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어떤 목적과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생활 속에서 유아기자녀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효과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방향과 지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4개의 주제(임신과 출생, 유아기 성의 발달과 성인식형성과정, 안전한 성을 위한 지도방법, 양성평등교육)로 구성된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기부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탄생을 중심으로 인간존중, 생명존중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성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유치원의 유아부모 53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6명)과 대조군(27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게만 주 1회 2시간 씩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로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을 검사도구로 측정하였고, 4주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8v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이 부모의 성지식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의 향상과 성태도의 긍정적인 변화 그리고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밝혀내었다. 유아기 부모의 가정 성교육은 단순히 성에 국한되는 교육이 아니라 인간과 성을 연계하는 생명존중, 인간존중이라는 인성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이므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자녀에게 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생명존중과 인간존중이라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으로서의 지향성을 갖고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 연구

        김민석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問題중 특히 가정문제에 대한 解決 方法의 하나로 敎育的 接近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과 관련하여 특히 孝道敎育에 초점을 둔 것은 효도교육이 새로운 세기를 살아갈 유아기에 필수적인 교육이며 이를 통해 21세기의 세계적인 人間觀을 형성하는 시금석의 역할임을 강조하고 사회문제 해결의 필수적 代案이기 때문이다. 傳統的으로 효도교육은 한국의 代表的인 敎育이지만 현대교육에서 이를 그대로 수용하기는 여러 가지 限界가 있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유아 교육시설에서 보다 효과적인 유아 인성교육지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학습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한계와 교육 성과적인 측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상당히 도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통합적 교육이념에 관심을 갖고 이와 관련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을 제시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本 論文은 구체적으로 유아기의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여러 연구를 간략히 소개하고, 韓國的 敎育理念, 韓國的 敎育內容에 의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에 근거한 ‘유아 통합 효도교육 프로그램’ 구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성과로는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현대적 의미의 유아 통합효도교육을 통해 효도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은 물론 주제토론 통합학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전통적 효도학습을 통해 효ㆍ한문학습능력의 신장을 가져왔다. 아울러 새로운 통합감성학습의 일환으로 효도와 국악을 통합한 학습방법을 통해 인성교육과 함께 성격발달, 발표와 표현력, 감성능력, 공동체의식개발 등 보다 획기적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학습의 성과를 달성시켰다. 둘째, 현대적 孝道學習내용과 전통적 孝ㆍ漢文學習, 보다 새로운 통합감성학습 孝ㆍ國樂學習을 통해 유아들에게 신명나는 학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통합 인성 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시켰다. 셋째, 통합효도교재에 의한 인성교재학습은 물론 우리의 전통악기 국악기를 겸한 교구학습으로의 양면을 적절하게 통합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유아 교육현장에서 연령별로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활용하여 성공적인 유아기의 통합 효도교육이 實現되도록 보다 구체적인 指導方法을 제시하였다. 유아들의 정신세계는 일생의 어느 시기보다 가장 중요한 기초ㆍ기본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성공적인 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착은 그리 용이한 현실이 아니며,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도처에서 각종 각양의 학습프로그램들이 우리의 유아교육현장에서 물밀듯 접목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연구’는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한 교육행사 사례 및 효과를 분석하여 상당한 성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많은 교육시설에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학습을 받는 유아는 물론 교육시설의 경쟁력과 함께 가정이 변하고 우리 사회가 변하는 획기적인 유아 인성프로그램이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이 나라 유아 인성교육의 작은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mpact of Early Childhood Musical Experiences on a Real Piano Learning 음악교육전공 유 지 영 지 도 교 수 김 명 규 본 논문은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 보육시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악 프로그램들이 유아기의 학습을 통하여 차후 아동의 피아노 학습에 어떠한 영향들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보육시설 음악 프로그램을 먼저 분석하고, 실제 피아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평가를 통해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사하구 지역 S피아노 학원 원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0명은 유아기 시절 음악 프로그램의 경험이 없는 비경험 집단과, 그 외 10명은 유아기 시절 보육시설에서의 음악적 경험이 1년 이상 있는 경험집단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실시 하였다. 유아기 음악적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험집단의 경우 10명 모두 지역특성상 동일한 지역의 보육시설에서의 같은 프로그램 뮤직 스폐셜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먼저 뮤직 스폐셜이라는 음악 프로그램의 1년 계획안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론영역, 창의영역, 활동영역, 감상영역, 인지영역으로 크게 나뉘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집단과 비경험집단의 비교 평가가 이루어졌다. 평가의 주체로는 이 두집단의 어린이들을 12개월 이상 15개월 이하로 직접 피아노를 지도한 5년 이상 경력의 교사로 두었으며, 각각의 영역에 따른 재제곡의 레슨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각 하위 영역별 평가점수는 최하 0점 최고 10점으로 정하였으며 얻어진 평가점수를 각 집단의 평균점수(M)로 환산하고 집단들간의 점수 분포도를 편차(SD)로 나타내었다. 비경험집단과 경험집단간의 비교를 위하여 통계 방법중 상관분(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두 집단간의 상관계수(T)를 나타내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론영역에서 계이름의 읽기 쓰기 능력, 악상기호의 이해, 음악형식의 이해도의 평가에서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으므로 피아노 학습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둘째 창의영역에서는 박자의 변화 능력, 음악의 신체적 표현능력을 평가하였으며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으므로 경험집단이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셋째 활동영역에서는 교사와 호흡을 맞추는 리듬 앙상블 능력과 주어진 음정을 피아노로 표현하는 음정 표현력을 평가하였고, 리듬 앙상블에선 비경험집단이 경험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음정 표현력에서는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으므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두 부분을 종합할 때 경험집단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얻어낼 수 있었다. 넷째 감상영역에서는 주어진 곡의 해석 능력을 보았으며 경험집단의 월등히 높은 점수로 인해 유아기 시절 음악적 경험이 음악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다섯째 인지영역에서는 일정한 템포를 유지하는 능력, 변박의 정확성, 음악요소에 대한 정확성의 평가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큰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종합하여 볼 때 유아기 시절의 음악적 경험은 실제 피아노 학습에 결정적이고 큰 요소로 작용하지 않지만 음악적 감수성과 활동적인 표현부분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주요어 :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 피아노 학습

      •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 연구 :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이신혜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기 자녀를 위한 신앙교육은 부모에게 달려있다. 부모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교회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만 관심을 집중하였고 신앙의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상호 연계성이 없었다. 그러나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부모를 위한 교육이 함께 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교회의 신앙 교육이 연계되어 있지 못하는 현실적인 시대 속에서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하여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신앙 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이론적 배경과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절기교육, 그리고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요소들인 이야기, 예전, 공동체 등의 핵심요소들을 살펴보고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의 모델로서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한 유아부모교육’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의 관계

        김주희 국립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in infancy are identified,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e investigated a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infancy is verifi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pattern of parents'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fancy?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aspect of parents'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fancy?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fancy?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arents, 233 parent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years-old at indo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S City and D City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fter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research of Yoo Sun-young (2014), the questionnaire was produced, and the recruitment validity was sought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was 47, and the sub-variable consisted of 13 questions on the concept of recogn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4 questions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24 ques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SPS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arents, and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test were performed. In addition,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execution.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parents of early childhood on sustainable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parents'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 (M=4.16, SD=.59). By sub-factor,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 (M=4.17, SD=.57).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term recognition. The group that recognizes term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group that did not recognize terms (t=1.74, p<.05). In the path of cognition, mass media (N=131), related books (N=53), workshops or training (N=43), colleagues or acquaintances (N=8), and families (N=3) appeared in ord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parents in infancy,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parents in infancy was found to be normal (M=3.42, SD=.61), and by sub-factors, the environmental domain (M=3.31, SD=.57), the social and cultural domain (M=3.46, SD=.64), and the economic domain (M=3.47, SD=.60) were shown in ord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As a result of post-mortem verification, the group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as higher than the group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F=4.42, p<.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21, p<.01)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By sub-factors of the overall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economic domain (r=.22, p<.02), social and cultural domain (r=.22, p<.01), and environmental domain (r=.19, p<.01). Specifically, among the percep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ncept of recog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mong the percep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hows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social and cultural domain (r=.21, p<.01), economic domain (r=.20, p<.04), and environmental domain (r=.18, p<.01).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ws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economic domain (r=.244, p<.001), social and cultural domain (r=.222, p<.001), and environmental domain (r=.198, p<.01).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 and execu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sub-factors.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arents of early childhoo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higher the execu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parent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degree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early childhood parents was generally above average, and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related between implementation,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the higher the social and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reas of implementation. In conclusion,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is practiced in contact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life, parents' efforts to recognize and impl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affects early childhood are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and implement parents'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need for revitalization of education is raised,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viding inform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reating and promoting related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부모의 배경변인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실행을 알아보며 유아기 부모의 인식과 실행 간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Research question 1.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은 어떠한가? Research question 2.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실행은 어떠한가? Research question 3.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유아기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을 알아보기 위해 S시, D시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3세부터 5세 사이 유아기 부모 23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문지는 유선영(2014)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후, 유아교육전문가에게 구인타당도를 구하였다. 질문지의 총 문항은 47문항으로 하위변인은 지속가능발전인식 개념 13문항,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 4문항, 지속가능발전 실행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기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과 실행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식과 실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은 높은(M=4.16, SD=.59)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지속가능발전 개념에 대한 인식은 높은(M=4.17, SD=.57)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 중 용어 인지에 따른 지속가능발전 개념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용어 인지를 하고 있는 집단이 용어 인지를 하고 있지 않는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74, p<.05). 인지의 경로에서는 대중매체(N=131), 관련서적(N=53), 워크숍이나 연수(N=43), 동료나 지인(N=8), 가족(N=3)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실행을 알아본 결과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실행은 보통수준(M=3.42, SD=.61)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로는 환경적 영역(M=3.31, SD=.57), 사회‧문화적 영역(M=3.46, SD=.64), 경제적 영역(M=3.47, SD=.60)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배경변인 중 최종학력에 따른 지속가능발전 개념에 대한 실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대학교 졸업한 집단이 고등학교 졸업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42, p<.01).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21, p< .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 인식 전체와 실행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영역(r=.22, p< .02), 사회‧문화적 영역(r=.22, p< .01), 환경적 영역(r=.19, p< .01)순으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속가능발전 인식 중에서 지속가능발전 인식 개념은 사회‧문화적 영역(r=.21, p< .01), 경제적 영역(r=.20, p< .04), 환경적 영역(r=.18, p< .01)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지속가능발전의 교육의 필요성은 경제적 영역(r=.244, p< .001), 사회‧문화적 영역(r=.222, p< .001), 환경적 영역(r=.198, p< .01)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들 하위요인들 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 인식과 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의 인식과 실행의 정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 부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은 실행 간의 관련이 있고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의 사회‧문화적 영역, 경제적 영역, 환경적 영역 또한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은 생활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접하며 실행 되어오기 때문에 유아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지속가능발전의 인식과 실행에 대한 노력은 중요하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부모의 지속가능발전의 인식과 실행을 향상시키고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며 지속가능발전의 정보제공과 관련 프로그램 제작과 홍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

      •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방안 연구 : 4~5세의 유아를 중심으로

        박성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인간의 생활을 보다 폭넓고 아름답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악교육은 인간의 모든 기초 능력이 급속히 형성되고 성장하기 시작하는 유아기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인 것으로서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장래에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회인이 되기 위함이며 또 하나는 개인의 음악적 능력을 개발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기는 인간성의 기초를 위한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으므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는 음악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유아의 특성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즐겁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위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방안을 몇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기의 음악적 성장발달단계와 특징, 여러 가지 문헌 연구를 통한 현대 음악교육자인 달크로즈, 칼 오르프,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네 가지 영역 즉, 음악감상하기, 노래부르기, 악기다루기, 신체로 표현하기로 분류하여 연구해 보았다. 첫째, 음악 감상하기에서는 유아에게 들려질 음악의 소재는 충분히 즐겁고 흥미로우며, 무엇이 들릴까하고 기대한 만큼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였고 다양한 지도방법을 통하여 유아 스스로가 아름다운 음악세계를 발견하도록 이끌어 주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둘째, 노래 부르기에 있어서 유아의 노래는 유아에게 친숙한 노랫말을 담고 있고, 즐겁고 아름다운 선율로 구성된 노래를 선택하여 다양한 교수자료나 소품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했다. 셋째, 악기 다루기에서는 유아가 다루기 쉽고, 재미있고, 다양한 악기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고 넷째, 신체로 표현하기는 음악을 듣고 노래 부르기를 통하여 유아 스스로가 느끼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창의성과 상상력을 길러 음악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앞으로의 유아기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양한 학습 내용과 지도방법을 계발하여 유아 스스로가 자유롭게 음악을 터득하게 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음악을 즐기는 사람으로 성장케 하는데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Music is the tool to express human emotion and sentiment and performs the role to make life more wide and beautiful. It is proper to impose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at starts every human fundamental capabilities are formed and developed rapidly.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essential for process to grow up to be a harmonious human being. It means two, one is for the member of society with good character and another is for development for individual musical ability. Like these, early childhood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the basic of humanity, th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onstructed with the form for pleasant and various musical experiences that considering children's characters and development stages for the ability of express the beauty of the music naturally.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instruction method for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several way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arning theories of modern music pedagogists like Dalcroze, Karl Orff, and Gordon were researched by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usical development stages and characters, and references. And research th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divides into four areas of listening to music,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s and physical expressions based of the influence to the character building i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irst, subject materials in listening to music for child is pleasant and interesting enough and rewardable for expectation for listening, and emphasis to discover beautiful musical world by oneself through various instruction method. Second, songs in singing with familiar lyrics and pleasant and charming melodies were selected and could be instructed with various teaching materials or props. Third, in playing the instruments, it was designed to express easy to play, fun and various. Fourth, in physical expressions, teaching method that develops creativity and imagination by expressing freely what children feel though listening to music and singing, and develop musical abilities were studied. The new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develop various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focus to make children understand music freely and grow up to the person who enjoys music naturally.

      • 유아기의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협동 미술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5~7세를 중심으로

        양수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allows us to teach cooperative art to improve the creativity-convergence ability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The developed program has improved the ability to mix art activity with other subjects and it also enables art learning to be associated with other learn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nvergence ability of art and nature observation by means of cooperative art education. Today, education changes fast as times go by and the creativity-convergence ability of infants will be improved if we grow rational thoughts through tolerance and communication, making use of cooperative art programs and if a variety of activities and creative expressions are spread in every domain of art. For this reason, in chapter 2, I researche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art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o understand and express cooperative art learning.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urveying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art learning. By interviewing teachers and learners to see the reality of real lessons and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I also made sure that cooperative art programs for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developed. In chapter 3, I gave my lesson to improve the creativity-convergence ability through cooperative art learning and development of three programs – role play and art-convergence activity ; house-making program, animal movement and art-convergence activity ; zoo expression program, nature observation and free expression convergence program. As a result, learners had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result, I could see the advancement in animal expression ability of art expression activity, convergence ability of art and nature observation activity, communication skill, learning ability of nature observation. In chapter 4, cooperative art learning for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wed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practical methods of cooperative art learning through art expression activity and nature observation activity. The first educational effect of this study is that children’s animal expression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body movements in art activity. Second, their convergence abilities have been improved through art and nature observation activity. Third, communication skill in cooperative art and integrative expression skill have been improved when children shared their roles and took responsibilities and associated with other group members. To activate this, first, play art program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developed. Second, programs for other domains and nature observ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we should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school art education. As above, I could draw the positive result about cooperative art programs for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rough educational effects and activation plans. In the fu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lp children cooperate in their learning, rejecting individual learning. To do this, cooperative ar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thers, understanding and tolerating each other by means of the art expression activity and nature observation activit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In art education, we need to make childre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ave interests in learning by the activation of cooperative art programs. We have to carry on with further research for cooperative art education programs to make children join the learning willingly. 본 논문은 유아기 어린이들의 창의·융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동 미술 학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예술 활동과 다른 교과 영역과 융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협동 미술 학습을 통해 미술활동과 자연탐구 활동 융합능력을 향상하여 미술교과에서 다양한 유아 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시대 흐름에 따라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유아 교육에서도 배려와 창의적인 표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기에 협동 미술 학습 프로그램을 한다면 유아들이 배려와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사고를 확산시키고 미술 영역에 다양한 활동과 창의적인 표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유아들의 창의·융합적 사고가 함양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협동 미술 학습을 이해하고 협동 미술 학습의 방법과 표현을 하기 위해 유아기의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협동 미술 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누리과정과 유아기의 미술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유아기의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누리과정의 교육 내용과 실제 수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와 학습자의 설문 조사를 하여 유아기의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협동 미술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극놀이와 미술활동 융합 집 만들기 프로그램’, ‘동물의 움직임과 미술활동 융합 동물원 표현 프로그램’, ‘자연탐구와 자유표현 융합 연결화 프로그램’의 세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협동 미술 학습을 통해 창의·융합 능력이 향상되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는 학습자들과 서로 상호작용하여 활동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협동 학습활동을 통해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모습과 결과물을 나타내는 과정을 통해 예술 표현활동의 동물 표현능력, 미술과 자연 탐구활동 융합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연탐구 학습 능력에 증진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유아기의 창의 융합 교육을 위한 협동 미술 프로그램이 예술 표현활동과 자연 탐구활동을 통해 협동 미술 학습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적 효과로는 첫째, 예술 활동으로 몸의 움직임을 통해 동물표현이 함양 되었다. 둘째, 미술과 자연 탐구활동을 통해 융합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셋째, 조원들과 역할 분담을 통해 책임감을 갖고 협력하여 협동 미술 소통능력과 통합적 표현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누리과정의 놀이 미술 프로그램 개발이 되어야 한다. 둘째, 타 영역과 자연관찰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 미술 교육과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위와 같이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통하여 ‘유아기의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협동 미술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미래 교육은 자신만의 생각을 강화하는 개인중심 교육이 아닌 서로 협력하여 협동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협동 학습활동을 통해 예술 표현활동과 자연 탐구활동을 하여 아이들이 서로를 이해하는 마음과 배려하는 자세를 갖고 타인과 소통을 하기 위한 방법을 가질 수 있도록 협동 미술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미술교육에 있어서 협동 미술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여 아이들과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의 흥미와 재미를 갖고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도록 협동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김남희 부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인 읽기, 쓰기, 셈하기, 정보처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개발을 통해 유아들의 학습에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선수학습능력과 학습과정에 나타나는 인지처리과정을 평가하여 현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 수준 및 영역별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시안을 제작한다. 둘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양호도를 알아본다. 1)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별 통과율을 알아본다. 2)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별 변별도를 알아본다. 셋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검사양호도를 알아본다. 1)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본다. 2)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타당도를 알아본다. 넷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를 적용하여 만 5∼6세 유아들의 발달경향을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먼저, 유아의 기초학습기능과 관련된 문헌 및 검사도구 분석을 기초로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하위 영역 및 문항 구성요소들을 1, 2차에 걸쳐 정리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만 5, 6세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시안을 제작하고, 이를 1, 2차 예비검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통하여 확정된 최종안을 적용하여 본검사를 실시하고 본검사 결과에 대한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분석하였다. 1차 예비검사는 1차 시안의 문항들에 사용된 용어와 실시방법, 통과율, 소요시간 등이 대상 연령의 유아에게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30명과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54문항 중 문항통과율과 변별도를 고려하여 수정·보완된 문항 외에 45문항을 삭제하여 2차 시안으로 총 109문항이 선정되었다. 2차 예비검사는 1차 예비검사를 통하여 수정·보완된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2차 시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차 예비검사의 대상은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64명과 전문가 30명이었다. 그 결과 총 109문항 중 통과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문항과 연령간 통과율의 증가가 불규칙한 문항, 그리고 상하집단간 변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항들은 삭제하거나 난이도를 조정하여 수정·보완하였다. 2차 시안의 109문항 중 수정·보완된 문항 외에 13문항이 삭제되어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의 최종안은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검사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최종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126명씩 총 2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검사의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각 40명씩 80명의 유아에게 본검사 실시 2주 후에 재검사를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40명씩 80명의 유아에게 기초학습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본검사의 결과는 문항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를 산출하였다. 검사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산출하였는데, 신뢰도 계수로는 문항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계수와 검사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는 문항적절성과 하위 영역간 상관, 그리고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와 기초학습기능검사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최종안을 적용하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의 발달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영역과 총점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알아보고, 연령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본검사를 중심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최종 시안은 4개 하위영역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하위영역은 글자 변별, 단어 읽기, 문장 읽기, 이야기 읽기를 포함한 '읽기 영역' 25문항, 쓰기 이전, 단어 만들기, 보고 쓰기, 단어 쓰기를 포함한 '쓰기 영역' 18문항, 수세기 이전, 수세기, 수연산을 포함한 '셈하기 영역' 23문항, 주의집중, 동시처리, 순차처리, 계획을 포함한 '정보처리 영역' 30문항으로 총 96문항이다. 둘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문항통과율의 범위는 17.5%∼100.0%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통과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변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유아를 총점에 따라 상위 27%와 하위 27%로 나누어 각 문항별로 상집단과 하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문항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검사양호도를 알아보았다. 문항내적합치도는 .82-.95로 나타났고, 검사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재검사 신뢰도는 .81-.94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의 문항적절성은 영역별 평균이 3.63-3.72로 나타났고, 각 하위영역 및 총점간 상관은 .52-.86으로 나타났으며, 기초학습기능검사와의 공인타당도는 .34-.67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를 적용하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의 발달경향을 알아보았다.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전체 점수를 분석해 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점수도 증가하여 뚜렷한 발달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라 하위영역 및 총점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령에 따라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총점 및 읽기, 쓰기 영역은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셈하기, 정보처리 영역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at could be used as an essential tool for assessment of basic learning skill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est instruments from Korea and abroad used to measur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5 to 6.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the basic learning skills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preschool was also undertaken.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content is to draw up a draft to measur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5 to 6. The second research content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e third research content is to examine the test adequacy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e final draft was drawn up by addition and elimination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pretest with the items which were made ou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first pretest to look into the adequacy of the terms, method, and the time of the test for the children was carried out to 30 kindergarteners aged 5 to 6 in Busan. The second pretest was carried out with 64 kindergartners and 30 professionals, such as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idents of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teachers, examined the adequacy of each item and subordinate areas. Passing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was produced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the second pretest, and reliability was produced by Cronbach a coefficient, that 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te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adequacy of the items by professionals was calculated to ascertai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final draft by complementing and amend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pretest. The final draft consists of 96 items in 4 areas. The subjects of this test were 252 kindergartners in Busan.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was carried out to 8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est. After 2 weeks of the test, retest was carried out to 80 children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The passing rate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items was produced for the adequacy of the items by the result of this test. Reliability coefficient produc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at is, Cronbach a coefficient to ascertain the adequacy of the tes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n the stability of the test.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was produced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subordinate area and the sum were examined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Basic Learning Skills at the ages 5 to 6, and t-test was examin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final draft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consists of 96 items in 4 areas, that is, 25 questions in the reading area, 18 questions in the writing area, 23 questions in the arithmetic area and 30 question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item adequacy shows that passing rate is from 30.6% to 97.6% which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Mean between the upper 27% and the bottom 27% to look into the item discrimination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means that items of this test could discriminate upper and lower groups effectively.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test adequacy shows tha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s from .85 to .92 and test-retest reliability is from .82 to .95, which means that the stability over time is comparatively high. Concurrent validity to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indicates .67. Four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ubordinate areas and sum according to age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shows that the mean increases as age increases.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to look into the difference between ages sh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reading, writing, arithmetic,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a.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to look into the sexual difference sh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p<.01) and writing(p<.001) area,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arithmetic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conclusion, this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urns out to ha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the basic learning skills of the ages 5 to 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