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集團意味療法이 大學生의 삶의 意味發見과 內的 意味實現 및 實存的 挫折 克服에 미치는 效果

        朴善實 大邱가톨릭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83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rankl's logotherapy on the group counselling. Especially I attempted to prove that logotherapy should be useful to help university students to find their life meaning, to fulfill their inner meaning, and to overcome their existential frustration. The programme for the group logotherapy consists of three values to search life meaning, which Dr. Frankl offers, and of five existential meanings to be human being. The former includes three values for creativity, experience, and attitude, and the latter includes five meanings of life and death, pain, sin, work, and love. The group was given to the university students 10 sessions of group logotherapy lasting 150 minutes each session once a week from May 3rd to June 29th, 2002. The subjects took part in the experiment are all 20 students who attending C University in K city in May 2002. Among them 10 students were und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10) under the controlled group. The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on the process: first, I got all 150 students from freshmen to senior, without distinction of sex, taking the general courses on mental health. After PIL test, I decided to select the subjects among the students with the scores under 92 because they showed a lack of life meaning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 on PIL results; finally, I chose 20 stud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e experiment. The design for this research is a type of combination which is carried out by combining variables between-subjects and within-subjects. The variables of between-subjects are two groups(the experimental group/the controlled group), whereas the variables on within-subjects are three periods(pre/post/follow-up). Data processing was done by SPSS for windows 10.0 in order to testify the effect of the research procedure. The process carried out ANOVA which took the groups and the testing periods to be independent variables and PIL scores and Logo test scores to be subordinate variables. In the test, .05 level of confidence was used.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n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ried to testify the effectivity of the group logotherapy 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earching for life meaning. It statistically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s well as between after the experiment and before the experiment.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ho were 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higher degree of searching life meaning than those who were not. Thus, I suggest that the group logotherapy should be useful for students to search their life meanings. Second, research tried to testify the effectivity of the group logotherapy on university students for their inner meaning fulfillment. It statistically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s well as between pre-test and pro-test. Third, research tried to testify the effectivity of the group logotherapy on university students for overcoming their existential frustration. However it does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ccording to the final analysis and statistics of the test results. The hypotheses should be abandoned because of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 have relatively lower levels of existential frustration. It means that they does not seem to be existentially frustrated. Also the hypotheses should be abandoned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programme for the group logotherapy does not proper items to measure the existential frustration.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succeeding studies on the group logotherapy should be followed with small groups which are more effective than large groups. Second, it is urgent that the succeeding studies on the logotherapy should develop proper tools to measure life meanings which could reflect the cultural and social reality of Korean youth. Third, the group logotherapy should be applied by extending the range of age.

      • 프랑스어 형태 NE의 메커니즘 연구 : 정신역학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이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48

        Depuis la grammaire traditionnelle jusqu’à la linguistique contemporaine, il existe toujours de vifs débats relatifs au double emploi de la forme NE en français qui serait complètement opposé : l’un sous l‘adverbe négatif ne qui exprime la négation ; l’autre, le ne explétif, qui ne l‘exprime pas. Ce mémoire a pour but d’établir avec cohérence un mécanisme de la forme NE d’après Moignet (1991) qui a tenté d’expliquer ses différents emplois via la perspective psychomécanique et Martin (1984) qui a essayé de trouver une solution au problème de la contradiction sémantique du ne explétif à travers l’outil logicosémantique. Pour atteindre nos objectifs, nous avons d’abord soigneusement examiné les deux emplois de NE, à savoir l’adverbe négatif ne et le ne explétif. Ensuite, nous nous sommes attardée sur les deux principales recherches existantes sur NE en français : l’analyse psycholinguistique de Damourette & Pichon (1930) et l’analyse morphosyntaxique de Muller (1991). Après une réflexion sur leurs limites, nous avons pu affermir notre position en tant que proposition d’un nouveau mécanisme capable de justifier la valeur fondamentale de NE en appliquant les outils psycho- mécanique et logicosémantique. Dans ce contexte, avant de construire un psychosystème de NE, nous avons d’abord consulté la théorie générale de la psychomécanique autour de ses quelques concepts importants, “langue”, “discours”, “signifié de puissance”, “signifié d’effet”, “tenseur binaire radical” et “subduction”. De plus, afin de pouvoir élargir la pertinence de l’argument de Martin (1984) sur le ne explétif au mécanisme entier de NE, nous avons aussi examiné les concepts logicosémantiques d’“univers de croyance” et de “monde possible”. S’appuyant sur les bases de la psychomécanique et de la logico- sémantique, nous avons tenté de clarifier la nature fondamentale de NE en supposant que sa signification de négation puisse se dérouler dans deux mondes possibles distincts : le “monde potentiel” et le “monde réel”. La forme NE est dotée d’une « négation dans le monde potentiel » et d’une « négation dans le monde réel » pour ses signifiés de puissance dans le plan de la langue ; chaque forme se développe en signifié d’effet de « négation potentielle » et de « négation réelle » sur le plan du discours. Dans le premier cas, la proposition p contenant NE est niée dans un monde potentiel(m) de sorte que NE n’exprime pas la valeur négative en intégrant une certaine nuance relative à la négation dans l’énoncé. Cela correspond à la forme NE dans les complétives du verbe/adjectif/nom de crainte, de précaution, d’interdiction et de négation/doute, les constructions impersonnelles Il tarde à ~ que, Il ne tient pas à ~ que et Il s’en faut de peu que et les subordonnées circonstancielles avant que, à moins que et sans que, c’est-à-dire à ne explétif. A l’inverse, dans le dernier cas, p est niée dans le monde réel(m0) de sorte que NE fonctionne effectivement en tant qu’opérateur de négation. Cela correspond à la forme NE qui signifie divers types de négation en tant qu’adverbe négatif ne. En dernier lieu, par rapport au signifié d’effet de « négation réelle », nous avons distingué 4 divers effets de sens qui peuvent se révéler dans un contexte précis de l’énoncé selon la visée du discours du sujet individuel parlant : « négation exceptive », « négation corrélative », « négation incomplète » et « négation complète ». Dans le cas de la négation exceptive, NE s’associe en tant qu’adverbe négatif avec la conjonction que pour exprimer l’idée de restriction. Le cas de la négation corrélative est celui où NE apparaît seul dans la subordonnée de la comparative d’inégalité. Alors que la forme NE dans cette construction est aisément considérée comme explétif, nous avons démontré non seulement qu’elle a un caractère bien différent des autres constructions du ne explétif dans l’aspect syntaxique mais aussi qu’elle exprime en effet une négation implicite dans la corrélation de la comparative d’inégalité. Enfin, quant à la négation incomplète, il s’agit de l’adverbe négatif ne associé avec l’auxiliaire guère et plus pour exprimer l’idée de négation incomplète en laissant nécessairement le présupposé positif, et quant à la négation complète, il s’agit de l’adverbe négatif ne associé avec les autres auxiliaires de négation comme pas, jamais, personne, rien, etc. pour exprimer l’idée de négation complète. Au final, nos propos sur chaque effet de sens est le résultat d’une saisie dans un point particulier sur le mouvement de négativation de NE qui s’écoule du positif (+) au négatif (-). Par conséquence, la forme NE subit une opération de subduction interne qui part de la négation complète qui est complètement chargée de la valeur négative et arrive à la négation potentielle qui est vide dans le monde réel mais qui possède malgré tout un minimum de négativité dans le monde potentiel. Nous espérons que cette étude, où nous avons subdivisé les différents emplois de la forme NE selon un aspect concret de la négation exprimée et le degré de la valeur négative réalisée, permette de mieux appréhender son comportement hétérogène extérieur dans son mécanisme homogène intérieur. Par ailleurs, cette étude aurait une signification considérable sous le prisme de la psychomécanique qui se montre être un outil efficace et pertinent pour expliquer le phénomène polysémique qu’un même signe peut engendrer dans différentes valeurs sémantiques comme la forme NE en français. 본 연구는 프랑스어 형태 NE가 지니는 다양한 용법들을 정신역학론과 논리의미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용법들을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정립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기존의 문법 연구들을 참고하여 프랑스어 NE의 용법을 부정 부사 ne와 허사 ne로 분류하고, 각각의 용법을 구체적인 예문과 함께 세부적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기존에 프랑스어 NE의 복잡한 쓰임을 체계화하고자 했던 Damourette & Pichon(1930)과 Muller(1991)의 연구를 소개하고 각각의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NE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할 필요성을 밝혔다. 이어서 NE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기 전에, 먼저 정신역학론과 논리의미론의 주요한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논의를 위한 이론적인 틀을 제시했다. 또한, 정신역학론적 관점에서 형태 NE의 메커니즘을 제시한 Moignet(1981)와 논리의미론적 관점에서 허사 ne를 정신역학 모델로 설명하고자 한 Martin(1984)의 연구를 소개하는 동시에 각각의 한계를 밝혔다.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NE의 용법들을 ‘랑그(langue)’와 ‘담화(discours)’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어 형태 NE가 지니는 ‘부정(négation)’의 의미작용이 ‘잠재세계(monde potentiel)’와 ‘실제세계(monde réel)’로 구분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가능세계(monde possible)’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NE가 ‘랑그’ 차원에서 지니는 ‘잠재의미(signifié de puissance)’로서 ‘잠재세계에서의 부정’과 ‘실제세계에서의 부정’을 제시했다. 또한, 이 ‘잠재의미’가 ‘담화’ 차원에서는 각각 ‘잠재적 부정’과 ‘실제적 부정’의 ‘실현의미(signifié d’effet)’로 발현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실제적 부정’의 ‘실현의미’의 경우, NE가 어떤 요소와 결합하여 사용되는지에 따라 각각 ‘배제적 부정’과 ‘상관적 부정’, ‘불완전 부정’, ‘완전 부정’으로 구분되는 네 개의 서로 다른 하위 의미를 지님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잠재적 부정’에서부터 ‘완전 부정’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 형태 NE가 지니는 다양한 부정의 의미들을 정신역학론의 ‘의미차감(subduction)’ 개념을 통해 정리했다.

      • 신동엽 시 연구 :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시의 언술주체가 의미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신동엽의 시가 지향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텍스트 자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신동엽 시의 주제적인 면이 작품의 내적인 형식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는 양상을 밝혀내고자 했다. 신동엽의 시에서 '현실 세계'는 언제나 변혁해야 하는 부정적인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신동엽 시의 담화 구조는 언술주체의 현실 변혁 의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과 청자 지향적 언술, 그리고 화제 지향적 언술의 제양상들을 통해 언술주체가 현실 변혁 의지를 실천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의 화자 지향적 언술은 자아와 세계의 단절을 체감하는 언술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언술주체는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 대응에 있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두 유형의 화자를 등장시킨다. 여기에서 세계와의 불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화자는 어떠한 전망도 제시하지 못한 채 내적으로 고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언술주체는 현실 극복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화자의 절망적인 내면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수동적인 '자아'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반면에, 자아를 확장해서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화자는 단절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전망을 획득해내고 있다. 고립된 자아와 확장된 자아가 보여주는 대립적 태도는 전망의 '부재/획득'이라는 결과적 상황을 통해 '부정/긍정'이라는 이항대립적 상황을 만들어낸다. 여기에서 언술주체는 세계와의 불화를 능동적으로 극복해내는 자아에게 긍정적인 시선을 보냄으로써 이상적인 자아상을 제시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청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와 타자의 관계가 형상화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언술주체는 청자 지향적 언술을 통해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자아'가 개별적인 타자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모습을 전경화시킨다. 여기에서 언술주체가 내세우고 있는 화자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상반되는 두 가지 태도를 보인다. 부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반면, 긍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긍정적 타자는 대지적 생명력과 굳건한 의지를 가진 건강한 민중으로 설정되고 있다. 이렇게 타자의 '부정/긍정'에 따라 '강한 거부/열정적 사랑'으로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는 화자의 태도는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타자가 건강한 민중 집단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언술주체는 대지에 발 딛고 노동하는 인간, 즉 민중들과 자아의 긍정적 연대를 통해 이상적인 타자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화제 지향적 언술 속에서 세계가 재현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에서 이러한 유형의 언술은 텍스트의 외부에 존재하면서도 텍스트 내의 상황이나 장면에 주관적·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서술 화자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서술 화자는 두 가지 태도를 보여준다. 화자는 훼손된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냄으로써 현재적 상황에 내재하는 폭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상상적 비젼을 통해 현실 세계의 폭력과 억압, 착취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실 세계와 이상적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긍정'의 이항대립은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세계가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동체적 삶이 구현되는 평등주의적 사회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술주체는 현실 상황의 부정성이 지양되고 극복되는 세계의 상상적 비젼을 통해 이상적인 세계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Ⅱ, Ⅲ, Ⅳ장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담화 목표'가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신동엽의 시를 민중시·참여시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형식적 구성 원리는 이렇게 독자를 현실 변혁의 행위로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신동엽 시의 언술주체는 양가적 시선을 통해 이상적 자아상과 이상적 타자상, 그리고 이상적 세계상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집단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신동엽 시의 주제적 측면은 작품의 내적 구조와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그것이 찬양일변도를 보여주는 것이든, 맹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것이든, 이러한 이중적 작업, 즉 시의 내적 구조와 주제적 측면에 대한 동반적 연구를 소홀히 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는 시의 언술주체가 보여주는 다양한 언술의 실현 양상들을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전략과 지향을 규명해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hin Dong-yeup's poems intended to by analytically examining the aspects that a subject of discourse in poems realized the mea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matic aspects that Shin Dong-yeup's poems were systematically related to intrinsic forms by focusing on analysis of the text of his works itself. In Shin Dong-yeup's poems, the actual world always represents a negative object that has to be revolutionized. In consequence, a discourse structure of Shin Dong-yeup's po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will of a subject of discourse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realizes its will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speaker-oriented discourse, listener-oriented discourse, and theme-oriented discourse. In chapter two,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a self has been taken shape in speaker-oriented discourse. Speaker-oriented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made up of by the subject of discourse that recognizes breaking-off between the self and the outer world. At this time, the subject of discourse lets two types of speakers, who have contrary attitudes each other about the way to face to the negative reality for themselves, appear. At first, the speaker who cannot overcome the discord with the reality appears to be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confined in inner world without any prospect. By emphasizing the speaker's desperate inner state, the subject of discourse reveals a limit of a passive 'self' that does not make any effort to cope with the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who seeks to harmonize with the reality by expanding the self, acquires new prospect through the active attempt to overcome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The opposing attitudes between the isolated self and the expanded self create the binary opposite situation, 'negative/positive', through consequential situation, 'absence/acquirement' of prospect. Here the subject of discourse suggests an ideal image of the self by sending positive eyes to the self that actively overcomes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In chapter three, it is examined the patterns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has been taken shape in listener-oriented discourse. The subject of discourse foregrounds the picture that the 'self', trying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directly make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others through listener-oriented discourse. At this point, speakers made stan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show two contrary attitud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isteners. A speaker narrating to negative others reveals strong hostility towar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a speaker narrating to positive others expresses ardent love toward the listener. Here, the positive others are represented as the crowds with sound mind that have enormous vitality and strong will. The speaker's contrary attitude that shows 'strong hostility/ardent love' according to the others' 'negative/positive' represents clearly that the other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is the crowds with sound mind. What the subject of discourse wants to mean is to represent the image of ideal others by emphasizing the positive solidarity with human beings that are laboring on the earth, that is, the crowds, and the self. In chapter four,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the reality is reemerged in theme-oriented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this type of discourse is composed of by a narrating speaker who intervenes in the situation or scene within the text in a subjective or active way, though the subject is outside the text. At this point, the speaker shows two attitudes. The speaker reveals a structure of violence underlying in the present by making the destroyed reality reappear, or pictures an ideal world that there is not any violence,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rough imaginative vision. The binary opposition of 'negative/positive' lying in between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represents that the world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s longing for is a society wh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observed and all the people can live each other harmoniously and peacefully.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show the ideal image of the reality through an imaginative vision that negativeness of the reality can be denied and be overcome In chapter five, the research examined synthetically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discourse's realization of meaning that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n it is found out that 'the aim of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ultimately to suggest the direction about how to change the world to readers. The formal principle that Shin Dong-yeup's poems are identified with poems of the crowds or socially activistic poems is revealed through the way to lead readers to an action for the reform of the reality just like this. The subject of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intends to give a direction to confront negative world individually or as a group to readers by offering the ideal images of 'self', 'the other' and 'the world', and based on this, ultimately to suggest a direction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thematic aspect of Shin Dong-yeup's poems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works. Existing arguments, whether they admire his works or severely criticize them, have a limit, concerning that they did not discuss the issues that inner structures of poems and thematic aspects should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this thesis identified Shin Dong-yeup's poems' strategies and intent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in his works through concretely analysis of his works.

      • 영어와 중국어의 이중목적어 구문 : Double Object Constructions in English and Chinese

        吴进珍 수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6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for a comparative study on the DOCs and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s datives in English and Chi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s and the dative construction, the argument realization, the alternation range and learnability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analyzing previous approaches. The properties of the DOCs are discussed first.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DOCs is that there are two objects within one construction.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ase assignment, the asymmetric relationship of the two o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s and their corresponding alternatives a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Adopting the claim by Jackendoff (1990) that there is no transfer between the DOCs and datives, new pieces of evidence are offered by exploring the get-type verbs comparatively common in Chinese. The researcher insists that the DOCs and the datives are separate based on Chinese examples. To begin with, three previous approaches are reviewed: Larson (1988), Aoun and Li (1989), and Jackendoff (1990). Since neither Larson’s nor Aoun and Li’s analysis is applicable to Chinese get-type DOCs, Jackendoff’s proposal that treats the dative and the DOC separately is adopted to explain the non-alternating get-type DOCs in Chinese. Based on Jackendoff’s analysis of dealing with the for-phrases of beneficiary in English, the get-type constructions can be explained, the indirect object is treated as an adjunct, the get-type DOCs are not real DOCs. The analysis on the Beneficiary DOCs further implies that the arguments realized in English and Chinese are different. Agent, Theme and Goal/Benefactive are often involved in the typical DOCs in English. There are no problems when the DOCs alternate with their datives. But in Chinese, the for-datives have no corresponding Beneficiary DOCs, because there is no Benefactive in Chinese. Then alternation can not occur. The non-derivation theory is confirmed again. Since there are verbs which can accept DOCs as well as datives, there are other verbs which can only accept one. They indicate that there is no derivation between DOCs and datives. The constructional view can provide an account of the pattern of alternation by allowing various senses of transfer to be distinguished in terms of core vs. extended, which can be applicable cross-linguistically. Besides, the learnability on English DOCs is also discussed to check out whether Chinese learners face difficulties caused by the difference on the get-type construct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e practical methods to avoid the difficulties are put forward. 이중목적어구문은 영어와 중국어에서 중요한 주제로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 동안의 연구는 주로 이중목적어구문과 여격구문간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데, 크게 세가지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Larson(1988)은 여격구문을 기초구문으로 보고 이중목적어구문이 여격구문에서 전환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와 반대로 Aoun and Li (1989)는 이중목적어구문이 기초이고 여격구문은 이중목적어구문에서 전환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이 두 구문이 별도의 것이며, 따라서, 전환관계가 없다는 주장은 Jackendoff (1990)에 의해 이루어졌다. 중국어의 이중목적어구문 연구에서는 get 과 같은 동사류의 이중목적어구문의 존재로 인해 학자들 사이에서 이중목적어구문의 범위에 대한 정의에 관해서 논쟁이 많이 있었다. Li(1996)과 Hu(2010)는 give 와 같은 동사류 구문만을 이중목적어구문으로 분류하였다. Zhang(1998)은 Aoun and Li (1989)의 분석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중국어의 이중목적어구문을 분석하였다. He(2011)는 Chomsky의 최소주의이론으로 중국어의 이중목적어를 연구하였다. 그는 중국어의 give 동사류 목적어구문을 이중목적어구문에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의 get 동사류 이중목적어구문을 근거로 Jackendoff (1990)의 분석방법만이 이러한 이중목적어구문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려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이중목적어구문과 여격구문 간에 전환관계가 없다는 것을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보여 주고 있다. 아울러, 의미역의 실현에 있어서 영어와 중국어는 차이가 있다는 점도 아울러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영어와 중국어 사이의 의미역의 실현의 차이로 인하여, 중국학생들이 영어학습에서 어려움을 갖게 될 것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어려운 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국어 어휘 의미의 실현 조건 연구

        김혜령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399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onditions of word meaning and analyzing word meaning strictly. As a result of studying the conditions of word meaning, conditions of meaning are described in detail, and word meanings are examin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Word meanings are realized by context. Therefore, for analysis of word meaning it is important to reveal whether individual contexts become conditions of meaning or not. Every individual contexts are not conditions of meaning. When a word form realizes same meaning in many contexts, those contexts become a condition of meaning. Conditions of meaning are built by generalization of contexts. A seme is realized as its condition of meaning. On the other hand, alloseme is realized as individual context. When conditions of meaning are distributed exclusively, word meanings are analyzed properly. And It will be distinguished between context and word meaning. In chapter 2, content of meaning analysis and meaning conditions are described. First of all, Types of word meaning are classified as: locutionary meaning and context meaning; grammatical meaning and lexical meaning; seme and alloseme. Semantic properties are classified linguistic context and extraliguistic context. Semantic properties include both word meaning and meaning conditions, they are distinguished in semantic analysis. Meaning conditions are classified as linguistic context and extralinguistic context. Meaning conditions of linguistic context are classified as co-occurrence relations and binding relations. Co-occurrence relations are related in sentence contexts, binding relations are related in text contexts. Meaning conditions of extralinguistic context are classified as participants and situation. And an interaction of meaning conditions are described. In chapter 3, exclusive distribution of linguistic context is explored in word meaning. Linguistic conditions of meaning are revealed by examining co-occurrence relations and binding relations as linguistic conditions of meaning. In Ch 4, exclusive distribution of extralinguistic context is explored in word meaning. Extralinguistic conditions of meaning include participants and situation. Linguistic conditions of meaning are revealed by examining participants and situation.

      • 다층적 위계에 따른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 연구

        최경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94

        이 연구의 목적은 시 교육에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개념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 ‘다층적 위계’의 방안을 구상하여 학습자들의 시 이해력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한히 확장되기 쉬운 상호텍스트성의 범위를 텍스트 표층에 드러나는 내적 요소로 한정하고, 이에 따라 다층적 위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내는 다중 텍스트는 다층적 위계가 낮은 텍스트에서 높은 텍스트의 순서로 조직하여 텍스트 간의 반복되는 요소와 상이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개별 텍스트에 드러난 내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중 텍스트에 잠재한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하고, 나아가 학습자가 스스로 유기적인 의미망을 만든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부단히 다중 텍스트를 상호텍스트적 맥락으로 읽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기존의 시 교육은 단일 텍스트에 대한 꼼꼼히 읽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개별 텍스트에 대한 내·외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학습하였지만, 그러한 학습 내용이 다른 시 텍스트에 전이되어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을 증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시 텍스트의 내적 정보를 연관성 속에서 이해하는 것을 시 텍스트 이해 능력의 하나로 보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학습자가 여러 시 텍스트를 관련지어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이 시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텍스트 간의 다각적 탐색을 통한 통찰력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먼저 시 텍스트 수용 과정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의 의미와 상호텍스트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중 텍스트 구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주체적인 시 텍스트 의미 수용을 돕고자 텍스트 표층에 드러나는 내적 요소를 기준으로 다층적 위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층적 위계는 텍스트의 난이도와 관련이 있으나 텍스트 내적 요소들과 학습자의 수준을 함께 고려한 개념이다. 상호텍스트적 요소를 매개로 구성된 다중 텍스트를 내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학습자의 의미 실현 층위로 구분한 것이다. 이때 각 단계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텍스트와 학습자 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인식하는 시 텍스트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추출하였다. 학습자들이 언급한 내용에는 어휘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내용적인 측면이 모두 포함되었으나 이 중 특히 시어와 형식적 요소를 어렵게 인식하였다. 어휘적인 측면은 어려운 시어나 모르는 한자어, 모호한 시어가 많을수록, 형식적인 측면은 고도의 비유와 상징을 사용하거나 길고 복잡한 의미 구조일수록 시 텍스트를 더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요인을 의미 실현의 방식과 의미 실현의 층위로 나누어 다층적 위계 설정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의미 실현의 방식은 텍스트언어학에서 다루는 문장의 결속구조와 결속성, 그 외에 의미구조와 어휘로 다시 세분화하였다. 의미 실현의 층위는 의미 실현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읽기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실현되는 의미가 텍스트 표층에 있느냐 이면에 있느냐에 따라 구분하였다. 다층적 위계에 따른 다중 텍스트 배열은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텍스트 간 의미가 반복되는 구성과 의미가 확장되는 구성으로 나누어 조직하였다. 시 텍스트는 인생의 방향 설계에 고뇌하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삶과 연관될 수 있는 주제의식을 담으면서 특정 모티프나 특정 표현방식이 반복되는 것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트의 다층적 위계를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 읽기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다층적 위계에 따른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의 의의를 점검하고, 특정 요소를 기준으로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한 후 다중 텍스트 전체를 거시텍스트로 인지하여 통합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해 단계에서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이 끝나고 나면 다시 텍스트를 재배열하여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시 이해력을 증진할 수 있는 활동으로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는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기존의 시 교육에서 다중 텍스트 배열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것과 달리 다층적 위계를 설정하여 다중 텍스트를 단계적으로 조직하여 동시에 읽을 수 있도록 구상함으로써 학습자가 보다 쉽게 의미 실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 poem education, an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poem-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a multi-level hierarchy concep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intertextuality range apt to be extended indefinitely was defined in the inner element, revealing the text surface,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a multi-level hierarchy was established. Multiple texts revealing the intertextuality were to be organized in order from the lowest multiple layered text to the highest ranked one, so the recurring elements and the different elements between text would be able to be found. Understanding a poem as an intertextual meaning means that you discover the potential intertextuality in the multiple layers of text based on the internal components exposed to the individual text, and further learners make the organic meaning networks for themselves. In order to reach this stage, learners should strive constantly to read the multiple texts in the intertextual context. Learners have absorbed a wide r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because existing poetry education focused on the close reading of an individual text. However, such a learning method was limited when transferred to another to promote learner’s poem reading skills. Thus, on reflection, I considered understanding the intratextual information of several pieces of poetry in correlation as one of the poem text comprehension skills, then the learners would more easily understand poems, and also gain an insight into multifaceted text investigation between the text, if measures are established for learners to read poems in relation to various poem text within a limited range. First, I examined the meaning of intertextuality in the process of poem text acceptance and organization of multiple texts based on intertextual elements. In addition, I established the concept of a multi-level hierarchy through internal factors revealed in the text surface for learners’ subjective poem text acceptance. Multi-level hierarchy is a concept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the text so I divided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each stage into the learner variables and text variables. Next, I extracted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difficulty that learners recognize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learners’ statements, the factors included lexical aspects, form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but learners were aware that poetic words and formal elements were especially difficult parts out of them. The more difficult or ambiguous poetic words and unlearned Chinese characters appeared, the more difficulties learners had in lexical aspects, and the more use of metaphor and symbols, or long and highly complex semantic structures existed, the more learners tended to have a difficulty understanding poetry texts. Based on these results, I divided fac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to the method and the level of meaning realization in order to set up the standard of multi-level hierarchy. In addition, the method of meaning realization was subdivided into cohesion and coherence which is covered in textlinguistics, and further meaningful structures and vocabularies. The level of meaning realiz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as the meaning which is finally realized in a reading process based on the way of meaning realization was in the text surface or the depths. Arrangement of multiple texts in keeping with the multi-level hierarchy was divided into a repetitive meaning configuration with similarities between text utilizing intertextuality and an extensive meaning configuration. As concrete poetry text, it was selected that the text can be associated with the liv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heir life plans, repeating a particular motif or a specific expression. Finally, I designed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apply a multi-level hierarchy of multiple texts to intertextual poem reading education. Moreover, I inspected the objective that intertextual poem reading education in keeping with a multi-level hierarchy pursues, discovered intertextuality based on the standard of specific elements, and mad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perceive total multiple texts as macro text integratively. In addition, I formulated a plan for learners to accomplish intertextual poem reading by rearranging text after the intertextual poem reading was primarily complet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utilization of intertextuality as a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poem comprehension and provided a detailed plan to support this suggestion. It set multi-level hierarchy and made learners read multiple texts at the same time by organizing them in stages unlike the existing poem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ntertextuality which was not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multiple text alignment. Therefore, you can find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hat learners can advance meaning realization more easily.

      • 韓國語 混成語에 대한 연구 : 2016년 ~ 2020년 신어자료집을 중심으로

        정미령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63

        주지하듯이 근래 2010년 이후, 신어 유형 중에서도 혼성어에 대한 논의가 급부상하고 있다. 혼성어는 기존의 합성어 및 파생어와 다르게 입력이 주어진 상황에서 출력이 예측 불가능하여 다방면에서 논의가 진척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의견이 수렴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특히 혼성어의 구성성분인 ‘절단형 조어소’의 형태론적 지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무엇보다도 혼성어의 형태적 구조, 형성 방식, 의미론적 관계, 의미 실현 방법, 의미핵 분포를 포용한 통합적인 논의가 결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신어 혼성어가 갖는 제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세부적으로 혼성어의 형태론적, 의미론적 및 기타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1장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혼성어와 인접 개념어들의 개념비교, 형태적 구조 측면 및 기타 특성, 혼성어의 구성성분인 절단형 조어소에 대한 형태론적 지위, 혼성어의 유추적 형성 기제, 의미론적 양상에서는 의미 관계와 의미 실현 방법에 대한 여섯 가지 측면에서의 논의점을 살펴보면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일부 의견은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선상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 미처 논의되지 못했던 부분, 그리고 본고와 다른 입장 차이들을 밝히면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혼성어의 개념적 정의를 재정립하고 인접 개념어들과의 판별점을 나열하여 그 경계를 명확히 제시하면서 형태론적 유형도 함께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혼성어가 어떠한 위상을 갖는 단어인지에 대해 이분법적 방법으로 ‘완전 혼성어’는 단일어로 편입하되 ‘불완전 혼성어’는 복합어의 하위 유형으로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형태적 구조 측면에 입각하여 크게 단선적 구조와 복합적 구조를 지닌 두 유형으로 분류하고, 여기서 단선적 혼성어를 다시 완전 혼성어와 불완전 혼성어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을 바탕으로 통계적 귀납추론 방법으로 후행 기저단어에서 절단된 ‘δ형(D형)’이 관여한 혼성어가 전형적인 패턴임을 밝혔다. 이러한 현상은 혼성어 참여 기저단어에서 주로 음절 길이가 긴 단어가 우변에 배치되는 경향성을 밝혔다. 또한 음운론적 제약 특성과 큰 연관성을 가지는데 특히 후행 기저단어의 음절 수 유지 현상이 지배적인 형성 원리임을 입증하였다. 4장에서는 혼성어의 구성성분인 절단형 조어소의 형태론적 지위에 대해 의사 접사, 의사 어근에 근접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의견에 대한 반대 입장을 취하면서 혼성어 형성 과정에서의 전용 조어소임에 불과하다는 의견으로 수렴하였다. 또한 혼성어 형성에서 처음에는 절단과 결합 기제가 관여하여 형성되었지만 형성 과정에서 생성된 절단형 조어소가 고정항으로 공유하면서 유추적 틀이 형성되어 새로운 형성 방식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현상도 함께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연역법을 활용하여 혼성어 내부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를 연합적 관계와 통합적 관계로 분류하고 연합적 관계에서는 다시 계열적 관계와 비계열적 관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미론적 실현에서는 직접 수식, 간접 수식, 상호 연계 유형으로 분류하고 여기서 간접 수식으로는 직유와 은유를 활용한 비유법으로 분류하여 혼성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의미 관계와 의미 실현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또한 의미핵 분포에서는 외심성을 가진 혼성어가 적지 않게 나타났고, 내심성을 가진 혼성어에서도 기존의 우핵 원리에 어긋난 좌변에 의미핵이 분포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6장에서는 혼성어가 갖는 불규칙성과 규칙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혼성어 형성에 관여한 여러 요인, 특성 및 형성 기제들을 제시하면서 본고의 핵심 내용들을 재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연구 의의와 미진한 점들을 제시하였다. As is well known, since 2010, discussions on blends have been rapidly emerging among the types of neologisms. Unlike existing compound words and derivative words, blends have an unpredictable output in a given input situation, so discussions have progressed in various fields, but opinions do not seem to be converged. In particular, opinions are divided about the morphological status of ‘splinters‘, which are components of blends. Above all, there is a lack of an integrated discussion that embraces the morphological structure, formation method, semantic relationship, meaning realization method, and semantic core distribution of blends. In this paper, the morphological, semantic,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blends were dissected in detail and discussed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basis of re-examining the problems of blends. In chapter 1, conceptual comparisons of compound words and adjacent conceptual word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spects of morphological structure, and othe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status of splinters, components of blends, analogical analysis of blends in the formation mechanism and semantic aspect, while re-examining the points of discussion in the six aspects of the meaning relationship and the method of realizing meaning, some opinions are accepted to some extent, the part to be supplemented, the part that has not been discussed, and the difference in position from this paper The need for research was presented by clarifying them. In chapter 2, first of all,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blends was reestablished, and the distinction points with adjacent conceptual words were listed, clearly presenting the boundaries, and morphological types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in a dichotomous way about regarding the status of the word blends, ‘complete blends’ were classified into a single word, while ‘semi-complete blends’ were proposed as a subtype of compounds word. In chapter 3, based on the aspect of morphological structure, i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with simple structure and a complex structure, and here, the simple blend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a complete blends and a semi-complete blends. It was revealed that the blends involving the ‘δ-type’ clipped from the trailing source word was a typical pattern. This phenomenon revealed the tendency for words with long syllable length to b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words participating in blends. In addition, it has a great correlation with the phonological restriction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of maintaining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trailing base word has been proven to be the dominant formation principle. In chapter 4, clarifies the objection to the opinion that the morphological status of splinters, which are components of blends, is to be treated as close to pseudo-affixes and pseudo-roots. which is a component of blends and gathered opinions that it is only a dedicated word ele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blends. In addition, in the formation of blends, it was initially formed by the involvement of clipping and merging mechanism, but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to a new formation method was examined by the formation of an analogical framework as the splinters created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were shared as fixed terms. In chapter 5, by using the deduction method,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blends is classified into associative and syntagmatic relationships, and associative relationship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paradigmatic and non-paradigmatic relationships. In semantic realization, it is classified into direct modifier, indirect modifier, and mutual connection type. And here, as an indirect modifier is classified as simile and metaphors to observe blends in detail.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it was formed through various meaning relationships and meaning realization processes. In the distribution of semantic head, there were quite a few blends with exocentric character, and even in blends with endocentric, it was revealed that semantic head were distributed on the left side that violated the existing right-side key word rule. In chapter 6, the irregularity and regularity of blends were discuss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by presenting various factors,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blend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nadequacie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현대시 교육에서 독자의 해석 전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습 독자를 중심으로

        유보슬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6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시 해석 전략의 활용 양상을 기술하고,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 시 교육 현장은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통해 시를 읽기보다는 교사의 해석이나 전문가의 해설에 의존해 시를 읽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른 텍스트보다 빈자리가 많고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력이 필요한 시 텍스트의 특성상 시 교육에서는 독자의 능동적인 시 읽기 행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는 나름대로의 시 해석 전략을 사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스스로 생성하는 능동적인 존재라고 보고,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시 해석 전략의 개념과 그것이 작동하는 토대로서의 기저 범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포적 용법의 언어로 이루어진 시 텍스트는 산문과는 다른 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의 삶과 연관된 해석의 과정과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해석학과 독자반응 이론의 논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 해석 전략이란 시를 독자 본위의 삶의 의미로 실현하기 위해 독자가 시 텍스트의 빈자리에 동원하는 의도적인 읽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 독자는 교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시를 읽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으로 형성된다고 보고 해석 전략의 기저 범주로 문학 교육과 국어 교육을 포함하는 학교 교육의 경험과 독자의 경험, 가치관, 선이해, 기대지평, 자원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독자의 개인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과 구체적 활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시 해석 텍스트를 수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학습 독자가 사용하는 해석 전략을 크게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로 범주화하였다.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는 다시 ‘해석 대상의 지각’,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해석 대상의 지각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의미 실현 자질들의 반복과 변주에 주목하여 중심 시어와 같은 해석의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은 제목이나 중심 제재와 관련 있는 독자의 경험, 선이해를 활용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예측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예측을 확인하는 것이다.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은 시 텍스트의 부분과 전체에 압축된 의미를 풀어내어 독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새로운 기술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은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는 시인에 대한 정보나 시대·사회적 배경을 활용해 주요 시어의 의미나 이면의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은 읽고 있는 텍스트와 관련 있는 다른 텍스트를 끌어와 해석의 단서로 삼거나 학습 독자가 해석한 의미를 보다 정교하게 하거나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다.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은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으로 구분하였다.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는 시 텍스트의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속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험이나 세계 지식을 조회하고 두 대상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시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실현하거나 시 텍스트의 일부나 전체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은 시어나 시구의 상징적 의미를 긍정-부정 중 하나로 해석하거나 이들의 관계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뚜렷한 의미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빈자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독자가 지닌 경험이나 세계지식을 활용해 가능성이 높은 의미 가설을 세우고 이를 연역적으로 뒷받침하거나 가설을 중심으로 시 텍스트를 해설하는 것이다.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는 ‘작가와의 소통 시도’,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로 구분하였다. 작가와의 소통 시도는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작가의 목적이나 창작 의도를 파악하여 텍스트 이면의 작가와 소통하려는 시도를 통해 독자의 관점에서 시 텍스트의 의미를 새롭게 맥락화하는 것이다.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는 학습 독자 자신의 삶이나 독자가 속한 공동체나 사회에 유용하거나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가치를 구성하여 자기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 텍스트를 읽기 위한 해석 전략의 다양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지니고, 해석 전략을 활용해 교실에서 소통 가능한 타당한 의미를 생성하며, 해석 전략을 매개로 이해와 표현 활동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한 편의 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학습 독자가 지각한 의미 자질들에 대해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의미 자질간의 관련성을 확보하고 독자 지평을 마련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구체화하도록 하고, 소집단 대화를 통해 실천된 해석 전략의 적절성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비교하고 평가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제고하며, 시 해석 전략을 쓰기의 전략으로 변용하거나 해석의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비평문 쓰기를 통해 시 텍스트의 가치를 내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독자인 실제 학습 독자의 시 해석 텍스트를 분석하여 시 읽기 과정에 사용되는 시 해석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시 교실에서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중시하여 능동적인 시 해석 교육을 구체화하였으며,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위상과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aspects of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used by the learning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ext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interpretive strategies. This study considers the learning reader to be an active being who creates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itself using their own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he underlying categories on which it operates. As a result,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can be said to be an intentional reading method that the reader mobilizes in the empty space of the poetry text to realize poetry as the meaning of a reader-oriented life. And, as the base category of interpretive strategies, the experience of school education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and the reader's personal experience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oetry interpretation texts from high school first grade read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retiv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and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First,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was further divided into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target’, ‘prediction of meaning through title’, and ‘restatement of compressed meaning’ strategies. To the next,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was divided into ‘reference of poets and times and social background’ and ‘use of intertextuality’.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was divided into ‘analogism based on relevance’, ‘classification by dichotomous schema’, and ‘establishment of possible semantic hypotheses’. Finally,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was divided into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artist’ and ‘internalization of community values’. In order for the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it is have an open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interpretive strategies for reading poetry texts, use the interpretive strategies to create a valid meaning that can be communicated in the classroom, and interpretive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link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hese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ing readers create questions about the perceived semantic features, secure the relevance between the semantic features, establish the reader’s horizon to materialize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ive strategies with fellow learners, to transform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to a writing strategy, or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 poetry text through critical writing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pretatio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