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상훈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상훈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요양기관 및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에 대한 보상체계 및 근무 환경은 열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은 곧 요양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보상체계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하여 직무갈등을 최소화하고 이직을 방지하여 장기요양기관의 운영활성화에 기여하고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도모하며, 장기근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장기요양기관 중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방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53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기관장과의 불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한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변수만 직무갈등 요인 중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갈등의 하위 요인들 중, 수급자와의 갈등,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갈등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수급자와의 갈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 직무갈등, 이직의도는 서로간의 관계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급여적절성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4가지의 직무갈등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고, 요양보호사의 복리후생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기관장과의 불화의 직무갈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갈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확충하고 직무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장기요양보험 급여수가 인상율을 매년 5% 미만 수가반영으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실질적 급여가 현저히 낮은 원인이고, 처우개선비도 급여수가에 포함하여 지급되므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직접적으로 요양보호사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관리·감독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 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저임금 근로자에게 적정임금제도를 통해서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 피해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여 주고 있다. 셋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가 쉴 수 있는 별도의 휴게 공간의 설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주제어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보상체계, 이직의도, 직무갈등

      • 요양보호사 업무만족도의 영향 요인 분석

        김혜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대한민국의 인구고령화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노인부양비의 급증과 노인 돌봄 문제는 인구구조의 변화로 연결되어 사회적 이슈가 될 수밖에 없다. 노인부양은 더 이상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전문적인 교육을 수료한 요양보호사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정부의 관리감독 소홀로 서비스 품질의 저하, 인력관리의 문제 등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노인에 대한 경험이 종사자의 업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요양보호사의 개인별 특성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개인별 특성 중 노인부양, 노인에 대한 봉사, 노인에 관한 교육이 수급자의 서비스에 긍정적 변화를 준다고 보고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750부였으며, 이중 결측값이 높은 188부를 제외하고 562부(74.9%)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지식 및 태도, 업무만족도에 따른 분석 결과는 지식정도와 태도가 높으면 업무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노인부양, 노인관련 교육, 봉사 경험에 따른 서비스 지식, 서비스 태도, 업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경과 유의하였고 노인부양 기간이 길면 길수록, 자격 취득 전 봉사경험이 많고 길게 하면 할수록 서비스 태도가 긍정적이며 업무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수 있다. 넷째, 요양 서비스 제공 태도를 매개요인으로 한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경로분석에서 노인부양기간이 높을수록, 취득 전 봉사를 한 사람이 안 한 사람보다, 제공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요양보호사의 노인부양, 노인관련 봉사 경험, 교육이 서비스 지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서비스 제공 태도는 영향을 크게 미쳐 최종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만족도를 높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한 제언으로 요양보호사의 자격 취득 전 교육 및 평가에서 노인관련 부양, 봉사, 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교육 매뉴얼에 제공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공단에서는 제공기관 및 지역별로 서비스 내용 및 서비스 질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표준서비스의 내용 및 절차 등에 대한 표준지침과 매뉴얼을 개발하여 서비스 제공기관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덕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변수 간에 직접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를 매개효과로 작용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보다 나은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 및 경기 지역 일부 노인요양시설 20곳의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요양보호사가 직접 기입하는 방식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400부 중 분석 유용한 320부만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for Win. 22.0과 AMOS 22.0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절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서비스 질의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서비스 질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경로계수를 산출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효과분해를 통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구하였으며, 간접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랩의 bias-corrected(BC) percentile method와 Sobel-Test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분석처리 결과를 토대로 한 이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질에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의도는 서비스 질에 부(-)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직의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은 서비스 질에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만족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서비스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매개효과가 있음으로 검증되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직무만족이 이직의도를 통해 서비스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력도 미치고 매개역할도 충분히 했지만, 이직의도는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력은 미치지만, 매개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자기성취감, 자기수용감, 사회적 효능감으로 직무만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이용자 만족으로 이어지는 높은 서비스 질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상대적으로 서비스 질을 낮추는 요인인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아지게 하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서비스 질 간에 구조적 인과관계가 성립됨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을 상승시켜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이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인 어르신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질은 단지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차원에 머무르지 않으며, 파급효과는 이용자들이 느끼는 서비스 질에 대한 이용만족을 넘어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전반의 문제로 연결되고 결국은 장기요양보험의 성패와 연결된다고 생각하며 요양서비스 질 향상 방안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임금이 실제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책정되어야 한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근무조건과 근무환경 개선이 제도적, 정책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요양보호사 직종이 전문직업인이라는 사회적인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전문적인 직무보수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자료수집대상이 서울, 경기 일부지역 노인요양시설로 전국 노인요양시설로의 적용이 어렵고,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구성요인으로 본 연구요인 외에도 더 있을 수가 있다는 점과 요양서비스 질을 서비스 공급자인 요양보호사의 주관적인 평가에만 의존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의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서비스 질 간의 관계성의 검증이라는 단순한 영향요인의 연구를 넘어서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 및 효과검증과 요양서비스 질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the service quality b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and eventually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service. A self-rating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00 nursing care workers at 20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320 out of the 400 data sets collected were evaluated as valid data sets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with IBM SPSS for Win. 22.0 and AMOS 22.0.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Cronbach's α value was evaluated for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Thir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the self-efficacy,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service quality were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Four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see the correlation among the job satisfaction, the self-efficacy,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service quality. Fifth, a path analysi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for the hypothesis testing.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effect decomposition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and the turnover intention. Indirect effect was validated by the bootstrap bias-corrected (BC) percentile method and the Sobel-Test. All of the above analyzes were tested at significance levels of p<.05, p<.01, and p<.001.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elf-efficac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econd, the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self-efficacy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Fourth, the turnover intention appears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show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e lower the service quality. Fifth, the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meaning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Sixth, the indirect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through the self-efficacy was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and the self-efficacy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Seventh, the indirect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through the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which means that the turnover intention ha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elf-efficacy has positive (+) direct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and also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but the turnover intention has a negative (-) direct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and insufficie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High self-efficacy coupled with high job satisfaction provides a high quality of service leading to user satisfaction and eventually lowers the turnover intention relatively compromising the service quality.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b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self-efficacy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leads to a high quality service. As a res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as a way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First, the nursing care worker's wages should be set to reflect the actual rate of infl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nursing care workers in an institutional and policy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that the nursing care workers are professional. Fourth, professional supplementary educations for the nursing care workers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for the analyses were collect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onl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at the evaluation with the questionnaire depends only on the subjective rating of a nursing care worker.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양진만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understands the effect for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of care helper and verify that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care helper controls influencing relationship. Also, I studied managing the job stress of care help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are helper by controlling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feeling the necessity about that nursing care facilities have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This study was made of focusing on moderating variable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o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when the care helper faced stress related job. This verifie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by set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to moderating variables,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to dependent variables, job stress to independent variables to care helpers who work at elderly care facilities the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is study’s data conducted survey of 470 care helpers of Seoul and Incheon between september 1, 2015 and september 30 and used 433 copies of survey except 37 meaningless results to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irst, the highest of job stress of care helper was physical stress. The lowest was personal stress. Overall job stress was less than usual. This study found that care helper received many stresses by physical pain or diseases caused by job environment. Second, job attitude had companionship, importance of job, sense of belonging positively. Turnover intention was low conditi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e variable was high condition to care helper. Third, there was the result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General characteristic and job stress of care helpe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ssigned members, job career, salary. In contrast, general characteristic and job attitude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period, employment status. General characteristic and turnover intention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period and salar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ssigned members and employment status. Also, General characteristic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e, and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atus. Job stress, job attitude,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negative relationship. An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after factor analysis of job stress of care helper, social and individual stress were shown each single fact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were shown same factor. Job attitude of care helper as a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hat job satisfaction was shown as single factor except question no.8 and question no.8 did not elong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as single factor except question no.1, question no.1 was shown close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 was shown that all questions including inverse processed question no.5 were single factor.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ing variable was shown that custom, attitude, value are classified into same factor and two questions of opinion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factor. Fifth, general characteristic of care help couldn’t explain job attitude exactly. But the model of employment status, age, assigned members was effective to general characteristic. Job attitude was affected by the model of employment status, service period, assigned members but quantity of explanation was very low. Job stress had high quantity of explanation to job attitude and the model of job attitude included every lower level of society, individual, physical, psychological. Job stress explained turnover intention very well and included physical, individual, psychological stress except social one. Sixth,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for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of care helper focusing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moderating variable is that the model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social, individual, physical stress could explain many parts of attitude. The result of analysis on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was that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only effective to job attitude. Job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had effect to turnover intention by including physical, individual, professional consciousness, psychological test.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was shown that interaction variables with physical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social stres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can explain turnover intention. This result was shown that job stress can affect to job attitude, turnover intention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moderating variable can control partially. This means that proper program which reducing job stress, giving positive effect to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need to develop. In regulation eff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related with turnover of care helper, if job stress of care helper was low, job satisfaction could be high. As a result of high job satisfaction, turnover of care helpe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This study will expect that thi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handle turnover and job attitude related with job stress of care helper who works at the long term care for elderly and also this can improve quality of long term care for elderly by retaining the quality of care helper.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태도와 이직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를 조절하여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요양보호시설이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의 영향에 대해 직업의식의 조절변수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독립변수를 직무스트레스로 하고 직무태도와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직업의식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 및 인천지역의 요양보호사 470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 37부를 제외한 433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개인스트레스가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은 신체적 통증이나 작업환경으로 인한 질병 등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태도는 동료애, 업무의 중요성, 소속감 등을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의도는 요양보호사들은 이직하고 싶은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은 본 연구의 요양보호사들은 높은 직업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무스트레스에서 요양보호사가 담당한 인원, 근무 경력, 월급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무태도는 근무기간과 고용형태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이직의도는 연령과 월급과는 부(-)적인 상관을, 담당하는 인원과 고용형태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징과 직업의식은 연령과는 정(+)적인 상관을, 고용형태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직업의식은 모두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모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요인 분석한 결과 사회스트레스와 개인스트레스는 각각의 단일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스트레스와 신체스트레스는 동일한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수인 요양보호사의 직무태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8번 문항을 제외한 문항이 단일요인으로 나타났고, 8번 문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속하지 않는 문항임이 확인되었다. 조직몰입은 1번 문항을 제외한 문항이 단일요인으로 나타났고, 1번 문항은 직무만족의 요인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역산처리 한 문항 5번을 포함한 모든 문항이 모두 단일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의 요인분석 결과 관습, 태도, 가치는 모두 같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의견의 두 문항만이 다른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직무태도를 미비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형태, 근무기간, 연령, 월급을 포함한 모형이 영향력이 있었다. 직무태도에는 고용형태, 연령, 담당인원의 모형이 영향력이 있었고 설명량은 매우 낮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를 설명하는설명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사회, 개인, 신체, 심리의 모든 하위차원이 직무태도를 설명하는 모형에 포함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으며, 사회 스트레스를 제외한 신체, 개인, 심리가 모형에 포함되었다.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업의식, 사회, 개인, 신체 스트레스가 포함된 모형이 직무태도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일하게 직무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신체, 개인, 직업의식, 심리스트레스가 모형에 포함되었고,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스트레스와 직업의식, 사회스트레스와 직업의식의 상호작용 변수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와 이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조절변수인 직업의식이 완전조절 역할은 하지 않지만 부분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양보호사의 이직과 관련한 직업의식의 조절효과에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으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면 그 결과 요양보호사의 이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태도와 이직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양질의 요양보호사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전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을 매개효과로

        배종애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ructural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resilienc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working at care facilities and homes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via resilienc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ne-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In this study,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is independent variable while job satisfaction is dependent variable and resilience is recognized as a parameter that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vered care workers working at care facilities or homes for the aged located in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do Province. It was conducted based on prior consents of relevant institutions or parties and involved direct visits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y care workers themselves and collected later.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study took seven weeks from December 26, 2019 to February 10, 2020. 39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66 of them, excluding 26 which were found to have poor responses or reliability, were analyzed through SPSS Ver. 21.0.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ajor variables were subjected to mean difference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of various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ally,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volving parameters. Also,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ere explained through Sobel-test.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ensitivit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Second, it was found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capacity to recognize situations, capacity to recognize results and capacity to recognize responsibilities) affected job satisfaction (task, job saf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ird, it was found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capacity to recognize situations, capacity to recognize results and capacity to recognize responsibilities) affected resilience. Fourth, the resilience of care work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task, job saf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Fifth, when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capacity to recognize situations, capacity to recognize results and capacity to recognize responsibilities) affected job satisfaction (task, job saf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capacity to recognize situations, capacity to recognize results and capacity to recognize responsibilities)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ask, job saf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capacity to recognize responsibilities was discarded as it did not reveal resilience as a mediating effect and as for all others, resilience showed mediating effe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care of the aged, there are many fac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 which may threaten human rights of the aged.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to guarantee human rights of the aged. Also, care workers are exposed to stress coming from their environment. Therefore, when there is resilience to change occupational life, job satisfaction will be improved, which will increase the quality of care and life on the very sites of social welfare where long-term care insurance is implemen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study, there were not many analytic studies covering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Therefore, the author referred to research materials pertaining to other occupations and areas. Based on this process, the study has offered significance by providing basic data pertaining to awareness of human rights of the aged between care workers and their job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directio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이후 시설 및 재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이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을 독립변인,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회복탄력성을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인식하여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이 회복탄력성을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해당 기관이나 당사자에게 사전 동의를 얻은 후 직접 방문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요양보호사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한 설문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측정 설문은 2019년12월26일부터 2020년2월10일까지 약 7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총 392부를 배포했으며, 그 중에서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26부를 제외한 총 366부의 설문지를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주요변인에 대한 평균차이검증(t-test)와 일원배치분석, 기술통계,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주요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 마지막으로 매개변수를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소벨테스트(Sobel-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에 대한 결과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인권감수성, 회복탄력성,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은 직무만족(직무자체, 직업안정성, 개인적 특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은 회복탄력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직무자체, 직업안정성, 개인적 특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이 직무만족(직무자체, 직업안정성,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때 회복탄력성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인들(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직무자체, 직업안정성, 개인적 특성)관계에서 책임지각능력은 직업안정성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기각되고, 그 외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었다. 노인장기요양적 특성은 다양한 인권침해 요인을 많아 노인인권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여 노인의 인권을 보장하며, 요양보호사들의 환경에 따른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직장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가질 수 있을 때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임으로 케어와 삶의 질을 장기요양보험을 실시하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의 결과로 분석한 연구의 자료가 많지 않아서 다른 직종 및 분야에서 연구 자료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케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현장의 경험을 통해 갖게 된 노인인권에 대한 민감성은 어떠한지 실제로 케어과정을 통해 인권감수성과 직무만족과의 영향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매개역할에 대해 밝힘으로써 요양보호사들의 노인인권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본 연구의 자료가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장기요양보험의 방향의 단초를 마련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관계 연구 :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violence experienced by caregivers working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from client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burnout, and to accurately identify the seriousness and work difficulties of elderly caregivers. To achieve this goal, 420 people belonging to 17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pproval process of Daegu University's Bioethics Committee (IRB) to secure the ethics and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2020, and 31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the current status of key variables, as well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key variables: client violence experience,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burnout in relation to the caregiver's client violenc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step by step, and the extension of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impact of resilience in the client violenc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burnou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ictim violence experienced by elderly care worker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burnout. Second, the experiences of victim violence experienced by elderly caregivers have the effect of lowering job satisfaction. Third, burnout experienced by elderly caregivers has the effect of lowering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even when burnout was controlled, the experience of victim violence still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was decided as a partial mediated model. Fourth, the resilience of elderly caregivers had the effect of buffering the influence of the client's violence damage experience on burnout. Fifth, the resilience of caregivers had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victim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burn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burnout of elderly caregiver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a multilateral policy and practical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elderly caregivers. Second, as a way to minimize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 elderly caregivers, the government and welfare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vidual elderly caregivers should make efforts to continuously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the reality and dangers of the victims' viol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response manual for this.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the relationship that leads to a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feeling of burnout from the experience of victim violence in the caregiver's work situation. As a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raining of welfare counselors at the workplace who can emotionally support and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to urgent situations such as burnout experienced by elderly caregive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aregivers by verifying the impact of resilience in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s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겪는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에 대한 심각성과 업무적인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요양보호사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17개의 노인장기요양기관에 소속된 420명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윤리성과 책임성 확보를 위해 대구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 절차를 거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31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인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회복탄력성의 측정 변인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단계적 절차에 따라 검증하였으며,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SPSS의 확장프로그램인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한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소진을 높이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직무만족을 낮추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소진은 직무만족을 낮추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진을 통제하고도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은 직무만족에 여전히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결정되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은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충해주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은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소진 예방과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다각도의 정책적·실천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경험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요양보호사 개인뿐만 아니라 정부와 복지기관에서도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현실과 위험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사회적 인식을 환기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적절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업무 상황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이 소진감을 높여 직무만족 저하로 이어지는 관계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민관 협력사업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겪는 소진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 이를 정서적으로 지원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는 근로 현장 복지 상담전문가의 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경험, 소진, 직무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에 대해 검증하여 노인복지 현장에 맞는 정책과 실천적 서비스가 마련되어, 요양보호사의 근로환경이 개선되는 데 의의가 있다.

      •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조직효과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이혜정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Under these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are-givers’ role str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this end,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role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turnover intention, then established hypothesis and an analytical model. For empirical data for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analytical model,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n 700 care-givers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elderly home care facilities in Busan and Gyeongnam from July 13 to July 25,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 stress negatively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ole stres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Second, rol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the role stress, the low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ole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role stres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role stress mediates job satisfaction an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o, the related hypothesis was rejected. Therefore, regarding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Fifth, role stress mediat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imply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care-givers affect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fewer components of role stress such a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exces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are-giver, as well as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owere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lower care-givers’ intention to turnover, appropriate ways of reducing the role stress while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are-givers working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should be prepared. This requires development of a standard manual for care-giver work aiming to reduce their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excess.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high-quality work of care-giv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care-giver support center for professional training are also required to prevent the leave of experienced experts. Social support to improve lower awareness of care-gives in a way to make them fee proud is also requir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needs to prepare policies to secure proper remuneration and improve social reputation toward care-givers, which includes providing education and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job self-esteem while preventing their turnov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조직효과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할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가설 및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분석모형의 검증을 위해 부산 및 경남의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요양보호사 7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7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역할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역할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역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역할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역할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 또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역할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가설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만족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역할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몰입은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며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역할스트레스의 구성요소인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가 적을수록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는 높아지고, 높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역할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과 더불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일이 병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는 요양보호사들의 업무를 가능한 구체적으로 표준화시켜 요양보호사들의 역할갈등, 역할의 모호성, 역할과다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 매뉴얼을 개발해야 필요하다. 더불어 숙련된 전문 인력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 요양보호사의 질적인 근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제도적인 뒷받침과 전문적인 훈련이 필이 가능한 요양보호사 지원센터를 설립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인식이 낮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일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현실적인 급여정책을 실시하고 요양보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사회적 인식을 바꾸고 요양보호사의 이직예방에 힘써야 한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 대처 조절효과 검증

        장영숙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 대처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장영숙 지도교수 조춘범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인 요양시설에서 대상자 어르신들께 전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매개효과인 자기효능감과 조절효과인 직무스트레스대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분포도가 높은 부천, 안산, 시흥, 안양, 군포, 화성, 의왕에 소재하는 71곳의 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0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366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31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의 분석방법을 근거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및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및 역할과다는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의 조직헌신 및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인식의 제고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조직헌신 강화 방안, 직무스트레스 대처 고양 방안,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외에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성, 조직헌신,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