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격 수업에 대한 경기도 중학교 음악 교사들의 인식 조사

        최정운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현직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원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원격 수업의 문제점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원격 수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 중학교 음악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셀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의 본질을 원격 수업을 통해 구현해낼 수 있도록 음악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시켜야 한다. 심화된 과정의 연수를 제공하고 음악 교사 간의 배움 공동체를 활성화시켜 음악 교사로서의 재교육이 심도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교육시스템을 개선하고 양질의 원격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환경적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학교와 가정에서의 원격 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은 열악한 상태로, 학생들의 면학 분위기를 조성하고 음악 교사의 수업 제작 환경 구축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과 원격 수업의 평가 방안을 다양화 및 구체화하고 운영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 공정성과 투명성을 이유로 원격 수업의 평가가 지양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평가 방안과 명확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넷째, 음악 교사의 업무 경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은 원격 수업에서 소극적인 수업 태도와 낮은 음악적 성취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음악 교사가 학생들과 소통하며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음악과 원격 수업 연구에 정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업무 경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music and remote classes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remote class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remote classes among current music teachers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music teachers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o are operating remote classes,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cel based on the transcrib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of music teachers need to improve for the essence of music class to be realized through remote classes. Policy support is needed to provide training in intense processes and activate learning communities among music teachers so that re-education as music teachers can take place in depth. Second, the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needs to expand to improve the education system and provide high-quality remote classes based on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The environment of remote classes at school and homes are in poor condition, thus an effort to foster a studying atmosphere for students and establish a class production environment for music teachers is needed. Third, the evaluation method for music and remote classes needs to diversify and actualized, and an operational guideline needs to be presented. The evaluation of remote classes is being rejected for reasons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thus diverse evaluation methods and clear evaluation standards need to be prepared and disseminated. Fourth, the work of music teachers needs to reduce continuously. Students showed passive class attitudes and low musical achievements in remote classes. Therefore, work reduction needs to continue for music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and provid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and devote their time to researching music and remote classes.

      • 뮤지컬을 활용한 음악수업 모형연구 :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조용혜 숙명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래 사회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이며 풍부한 감수성을 지닌 인간상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인간상의 육성을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7차 교육 과정의 개정을 통해 음악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창의적으로 신축성 있게 두 가지 활동 또는 그 이상의 활동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육 방향에 부합되는 교육 활동의 한 방법으로 뮤지컬 활동을 연구하였다.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주 대상으로 주당 1시간의 수업을 중심으로 하여 수업 모형을 6과정으로 구안하였다. 뮤지컬 활동은 음악적 요소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종합적인 음악 활동이지만 학생들이 작곡한 순수 창작 음악만으로 음악적 내용을 구성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부분적으로 창작 음악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존의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교육을 현장에서 적용할 때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이나 구체적 지도 방법에 대한 방안을 중심으로 하여,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뮤지컬 활동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의 6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고, 그 내용을 7차시의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 수업의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뮤지컬 계획서, 중간 과정 평가서, 최종 발표 평가서, 동료 평가 및 자기 평가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수행 평가를 계획하였다. 뮤지컬 수업을 마친 후 뮤지컬 활동에 대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뮤지컬 활동을 통한 음악 수업은 음악의 여러 영역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으며, 합창/합주 등으로 제한되었던 음악 소집단 학습의 새로운 형태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수업 형태로 볼 수 있다. 뮤지컬 활동은 소그룹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개인주의적인 심성과 행동양식에 변화를 주고 협동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또한 뮤지컬이 지닌 다양하고 자유로운 표현 방식을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이 학교 음악 수업과 자신의 음악 세계와의 거리를 좁히고, 학생들 개개인의 음악적 호기심을 자극하여 음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증대시킴으로써 음악의 생활화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뮤지컬 활동은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수업 형태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자발적인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숨은 재능과 능력을 발휘하고,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을 통해 창조성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A man of creative, progressive and sensitive mind is required for our future society. For nourishing such a human image, our educational system puts emphasis on musical activity through the 7th revision of curriculum.In the 7th revision, no less than two activities are recommended to be managed in unified system with creativity and flexibility. This thesis is a study on Musical Drama activity as an educational activity which respond to the revised curriculum. This thesis is targeted for the 1st grade highschool girls based on one class a week in the six courses. Although this activity is a synthetical musical activity dealing with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original musical works made by students are not enough to make up all the musical contents. So as an alternatives, current various genre musics are used as well as creative music.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 realistic and concrete teaching model for encouraging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activity positively and the actual way of teaching when musical drama activity is performed in a class. At first, six courses of musical drama activity program is introduced step by step and the concrete teaching plan is presented for 7th class.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udents accomplishment of learning, plan for accomplishment evaluation consist of musical draft, intermediate and final evaluation, other team evaluation and self evaluation. Students response and educational effect are reviewed through analysis of musical drama activity after the activity is finished. The musical teaching through musical drama activity is very meaningful because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fields of music and it can be a new model for a small group learn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singing in chorus and playing in concert. Musical drama activity has an educational effect to change egocentric attitude of students and having them realize the importance of mutual cooperation in the society. In addition, it also contributes to making narrow the distance between school music class and students interest in music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and free expession of musical. Students become more curious and interested in music than before through the musical activity. Therefore, Musical drama activity in highschool will contribute enhancing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of students through creative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based on students voluntary activity and particip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ne-sided teaching.

      •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조인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해주며 음악교육을 통하여 심미적 경험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선택으로 피아노 교육이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음악수업에서도 직,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기 피아노 교육이 중학교 음악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중학교 음악수업의 만족도와 아동기 피아노 교육 실태 및 인식,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음악수업의 만족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감상영역에 많은 흥미를 느끼고 있었지만 평소에 접해 보지 못한데다 음악 기초지식을 요하는 창작학습은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 시수가 주당 1회에 그치고 있어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둘째, 아동기 피아노 교육 실태 조사에서, 87%의 많은 학생들이 아동기에 피아노 교육을 받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오랜 기간 피아노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아노를 배우게 된 동기는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시작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체로 체르니 30번 과정을 전후로 해서 마쳐졌다. 이렇듯 많은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피아노는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아동기 피아노 교육과 중학교 음악수업의 연관성 조사에서, 기악 영역과 이론 영역에서는 도움을 받았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그저 그렇다는 결과가 높게 나와 피아노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고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피아노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피아노 교육의 시작 시기로 7세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교육 기간은 5년 이상 배워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배운 기간이 길수록 중학교 음악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결과에 따라 피아노 교육은 장기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피아노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 모두 기회가 되면 피아노를 다시 배우고 싶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아동기에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피아노 교육이 음악수업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음악수업과 연계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수법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음악수업에서 교사는 피아노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들을 배려한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을 보완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의 연구와 제언

        김신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우리는, 다양한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체계적, 통합적, 창의적이며, 우리교육의 현실에 맞는 실용적인 음악교육을 실시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다. 음악교육 전문가들이 학교 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발전의 양상과 현대적 교수·학습법을 파악하고 개발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며, 교사들은 그러한 교육적 경향에 대한 전망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맞게 지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통합적 교수·학습법’, ‘생성적 교수·학습법’,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법’,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여 중등 음악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실제 적용시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과 교수·학습법의 기본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본 연구에 제시할 교수·학습법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전통적인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지도안을 분석함으로써, 그러한 교수·학습법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하였다. 셋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교수·학습법에 대해 알아보고, 수업 지도안을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한 수업 지도안에 따른 현실 수업에서의 장점과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앞서 제시한 기준에 적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각각의 교수법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교수·학습법은 수업 적용시에 패턴의 학습을 기초로 이해와 활동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지만, 교사에게 전문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고, 참고용 지도서와 다양한 매체 및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생성적 교수·학습법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스스로 음악적 개념을 인지하고, 수업과정 중에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다. 한계적 요소는 잘 준비된 수업 계획안과 다양한 자료를 요구한다. 셋째,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법은 수업의 전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과정, 기법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다각적인 방향에서 주제에 접근하며 음악적 창의성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한계적 요소로는 개개인의 지능을 파악하기 곤란하고, 평가의 공정성이 제기될 수 있다. 넷째,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증가시키고,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하지만, 학습자에게 교과 외적인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고, 교사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언 한다. 교과서의 제재곡에 의한 수업으로는 학생들이 창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학교와 학생의 특성에 따라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학생의 수준은 높아만 가고 있는데 반해, 우리 음악교육의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국가 교육관련 기관과 음악 전문가 집단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무엇보다도 교사의 연구와 노력,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고 다양한 사고를 하고 있지만, 교사의 연구와 노력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교사는 지식의 전달체이자, 정보의 선구자임을 인식하고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든 노력과 연구가 결집될 때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정상화 되고,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이 될 것이다. We, living in 21st century, are in the period of carrying out practical music education which is systematic, integrative, creative, and appropriate to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based on various theories. It is important for music education experts to grasp and develop the aspect of development going on in our school education and moder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with a prospect about such an educational tendency. In this study, I'll examine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Generative Theory of Musical Learning’,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risen by this tendency, and ,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find out methods applicable to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potential problems a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m, and plans to get over them. The cour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 investigated the point and the basic polic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7th music curriculum, and presented that as the standard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 'll indicate in this study. Second, by observing a traditional subject matter songs-based music lesson and analyzing the teaching plan of it, I studied the developments and problems of it. Third, I searched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teaching plan of it, based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 books. Forth, I analyzed the merits and problems in real lessons based on the teaching plan studied previously by applying the standard presented in advance versatilely. Fifth, I compared and analyzed eac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ynthetically.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lass,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enables teachers to guide students in their understanding and activity unitively through pattern learning, but makes teachers to do professional study ,and lacks guide books for reference and a variety of media and materials. Second, ‘Generative Theory of Musical Learning' permits students to perceive musical conceptions by themselves, and have an experience of feeling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The limit of this is to require well-prepared teaching plan and diverse materials. Third, ‘Teaching for Understanding'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conceptions, courses, and techniques presented in lessons and to improve musical creation and thinking power, approaching theme with diversified way. The problems are the difficulty for seeing each students' intelligence and the fairness of evaluation. Forth, ‘Problem Based Learning’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about their learning, and enables them foster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on. But, it requires much extra time and efforts of students and may lead to results that teachers didn't intend. I'll suggest schemes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this study. Lessons by subject matter songs-based music learning with textbooks are not enough to enable students to study creatively and self-initiatively. Therefore, in order to take lessons on characteristic of schools and students, textbooks and various guide book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Our music education is in the very poor environment, while students' level the society requests is rising. The cooperation and support of the nation's education institutions and music experts groups is required. Finally, above all things, teachers' study and effort and recognitional change are needed. There is a case that students get much information through various kinds of media and have diverse thoughts, but teachers' study and effort doesn't come up with that. Teachers should manage changes swiftly, knowing that they are media of knowledge and pioneers of information. Our music education isn't normalized and isn't world-wide one until these all the efforts and studies are congregated.

      • 에듀테인먼트 개념을 적용한 리듬 학습 중심의 감상수업 지도 방안 :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하여

        정희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음악 수업에서 학습자 스스로 음악에 흥미를 가지고 음악을 즐기며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감상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에듀테인먼트를 적용한 리듬 학습 중심의 감상 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함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듀테인먼트와 켈러의 학습동기 이론, 에듀테인먼트의 콘텐츠로 선정된 리듬액션 게임, 리듬 교육과 감상 지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리듬액션 게임 중 감상수업에서 활용하기 적합한 게임을 선정하기 위해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앱 스토어에 출시되어있는 22종의 리듬액션 게임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리듬액션 게임은 <Pianista>이며 선정된 게임의 구성과 수록곡을 분석하였다. 이후 교과서와 연계하여 현장 적용에 더욱 용이하도록 지도 악곡을 선정하였다. 지도 악곡의 선정을 위해 먼저 2015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고찰하여 리듬의 학습이 제시된 감상 악곡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악곡과 <Pianista>의 수록곡을 비교하여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3개의 지도 악곡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도 악곡은 모차르트<작은 별 변주곡>, 슈베르트<마왕>, 쇼팽<피아노 연습곡, Op.25-11>이다. 지도 악곡의 수업 지도안에 체계성을 더하기 위해 학습동기 이론을(ARCS) 적용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감상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감상 수업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악곡에서의 음악 요소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을 리듬액션 게임을 통해 쉽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리듬액션 게임을 통한 공감각적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악곡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음악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고 즐기며 생활화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21세기 교육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감상 수업의 교수방법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체계적인 음악교육 플랫폼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 스마트디바이스를 활용한 음악 수업 연구

        정유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공지능기술이 삶의 전반에 깊게 자리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육에서도 그에 맞는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학교에 학생 1인당 한 대의 스마트 단말기를 보급하고자 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음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시대의 흐름에 맞는 음악을 경험하고, 음악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가상 악기를 사용하여 새로운 음색을 접하도록 했으며, 개별 활동과 모둠 활동을 병행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수업이 음악 교과의 필요성, 수업의 집중도, 음악 개념에 관한 이해에 대한 영역에서는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그 외 음악의 생활화, 수업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쪽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또한 수업에 관한 흥미도와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에 관해서는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비슷한 점수를 주었다. 서술형 문항에 따르면 학생 개개인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능력에 따라 음악 수업에서의 필요성, 흥미도 등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함께 노래하고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과정에 더욱 즐거움을 느끼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능력을 추가로 익혀야 하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악 교과가 활동이 중심이 되는 과목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스마트 디바이스의 과도한 활용으로 음악의 본질이 훼손되는 것을 경계하여야 하며 영역을 고려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의미 있게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의 개선방안 연구

        성시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21세기 사회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에 대한 활용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얼마나 그 지식을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더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기존의 학교교육으로는 넘치는 정보의 양과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즉, 평면적인 학습 자료에 의존해야만 했던 것과는 다르게 다양하고 입체적이며 현장감 있는 학습도구를 통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수단으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교사들이 ICT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ICT 활용 음악교육의 모형을 제시,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음악교과의 교수-학습 질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첫째, ICT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다. 둘째, ICT와 교육, ICT와 음악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해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넷째, 이러한 기초연구를 근거로 ICT 활용 교육매체 중 인터넷, PowerPoint, 음악소프트웨어(Finale)를 사용하여 실제 음악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정보검색을 통한 오페라 감상수업 오페라 감상을 주제로 모둠별 학습을 통해 정보검색을 행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목표에 도달하도록 음악전반적인 내용(감상, 이해 등)으로 구성하였다. PowerPoint를 활용한 팝음악 감상수업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팝음악의 특징과 뮤직비디오를 감상함으로서 흥미를 유발하는 데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음악 소프트웨어 Fianle를 활용한 창작수업 음악 소프트웨어인 Finale를 사용하여 두 도막 형식의 선율 작곡과 활용(연주, 감상 등)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ICT 활용 교육은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여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자발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가능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음악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연구가 교사들에게 음악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보다 질 높은 음악교육이 될 수 있도록 이끄는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ique in the 21st century society demands an ability to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from students. The importance in education shifts from the amount of knowledge learned in school to an ability to use that knowledge depending upon situations with appropriateness. This rapid social change goes beyond the capacity of existing school system, which falls short of overflowing information and students' desire. In other words, the necessity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mes to the fore which is able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using various, three-dimensional, and on-the-spot learning instruments, unlike the old method of using plain learning instru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usage of ICT, the presentation of a model of music class to use ICT enabl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actual lesson,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music class inducing them to take part in it actively.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s. Firstly, I inquired into documents about ICT. Secondl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and education, and ICT and musical education. Thirdly, I groped for the direction this study should go for, supplementing the weakness through proceeding works. Fourthly, I presented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real music lesson using Internet, Powerpoint, and musical software Finale among ICT education media based on these basic researches. Listening class of an opera using Internet search engine It is comprised of listening and understanding of music, helping students to achieve the goal for themselves through group studying in the topic of the listening of an opera. Listening class of pop music using PowerPoint It focuses on the induction of interest through listening to pop music and music video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Class for creating music using music software Finale It is comprised of the composition of melody with two measures and its use(play and listening) using music software Finale. Education using the above ICT method can be a possibility to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class, which can also improve teaching-learning mechanism. Therefore, teachers should educationally use this so a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usic class. For the benefit of teachers, I want this study to be a guide leading to high-quality musical education rather than a presentation of right way for musical education.

      • 포괄적 접근을 통한 음악수업 모형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정길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포괄적 음악교육은 1960년대 미국에서 음악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되어진 프로젝트로서 학생들의 포괄적 음악성을 계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 음악성을 계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양한 활동과 영역의 통합적 지도, 다양한 악곡을 활용하여 실제 학습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 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포괄적 음악교육의 배경과 목적을 알아보고 제 7차 중학교 음악과 교육 과정의 분석를 통하여 필수 학습개념과 활동을 알아보았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들이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교사용 지도서를 통하여 음악 수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교과서에서 각 영역의 통합을 꾀하고 있고 하나 이상의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출판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교사용지도서에서도 영역의 통합과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시되어진 학습내용과 활동의 연계성이 구체적이지 않으며 학생 중심의 수업, 실음 중심의 수업이라기보다는 여전히 교사 중심의 이론 중심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의하여 수업의 변수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수업 지도안은 제재곡을 중심으로 4차시에 걸쳐 각 차시마다 특정 영역이 아닌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활동과 다양한 악곡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창의 경우 가사를 이용한 오스티나토, 리듬악기를 이용한 오스티나토, 신체리듬을 이용한 오스티나토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부르게 하는 활동을 통하여 그 안에서 음악적 요소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기악의 경우는 제재곡을 가지고 여러 형태로 편곡하여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창작의 경우 학생 스스로가 습득되어진 음악 경험들을 통하여 재창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감상에서는 감상곡을 통하여 제재곡에서 경험한 음악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수업모형을 작성하였다. 포괄적인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음악적 감각을 느낄 수 있는 활동과 다양한 음악들을 소개시켜 줌으로써 폭넓은 음악 체험을 도울 수 있어야 하겠다.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s originally a project designed to solve problems in music education of America in the 1960s, aiming to develop students' musicality in general. With a purpose to develop comprehensive music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1st year,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crete guiding plan that will be available in the practice by using a combined guidance of activities and fields and different musical pieces. For the study, the background and intent of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we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essentials of studying concept and activities were found by analyzing the 7th NEC for middle school music.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at the 7th NEC for music has been reflected in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what kind of music lessons has been practiced based on teachers' guid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esent textbooks are intended to include every field, giving more than an activity and that teachers' guides show a combination of fields and encourage students to have various activities,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by publishers. But, it seems that there is less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substance and studying activities, and theory-based lesson has been given by teachers, rather than students-driven and practical sound-centered lesson. So, it is likely that music classes depend on teachers' qualifications and ability. A teaching plan for music proposed in the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combined opportunity to sing, perform, listen, and create a designated piece in 4 lessons, each activity given in a lesson. Also, various musical activities and many pieces were arranged for lessons. For singing, students could experience and understand musical elements in various singing activities, such as ostinato by words, by rhythmic instruments, and by physical rhythm. For performance, students could have chances to give different performance of a designated piece, because the piece was supposed to be arranged for different instruments. For creating activity, students had to re-create the piece with their own musical experience. Meanwhile, it was developed a lesson model for listening, which allows students to discover and express the musical elements understood in the designated piece. To accomplish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not only with activities to make them feel musical sense, but also with a chance to access to various music, for their broad experience in music.

      • Jacobs의 통합설계모형에 의한 음악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홍훈희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Jacobs의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통합교육, Jacobs의 통합설계모형, 학습동기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음악통합수업의 흐름을 도출한 후 이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시켜 보았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의 한 반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절차는 프로그램 적용 전에 먼저 음악 학습동기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통합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음악 학습동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켈러(Keller, 1993)가 개발하고 송상호(2001)가 번안한 학습동기 조사(IMMS)를 가지고 오정임(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음악과 수업과 관련지어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실험반과 비교반과의 차이를 보는 일방검증과 실험반 내의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검사지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일지와 학생들의 학습지, 자기평가지, 활동일지, 학습소감문 등의 학생 포트폴리오 자료의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Jacobs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 통합학습은 음악 학습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Jacobs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 통합학습은 음악 학습동기의 하위영역 중 주의집중, 관련성, 만족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지만, 자신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없다. 셋째, Jacobs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 통합학습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음악 학습동기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지만, 여학생에게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난 부분이 거의 없다. 넷째, Jacobs 통합설계모형에 기초한 음악 통합학습은 음악 학습동기 상ㆍ하 집단에 따라서 두 집단 다 부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지만, 하위집단이 부분적으로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교사의 경험과 학생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통한 질적 분석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 본인들의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 수업에서는 주의 집중도가 좋아지고 실생활에서 음악의 영향, 음악의 가치를 쉽게 깨닫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 학습동기 하위영역 중 자신감이 높아진 학생은 드물다. 학생들의 자신감 영역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수업에 앞서 더욱 체계적이고 치열한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음악 시간에 수업 중 느껴지는 학습동기가 높았으며, 여학생들 중 일부는 익숙하지 않고 관심 주제가 아닌 수업에는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였다.

      • 청소년이 학교 음악수업을 통해 느끼는 심미적 체험 연구 : 고등학생 설문을 중심으로

        임승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음을 소재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예술이란 인간만이 갖는 미적 창조의 행위로서, 인간이 좀더 인간다워지고 고상한 품격을 갖출 수 있게 한다. 음악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종류의 악곡과 음악 활동을 심미적으로 체험하게 하며, 그러한 체험을 통하여 음악적 감수성 및 이해력과 음악행위 기능, 창의적인 음악 표현력, 음악적 통찰력을 향상시키고, 음악적 정서와 음악 애호심,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 활동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 음악수업에 관한 느낌과 생각을 알아봄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에 와 학교 음악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7차 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구체적인 청소년의 신체발달, 문화, 심리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였다. 청소년의 음악 및 학생들이 학교 음악수업에서 느끼고 바라는 것을 중점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생 600명이며 전 학년으로 한다. 대상 지역으로는 서울특별시에 근접한 수도권의 위성도시로써 경기도의 성남시, 안양시, 고양시이고, 남녀 성별을 구분하여 각각 300명씩으로 하였다. 설문 내용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음악적 환경에 대한 조사로 음악 선호도는 78.6%로 음악을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저 그렇다’는 16.1%, ‘싫어한다’는 5.1%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르로는 ‘대중가요’(73.3%), ‘클래식’(12.8%), ‘종교음악’(4.8%), ‘팝송’(7.1%), ‘국악’(1.8%),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선호하고 있는 대중가요는 음악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는 ‘대중매체’(51.3%)의 결과로 보여진다. 셋째, 수업시간에 가장 배우고 싶은 장르로는 ‘대중음악’(33.3%), ‘팝송’(27%), ‘클래식’(18.8%), ‘종교음악’(13%), ‘국악’(7.8%)로 조사되었다. 반면 학생들이 학교 음악수업시간에 가장하고 싶은 활동 및 그에 따른 장르는 ‘감상활동’(33.1%)으로 조사되었고 장르는 ‘클래식’(54.4%)으로 나타났다. 다른 활동에 있어서도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가창활동(24%)에는 합창, 중창, 독창 중 ‘합창’(33.3%)을 가장 선호하고 장르는 ‘대중가요’(39.5%) 이다. ‘기악활동’(26.1%)에 있어서도 ‘중주 또는 밴드’(46.5%)의 형태를 선호하고 장르로는 ‘클래식’(35%) 배우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조사로 53.4%가 학교 음악수업을 만족한다고 대답했고 ‘불만족’은 30%, ‘매우 불만족’은 16.5%로 나타났다. 학교의 음악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학교 음악 수업이 청소년들에게 ‘정서적으로 도움이 된다.’에 33.1%가 가장 많이 대답해 주었고, ‘교양을 쌓을 수 있다.’는 24.3%, ‘인격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12.8%에 불과 했다. 다섯째, 학교음악 수업이 자신의 인격 형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지에 대한 설문의 결과로는 ‘영향을 준다’는 47.6%,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23%, ‘모르겠다는 29.3%로 나타났다. 심미적 경험은 주체적이고 주관적인 현상이다. 인간은 예술을 심미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인간적인 행동 가능과 경험을 전 폭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길잡이로의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하며, 청소년들이 음악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심미적 체험과 거시적 안목으로 음악을 경험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Music is art that uses a sound as its material. Art, as an artistic creative behavior that only human beings have, makes them a little bit more human and lets them have noble dignity. Music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have a chance to experience various kinds of musical pieces and musical activities aesthetically, and through such experiences we can enhance students' musical sensibility, a comprehensive ability, a musical behavior ability, a creative musical expressive ability, a musical insight, a musical emotion and an affection for music,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examining students' degree of an interest in a school music class and an aesthetic experience that adolescents an get through a music class. By studying adolescents' thoughts about music,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find out a way to combine the thoughts with the school music education. Furthermore, for enhancing the effect of school music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an educational path which should be trod through understanding a comprehensive realm and a functional realm, the specific culture and mental state of adolescents, and the hope that students have in school music class.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all grades of 600 high school students. The target regions of this questionnaire are Sungnam, Anyang, Koyang city in Kyunggi Province. The 600 stud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ende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First, for the question of a degree of interest for music, 40.5% of the students love music so much, 38.1% of the students liked music, 17.1% of the students like music more or less and 5.1% of the students hate music. Second, for the question of students' favorite genre, the proportion for music preference was 1.8% for Korean classical music, 73.3% for popular songs, 4.8% for sacred songs and 7.1% for pop songs. In this question, mass media (51.3%) seems to be the major reason for the preference of popular songs. Third, the students' most desired activity in a school music class is appreciation (33.1%) and the most desired genre is a classical music (54.4%). Students showed various interests for the different kinds of activities and among the activities students preferred a chorus(24%) for their singing activities. For the activity of musical instruments, 46.5% of the students preferred classical music (35%) in the form of a duet (46.5%). Fourth, for the question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music class, 12.1% of the students are extremely satisfied, 41.3% of the students are satisfied, 30% of the students are unsatisfied and 16.1% are extremely unsatisfied. The consequence of this question shows that a majority number of students was contented with their school music class. And for the question of the influence of the school music class toward the students, 33.1% of the students said a music class helps them emotionally, and only 12.8% of the students answered a music class helps molding their personality. Fifth, for the question of how a school music class can make an influence on students, 17.3% of the students said that a school music class influences a lot, 20.3% said a school music class influences a bit, 23% answered a school music influences little and 29.3% said they have no idea. The result of this question reveals the problem of a school music class which aims at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reveals that a school music class has failed to mak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molding of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erefore, the need for a school music education that meets the 'here and now' situation and various cultures is ar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