 군동화적 경향의 작품 속에서 아동화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아동화가 지니고 있는 특징들이 이중섭 군동화에 어떠한 유사한 표현들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이중섭 군동화 속에 아동화적 특성을 분석하여 표현상의 관련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화의 본질은 감정의 표출이며 내면의 세계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상상의 표현이며 의사소통의 매체이다. 아동의 표현의 특징은 의미 있는 부분의 과장이나 의미 없는 부분의 무시, 투시기법, 사실적 무시 등이 있다. 이러한 아동화의 표현은 이중섭 군동화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실제의 재현이 아니라 본질적인 요소를 환원시켰다는 점에서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이중섭 군동화에서는 창조의 원동력을 선에서 찾아 작품전반에 나타난 선적 유희성으로 나타난다. 이중섭은 직관적으로 본 것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선각을 통해 현실에서 볼 수 없는 환상성을 나타낸다. 선은 가장 단순한 요약이며 상징적 표현이기도 하다. 이중섭 군동화의 선묘 역시 상징성이 나타난다. 선묘를 통해 자신의 심경을 고백하고 기술하고 있다. 특히 결합에 대한 열망은 천이나 낚싯줄 같은 끈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그의 선은 무한한 변화와 표정으로 표현되어진다. 또한 상황을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는 아동의 관점으로 화면을 구성하였으며, 화면에 있는 동물이나 인간 모두에게 주관적 가치를 부여하였다. 사실적인 묘사를 회피한 왜곡과 요약의 수법을 사용한 단순화된 표현은 하나의 특성과 양식화로 나타난다. 즉 기계적인 원근법을 탈피한 평면적인 느낌의 표현은 화면 전체에 아동화적 특성을 부곽시킨다. 무엇보다 이중섭은 눈에 보이는 외형보다는 사물의 본질에 대해 보다 깊이 접근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자신의 경험을 내재화 시켜 자기내면의 생각과 정서, 감정, 상상력,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아동화와 이중섭 군동화와 유사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즉 모든 순수함 속에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표현으로 창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중섭 군동화는 현대회화가 난해하고 어렵다고 선입견을 벗어나 ‘접근하기 쉅은 언어’ 로써 일반성을 띠고 있으며 그것도 극면하게 특징만 묘사하여 동심의 세계에서 표출 된 듯한 조형성은 누구나 쉅게 느낄 수 있는 대중성을 갖고 있다. 이렇듯 군동화에 나타난 동심성과 대중성은 그의 독특한 화법과 독자적인 세계에 관한 연구 이상으로 연구 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

      • 이중섭 기념관 : 이중섭기념관 설계계획안

        강민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이중섭의 삶을 건축적 접근방식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공간을 조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념관의 전시목적을 넘어 공간적 체험을 통해 이중섭의 삶을 경험하는 장소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중섭은 은박지 위에 아이들을 소재로 그린 은지화, 소를 소재로 한 유화 등을 통해 민족적 한을 가장 잘 표현한 화가로 알려져 있다. 한국전쟁 당시 월남하여 부산·통영·제주도 등을 전전하며 고단한 삶을 살아온 이중섭의 생애를 관련 도시 별 4가지 특성으로 구분하고 시간대별로 각각의 공간의 형태에 대입한다. 4가지의 구성을 나누는 기준은 환경의 변화에 의미를 두기도 했으나, 궁극적으로는 이중섭의 심리적 변화에 따른 그림들과 감정 변화가 기준이 되었다. 출생지인 원산은 그림을 접하고 유복한 가정에서 순탄하게 보냈던 시절. 가정을 이루었으나 첫 아들을 병으로 잃고 아이들을 소재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던 송천시절, 한국전쟁을 계기로 피난 생활을 했던 부산과 제주도 그리고 통영시절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섭 생애 마지막 5년 통영시절을 이중섭의 인생에서 가장 예술혼을 꽃피운 시절이라고 본다.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작업에 대한 화단의 냉담한 반응이 증폭되어 육체적 정신적으로 노쇠해졌으며, 이 시기에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들 다수가 그려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