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 오르프 음악교수법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어린이집 음악특별활동을 중심으로

        고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대음악교육법 중 칼 오르프 음악교수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이 국내 영유아의 교육 보육기관에 적합한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실질적 교육현장에 효과적인 음악 수업이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2019년 정부는‘아동 중심,‘놀이 중심’의 교육 방향성을 제시하여 누리과정을 개정하였다. 누리과정은 국내의 영유아의 교육 보육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교육 방침으로 국내의 영유아 교육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국가 수준의 교육 방침이다. 본 연구자는 실제 영유아의 교육 보육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특별활동기관의 강사로 오랜 기간 영유아들을 지도해왔다. 다년간 영유아를 대상으로 지도해온 경험을 토대도 아동 교육 보육기관이 현대음악교육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을 선호하나 누리과정의 범주에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현대음악교육법을 적절히 활용하지만 다채로운 매체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특별활동기관을 선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특별활동기관들은 누리과정을 염두에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음악교수법 중 지금까지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오르프 음악교수법이 올해부터 시행되는 개정된 누리과정과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를 연구함으로 교육의 대상자가 즐거운 음악적 경험을 누림과 동시에 누리과정에 입각한 음악 수업을 제공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오르프 음악교수법은‘아동 중심’의 음악교수법으로 아동이 주체가 되어 말하기, 노래하기, 신체 동작과 같은 기본적인 활동을 토대로 음악적 감각을 기르고 보편적인 창의성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교육법이다. 그러나 2019년 개정된 누리과정의‘놀이 중심’수업과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오르프 음악교수법의 철학과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2019년에 발표된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교육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특별활동 기관의 현황과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대까지도 오르프 음악교수법만을 활용한 기관들도 존재 하나 교육 현장에 알맞게 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일부 활용한 음악 놀이 수업이 중심이 된 음악 수업이 활발히 제공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해외에서는 놀이 중심의 음악수업이 활발히 제공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는 국내의 누리과정을 비롯한 아동의 발달 과정, 교육 현장의 여건을 고려한 움직임이자 현대의 교육 트렌드의 변화라고 보이며, 영유아의 음악교육 현장에서 오르프 음악교수법의 활용도가 높은 만큼, 그 활용도가 현 음악교육 시장에서 알맞은 교육법으로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음악 놀이 활동 매체나 달크로즈, 코다이와 같은 다양한 현대교육법을 동시에 활용하는 통합적 음악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유아 음악교수법의 연구 동향 분석

        성인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research trends of teaching methods in the area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3 to 5 years of age. As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highlighted and the number of theses about music education of children increases, the need of organizing information data systematically grows up; therefore, this study is to offer systematic and correct information of previous research by collection Korean master’s and doctor’s theses published from 1996 to 2006 about music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re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t is aimed to provide the present situation and actual status of early childhood music teaching methods, and to lead the future research to deal with various research issues and contents.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it classifies the aim of research, the certain methods of teaching music to children, the kinds of music activities, and the element of musical abilities. Among a total 410 theses of early children music education, 133 theses about music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ren published from 1996 to 2006. Also, the number of the theses was generally increasing annu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mong the theses classified the aim of research, most theses are written for suggesting music teaching methods without examining the experiment. The number of theses classified suggestion of music teaching methods is 99 of total 133.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verify the experiment or curriculum of music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ren for using as a pragmatic method in the music class of children. Second, the total number of theses studied certain music methods is 76, and among them, 59 theses are about Orff, Dalcroze, Kodaly methods. Most studies show that the trend of using the certain music teaching methods leans towards Orff, Dalcroze and Kodaly methods. Thus, the research of other certain teaching music methods needs more variously. Third, the theses about music activities present various activities such as hearing, moving, playing instruments, creating, and singing. However, because of high attention of integrative music activities, most of them deal with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about elements of music abilities, there are only two categories, rhythm and integrative elements of music abilities. It shows that the research of elements of music abilities is studying too narrow. In the future, the research needs to study teaching music methods based on understanding every element of music 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every single element independently. Also, even though the studies’ trends of teaching music methods for early children start to change gradually, it is still limited and lack. Accordingly, the research of teaching music methods should study the whole part of music and choose new issues. For pragmatic use of music teaching methods, it should be studied based on understanding actual situation and status in the field.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많은 유아 음악 교육에 관해 연구한 논문들의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의 양적 팽창이 정보 자료를 분야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선별하여 정리할 필요성을 가지게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6년에서 2006년까지 발표된 만3세~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 음악교수법에 관한 국내 석사 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최근 연구경향을 분석 및 분류함으로써 앞으로 유아 음악교수법에 관한 논제의 선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유아 음악교수법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교수법들이 제시되고 연구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수집한 논문의 수는 총 133편으로 총람을 작성하고 이들 논문을 연구형식과 특정교수법, 음악활동, 음악개념, 이외 접근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1996년부터 2006년까지의 유아 음악 교육에 관한 연구는 410편 중 유아 음악교수법에 대한 석사학위 논문은 133편으로 꾸준히 매해 꾸준히 발표 되어 왔으며, 그 중 특정 교수법에 관한 논문은 76편으로 그 중 Orff, Dalcroze, Kodaly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59편의 논문이 각각의 교수법에 대해서 또는 통합 및 비교하는 연구로, 특정 음악교수법에 관한 논문이 Orff, Dacroze, Kodaly 교수법에 편중되어 연구되었다. 먼저 연구 형식에 따라 ‘음악교수법 이론에 관한 분석’, ‘음악교수법 활용에 관한 연구’, ‘음악교수법 적용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 및 기타에 관한 형식들로 나누어서 분류하였는데, 그 중 음악교수법 활용에 대한 지도방안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는 연구가 전체 음악교수법 논문 133편 중 99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악교수법 적용시켜 효과성 및 영향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이 23편이였다. 또 음악교수법 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가 9편, 실제 유아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음악교수법에 대한 실태분석이 10편, 기타가 1편이 발표되었다. 또한 음악활동에 대해 연구한 논문 총 108편 중 통합적인 음악활동에 대한 논문이 68편으로 편중되어 나타나고 그 외 가창활동 11편, 감상활동 11편, 악기연주 10편, 신체활동 7편, 창작활동 1편의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음악개념에 관한 논문은 68편으로 음악적 개념에 대한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는 49편, 리듬교육을 위한 논문은 19편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개념에 관한 연구들은 리듬과 통합적 접근에 대한 논문들로 편중해서 나타났다. 그 외 기타 접근법에 관한 논문은 놀이에 관한 논문 8편, 국악에 관한 논문 9편, 기타 12편으로 분류되었으며, 기타에는 문학적 접근,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근거한 유아 음악교수법, 독일 유아음악교육을 통한 접근, 불전설화 자타카, 피아노 교재분석, 피아노 반주실태 분석, 유아음악교육에서 사용할 작품선곡에 관한 연구, 뇌기능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시청각매체를 이용한 유아 음악교수법, 전래동화 및 전통 악기를 이용한 음악극을 통한 유아 음악교수법이 그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연구의 수가 양적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연구의 방법 및 주제도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통합적 교육에 관한 교육이 높아진 이 시점에서 유아 음악교수법 또한 여러 방향으로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연구가 많이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많은 주제와 교수법 중에서도 Orff, Dalcroze, Kodaly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지나치게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유아 음악교수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집중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음악활동 및 음악개념에 관한 연구들의 대부분들이 통합적 접근의 논문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음악개념에 관한 연구는 리듬과 통합개념에 관한 연구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 음악교수법의 활용 및 교육의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음악교수법에 대한 연구들과 다른 음악개념에 관한 연구, 그리고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험연구의 적용에 관한 연구들의 필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유아 음악교수법에 관한 학위 논문들의 경향 분석을 통해 앞으로 좀 더 전문적이고 폭넓은 유아 음악교수법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현장에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학교 음악교과 학습지도를 위한 Kodaly 교수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선희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15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이 의미있게 되기 위해서는 음악 개념의 이해와 기능의 습득도 중요하지만 음악 자체를 위주로 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이 되어야 한다. 7차 교육 과정에서 새로운 음악의 창조라는 명제하에 우리나라 음악교육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되어 전통음악의 비중이 많이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전통음악에 대한 지식 및 음악적 능력의 부족으로 미디어를 이용하여 전통음악 수업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통음악 및 제재곡을 지도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하여 음악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수업 현장에 적용하며 코다이 교수법을 우리의 음악교육에 맞게 현실화하고 실제 수업에 알맞은 바람직한 지도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논문은 코다이의 생애와 작품 세계, 코다이의 음악 교육론, 교수 학습방법, 코다이 교수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내 전래동요의 내용을 분석하여 단계별 지도 순서 및 현장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코다이 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 음악수업에 맞게 코다이 교수 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토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학습지도안은 리듬 응답 놀이를 통한 리듬 치기, 캐논형식에 의한 리듬지도, 즉흥 리듬치기, 오스티나토 리듬치기, 각 악기를 통한 리듬 치기 등을 통해 리듬진도를 체계적으로 하였으며 코다이의 손기호와 계명창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또한 음정의 정확한 감각을 키우고 악보를 읽고 기보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합창을 통하여 학생들이 상대방의 소리를 잘 듣게 하고 화음의 어울림을 느끼게 지도하고 코다이 교수방법 중 기억, 내청을 통하여 청감각 훈련을 하고 창의적 표현을 중요시하여 음악에 대하여 학생들의 느낌을 신체 표현하고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놀이를 하며 음악의 흥미로움과 협동심을 알게 하였다. 코다이 교수법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교육하려면 우리에게 알맞은 음악교육방법인 연구되고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민요와 전래동요, 국악 창작곡에 관한 보다 깊고 다양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으며, 각 학년 단계마다 전래동요 및 쉬운 민요부터 현재 작곡가들의 민속적 요소가 짙은 작품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교재를 제공하긴 위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 음악교육은 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음 위주의 교육이어야 하므로 교사가 적극적으로 수업 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이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다방면의 음악 수업을 진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아동들이 쉽게 경험하고 활동할 수 있는 코다이의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코다이 교수법에서의 손기호나 리듬, 계명창 등의 특정한 교수기법이 충분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통합된 교과과정에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해야 한다. 넷째, 코다이 지도법을 비롯한 새로운 교수법들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 우리 감각과 민족적 정서에 맞고 이론과 주입식에 의한 수업보다는 음악을 자기 스스로 느끼고 즐기며 아동 스스로 표현력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으로 발전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코다이 음악 교수법은 유아학습의 단계에서부터 성인의 음악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유용한 방법임이 밝혀진 것으로서 우리의 음악교육에 맞게 현실화하고 바람직한 지도법을 현장에 적용하면 음악 교과 교육의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며 공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order that the music education in school might be significant the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s and mastering of skills is important, but it should be the activity-focused lesson to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in music itself.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the proposition of nev music creation, the recognition that the music education of our country should be changed was reflec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was occupied much more. Hence owing to the lack of the knowledge to teachers' traditional music and musical ability teachers have taught the traditional music lessons using the mass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 to guide music class effectively by applying the most appropriate Kodaly method to teach the traditional music and tune, to apply it to our music educational system, to make Kodaly method of realistic application in our music educational system and to present the proper teaching method suitable to the real music class. Thus, in this thesi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Kodaly's life and art production, Kodaly's music educational theory, Kodaly's teaching method and the guiding sequent order Has made step by step, Kodaly method to apply in the real music class was presented, and it is modified and applied in our own way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our music class. In this thesis, the syllabus are well organized the rhythm teaching through the ability of rhythm by the rhythm answer play, the rhythm teaching by Canon form, improvisational rhythm play, Ostinato rhythm play, rhythm play by the musical instruments and it is induced the positive participation stimulating the students' curiosity by using Kodaly's hand signs and the chorus of melody. And this researcher focused on improving the accurate sense of musical interval, developing the ability of reading a musical note and recording it. It was guided to help students hear a companion's tone well and feel the matching of a chord through chorus and it was prepared to train the sense of hearing through memorization, inside-listening in Kodaly method. Also it was guided that student's musical feeling expressed by means of body movement through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expression and played applying Kodaly method and knew th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music. Music education method appropriate for us will have to be studied and realized in order to educate Kodaly method to the reality of our country well.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we should do the more profound and various investigation on Korean folks song, traditional song and national classical creative work. And in each grade step we should investigate for the systematic and inclusive textbook from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easy folks song to the other modern composer's songs which contain traditional inclination. Second, music education should be the practical music-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children's experience, so teachers should prepare the teaching materials positively and teach the varied music lesson for students to see, touch and feel. Thus, we need the lesson applying Kodaly's theory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easily and act keenly. Third, in order that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of the hand sign, rhythm and chorus of melody in Kodaly method can obtain excellent results, it should be used by linking systematic united curriculum organically. Fourth, by the comprehensive researches about the new teaching method including Kodaly method continuously we should develop into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music education that fitted for our sensibility and the feeling of our nation, enjoying and feeling music itself by themselves students can extend their own expression ability and initiative spirit rather than the lesson focused on the theory and cramming teaching method. Kodaly music teaching method was revealed as the useful method from the step of infant learning to adult's music teaching method. Thus, if we apply Kodaly's method to our music education reality properly and apply the suitable teaching method to our educational field well,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will be able to become the change of our music education and the good chance for solidifying the foundation of our public education.

      • 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기악합주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성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14

        현재 한국의 음악교육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통해 독창성과 창의성을 함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심성을 계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음악교육현장에서는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즉흥성을 강조한 기악합주보다는 음악지식의 이해나 가창 중심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흥미를 일으켜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체계적인 수업지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즉흥적인 표현력과 창조적인 음악활동을 강조하는 오르프의 음악교수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면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주입식 음악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르프의 음악교수법에 기초하여 즉흥연주를 통한 창의성 계발에 중점을 두고, 중학교 1학년의 음악교과서에 등장하는 “아리랑,” “노래는 즐겁다,”와 “땅위의 기쁨”의 기악합주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제재곡들은 오르프 음악교수법에 근거하여 현행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로 선곡되었다. 즉흥연주를 강조하는 오르프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기악합주 수업을 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하기와 신체표현을 음악활동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리듬”과 같이 설명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을 쉽게 학습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표현법을 배우게 한다. 둘째, 말하기와 신체표현에서 발전된 가창이나 악기연주의 음악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음악적 정서가 풍부해진다. 또한 모둠별로 이루어지는 음악활동에서 악기 연주능력과 협동심을 비롯한 사회성을 계발한다. 셋째, 모둠별로 오스티나토(Ostinato)와 보르둔(Bordun)을 적용하여 제재곡을 편곡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 간에 음악적 아이디어를 교류하여 음악적 상상력을 계발하고, 오스티나토와 보르둔의 음악적 개념을 이해한다. 학생들은 활동 중심의 학습 과정에서 음악적 성취감을 느끼고, 창의성을 계발한다. 오르프의 음악교수법은 창의성을 계발하는 음악지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이 연구를 계승하는 수업지도안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Currently, music education in Korea has concentrated on students' cultivating their originality and creativity and rich musical disposition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However, in actual music class at school, an understanding of music knowledge or singing oriented class has been conducted rather than the instrumental music concert emphasizing the improvisation that could develop creativity. In this regard, it would be necessary to do researches on systematic class teaching that could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Accordingly, if Orff's music teaching methods underlying the improvised expressions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are applied to actual class at school, the problems with the teacher oriented cramming method of teaching will be improved.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improvisation based on Orff's music teaching methods and developed a lesson plan of instrumental music concerts for "Arirang," "Wooden Heart (Muβ Ich Denn)" and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by Ludwig van Beethoven" shown in the music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sic textbooks of the current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Orff's music teaching methods. The following showed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lass of instrumental music concert applying Orff's music teaching methods emphasizing improvisation. First, using speaking and bodily expressions as musical activities enabled the students to easily learn the concepts that could be elusive such as "rhythm";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came to learn various expression methods. Second, the musical emotions of the students could become richer through musical activities of singing or instrumental performance developed from speaking and bodily expressions. In addition, they could develop their social nature as well as their ability to perform instruments and a sense of cooperation in musical activities held in groups. Third,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chosen musical pieces by applying Ostinato and Bordun in groups, the members could exchange musical ideas, enhance their musical imagination and understand the musical concept of Ostinato and Bordun. The students could feel a sense of musical accomplishments and obtain creativity in this activity centered learning process. Orff's music teaching methods had positive effects on music teaching that could develop creativ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urther development in lesson plans will be made.

      • 통합적 유아음악 교수법에 관한 문헌분석

        이경애 신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14

        This is a study on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an integrative approach and its purpose is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th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search as its method and,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themes have been established: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which are introduced for subject matters found in daily lives? 2. How are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actually implement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analysis of the activity amount of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for subject matters found in daily live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ubjects of 'animal' and 'season' while the fewest studies were made on the subject of a 'special day.' Second, with respect to the integration types of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subject matters found in daily lives, the 'integration within the music field' was most frequently found and the 'integration within the art field' was least frequently found. Based on this, the types of integration were re-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singing a song' was most frequent in the integration within the music field, 'motion' was most frequent in the integration within the art field, and 'science' was most frequent in the integration within the scholastic curriculum area. Third,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actual implementation methods of integrative music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It would be desirable to see that a variety of music activities are conducted in an integrative manner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o that education for the whole man can take place. In addition, far-reaching studies on integrative music education will also be necessary.

      • 오르프 음악교수법이 유아의 정서적 역량과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갈효욱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14

        중국에서 실시하는 대부분의 유아 음악프로그램은 단순한 율동과 모방에 그치는 주입식 위주의 교육 형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오르프 음악 프로그램을 중국 유아들에게 적합한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중국 유아들을 위한 음악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 유아들을 대상으로 오르프 음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바탕으로 오르프 음악교수법이 유아의 정서적 역량과 창의성,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유아 음악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강소성 난창지역의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일반 음악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으로 구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르프 프로그램의 정서적 역량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역량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정서적 역량 전체 모두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오르프 프로그램의 창의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독특성, 다양한 관심, 독립성-인내, 상상-유의성, 창의성 전체 모두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나 창의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오르프 프로그램의 사회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간 상호작용, 사회성 전체 모두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나 사회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정서적 역량, 창의성, 사회성 향상에 목적을 두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총8회로 구성하였으며, 말리듬 놀이와 노래부르기, 신체표현, 악기연주로 구성하여 실제 중국 어린이집 음악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Carl Orff의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3학년 수업지도 방안

        김기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99

        미래사회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다. 정보화, 다양화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모습의 교육이 필요하고 여기서 능동성이란 다름 아닌 창의성, 유연성, 도덕적 품성과 더불어 예술적 심미안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전문인들에 의해서 가르쳐지는 기능연마와 개념중심의 지식전달교육은 비판받아 왔다. 이런 변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에서도 지식, 이해위주의 교육에서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위한 창의성 신장, 활동중심의 음악교육을 표방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음악하기'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음악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도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음악적 심성을 계발하여 보다 풍요롭고 의미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런 노력을 기울인 음악교육자들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칼 오르프(Carl Orff)는 음악교육의 목적을 음악적 개념이나 지식에 앞서 동작이나 놀이, 대화를 통해서 음악의 본질을 체험하는데 두었으며 결과적으로 어린이들의 즉흥적인 표현력과 창의성 계발에 크게 공헌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은 말과 음악 그리고 신체표현을 하나의 통합된 일체로써 체험할 수 있는 포괄적 음악교육방법으로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3학년 수업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오르프는 음악학습의 기초를 언어를 통한 자연스러운 리듬의 표현과 그에 근거한 기악적 접근에 두었다. 특히 탐색과 경험을 강조하는 그의 학습방법은 음악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탐색을 통하여 익히고 점차적으로 이러한 경험을 확대하여 기초적인 요소에 대한 분명한 체험을 하고 점차 복잡하고 어려운 요소를 탐색하고 경험하게 하도록 하였다. 가장 초보적인 단계라 할 수 있는 음악적인 경험으로서의 말하기는 오르프 접근 방법의 중요한 특징이다. 오르프에 따르면 말의 형태로부터 흐름결의 형태로, 그리고 노래로 점차 발전되는 것이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가장 자연스러운 음악체험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말하기로 시작하여 손뼉치기, 무릎치기 등으로 그 말의 흐름결을 표현하고 다음에 악기로 그 흐름결을 연주하도록 하는 등의 연속적인 체험과정이 강조된다.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말하기부터 단계별로 적용하게 된 까닭은 오르프의 철학적 배경에서도 언급했듯이 어린이의 음악적 능력은 마치 인간이 발달하는 과정처럼 원시적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발전한다는 데에서 착안하여 오르프의 여러 가지 학습매체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그 동안의 연구가 오르프 교수법 중 즉흥표현, 언어리듬 등 주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데 비하여 본 논문에서는 화성이전에 멜로디가 멜로디 이전에 리듬이 존재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오르프 교수법을 1단계에서 9단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하나의 연속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오르프의 어린이들에 대한 교육철학과 음악교수법을 단계적으로 현장에 적용시켜 학교교육에서 효과적인 음악학습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수업지도방안은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시켜 어린이들이 포괄적이고 창의적인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실제 현장교육을 기반으로 오르프의 교육철학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실정에 맞게 적용시켜 더욱 음악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자료를 개발해서 음악의 영역을 풍부하게 넓히고 가꾸는 일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오르프 음악은 틀에 짜맞추어진 것이 아니며, 정해진 교수법이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의 교수법은 넓은 의미로 하나의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뛰어난 음악교육자들이 정립한 우수한 이론과 활동내용이라 하더라도 현장에서 교사들이 계속해서 응용하고 나름대로 수용해나가지 않으면 별 효과가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각 단계별 학습활동 및 학습내용은 학습활동에 이루어지는 속에서 활동의 영역과 내용이 더욱 심화되고 확대되어야 하며, 그것이 가능하도록 교사의 적절한 역할이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도 음악적인 감수성과 창의력을 키워나가기 위해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초등음악교육)학위 논문임 The future society is different with now and it demands the at the different human being which is new. If we to the information society are adapted well and the education which is new is necessary. The new education is spontaneous and creation education. Also, it means a pliability, a moral characteristic and an art characteristic. Until now it is a specialty, Only knowledge it was important and the education which it thinks was criticized. Along with this change, our country is intending musical education of center of activit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so that each single person may live richer life. There is ultimate purpose that musical education gives beauty in our spirit. And, children will have to do so that live more rich and compatibile life developing musical ability. There are many music educators who do this effort. Carl Orff makes music that think child and contributed greatly in initiative development among them. This study is musical education method that integrate speech and music, and body expression by one. It is study to teach third-year student in primary school. Orff thought that base of music study was on expression of natural rhythm through language. Specially, did to emphasized search and experience, and goes to complex and difficult factor gradually in basic factor. Among his teaching method, the most elementary step is to speak. Develop at rhythm and by a song gradually through speaking. It thought as natural process that children do music experience. Reason that apply to speak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stage agrees with that speak in philosophical background of Carl Orff. With result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applied the music instruction method of Carl Orff and it presented it did an effective study method from school education. In this study, planned so that children may study effectively applying this research to school education. Orff's music is not construed on frame, and there is not decided teaching method. His teaching method can say that it is that offer one idea. Even if it is superior theory of excellent music educators is useless if teacher does not use. This study may have to be expanded more at school and is deepened, and it should be guided properly by teachers. Also, teacher will have to continue study and effort so that it may be possibl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코다이, 오르프, 달크로즈의 음악이론과 교수법의 비교분석

        이일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99

        (Abstract) This paper studies and finds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the musical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Zoltan Kodaly, Carl Orff and Emile Jaques-Dalcroze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radition and systematic music education that affects human emotion and finds the way to apply to our daily lives. Kodaly, Orff and Dalcroze told us about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and textbooks. They used their own traditional music. They emphasized listening to the sounds and repetitive learning. They are common in the point that they used the voices and bodies in education. But they showed their specific education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living condition,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ideas. Kodaly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reading music through level education. Orff emphasized spontaneous sense, creativity and rhythm that can express one's feeling in maximum. Dalcroze emphasized the body rhythm that uses the senses of our body. Especially the education of Dalcroze showed the way and attitude that music educators should have. The education theories of these three scholars are important data for forming good characteristics and all-round education. As shown in the above, Kodaly, Orff and Dalcroze gave influences on not only their own countries but also other countries. Until now many countries use their education methods. They not only use the methods but also try to improve the methods. However in Korea, which doesn't value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heir theories are at no use. Even though they have to invest in music education from early ages, they don't pay much attention to music thinking that music is not important to pass exams for higher level education. It is the error of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It is heritage of the old generations that doesn'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We all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usic. Especially the older generation rather than young student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and expand the scope of music education step by step. Then the next generation could enjoy more humanistic and better lives than us. (초록) 본 연구는 코다이, 오르프, 달크로즈의 음악이론과 교수법을 고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민속성과 체계적인 음악교육이 인간정서에 미치는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우리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코다이, 오르프, 달크로즈는 조기교육과 교재의 중요성을 말하였고 그들 자신의 민속음악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청음과 반복학습을 강조하였으며 목소리와 신체를 교육에 이용하였다는 면에서 공통적인 부분을 찾을 수 있다. 반면, 나라에 따른 생활환경과 민족성, 그리고 그들의 생각의 차이로 각자 자신들만의 개성 있는 지도법이 나온 것을 차이점으로 볼 수 있는데 코다이는 단계적인 지도를 통한 독보력 신장을, 오르프는 개인의 표현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즉흥성과 창조성, 그리고 리듬흉내를 강조하였고 달크로즈는 온몸의 감각을 활용하는 신체리듬을 중요시 하였다. 특히 달크로즈의 교수법은 음악 교육가들이 가져야 할 자세와 태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들 세 명의 교육이론은 인격형성과 전인교육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코다이, 오르프, 달크로즈는 그 당시 자신들의 나라뿐 아니라 여러나라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지금까지도 수많은 나라에서 그들의 교육방법을 쓰고 있으며 이용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나은 방법을 연구하며 찾고 있다. 그러나 음악교육을 중요하게 생각지 않는 우리나라에서의 이들의 이론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릴 때부터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할 음악수업이 입시에 중요하지 않다는 이유로 등한시 되고 있다. 이것은 교육제도의 잘못이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구세대의 유산이다. 음악의 중요성을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며 특히 학생보다는 어른들이 먼저 인식하고 음악교육의 범위를 조금씩 확대시켜 나간다면 좀 더 나은 ,좀 더 인간다운 우리들의 삶, 우리 후손들의 삶이 될 것이다.

      • 「Carl Orff 음악교수법에 근거한 초등교육의 지도방안연구」 : 리듬학습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강수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83

        현재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창조적 경험과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해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사료를 함양하도록 창의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의 창의성 실태는 학교여건에 의해 다양한 악기의 구비가 어렵고 음악학습이 가창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창의적인 표현능력의 신장이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즉흥적인 표현 능력과 창조적인 음악 활동을 강조하여 간단한 리듬악기를 위주로 하는 칼 오르프의 교수법을 학교현장에 적용한다면 좀 더 지금보다 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르프의 교수법에 기초한 초등교육 리듬개념 지도방안을 통해 음악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리듬개념 지도방안이 초등학교수업에 적용된다면 다양한 음악적 표현력이 향상되고 음악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여 창조적인 음악성을 계발할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오르프 교수법을 중심으로 한 기악수업의 활용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리듬학습은 자연스런 경험에 의해 체득하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즉흥적인 놀이를 하며, 자기표현을 하는 가운데 창작의 기초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둘째, 노래 부르기와 게임 등을 통한 움직임(팔 올리기 내리기, 손뼉치기, 무릎치기)등 여러 가지 신체를 통한 리듬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학습 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 셋째, 박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서 악절(Phrase)의 구성이 리듬 학습에서는 중요하다. 음악의 흐름을 구성하는 악절을 느끼고 쉼표의 표현으로 음악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다. 넷째, 음악 리듬의 지도는 음악을 듣고 체험하고, 반응하는 활동에서부터 시작한다. 음악을 아름답게 받아들이고 느껴지는 것은 자기도 노래하고, 연주하고 싶은, 순수하게 몸에 베어있는 리듬을 발견해서 복잡한 리듬형태도 쉽게 인식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는 칼 오르프의 교수법에 근거한 스스로가 ‘음악리듬’을 체험하고, 표현하고 창작하는 기능을 지닐 수 있게 하는 리듬 학습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Music education in Korea now mainly focus on creativity by student's innovative experiences and variety of music activities to increase creativities. However,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is not helpful to enable to express those creativities because of the lack of musical instruments and studying of music has been progressing on singing on the grounds. For that reason, Carl Orff's teaching method will teach students to express much more creativities and efficient music studying through using simple rhythm instruments. Because His method emphasizes that improvised expressing abilities and creative mus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make efficient class for the students with elementary rhythm education idea based on Orff's method. Like this research mentioned above, it will help students to develop varieties of experiences and creativities musical skills if they use this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system. There are few examples that have beneficial outcome from one of Orff's method is called 'Instrumental Music Class'. First of all, It is the best effective when students learn by their own experience. They can learn how to express themselves from improvised playing in fun environment. Second, It is also effective when students sing and play games such as body movement - raising their arms & putting down their arms, clapping hands, tapping lap. Third, It is not only important of rhythm but also phrase on this study. They can flow with phrases which music is made of, and express naturally what music is telling by using a pause. For the forth, Teaching students a rhythm make them to be able to listen to music, experience and react from it. To accept and feel those beautiful music, to help them to sing and perform- they should figure out their natural abilities in their spirit and learn complicated form of rhythm for themselves. This research laid emphasis on teaching students to be able to experience 'musical rhythm' , express themselves and increase their creative skills by using Carl Orff's method.

      • 칼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감상 학습 지도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최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83

        (국문초록) 칼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감상 학습 지도안 연구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최 지 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지도교수 김준홍) 이 논문은 중학교 음악 감상 교육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들에게 칼 오르프의 교육론과 음악교육 체계를 수업지도안에 제시하여 보다 구체적인 오르프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칼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 연구’에서 칼 오르프의 교수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내어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제재곡에 맞게 변형시키고 효과적인 음악 감상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음악적 언어를 배우도록 돕는 것은 음악 교사의 책임이다. 학습 방식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교사는 여러 가지 체험을 계속 제공하여 음악적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훈련은 리듬, 선율, 화성, 음색, 형식, 빠르기와 셈여림 등 음악 요소가 신체의 움직임과 함께 포함되어야 하며, 음악적 이론과 더불어 창의성을 자극시키는 요소 또한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오르프 수업은 신뢰감과 탐구력이 중심 매개체가 되어 신체로 음악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게 이끌어주는 교사와,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이 주고받으며 그 안에서 새로운 음악과 신체표현을 나타낸다. 가르치는 교사가 혼자 말하고 보여주거나 혹은 주입식의 교육이 아닌 말보다 표현으로 보여주는 학습이기에 무엇보다도 ‘Communication'과 ’Dialog'가 중요하다. 오르프 수업에 있어서 학생은 관찰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가자라는 점을 명심해야 하며, 수업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학생은 참가해야 한다. 오르프 접근법을 활용할 때, 교사는 이 수업이 개인 교습이 아니라 그룹을 위한 수업이며, ‘모든 아동이 함께 모든 내용을 배운다’는 점을 또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오르프 슐베르크 테크닉을 좀 더 이해하고, 다양한 학습매체들을 통하여 오르프 접근법의 즐거움을 체험하기 바라며, 음악 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들을 통하여 우리 아이들이 수업이 즐거워서 평생 기억할 수 있는 소중한 음악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음악교육의 실제 현장에서 이 연구가 바람직한 방향 제시와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되길 바란다. A Study on the Appreciation Teaching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Carl Orff's Teaching Method -Focusing on the 1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CHOI, Ji- Hy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un Hong Kim)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present a detailed direction for Orff's learning by showing Carl Orff's education theories and systems in the teaching plan to students and teachers who are related with middle school musical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study on the appreciation teaching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Carl Orff's teaching metho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ccurately understood and studied Carl Orff's teaching method and presented a teaching plan based on it. Its objective i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usical appreciation lesson by changing it suitable to each subject music. Helping to learn musical language is the music teacher's responsibility. Since the learning methods can vary, teachers should work for musical growth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continuously. Such training should include not only musical elements like rhythm, melody, harmony, timbre, form, tempo and dynamic with physical movements, but also musical theories and the elements that can stimulate creativeness. Because Orff's lesson is about expressing music with body when the trust and the spirit of inquiry become the central medium, teachers help to express creative and individual ideas and the students give and take while showing new music and physical expressions in it. As it is a learning through expressions rather than grinding or teacher's solo talking, 'communication' and 'dialog'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students are not observers, but active participants in the Orff's lesson so that students should participate immediately as soon as the lesson starts. When using the Orff's approach method, teachers should be aware that this lesson is not for individual teaching, but for groups and that 'every kid learn every content all together'. Through this thesis, Orff Schulwerk Techniques can be understood better while experiencing the pleasure of Orff's approach method through various learning media. It would be great if our kids can really enjoy and have unforgettable music lessons with music teacher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howing the advisable dir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in the real field of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