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공간으로서의 도시철도역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 도시철도역사를 중심으로

        손창훈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은 침체된 도시의 활성화 전략공간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며, 문화·예술을 통한 문화공간은 그 지역에 연결된 문화 특성을 반영하거나, 역의 이미지를 부각시킴과 동시에 지역문화의 연장선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의 문화공간 및 문화예술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철도역사 내 문화공간의 조성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많은 공연과 전시, 캠페인 등이 이뤄지고 있으나 획일화된 전시작품과 공연, 홍보부족, 쾌적성과 흥미의 저하 등으로 인해 이용객의 수요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이뤄지는 문화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객 특성과 역의 유형에 따라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분석결과 등을 종합하여 대구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용객의 선호도와 수요를 반영하여 공연의 공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이용객 특성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공연이 필요하다 셋째, 각각의 도시철도 공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역의 특성과 공간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전시 작품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철도역사 내에서 이뤄지는 문화활동들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한다. 다섯째, 공연과 전시 등 문화활동의 질과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엄격한 오디션과 검증절차를 거쳐 공연 및 전시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공간으로의 활용방안을 고려함과 동시에 지자체 및 행정기관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지역의 문화·예술계와 도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역사 내 유휴공간을 변모해 나아가 대구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이 이용객 친화적인 공간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구 도시철도역사를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실태파악과 함께 문화공간으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만족도 및 선호도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이용객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활동하는 공연, 전시자 등의 추가 조사를 통한 비교연구와 함께 좀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도시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의 유형구분과 이용객 특성에 따른 도시철도역의 유형 구분 등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utilization of urban subway station for the cultural space is under spotlight as a new strategy. The cultural space describes cultural entities which associated with the regional and local cultures and arts.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cultural space because it relates with their quality of life. Further, while numerou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campaigns being held inside of the urban subway stations, the user’s demands and requirements are getting larger in order to increase public relations, and unified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users of subway cultural space how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pace, performance and future policy implications. Therofore, this study provide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upply of the performances must be incorporated with users' demand. Second, more diverse performances must be provided for receivers. Third, there should be better plans for each subway stations with understand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Fourth, more active public relations with the cultural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Fifth, the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must be selected through rigorous auditions.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utilizing plans of subway station as such cultural space, the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must provide diverse politic supports. Urban residents and regional artistic and cultural communities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cutural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 insights of utilization plan of urban subway stations for cultural spaces with case of Daegu Urban Subway St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shortfalls. The study does not conduct a survey which reflect ideas and opnions of exhibitioners and performers in the stations. Furthermore, it will be needed for additional follow-up study of the classification of unused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subway station and the categorization of subway sta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users.

      • 지방 중소도시 대규모 유휴공간의 적정 관리를 위한 식재설계 모델 연구 : 목포시 고하도 공공형 생활정원을 사례로

        윤호준 중부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such as job losses and the outflow of youth in small-l and medium-sized provincial cities, are causing serious social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The resulting population decline has led to a lack of tax revenue for local governments, making it difficult to create and maintain large-scale spaces. This has caused an oversupply of physical infrastructure relative to population decline, which has resulted in mass production of idle space in an underutilized or abandoned state. The idle space problem is occurring in a similar form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cross the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create plans to effectively overcome this problem. As a strategic plan to achieve this goal, in this study, a rightsizing of proper space supply and utilization and relocation of spatial functions are present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pluralistic functions of idle space and public value, it was judged that creating and operating a park or garden would be efficient, and a planting design plan is suggested for this purpose. Permanent space creation using flowers, plants, and trees and the use of temporary event space have a positive effect that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the green welfare of local community members. In this study, this was defined as landscape-level utilization of idle space, which can be an appropriate solution to meet current needs such as low-carbon green growth, carbon neutrality and the strengthening of ecosystem services. Creating parks and gardens in abandoned idle spaces attracts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and constructing unnecessary public facilities is an efficient space utilization metho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 Moreover, proper arrangement and utilization of flowers and plants can increase the relative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input budget. To this end, in this study, a planting design model was derived to prove such a possibility, and the suitabilit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plan to the idle space in Gohado, Mokpo. In order to implement a universally applicable model, this study first judged the plan’s achievement and status to derive adequacy from existing cases and drew out the appropriate management expenses according to the financial condit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planting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plant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opography, climate, and soil, and management requirements according to spatial functions were identified. First, the planting design model for appropriate management was divided into sunny, half-shaded, and shaded area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dry, normal, and wet conditions of each area were examined. In addition, based on management requirements, layered planting, grassland planting, mixed planting, and block planting model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high, medium, and low management typ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pplied to Living Garden in Gohado, Mokpo,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ppropriate functions. The main traffic area accessible for management vehicles from the entry point was set as the centralized management area of use-oriented space, and the areas with low management accessibility were set as the low-management planting center spac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ability and landscape of the target site, a site framework was formed for each area for planting design /and divided into four theme areas: Forest Area, the background of other areas; Garden Area, use-oriented with not only a landscape function but also pluralistic values such as ecology, academics, and aesthetics; Meadow Area, centered on perennials that can grow in a dry natural environment of Gohado; and Coastal Area, which secures a view to the sea and includes plants that can grow naturally in a marine environment. The four planting types and management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se theme areas were applied to implement 12 models. To explain the implementation of these models, specific points were selected and visualized in two- or three-dimensional images to suggest environmental conditions, planting design type, planting tree species, and quantity in detai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 by approaching idle space distributed nationwide from a landscape perspective and suggests a planting design plan that is easy to maintain from a mid- to long-term point of view rather than indiscriminately arranging flowers and plants. 최근 지방 중소도시에서 대두된 일자리 감소, 젊은층 인구 유출 등 사회적 상황 변화는 지역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인구감소 현상은 지방자치 단체 세수 부족으로 이어져 대규모 공간의 조성 및 유지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줄어드는 인구 대비 물리적 인프라의 공급과잉을 유발하여 이용도가 떨어지거나, 버려진 상태의 유휴공간을 양산하게 된 것이다. 유휴공간 문제는 전국 지방 중소도시에서 유사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적절한 공간의 공급 및 활용을 적정규모화, 공간기능 재배치 등을 제시했다. 특히 유휴공간의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를 기반으로 공원이나 정원 등을 조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위한 식재설계 방안을 제시했다. 식물을 활용한 영구적 공간 조성 및 일시적 이벤트 공간 활용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녹색 복지증진에 이바지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유휴공간에 대한 조경적 차원의 활용이라고 정의했다. 저탄소 녹색성장, 탄소중립,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시대적 요구에 맞는 적정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버려진 유휴공간에 공원과 정원을 만드는 것은 대규모 개발사업 유치, 불필요한 공공시설 건립 등에 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방식이다. 특히 식물의 적절한 배치와 활용은 예산 투입 대비 상대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식재설계 모델을 도출했고, 목포시 고하도 유휴공간 부지에 적용하여 적절성을 분석했다.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 구현을 위하여 먼저 기존 사례를 통해 적정성 도출을 위한 성과 및 상황을 판단하고자 했고, 지방 중소도시 지자체 재정 여건에 따라 적정 관리비를 도출했다. 지형, 기후, 토양 등에 적합한 식물 특성 고려하여 식재의 환경조건을 분석했고 공간기능에 따른 관리요구도를 파악했다. 먼저 적정 관리를 위한 식재설계 모델은 환경적 조건에 따라서 양지, 반음지, 음지로 구분하여 건조, 보통, 습지 상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리요구도에 따라 고관리형, 중관리형, 저관리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층위식재, 초지식재, 혼합식재, 블록식재 모델을 도출했다. 이렇게 도출한 연구내용을 목포시 고하도 생활정원에 적용하여 적정기능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진입공간부터 관리차량이 접근 가능한 주동선 구역을 이용중심공간의 집중 관리구역으로 설정하였으며, 관리를 위한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저관리형 식재중심 공간으로 적정기능을 설정했다. 또한 대상지의 이용성과 경관성을 고려하여 식재설계를 위한 대상지 영역별로 대상지의 골격을 형성하며 타 영역의 배경이 되는 숲(Forest)영역, 경관성뿐만 아니라 생태성, 학술성, 심미성 등 다원적 가치가 담긴 이용중심의 정원(Garden)영역, 고하도의 건조한 자연환경에서 생육 가능한 다년초 중심의 초지(Meadow)영역, 바다로의 조망을 확보하고 염해환경에 자생 가능한 해안(Coastal)영역을 구분했다. 이들 테마구역에 앞서 도출한 4개의 식재유형과 관리요구도를 적용하여 12개의 모델을 구현했다. 이러한 모델 구현의 모습을 설명하고자 특정지점을 2·3차원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환경조건, 식재설계 유형, 식재수종 및 수량 등을 상세하게 제안하며 다른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이해도를 높이고자 했다. 전국적으로 분포한 유휴공간의 일부를 조경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해 주었고, 특히 무분별하게 식물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식재설계 방안을 제안한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遊休空間'의 역사·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화 방안 : 신안 증도 폐염전 및 소금창고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박선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에 있는 소금박물관은 1953년에 소금창고로 세워졌다가 1980년대부터 자재창고로 전락한 버려진 공간이었다. 그런데 2007년도에 소금박물관으로 탈바꿈한 데 힘입어 같은 해 11월 근대문화유산 361호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연 관람객 5만 명을 유치했고,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는 인기박물관이다. 이처럼 한갓 자재창고에 불과했던 곳이 인기 있는 주제박물관으로 변신한 데에는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유휴공간의 활용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화력발전소였던 영국의 데이트모던미술관, 기차역이었던 프랑스의 오르세미술관, 방적공장이었던 가나자와의 시민예술촌이 그 대표적인 공간이다. 이러한 유휴공간은 시대적 흐름과 산업의 변화로 그 기능을 상실하거나 용도변경이 필요한 공간을 말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유휴공간의 활용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행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창작벨트 조성사업>은 국내의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관심을 잘 보여주는 정책 중 하나이다. 그리고 현재 경기도 포천시 폐채석장, 충남 아산시 舊 장항선구간, 대구 舊 KT&G공장, 군산 내항 근대유산, 전남 신안군 태평염전 등 총 5개 시군에서 시험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서울시를 비롯한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도심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유휴공간의 활용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듯 보이지만 다소 활용에 급급하여 그저 노후한 시가지를 정비하고, 낙후된 생활환경을 재정비하는 차원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또는 영국과 중국의 사례 등 외국사례와 프로젝트를 토대로 개편하여 공간의 역사성 및 장소성을 표현하지 못하여 차별화된 활용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휴공간의 활용현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단순녹지의 양산이다. 둘째, 예술창작시설의 편중이다. 셋째,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넷째, 복원의 지양이다. 다섯째, 지역주민참여의 부재이다. 여섯째, 행정의 참여이다.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공간의 탄생’이 아닌 ‘기억을 가진 공간의 재탄생’이다. 그러므로 건축물을 비롯하여 공간을 채우는 콘텐츠에 있어서도 그 역사·문화적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활용 방안은 그저 낡음의 미학만을 살린 새로운 공간의 재창출이 주를 이루었다고 판단된다. 옛 건물의 단순 활용과 감상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공간의 가치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적정한 기능을 담고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면서도, 그 가치를 표현할 수 있는 역사·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를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유휴공간의 활용 시작 단계에서부터 역사·문화성을 바탕으로 기획된다면 이는 공간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하나의 거점이 되고, 지역의 다른 장소들과 어울려 풍부한 자원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예술창작벨트 시범지역인 전남신안 사례의 사업계획과 발전방안을 살펴보겠다. 이로써 가깝게는 현재 진행중에 있는 사업안에 대한 고찰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멀게는 유휴공간의 역사&#8228;문화성을 활용한 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신안증도염전 및 소금창고를 활용한 예술창작벨트>는 염전의 역사&#8228;문화성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를 중점에 두고 기획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래의 기획에 의미가 흔들리지 않는다면 어떤 시범지역보다 유휴공간의 가치를 잘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저 낡음의 미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사로 문화적 자산으로 기록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도시재생활성화구역 내 유휴공간 활용선호도 분석연구 :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및 시민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이동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Entering the 2010, the society has faced a couple of new tasks including the lack of available lots for development in cities, efficient utilization of limited urban spaces, and deterioration of old downtowns. In 2014, urban regeneration plans began,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old downtowns. They have raised huge interest in the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as a plan to react to the horizontal expansion of cities in terms of managing and utilizing urban spaces. Resources are, however, limited for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to create an efficient space. As citizens benefit from more and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 policy-making process, there is a need to figure out perceptions needed to create a space for the community and real life as well as efficient urban spaces in the viewpoint of citizens. Se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new approaches and plans for the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by examin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tilization flow of vacant spaces within current urban regeneration plans and citizens' preference for the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trend of unit project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within current urban regeneration plans. Second, what types of utilization do citizens prefer for vacant spaces? In an effort to fulfill the research goal, the investigator reviewed unit projects within urban regeneration plans and employed the topic modeling method to examine the current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within the current plans. In addition, data gathering and text mining followed to survey citizen awareness based on data found in the Interne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tudy reviewed planning elements of utilization plans, established data, and analyzing the tendencies of utilizing vacant spaces for urban regeneration, finding that general type projects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at 27 sites in Seoul utilized vacant spaces to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mmunity space. Central urban district type projects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showed such keywords, topics, and flows as the utilization of empty rooms in the market, attraction of tourists, establishment of public spaces and parking lots, and supports for start-ups. Economy-based projects showed such keywords, topics, and flows as local vitalization, competitive edge, industrial resettlement/cultivation, and attraction of corpora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citizen awarenes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identified 13,550 pieces of text data, of which top 100 keywords concerned the current types and utilization of vacant spaces. The data was examined for relations, and keyword, centrality, and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itizens' awareness and preferenc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keywords related to vacant spaces mainly covered the types of vacant spaces and activities using them such as construction and lots for the transfer of public agencies. Citizens had negative perceptions of vacant spaces such as garbage, negligence, and abandoned railroad areas along with the current state of vacant spaces. CONCOR analysis results identified eight major clusters, which 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utiliz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aspects along with the current state of vacant spa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utilization directions of vacant spaces and citizens' preference within current urban regeneration plans. By conducting a survey on citizens' preference before reflecting their opinions in various projects including urban regeneration plans, the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to grant additional chances for citizens' participation in a policy-making process. The study has its share of limitations including difficulties with surveying various classes for their preference in the Big Data text mining technique. The study had no means to check urban regeneration plans were implemented or no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element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tendencies of vacant spaces. In the future, ongoing researches are expected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2010년대에 들어서며 도시 내 개발 가용지의 부족, 한정된 도시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원도심 낙후 등의 문제 해결이 사회 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2014년 도시재생사업을 시작으로 원도심의 재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도시공간 관리 및 활용 측면에서 도시의 수평적 확장에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 ‘유휴공간’의 활용 또한 큰 관심을 얻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공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의 재원이 한정되어 있으며, 시민의 정책 입안 참여기회가 증대됨에 따라 시민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도시공간, 지역과 실생활에 필요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 따라 현재 수립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내 유휴공간의 활용 흐름과 시민이 인식하는 유휴공간 활용의 선호도를 조사 및 비교분석 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과 활용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크게 2가지의 연구의 질문을 설정하였다.첫째, 현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단위사업의경향은 어떠한가?둘째, 시민이 선호하는 유휴공간의 활용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현재까지 수립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내 유휴공간의 활용현황 파악을 위해 계획 내 단위사업의 검토와 토픽모델링 방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터넷 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민인식 조사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화계획 내 계획요소를 검토, 데이터를 구축하여 도시재생 유형별 활용 경향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내 27개소의 사업 중 근린재생 일반형사업은 주거환경과 커뮤니티 공간 조성 등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사업은 시장 내 공실 활용, 관광객 유치, 공공공간 및 주차장 조성, 창업지원 등의 키워드와 주제와 활용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경제기반형 사업은 지역 활성화, 경쟁력, 산업 재정착/육성, 기업유치 등의 키워드와 주제와 흐름을 보였다. 이에 반해 유휴공간의 활용에 대한 시민의 인식분석 결과 도출된 13,550개의 텍스트 데이터 중 상위 100개의 키워드는 주로 현재 유휴공간의 유형과 활용에 대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데이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시민의 인식과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분석, 중심성 분석 및 CONCOR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유휴공간과 관련된 키워드는 주로 유휴공간의 유형과 이를 활용한 건축행위, 공공기관의 이전부지 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쓰레기, 방치, 폐선부지 등 유휴공간의 현황과 부정적 인식이 도출되었다. CONCOR 분석에서는 크게 여덟 개의 클러스터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각 유휴공간의 현황, 주거환경에 대한 집단과 공공/민간 측면의 활용에 대한 집단을 주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도시재생활성화사업 내 유휴공간의 활용방향과 시민의 선호도 간 일정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도시재생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업 내 시민의 의견 반영 전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정책 수립과정 중 시민참여 기회를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시민의 선호도 조사를 위한 과정에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계층의 선호도가 조사되기 어려웠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또한, 유휴공간의 활용 경향을 위한 파악에서 계획 내 요소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계획의 이행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휴산업시설의 미술창작공간 활용방안 연구

        안선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후기 산업사회에 들어서서 구산업 침체와 도심기반시설 변화 등으로 인하여 생겨난 도시의 유휴산업시설들은 단순히 부지를 활용하는 아파트 건립이나 상업시설 건립, 또는 녹지화에 그치고 있다. 이는 장소성과 역사적 기억을 무시한 채 자본주의적 경제개발 논리에 입각한 공간 활용방식이고, 이 문제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문화예술을 활용한 공간 활용방식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많은 관심을 받아 추진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미술창작공간으로 활용하였을 때 문화예술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술가와 창작자들이 작품을 창조하고 생성하는 환경 조성을 기본으로 유통하고 소통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과 나아가 거주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의 새로운 문화공간을 모색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미술창작공간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화예술로 접근하였을 때에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효과를 살펴보아 국내의 공간에 적용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런 배경 하에 국내 도심의 활용 가능한 유휴산업시설의 현황조사와 해외 선진국의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미술창작공간의 활용에 관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우리의 유휴산업시설이 나아가야 할 미술창작공간으로의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Entering post industrial society, many industrial facilities became idle due to slowdown of existing industries and changes in infrastructure in downtowns. As simple ways to utilize thes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partment buildings and commercial buildings were founded or the authorities afforested the areas. However, these ways are just led by capitalistic logic only for economic development, ignoring sense of place and historical memory that the areas have. In addition, this problem has been revealed definitely as time has went by. As ways to use the facil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purpose start to come to fore in the world more and more people in Korea also become interested in and promote the ways.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great potential to be cultural and artistic places for revitalizing culture and art when they are used for creating artworks.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have places for creating artworks as a road to find a new cultural places in our communities. These places provide artists and creators with basic environment for creating and producing their works and the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distributing each other's works should be established. Stepping further, artists and creator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society by interacting with other residents in these places. This paper also suggests directions for applying to domestic cases by examining diverse results come from regarding those places as ones for cultural and artistic perspectives.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presents current situation about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domestic downtowns, compares overseas examples utilizing those facilities as places for creating artworks and contemplates on the road that our facilities should move toward.

      • 도시공간의 유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남대문시장 유휴공간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백나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난 30여년간 서울은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산업이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변화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구성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특히 경제가 신장됨에 따라 자동차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서울로 몰려드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거공간 또한 급격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도로의 선설이나 확장 그리고 주거공간의 확충은 그 발전에 못 미치는 도시공간 구성 즉, 국가적으로는 계획성 없는 환경정책과 지역적으로는 무질서한 개발사업 그리고 일반 시민들의 무절제한 공간 사용으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다양한 이용자들의 편익을 고루 충족시키지 못했다. 도시공간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하고 최상의 해결책을 마련하는 ’디자인’적인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도시공간에 대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이지 못한 개발로 인해 서울에는 차량의 소통에도 쓰이지 않고, 사람의 보행이냐 여러 활동에도 쓰이지 않는 많은 공간이 남아있으며, 본 연구는 이 남아있는 공간을 ’유휴공간’이라 칭한다. 도시공간의 유휴공간은 모든 지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도시 속에 자리잡고 있는 공간이나 활용되지 않거나, 적합하게 쓰이지 않는 공간 모두를 유휴공간이라 할 수 있다. 도로의 교통섬, 고가도로의 하부, 건물과 건물사이 자투리공간, 강변 둔치와 유수지 등을 유휴공간의 대표적 예로 들 수 있으며, 유휴공간은 대부분 도시환경에서 불법행동을 유발시키는 공간으로 환경악화의 원인이 된다. 반면에 유휴공간을 시민을 위한 개방된 공간으로 재활용한다면 그 용도가 다양한 유익한 공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가진 이중적 성격을 띄고 있다. 서울은 유휴공간을 많이 가지고 있다. 많은 공간이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비록 하나 하나의 공간은 작을지 모르나 모두 합친 면적은 상당히 넓을 것이다. 이런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녹지를 확충하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개선할 경우, 그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시공간을 지혜롭게 개선하면, 1) 보다 많은 녹지공간 조성 2)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보행공간 조성 3) 보다 유용한 활용으로 다양한 기능 부여 4) 시민의 여가활동공간 제공을 통한 사회적 교류 증대 5)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 조성 등 보다 유용하고 기능적이며 아름다운, 쾌적하고 즐거운 인간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유휴공간에 관한 정확한 인식이나 연구 및 개발은 미비한 점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로 좀 더 적극적인 유휴공간 활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rapid progress for last 30 years in Seoul. The constitution of the city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on account of the many diversities which extend over the society at large, including the areas of industry, economy, and culture. Above all, the demand for cars has greatly increased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residential spaces have remarkably expanded to accept the large number of people who are storming to Seoul. However, the construction and extension of various roads and the expansion of residential spaces have caused the inefficient constitution of Seoul in such ways as; reckless environmental policies nationally, disordered development ventures locally, and the intemperate use of space individually, which have not fairly satisfied the convenience for many residents living in the city. There have not been enough actions to grope for concerning any alternative plans that might meet the needs of proper city space and to solve various zoning problems through 'design approach'. There are still plenty of spaces remaining which are not being used for cars, people, or other activities in Seoul because of these unsystematic and unplanned developments within the space of the city, and those spaces will be referred to as 'unused and misused space' in this study. Those unused and misused spaces indicate both spaces located in a city and ones not used or used improperly, and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every area. Those spaces are mostly the sources of environmental debasement in a city, inducing illegal acts, and such examples are traffic islands, lower parts of elevated roads, remaining places between buildings, along the edges of a river, and areas with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se places have du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beneficial attributes to the city which could have various usages by being able to reuse them openly for citizens. There are plenty of unused and misused spaces in Seoul; many spaces are being wasted. Although each space is limited, the size of the city hen put all together can be considerably large. It would be remarkably effective to expand the city's greens and to build places for citizens by using those spaces. The advantages that can be gained through the reuse of these spaces are as follows; 1) To produce more greens 2) To make more convenient and safer pedestrian sites 3) To add various capacities through more useful practical uses 4) To increase social exchanges through producing leisure places for citizens 5) To make fresh and beautiful images of a city Besides, useful, functional, beautiful, fresh, and enjoyable places for humanity can be produced. However. Seoul has yet to have any type of precise recognition or studies done on the matter, as well as any developments made on those unused and misused spaces. Continuous study and developments should be experimented with in order to rebuild those spaces actively, hereafter.

      •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조덕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들어 문화가 세계도시들의 도시발전 전략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유럽연합이 90년대 들어 문화수도 제도를 추진했고 이 문화수도로 선정된 도시들은 관광도시로 거듭나면서 도시활성화에 성공했다. 심지어 범죄와 주택난 등의 도시문제로 들끓었던 영국의 글래스고우도 문화수도 전략으로 세계적 문화도시로 다시 태어났다. 또 2차 대전 이후 많은 도시 들에서 전쟁으로 방치되거나 혹은 산업의 변화로 버려진 공간들에 문화가 투입되면서 도시가 새롭게 변모하기 시작했다. 범죄와 슬럼화로 골머리를 앓던 공간들에 예술이 투입되면서 활기를 되찾는 등 문화가 도시 활성화, 도시경쟁력의 중요 요소로 전면에 등장했다. 여기에 90년대 들어 대규모의 유휴공간들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이들이 도시의 랜드마크로 기능하면서 도시정체성과 도시 경쟁력을 획득하고, 경쟁력을 확보한 문화공간들은 관광객들을 불러들이면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해내는 등 버려졌던 공간들이 도시활성화의 거점으로 부상했다. 폐기된 화력발전소를 미술관으로 탈바꿈 시킨 런던의 테이트 모던과 과거 군수공장 지대가 예술촌으로 변신한 베이징의 따산스 798단지, 또 공업의 쇠락으로 폐허가된 도시에 세계적 미술관을 유치해 도시활성화를 이룩해낸 빌바오 등 많은 도시들이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통해 도시활성화를 이룩해 냈다. 이들 테이트 모던과 따산스 798, 빌바오 구겐하임 등이 이처럼 강력한 문화도시로, 세계적 관광명소로 거듭난데는 ‘시민사회와의 소통’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 ‘체계적 준비와 전략’ ‘풍부한 문화적 자산’ 등 추진과정에서 보여준 강력한 내적 경쟁력에 기반하고 있다. 이같은 외국의 사례들이 광주에 특별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문화를 도시전략으로 채택한 세계적 흐름과 함께 90년대 들어 광주에서 공공기관과 군부대 이전 등으로 유휴공간들이 대거 발생했기 때문이다. 광주에는 옛 전남도지사 공관과 국가정보원 광주지부 이전부지, 기무부대 이전부지, 국군통합병원 이전 부지 등이 유휴공간으로 남아있다. 또 일신·전남방직과 광주교도소 등도 끊임없이 이전논의가 전개되고 있어 거대규모의 유휴공간의 탄생을 예고해 둔 상태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광주지역의 유휴공간들은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인 광주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현장이거나 그 상흔이 고스란히 담긴 곳들이어서 향후 활용방법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과거의 역사의 상흔을 살려 문화적 공간으로 활용하는 일은 사회적 역사적 당면과제이기도 하다. 또 광주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이라는 대규모 국책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유휴공간을 문화공간화해 도시활성화를 이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지역을 선도할만한 내놓을만한 선도 기업도 없고 특별한 도시활성화 전략이 없는 광주로서는 이들 유휴공간을 도시활성화의 거점으로 만들어 나가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따라 외국의 성공적 사례에 견줘 이들 유휴공간을 베이징의 따산스와 같은 미술인 창작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빌바오 구겐하임 같은 세계적 미술관을 유치하는 방안 등을 통해 도시활성화 방안으로 삼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러나 광주지역 유휴공간들이 성공적으로 문화공간화되기 위해서는 외국 문화공간들이 지닌 성공요인들을 확충해나가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전국 최초의 창작스튜디오와 광주에서 최초로 유휴공간이 문화공간화됐다는 역사를 지니고도 경쟁력에서 밀린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와 같은 전철을 밟을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광주지역 유휴공간들을 문화공간화하기 위해서는 광주의 강점으로 논의된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보다 강화하고 나아가 광주만의 독창적인 ‘풍부한 문화적 자산’을 활용해야 한다. 나아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연계한 ‘체계적인 준비와 전략’으로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이끌어내는 전략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도시 유휴공간의 조경잠재력에 관한 연구 : 폐선철도부지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이의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난 30여년간 서울은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산업이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면화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구성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특히 경제가 신장됨에 따라 자동차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서울로 몰려드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이용공간 또한 급격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공간에 대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이지 못한 개발로 인해 서울에는 차량의 소통에도 쓰이지 않고, 사람의 보행이나 여러 활동에도 쓰이지 않으며, 도시의 성장과정에서 그 기능을 잃은 많은 공간이 남아있으며, 본 연구는 이 남아있는 공간을 '유휴공간'이라 칭한다. 도시공간의 유휴공간은 모든 지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도시 속에 자리잡고 있는 공간이나 활용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않은 폐부지 공간 모두를 유휴공간이라 할 수 있다. 도로의 교통섬, 고가도로의 하부, 건물과 건물사이 자투리 공간, 폐부지 공간 등을 유휴공간의 대표적 예로 들 수 있으며, 유휴공간은 대부분 도시환경에서 불법행동을 유발키는 공간으로 환경 악화의 원인이 된다. 반면에 유휴공간을 개방된 공간으로 재활용한다면 그 용도가 다양한 유익한 공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가진 이중적 성격을 띄고 있다. 서울은 유휴공간을 많이 가지고 있다. 많은 공간이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비록 하나하나의 공간은 작을지 모르나 모두 합친 면적은 상당히 넓을 것이다. 이런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녹지를 확충하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개선할 경우, 그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시공간을 지혜롭게 개선하면 1. 보다 많은 녹지공간 조성 2. 보다 유용한 활용으로 다양한 기능 부여 3. 여가활동 공간 제공을 통한 사회적 교류 중대 4. 특성화된 공간으로 지역사회 기여 5.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 조성 등 보다 유용하고 기능적이며 아름다운, 쾌적하고 즐거운 인간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유휴공간에 관한 정확한 인식이나 연구 몇 개발은 미지한 점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로 즘 더 적극적인 '유휴공간' 활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rapid progress for last 30 years In Seoul. The constitution of the city has experienced many change on account of the many diversities which extend over the society at large, including the areas of increased industry, economy, and culture. Above all, the demand for cars has greatly increased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useful spaces have remarkably expanded to accept the large number of people who are storming to Seoul. However, there are still plenty of spaces which are not being used for cars, people, or other activities in Seoul because of these unsystematic and unplanned developments within the space of the city, and those spaces will be referred to as 'unused and lost of function space' in this study. Those unused and lost of function space located in a city and one not used or lost ability, and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every area, Those spaces are mostly the sources of environmental debasement in a city, inducing illegal acts, unused rail corridors, and such examples are traffic island, lower parts of elevated roads, remaining places between building, along the edges of a river, and areas with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se places have du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beneficial attributes to the city which could have various by being able to reuse them openly for citizens. There are plenty of unused and lost of function space in Seoul; many spaces are being wasted. Although each space is limited, the size of the city when put all together can be considerably large. It would be remarkably effective to expand the city's greens and to build places for citizens by using those spaces. The advantages that can be gained through the reuse of these spaces are as follows; 1. To produce more greens 2. To add various capacities through more useful practical uses 3. To increase social exchanges though producing leisure places 4. To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as of space characterized 5. To make fresh and beautiful image of a city Besides, useful, functional, beautiful, fresh, and enjoyable places for humanity can be produced. However, Seoul has yet to have any type of precise recognition or studies done on the matter, as well as any developments made on those unused and misused spaces. Continuous study and development should be experimented with in order to rebuild those actively, hereafter.

      • 토포필리아 개념을 통해 본 제3의 장소 특성 연구 : 유휴공간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이석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소에 대한 진정하지 못한 태도는 본질적으로 장소감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편의주의적 태도에 지나지 않는다. 즉,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스테레오타입이며, 진실한 관심 없이도 채택될 수 있는 지적 미학적 유행이다.” 지리학자 에드워드 렐프는 ‘무장소성’을 언급하며 다양성에서 획일성으로, 경험적 질서에서 개념적 질서로 바뀌어 가는 현대 사회의 장소적 문제를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무장소성이란 상업, 문화적 영향으로 반복되고 상품화되어가는 현시대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한 장소적 결함으로, 사람들과 교감하고 가치가 생성되는 장소가 훼손되거나 사라지는 장소 상실의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장소적 매너리즘에 빠져 지쳐가는 사람들은 무감각에서 비롯된 규격화 시킨듯한 장소보다 그들이 이루는 사건과 행동들로 인해 재정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움직이고 있다. 사람들은 이제 개인의 가치와 신념에 따른 사유의 확장 등 능동적인 행위를 취할 수 있는 상호 주관적인 공간에 주목하고 심리적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는 현대의 사람들이 개개인의 다원화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가치 있는 정서적 교감이 가능한 행위와 현상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연계 작용임을 알 수 있다. 인본주의 지리학자인 이-푸 투안은 이러한 공간을 장소라 정의하며 더 나아가 장소와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정서적 유대를 일컬어 ‘토포필리아(Topophilia)’ 라 칭한다. 토포필리아는 장소를 배경으로 사람이 만들어내는 사랑 혹은 애착이라는 감정적 측면에서 시작하여 현대에는 교감이나 교류가 이루어지는 장소적 가치의 개념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개인의 의미와 가치가 중요시되는 현시대이지만 자신의 감정이 수반된 특별한 환경으로서의 장소를 타인과 함께 공유하며 크고 작은 영향력을 나눈다.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정서적인 유대는 공간을 지속 가능한 장소로써 발돋움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렇듯, 현대의 사람들은 집과 일터가 아닌 규정되지 않은 공유공간을 중심으로 타인이라는 외부의 객체와 공동체를 형성하곤 한다. 미국의 사회학자 레이 올든버그는 이러한 혼자 또는 다수가 압박과 권태에서 벗어나 안정을 도모하는 비공식적 공공장소로서 ‘제3의 장소’ 개념을 대두시킨다. 사람들이 모여 경험과 감정을 형성하는 오프라인 공간의 새로운 형태로 부상한 제3의 장소는 제약되지 않은 잠재성을 가진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표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장소 기억, 즉 장소감은 장소적 범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그 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사람들이 제3의 장소를 중심으로 정서적 유대인 장소애(topophilia)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토포필리아의 개념은 사람의 감정과 가치에 형태와 기억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제3의 장소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효과적인 매개체 기능을 할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인본주의적 사유를 중심으로 하는 이-푸 투안의 토포필리아 개념을 연구의 토대로 삼아 사람들이 장소에서 정서적인 유대 관계 형성과 정체된 의미의 환기를 발생케 하는 토포필리아적 가치의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규격화되고 상업화된 장소의 무차별적 수용으로 상실되어가는 사람과 장소의 형(形)이 본연의 모습으로 다시 지속 가능케 하는 ‘제3의 장소’ 특성을 도출하여 앞서 제시한 토포필리아적 요소와 연결할 것이다. 즉, 상징적인 장소 가치의 총체로써 현대 ‘제3의 장소’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토포필리아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제3의 장소 관련 각종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고, 범위와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이후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과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전체적인 전개를 제시한다. 2장에서는 실존 현상학적 배경 안에서 연구한 학자들의 장소론을 중심으로 공간과 장소의 개념과 그 차이에 대해 확고히 하며, 확장된 장소 개념을 다룬다. 이후, 장소에 대한 사람의 정서가 수반되는 토포필리아에 대해 고찰하며, 투안의『토포필리아』를 바탕으로 앞의 개념을 구체화할 것이다. 이를 이론적 토대로 하여 장소와 환경을 향한 사람들의 상징적 가치를 파악하며, 토포필리아적 사유가 드러나는 삶의 양식을 표현한 사례로 하여 사람들의 장소 가치를 생성케 하는 특성을 도출한다. 3장에서는 현대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에 영향을 받는 장소의 가치와 의미를 분석할 것이며, 이에 따라 대두되는 ‘제3의 장소’ 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다학제적 고찰을 바탕으로 ‘제3의 장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오늘날의 사례를 통해 ‘제3의 장소’가 지니는 현대적인 의미와 역할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제3의 장소’의 특성을 도출한 후, 도출한 특성들을 앞서 제시한 장소 가치를 생성하는 토포필리아적 요소와 연결하여 최종적인 장소 특성을 도출할 것이다. 4장에서는 최종적인 ‘제3의 장소’ 특성을 유휴공간 재생 사례에 접목하여 분석한다. 장소 상실의 산물이었던 유휴공간이 어떠한 과정으로 사람들에게 다시 의미적인 장소로 생성되는지 살펴보며, 분석된 결과를 통해 오늘날의 장소에 대한 기대와 ‘제3의 장소’가 이루는 상관관계에 대해 정리한다. 5장에서는 연구한 내용을 요약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서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유휴공간 재생사례는 장소 상실의 존재에서 재생을 통한 장소 생성에 이르러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사람들에게 다가가기에 토포필리아적 가치와 연계되어 있음을 전제하였다. 토포필리아가 함의한 장소적 가치로 ‘제3의 장소’를 바라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포필리아의 개념은 정서뿐만 아니라 장소적 가치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것으로 해석되며, 현대적 가치의 토포필리아는 개인 혹은 집단이 행하는 일종의 지배적이자 문화적인 평가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장소를 상징하는 이미지와 정서의 수준은 철저히 개인적이기도 하며 문화적인 조건과 결부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토포필리아적 장소 가치로써 ‘제3의 장소’를 논하기 위해 도출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장소 가치를 형성하는 토포필리아적 요소는 ‘은유적인 기억의 영속성’, ‘비현실을 관통하는 상징성’, ‘다의적 가치를 수용하는 혼성성’, ‘환상의 결여에서 오는 반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다학제적 고찰을 통해 분석한 ‘제3의 장소 형성 특성’은 ‘중립을 기반한 수평적 영역’,‘관계 지속의 매개체 : 대화’, ‘즉흥적인 접근에 대한 수용’, ‘이유 없는 환대의 세계’, ‘충동을 유발하는 위트 있는 분위기’, ‘정신적인 소유의 집’으로 나타났다. 앞의 특성들을 각각 연결하여 도출한 토포필리아적 장소 가치가 드러나는 ‘제3의 장소’ 특성은 ‘호혜로운 관계적 네트워크’, ‘일상과 비일상의 몽환적 균형감’, ‘낭만을 지속하는 와유의 세계’, ‘섬세한 환대의 문화 클러스터’로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토포필리아적 장소 가치가 드러나는 ‘제3의 장소’ 특성들은 현대 사람들의 다양한 방향의 연결을 유도하여 특별한 개인으로써 역량을 함양하고 일상의 삶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정서적 회복의 장소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가지 특성 중 어느 하나가 독보적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닌 서로 상호 연관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모든 특성들이 현대적 ‘제3의 장소’가 지닌 궁극적인 의미와 역할로 사람들과 교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과 장소 사이의 정서적 유대 개념인 토포필리아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오늘날 ‘현대적 장소’가 지닌 가치의 범주까지 확장,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3의 장소’를 기업이나 브랜드의 마케팅 기능을 수행하는 장소로써 논한 것이 아닌 장소성을 상실한 유휴공간들이 ‘제3의 장소’로 재생되어 다시금 사람들과 교감하고 장소 가치를 획득한다는 의미적 연구의 지표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유휴공간을 재생시켜 생성된 ‘제3의 장소’가 현대의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의미와 역할로 지속될 수 있는 토포필리아적 가치를 지녔으며, 사람과 장소가 각각 상실한 본연의 형(形)을 다시금 회복할 수 있는 공생의 네트워크로서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범위를 수도권, 사회·문화의 중심지로 한정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사례를 바라보지 못한 점,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재유휴화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적 문제를 다루지 않은 것에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현대를 향유하는 지금, 현대적 장소의 의미와 생성에 있어 꾸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토포필리아의 현대적 가치가 현대 생활세계의 사람과 장소를 연결지어 해석할 중요한 축의 일면으로 작용하길 바라며 또한, 이와 연계된 ‘제3의 장소’ 특성이 사람과 장소가 조화를 이루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논지에 이로운 영향으로써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A false attitude toward a place is essentially not a sense of place. It's just a socially accepted expedient attitude. In other words, it is an uncritically accepted stereo type, and it is an intellectual and aesthetic trend that can be adopted without genuine interest.” Geographer Edward Relph refers to 'placelessness' and looks at the place problem of modern society from diversity to uniformity, from empirical order to conceptual order with a critical eye. ‘Placelessness’ is a place defect caused by the current trend of repeated commercial and cultural influences, and refers to the loss of place where people interact and value is created is damaged or disappeared. People who are tired of place mannerism are moving to spaces that can be redefined by the events and actions they make, rather than places that seem to be standardized from insensitivity. People now pay attention to the mutually subjective space where they can take active actions, such as the expansion of thoughts according to individual values and beliefs, and are psychologically attracted.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 linkage action in which modern people move to the center of an environment where emotional communication is possible to relieve the diversified thirst of individuals. Yi-Fu Tuan, a humanist geographer, defines this space as a place, and further refers to the emotional bond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places and people, called ‘Topophilia’. Topophilia begins in the emotional aspect of people's creation against the backdrop of places, and its meaning is expanding to the concept of place value where exchanges take place in modern times. In this days, where individual meaning and value are important, they share a place as a special environment involving their emotions with others and share large and small influences. The emotional bond based on this is a force that enables space to become a sustainable place. In this way, modern people form a community with others around an unregulated shared space, not a house and workplace. American sociologist Ray Oldenberg emerges the concept of a "third place" as an informal public place where these alone or many seek stability from pressure and boredom. A third place, which has emerged as a new form of offline space where people gather to form experiences and emotions, is being represented by people with unrestricted potential. The sense of place resulting from this is increasing its value by suggesting a new direction in the meaning of the place, suggesting that people are forming Topophilia around a third plac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opophilia will serve as an effective medium for deriving third place characteristics in that it gives form and memory to human emotions and val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opophilia element that causes people to form emotional bonds in places by using the topophilia concept centered on humanistic thinking as the basis of the study. In addition, it will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 'third place' that makes people and forms of places lost due to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places sustainable in their original form and connect them with the topophilia elements presented above.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modern 'third place' as a total of symbolic place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opophilia and various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third place, and the flow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describes the scope and method. Afterwards, the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study is presented.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 of space and place and the difference, focusing on the theory of place of scholars who studied within the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background. After that, we will consider Topophilia, which involves human emotions about the place, and embody the previous concept based on Tuan's Topophilia. Based on this theory, we grasp the symbolic value of people toward the place and environment, and derive characteristics that create people's place value as an example of expressing a lifestyle that reveals topophilia's thoughts. Chapter 3 will analyze the value and meaning of places affected by the paradigm shift in modern society, and examine the concept of ‘third place’ that emerges accordingly. Based on various considerations, we will understand the "third place" and grasp the modern meaning and role of the "third place" through example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will be derived, and the final place characteristics will b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the topophilia elements that generate the place value presented above. Chapter 4 analyzes the final 'third place' characteristics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case of idle space regeneration. We examine how idle space is created again as a meaningful place for people, and summarize the correlation between expectations of modern places and 'third places' through the analyzed results. Chapter 5 summarizes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research contents,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esents the possibilities and expected effects of subsequent studies. It was premised that the regeneration cas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a symbolic meaning from the existence of place loss to place creation and is linked to topophilia values to reach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looking at the 'third place' through the implied place value of Topophilia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opophilia is interpreted as encompassing not only emotions but also areas of place value, and topophilia of modern value can be understood as a kind of dominant and cultural evaluation performed by individuals or group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mage and emotion symbolizing a place is thoroughly personal and shows a pattern associated with cultural conditions. Second, the characteristics derived to discuss the 'third place' as a topophilia-like place value are as follows. Topophilian elements that shape place value could be understood as 'persistence of metaphorical memory', 'symbolism that penetrates non-reality', 'mixedness that embraces multiple values', and 'reaction from lack of fantasy', The 'third place-forming characteristics'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were found to be 'horizontal domain based on neutrality', 'media for continuing relationships: dialogue', 'acceptance of spontaneous approaches', 'world of hospitality without reason', 'witful atmosphere that induces impulse', and 'home of mental ownership'.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which reveal the topophilia-like place value derived by connect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could be summarized into ‘a reciprocal relational network’, ‘a dreamy balance of daily life and extraordinary life’, ‘a world of romance’, and ‘a cultural cluster of delicate hospital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recovery as a place to cultivate competence as a special individual and continue daily life by inducing various connections of modern people. It can be seen that one of the four characteristics does not have an unrivaled advantage, but has an influence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that all characteristics communicate with people with the ultimate meaning and role of the modern ‘third place’. This study modernized Topophilia, a concept of emotional bonding between people and places, and expanded and presented the category of value of 'modern plac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third place' is not discussed as a place that performs the marketing function of a company or brand, but as a newly created place, it has prepared a semantic research index to interact with people again and acquire place value. Through this, the "third place" created by regenerating idle spaces has a topophilia value that can continue as a symbolic meaning and role for modern people, and it is believed that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symbiosis that can restore the lost form of people and plac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center of society and culture, and that it did not deal with cases in various situations, and place problems that may be reused over time. Therefore, now that we enjoy modern times, there is a need for steady follow-up research in the meaning and creation of modern places.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modern value of Topophilia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interpretation of people and places in the modern living world, and that the 'third place' characteristics will work as a beneficial influence on the thesis of social networks in which people and places are harmonized.

      •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영월 Y파크를 중심으로

        이상숙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영월 Y파크를 중심으로- 이 상 숙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전공 본 연구는 영월군의 Y파크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적 재생을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사회적 자본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유휴공간의 재생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월 Y파크를 1회 이상 방문 경험이 있는 영월군민을 대상으로 구조화한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적 재생요인의 세부요인은 문화조성시설, 문화이벤트, 지역커뮤니티로 설정하고 사회적 자본의 세부요인은 신뢰, 참여, 네트워크로 하였다. 문화적 재생요인과, 사회적 자본과 상호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종속변수인 주민만족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재생요인 중 문화이벤트나 지역커뮤니티보다 문화조성시설이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재생을 실현하는 장소와 공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장소의 혁신을 바탕으로 문화이벤트와 지역의 문화커뮤니티가 양성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유휴공간은 발생 원인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창조적 공간 창출의 구상 방안도 장소성과 부합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재생요인 중 문화이벤트는 참여와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제의 기획과 참여는 구성원간의 신뢰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지역커뮤니티는 신뢰와 네트워크에는 영향을 주고 있으나, 참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가와 지역 주민을 연계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되 단순한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이며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주민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유휴공간의 재생사업 추진 시 문화조성시설에 대한 문화재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창의적인 공간 창출에 집중하고 사회적 자본과 같은 무형의 자산도 고려한 종합적인 사업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ultural Regeneration on Social Capital and Residents’ Satisfaction of Unused Area: Y-Park Project in Yeongwol-gun Lee, Sang-Suk Department of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to disentangle whether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have meaningful effects on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ase of Y-park in Yeongwol-gun as a successful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of unused area.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Yeongwol Y Park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Yeongwol-gun residents who have visited it more than once. The detailed factors of cultural regeneration were set up as cultural creation facilities, cultural events, and local communities, while the detailed factors of social capital were established as trust, participation, and network. The impa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residents‘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factor and social ca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cultural cre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more positive impacts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rather than cultural events and local communiti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laces and spaces that realize cultural heritage.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for cultural events and local cultural communities based on innovation in places. Since the types of unused areas var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ir occurrence, the idea of creative space creation should also be consistent with placeability. Second, cultural events among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have been confirmed to affect participation and trust. It can be seen that the planning and participating the festival i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reliability among member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local communities are affecting trust and networks, but not participation. We need to operate experience programs and cultural programs but it is necessary to operate continuous and realistic program that can link artists with local residents so that they do not end up as a simple one-off event. This study found that cultural regeneration of unused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s' satisfaction. It is needed when promoting the regeneration business of unused area that comprehensive business approach that focuses on creative space and intangible assets such as social capit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regeneration on unused area regeneration projects. Keywords: Urban Regeneration, Unused Area, Cultural Asset, Cultural Regeneration, Social Capital, Resident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