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교사-아동간 상호작용 연구

        한병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analyze which characteristics there are and how different those are i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of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iming at this study, the micro-ethnograph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Each of one class for kindergarten and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targeted. Teaching in each 16 sequential-time portion was shot,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kindergarten can be inquired its characteristics largely according to medium of causing interaction, according to activity type, and according to unique rhythm in interaction. First, the medium of causing interaction included the activity materials prepared by teacher, the merrymaking activity, and the diverse teaching tools. econd, the characteristic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y activity type in kindergarten were indicated to be the individual activity and the demonstrative activity. Third, there wasn't the separately break time between activity and activity in kindergarten classroom, thus the rhythm in consecutive interaction was observed. And,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kindergarten classroom was the image of being very clos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inquired its characteristics largely according to medium of causing interaction, according to activity type, and according to unique rhythm in interaction. First, in the classroom of the 1st grade for elementary school, the textbook, promise, and diverse equipments and materials became the medium of interaction, thereby having mad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Second, the characteristic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y activity type in the 1st grade for elementary school were indicated to be the group activity and the description activity. Third, in the classroom of the 1st grade for elementary school, the segmentary interac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break time in the classroom of the 1st grade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the image of being relatively distant. Through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given seeing the interaction in kindergarten as 'preparing' interaction, the interaction in the first graders for elementary school can be said to be 'prepared' interaction. Second, in kindergarten, the individual activity was observed much the ‘1:1’ interaction. The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med a great part of the ‘1:majority’ interaction that is much in collective activity. Third, the kindergarten formed the 'considering' interaction that a teacher approaches children. The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med the interaction of requiring 'initiative' that allows children to approach a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실제 수업 상황에서 교사-아동 간의 상호작용에는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떻게 다른지를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서 문화 기술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각각 한 학급을 대상으로, 각 16차시분의 수업을 촬영하여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에서의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특징은 크게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매개물에 따라, 활동 형태에 따라, 그리고 상호작용의 독특한 리듬으로 그 특성을 탐색할 수 있다. 첫째, 유치원 교실에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매개물로는 교사가 준비한 활동자료, 유희활동, 다양한 교구들이 있었다. 둘째, 유치원의 활동 형태별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특성으로는 개별 활동과 시연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실에서의 활동과 활동 사이에는 쉬는 시간이 따로 있지 않아 연속적인 상호작용의 리듬이 관찰되었으며 유치원 교실에서는 교사와 아동간의 물리적 거리가 상당히 가까운 모습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의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특징도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매개물에 따라, 활동 형태에 따라, 그리고 상호작용의 독특한 리듬으로 그 특성을 나눌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는 교과서와 약속, 다양한 기자재 등이 상호작용의 매개가 되어 교사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을 만들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의 활동 형태별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특성으로는 집단활동과 설명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는 쉬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절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으며, 교사-아동 간의 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먼 모습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치원의 상호작용은 ‘준비하는’ 상호작용이라 본다면 초등학교 1학년의 상호작용을 ‘준비된’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유치원에서는 개별 활동이 많은 ‘1:1’ 상호작용이 많이 관찰되었고, 초등학교 1학년은 집단적 활동이 많은 ‘1:다수’ 상호작용이 많았다. 셋째, 유치원은 교사가 아동들에게 다가가는 ‘배려하는’ 상호작용이었고, 초등학교 1학년은 아동들로 하여금 교사에게 다가가게 만드는 ‘주도성을 요청하는’ 상호작용이었다.

      • 유치원과 국민학교 일학년의 문자지도에 관한 연구

        장태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硏究의 目的은 幼稚園과 國民學校 1學年 入學初期의 문자지도 실태를 파악하여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간의 문자에 대한 連繫性 있는 指導方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幼稚園 敎師, 國民學校 敎師, 學父母의 유치원 문자지도 必要性 認識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入學初期의 문자지도 水準에는 차이가 있는가? 세째,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입학초기의 문자지도 방법에는 차이가 있는가? 네째, 유치원의 문자지도 改善方案은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本 연구에서 표집은 全南 羅州市와 羅州郡 地域 幼稚園 敎師, 國民學校 敎師, 學父母 260名 을 선정 분석하였고 使用한 道具는 幼稚園 敎師用 質問紙 23문항, 國民學校 敎師用 28문항, 學父母用 20문항을 제작 사용하여 SAS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였으며 분석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幼兒가 문자에 관심을 갖는 시기는 4세 전후이고 學父母의 年齡이 낮을수록 빠르며, 文字指導의 要求는 學父母가 가장 높고, 그 중에서도 高卒學歷의 學父母가 가장 높다. 文字指導의 필요 이유는, 幼稚園 敎師는 兒童發達上, 國民學校 敎師는 早期敎育上, 學父母는 國民學校 敎育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知覺하고 있다. 둘째. 幼稚園의 文字指導 水準은 現行 幼稚園 敎育課程 보다 높고, 國民學敎 入學初期의 文宇 指導水準보다 더 높았으며, 私立이 公立보다 높고 都市가 農村보다 높았다. 세째, 文字指導 方法과 指導資料의 活用은 幼稚園 敎師와 國民學校 敎師 간에는 차이가 없어 連繫性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敎師와 學父母간에는 차이가 있어 連繫性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네째, 敎師 養成은 敎育大學이 적절하며, 幼稚園 敎育課程 改編으로 文字指導 水準을 上向 調整하고, 指導內容을 具體的으로 제시하며, 兒童의 發達段階에 맞는 文字指導의 프로그램과 指導 資料의 開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事實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in the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o get basic materials to establish a teaching method which can connect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ool.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as the problems for study;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to their childre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prim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Seco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level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in the begining of the first grade of the preimar scool?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of the kindergarten and that of the beginning days of the first grade of the peimary scool? Fourth, what is the way to improve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in the kindergarten? I selected 260 persons among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in Najoo City and Najoo Gun, Chonnam as the specimen group, and made 23 question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28 questions for th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20 questions for the parents of children, and analyzed and treated the results by the computer program S.A.S. The results are; First, infants are interested in letter when they are around 4 years old. The youngerthe parents are, the sooner the time the infants get interested in letter is. And parents have the highest desire for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among whom, the much-educated parents have the highest desire for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need the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primary school teachers for the early education, parents for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Second, the level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in the kindergarten is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acting kindergarten education course and the beginning course of the primary school, private school higher than public schools, city higher than country. Third, there are connections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mary teachers because they have no difference, but there are no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and the partents because they have differences, in using the methods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and the teaching materials. Fourth, the fact was said that cultivating teachers is proper at the education college, the level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should be upgraded by reorganizing the kindergarten education courses, the teaching contents be seen concretely,the program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fit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stage and the teaching materials be developed.

      • 1930년대 아동관념의 변화와 유치원 원유회

        이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1930년대는 유년층 아동에 대한 관심과 어린이와 가정에 대한 소비가 늘어가고, 그에 따라 근대 유아산업과 아동문화가 확산하면서 유치원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대체로 경제적 여유가 있었던 가정의 자녀들이 향유할 수 있었던 유치원이지만, 도시화가 진행되고, 가정의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나면서 상대적으로 형편이 좋지 않았던 가정에서도 자녀를 보내려고 한 사례들이 등장했을 만큼 유치원의 수와 원아 수가 증가했다. 이처럼 30년대 유치원의 증가는 20년대에서 30년대에 들어서면서 변화해 가는 아동보육과 아동관념, 도시화와 소비문화가 확산되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치원의 증가와 함께 유치원에 다니는 유년층 아동을 위해 개최되었던 <유치원 원유회>가 30년대 주로 부산이나 경성과 같은 대도시에서 활발히 전개되었다. 특히 <유치원 연합 원유회>는 유치원 원아뿐 아니라 가정과 유치원 보모 선생, 나아가 일반 관중까지 모두 참여했던 행사로 해마다 성황을 이룰 만큼 세간의 주목을 받는 유치원의 특징적인 활동 중 하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이 증가하는 현상을 1930년대 아동관념의 변화와 더불어 도시화, 소비문화가 확산되던 시대적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그러한 양상으로 나타난 <유치원 원유회>를 중심으로 그것에 드러난 아동관념의 변화와 시대상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유치원 원유회> 중에서도 대도시인 경성에서 유치원 연합으로 매해 활발히 개최되었던 󰡔조선일보󰡕사 주최의 <전 경성 유치원 연합 원유회>에 주목하였다. 1920년대의 아동은 성인과는 구분되는 ‘천진’하고 ‘순진’한 어린이성을 지닌 존재로 부각 되었지만, 어린이다움을 구현하는데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 식민지적 특성으로 인해 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이에 소년들이 그들의 어린이성을 구현하기 위해 자율적 주체가 되어 ‘소년회’ 등의 조직을 통해 소년운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사회의식 성장과 함께 이상적인 존재의 ‘천사’ 아동은 식민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받기도 했다. 그에 따라 노동하고 투쟁하는 아동이나 무산계급의 아동 이미지가 주목받기도 하였다. 1930년대 들어서면서 일제는 20년대 활발히 전개되었던 소년운동을 저지하고 그 주도권을 뺏기 위해 아동보호를 표방한 유유아 애호 주간 설정을 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에 따라 점차 소년들의 운동성도 침체하면서 어린이들의 주체성, 자주성은 희미해져 갔다. 아동은 더 이상 순진무구의 어린이성을 구현하는 주체가 아닌 ‘보육’ ‘교육’의 대상이 되었다. 아동관념의 변화로 더 수동적인 대상 즉, 더 나이가 어린 유년층 아동들이 천진함, 순수함, 천사 등의 어린이성의 전범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유년층 아동들이 어린이성의 대표로 부각이 되면서 대상화됨에 따라 유아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유아가 소비의 대상이 되는 활동이나 사업들이 나타났다. <유치원 원유회>는 20년대의 소년들의 주체성과 운동성의 기조가 점차 하락하고 아동들이 보호받고 지켜야 하는 대상이 되는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업이자 활동이었다. <유치원 원유회>는 원아를 비롯하여 자녀를 둔 가정과 유치원, 일반 관중까지 모두 모인 공개적인 행사로, ‘천사’같은 아동들을 잘 보육하고 양육하는 가정의 관심과 보육기관인 유치원의 교육이 무엇인지를 시각적으로 경험하고 검증받는 자리였다. <유치원 원유회>는 20년대 중후반에서 30년대 새롭게 유입된 ‘근대적이고 계몽적’이라고 소개되었던 여러 아동의 건강과 자녀 양육에 대한 담론과 정보들 속에서 자녀를 ‘밝고 건강하게’ ‘민족의 미래를 이끌 역군’으로 양육하는 법을 논의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전 경성 유치원 연합 원유회>의 당일 진행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원유회라면 반드시 진행되었던 원아들의 유희는 회차를 거듭해도 매해 정형화된 매스게임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희의 형태는 천진난만한 유년층 아동이 가정과 유치원의 교육과 훈련을 잘 받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치원 원유회>는 밝고 건강한 아동 그리고 그들의 양육이라는 것이 실질적으로는 가정과 교육기관의 ‘훈련’과 ‘연습’을 통해 ‘질서정연하게 통제된 아동의 몸’을 요구하고 있고, 사람들도 이를 기대하고 있음을 아동의 유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유년층 아동들로 구성된 원아들은 20년대의 소년들보다 더 수동적인 존재로, 순수함의 구현은 보육기관인 유치원의 지도로서 가능했다. 원유회에서 ‘원아 유희’는 20년대의 어린이날처럼 소년들이 주체가 되어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대상인 어린 아동들이 보육기관의 훈련을 받아 관중들에게 보이는 일종의 ‘상품’으로서 소비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30년대 유치원의 증가와 더불어 활발히 전개되었던 <유치원 원유회>는 누구나 참관할 수 있는 ‘축제’로서의 기능을 했지만, 그 이면에는 원유회가 아동이 상품화되고, 소비대상으로의 전환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현상이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비교 연구

        박인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아동들은 여러 발달적 측면이 서로 통합되고 연계되어 성장하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있어서도 연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교수-학습 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사이의 연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두 기관 사이의 바람직한 연계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는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은 어떠한가? 1)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직접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영상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추상적 경험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유아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교사 유아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의 교사주도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초등학교와 병설 유치원 16개를 각각 표집하여 한 학교당 초등학교(1학년) 1학급 및 병설유치원 1학급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Dale의 경험 원추이론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x ²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 빈도는 유치원에서는 영상적 경험·직접 경험·추상적 경험의 순서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는 추상적 경험·영상적 경험·직접 경험 순서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교수-학습 매체가 유치원에서는 영상적 경험에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추상적 경험에서 가장 낮은 활용도을 보이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추상적 경험에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직접 경험에서 가장 낮은 활용도를 보인다. 직접 경험적인 교수-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리듬악기·실물자료를, 초등학교에서는 실물자료·학습 보조물·리듬악기 등을 많이 이용한다. 영상적 경험에 대한 교수 -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사진·그림자료를 초등학교에서는 실물화상기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셋째, 추상적 경험에 대한 교수-학습 매체로는 유치원에서는 정보지를, 초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학습지, 정보지를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한다. 2. 교수-학습 활동 방법을 유아주도, 교사-유아주도, 교사주도의 세 가지로 나눌 때,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다같이 교사-유아주도의 활동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유아주도, 교사주도 순서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놀이에 비해 작업·조작·실험을 통한 방법이 유아 주도적 교수 학습 활동으로 양교육기관에서 같이 이용된다. 교사-유아주도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활용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모두 이야기나누기가 많이 이용되는 교수-학습 매체이다. 교사주도적 활동 방법인 설명식 수업은 유치원에서보다는 초등학교에서 유의하게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학생이 유치원 학생보다 지적 수준에 있어 한 단계 높다고 볼 때 이는 당연한 귀결일 것으로 해석된다. Now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me developmental stages, it is desirable that you take correlations between them into account in instructional media use. This paper discusses their use in pre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comparing and analysing the methods. It will provide teachers with feasible suggestions for the linking education between them. The pending issues are as follows: 1) At present, how is instructional media use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1-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direct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1-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audio-visual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1-3)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symbolic experiential applications between them.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2-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child-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2-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2-3)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them? For this, the investigation addresses the applicative conditions of the instructional media in each class of 16 elementary schools (first graders) including the attached kindergartens, situated in Hwasoon, Southern Cholla Province. Based on Dale's Cone of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calculation of frequencies and percentages per item followed by use of the chi-square test(x²).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kindergartens, the applicative priority of the instructional media was by order of audio-visual, direct and symbolic experience, while in the elementary schools by order of symbolic, audio-visual and direct experience. The kindergarteners liked direct experience better than the grade schoolers, as contrasted with the grade schoolers’ preference for symbolic experience. First, in an applicative way of the direct experiential instructional media, musical instruments and authentic materials were used much in the preschools, in happy contrast to more use of the authentic materials, the learning aids and the musical instruments by the first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Second, in the audio-visual experiential application of the media, the preschoolers had a preference for still pictures and graphics, which stood in contrast to the grade schoolers’ preference for use of visual presenters. Third, in the symbolic experiential use, information sources were used much in the kindergartens, and textbooks in the elementary schools.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media application of the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both of them gave a preference to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instructional activities, followed by the child-centered ones followed by the teacher-centered ones. In the applied consequences of the child-centered methods, first of all, the kindergarteners and grade schoolers developed a liking for tasks, manipulations and experiments rather than roleplaying games. Second, in the teacher and child-centered activities, all of them enjoyed sharing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Third, in the teacher-centered situations, unlike the preschools, the elementary schools chose to carry explanatory classes in preference to other activities.

      • 유치원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정은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요구 및 기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시에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람직한 유치원 교육 년 수, 연간 교육 일 수, 학급구성, 교육방법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여 유치원 관리 및 운영자들에게 바람직한 유치원 교육 및 운영에 도움을 주고, 유치원 학부모 교육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과 부모참여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치원의 공교육화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인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80명과 유치원 학부모 172명으로 총252명이다. 분석 방법은 교사와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목표, 교육방법, 부모 교육 및 참여,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통하여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해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통계 분석은 SPSSWIN PC.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유치원 교육이 꼭 필요한 이유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같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발달 도모'로 보고 있으며, 유치원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간상으로 교사는 '창의적인 사람'을 학부모는 '도덕적인 사람'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유치원의 교육목표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태도 기르기'를 가장 우선시 하였고, 앞으로 유치원에서 가장 비중을 두고 교육할 내용으로는 학부모와 교사 모두 '창의성 계발'을 가장 중시하였다. 둘째, 유치원의 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유치원 교육 기간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2년'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치원 1일 교육 시간은 '5시간'이, 유치원의 연간 교육 일수는 현재대로 '180일 이상'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 학급의 연령구정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단일 연령'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치원의 한 학급당 단일 연령 인원수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만3세는 '15명이하', 만4세는 '11-20명이하', 만5세는 '11-25명'이 가장 바람직하며, 한 학급당 혼합 연령 인원수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만3세는 '15명이하', 만4세는 '11-20명이하', 만5세는 '10-20명이하'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았다. 유치원에서 가장 우선시 되는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놀이 중심'을 꼽았고, 유치원 교육 활동 중에서 교사는 '자유선택활동'을 학부모는 '대집단활동'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 교사는 '역할놀이'에 학부모는 '언어'에 가장 비중을 두고 있으며, 대집단활동에서 교사는 '헌장학습'을 학부모는 '이야기나누기'에 좀더 비중을 두었다. 소집단활동에서 교사는 '토의활동'에 학부모는 '토의활동'과 '실험 및 관찰'에 좀더 비중을 두고 있으며, 정리정돈 방법으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토의 및 규칙지키기'를 가장 우선시 하였다. 현재 유치원에서 좀더 비중을 두어야 할 교육활동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창의성 교육'에 가장 비중을 두었다. 셋째, 유치원 교육에 학부모의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부모참여가 꼭 필요한 이유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자녀와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를,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인쇄 자료'를 통한 부모교육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부모교육 내용으로는 교사는 '부모의 역할'에 학부모는 '아동발달 및 심리지도'를 가장 우선시 하였고, 부모참여 방법으로 교사는 '자원 봉사자로서의 참여'를 원하는 반면 학부모는 '수업 참관' 을 가장 선호하였다. 넷째, 유치원 공교육화의 필요성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균등한 교육 기회 제공'에, 유치원 공교육화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이원화된 교육 부처의 일원화'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보았다. 유치원 공교육화 시 교육비 부담에 대해 교사는 '국가가 전액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학부모는 '학부모 일부 부담+국고 지원'을 선택하여 인식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유치원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무상교육 완전실현'을 가장 우선시 한 반면 학부모는 '유아교육 발전기반 구축'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사와 학부모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목적, 방법, 부모 참여,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made by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goal, methods and manage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social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duce some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kindergarteners and for the management of a kindergarten.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er has formulated four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1. What do they(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s important goals to be pursued in the kindergarten education? 2. What do they perceive as effective methods to be applied for kindergarten education? 3. What kind of opinion do they gold about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4. What are their opinion about the integration of all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into a public education system? As subjects of the study, 80 kindergarten teachers and 172 mothers of kindergarteners were sampled from kindergartens. The researcher constructed a questionaire of multiple-choice type for surveying opinion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iculum materials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Un data analysis, frequency of response on each item of the questionaire was tabulated. And chi-square test was applied for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and parents feel kindergarten education necessary because 'interaction with peers' itself must be an important condition for socialization of younger children. For an 'ideal personality' to be pursued in kindergarten education, teachers place 'creative person' for the most important one while parents place 'moral personality' in the first priority. For educational objective of kindergarten, both groups select 'development of cooperative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one. For successful living in the 2lst century, both groups emphasize creative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Second, 'play method' is emphasized by both groups as most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for kindergartener,. Specifically, teachers place 'spontaneous independent activities' as most desirable, while parents consider 'large group activities' as most desirable one. Among various type of small group activities, teachers select 'role play' as most desirable while parents select 'language game' most desirable. And among large group activities, teachers chose 'field study', while parents chose 'verbal conversation'. Third, both groups think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And they also feel that parent of kindergartener should be educa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content of parents' education, teachers put an emphasis on 'role of par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meanwhile parents want to learn about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and counseling'. Fourth,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a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all preschoolers. And they feel that all of the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should be administered and fina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