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장가영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5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analysis by confirming the impa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rovide data that can help medical institutions' judgment standards, and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earch data were surveyed on 122 nurses with more than on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experience at the general hospital level who obtained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93.4% were women, 47.5% were in their 30s, 65% were married, and 76.2% were college graduates. As for the position, 74.6% were general nurses and 33.6% were working for 5-10 years. The working department was 57.4% in the general ward, and 95.1% had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 77.9%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was 'know in detail', and the number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was '0 times' 59.0%. The average degree of improvement by chapt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s is 3.64±0.83 out of 5, an average of 4.00±0.77 points out of 5 point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organizational culture averaged 3.18±0.96 points out of 5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by the head of th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by sub-item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working department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osition, work experienc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in accurate surgery and procedu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ge,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awarenes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system.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each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dicating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all related.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s a factor that affects patient safety guarante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s by using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s a way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conduct continuous evaluation rather than an attitude to establish patient safety in line with temporary external evaluation items for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nd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environment that can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for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t is suggested to study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on patient secur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argeting not only the nursing profession of medical institutions but also members of other occupations.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객관적인 정보와 분석제시와, 의료기관의 판단 기준에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제공하고, 의료기관평가인증의 활성화, 환 자안전보장활동 및 올바른 조직문화 정착에 기여 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의료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한 종합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1회 이상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표준편차, T 검정, 분 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93.4%, 연령은 30대가 47.5%, 기혼이 65%, 대학 졸업이 76.2%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74.6%, 근무경력은 5-10년 33.6%였다. 근무부서는 일반 병동 57.4%였으며, 환자안전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95.1%였다.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에 대해 ‘자세히 안다’ 77.9%였으며,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 ‘0회’ 59.0%였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4±0.83점,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5점 만점에 평균 4.00±0.77점, 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18±0.96점 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 차이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차이에는 결혼상태,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문화의 차이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의 하부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정확한 환자 확인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진 간 의사소통에는 근무부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며, 정확한 수술·시술 확인에는 연령, 결혼상태,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 교육경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예방 활동은 연령, 직위, 근무경력,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감염예방 활동은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인지 정도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 기준 장별 향상 정도와 환자안전보장활동 향상 정도, 조직문화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의료기관평가인증과,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모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평가인증은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 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이 병원의 환자안전과 조직문화를 증진 시키는 방법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전략적 으로 활용하여 병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을 위한 일시적인 외부평가 항목에 맞춰 환자안전을 확립하려는 자세보다는 지속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 하며, 의료기관평가인증의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 조직 구성원들의 근무경 력별, 직급별 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의 간호직 뿐만 아니라 다른 타 직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 으로 의료기관평가인증이 환자안전보장활동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의료기관평가인증, 환자안전보장활동, 조직문화

      • 3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평가 전후 평가문항 수행도 차이에 관한 연구

        임희연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two years later since evaluation of the Korean hospital Accreditation,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rformance about the state accreditation test items is maintained or not. The survey targets were 231 senior nurses working in three hospitals, which was certified among the metropolitan medical facilities in 2011. The survey period was from February to March, 2013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are three types : (1) the 8 questions which were typically characteristics, (2) about the accreditation test items, the 22 questions which were related to general adult ward nurse and, (3) the 44 questions which wer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reditation evaluation at the time and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frequency analysis about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s and the performance of each ques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about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at the time of accreditation and the cur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18 ques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accreditation than at the current. The 13 question items of them were P-value <0.001, the 5 questions were p-value <0.05. The others four questions were fairly maintained. The reasons of lower degree were "Busy works" the most responses and 'friction between staff' the second lot of answers, Some items associated with a doctor. The reason which kept performing well were 'habit saved' the most response and the second 'empathy for compliance'. This study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regulations were lower than at the time of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workforce and prepare the methods to observe the rules.

      • 정신의료기관 인증과 평가 기준의 환경디자인 요소 및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이은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the quality of services and living spaces required is also increasing. Hospitals are also changing through various paradigm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design of medical institutions for space-sensitive and steadily increasing mentally ill patien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within the criteria for psychiatric hospital certification and psychiatric institution evaluation, which present specific standards to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to summarize and present their requiremen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meaningful as a practical reference to practitioners preparing for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as basic data to gauge the level of environmental design required by institutions that currently conduct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such as hazard tool confirmation place, hazard tool storage place, fallable place, discharge information provision place, specimen laboratory, imaging laboratory, treatment program room, occupational treatment room (workplace), special treatment room, isolation room, and obsessive-compulsive room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space, goods, and devices. Of the total 66 elements, 45 elements of space are included, and 21 elements of goods and equipment are included. The requirements of these factors suggested safety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the space, and matters to be done when constructing the space. It was found that the psychiatric hospital certification and psychiatric institution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matters related to space and goods, and that they were more detailed than medical law facility standards, but insufficient than environmental design studies for the healing of mentally ill patients. Therefore, considering that it is a medical institution that treats patients who are sensitive to space, more interest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삶의 질이 좋아짐에 따라 요구되는 서비스 및 생활 공간의 질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병원 또한 다양한 패러다임을 지나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에 민감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의료기관의 환경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적은 실정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정신의료기관에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정신병원 인증과 정신의료기관 평가 기준 내에 환경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그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의의는 정신의료기관의 인증과 평가를 준비하고 있는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현재 국내의 정신의료기관 인증 및 평가를 시행하는 기관이 요구하는 환경디자인의 수준을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의 결과로 위해도구 확인장소, 위해도구 보관장소, 낙상발생 가능 장소, 퇴원 정보 제공 장소, 검체검사실, 영상검사실, 치료프로그램실, 작업치료실(작업장), 특수치료실, 격리실, 강박실 등의 환경디자인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요소들을 공간과 물품 및 기기로 분류하였다. 총 66개의 요소 중 공간의 요소는 45개이고, 물품 및 기기의 요소는 21개이다. 이 요소들의 요구사항은 공간의 안전관리 및 점검, 공간구성 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정신병원 인증과 정신의료기관 평가기준에 공간 및 물품 등 관련한 사항이 녹아 들어있었으며, 의료법 시설기준보다 자세하지만, 해외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정신질환자의 치유를 위한 환경디자인 연구보단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공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자들을 진료하는 의료기관임을 고려하여 향후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JCI 병원인증을 위한 병동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 대학병원 병동부를 중심으로 -

        김효정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02

        최근 의료산업의 글로벌화를 통해 환자의 국제 이동, 해외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의료법이 개정된 2009년 이후 역시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국내 병원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 의료관광객의 수는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국내외에서 확립되고 있으며, 국제의료사회에서 인지도가 높은 JCI 병원인증에 대한 국내 병원들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JCI 병원인증기준은 구체적인 시설기준이 아닌 병원의 운영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JCI 병원인증기준을 시설적 관점으로 고찰함과 이에 대응하는 건축계획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JCI 병원인증기준과 병동부 관련 기준, 연구들을 고찰하고, 사례병원 병동부를 조사한 내용을 종합하여 인증기준을 충족시키는 건축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JCI 병원 인증기준의 병동부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2014년 새롭게 개정된 JCI 병원인증기준 5판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 기준, 취지, 평가항목을 고찰하였고, 병동부의 전반적인 사항과 관련기준을 검토한 것을 바탕으로 JCI 인증기준에서 요구하는 병동부 건축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JCI 병원인증을 획득한 서울, 경기권 내의 대학병원 병동부 현장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운영상황과 시설 관리현황을 점검하였다. 이론고찰과 병원 시설을 조사한 내용을 수렴하여 인증획득을 위한 병동부의 적절한 계획방안 및 개선사항을 검토하였다. 이는 향후 JCI 인증을 획득을 위해 병원의 시설을 개선하고나 새롭게 지을 경우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CI 병원기준에 대응하는 병동부의 건축계획요소를 도출할 때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감염예방과 관리(PCI)와 시설안전관리(FMS) 섹션이다. 둘째, 각 인증기준은 손위생, 청결물 및 오염물 관리, 동선분리, 감염구역설정 및 관리, 재난대비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병원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병동부를 중심으로 JCI 병원인증기준을 고찰하고 정리한 결과 인증획득을 위한 요건을 갖추는 데에는 물리적환경과 더불어 각 인증기준 항목에 대응하는 운영 전략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병원의 물리적 환경 개선하거나 새롭게 계획할 경우 참고 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나아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기를 기대해본다.

      • 요양병원 구조적 특성이 적정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상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183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인력, 시설, 장비 등 구조적 특성이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적정성 평가제도 도입 이후 요양병원의 인력, 시설, 장비 등 구조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이들 특성이 적정성 평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요양병원의 적정성 평가 3차~7차까지의 평가 차수별 변수를 기술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고, 둘째, 적정성 평가 시점별 요양병원 구조적 특성(인력, 장비, 시설)이 적정성 평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시점의 요양병원 인력, 시설, 장비 등 요양병원 구조적 현황과 설립구분, 요양병원 소재 행정구역 등과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 데이터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확보하였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시군구 지역별 전체인구와 각 지역의 65세이상의 노인인구 수 데이터를 확보하여 노인인구 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인증여부에 따른 적정성 평가 관계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홈페이지에서 7차 평가 시점의 전국 요양병원 인증현황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3차~7차까지의 차수별 요양병원 특성을 기초통계 분석한 결과, 의사인력의 평균과 15명 이하의 간호인력을 보유한 요양병원의 수는 감소하였으나, 16명에서 30명, 31명 이상의 간호인력을 보유한 요양병원의 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사 수와 병상 수도 동일하게 증가하였고 의료장비의 경우 인공신장기 수는 증가하였으나, 기타 의료장비는 크게 변화가 없었다. 요양병원의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의사인력, 간호인력, 약사, 의료기사 등 의료인력의 수가 많고 병상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행정구역은 구지역에서, 평가차수는 해가 거듭될수록, 설립주체는 지자체나 공공분야에서 설립한 공립 요양병원이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의료기관 인증 여부와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 간의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의사인력, 간호인력, 약사, 의료기사 등 의료인력의 수가 많고 병상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행정구역은 구지역에서, 평가 차수는 해가 거듭될수록, 설립주체는 지자체나 공공분야에서 설립한 요양기관에서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기관 인증 여부에 따라 종합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의료기관 인증, 불인증에 따라 적정성 평가 종합점수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의료인력이 다른 독립변수보다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보면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요양병원의 적정성 평가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제도 도입 10년간 요양병원 구조부문의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있었으며, 구조지표와 과정지표 중심의 적정성 평가를 입원환자의 건강상태를 유지․개선하고 보호하기 위한 진료 지표 개발 및 추가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모델을 발굴 적용하면 향후 요양병원 의료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equacy assessment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 and improve the results of the long-term care hospitals, where the improvement of the Adequacy Assessment results was insufficient after the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care adequacy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since 2008. The goal is to discover tasks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hospital performance improvement activities. The data required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HIRA for medical resource data and appropriate scores for Adequacy Assessment, including medical personnel, facilities, equipment, region, establishment, etc., at the time of the 3rd to 7th Assessment of the adequacy of nursing care benefits. National Statistical Portal secured data on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aged 65 in the Si-gun-gu area and national long-term care hospitals certification status at the 7th evaluation point at KOIHA.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SAS 9.4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results for each order of Adequacy assessment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ird,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8 (7th) Adequacy assessment data and the result variables of accreditation healthcare organizations. Fourth, an inter-relationship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care hospital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accreditation healthcare organizations, and the overall score of the adequac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up to the 7th adequacy assessment of long-term care hospitals, the size of hospitals steadily increased, hospitals under 100 beds decreased, and hospitals over 100 beds increased. As doctors, nursing personnel, and other medical technicians increased, the number of institutions in the lower grades of adequacy assessment decreased and the number of engine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creased. Structural changes such as manpower, facilities, and equipment of long-term care hospital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equacy assessment results, and institutions with low overall evaluation scores continued to decrease.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which are difficult to manage hospitals, have difficulty in expanding human resources, facilities, equipment, etc., and have low evaluation scores for many year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care hospitals, the overall score of a long-term care hospitals established by a local government or a public institu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a hospital established by an individual. It is analyzed that the investment capacity in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of long-term care hospitals was marginal compared to that of private establishments. Also,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sco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whether the accreditation healthcare organizations or not, it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 for adequac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accreditation healthcare organizations or non-accreditat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showed various efforts to recover patients' health, such as introducing various rehabilitation treatments and manag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