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과 원문 비교 연구 : -?운수 좋은 날?, ?사랑손님과 어머니?, ?동백꽃?을 중심으로-

        문수지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 텍스트와 원문을 대조하여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의 변개양상을 살펴보고 교과서용 정본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중심이 되는 자료는 오랜 기간 동안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면서 국민문학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운수 좋은 날」, 「동백꽃」, 「사랑손님과 어머니」 세 작품을 선정하여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의 언어가 원문과 얼마나 달라져 있는지 분석․대조 하였다.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세 작품과 원문을 대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가 원문의 언어를 현대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방언이나 고어를 현대 표준어로 바꾸었다는 점이다. 고어와 방언은 작품의 리얼리티를 형성하고 작가의 의도나 작품의 분위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기준 없이 원문의 어휘를 바꾸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방언을 무작정 현대어로 수정하기 보다는 방언과 고어를 원문 그대로 두되 따로 어휘 해설을 따로 덧붙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문체를 일정한 기준 없이 수정하거나 이유가 명백하지 않는 문장의 교체나 삭제가 있었다. 문장의 교체나 삭제는 문단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에도 교과서에서는 원문과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어휘풀이에 대한 오류가 있다는 점이다. 어휘 풀이는 학생들이 알기 어려운 어휘를 설명함으로써 읽기의 가독성을 높이고 어휘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교과서에서는 잘못된 어휘풀이나 어원을 알 수 없는 추상적인 어휘풀이를 실어놓은 경우가 있었다. 잘못된 어휘 풀이는 오히려 문학 작품의 감상에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넷째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가 원문의 오기와 오식을 바로 잡지 않았다는 점이다. 원문의 문법적 오류를 바로잡지 않았음은 물론, 현행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잘못된 표현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가 변개한 이유를 학습자 변인, 편집 과정의 변인, 사회·문화적 요구 변인으로 보았다. 학습자 변인에서는 교과서의 독자가 학생이라는 점에서 학생들의 바른 언어생활을 위해 비속어를 삭제․교체 하였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편집과정의 변인에서는 교과서에서 발견된 맞춤법의 오류는 편집과정에서 오기․오식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요구에 의해 당대에 쓰이던 언어가 없어지거나 바뀌는 등의 통시적 변화에 따라 현대에 쓰는 언어로 교체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앞서 제시한 다양한 변인에 의해 교과서 수록 소설 텍스트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그 변화의 기저에는 원문의 언어를 중심으로 하면서 독자의 가독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고어와 방언의 수정에 있어서도 무조건적으로 고어와 방언을 현대 표준어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학년 급별로 수준 차이를 두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낮은 학년 급의 학생들에게는 비교적 어려운 어휘는 현대어로 풀이하거나 어휘풀이를 수록하고, 높은 학년 급의 학생들에게는 문학 감상이 주가 될 수 있도록 원문의 어휘가 주가 되도록 것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 현진건과 루쉰의 소설에 나타난 인물 비교 연구

        리정챵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77

        Around 1920,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novels is an important period in which middle and short stories are created, and novels that tend to emphasize individual life and discover themselves. Hyun Jin-gun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is period. His creation of "The Sacrifice", "The Empty House", "The Society Who Encourage Drinking", "The Fallen", "The Lucky Day", and "Fire" were all representative works of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As a pioneer of modern Korean short stories, Hyun Jin-gun is not only a pioneer of realism, but also has outstanding ability in describing works. He is a writer who is good at creating stories that add flexibility by using unexpected techniques. The same period was China's 5.4 movement, where warlords were confused. Lu Xun, the leader of the New Culture Movement, is called the father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Although not many of his lifetime's novels were quantitatively written, he portrayed a series of living characters, including AQ, Gonggi, and Yunto, with intense Enlightenment, a thorough semi-feudal spirit, deep ideological implications, and new and special art techniques. The characters who are very rich in Chinese literature provided an example and a rich experience for modern Chinese literature. Looking at the progress of Chinese literature, the achievements of Lu Xun's novels are multifaceted. He has made great contribution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novels, prose, miscellaneous works, woodcarving, modern poetry, concrete poetry, masterpiece translation, ancient book teachers and modern studies. As the great cornerston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e few novels created by Lu Xun established a new form of Chinese fiction. Almost all Chinese writers developed different literary styles and styles based on the foundations founded by Lu Xun. This paper analyzed and studied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rough the time background and creative background of the work,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of Hyun Jin-gun and Lu Xun. I analyzed and compared the short stories of Hyun Jin-gun and Lu Xun in 12 short stories. I recognized various characters in the work, and compared the characters in the 1920s to find out what they did in the face of their daily lives and hardships. Each character has a different way of responding to hardships, which includes the writer's view of society at the time, his sense of criticism, and the ideals he pursues. This study focused on this point and analyzed the world of the two authors' works. 1920년 전후는 한국 근대 소설의 발전에서 중편과 단편소설이 창작된 중요한 시기이며, 창작된 소설들은 개인의 생활을 중시하고 자아를 발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향이 있다. 현진건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가다. 그가 창작한「희생화」,「빈처」,「술 권하는 사회」,「타락자」,「운수 좋은 날」,「불」 등은 모두 당시 문학계의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한국 근대 단편 소설의 선구자로서 현진건은 사실주의의 개척자일 뿐만 아니라 작품 묘사에 있어서도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반전의 수법을 구사해 이야기에 굴곡성을 더해주는 창작에 능한 작가다. 같은 시기의 중국은 군벌이 혼란한 5.4 운동 시기이다. 신문화 운동의 주장인 루쉰은 중국 현대 문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비록 그가 평생 동안 쓴 소설은 양적으로는 많지 않았지만, 강렬한 계몽주의 사상, 철저한 반봉건 정신, 깊은 사상적 함의, 새롭고 특별한 예술 기법으로 아Q, 공을기, 윤토 등 일련의 살아 숨 쉬는 인물들을 그려냈다. 중국 문학을 대단히 풍부하게 본뜬 인물들은 중국 현대 문학에 본보기와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중국 문학 발전의 진행 과정을 보면, 루쉰 소설의 성과는 다방면에 걸쳐 있다. 그는 소설, 산문, 잡문, 목각, 현대시, 구체시, 명작 번역, 고서 교사와 현대학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공헌을 했다. 중국 현대 문학의 위대한 초석자로서 루쉰이 창작한 몇 안 되는 소설은 중국 소설의 새로운 형식을 건립하였다. 거의 모든 중국 작가들은 루쉰이 창시한 기초를 토대로 서로 다른 방면의 문학 풍격과 양식을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현진건과 루쉰의 대표적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작품의 시간배경과 창작배경을 통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분석하고 연구했다. 현진건과 루쉰의 12편 단편 소설을 분석하고 대조해 봤다.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들을 알아보았고, 1920년대에 나타난 인물들을 비교하며 그들의 생활상과 고난이 닥쳤을 때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알아봤다. 고난에 대응하는 방식은 인물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작가가 당시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과 비판 의식, 추구하는 이상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점에 주안점을 두고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였다.

      •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하 밍 타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3258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 나타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최근 5~10년 동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번역이 시도된 영어를 비롯한 몇몇 다른 언어에 비해 시작은 꽤 늦었으나 짧은 시간에 이미 60종에 가까운 한국문학작품들이 번역 출판되었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과 베트남을 막론하고 겨우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의 제목을 거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작품이 번역 출판되면 무조건 귀한 도서라고 대우를 받던 시대도 끝났다. 한국문학이 처음 소개되기 시작하던 1990년대와 달리 이제는 번역 작품에 대한 베트남 독자나 연구자들의 요구와 기대가 훨씬 높아졌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번역의 양 못지않게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문학번역의 질을 논의할 때 문학번역비평(Literature Translation Criticism)이 자주 언급된다. 문학 작품은 언어의 창조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 예술로서 수용이나 효능의 차원을 넘어선 보다 종합적인 인식 활동의 산물이므로, 그 작품의 고유한 의미와 구조를 존중해 작품의 향취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번역이 지향하는 최종목표라 하겠다. 번역비평은 철저히 이를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문학작품의 베트남어 번역에 관해서는 번역비평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렇듯 번역비평이 부재하거나 그 비중이 극히 낮은 현실에서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은 독자층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이고 전문가들에 의한 생산적인 연구도 기대하기 어렵다. 베트남 국내에서 학술지, 전문 비평지, 전문 신문, 단행본, 심지어 일반신문과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틀어서도 이들 작품을 대상으로 한 번역비평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필자는 2012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만세전>에서 나타난 베트남어 오역 문제」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 간략한 소개 정도의 소논문이었지만 그것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문학 작품들에 대한 최초의 번역비평이었다. 본 논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대상 작품들의 원본 텍스트(ST)와 번역 텍스트(TT)를 동시에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논문은 먼저 베트남에서 자국어(Quốc ngữ, 꾸옥 응으) 사용의 상승과 번역의 관계를 조명하면서, 번역이 근대 민족국가(네이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베트남에서 번역은 근대와 거의 동시에 형성된 개념이기 때문에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즉 번역이라는 행위는 베트남의 근대를 상징하는 시대적 의미를 지닌다. 근대의 격변기에 많은 신개념, 신문화, 신사상이 난해한 중국의 한자(한문)도 아니고 프랑스의 프랑스어도 아닌 꾸옥 응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기 때문에 베트남의 일반국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베트남의 근대문학 역시 이런 바탕에서 형성되기 시작하는 바, 이런 정황들에 대한 이해는 한국근대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본 논문에도 일정한 참고를 제공한다. 이어서 본 논문은 근대 이후 베트남과 한국의 상호 문학 교류와 번역작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과 베트남이 서로 상대국의 문학을 언제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살피는 것은 본 논문의 주제를 다루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 작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중에서도 한국소설의 면모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소설을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고 있기 때문에 번역을 시도한 번역자에 대한 연구 역시 빠뜨릴 수 없다. 번역비평은 ST와 TT를 비교 분석하기 때문에 주로 TT 중심의 비평(book review)을 하는 일반 독자와는 다른 전문번역가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이때 번역자의 개인적인 자질은 물론, 번역자와 번역 방식의 유형은 번역 결과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무엇보다 번역연구이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문학번역에서 가장 큰 문제가 ‘오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ST와 TT를 비교하여 잘된 부분보다는 이상하거나 틀린 부분을 위주로 지적하고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 때문에 자칫 공정한 번역비평이 아니라는 오해를 살까봐 염려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이는 좀 더 나은 번역과 생산적인 번역문화 조성을 위한 학문적 검토와 분석의 과정일 뿐이라는 점을 미리 밝힌다. 오역의 여부를 살피고 오역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제대로 해명하는 것이 번역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역이 많으면 독자들에게 작품 본래의 내용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온전히 전달하지 못하는 위험성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오역이라면 흔히 어려운 단어나 숙어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쉽다고 여기는 말에서 틀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누락 역시 오역의 일부로서, 의외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때로는 번역자의 성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 물론 오역은 대부분의 경우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역사․문화적 차이, 언어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역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유형별로 짚어보면서 이러한 여러 종류 오역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점검하고자 했다. 필자는 『운수 좋은 날』, 『김유정 단편선』, 『메밀꽃 필 무렵』,『김동인 단편선』, 『만세전』,『삼대』,『상록수』 등 대상으로 삼은 7종의 베트남어 번역본 텍스트에 대해 첫째, 고유명사 표기 불일치 및 오류, 둘째, 어휘 오역, 셋째, 문장 오역, 넷째, 누락 등의 문제점들을 짚어나갔으며, 각 부분에서 오역의 구체적인 양상을 표로 정리하여 이해를 도왔다. 특히 표에서는 번역자가 번역한 베트남어를 <필자의 번역문> 칸에서 필자가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ST와 바로 비교해서 오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거듭 말하지만,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오역의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삼았다. 완벽한 번역본이 없고 어떤 번역자도 오역을 피하기 어렵지만 어쨌든 오역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이 번역자로서 가장 중요한 의무이자 미덕이다.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그중에서도 근대문학번역은 양과 질 모두에서 아직 멀고 험한 길을 가야 할 형편이지만, 본 논문을 계기로 좀 더 충실한 번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