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구선수 경기불안의 요인구조분석

        홍승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3

        경기불안은 연습에 의해 습득된 기술과 훈련을 통해 쌓아 올린 체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기결과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따라서 불안을 잘 통제하는 것은 경기의 승패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경기 시 농구선수들이 경험하는 경기불안 원인의 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경기불안 원인 조사 설문지는 예비설문지의 실시 결과와 기존의 선수심리검사지, 그리고 문헌들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총 104문항으로 구성된 경기불안 원인 조사 설문지는 중·고·대학 여자농구선수들과 프로 여자농구선수들에게 실시되었다. 경기불안 원인의 각 요인별 문항검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문항에 대한 동질성을 조사하고 문항들의 내적일치도(Cronbach의 a)를 산출하였으며, 측정 질문지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불안은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의 수는 104문항에서 26문항으로 축소되었다. 경기불안은 6개 요인으로 실수 및 실패공포(6문항), 관중 압력(4문항), 지도자에 대한 불신(4문항). 부상우려(4문항). 평가우려(4문항), 팀웍우려(4문항)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6개의 경기불안 원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본을 무작위 반분(random split)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신뢰계수와 요인의 수, 그리고 구조계수 행렬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농구선수들의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기불안의 원인은 6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이 경험하는 불안원인에 대한 파악은 물론 그에 따른 통제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Competition anxiety has been kn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kills and the exertion of physical strength that players have developed through practice, and thus brings about fatal competition results. Therefore, winning or losing a competi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control of competitive anxiety.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competition anxiety that basketball players experience at games. A Basketball Players' Competitive State Anxiet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survey the causes of competition anxiety on the basis of the data gathered from a preliminary survey and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104 five-point scale items was administered to 216 female basketball players at various levels including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colleges and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Item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hypothesized causes of competition anxiety in other to assess homogeneity an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 of the items, and perform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competition anxiety of basketball players was found to be structured in six factors with the number of items reduced from 104 to 26. Six factors of competition anxiety were named fear of mistake and failure (6 items), pressure from spectators (4 items), distrust toward coaches (4 items), fear of injury (4 items), evaluation apprehension (4 items) and teamwork (4 item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ix factors of competition anxiety, the data drawn from random-split method was subjected to another factor analysis. The analysis produced the same results as those of previous analysis in terms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 the number of factors and the structure matrix. This study showed that the causes of basketball players' competitive anxiety are consisted of six factor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layers' performance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relative to the causes of competitive anxiety that basketball players experience in competition.

      •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ICT 국제표준화 성공요인 실증분석 연구

        박종봉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국제표준화에서의 성공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잠재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설문조사에 기반을 둔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요인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6개의 요인, 즉 ‘정부의 지원(직접)’, ‘정부의 지원(간접)’, ‘표준기구 활용’, ‘표준화 전략’, ‘시장지배력 확보’, 그리고 ‘국제표준채택’이 추출 및 설정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은 국제표준 채택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시장지배력 확보와 같은 중간 매개요인을 통하여 국제표준 채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시장지배력 확보는 국제표준 채택에 가장 중요한 효과를 끼치므로 정부는 대상 표준의 연관 시장지배력을 확보하도록 선도적 시장진출, 고품질의 표준개발을 통한 시장의 만족도 증가, 잠김효과(lock-in effect)의 확대, 그리고 유사수직통합 시스템 구축을 통한 시장지배력 확보에 대한 신규 표준화 지원사업 개발 등 적극적 정책과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셋째, 공식표준화기구에서의 국제표준 채택을 위해서는 정부의 직접지원이 가장 중요하며, 사실상표준화기구에서의 국제표준 채택은 표준화기구 자체의 전략적 활용이 중요하다.

      • 요인분석과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헬기조종사의 상황인식과 교육만족도 분석

        김상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27

        This study attempted to focus on human accidents that occur frequently, accounting for about 80% of rotational wing aircraf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licopters). In particular, the pilot's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 overcoming ability" is a major factor directly related to aircraft accidents, and the scope of the accident can be minimized if the pilot has the right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 overcom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ilot's "determinant of situational awareness and emergency overcoming" to prepare for aircraft accidents as the aviation industry expands quantitatively, and the helicopter pilot's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poor research at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e attempted to approach the study from two aspec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related characteristics an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pilots to identify accident-weighted problems with pilots' situational recognition errors and emergency situational ability. For the study progress, among all the variables obtained in the survey, factor scores were obtained by reducing them by the metho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ince the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as been analyzed by substituting "single function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research purposes, and "age", "working exper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demographic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f the impact on pilot's situation perception and emergency overcoming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ll sub-regions of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utonomy awareness, academic will, and school lif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more stable the pilot's 'personal psychology', the more positive it has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ituational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al capability. In particular, among the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the influence of "self-competence" is relatively greatest, indicating that education or systems that can enhance self-competence are needed to strengthen and stabilize pilots' personal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pproach to conducting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impact of pilot education satisfaction, which has shown poor research results in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the pilot's curriculum. The reason why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are identified during the pilot's curriculum is that the pilot aims to improve the pilot's flying ability by acquiring knowledge of aviation and maximizing flight training.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existing research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and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pilot and existing pilots. Surveys are useful research method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system and for identifying educational needs. Through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on pilot trainees and experienced pilots, this study was able to produce the following results.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lot and the experienced pilot. In other words, "flight hou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ducational satisfaction under 2000 hours, "flight qualifications" under pilots, "work experience" under 10 years, and under 40s.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or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need for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needs of educator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 experience is raised. Second, the analysis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among the related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followed by "the method of education," "the method of teaching," "the method of teaching,"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is practical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e of pilot's "situation recognition error" and the pilot's education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knowledge and empirical investigation to prevent airline accidents and improve pilots' flying ability to fl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and education systems to identify pilots despite the lack of data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determinants of situation awareness and emergency situations." 본 연구는 회전익 항공기(이하 헬리콥터라고 칭함) 사고의 80% 정도를 차지할 만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인적사고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시도하였다. 특히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능력’은 항공기 사고와 직결되는 주요 요소로 문제가 발생 시 올바른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사고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 산업의 양적 확대에 따라 증가하는 항공기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 과 함께 아직 연구 성과가 미진한 헬리콥터 조종사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 가지 측면에서 연구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조종사의 상황인식오류와 비상상황극복 능력의 문제로 사고가 가중되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관련 특성과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설문 조사에서 얻어진 모든 변수 중 ‘탐색적 요인 분석’의 방법으로 변수를 줄여 요인점수를 구했다. 이후 ‘단일함수모형’과 ‘구조적 모형(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연구목적에 대입하여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는 ‘연령’, ‘근무 경력’, ‘가족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개인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심리를 변수로 하여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영역 중 ‘자기 유능성’, ‘삶의 만족도’, ‘자율성 인식’, ‘학업 의지’, ‘학교생활관계성’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종사의 ‘개인심리’가 안정적일수록 상황인식과 비상상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개인심리 변수 중 ‘자기 유능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조종사의 개인심리를 강화시키고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기 유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이나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한편,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두 번째 접근방법은 조종사의 교육과정 중 타 교육기관에서 부진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는 조종사 교육만족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종사의 교육과정 중 교육만족도 요인을 밝히는 것은 조종 훈련생의 항공분야 지식 습득 및 비행훈련 극대화를 통해 조종사의 비행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연구의 교육훈련특성과 교육만족도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조종 훈련생과 기존 경력조종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교육제도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피교육자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조종 훈련생과 경력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조종 훈련생과 경력 조종사의 특징에 따라 교육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비행시간’은 2,000시간이하에서, ‘비행자격’은 정조종사 이하, ‘근무경력’은 10년 이하 그리고 연령은 40대 이하에서 교육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교육자의 특성과 교육환경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교육자의 요구와 근무환경 및 근무 경력 등을 고려한 교육진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위계적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 ‘교육훈련 특성’과 관련한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련 변수 중 ‘교관 자질’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교육방법’ > ‘교관교수법’ > ‘교육환경’ 등의 순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조종사의 비행능력향상을 위해 연구의 경험적 지식과 실증적 조사를 통해 조종사의 ‘상황인식오류’의 원인과 비상상황 극복에 필요한 대처방법 및 조종사의 교육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아직까지 국내·외 연구에서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상황인식과 비상상황 극복의 결정요인’과 ‘조종사의 교육만족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자료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근본적인 원인파악 및 교육제도 등을 전반적으로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잠재변수점수를 활용한 구조식모형분석의 연구

        탁온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11

        구조식모형분석에서 사용되는 잠재변수는 관측되지 않은 변수이지만, 잠재변수에 영향을 받는 관측변수들에 의해 추정이 가능하다. 추정된 각각의 잠재변수의 값을 잠재변수점수(latent variable score: LVS)라 하며 이는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변수점수에 관한 두가지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AMOS, LISREL, R 과 같은 통계 프로그램에서 잠재변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정리하고 둘째, 잠재변수점수를 활용한 구조식모형분석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관측변수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조식모형분석(SEM(1))과 잠재변수점수만을 이용한 구조식모형분석(SEM(2))의 결과를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표본의 수에 따라 관심모수가 임의의 참값을 재현하는 정도와 모형의 적합도지수의 비교결과를 제시하였다. 비교 결과 SEM(2) 방법으로 추정된 구조계수는 표본의 크기가 200이상일 때 참값과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분석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으나 잠재변수의 분산의 경우에는 참값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latent variable score(LVS), use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is an estimate of various latent variables that cannot be observed directly. It help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latent variables. In this study, two kind of SEM are considered. One, denoted by SEM(1), is the standard SEM where the observed variables are included, and the other, denoted by SEM(2), on the path analysis model where the observed variables are excluded after LVS are estimated. Regarding the LVS, there are two main purposes for this study. The First is to describe how the latent variable scores are obtained via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the AMOS, LISREL and R. The second is to compare the SEM (1) to the SEM (2) with the help of Monte Carlo stimulations, in order to verify the use of the LVS-utilized SEM. We then showed the comparison results of how well the true parameter values are reproduced and how well the models are fitted, depending on the sample size. As a result, when the sample size was greater than 200, the structural coefficient estimated from the SEM (2) showed close to the true values. However, for the variances of latent variable scores tend to be underestimated

      • MTMM 자료분석의 새로운 방식 : 상황요인의 도입

        김인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10

        다특질-다방법(MTMM) 분석 방식은 측정 집단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1980년대 이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상황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MTMM 분석 방식에 상황요인을 도입하여 다특질-다상황-다방법(MTMSMM)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MTMSMM 분석 방식은 특질효과, 상황효과 및 이들의 상호작용효과 검증이 가능하며, 측정변수의 잔차에서 방법효과 및 무선적 측정오차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MTMSMM 방식의 일반화 검증 및 실제 사례를 적용한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이론적 장점과 실제 사용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연구 1에서는 MTMSMM 방식의 일반화 검증을 위해 몬테카를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CFA) 방식에서 측정형태 동일성 및 측정단위 동일성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요인은 표본크기 및 특질요인과 상황요인 분산비율 차이로 4 × 3의 2요인이며, 종속변수는 12개 조건 내 500개 자료세트 중 측정형태 동일성과 측정단위 동일성이 기각되는 비율이다. 측정형태 동일성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측정형태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비율이 5% 미만이었으며, 이는 MTMSMM모형을 지지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측정단위 동일성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측정단위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비율이 5%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질요인과 상황요인간 분산비율이 서로 현저하게 불균형적인 차이가 나면, 아무리 표본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측정단위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실제 사례를 MTMSMM 방식으로 모형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와는 달리 특질요인 뿐만 아니라 상황요인 간에도 상관이 있음을 가정할 수 있었고, 상황요인이 유의하게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Multitrait-multimethod(MTMM) analysis is a method evaluating construct validity of a measurement group and it is widely used for testing models. In the socio-cultural revolution of behavioral science since 1980's, situ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systematic factor that needs to be a part of theory construc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multitrait-multisituation-multimethod(MTMSMM) approach which is added to situation factor in typical MTMM analysis. MTMSMM analysis is possible that tests of trait effect, situation effect and interaction between trait and situation. And it has advantage of specification of covariances between error components enables as to separate specificity and random measurement error for each measure. MTMSMM analysis i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our approach. Using population covariance matrix of MTMSMM model, we conducted a generalization tests and an empirical data analysis. In study 1, traditional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hich includes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tests, has been done from a Monte-Carlo study. The experimental factors are sample sizes and trait-situation variance ratio, which is 4 × 3 factorial design,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type Ⅰ error of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tests from 12 cells. Results for the configural invariance test show less than 5% type Ⅰ error, which supports the MTMSMM model. Metric invariance test results show more than 5% type Ⅰ error, also when there is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he situation and trait factor variance ratio, even though the sample size is large, metric invariance does not stand. In study 2, empirical data was used to test the MTMSMM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ituation factors as well as trait factors could be assumed, and significantly could be estimated.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리빙랩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활용

        강지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09

        리빙랩은 혁신주체와 개발활동, 성과(기술, 서비스, 제품, 문제해결 등)의 활용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리빙랩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의 의미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리빙랩의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고 개인‧조직 차원의 행동의도를 함께 살펴봐야 한다. 시스템 인프라 요소 중 가장 주목되는 요소로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환경을 꼽을 수 있는데, 이는 ICT 인프라의 구축과 활용을 통해 혁신주체 간 협력과 공동개발(co-create)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을 활성화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 중 하나인 ICT 인프라(infrastructure) 측면에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좋은 나라 중에 하나로 ICT 기술 및 활용에 강점을 보이고 있으나, Living Lab process에 있어서는 초기의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리빙랩을 실시하기에 매우 우수한 IC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에서 리빙랩이 활성화 되기 위한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찾고 한국의 환경적 특성에 적합한 리빙랩의 적용분야를 탐색했다. 이전의 리빙랩 연구들이 리빙랩에 참여했던 일반적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기를 탐색한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리빙랩 도입 전 다양한 이해관계자(정부, 기업, 연구기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한 영향요인을 찾고, 이를 위한 새로운 학문적 측정모형을 제시한다. 리빙랩의 영향요인을 ICT 활용, 기술, 기관/기업, 정부조직, 제도, 시장, 내적동기, 외적동기의 8가지 특성요인 분류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회귀분석에서는 ICT 인프라 보다 제도, 시장, 외적동기 그리고 정부조직 특성들이 더 영향력 있는 요인들로 밝혀졌다. 그리고 회귀분석의 측정모형을 바탕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ICT인프라, 시장, 외적동기, 기관/기업, 그리고 정부 특성들이 영향력 있는 요인들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적합한 리빙랩의 적용분야는 기업주도형 활동에 높은 활용기대를 보이는 것 외에는 유럽의 일반적인 리빙랩 활용분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도시의 통근통학 특성 변화요인 분석

        한수지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09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확인하고 통근통학 특성 변화 분석을 통한 영향요인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각 도시간 통근통학변화 특성이 수도권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 도권 도시들의 30년간 통근통학 특성 변화를 고찰하고 통근통학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거리, 도시규모, 산업 차원에서 단계구분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 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의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세 개 도심(중구, 여의도, 강남) 에 대한 수도권의 통근통학 의존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과 독립적 군집을 이 루는 도시들의 규모 또한 확장되어 인접도시들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도시공간 구조의 변화를 통근통학 특성 변화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도시들은 인구 증가로 인한 도시규모 증가와 자족성 증가로 자체도착률이 증가하지만 적정 수준 이상으로 도 시가 과밀해지면 오히려 타도시로의 유출통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규모 확 대와 함께 일자리도 증가하면서 도시의 자족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 도시가 과밀해 질수록 양질의 취업기회가 감소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서울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울유출률은 감소하며,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서울유출률이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 또한 인구가 과밀한 도시에서는 양질의 취업경쟁이 심화되기 때문으로 판단 된다. 또한 천인당 2차산업 종사자 수가 증가할수록 서울유출률이 감소하며, 3차산업종사자 수가 증가할수록 서울유출률이 증가한다. 이는 제조업 기반의 우리나라 특성상 2차산업 종사 자 수가 많고 사업체의 입지가 서울시 외곽에 많이 분포하며 서비스업 등의 3차산업은 서울에 주로 분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구규모가 작은 도시일수록 그 도시를 도착지로 하 는 통근통학비율이 감소하며,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일수록 그 도시를 도착지로 하는 통근통학 비율이 감소한다. 즉, 서울이 아닌 도시로의 도착에 영향을 주는 것은 그 도시의 발전수준, 즉, 도시화가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거리가 먼 도시일수록 서울거주자들의 통근통학은 감소함 을 의미하며, 목적지인 도시의 규모는 서울거주자들의 통근통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산업이 발달한 도시로의 통근통학은 감소하며 3차산업을 위한 통근 통학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통근통학 특성 변 화 양상에 대한 시계열적 고찰을 통해 영향요인을 파악한 것으로 30년에 걸친 시계열적 분석 이 진행되었으며 결과적 측면이 아닌 변화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또한, 향후 연구과제로 발전시켜 다양한 지표들의 적용을 통한 다각적 분석이 진 행되어 미래 수도권 정책수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